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663A - 경화성 조성물 및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 - Google Patents

경화성 조성물 및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663A
KR20180032663A KR1020187007737A KR20187007737A KR20180032663A KR 20180032663 A KR20180032663 A KR 20180032663A KR 1020187007737 A KR1020187007737 A KR 1020187007737A KR 20187007737 A KR20187007737 A KR 20187007737A KR 20180032663 A KR20180032663 A KR 20180032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spherical filler
polymerizable monomer
particle diameter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노부 아키주미
치카 토리야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덴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덴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덴탈
Publication of KR2018003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663A/ko

Links

Classifications

    • A61K6/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50Prepa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root treatment
    • A61K6/54Filling; Sealing
    • A61K6/024
    • A61K6/06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02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ceramics
    • A61K6/818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ceramics comprising zirconium 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9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inorganic cements
    • A61K6/853Silic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61K6/887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15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A61K6/16Refractive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동의 수복 작업성이 양호한 동시에, 형성되는 경화체의 외관이 자연 치아와 조화를 이루는 한편, 자연 치아와의 조화가 계속되는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합성 단량체 성분(A), 평균 입자 지름이 230 nm~1000 nm 범위 내에 있는 구형 필러(B) 및 중합 개시제(C)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로서, 두께 1 mm의 경화체를 형성한 상태로, 각각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흑색 배경 하에서의 착색광의 먼셀 표색계에 의한 측색값의 명도(V)가 5 미만이며, 채도(C)가 0.05 이상이면서, 백색 배경 하에서의 착색광의 먼셀 표색계에 의한 측색값의 명도(V)가 6 이상이며, 채도(C)가 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화성 조성물 및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
본 발명은,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과용 재료, 잉크, 필름, 건축 재료 등의 용도로 유용하고, 그 중에서도 치과용 재료로서 유용한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염료나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 외관 색조를 제어할 수 있는 한편, 퇴색이나 변색이 적은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편성 및 심미성이 뛰어난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로서 유용한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치과용 재료, 기록 재료, 건축 재료 등 각종 분야에 있어, 중합성 단량체와, 무기 또는 유기의 필러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 분야에 있어서, 경화성 조성물은, 자연 치아색과 동등한 색조를 부여할 수 있는 점이나 조작이 용이한 점에서, 우식이나 파절(破折) 등에 의해 손상을 받은 치아의 수복을 하기 위한 재료로서 급속히 보급되어, 최근에는, 기계적 강도의 향상이나, 치아와의 접착력 향상으로부터, 앞니부의 수복뿐 아니라, 높은 교합압이 가해지는 어금니부에 대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은, 경화 심도(深度)가 뛰어난 광중합용 복합 조성물로서, 중합 가능한 비닐 모노머; 그 중합체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무기산화물로서, 입자 지름 0.1~1.0 ㎛의 입자를 포함하는 무기산화물; 가시광에 의해 광중합을 시작할 수 있는 촉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2는, 적당한 반투명도를 갖는 경화물을 얻을 수 있는 한편, 경화 심도가 뛰어난 광중합용 복합 조성물로서, 중합 가능한 비닐 모노머; 그 중합체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필러; 관련 중합체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필러; 가시광에 의해 광중합을 시작할 수 있는 촉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및 2의 조성물 등 종래의 경화성 조성물의 색조 조정에는, 안료 물질, 염료 물질 등이 이용되고 있고, 색조가 상이한 안료 물질, 염료 물질 등의 배합 비율을 변경하여 각종 색조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안료 물질 및 염료 물질에 의한 착색은 경년 열화에 의해 퇴색 또는 변색되는 경향이 있다.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에 있어서는, 안료 물질, 염료 물질 등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은, 수복 직후에는 높은 색조 적합성을 나타내지만, 수복 후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색되어, 수복 부위의 외관이 자연 치아로 적합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많이 발생했다.
이에 대해, 안료 물질, 염료 물질 등을 이용하지 않고 착색 가능한 구조물로서, 광의 간섭, 회절, 굴절, 산란 등에 의해 발현하는 구조색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물질의 색(색의 발현)은, 어떤 파장의 광이 흡수되면, 그 이외의 광이 반사ㆍ투과되고, 그 반사광이 가시광의 파장이면, 그것을 색으로 느끼는 것에 의한 것이다. 이 발색(색채)은, 일반적으로는 천연 또는 인공 염료나 안료에 의한 발색으로, 광과 물체 사이에 에너지의 교환이 있는 발색이다. 한편, 염료나 안료에 의하지 않고, 광 에너지의 교환없이, 광의 물리적인 성질에 의해서만 발현되는 색이 있다. 이것이 구조색이다. 비슷한 용어로 「간섭색」이 있지만, 간섭색은 구조색의 일종이다. 구조색은, 광의 회절, 굴절, 간섭, 산란 등에 의해 발현한다. 예를 들어, 안경의 코팅 등에 의한 박막 간섭, 박막을 다층 구성으로 한 다층막 간섭, 회절 격자, 포토닉(photonic) 결정 등에 있어서 구조색이 발현한다. 이들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규칙적인 구조를 갖는 것이지만, 규칙 구조가 아닌, 예를 들어, 모재에 분산된 미립자에 의한 산란에 의해서도 구조색은 발현한다(이상, 구조색에 대하여, 비특허 문헌 1~4 참조).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은, 광의 간섭에 의한 착색광을 발현하는 기록물로서, 피기록재의 발액성 면 상에 고체 미립자가 응집 배열되어 규칙적 주기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장소를 갖는 기록물에 있어서, 발액성 면의 표준 색표 명도가 6 이하이면서, 채도가 8 이하인 흑색 또는 암색인 기록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4는, 착색 염안료 등을 이용하지 않는, 구조색으로서 유채광색을 눈으로 느끼게 하는 컬러 시트로서, 컬러 발색 기재 시트 상에, 흑색계 무채색이면서, 체적 기준으로 나타내는 평균 입자 지름(d)=100~500 nm의 범위에 있는 유기 또는 무기 구형 입자가 규칙적으로 정렬되어 입자상 적층물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컬러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광의 간섭, 회절, 굴절, 산란 등을 이용한 구조색에 의한 발색은, 안료 물질, 염료 물질 등을 이용할 경우에 나타나는 퇴색이나 변색 현상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최근,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의 분야에서는, 교합의 회복뿐 아니라, 자연스러운 치아로 보이는 것과 같은 심미적 수복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단순히 동등한 색조뿐 아니라, 치아의 여러가지 수복 장소의 투명성이나 색조를 재현할 수 있고, 게다가, 경년 열화가 적은 수복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이 점에서, 특허 문헌 1 및 2의 조성물은 모두, 필러의 입자 지름 분포나, 매트릭스인 중합체 및 필러간의 굴절률 관계가 최적화되어 있지 않고, 구조색에 의한 발색을 반드시 얻지 못하고, 안료 등을 이용하여 착색하고 있었으므로, 경년 열화에 의한 퇴색이나 변색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특허 문헌 5는, 높은 심미성을 갖는 한편, 조절 가능한 반투명성 및 높은 유광성(乳光性)을 갖는 경화성 치과 재료로서, 굴절률<1.45인 모노머; 굴절률<1.45인 유광성 충전제; 다른 통상적인 충전제 또는 충전제 혼합물; 중합 개시제, 안정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경화성 치과 재료로서, 모노머와 유광성 충전제의 굴절률 차가 ≤0.04이며, 유광성 충전제의 평균 입자 크기가 230 nm±50 nm인 경화성 치과 재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5의 재료에서는, 모노머의 중합체 및 유광성 충전제 사이의 굴절률 관계가 최적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구조색에 의한 발색이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고, 게다가, 평균 입자 크기의 범위가 유광성을 발현하는 범위에 한정되고 있어, 치아의 다양한 수복 장소의 투명성이나 색조를 재현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 특허 문헌 6은, 오팔 효과(광물인 오팔과 동일한 특이적 광산란 현상)를 발현하여, 뛰어난 심미성을 얻을 수 있는 치과용 복합 수복 재료로서, (A) 중합성 단량체, (B) 평균 입자 지름이 0.1~0.5 ㎛의 범위이며, 입자 지름 분포의 표준 편차값이 1.30 이내인 구형 실리카계 입자, (C) 이 실리카계 입자를 유기 수지 매트릭스 중에 분산시킨 유기 무기 복합 필러, 및 (D)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구형 실리카계 입자와 중합성 단량체의 중합체의 굴절률 차가 0.1 이하이며, 유기 무기 복합 필러와 중합성 단량체의 중합체의 굴절률 차가 0.1 이하인 치과용 복합 수복 재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6에 있어서, 오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실질적으로, 중합체의 굴절률이, 구형 실리카계 입자 및 유기 무기 복합 필러의 굴절률보다 큰 경우에 한정되고, 게다가, 오팔 효과는 청색계 색을 발현하는 것이다. 청색계 색의 치과용 복합 수복 재료는, 치아의 절단부의 수복용으로는 적합하지만, 특히 황색~적색계의 상아질색의 색상을 재현할 필요가 있는 치경부 등의 수복에는, 반드시 적합하지는 않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6의 재료에서는, 중합체 및 필러 사이의 굴절률 관계를 최적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치아의 다양한 수복 장소의 색조를 재현하는 것은 어렵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 수복 재료에는, 다양한 치료 부위의 치아의 색조를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이 요구된다. 자연 치아의 치관부는, 상아질 및 에나멜질로 이루어지고, 각 부위에서 색조(색상, 채도, 명도)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절단부는 상아질층이 얇고 거의 에나멜질로 되기 때문에 투명성이 높고, 청색계의 색상을 띠고 있다. 반대로 치경부는 심층의 상아질층이 두껍기 때문에, 불투명하고, 절단부와 비교하여 명도(색의 농담), 채도(색의 선명함)가 높고, 그 상아질색의 황색~적색계의 색상을 띠고 있다. 즉, 심층의 상아질층이 두꺼운 치경부로부터, 그 상아질층의 얇은 절단부의 방향으로 채도 및 명도가 저하되고, 또한, 거의 에나멜질만으로 이루어지는 절단부에서는 색상은 청색계를 띠지만, 기타 부분에서는 심층의 상아질층의 색상을 반영하여 황색~적색계를 띠고 있다. 이와 같이, 치아는 부위에 따라 색조가 상이하므로, 치아의 수복에 있어서, 높은 심미성을 얻으려면, 색조가 각각 상이한 복수종의 수복용 경화성 페이스트를 준비하고, 이 중에서, 실제의 수복 치아 및 그 인접 치아(이하, 「수복 치아의 주변」이라고도 한다)와 색조가 가장 잘 적합한 것을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해진다(비특허 문헌 5).
