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511A - 회전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511A
KR20180032511A KR1020170121776A KR20170121776A KR20180032511A KR 20180032511 A KR20180032511 A KR 20180032511A KR 1020170121776 A KR1020170121776 A KR 1020170121776A KR 20170121776 A KR20170121776 A KR 20170121776A KR 20180032511 A KR20180032511 A KR 20180032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contact subassembly
cavity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333B1 (ko
Inventor
더글라스 존 하디
존 웨슬리 홀
존 마크 마이어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3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5Torsion-relie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케이블 커넥터(104)는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 및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는 전기 케이블(116)로 종단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는 중심 콘택트, 유전체 홀더, 및 외부 콘택트를 포함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314)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캐비티(106)를 형성한다. 상기 전기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단부(304)에서 개구(306)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상기 돌출부와 체결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축 방향 위치를 고정시키는 유지장치(327)를 포함한다. 상기 유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와 상기 케이블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ELECTRICAL CABLE CONNECTOR WITH ROTATABLE HOUSING}
본 발명의 주제는 전기 케이블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동축 케이블은 다양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 산업에서, 예를 들면, AM/FM 라디오, 셀룰러 폰, GPS, 위성 라디오, 무선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자동차 내의 전기 장치의 증가로 인하여 동축 케이블 및 커넥터에 대한 수요가 있다.
일부 공지된 전기 케이블 커넥터의 하우징은 특정한 각도 방향에서 적절한 정합(mating) 커넥터에 키-정합되도록(key-mated)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들을 키-정합함으로써, 동축 케이블에 의해 상기 커넥터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된 전기 장치와 상기 커넥터들 모두를 손상시킬 수 있는, 관계가 없는 두 개의 케이블 커넥터를 실수로 연결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들의 하우징들이 상기 케이블들에 대해 회전할 수 없는 경우, 정합 작업 중에 특정 각도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들을 정렬하면, 상기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서 종단된(terminated) 상기 커넥터들의 구성요소들에 비틀림(torsional) 응력(stress)과 인장력(tension)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비틀림 힘은 상기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대응하는 커넥터의 중심 콘택트(central contact)와의 맞물림으로부터 당겨 빼는 것과 같은 전기 커넥터의 성능에 손상을 줄 수 있다. 2차 자물쇠와 같은 보조 구성요소의 추가로 인한 추가 제조 및 조립 비용을 피하면서 하우징이 케이블에 대해 회전하도록 하는 필요성이 있다.
상기 해결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contact subassembly)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는 전기 케이블로 종단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는 중심 콘택트, 유전체 홀더, 및 외부 콘택트를 포함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은 전방 단부(front end)와 후방 단부(rear end)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캐비티(cavity)를 정의한다. 상기 전기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후방 단부의 개구(opening)를 통해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캐비티 내의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축 방향 위치(axial position)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상기 돌출부와 체결하는 유지장치(retention mechanism)를 포함한다. 상기 유지장치를 사용하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와 상기 케이블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후방 단부(304)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캐치 표면(336)을 갖는 상기 유전체 홀더(134)의 탭이고, 상기 캐치 표면은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후방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지장치(327)의 유지 렛지(334)와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유지장치(327)는 상기 캐비티(106)의 둘레를 따라 환형 트랙(328)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트랙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돌출부(314)를 수용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 및 상기 전기 케이블(116)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환형 트랙의 둘레 길이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환형 트랙의 후방 단부를 정의하는 유지 렛지(334)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렛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후방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막기 위해 상기 돌출부의 캐치 표면(336)과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환형 트랙(328)은 상기 캐비티(106)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 및 상기 케이블(116)에 대해 360도 회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윈도우(310)를 포함하는 상부 벽(312)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상부 벽을 향해 각을 이루는 경우 상기 돌출부(314)가 상기 윈도우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윈도우는 상기 환형 트랙(328)의 상부 세그먼트를 정의하며, 상기 상부 세그먼트를 따르는 상기 환형 트랙의 상기 유지 렛지(334)는 상기 윈도우의 후방 단부를 따라 상기 상부 벽의 에지(38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표면(354)을 따라 그루브 형상의 오목부(352)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 형상의 오목부(352)는 상기 환형 트랙(328)의 적어도 원주 방향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 형상의 오목부(352)를 따르는 상기 환형 트랙의 상기 유지 렛지(334)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숄더(358)의 전방 에지(356)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렛지(334)의 제1 원주 세그먼트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내부 