KR20180032850A - 유품봉안용 봉안함 - Google Patents

유품봉안용 봉안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850A
KR20180032850A KR1020160122017A KR20160122017A KR20180032850A KR 20180032850 A KR20180032850 A KR 20180032850A KR 1020160122017 A KR1020160122017 A KR 1020160122017A KR 20160122017 A KR20160122017 A KR 20160122017A KR 20180032850 A KR20180032850 A KR 20180032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rail
article
front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457B1 (ko
Inventor
정연식
이정훈
손정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융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융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융합기술
Priority to KR1020160122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457B1/ko
Priority to PCT/KR2016/013551 priority patent/WO2018056512A1/ko
Priority to JP2016228190A priority patent/JP6493767B2/ja
Publication of KR2018003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납골함이 보관되는 함과 그 함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전면부, 그 전면부의 이동위치를 유지하는 이동수단 및 전면부와 함께 이동되는 PCB를 통하여 유품봉안용 봉안함의 해체하지 않고 단순히 전면부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PCB에 구성된 각종 전자기기를 작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들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품봉안용 봉안함{Container of the Ashes Vessel}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유품을 보관하는 봉안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안함에 적용되는 PCB와 같은 회로기판의 수리가 용이한 유품봉안용 봉안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봉안함은 통상적으로 납골함을 보관하는 통상의 함으로 제작되어 일반적으로 함의 후면이 건물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 다수 개를 층층이 쌓아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납골함을 보관하는 기능 이외에 디스플레이장치 및 음향장치 등의 전자장치를 추가하여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봉안함이 사용되고 있다.
다기능 봉안함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전자장치로는 봉안함의 전면 문에 설치하여 고인의 생전 모습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봉안함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되어 고인이 생전에 즐겨 듣던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이들 이외에 유품봉안용 봉안함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 봉안함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환풍기 및 발열장치, SNS와 연동되는 통신장치 등 다양한 기능의 전자장치가 봉안함에 설치되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장치들의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이들을 수리하기 위해서는 각 전자장치들을 봉안함에서 분리하거나, 봉안함을 해체하여 이들을 보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봉안함에 새로운 전자장치를 증설시에도 봉안함을 해체하거나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봉안함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의 보수 및 증설 시에는 부득이하게 봉안함을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장치들의 유지, 보수, 증설 등이 용이한 기술을 제안한다.
봉안함에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7240호 "인터렉티브 투명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납골함"(2016년 06월 03일 공고)과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7582호 "조립식 안치단" (2011년 08월 02일 공개)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유품이 보관되는 함과 상기 함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이동위치를 유지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전면부와 함께 이동되는 PCB를 통하여 유품봉안용 봉안함을 해체하지 않고 단순히 전면부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상기 PCB에 구성된 각종 전자기기를 작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들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이동수단의 가이드돌기와 이동구멍을 통하여 사용자의 눈높이에 있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의 하드웨어들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이동수단의 회전구멍과 회전축을 통하여 건물의 천장 또는 벽체 등에 구애받지 않는 상태에서 각종 전자기기의 하드웨어들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회전수단을 통해서 건물의 천장 또는 벽체 등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작업위치 이상의 높이에 설치된 유품봉안용 봉안함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품을 봉안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함, 이동수단, 전면부 및 PCB를 포함한다. 상기 함은 내부에 상기 유품이 보관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전면에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함의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상기 함에 설치된다. 상기 전면부는 상기 이동수단(2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PCB는 상기 이동수단 또는 상기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면부와 함께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유품이 보관되는 전면이 개방된 함과 함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부, 함에 설치되되, 전면부와 연결되어 그 전면부가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이동수단 및 함 내부에 위치하되, 전면부를 따라서 이동되는 PC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상기 함의 내면에 배치되며, 외부에서부터 상기 PCB와 연결된 전력선을 인출 및 회수하는 탄성부와 상기 PCB와 마주하는 상기 함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선이 상기 PCB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이동수단에 배치되며, 상기 PCB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PCB의 회전을 멈추도록 구성된 멈춤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함의 내부의 측면에 형성된, 예로서 상기 함의 한쪽 측면의 전면 방향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이동구멍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이동구멍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돌기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며, 상기 전면부는 상기 레일의 한쪽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일의 상기 한쪽 끝단에는 회전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구멍과 대응하는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상기 회전구멍과 상기 회전축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레일의 상기 한쪽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전면부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PCB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의 작동을 