이러한 색조의 선정은, 치과 의사가 준비된 경화성 페이스트의 각 경화체 샘플이 모인 셰이드 가이드(shade guide)(색견본)를 이용하여 각각의 색조와, 구강 내를 들여다 보아 확인되는 수복 치아의 주변의 색조를 비교하여, 가장 가깝게 느껴지는 것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수복 치아의 손상이 가볍고, 와동(窩洞)이 얕은 경우가 아니면, 상기 색조의 적합을, 단일종의 경화성 페이스트의 충전으로 실현하는 것은 어려워진다. 즉, 와동이 깊으면(예를 들어, 4급 와동 등), 치아의 색조는, 단순히 치면부(에나멜질 부분)의 색조뿐 아니라, 비쳐 보이는 심층부(상아질 부분)까지의 색조도 융합하여 그라데이션이 풍부한 상태로 관찰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깊이마다, 충전하는 경화성 페이스트의 색조를 바꾸어 적층 충전하여, 이 미묘한 색조를 재현하고 있다. 통상적으로는, 최심부로부터, 상아질 부분의 색조를 재현한 상아질 수복용 복수종의 경화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적층하고(통상적으로는, 층마다 경화시키면서 적층해 간다), 마지막 표층부에, 에나멜질 수복용 경화성 페이스트를 적층함으로써 실시되고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5 및 6 참조).
이와 같이, 치아의 색조에는 개인차 및 부위차가 있기 때문에, 이들을 고려하여 색조를 엄격하게 컨트롤한 경화성 페이스트를 구비하는 것은, 경화성 페이스트 수가 방대해져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특히, 심층면에 상아질부가 위치하는 와동의 수복에서는, 명도 및 채도가 높고, 색상도 황색~적색계(많게는 적황색 내지 적갈색의 적색계)를 띠고, 그 개인차 및 부위차에 의한 변화가 크기 때문에, 상기 색조의 엄격한 컨트롤이 한층 어려웠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62-86003호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63-218703호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239661호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4-276492호 특허 문헌 5 : 일본 특허공표공보 2007-532518호 특허 문헌 6 : 국제 공개공보 제2011/158742호
비특허 문헌 1 : 시노다 히로유키, 후지에다 이치로 공저 「색채 공학 입문」, 모리키타 출판 주식회사, 2007년 5월 1일 제 1쇄 발행, pp. 73~78 비특허 문헌 2 : 사이토 카츠히로 공저 「광과 색채의 과학」, 주식회사 코단샤, 2010년 10월 20일 제 1쇄 발행, pp. 118~139 비특허 문헌 3 : 일본 색채 학회 편찬, 「신편 색채 과학 핸드북(제3판)」, 도쿄 대학 출판회, 2011년 4월 발행, pp. 1130~1181 비특허 문헌 4 : JIS Z8102, Z8110 비특허 문헌 5 : 마츠무라 히데오, 다가미 준지 감수, 「접착 YEARBOOK 2006」, 제1판, Quintessence출판 주식회사, 2006년 8월 발행, pp. 129-137 비특허 문헌 6 : 미야자키 신지 저술, 「컴포지트 레진 수복의 사이언스 & 테크닉」, 제1판, Quintessence출판 주식회사, 2010년 1월 발행, pp. 48-49
광의 간섭, 회절, 굴절, 산란 등에 의한 구조색에 의해 착색한 광을 이용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의한 치아의 수복에는, 안료 등의 착색 물질을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치아의 수복에 있어서, 개체차 또는 수복 장소에 따라 농담이 있는 자연 치아의 색조에 대해, 가능한 한 적은 색종으로 적합 가능한 경화성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동, 특히, 심층에 상아질부를 포함하는 와동에 있어서 그 수복 작업성이 양호한 동시에, 형성되는 경화체의 외관이 자연 치아와 조화를 이루는 한편, 자연 치아와의 조화가 장기에 걸쳐 계속되는 경화성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열심히 연구를 계속해 왔다. 그 결과, 경화체를 형성한 상태에 있어서, 흑색 배경 하에서는 적색계의 색상으로 발색하고, 백색 배경 하에서는 유색광을 발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백색인, 특이한 색조 거동을 발현하는 경화성 조성물은, 자연 치아에 대해 뛰어난 색조 적합성을 갖고 있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중합성 단량체 성분(A), 평균 입자 지름이 230 nm~1000 nm 범위 내에 있는 구형 필러(B) 및 중합 개시제(C)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두께 1 mm의 경화체를 형성한 상태로, 각각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흑색 배경 하에서의 착색광의 먼셀 표색계에 의한 측색값의 명도(V)가 5 미만이며, 채도(C)가 0.05 이상이면서, 백색 배경 하에서의 착색광의 먼셀 표색계에 의한 측색값의 명도(V)가 6 이상이며, 채도(C)가 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구형 필러(B)로서, 구성하는 각각의 입자 중 90% 이상이 평균 입자 지름 전후의 5% 범위 내에 존재하는 입도 분포를 갖는 것을 선택하는 한편,
상기 중합성 단량체 성분(A) 및 구형 필러(B)로서, 하기 식(1):
nP<nF (1)
(상기 식 중, nP는, 상기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의 25℃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F는, 상기 구형 필러(B)의 25℃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조건(X1)을 만족하는 것을 각각 선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자연 치아에 대해 한층 뛰어난 색조 적합성을 갖기 위해서, 상기 구형 필러(B)의 굴절률 nF(25℃)와 상기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의 중합체의 굴절률 nP(25℃)의 차는, 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5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중합성 단량체 성분(A)으로서 복수종의(메타) 아크릴 화합물을 포함하고,상기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의 굴절률(25℃)은 1.38~1.55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구형 필러(B)는 구형의 실리카ㆍ티타늄족 산화물계 복합 산화물 입자이며, 그 굴절률(25℃)은 1.45~1.58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는, 상기 경화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에 있어서, 상기 구형 필러(B)의 평균 입자 지름은 230 nm~500 nm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는, 심층면에 상아질부가 위치하는 와동의 수복용으로 바람직하다.