숄더(358)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유지 렛지의 제2 원주 세그먼트는 상기 하우징 상의 편향 가능한 래치(364)의 캐치 표면(372)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환형 트랙(328)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가 상기 캐비티(106) 내로 로딩될 때,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와 체결되고 편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유지장치(327)는 상기 환형 트랙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방 단부(304) 사이에 축 방향에 위치하는 고정 단부(366)를 갖는 편향 가능한 래치(364)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가 바이어스 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의 캐치 표면(37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캐비티(106) 내로 연장되고 상기 유지 렛지(334)의 세그먼트를 정의하며,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가 상기 캐비티 내로 로딩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환형 트랙으로 진입하게 하도록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와 체결되고 편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캐비티(106)는 중심 코어(324) 및 외부 채널(326)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채널은 상기 중심 코어에 대해 개방되어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채널은 상기 환형 트랙(328)과 상기 후방 단부(304)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방 단부에서 상기 캐비티의 상기 개구(306)는 상기 돌출부(314)가 상기 외부 채널에 수용되는 경우에만 상기 캐비티 내의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를 허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364)는 그 내부에서 상기 돌출부와 체결하도록 상기 외부 채널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전체 홀더(134)는 상기 유전체 홀더의 상부면(154)을 따라 개방된 채널(138)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 콘택트(132)는 상기 채널 내에 유지된 제1 케이블 절연 변위(CID) 피쳐(feature)(158)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상기 유전체 홀더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외부 콘택트는 상기 유전체 홀더 내의 개구부(206)를 통해 상기 채널 내로 연장되는 제2 CID 피쳐(160)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케이블(116)이 상기 채널 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CID 피쳐가 상기 케이블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의 코어 도체(162)와 맞물리고 상기 제2 CID 피쳐가 상기 케이블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의 차폐층(164)과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돌출부(314)는 캐치 표면(406)을 포함하는 헤드(404)를 갖는 편향 가능한 래치(402)이며,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유지장치(327)는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의 상기 헤드를 내부에 수용하는 환형 트랙(328)을 포함하며, 상기 환형 트랙의 후방 단부(334)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숄더(358)의 전방 에지(35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며,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는 상기 내부 숄더와 체결하고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가 상기 후방 단부(304)를 통해 상기 캐비티(106)에 수용될 때 반경 방향 내측으로 편향되고,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는 상기 캐치 표면이 상기 내부 숄더의 전방에 있을 때 편향되지 않은 위치를 향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캐치 표면이 상기 전방 에지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와 상기 케이블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아래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 시스템의 전기 커넥터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1/4 부분이 제거된 상기 전기 커넥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전기 케이블의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외부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의 제1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의 제2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제1 각도 방향(angular orientation)으로 있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커넥터의 부분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제2 각도 방향으로 있는 전기 커넥터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커넥터의 배면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넥터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상기 커넥터 시스템(100)은 함께 정합되도록(mated) 구성되어 전기 신호(예를 들어, 전력, 제어 신호, 데이터 등)를 서로 송신하는 제1 전기 커넥터(102) 및 제2 전기 커넥터(104)를 포함한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전기 커넥터(102)는 수형(male) 커넥터이고, 제2 전기 커넥터(104)는 암형(female) 커넥터이며, 상기 제1 전기 커넥터(102)의 정합 단부(mating end)는 정합 동작(mating operation) 중에 상기 제2 전기 커넥터(104)의 캐비티(cavity)(106) 내에 수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형 커넥터(102)의 하우징(108)의 노우즈 콘(nose cone)(107)은 상기 암형 커넥터(104)의 하우징(110)에 의해 정의되는 캐비티(106) 내에 수용된다. 도 1에서 정합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수형 및 암형 커넥터들(102, 104)는 정합 축(mating axis)(112)을 따라 정합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수형 커넥터(102) 및 상기 암형 커넥터(104)는 각각 대응하는 전기 케이블들(114, 116)에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수형 커넥터(102) 또는 상기 암형 커넥터(104) 중 하나는 케이블 대신 회로 기판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형 및 암형 커넥터(102, 104) 각각은 각각의 상기 하우징(108, 110)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18, 120)를 포함한다. 상기 수형 커넥터(102)의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18)는 상기 케이블(114)에서 종단(예를 들어, 직접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됨)되며, 상기 암형 커넥터(104)의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케이블(116)에서 종단된다(terminated). 상기 커넥터(102, 104)가 정합될 때,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들(118, 120)의 상보적인 도전성 구성요소들(complementary conductive components)이 서로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들(102, 104)을 가로지르는 전도성 신호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블들(114, 116)을 연결한다.