위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PCB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되는 상기 유물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여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PCB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투명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PCB의 제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투과하여 상기 유품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유품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만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전면부의 이동위치를 유지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전면부와 함께 이동되는 PCB를 통하여 유품봉안용 봉안함을 해체하지 않고 단순히 전면부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PCB에 구성된 각종 전자기기를 작동할 수 있는 하드웨어들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이동수단의 가이드돌기와 이동구멍을 통하여 사용자의 눈높이에 있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의 하드웨어들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이동수단의 회전구멍과 회전축을 통하여 건물의 천장 또는 벽체 등과 같은 봉안함이 설치된 장소, 높이 등에 구애받지 않는 상태에서 각종 전자기기의 하드웨어들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회전수단을 통해서 건물의 천장 또는 벽체 등과 같은 봉안함이 설치된 장소, 높이 등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작업위치 이상의 높이에 설치된 유품봉안용 봉안함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센서부를 통하여 유물의 이동, 분실 등에 따른 유물의 보관 여부를 감지하여 유족들에게 제공해 주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서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서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사용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회전수단과 멈춤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서의 실사용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봉안함은 고인의 유품을 봉안하는 용도 이외에 각종 기념품, 전시품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유품이라는 용어는 고인의 유골이 담긴 납골함 이외에 고인의 생전 사진, 고인에게 헌화 된 꽃, 고인이 생전에 소중하게 간직한 기념물 등과 같이 고인과 관련된 각종 물품들을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서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서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사용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회전수단과 멈춤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서의 실사용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을 봉안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함(100), 이동수단(200), 전면부(300) 및 PCB(40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서,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선택적으로(optionally) 회수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서,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선택적으로 회전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서,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선택적으로 멈춤수단(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서,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선택적으로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함(100)은 내부에 상기 유품이 보관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전면에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함(100)은 이하 설명될 PCB(400) 및 함(100) 내부에 설치되는 전자장치들의 전력공급을 위한 외부 전력선이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전력선이 관통하는 부분이 완전히 막히도록 함(100)과 전력선 사이를 실리콘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밀폐하여 거미 등의 벌레들이 함(100)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동수단(200)은 함(100)의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함(100)에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수단(200)은 함(100)의 내부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0) 및 가이드돌기(210)가 삽입되는 이동구멍(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220)은 이동구멍(221)을 통하여 가이드돌기(21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 가능하다. 전면부(300)는 레일(220)의 한쪽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레일(220)의 상기 한쪽 끝단에는 회전구멍(223)이 형성되고, 전면부(300)의 후면에는 회전구멍(223)과 대응하는 회전축(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부(300)는 회전구멍(223)과 회전축(230)의 결합을 통하여 레일(220)의 상기 한쪽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전면부(300)는 이동수단(2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일례로, 전면부(300)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PCB(40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되는 상기 유물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여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
이 경우, PCB(4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투명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PCB(400)의 제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투과하여 상기 유품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유품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만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은 고인의 생전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 가족 등이 고인에게 헌화한 꽃의 디지털 영상, 고인의 가족들의 최근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 등일 수 있다.
PCB(400)는 전면부(300)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즉, PCB(400)는 전면부(300)가 함(1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함(100)의 내부에 위치하되, 전면부(300)가 이동할 경우에 전면부(300)와 함께 이동한다. 이를 위하여 PCB(400)는 이동수단(200) 또는 전면부(300)에 배치될 수 있다. PCB(400)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의 작동을 위한 하드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수단(500)은 함(100)의 내면에 배치되며, 외부에서부터 PCB(400)와 연결된 전력선을 인출 및 회수하는 탄성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회수수단(500)은 PCB(400)와 마주하는 함(100)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선이 PCB(40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수단(600)은 PCB(40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회전수단(600)은 전면부(300)가 함(1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함(100)의 내부에 위치하되, 전면부(300)가 이동할 경우에 전면부(3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수단(600)은 전면부(300) 또는 이동수단(200)에 배치될 수 있다.