상기 구형 필러(B)의 평균 입자 지름은 260 nm~350 nm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는, 상아질부가 적갈색계의 색조부인 와동의 수복용으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는, 치아의 수복에 있어서, 와동의 수복 작업성이 양호한 동시에, 형성되는 경화체의 외관이 자연 치아와 조화를 이루면서, 자연 치아와의 조화가 장기에 걸쳐 계속되는 수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중합성 단량체(A), 평균 입자 지름이 230 n~1000 nm 범위 내에 있는 구형 필러(B) 및 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두께 1 mm의 경화체를 형성한 상태로, 각각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흑색 배경(먼셀 표색계에 의한 명도가 1인 바탕) 하에서의 착색광의 먼셀 표색계에 의한 측색값의 명도(V)가 5 미만이며, 채도(C)가 0.05 이상이면서, 백색 배경(먼셀 표색계에 의한 명도가 9.5인 바탕) 하에서의 착색광의 먼셀 표색계에 의한 측색값의 명도(V)가 6 이상이며, 채도(C)가 2 미만인, 특이한 색조 거동을 갖고 있다. 흑색 배경 하에서의 착색광의 명도(V)는,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흑색 배경 하에서의 착색광의 채도(C)는, 0.0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9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백색 배경 하에서의 착색광의 명도(V)는, 6.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백색 배경 하에서의 착색광의 채도(C)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되는 구형 필러(B)의 평균 입자 지름이 230 nm~1000 nm인 점에서, 흑색 배경 하에서의 착색광은 황색~적색계이며, 구체적으로는, 착색광을 먼셀 표색계로 측정한 측색값의 색상(H)은, 0 P 이상 10 P 미만, 0 RP 이상 10 RP 미만, 0 R 이상 10 R 미만, 0 YR 이상 10 YR 미만, 0 Y 이상 10 Y 미만, 0 GY 이상 10 GY 미만의 범위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0 P 이상 10 P 미만, 0 RP 이상 10 RP 미만, 0 R 이상 10 R 미만, 0 YR 이상 10 YR 미만, 0 Y 이상 10 Y 미만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 RP 이상 10 RP 미만, 0 R 이상 10 R 미만, 0 YR 이상 10 YR 미만, 0 Y 이상 10 Y 미만의 범위이다.
이러한 흑색 배경 하에서 적색계의 색상이 되는 성질과 상태에 대해서는, 경화체 주변이 적색계를 나타낸 환경 하이면, 그 환경이 적황색 내지 적갈색으로 다양하게 변화해도, 명도, 채도 및 색상 모두가 양호하게 조화를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배경(바탕 환경)의 색도(색상 및 채도)가 높은 경우에는, 조사광 등의 외광이 고색도의 배경에 의해 흡수되고, 경화체로부터의 착색광 이외의 광이 억제되기 때문에, 착색광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배경(바탕 환경)의 치아의 색도가 낮은 경우에는, 조사광 등의 외광이 저색도의 배경에서 산란되고, 그 산란광이 경화체로부터 발생하는 착색광보다 강하기 때문에, 착색광이 사라지고, 약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체에 있어서는, 색도가 높은 바탕 환경에 대해서는, 강한 착색광이 발생하고, 색도가 낮은 바탕 환경에 대해서는, 약한 착색광이 발생하므로, 적색계의 다양한 주변 환경에 대하여 폭넓게 조화를 이루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러한 특이한 색조 거동을 발현하는 경화성 조성물은, 아래에 설명하는, 특정 평균 입자 지름을 갖는 한편, 입도 분포가 좁은 구형 필러(B)를 이용하는 것, 및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의 중합체 및 구형 필러(B) 사이의 굴절률 관계를 하기 식(1):
nP<nF (1)
(상기 식 중, nP는,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의 25℃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F는, 구형 필러(B)의 25℃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조건(X1)을 만족하도록 선택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구형 필러(B)의 평균 입자 지름이 230 nm~1000 nm이면서, 구형 필러(B)를 구성하는 각각의 입자의 90%(개수 기준) 이상이 평균 입자 지름 전후의 5%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구형 필러(B)는, 다수의 1차 입자로 구성되어 있고, 그 다수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 전후의 5% 범위(평균 입자 지름의 값을 100%로 하여, 그 수치의 ±5%의 입자 지름 범위)에, 1차 입자의 총 개수 중 90% 이상의 개수의 1차 입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비율은, 91% 이상이 바람직하고, 93%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간섭, 회절, 굴절, 산란 등 (이하, 단순히 「간섭, 산란 등」이라고 한다)에 의해 발현하는 구조색을 나타내는 착색광은, 브래그 조건(Bragg condition)에 준거하여 회절ㆍ간섭이 일어나 특정 파장의 광이 강조되거나, 특정 파장의 광 이외의 광이 산란되어 특정 파장의 광만이 반사되는 것에 의해 발현하는 것으로, 상기 평균 입자 지름 및 입도 분포를 갖는 구형 필러를 배합하면, 그 평균 입자 지름에 따라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체에는, 황색~적색계의 착색광이 발현한다. 해당 간섭, 산란 등에 의한 착색광의 발현 효과를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구형 필러의 평균 입자 지름은 230~800 nm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30~500 nm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60 nm~350 nm 범위 내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230 nm보다 작은 평균 입자 지름의 구형 필러를 이용할 경우, 착색이 청색계가 되어, 상아질의 색조에 대해 조화를 이루지 않는다. 또한 평균 입자 지름이 100 nm보다 작은 구형 필러를 이용할 경우에는, 구조색이 발생하기 어렵다. 한편, 평균 입자 지름이 1000 nm보다 큰 구형 필러를 이용할 경우에는, 광의 간섭, 산란 등의 발현은 기대할 수 있지만, 구형 필러의 침강이나 연마성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구형 필러(B)의 230 nm~1000 nm의 평균 입자 지름에 따라, 황색~적색계의 착색광을 발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치관에 있어서, 절단부 이외의 대부분의 수복 와동의 심층부에는 상아질이 위치하고 있고, 그 상아질은 그 명도 및 채도가 높고, 색상이 황색~적색계(특히 적황색 내지 적갈색의 적색계)이며, 또한, 그 개인차 및 부위차에 따른 변화가 크다. 그러므로, 종래, 이러한 심층면이 상아질부에 위치하는 와동을 수복하는 경우, 색조를 적합시키는 것이 특히 어려웠다. 그리고, 수복 와동의 심층부란, 수복 와동의 와저부, 및 에나멜질이 위치하는 표층부로부터 아래쪽의 측벽부를 의미한다. 이것에 대해, 상기 평균 입자 지름 및 입도 분포를 갖는 구형 필러(B)가 배합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하면, 상기 황색~적색계의 구조색이 발색하여, 배경의 상아질의 색조와 양호하게 조화를 이루고, 수복 후에 치아와의 적합성이 뛰어난 수복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평균 입자 지름 150 nm 이상~230 nm 미만 범위의 구형 필러를 이용할 경우, 얻어지는 착색광은 청색계이며, 상기 심층부의 상아질면의 색조에는 조화를 이루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원의 경화성 조성물에 의하면, 광의 간섭, 산란 등에 의한 착색광을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고, 염료 물질, 안료 물질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자연 치아에 가까운 외관의 수복 부위를 형성 가능한 충전 수복 재료를 얻을 수 있다. 구조색이 광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부분에서는, 구형 필러의 입자 지름과 광의 간섭 현상의 관계는, 브래그 회절 조건에 따른다고 생각된다.