상기 커넥터들(102, 104)의 상기 하우징들(108, 110)은 상기 커넥터(102, 104)가 상기 정합 위치에 상기 커넥터들(102, 104)을 고정하도록 완전히 정합될 때 서로 체결하는 상보 래칭 피쳐들(complementary latching features)을 포함한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수형 커넥터(102)의 상기 하우징(108)은 상기 암형 커넥터(104)의 상기 하우징(110)상의 상보적 편향 가능한(deflectable) 주 래치(primary latch)(124)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캐치(catch)(122)를 포함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18, 120)는 상기 대응하는 하우징들(108, 11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들(108, 110) 각각의 상기 캐치(122)와 상기 래치(124) 사이의 상호 연결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들(118, 120) 사이의 전기 접속을 유지한다. 상기 래치(124)는 상기 수형 및 암형 커넥터들(102, 104)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캐치(122) 위로 들어 올려지거나(lifted) 피봇될 수 있다(pivoted).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수형 커넥터(102)는 상기 주 래치를 포함하고 암형 커넥터(104)는 상기 캐치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수형 커넥터(102) 및 암형 커넥터(104)는 FAKRA 자동차 전문가 그룹에 의해 설립된 균일한 커넥터 시스템에 대한 표준을 따르는 FAKRA 커넥터를 구성한다. FAKRA는 자동차 분야의 국제 표준화 관심사(interests)를 대표하는 독일 표준 연구소(German Institute for Standardization)의 자동차 표준위원회(Automotive Standards Committee)이다. 상기 FAKRA 커넥터들은 상기 FAKRA 표준에 따라 하나 이상의 특정 정합 커넥터들에 각각의 상기 커넥터들(102, 104)의 정합 능력을 제한함으로써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의 고기능 및 안전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표준화된 키 시스템(keying system) 및 잠금 시스템을 갖는다. 예를 들면,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수형 커넥터(102)는 하나 이상의 키잉 리브(keying rib)(126)를 가지며, 상기 암형 커넥터(104)는 상기 커넥터들(102, 104)이 정합되고 올바르게 정렬될 때 상기 키잉 리브(126)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키홀들(keyholes)(128)을 갖는다.
상기 키잉 리브(126)는 상기 암형 하우징(110)에 대해 상기 수형 하우징(108)의 하나의 특정 각도 방향에서 키홀(128)에 수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시스템(100)의 상기 하우징들(108, 110)은 상기 대응 케이블(114, 116)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수형 하우징(108)은 단일 방향으로만 상기 암형 하우징(110)에 결합하지만, 상기 수형 하우징(108)을 상기 암형 하우징(110)과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수형 하우징(108)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형 하우징(108)에서 종단되는 상기 케이블(114)에 장력 및 다른 비틀림 힘이 부과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수형 및 암형 커넥터들(102, 104) 각각은 부차적인 잠금장치(locks) 또는 클립(clips)과 같은, 상기 커넥터들(102, 104) 내로 삽입되는 보조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각각의 하우징들(108, 110)이 상기 대응 케이블(114, 116)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유지장치들을 포함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암형 전기 커넥터(104)의 분해된 배면 사시도이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케이블(116)에 종단되며, 이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가 상기 케이블(116)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의미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캐비티(106)의 외부에 배치되지만, 상기 캐비티(106) 내로의 로딩을 위해 준비된다. 상기 분해된 커넥터(104)는 수직 또는 승강(elevation) 축(191), 가로축(lateral axis)(192) 및 세로축(longitudinal axis)(193)에 대해 배향된다. 상기 축들(191-193)은 서로 수직이다. 수직축(191)이 중력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상기 축들(191-193)은 중력에 대해 임의의 특정 방향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2는 상기 암형 커넥터(104)를 도시하지만, 상기 암형 커넥터(104)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또한(도 1에 도시된) 상기 수형 커넥터(10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형 커넥터(102)의 상기 하우징(108) 및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18)는 상기 하우징(110) 및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형상, 방향,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방 단부(302)와 후방 단부(304)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앞(front)", "뒤(rear)", "상부(top)", "하부(bottom)", "제1(first)" 및 "제2(second)"와 같은 상대적 또는 공간적 용어는 단지 인용된 구성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104) 및 상기 커넥터 시스템(100)(도 1에 도시됨)의 주위 환경과 관련된 특정 위치 또는 방향(orientation)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 단부(302)는 정합 단부이며, 이에 따라 상기 키홀들(128)(도 1에 도시됨)이 상기 전방 단부(302)를 따라 또는 상기 전방 단부(302)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후방 단부(304)는 케이블 단부이며, 상기 케이블(116)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가 상기 하우징(110) 내에 로딩될 때 상기 후방 단부(304)에서 개구(opening)(306)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캐비티(106)은 상기 전방 및 후방 단부들(302, 304)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110)을 통해 연장된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인라인 하우징(inline housing)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직각 하우징(right angl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 단부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정합 단부와 동일 선형(co-linear)이 아닐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이지만,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면인 상부면(top side)(308)을 포함한다. 