멈춤수단(700)은 회전수단(600) 또는 회전수단(600)에 의하여 회전하는 PCB(400)의 회전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즉, 멈춤수단(700)은 회전수단(600)에 의하여 회전하는 PCB(400)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한 후 멈추도록 함으로써 PCB(400)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시에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멈춤수단(700)은 전면부(300) 또는 이동수단(200)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유물의 보관 여부를 감지하여 PCB(4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유품이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유품의 하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납홀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유물의 보관 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미도시) 또는 상기 수납홀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유물의 보관 여부를 감지하는 중량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홀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수납홀 각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납홀에 안착되는 상기 유물은 상기 수납홀에 의하여 지지가 됨으로써 전면부(300)의 이동과정에서 함(100)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넘어지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는 광원(미도시) 및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광원과 상기 수광부는 상기 수납홀의 측벽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센서는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상기 수광부에 입사되는지 여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홀에 상기 유물이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광원과 상기 수광부는 상기 수납홀의 측벽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센서는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빛이 상기 유물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상기 수광부에서 감지되는 반사광의 세기를 통하여 상기 수납홀에 상기 유물이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중량센서는 상기 유물의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유물의 수납 여부, 상기 유물의 수납량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센서부는 이미지센서(미도시), 고주파센서(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된 상기 유물의 형상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유물의 보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센서는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된 상기 유물에 RF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유물에 부착된 RF ID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통하여 상기 유물의 보관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들 센서들은 적어도 하나 선택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거나, 동시에 배치됨으로써 감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유품과 모양은 비슷하지만 다른 중량의 유품이 뒤바뀌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센서 또는 광센서만을 사용할 경우 다른 중량의 유품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 이때, 중량센서를 동시에 설치하면, 상기 수용공간에 봉안된 상기 유품의 정보를 보다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전면부(300)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유품이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되는 상기 유품의 종류, 보관상태, 분실 여부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로서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봉안함을 방문한 방문자는 방명록을 작성하거나, 헌화 등을 할 수 있다.
PCB(400)는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유품이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유품의 보관 여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함(100) 또는 PCB(400)에 장착되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유품의 보관 여부, 분실 여부, 방문자의 방문 여부 등을 봉안함 관리자의 휴대용 통신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수납홀의 내부 또는 상기 수납홀에 인접한 상기 수용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LED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수납홀에 안착되는 상기 유물 중 일부가 분실되었거나 뒤바뀐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 해당 유물에 대응되는 LED를 점등시켜 유물의 분실 여부 또는 변경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함(100)은 통상의 유골 가루를 보관하는 납골함을 보관하는 다양한 모양의 상자로써,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한쪽 측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사각형 상자를 예로서 개시한다. 함(100)의 빈 내부는 유품이 보관되는 수용공간의 기능을 갖는다.
이동수단(200)은 함(100)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함(100)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수단(200)은 함(100)의 전면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크게 가이드돌기(210)와 레일(220)로 구성된다. 가이드돌기(210)는 예로서 함(100)을 구성하는 수직면의 내측 전면 방향에 원형으로 돌출된 돌기로 구성할 수 있고, 레일(220)은 함(100)의 깊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되, 가이드돌기(210)가 삽입되어 레일(2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장공의 이동구멍(221)이 형성된다.