자연 치아의 색조에는 개인차가 있고, 수복하는 부위에 따라서도 색조가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광의 간섭, 산란 등의 현상을 이용한 경화성 조성물은 여러가지 색조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경(바탕)인 치아의 색도(색상 및 채도)가 높은 경우에는, 조사광 등의 외광이 고색도의 배경에 의해 흡수되어, 광의 간섭, 산란 등의 현상을 이용한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체로부터 발생하는 착색광(간섭광, 산란 반사광 등) 이외의 광이 억제되기 때문에, 착색광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배경(바탕)인 치아의 색도가 낮은 경우에는, 조사광 등의 외광이 저색도의 배경에서 산란되고, 그 산란광이, 광의 간섭, 산란 등의 현상을 이용한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체로부터 발생하는 착색광(간섭광, 산란 반사광 등)보다 강하기 때문에, 착색광이 없어져 약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색도가 높은 자연 치아에 대해서는, 강한 착색광이 발생하고, 색도가 낮은 자연 치아에 대해서는, 약한 착색광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1종의 페이스트로 커버할 수 있는 색조의 범위가 넓어, 종래보다 적은 색종의 페이스트로 폭넓은 색조 적합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은 색종의 페이스트로 색도의 고저에 의하지 않고 자연 치아와 색조를 적합시키는 것은, 안료 등의 착색 물질의 배합에 의해 조정되는 종래의 페이스트로 달성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간섭, 산란 등의 현상에 의해 착색광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지만, 그 착색광의 발생 여부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흑색 배경 하 및 백색 배경 하의 양쪽 조건으로 분광 반사율 특성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흑색 배경 하에서는,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착색광에 따른 특유의 반사 가시 스펙트럼이 명료하게 확인되지만, 백색 배경 하에서는, 가시광(380-780 nm)의 실질적인 전체 범위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반사율을 나타내고, 특정 반사 가시 스펙트럼은 확인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무색이다. 이것은, 흑색 배경 하에 있어서는, 외광(예를 들어 C광원, D65 광원 등)이 흡수 또는 차광되어 간섭, 산란 등에 의한 착색광이 강조되고, 반면, 백색 배경 하에 있어서는, 외광의 산란광이 강하기 때문에 간섭, 산란 등에 의한 착색광이 관찰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발현시키는데 있어서는, 중합성 단량체 성분의 중합체의 굴절률 nP와 구형 필러의 굴절률 nF의 관계가 식(1):
nP<nF (1)
로 나타나는 조건(X1)을 만족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중합성 단량체 성분의 중합체 및 구형 필러의 굴절률 관계가 nP<nF이다. 구형 필러의 굴절률이 높고, 매트릭스인 중합체의 굴절률이 낮은 경우, 간섭, 산란 등에 의한 착색광이 강하게 발현되지만, 반대의 경우, 단파장의 광이 간섭ㆍ산란되기 쉬워져, 얻어지는 착색광은 단파장화되어 청색을 띤 것이 되고, 여러가지 색조의 수복 장소에 대한 색조 적합성이 나빠지기 쉽다.
이하,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중합성 단량체 성분(A)>
중합성 단량체 성분으로는, 공지된 것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치과 용도로 보았을 경우, 중합 속도의 관점에서, 라디칼 중합성, 혹은 양이온 중합성의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는 (메타) 아크릴 화합물이다. (메타) 아크릴 화합물로는, 아래에 예시하는 (메타) 아크릴레이트류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양이온 중합성 단량체로는, 에폭시류 및 옥세탄류를 들 수 있다.
(메타) 아크릴레이트류로서,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면, 하기 (가)~(다)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가) 2 관능 중합성 단량체
(i) 방향족 화합물계인 것
2, 2-비스(메타크릴로일옥시페닐) 프로판,
2, 2-비스[(3-메타크릴로일옥시-2-하이드록시 프로필 옥시) 페닐]프로판,
2, 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페닐) 프로판,
2, 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폴리에톡시페닐) 프로판,
2, 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디에톡시페닐) 프로판,
2, 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테트라에톡시페닐) 프로판,
2, 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펜타에톡시페닐) 프로판,
2, 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디프로폭시페닐) 프로판,
2(4-메타크릴로일옥시디에톡시페닐)-2(4-메타크릴로일옥시트리에톡시페닐) 프로판,
2(4-메타크릴로일옥시디프로폭시페닐)-2-(4-메타크릴로일옥시트리에톡시페닐) 프로판,
2, 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폭시페닐) 프로판,
2, 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이소프로폭시페닐) 프로판
및 이들의 메타크릴레이트에 대응하는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클로로-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 혹은 이들 메타크릴레이트에 대응하는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OH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와,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벤젠, 4, 4'-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기를 갖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부가로부터 얻어지는 디어덕트(diadduct) 등.
(ii) 지방족 화합물계인 것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 3-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 4-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 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크릴레이트에 대응하는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클로로-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 혹은 이들 메타크릴레이트에 대응하는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OH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시클로 헥산,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시클로 헥실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부가체로부터 얻어지는 디어덕트, 예를 들어, 1, 6-비스(메타크릴에틸옥시카보닐아미노) 트리메틸 헥산;
1, 2-비스(3-메타크릴로일옥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 에틸 등.
(나) 3 관능 중합성 단량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에탄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메탄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 메타크릴레이트에 대응하는 아크릴레이트 등.
(다) 4 관능 중합성 단량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아크릴레이트;및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벤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시클로 헥산,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시클로 헥실 이소시아네이트),
4, 4-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2, 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글리시돌디메타크릴레이트의 부가체로부터 얻어지는 디어덕트 등.
이들 다관능의(메타)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성 단량체는, 필요에 따라 복수 종류의 것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 하이드로 푸르프릴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 메타크릴레이트에 대응하는 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의 (메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나, 상기 (메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이외의 중합성 단량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성 단량체 성분(A)으로는, 경화체의 물성(기계적 특성이나 치아질에 대한 접착성) 조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복수종의 중합성 단량체가 사용되지만, 이 때, 성분(A)의 굴절률이 1.38~1.55의 범위 내가 되도록, 중합성 단량체의 종류 및 배합 비율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성분(A)의 굴절률을 1.38~1.55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중합성 단량체 성분(A)로부터 얻어지는 중합체의 굴절률 nP를, 대략 1.40~1.57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합성 단량체를 복수 종류 이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의 굴절률은, 복수종의 중합성 단량체의 혼합물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 내에 들어가 있으면 되고, 각각의 중합성 단량체의 굴절률은 반드시 상기 범위 내에 들어가 있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중합성 단량체 및 그 중합체의 굴절률은, 25℃에서 아베 굴절률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구형 필러(B)>
일반적인 경화성 조성물에는, 무기 분체나 유기 분체 등의 각종 충전재가 함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는, 간섭, 산란 등에 의한 착색광을 발현시키는 목적으로, 평균 입자 지름이 230~1000 nm인 구형 필러(B)가 배합된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구성하는 충전재가 구형이면서, 입자 지름 분포가 좁은 점이다. 간섭에 의한 착색광은, 구성하는 입자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집적된 부분에서 발생하고, 산란에 의한 착색광은, 구성하는 입자가 무질서하게 분산된 부분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구형 필러(B)는, 구형이면서, 입자 지름 분포가 좁기 때문에, 간섭, 산란 등에 의한 착색광이 발생한다. 한편, 분쇄 등에 의해 제조되는 부정형 입자를 이용할 경우, 입자 지름 분포가 넓고, 형상도 불균일하기 때문에, 규칙적으로 집적되지 않아, 착색광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구 「구형 필러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집적되어 있다」는, 구형 필러가, 중합성 단량체 성분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일정한 질서가 있는 등방적인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구형 필러(B)로는, 하기 평균 입자 지름 및 입자 지름 분포의 요건을 만족하는 한, 치과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인 경화성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비정질 실리카, 실리카ㆍ티타늄족 산화물계 복합 산화물 입자(실리카ㆍ지르코니아, 실리카ㆍ티타니아 등), 석영, 알루미나, 바륨 유리,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란타노이드, 콜로이달 실리카 등의 무기 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분체나 유기 무기 복합 분체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굴절률의 조정이 용이한 점에서, 실리카ㆍ티타늄족 산화물계 복합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형 필러(B)의 평균 입자 지름은 230 nm~1000 nm이며, 입자 지름에 따라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체에는, 황색~적색계의 착색광이 발현하지만, 이 중 평균 입자 지름 230 nm~260 nm 범위의 구형 필러를 이용할 경우에는, 얻어지는 착색광은 황색계이며, 수복 치아의 주변의 치면 색조가, 셰이드 가이드 「VITAPAN Classical(등록상표)」에서의 B계(적황색)의 범주에 있는 와동의 수복에 유용하다. 평균 입자 지름 260 nm~350 nm 범위의 구형 필러를 이용할 경우, 얻어지는 착색광은 적색계이며, 수복 치아의 주변의 치면 색조가, 셰이드 가이드 「VITAPAN Classical(등록상표)」에서의 A계(적갈색)의 범주에 있는 와동의 수복에 유용하다. 상아질의 색상은 이러한 적색계의 것이 많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평균 입자 지름 260 nm~350 nm 범위의 구형 필러를 이용하는 양태에 있어서, 다양한 색조의 수복 치아에 대해, 폭넓게 적합성이 양호해져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형 필러는 1차 입자 지름이 상기 평균값 범위에 있는 것이 중요하고, 이 요건을 만족하는 입자이면 그 1차 입자 각각은 다소의 응집 입자로서 존재해도 된다. 그러나, 가능한 한 독립 입자로서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0 ㎛ 이상의 응집 입자가 10 체적%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형 필러(B)의 평균 입자 지름은,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해 분체의 사진을 촬영하고, 그 사진의 단위 시야 내에 관찰되는 전체 입자(30개 이상)의 수 및 전체 입자의 1차 입자 지름(최대지름)을 각각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값을 바탕으로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한 평균값으로 한다.