상기 주 래치(124)는 상기 상부면(308)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상부면(308)은 상기 주 래치(124)와 상기 후방 단부(304) 사이에 축 방향으로 위치된 윈도우(310)를 정의한다. 상기 윈도우(310)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벽(top wall)(312)을 통해 충분히 연장되고 상기 캐비티(106)에 개방된다. 상기 윈도우(310)는 상기 돌출부(314)가,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벽(312)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배향될 때 그것을 통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돌출부(3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또한 상기 주 래치(124)의 후방으로 적어도 하나의 편향 가능한 래치(3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36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비티(106) 내로 연장되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돌출부(314)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후방 단부(304)에서 상기 개구(306)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캐비티(106) 내로 로딩 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하우징(110)의 상기 전방 단부(302)를 향한 세로축(193)을 따르는 로딩 방향(316)으로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이동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콘택트 정합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콘택트 정합부(144)는 정합될 때 상기 수형 커넥터(102)(도 1)의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18)(도 1에 도시됨)의 상보적인 콘택트 정합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콘택트 정합부(144)는 대체로 원통형이므로, 콘택트 정합부(144)는 상기 수형 커넥터(102)의 상기 대응하는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 정합부에 대해 특정 각도의 방향을 요구하지 않는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콘택트 정합부(144)의 후방에 종단부(14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종단부(146)는 상기 케이블(116)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116)은 케이블 절연 변위(cable insulation displacement; CID) 피쳐(features)들(158, 160)(도 4, 도 5에 도시됨)을 사용하여 상기 케이블(116)을 종단시키기 위해 상기 종단부(146)의 상부면(320) 상에서 유전체 홀더(134)의 채널(138) 내로 내려놓아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116)은 하나 이상의 페룰(ferrules)을 사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크림핑 작업(crimping operations)에 의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에 종단될 수 있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외부 표면(31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4)를 포함한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314)는 탭(tab)(314)이다. 상기 외부 표면(318)은 상기 종단부(146)의 측면(lateral side)(212)이다. 도 2에서 볼 수는 없지만,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대향 측면(212)을 따라 상기 외부 표면(318)으로부터 연장하는 2개의 탭들(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다른 실시예에서 2개보다 많거나 적은 돌출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방 단부(304)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캐비티(106)는 중심 코어(central core)(324)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채널(326)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외부 채널(326)을 정의한다. 상기 중심 코어(324)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외부 채널(326)은 상기 중심 코어(324)에 개방되어 상기 중심 코어(324)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후방 단부(304)의 상기 개구(306)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하나 이상의 특정한 각도 방향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가 상기 캐비티(106) 내로 완전히 들어가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탭(314)이 상기 캐비티(106)의 상기 외부 채널(326)과 정렬되고 수용될 때에만 상기 캐비티(106) 내에 완전히 로딩될 수 있다. 상기 중심 코어(324)의 직경은 매우 작아 탭(314)의 반지름 길이를 포함하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직경을 수용하지 못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가시적인(visible) 탭(314)이 우측 외부 채널(326A)과 정렬되도록 비스듬하게(angularly) 배향된다. 상기 캐비티(106)의 좌측 외부 채널(326B)은 도 2에서 볼 수 없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탭과 정렬된다.