이동구멍(221)의 상·하 폭은 가이드돌기(210)의 최대 지름 이상이 되도록 하여, 레일(220)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동수단(200)은 함(100)에 구성된 가이드돌기(210)에 레일(220)의 이동구멍(221)을 끼우는 과정을 통하여 함(100)에 레일(220)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돌기(210)에 의해서 이동구멍(221)을 따라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레일(220)을 통하여 이동수단(200)은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수단(200)은 이하 설명될 전면부(300)가 레일(220)의 끝단에 결합하고, 사용자가 전면부(300)를 밀면 레일(220)이 가이드돌기(210)에 의해서 함(100) 내부로 이동되어 전면부(300)에 의해서 함(100)의 전면이 폐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한편,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레일(220)이 이동되는 경로를 돌출시키고, 그 돌출된 경로의 전면 끝단에 가이드돌기(210)을 형성하고, 레일(220)의 상·하 부에는 레일가이드(222)를 각각 형성하여 레일(220)이 안정적인 직선 이동이 및 위치 고정 가능함과 동시에, 레일(220)이 함(100) 내부로 완전히 이동될 경우에도 안정적인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가이드돌기(210)를 수평선상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미 도시)하거나, 가이드돌기(210)의 형상을 사각형 등의 직선 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성(미 도시)하는 등의 다양한 구성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동수단(2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돌기(210)에서 이동구멍(221)이 이탈할 수도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1에서와 같이, 함(100)의 양쪽 내측 면에 각각 이동수단(20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도 2에서와 같이, 가이드돌기(210)의 끝단에 그 가이드돌기(21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돌기를 추가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전면부(300)가 함(100) 내부로 끼워지도록 구성(미도시)할 수도 있는 등의 다양한 구성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이동수단(200)의 레일(220)의 전면방향 끝단에는 회전구멍(223)이 더 형성되고, 이하 설명될 전면부(300)의 후면에 그 회전구멍(230)에 대응하는 회전축(2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이동수단(200)은 회전축(230)을 회전구멍(223)에 삽입하는 과정을 통하여 전면부(300)가 레일(220)에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210)와 회전축(230)에 의해서 레일(220)과 전면부(300)는 각각 자유회전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300)는 도 1에서와 같이, 함(100)의 개방된 전면을 덮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동수단(200)에 결합 완성되어 사용자가 전면부(300)를 밀거나 당길 경우에 함(100)이 전면부(300)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전면부(300)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피커, 동작감지센서, 음성 인식 스피커 등이 설치될 수 있다.
PCB(400)는 통상의 회로기판으로서, PCB(400)에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에 설치되는 각종 전자기기(전등, 스피커, 디스플레이, 센서, 통신장치 등)들의 하드웨어 및 이들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회로기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PCB(400)는 도 1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200)의 레일(220) 측면에 결합되어 함(100)의 상부 내면을 향하도록 결합 완성되어, 전면부(300)를 당겨서 함(100)을 개방할 경우에 PCB(400)가 레일(220)의 이동에 따라서 전면으로 이동되어 PCB(400) 상부 면이 개방된 상태에 놓이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함(100)의 상부 내면을 향하도록 이동수단(200)에 결합 완성된 PCB(40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PCB(400)는 함(100)의 측면 내면을 향하도록 이동수단(2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PCB(400)는 전면부(300)를 인출하여 함(100)을 개방할 경우에 전면부(300)와 함께 PCB(400)가 이동하여 노출될 수 있어 유품봉안용 봉안함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들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진다.
한편, PCB(400)는 이동수단(200) 이외에 전면부(300)에 설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나, 이동수단(200)의 회전구멍(223)과 회전축(230)의 구성을 포함할 경우에는 이동수단(20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회수수단(500)은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510)를 구비한다. 함(100)에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에 설치되는 각종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함(100)의 어느 일 측면의 유입구를 통하여 함(1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전력선이 배치된다. 탄성부(510)의 한쪽 끝단은 함(1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상기 전력선 부위 중 상기 유입구에 인접한 부위-이하 제1부위라 함-에 설치되고, 탄성부(510)의 다른 한쪽 끝단은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상기 전력선의 끝단 또는 이에 인접한 부위-이하 제2부위라 함-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전자기기로서 PCB(40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회수수단(500)은 PCB(400)가 전면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PCB(400) 즉, 상기 제2부위에 연결된 탄성부(510)의 상기 다른 한쪽 끝단이 PCB(400)와 함께 이동하여 탄성부(510)는 인장 된다. 