[수학식 1]
(n:입자의 수, xi:i번째 입자의 1차 입자 지름(최대 지름))
본 발명에 있어서, 구형 필러(B)의 평균 입자 지름±5% 범위 내의 입자의 비율(%)은, 상기 사진의 단위 시야 내에서의 전체 입자(30개 이상) 중, 상기에서 구한 평균 입자 지름의 ±5%의 입자 지름 범위 외의 1차 입자 지름(최대지름)을 갖는 입자의 수를 계측하고, 그 값을 상기 전체 입자의 수에서 감하여, 상기 사진의 단위 시야 내에서의 평균 입자 지름±5%의 입자 지름 범위 내의 입자수를 구하고, 하기 식:
구형 필러(B)의 평균 입자 지름±5% 범위 내의 입자의 비율(%)=[(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의 단위 시야 내에서의 평균 입자 지름±5%의 입자 지름 범위 내의 입자수)/(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의 단위 시야 내에서의 전체 입자수)]×100
에 따라 산출했다.
여기서, 구형 필러의 구형이란, 대략 구형일 수도 있고, 반드시 완전한 진구(眞球)일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입자의 사진을 찍어, 그 단위 시야 내에 있는 각각의 입자(30개 이상)에 대해, 그 최대지름에 직교하는 방향의 입자 지름을 그 최대지름으로 나눈 평균 균제도가 0.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이상의 것이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카ㆍ티타늄족 산화물계 복합 산화물 입자란, 실리카와 티타늄족(주기율표 제IV족 원소) 산화물의 복합 산화물이며, 실리카ㆍ티타니아, 실리카ㆍ지르코니아, 실리카ㆍ티타니아ㆍ지르코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필러의 굴절률의 조정이 가능한 것 외에, 높은 X선 불투과성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실리카ㆍ지르코니아가 바람직하다. 그 복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충분한 X선 불투과성을 부여하는 점과, 굴절률을 후술하는 바람직한 범위로 하는 관점에서, 실리카의 함유량이 70~95 몰%이며, 티타늄족 산화물의 함유량이 5~30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ㆍ지르코니아의 경우, 이와 같이 각 복합비를 변화시킴으로써, 그 굴절률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실리카ㆍ티타늄족 산화물계 복합 산화물 입자에는, 소량이면, 실리카 및 티타늄족 산화물 이외의 금속 산화물의 복합도 허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산화 나트륨, 산화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10 몰% 이내에서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실리카ㆍ티타늄족 산화물계 복합 산화물 입자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특정 구형 필러를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가수분해 가능한 유기 규소 화합물과 가수분해 가능한 유기 티타늄족 금속 화합물을 포함한 혼합 용액을, 알칼리성 용매 중에 첨가하고, 가수 분해를 수행하여 반응 생성물을 석출시키는, 이른바 졸겔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이들 실리카ㆍ티타늄족 산화물계 복합 산화물 입자는, 실란 커플링제에 의해 표면 처리될 수도 있다. 실란 커플링제에 의한 표면 처리에 의해,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의 중합체 부분과의 계면강도가 뛰어난 것이 된다. 대표적인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어γ-메타크릴로일옥시알킬트리메톡시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등의 유기 규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란 커플링제의 표면 처리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얻어지는 경화성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등을 미리 실험으로 확인한 후에 최적값을 결정하면 되지만, 바람직한 범위를 예시하면,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해 0.1~15 중량부 범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연 치아에 대한 양호한 색조 적합성을 발현하는, 간섭, 산란 등에 의한 착색광은, 하기 식(1):
nP<nF (1)
(상기 식 중, nP는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의 25℃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F는 구형 필러(B)의 25℃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를 만족하는 경우에 얻을 수 있다.
즉, 구형 필러(B)의 굴절률은,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의 굴절률보다 높은 상태에 있다고 하는 것이다. 구형 필러(B)의 굴절률 nF(25℃)와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의 중합체의 굴절률 nP(25℃)의 차는, 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5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굴절률에 대해서는, 경화체의 투명성이 높은 경우에 보다 선명하게 발현하는 점에서, 구형 필러(B)는,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의 중합체의 굴절률 차가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며, 투명성을 가능한 한 해치지 않는 것을 선정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구형 필러(B)의 배합량은, 중합성 단량체 성분(A) 100 질량부에 대해, 50~1500 질량부이다. 실리카ㆍ티타늄족 산화물계 복합 산화물 입자를 50 질량부 이상 배합함으로써, 간섭, 산란 등에 의한 착색광이 양호하게 발현하도록 한다. 또한, 복합 산화물 입자로서,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의 중합체의 굴절률 차가 상기 0.1을 웃도는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경화체의 투명성이 저하되어, 착색광의 발현 효과도 충분히 발현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들을 감안하면, 구형 필러(B)의 배합량은, 중합성 단량체 성분(A) 100 질량부에 대해 100~150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150~1500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형 필러(B) 중, 실리카계 필러, 특히 실리카ㆍ티타늄족 산화물계 복합 산화물의 굴절률은, 실리카 분의 함유량에 따라 1.45~1.58 정도의 범위가 된다. 즉,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의 굴절률을 상술한 범위(1.38~1.55)의 범위로 설정해 둠으로써, 상술한 조건(X1)을 만족하도록, 구형 필러(B)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적당한 양의 실리카분을 포함하는 실리카ㆍ티타늄족 산화물계 복합 산화물(예를 들어 실리카ㆍ티타니아 혹은 실리카ㆍ지르코니아 등)을 사용하면 된다.
<중합 개시제(C)>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중합 개시제는, 본 조성을 중합 경화시키는 목적으로 배합시키지만, 공지된 어떤 중합 개시제라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구강 내에서 경화시키는 경우가 많은 치과의 직접 충전 수복 용도에서는 광중합 개시제, 또는 화학 중합 개시제 조성이 바람직하고, 혼합 조작의 필요가 없고 간편한 점에서, 광중합 개시제(조성)가 바람직하다.