도 3은 상기 하우징(110)의 1/4 부분이 제거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4)의 배면 사시도이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캐비티(106)에 완전히 장착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1/4 부분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캐비티(106) 내에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116)은 상기 후방 단부(304)에서 상기 개구(306)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돌출부(314)(예를 들어, 상기 탭(314)와 체결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상기 캐비티(106) 내의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축 방향 위치를 고정하는 유지장치(327)를 포함한다. 상기 유지장치(327)는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 및 상기 케이블(116)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 및 케이블(116)에 대하여 시계 방향(330)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또한 정반대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케이블(116) 및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 및/또는 상기 케이블(116)에 장력 또는 다른 비틀림 힘을 가하지 않고 정합 커넥터의 정합 인터페이스(interface)와 적절하게 정렬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의 상기 유지장치(327)는 상기 하우징(110) 내로 삽입되는 분리된 부차적인 잠금장치 또는 클립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유지장치(327)는 상기 캐비티(106)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환형 트랙(annular track)(328)을 포함한다. 상기 환형 트랙(328)은 내부에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3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출부들(314)은 상기 환형 트랙(328)의 원주 길이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환형 트랙(328)의 후방 단부를 정의하는 유지 렛지(retention ledge)(33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환형 트랙(328)의 세로 방향 폭은 상기 유지 렛지(334)로부터 상기 전방 단부(302)를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유지 렛지(334)는 상기 하우징(110)에 대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후방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축 방향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탭(314)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후방 단부(304)를 향하여 대체로 후방을 향하는 캐치 표면(catch surface)(336)을 포함한다. 상기 탭(314)이 상기 환형 트랙(328)에 배치될 때, 상기 캐치 표면(336)은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후방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막기 위해 상기 유지 렛지(334)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도 3에 도시된 완전히 장착된 위치에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유지장치(327)는 상기 하우징(110)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회전하도록 허용하면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가 상기 캐비티(106) 밖에서 후방으로 당겨지는 것을 금지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환형 트랙(328)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단일 표면 대신에, 상기 유지 렛지(334)는 상기 환형 트랙(328)의 둘레 길이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다른 표면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전방 단부(302)와 상기 환형 트랙(328) 사이에 축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캐비티(106)의 내부 숄더(interior shoulder)(338)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숄더(338)의 후방 에지(340)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유전체 홀더(134)의 전방 벽(342)과 체결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상기 로딩 방향(316)에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추가적인 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막는 견고한 정지 표면(hard stop surface)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내부 숄더(338) 및 상기 유지 렛지(334)의 상기 후방 에지(340)와의 체결을 통해 상기 캐비티(106) 내에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 및 상기 전기 케이블(116)의 사시도이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유전체 홀더(134), 중심 콘택트(132) 및 외부 콘택트(136)를 포함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중심 콘택트(132) 및 상기 외부 콘택트(136)의 다른 방해 요소가 눈에 보일 수 있도록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전방 단부(346)와 후방 단부(348) 사이에서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116)은 구리, 은, 금 등과 같은 도전성 금속 재료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기 와이어를 갖는 코어 도체(162)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이다. 상기 코어 도체(162)는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과 같은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 절연층(16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절연층(166)은 상기 절연층(166)을 둘러싸는 도전성 차폐층(conductive shield layer)(164)으로부터 상기 코어 도체(162)를 보호하고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도전성 차폐층(164)은 상기 코어 도체(162)를 따라 전송된 신호의 전기적 차폐를 제공하고, 또한 전기적 접지 경로 및/또는 신호 복귀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차폐층(164)은 직조되거나 편조된 금속 가닥(strands)을 포함하는 케이블 편조(braid)이거나 케이블 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도전성 차폐층(164)은 케이블 편조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금속 호일(foi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16)의 재킷(jacket)(168)은 상기 차폐층(164)을 둘러싸고 있다. 상기 재킷(168)은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과 같은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재킷(168)은 마모(abrasions) 및 오염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재킷(168)은 또한 외부의 전기적 간섭으로부터 상기 케이블(116)의 전도성 구성요소들(162, 164)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기 케이블(116)은 내부 케이블 부(inner cable portion)(170) 및 상기 내부 케이블 부(170)를 둘러싸는 외부 케이블 부(outer cable portion)(172)를 갖는 것으로 설명된다. 상기 내부 케이블 부(170)는 상기 코어 도체(162)와 상기 절연층(166)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케이블 부(172)는 상기 차폐층(164)과 상기 재킷(168)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116)은 상기 케이블(116)의 단부(end)(174)를 벗겨냄으로써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에 대한 종단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케이블 부(170)가 단부 세그먼트(end segment)(176)를 따라 상기 외부 케이블 부(172)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케이블(116)의 상기 단부 세그먼트(176)를 따라 상기 재킷(168) 및 차폐층(164)이 벗겨진다. 상기 차폐층(164)은 상기 재킷(168)을 넘어서 돌출하고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재킷(168)보다 상기 케이블(116)의 상기 단부(174)에 더 가깝게 연장되지만, 상기 차폐층(164)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재킷(168)과 동일한 위치에서 절단될 수 있다(severed).