그리고 PCB(400)가 함(100) 내부로 수용될 때는 탄성부(51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2부위는 함(100)의 내측 면으로 수축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전력선을 함(100) 내부로 끌어당기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회수수단(500)은 전력선이 감긴 롤러와 그 롤러에 코일스프링 등을 설치하여 전력선이 풀렸을 때에 다시 감기도록 구성된 장치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회수수단(500)에는 PCB(400)와 마주하는 함(100) 내면에 상기 전력선이 삽입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된 이격부(52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격부(520)를 통하여 상기 전력선이 PCB(400)와 이격된 상태가 되고 이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회전수단(600)은 도 7과 같이, PCB(400)가 설치되는 판-이하 회전판이라 함-과 상기 회전판의 측면과 이동수단(200)의 레일(220) 측면을 흰지 구조로 결합하여 PCB(40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수단(600)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부방향을 향하는 상기 회전판 부분에 PCB(400)가 설치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함(100) 내부를 밝히는 조명,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수용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등의 기타 전자장치들은 PCB(400)가 설치되는 상기 회전판 부분 또는 상기 회전판 부분의 반대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멈춤수단(700)은 도 7과 같이, 회전수단(600) 즉, 상기 회전판이 레일(220)과 수평인 상태에서 함(100) 전면에 위치한 회전수단(600) 즉, 상기 회전판의 상부 면이 접하도록 레일(220) 측면에 형성되는 제1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멈춤수단(700)은 도 7과 같이, 회전수단(600) 즉, 상기 회전판이 레일(220)과 수평인 상태에서 함(100) 후면에 위치한 회전수단(600) 즉, 상기 회전판의 하부 면이 접하도록 레일(220) 측면에 형성되는 제2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멈춤수단(700)은 함(100)이 전면부(300)에 의하여 폐쇄되는 과정에서 회전수단(600)이 레일(220)과 수평인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사용자는 전면부(300)를 당겨 함(100)으로부터 PCB(400)를 인출할 수 있다. PCB(400)를 회전수단(600)에 배치함으로써 인출된 PCB(400)는 회전수단(600)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전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PCB(400), 회전수단(600)에 배치되는 기타 전자장치들의 교체, 수리 등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 이후, PCB(400) 즉, 회전수단(600)을 함(100)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멈춤수단(700)은 회전수단(600)이 레일(220)과 수평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유물이 회전수단(600)에 의하여 간섭받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회전수단(600)과 멈춤수단(7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이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종래 폴더형의 휴대전화에 적용된 흰지 장치 등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상기 구성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함(100) 내부의 수직부재의 양 측면에 가이드돌기(210)를 형성하고, 이동구멍(221)이 형성된 레일(220)의 이동구멍(221)을 가이드돌기(210)와 체결하여 이동수단(200)을 설치한 후, 이동수단(200)의 레일(220) 전면에 전면부(300)를 설치하고, 이동수단(200)의 각 레일(220) 사이에 PCB(400)를 설치함으로써 조립 완성될 수 있다. 상술한 조립순서는 하나의 예시로서 상술한 조립순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이렇게 결합 완성된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전면부(300)를 당길 경우에 전면부(300)가 함(100)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전면부(300)와 결합된 이동수단(200)의 레일(220)이 전면부(300)와 함께 이동된다.
이때, 레일(220)은 이동구멍(221)에 삽입된 가이드돌기(210)를 따라서 이동되며, 그 레일(220)의 이동에 의해서 각 이동수단(200) 사이에 설치된 PCB(400)가 함(100)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도 1과 같이 전면부(300)부와 PCB(400)는 'ㄱ'자 모양의 상태로 유지되거나, 도 3과 같이 가이드돌기(210)를 축으로 하여 이동구멍(221)을 통해서 레일(220)이 회전하여 '>' 모양의 상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함(100) 내·외부에 구성되는 전자장치의 보수 및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 본 명세서의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사용자가 전면부(300)만을 당기는 것만으로 각 전자장치들을 구동하는 하드웨어들을 간편하게 보수 및 교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유품봉안용 봉안함의 사용자는 사용자의 눈높이 이하에 위치한 유품봉안용 봉안함을 보수 및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면부(300)와 PCB(400)를 'ㄱ'자 모양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유품봉안용 봉안함의 사용자는 사용자의 눈높이와 일치하는 높이에 보수 및 교환하고자 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이 위치할 경우에는 전면부(300)와 PCB(400)의 모양을 '>' 형태로 하여 별도의 사다리 등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보수 및 교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 도 4 내지 6과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함(100) 내부의 수직부재 양 측면에 가이드돌기(210)를 형성하고, 이동구멍(221) 및 회전구멍(223)이 형성된 레일(220)의 이동구멍(221)을 가이드돌기(210)와 체결하여 이동수단(200)을 설치한 후, 이동수단(200)의 회전구멍(223)에 전면부(300)의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230)을 삽입하여 전면부(300)를 설치하고, 이동수단(200)의 각 레일(220) 사이에 PCB(400)를 설치함으로써 조립 완성될 수 있다. 