광중합에 이용하는 중합 개시제로는,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벤조인알킬에테르류, 벤질 디메틸 케탈, 벤질 디에틸 케탈 등의 벤질 케탈류, 벤조페논, 4, 4'-디메틸벤조페논, 4-메타크릴옥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디아세틸, 2, 3-펜타디온벤질, 캄퍼퀴논, 9, 10-페난트라퀴논, 9, 10-안트라퀴논 등의 α-디케톤류, 2, 4-디에톡시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메틸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 화합물, 비스-(2, 6-디클로로 벤조일) 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 6-디클로로 벤조일)-2, 5-디메틸 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 6-디클로로 벤조일)-4-프로필 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 6-디클로로 벤조일)-1-나프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 4, 6-트리메틸 벤조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등의 비스 아실 포스핀 옥사이드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로는, 종종 환원제가 첨가되지만, 그 예로는, 2-(디메틸 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4-디메틸 아미노 안식향산에틸(p-N, N-디메틸 아미노 안식향산에틸), N-메틸 디에탄올 아민 등의 제3급 아민류, 라우릴 알데히드, 디메틸 아미노 벤즈 알데히드, 테레프탈 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2-메르캅토벤조옥사졸, 1-데칸 티올, 티오 살리실산, 티오 안식향산 등의 함유황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 개시제 및 환원성 화합물에 더해 광산발생제(光酸發生劑)를 첨가하여 이용하는 예를 종종 볼 수 있다. 이러한 광산 발생제로는, 디아릴 요오도늄염계 화합물, 술포늄염계 화합물, 술폰산 에스테르 화합물, 및 할로 메틸 치환-S-트리아진 유도체, 피리디늄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카ㆍ티타늄족 산화물계 복합 산화물 입자에 의한 경화성 조성물의 색조의 변화는, 중합 개시제에 환원제로서 아민류가 함유된 경우에 현저하게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아민류를 중합 개시제와 병용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이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목적에 따라 유효량을 선택하면 되지만, 중합성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적으로 0.01~10 중량부의 비율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는, 그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A)~(C) 성분 외에, 공지된 다른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합 금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점도 조정 등을 목적으로 하여, 광의 파장보다 충분히 작고 색조나 투명성에 영향을 주기 어려운 입자 지름의 필러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료 등의 착색 물질을 이용하지 않아도, 1종의 페이스트(경화성 조성물)로 커버할 수 있는 색조의 범위가 넓고, 적은 색종의 페이스트로 자연 치아에 대한 폭넓은 색조 적합성을 얻을 수 있고, 양호한 수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간과 함께 변색될 우려가 있는 안료는 배합하지 않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 대해서는, 안료의 배합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고, 구형 필러의 간섭, 산란 등에 의한 착색광의 방해가 되지 않는 정도의 안료는 배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중합성 단량체 100 질량부에 대해 0.0005~0.5 질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001~0.3 질량부 정도의 안료이면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광경화성 컴포지트 레진으로 대표되는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용도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용도로는, 예를 들어 치과용 시멘트, 지대(支臺)축조용 수복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각종 물성 측정 방법은, 각각 아래와 같다.
(1) 구형 필러의 평균 입자 지름
주사전자현미경(필립스사 제품, 「XL-30 S」)으로 분체의 사진을 찍어, 그 사진의 단위 시야 내에 관찰되는 전체 입자(30개 이상)의 수 및 전체 입자의 1차 입자 지름(최대지름)을 각각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값에 근거하여 하기 식에 의해 평균 입자 지름을 산출했다.
[수학식 2]
Figure pct00002
(n:입자의 수, xi:i번째 입자의 1차 입자 지름(최대 지름))
(2) 평균 입자 지름±5% 범위 내의 입자의 비율
(1)에서 촬영한 사진의 단위 시야 내에서의 전체 입자(30개 이상) 중, (1)에서 구한 평균 입자 지름의 ±5%의 입자 지름 범위 외의 1차 입자 지름(최대지름)을 갖는 입자의 수를 계측하고, 그 값을 상기 전체 입자의 수로부터 감하여, 상기 사진의 단위 시야 내에서의 평균 입자 지름±5%의 입자 지름 범위 내의 입자수를 구하고, 하기 식:
구형 필러(B)의 평균 입자 지름±5% 범위 내의 입자의 비율(%)=[(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의 단위 시야 내에서의 평균 입자 지름±5%의 입자 지름 범위 내의 입자수)/(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의 단위 시야 내에서의 전체 입자수)]×100
에 따라 산출했다.
(3) 굴절률의 측정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의 굴절률>
중합성 단량체 및 그 혼합물의 굴절률은,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품)를 이용하여 25℃의 항온실에서 측정했다.
<중합체의 굴절률 nP>
중합성 단량체(혹은 중합성 단량체의 혼합물)의 중합체의 굴절률은, 와동 내에서의 중합 조건과 거의 동일한 조건으로 중합한 중합체를,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품)를 이용하여 25℃의 항온실에서 측정했다.
즉, 캄퍼퀴논(CQ) 0.2 질량%, p-N, N-디메틸 아미노 안식향산에틸(DMBE) 0.3 질량%, 및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HQME) 0.15 질량%를 혼합한 균일한 중합성 단량체(혹은 중합성 단량체의 혼합물)를, Ø7mm×0.5 mm의 구멍을 갖는 틀에 넣고,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압접했다. 그 후, 광량 500 mW/cm2의 할로겐형 치과용 광조사기(Demetron LC, 사이브론사 제품)를 이용하여 30초간 광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틀에서 꺼내, 중합성 단량체의 중합체를 제작했다.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품)에 중합체를 세팅할 때에, 중합체와 측정면을 밀착시킬 목적으로, 시료를 용해하지 않으면서, 시료보다 굴절률이 높은 용매(브로모 나프탈렌)를 시료에 적하하여 측정했다.
<구형 필러 및 기타 무기 충전재의 굴절률>
이용한 구형 필러의 굴절률 nF 및 기타 무기 충전재의 굴절률은,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품)를 이용하여 액침법에 따라 측정했다.
즉, 25℃의 항온실에 있어서, 100 ml 샘플병 중, 구형 필러 혹은 기타 무기 충전재 또는 이들 중 몇 개의 표면 처리물 1 g를 무수 톨루엔 50 ml 중에 분산시킨다. 이 분산액을 교반기(stirrer)로 교반하면서 1-브로모 톨루엔을 조금씩 적하하여, 분산액이 가장 투명하게 된 시점의 분산액의 굴절률을 측정함으로써, 구형 필러의 굴절률 nF, 및 기타 무기 충전재의 굴절률을 얻었다.
(4) 육안에 의한 착색광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조제된 경화성 조성물의 페이스트를 7 mmØ×1 mm의 구멍을 갖는 틀에 넣어 양면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압접했다. 가시광 조사기(토쿠야마 제품, 파워 라이트)로 양면을 30초씩 광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틀에서 꺼내, 10 mm×10 mm (10 mm 角) 정도의 검은 테이프(카본 테이프)의 점착면에 얹어 육안으로 착색광의 색조를 확인했다.
(5) 착색광의 파장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조제된 경화성 조성물의 페이스트를 7 mmØ×1 mm의 구멍을 갖는 틀에 넣어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압접했다. 가시광 조사기(토쿠야마 제품, 파워 라이트)로 양면을 30초씩 광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틀에서 꺼내, 색차계(토쿄덴쇼쿠 제품, 「TC-1800 MKII」)를 이용하여, 흑색 배경(먼셀 표색계에 의한 명도가 1인 바탕) 하 및 백색 배경(먼셀 표색계에 의한 명도가 9.5인 바탕) 하에서 분광 반사율을 측정하여, 흑색 배경 하에서의 반사율의 극대점을 착색광의 파장으로 했다.
(6) 색상, 명도 및 채도
상기와 같이 하여, 각각의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두께 1 mm의 경화체를 만들고, 색차계(토쿄덴쇼쿠 제품, 「TC-1800 MKII」)를 이용하여 흑색 배경(먼셀 표색계에 의한 명도가 1인 바탕) 하 및 백색 배경(먼셀 표색계에 의한 명도가 9.5인 바탕) 하의 각각에 있어서, JIS Z8722에 준거하여 먼셀 표색계에 의한 색상(H), 명도(V) 및 채도(C)를 측정했다.
(7) 색조 적합성의 평가
색조 적합성의 평가에는, 상아질부와 에나멜질부로 이루어지고, 상아질부는 에나멜질부로 덮여 있는 수복용 모형 치아(경질 레진 치아)를 이용했다. 오른쪽 위 1번의 절단부 결손 와동(폭 2 mm, 높이 1 mm)을 재현한 치아 수복용 모형 치아(가로 지름 9 mm, 치관 길이 12 mm), 또는 오른쪽 아래 6번의 I급 와동(직경 4 mm, 깊이 2 mm)을 재현한 치아 수복용 모형 치아(가로 지름 10 mm), 또는 오른쪽 위 3번의 치경부 결손 와동(직경 4 mm, 깊이 2 mm)을 재현한 치아 수복용 모형 치아(가로 지름 9 mm, 치관 길이 12 mm)를 이용하여, 결손부에 경화성 페이스트를 충전하고, 경화하고, 연마하여, 색조 적합성을 육안으로 확인했다. 그리고 치아 수복용 모형 치아로는, 셰이드 가이드 「VITAPAN Classical(등록상표)」에서의 A계(적갈색)의 범주에 있고, 고채도의 고색도 모형 치아와 저채도의 저색도 모형 치아, 및 셰이드 가이드 「VITAPAN Classical(등록상표)」에서의 B계(적황색)의 범주에 있고, 고채도의 고색도 모형 치아와 저채도의 저색도 모형 치아를 이용했다.