상기 유전체 홀더(134)는 상기 채널(138)을 정의한다. 상기 채널(138)은 상기 홀더(134)의 상부면(154)을 따라 개방되어, 상기 유전체 홀더(134)는 크래들(cradle) 또는 트로프(trough)와 유사하다. 상기 유전체 홀더(134)는 상기 중심 콘택트(132)와 상기 외부 콘택트(136)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다. 상기 유전체 홀더(134)는 상기 홀더(134)가 상기 외부 콘택트(136)로부터 중심 콘택트(132)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과 같은 유전체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유전체 홀더(134)는 몰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홀더(134)는 또한 상기 채널(138)을 정의하는 본체(body)(200) 및 상기 본체(200)로부터 연장되고 원통형 캐비티(204)를 정의하는 노우즈 세그먼트(nose segment)(20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0)는 상기 본체(200)를 관통하여 상기 유전체 홀더(134)의 하부면(156)으로부터 상기 채널(138)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개구부(apertures)(206)를 정의한다. 상기 본체(200)는 또한 상기 채널(138)의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 캐비티들(214)을 정의한다. 상기 측면 캐비티들(214)은 상기 하부면(156)으로부터 상기 상부면(154)까지 연장된다.
상기 중심 콘택트(132)은 정합 인터페이스(148) 및 종단 영역(178)을 포함한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정합 인터페이스(148)는 핀(pin)이지만, 상기 정합 인터페이스(148)는 소켓, 블레이드 등과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종단 영역(178)은 상기 코어 도체(162)와 체결하도록 상기 케이블(116)의 하나 이상의 층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상기 CID 피쳐(158)를 포함한다. 상기 CID 피쳐(158)는 코어-종단(core-terminating) CID 피쳐(158)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CID 피쳐(158)는 그 사이에 코어 슬롯(core slot)(186)을 정의하는 두 개의 접촉 벽(contact wall)(184)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 슬롯(186)은 그 안에 상기 케이블(116)의 상기 단부 세그먼트(176)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중심 콘택트(132)의 상부를 따라 개방된다. 상기 접촉 벽들(184)은 상기 케이블(116)의 상기 단부 세그먼트(176)가 상기 CID 피쳐(158) 내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절연층(166)을 관통한다. 상기 접촉 벽들(184)은 상기 단부 세그먼트(176)를 상기 코어 슬롯(186) 내로 유도하는 리드-인(lead-in) 영역을 제공하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tapered). 상기 리드-인 영역을 따라 그리고 상기 코어 슬롯(186)을 따라 상기 접촉 벽들(184)의 에지들은 선택적으로 상기 절연층(166)을 가르도록(slice through) 예리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 콘택트(132)의 상기 종단 영역(178)은 서로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CID 피쳐(158)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 콘택트(132)는 구리, 은, 알루미늄, 금 등을 포함하는 전도성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 콘택트(13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면인 패널로부터 상기 예시된 형상으로 스탬프되어(stamped)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 콘택트(132)는 상기 종단 영역(178)이 상기 채널(138) 내에 유지되고 상기 정합 인터페이스(148)가 상기 원통형 캐비티(204) 내로 연장되도록 상기 유전체 홀더(134)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구리, 은, 알루미늄, 금 등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전성 금속 재료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평면 패널로부터 스탬핑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상기 유전체 홀더(13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상기 유전체 홀더(134)의 상기 측면 캐비티들(214) 내로 연장되는 측벽들(228)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상기 측벽들(228)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유전체 홀더(134)의 상부면(154)을 따라 상기 측면 캐비티들(214)로부터 돌출하는 홀딩 탭들(holding tabs)(23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116)이 상기 채널(138)에 수용된 후에, 상기 홀딩 탭들(234)은 상기 채널(138)에서 상기 케이블(116)의 유지(retention)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116) 위에서 상기 채널(138)을 가로 질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다.