상술한 조립순서는 하나의 예시로서 상술한 조립순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이렇게 결합 완성된 다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전면부(300)를 당길 경우에 전면부(300)가 함(100)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전면부(300)와 결합된 이동수단(200)의 레일(220)이 전면부(300)와 함께 이동되어 PCB(400)가 함(100)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레일(220)은 가이드돌기(210)를 축으로 하여 이동구멍(221)을 통해서 자유회전 되며, 전면부(300)는 회전구멍(223)을 축으로 하여 회전축(230)을 통해서 자유 회전되어, 전면부(300)와 PCB(400)의 모양을 'ㄱ'자 모양, '>' 모양, 및 '1'자 모양의 상태로 변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함(100) 내·외부에 구성되는 전자장치의 보수 및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 본 명세서의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사용자가 전면부(300)만을 당기는 것만으로 각 전자장치들을 구동하는 하드웨어들을 간편하게 보수 및 교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특히 천장과 맞닿은 위치에 있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을 수리할 때에는 전면부(300)를 당겨서 PCB(400)를 노출 시키더라도 천장에 의해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데, 본 발명을 통해서 전면부(300)와 PCB(400)의 모양을 '>' 모양 또는 '1'자 모양의 상태로 변형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작업 공간을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7 내지 8과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함(100) 내부의 수직부재 양 측면에 가이드돌기(210)를 형성하고, 이동구멍(221) 및 회전구멍(223)이 형성된 레일(220)의 이동구멍(221)을 가이드돌기(210)와 체결하여 이동수단(200)을 설치한 후, 이동수단(200)의 회전구멍(223)에 전면부(300)의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230)을 삽입하여 전면부(300)를 설치하고, 이동수단(200)의 각 레일(220) 사이에 회전수단(600)을 통해서 PCB(400)를 설치함으로써 조립 완성될 수 있다. 상술한 조립순서는 하나의 예시로서 상술한 조립순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이렇게 결합 완성된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전면부(300)를 당길 경우에 전면부(300)가 함(100)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전면부(300)와 결합된 이동수단(200)의 레일(220)이 전면부(300)와 함께 이동되어 PCB(400)가 함(100)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레일(220)은 가이드돌기(210)를 축으로 하여 이동구멍(221)을 통해서 자유회전 되며, 전면부(300)는 회전구멍(223)을 축으로 하여 회전축(230)을 통해서 자유 회전되어, 전면부(300)와 PCB(400)의 모양을 'ㄱ'자 모양, '>' 모양, 및 '1'자 모양의 상태로 변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PCB(400)는 회전수단(600)에 의해서 자유롭게 회전되어, 전면부(300)와 PCB(400)의 모양이 'ㄱ'자 모양일 경우에는 PCB(400)가 회전되어 수직인 상태로 회전되면서 PCB(400)의 상부 면이 함(100) 전방을 향하게 되고, '>' 모양일 경우에도 용이한 회전을 통해 PCB(400)의 상부 면이 함(100) 전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1'자 모양일 경우에는 PCB(400)를 수평인 상태로 회전시켜 PCB(400) 상부 면이 함(100) 하부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함(100) 내·외부에 구성되는 전자장치의 보수 및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 본 명세서의 유품봉안용 봉안함은 사용자가 전면부(300)만을 당기는 것만으로 각 전자장치들을 구동하는 하드웨어들을 간편하게 보수 및 교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특히 천장과 맞닿은 위치에 있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을 수리할 때에는 전면부(300)를 당겨서 PCB(400)를 노출 시키더라도 천장에 의해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데, 본 발명을 통해서 전면부(300)와 PCB(400)의 모양을 '>' 모양 또는 '1'자 모양의 상태로 변형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작업 공간을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시선의 높이 이상이고 손이 닿는 높이에 위치한 유품봉안용 봉안함을 수리할 때에 전면부(300)와 PCB(400)의 모양을 '1'자 모양으로 한 후, 회전수단(600)을 통해서 PCB(400)의 상부 면이 함(100)의 하부로 향하도록 한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사다리 등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보수 및 교환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 예들은 멈춤수단(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함(100)이 전면부(300)를 통해서 폐쇄될 경우에 멈춤수단(700)을 통하여 회전수단(600)을 레일(220)과 수평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회수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PCB(400)가 함(100) 내부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회수수단(500) 즉, 탄성부(510)의 복원력에 의해서 탄성부(510)의 다른 한쪽 끝단이 탄성부(510)의 한쪽 끝단이 인입된 함(100)의 내측 면으로 수축되면서 전력선을 끌어당길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력선은 PCB(400) 상부에 잔류할 수 있어 전력선이 각종 회로장치들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이격부(520)를 더 포함함으로써 전력선이 PCB(400)와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여 전력선이 회로장치들에 걸려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격부(520)는 상기 탄성부(510)와 별개로 구성하되 PCB(400)가 이동되는 거리의 중간 부분에 설치하여 실시하여도 무방하고, 상기 회수수단(500)을 대신하여 가이드돌기(210) 및 레일(220)을 전도체로 