색조 적합성의 평가 기준:
◎:수복물의 색조가 치아 수복용 모형 치아와 잘 적합되어 있다.
적합성의 고도에 따라,◎1>◎2의 2 단계에서 더 상세하게 평가했다.
○:수복물의 색조가 치아 수복용 모형 치아와 유사하다.
유사한 정도에 따라, ○1>○2의 2 단계에서 더 상세하게 평가했다.
△:수복물의 색조가 치아 수복용 모형 치아와 유사하지만 적합성은 양호하지 않다.
×:수복물의 색조가 치아 수복용 모형 치아와 적합하지 않다.
(8) 색조 경시 변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조제된 경화성 조성물의 페이스트를 7 mmØ×1 mm의 구멍을 갖는 틀에 넣어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압접했다. 가시광 조사기(토쿠야마 제품, 파워 라이트)로 양면을 30초씩 광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틀에서 꺼내, 수중 하 37℃에서 4개월간 보관하고, 색조를, 색차계(토쿄덴쇼쿠사 제품:TC-1800 MKII)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보관 전후에서의 색조의 차를 △E*로 나타냈다.
△E*={(△L*)2+(△a*)2+(△b*)2}1 /2
△L*=L1*-L2*
△a*=a1*-a2*
△b*=b1*-b2*
그리고, L1*:보관 후의 경화체의 명도 지수, a1*, b1*:보관 후의 경화체의 색질 지수, L2*:보관 전의 경화체의 명도 지수, a2*, b2*:보관 전의 경화체의 색질 지수,△E*:색조 변화량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중합성 단량체, 중합 개시제 등은 아래와 같다.
[중합성 단량체]
ㆍ1, 6-비스(메타크릴에틸옥시카보닐아미노) 트리메틸 헥산(이하, 「UDMA」로 약칭한다.)
ㆍ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이하, 「3 G」로 약칭한다.)
ㆍ2, 2-비스[(3-메타크릴로일옥시-2-하이드록시 프로필 옥시) 페닐]프로판(이하, 「bis-GMA」로 약칭한다.)
[중합 개시제]
ㆍ캄퍼퀴논(이하, 「CQ」로 약칭한다.).
ㆍp-N, N-디메틸 아미노 안식향산에틸(이하, 「DMBE」로 약칭한다.).
[중합 금지제]
ㆍ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이하, 「HQME」로 약칭한다.)
[착색제]
ㆍ이산화 티타늄(백색 안료)
ㆍ피그먼트 옐로우(황색 안료)
ㆍ피그먼트 레드(적색 안료)
ㆍ피그먼트 블루(청색 안료)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중합성 단량체를 혼합하여, 매트릭스 M1, M2를 조제했다.
[표 1]
Figure pct00003
1)괄호 안은 배합 비율(질량부)을 나타낸다
[구형 필러]
구형 필러의 조제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8-110414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8-156524호 등에 기재된 방법으로, 가수분해 가능한 유기 규소 화합물(테트라 에틸 실리케이트 등)과 가수분해 가능한 유기 티타늄족 금속 화합물(테트라부틸지르코네이트나 테트라 부틸 티타네이트 등)을 포함한 혼합 용액을, 암모니아수를 도입한 암모니아성 알코올(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이소부틸 알코올 등) 용액 중에 첨가하고, 가수 분해를 수행하여 반응 생성물을 석출시키는, 이른바 졸겔법을 이용하여 조제했다.
[부정형 무기 필러]
부정형 무기 필러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2-132102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3-197311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알콕시 실란 화합물을 유기용매에 용해하고, 물을 첨가하여 부분적으로 가수분해한 후, 복합화하기 위한 다른 금속의 알콕사이드 및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첨가하고,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겔형물을 건조한 후, 필요에 따라 분쇄하여, 소성함으로써 조제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구형 필러 및 부정형 무기 필러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4
실시예 1~9
매트릭스 M1 또는 매트릭스 M2에 대해, CQ를 0.3 중량%, DMBE를 1.0 중량%, HQME를 0.15 중량% 가해 혼합하여, 균일한 중합성 단량체 조성물을 조제했다. 그 다음, 유발(乳鉢)에 표 3에 나타낸 각 구형 필러를 계량하고, 상기 매트릭스를 적색광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어두운 곳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균일한 경화성 페이스트로 만들었다. 또한, 이 페이스트를 감압하에 탈포하고 기포를 제거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했다. 얻어진 경화성 조성물(충전 수복 재료)에 대해, 상기의 방법을 바탕으로 각 물성을 평가했다. 조성 및 결과를 표 3, 4에 나타냈다.
비교예 1~3, 5~8
매트릭스 M1, M2 또는 M3에 대해, CQ를 0.3 중량%, DMBE를 1.0 중량%, HQME를 0.15 중량% 가해 혼합하여, 균일한 중합성 단량체 조성물을 조제했다. 그 다음, 유발에 표 3에 나타낸 각 필러를 계량하고, 상기 매트릭스를 적색광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어두운 곳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균일한 경화성 페이스트로 만들었다. 또한 이 페이스트를 감압하에 탈포하고 기포를 제거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했다. 얻어진 경화성 조성물(충전 수복 재료)에 대해, 상기의 방법을 바탕으로 각 물성을 평가했다. 조성 및 결과를 표 3, 4에 나타냈다.
비교예 4
매트릭스 M2에 대해, CQ를 0.3 중량%, DMBE를 1.0 중량%, HQME를 0.15 중량% 가해 혼합하여, 균일한 중합성 단량체 조성물을 조제했다. 그 다음, 표 3에 나타낸 유발에 구형 필러를 계량하고, 상기 매트릭스를 적색광 하에서 서서히 첨가하고, 또한 이산화 티타늄(백색 안료)을 0.050 g, 피그먼트 옐로우(황색 안료)를 0.001 g, 피그먼트 레드(적색 안료)를 0.0005 g, 피그먼트 블루(청색 안료)를 0.0002 g 가해 어두운 곳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균일한 페이스트로 만들었다. 또한 이 페이스트를 감압하에 탈포하고 기포를 제거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했다. 육안 평가로 고색도 모형 치아의 A계통에 적합한 색조였다. 이어서, 상기의 방법을 바탕으로 각 물성을 평가했다. 조성 및 결과를 표 3, 4에 나타냈다.
[표 3]
Figure pct00005
[표 4]
Figure pct00006
실시예 1~9의 결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건을 만족하면, 경화성 조성물은 흑색 배경 하에서 착색광을 나타내는 한편 색조 적합성이 양호하고, 또한, 얻어지는 경화체의 색조 경시 변화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3, 5~8의 결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경화성 조성물은 흑색 배경 하에서 착색광을 나타내지 않고(비교예 1:구형 필러의 평균 입자 지름이 80 nm, 비교예 3:필러의 형상이 부정형), 착색광이 약하고(비교예 2:구형 필러의 평균 입자 지름±5%의 범위 내의 입자의 비율이 87%), 착색광이 청색계이며(비교예 5 및 6:중합체의 굴절률>구형 필러의 굴절률, 비교예 7 및 8:구형 필러의 평균 입자 지름<230 nm), 모두 상아질면의 색조에 대한 적합성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의 결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안료를 첨가해 색조를 조정(고색도 모형 치아의 A계통에 적합한 색조)한 경화성 조성물은, 색차계(토쿄덴쇼쿠 제품, 「TC-1800 MKII」)를 이용하여, 흑색 배경 하 및 백색 배경 하에서 분광 반사율을 측정한 결과, 흑색 배경 하 및 백색 배경 하 모두, 첨가한 안료에 따른 광반사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관찰되었다. 고색도 모형 치아의 A계통에 적합한 색조에 대한 색조 적합성은 양호했지만, 다른 모형 치아에 대한 색조 적합성은 낮은 것이었다. 또한, 색조 경시 변화가 큰 것이 되었다.

Claims (8)

  1. 중합성 단량체 성분(A), 평균 입자 지름이 230 nm~1000 nm 범위 내에 있는 구형 필러(B) 및 중합 개시제(C)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로서,
    두께 1 mm의 경화체를 형성한 상태로, 각각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흑색 배경 하에서의 착색광의 먼셀 표색계에 의한 측색값의 명도(V)가 5 미만이며, 채도(C)가 0.05 이상이면서, 백색 배경 하에서의 착색광의 먼셀 표색계에 의한 측색값의 명도(V)가 6 이상이며, 채도(C)가 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필러(B)를 구성하는 각각의 입자 중 90% 이상이 평균 입자 지름 전후의 5% 범위 내에 존재하고,
    상기 중합성 단량체 성분(A) 및 구형 필러(B)는, 하기 식(1):
    nP<nF (1)
    (상기 식 중, nP는, 상기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의 25℃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F는, 상기 구형 필러(B)의 25℃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조건(X1)을 만족하도록 각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필러(B)의 굴절률 nF(25℃)와 상기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의 중합체의 굴절률 nP(25℃)의 차가 0.00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단량체 성분(A)으로서 복수종의 (메타) 아크릴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중합성 단량체 성분(A)의 굴절률(25℃)이 1.38~1.55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필러(B)가 구형의 실리카ㆍ티타늄족 산화물계 복합 산화물 입자이며, 그 굴절률(25℃)이 1.45~1.58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필러(B)의 평균 입자 지름이 230 nm~500 nm 범위 내이며, 심층면에 상아질부가 위치하는 와동의 수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필러(B)의 평균 입자 지름이 260 nm~350 nm 범위 내이며, 상아질부가 적갈색계의 색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
KR1020187007737A 2015-10-21 2016-10-21 경화성 조성물 및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 KR201800326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7053 2015-10-21
JP2015207053 2015-10-21
PCT/JP2016/081367 WO2017069274A1 (ja) 2015-10-21 2016-10-21 硬化性組成物及び歯科用充填修復材料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361A Division KR102017065B1 (ko) 2015-10-21 2016-10-21 경화성 조성물 및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663A true KR20180032663A (ko) 2018-03-30

Family

ID=585572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361A KR102017065B1 (ko) 2015-10-21 2016-10-21 경화성 조성물 및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
KR1020187007737A KR20180032663A (ko) 2015-10-21 2016-10-21 경화성 조성물 및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361A KR102017065B1 (ko) 2015-10-21 2016-10-21 경화성 조성물 및 치과용 충전 수복 재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58457B2 (ko)
EP (1) EP3366269A4 (ko)
JP (1) JP6250245B2 (ko)
KR (2) KR102017065B1 (ko)
CN (1) CN108289795B (ko)
AU (1) AU2016340522B2 (ko)
BR (1) BR112018006772B1 (ko)
RU (1) RU2724903C2 (ko)
WO (1) WO20170692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326B1 (ko) 2020-12-30 2021-12-31 신진욱 치아 수복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8303B2 (en) 2016-12-01 2021-08-03 Tokuyama Dental Corporation Curable composition
WO2018164074A1 (ja) * 2017-03-06 2018-09-13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光硬化性組成物及び歯科用修復充填材料
CA3059479A1 (en) 2017-04-18 2018-10-25 Tokuyama Dental Corporation Curable composition
EP3613402B1 (en) 2017-04-18 2021-11-10 Tokuyama Dental Corporation Curable composition for dental u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487515B1 (ja) * 2017-10-13 2019-03-20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成形品セット、コンピュータカラーマッチングシステム、データベース、及び、成形品セットの製造方法
JP6945818B2 (ja) * 2018-02-14 2021-10-06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硬化性組成物
CA3095115A1 (en) * 2018-03-30 2019-10-03 Tokuyama Dental Corporation Dental cut processing resin-based block
JP6840394B2 (ja) 2018-06-07 2021-03-10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用器具
JP7075635B2 (ja) * 2018-07-17 2022-05-26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歯科用硬化性組成物
KR20210057026A (ko) 2018-09-05 2021-05-20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덴탈 복합 재료, 경화성 조성물 및 경화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7440932B2 (ja) 2019-05-22 2024-02-29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歯科切削加工用ブラ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7422994B2 (ja) * 2019-11-26 2024-01-29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歯科用硬化性組成物
JP7321456B2 (ja) * 2019-12-04 2023-08-07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歯科保存修復用キット
AU2020414589A1 (en) * 2019-12-23 2022-06-30 Tokuyama Dental Corporation Dental filling and repairing material kit
CA3196983A1 (en) * 2020-10-28 2022-05-05 Tatsuya Kajikawa Dental curable composition having good color compatibility
JP7018170B2 (ja) * 2021-02-02 2022-02-10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模擬修復用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用器具及び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方法
WO2023145283A1 (ja) * 2022-01-28 2023-08-03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複合酸化物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硬化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505A (ja) * 1983-06-30 1985-01-21 Tokuyama Soda Co Ltd 重合用の複合組成物
JPS6286003A (ja) 1985-10-11 1987-04-20 Tokuyama Soda Co Ltd 光重合用の複合組成物
JPS63218703A (ja) 1987-03-07 1988-09-12 Tokuyama Soda Co Ltd 光硬化性複合組成物
JP2001239661A (ja) 2000-02-25 2001-09-04 Canon Inc 記録物、および記録方法
JP4895443B2 (ja) * 2000-08-22 2012-03-14 株式会社トクヤマ 歯科用硬化性組成物
JP4371677B2 (ja) 2003-03-18 2009-11-25 綜研化学株式会社 構造色部材を用いるカラーシート
DE102004017124B4 (de) 2004-04-07 2008-07-10 Ivoclar Vivadent Ag Härtbare Dentalmaterialien mit einer einstellbaren Transluzenz und hohen Opaleszenz
JP5250371B2 (ja) 2008-10-01 2013-07-31 株式会社松風 混合可能で色調再現が自在にできる歯科用着色材組成物とそのセットおよび方法
JP5661040B2 (ja) 2008-10-15 2015-01-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ジルコニア及びシリカナノ粒子を含む充填剤、並びにコンポジット材料
JP5072888B2 (ja) * 2009-03-13 2012-11-14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オペークペーストの色調調整用硬化性組成物
JP2011158742A (ja) 2010-02-02 2011-08-18 Canon Inc 二成分系現像剤
US9132068B2 (en) * 2010-06-18 2015-09-15 Tokuyama Dental Corporation Dental composite restorative material
JP5769429B2 (ja) * 2011-01-26 2015-08-26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歯科用複合修復材料
WO2012128167A1 (ja) * 2011-03-18 2012-09-27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象牙質用修復材料キット
US9320684B2 (en) 2011-06-24 2016-04-26 Tokuyama Dental Corporation Dental restorative material
JP6258919B2 (ja) 2013-03-19 2018-01-10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歯科用充填修復材料キット
US9993394B2 (en) 2014-02-20 2018-06-12 Kuraray Noritake Dental Inc. Dental restorative composition
JP6396429B2 (ja) * 2014-03-19 2018-09-26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歯列矯正用接着材および歯列矯正用接着材キ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326B1 (ko) 2020-12-30 2021-12-31 신진욱 치아 수복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06772A2 (pt) 2018-10-09
BR112018006772B1 (pt) 2021-11-23
AU2016340522A1 (en) 2018-04-26
RU2724903C2 (ru) 2020-06-26
US10758457B2 (en) 2020-09-01
CN108289795B (zh) 2019-05-17
JP6250245B2 (ja) 2017-12-20
WO2017069274A1 (ja) 2017-04-27
KR102017065B1 (ko) 2019-09-02
US20180303721A1 (en) 2018-10-25
KR20190029786A (ko) 2019-03-20
EP3366269A4 (en) 2019-07-03
CN108289795A (zh) 2018-07-17
RU2018116597A (ru) 2019-11-21
EP3366269A1 (en) 2018-08-29
RU2018116597A3 (ko) 2019-11-26
AU2016340522B2 (en) 2021-06-24
JPWO2017069274A1 (ja)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40522B2 (en) Curable composition and dental filling restorative material
US11058608B2 (en) Curable composition for dental u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7114090B2 (ja) 硬化性組成物
KR102491300B1 (ko) 광경화성 조성물 및 치과용 수복 충전 재료
WO2018101236A1 (ja) 硬化性組成物
CN111902119B (zh) 牙科切削加工用树脂系块体
JP7075635B2 (ja) 歯科用硬化性組成物
JP7422994B2 (ja) 歯科用硬化性組成物
JP6945818B2 (ja) 硬化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