구성하고, 외부의 전력선이 가이드돌기(210)에 연결되고 PCB(400)가 레일(220)에 전기적으로 연결구성하여 전선의 노출 없이 외부의 전력을 PCB(400)에 공급할 수 있어서 전선이 PCB(400) 등에 걸리는 문제점이 해결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전기안전을 위해서 최소한 상기 레일(22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10)와 접하는 부분인 이동구멍(221)의 안쪽 면만을 전도체로 구성하여도 되며, 상기 가이드돌기(210)의 길이방향으로 등분하여 한쪽은 음극으로 다른 한쪽은 양극으로 외부의 전력선을 연결하고, 상기 이동구멍(221)의 안쪽 면 또한 등분된 가이드돌기(210)와 대응하도록 전도체를 등분하여 구성하거나, 서랍 등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서랍레일을 전도체로 구성하여 상기 이동수단(200)과 별개로 구성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한정한 것일 뿐, 전면부(300)의 안정적인 이동 및 위치고정을 위해서 레일(220)이 이동되는 경로를 돌출시키고, 그 레일(220)의 상·하 부에는 레일가이드(222)를 각각 형성할 수 있고, 가이드돌기(210)를 수평선상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미 도시)하거나, 가이드돌기(210)의 형상을 사각형 등의 직선 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성(미 도시)하는 등의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가이드돌기(210)와 회전축(230)이 이탈할 수도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돌기(210)와 회전축(230) 끝단에 그 가이드돌기(210) 및 회전축(23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돌기를 추가 구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 함
200 : 이동수단
210 : 가이드돌기
220 : 레일
221 : 이동구멍
222 : 가이드
223 : 회전구멍
224 : 이탈방지홈
230 : 회전축
300 : 전면부
400 : PCB
500 : 회수수단
510 : 탄성부
520 : 이격부
600 : 회전수단
700 : 멈춤수단

Claims (9)

  1. 유품을 봉안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유품이 보관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전면에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함;
    상기 함의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상기 함에 설치되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20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부; 및
    상기 이동수단 또는 상기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면부와 함께 이동하는 PCB를 포함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의 내면에 배치되며, 외부에서부터 상기 PCB와 연결된 전력선을 인출 및 회수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회수수단을 더 포함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와 마주하는 상기 함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선이 상기 PCB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이동수단에 배치되며, 상기 PCB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이동수단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PCB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멈춤수단을 더 포함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함의 내부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이동구멍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220)을 포함하되,
    상기 레일은 상기 이동구멍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돌기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가능하며,
    상기 전면부는 상기 레일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기 한쪽 끝단에는 회전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구멍과 대응하는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는 상기 회전구멍과 상기 회전축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레일의 상기 한쪽 끝단에 설치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
  8.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PCB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되는 상기 유물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경유하여 외부로 보여지되,
    상기 PCB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투명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투과하여 상기 유품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과 함께 상기 유품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만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
  9.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유물의 보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PCB에 제공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유품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유품의 하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납홀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납홀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유물의 보관 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상기 수납홀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유물의 보관 여부를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유물은 상기 수납홀에 의하여 지지가 됨으로써 상기 전면부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함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넘어지지 아니하는 유품봉안용 봉안함.
KR1020160122017A 2016-09-23 2016-09-23 유품봉안용 봉안함 KR101909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017A KR101909457B1 (ko) 2016-09-23 2016-09-23 유품봉안용 봉안함
PCT/KR2016/013551 WO2018056512A1 (ko) 2016-09-23 2016-11-23 유품봉안용 봉안함
JP2016228190A JP6493767B2 (ja) 2016-09-23 2016-11-24 遺品奉安用奉安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017A KR101909457B1 (ko) 2016-09-23 2016-09-23 유품봉안용 봉안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50A true KR20180032850A (ko) 2018-04-02
KR101909457B1 KR101909457B1 (ko) 2018-10-18

Family

ID=6168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017A KR101909457B1 (ko) 2016-09-23 2016-09-23 유품봉안용 봉안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93767B2 (ko)
KR (1) KR101909457B1 (ko)
WO (1) WO20180565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316B1 (ko) * 2021-11-04 2022-06-30 주식회사 정완컴퍼니 홀로그램 시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3684A (zh) * 2018-06-28 2018-10-12 江西顾特乐精藏科技有限公司 一种隐藏骨灰盒又能存放物品的存放架
KR102176137B1 (ko) * 2018-11-14 2020-11-09 주식회사 건우 봉안함 안치단 라이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994U (ko) * 1997-12-16 1999-07-05 전주범 Pcb기판 고정용 프레임의 회전구조.
KR100903806B1 (ko) * 2008-11-26 2009-06-25 주식회사 부평휴먼텍 슬라이드 방식의 영정을 구비한 납골함
KR20100050269A (ko) * 2008-11-05 2010-05-13 야마이아 주식회사 물품자동관리가 가능한 자동화 미니바 시스템
KR20150136831A (ko) * 2014-05-28 2015-12-08 (주)브이지시스텍 납골함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337U (ja) * 1983-06-23 1985-01-16 鷲尾 邦夫 植木用防犯装置
JPH0757160A (ja) * 1993-08-12 1995-03-03 Hochiki Corp 無線式盗難警報装置
JP3109745U (ja) * 2004-12-20 2005-06-02 有限会社 グラフィック ケイ 収納ケース
SG171500A1 (en) * 2009-12-04 2011-06-29 Shi Mi Ltd Structure with light for illuminating funerary urns housed therein
KR101831614B1 (ko) * 2010-01-28 2018-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TWM433165U (en) * 2011-05-27 2012-07-11 Xi Fang Improved tower case body structure
KR101627240B1 (ko) * 2015-04-09 2016-06-03 이용백 인터렉티브 투명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납골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994U (ko) * 1997-12-16 1999-07-05 전주범 Pcb기판 고정용 프레임의 회전구조.
KR20100050269A (ko) * 2008-11-05 2010-05-13 야마이아 주식회사 물품자동관리가 가능한 자동화 미니바 시스템
KR100903806B1 (ko) * 2008-11-26 2009-06-25 주식회사 부평휴먼텍 슬라이드 방식의 영정을 구비한 납골함
KR20150136831A (ko) * 2014-05-28 2015-12-08 (주)브이지시스텍 납골함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316B1 (ko) * 2021-11-04 2022-06-30 주식회사 정완컴퍼니 홀로그램 시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457B1 (ko) 2018-10-18
WO2018056512A1 (ko) 2018-03-29
JP2018047215A (ja) 2018-03-29
JP6493767B2 (ja)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457B1 (ko) 유품봉안용 봉안함
KR10221119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EP2971853B1 (en) Window covering motorized lift and control system motor and operation
US2014026407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nitizer
CN106983877A (zh) 消毒装置和用于移动设备的多工位消毒装置
JP2006285593A (ja) 可動コンソール装置
CN110103840B (zh) 显示器支架
JP6147072B2 (ja) 建具閉め装置および建具閉め装置の制御方法
JP2016079579A (ja) 建具
CN110090078A (zh) 医疗设备及其监护仪和医用物件收纳箱
KR101896369B1 (ko) 도어핸들 인출장치
JP6936899B2 (ja) 冷蔵庫
CN209566671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盖章设备及其盖章组件
CN107113011A (zh) 电气设备
CN211443278U (zh) 一种带自动闭合功能的遮光药盒
KR101486323B1 (ko) 교정시설용 도어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KR101687483B1 (ko) 단말기 거치대
JP6936583B2 (ja) 配線の収容構造
KR200483007Y1 (ko) 침대용 헤드
JP5115486B2 (ja) 壁取り付け型機器
JP6566540B2 (ja) オフィス収納
KR102179073B1 (ko)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
WO2016104247A1 (ja) 冷蔵庫の扉構造
JP3113967U (ja) キャビネット用シャッター装置
KR102720017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