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본 명세서에서 차폐-종단(shield-terminating) CID 피쳐(160)로 지칭되는 제2 CID 피쳐(160)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종단 CID 피쳐(160)는 상기 개구부들(206)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채널(138) 내로 연장된다. 상기 CID 피쳐(160)는 상기 외부 콘택트(136)를 상기 차폐층(16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차폐층(164)과 체결하도록 상기 케이블(116)의 하나 이상의 층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 콘택트(136)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 5를 추가로 참조한다. 상기 차폐-종단 CID 피쳐(160)는 상기 차폐층(164)과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적어도 상기 케이블(116)의 상기 재킷(168)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뾰족한 팁들(pointed tips)(242)을 갖는 다수의 블레이드(240)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240)는 상기 케이블(116)이 상기 외부 콘택트(136)에 대해 하향 가압 방향(244)으로 로딩됨에 따라 상기 뾰족한 팁(242)이 상기 케이블(116) 내로 파고 들어가도록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배열된다. 상기 블레이드들(240)은 상기 차폐층(164)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차폐층(164)과 신뢰성 있는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케이블(116)의 상기 절연층(166)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들(240)은 상기 코어 도체(162)와 맞물릴 수 있도록 충분히 상기 절연층(166)을 관통하지 않는다.
다시 도 4 만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응력 완화(strain relief)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응력 완화 CID 피쳐(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의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상기 차폐-종단 CID 피쳐(160)의 후방에 위치한 2개의 응력 완화 CID 피쳐(254)를 포함한다. 상기 응력 완화 CID 피쳐(254)는 대응하는 개구부들(206)을 통해 상기 채널(138) 내로 연장된다. 상기 응력 완화 CID 피쳐(254)는 형상 및 기능면에서 상기 차폐-종단 CID 피쳐(160)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력 완화 CID 피쳐(254)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258)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들(258)은 기계적 유지 및 응력 완화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재킷(168), 상기 차폐층(164),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절연층(166)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차폐-종단 CID 피쳐들(160) 및 응력 완화 CID 피쳐들(254)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후방 단부(348)에서 캐리어 스트립(carrier strip)(232)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다른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들(120)와 함께 캐리어 스트립(232) 상에 조립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종단 CID 피쳐(158), 상기 차폐-종단 CID 피쳐(160), 및 상기 응력 완화 CID 피쳐(254)는 모두 상기 채널(138) 내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에 대한 상기 케이블(116)의 한 번의 누름(one-step press) 종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116)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 위에서 수동으로 또는 프레스 장치와 같은 자동화 기계를 통해 상기 채널(138) 내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16)이 상기 채널(138) 내로 가압되면, 상기 중심 콘택트(132)의 상기 코어-종단 CID 피쳐(158)는 상기 단부 세그먼트(176)를 따라 상기 내부 케이블 부(170)와 맞물려 상기 절연층(166)을 관통하여 코어 도체(162)와 체결된다. 상기 외부 콘택트(136)의 상기 차폐-종단 CID 피쳐(160) 및 상기 응력 완화 CID 피쳐(254)는 상기 외부 케이블 부(172)와 체결하고 상기 차폐층(164)과 체결하도록 상기 재킷(168)을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채널(138) 내로의 상기 케이블(116)의 단일 프레스(single press)에 의해 상기 케이블(116)이 상기 중심 콘택트(132)와 외부 콘택트(136) 모두에서 종단되도록 한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측면(212)으로부터 측면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탭(314)이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의 상기 탭(314)은 상기 유전체 홀더(134)와 일체이다(integral).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유전체 홀더(134) 대신에 상기 외부 콘택트(136)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탭(314)은 램프 표면(ramp surface)(344) 및 캐치 표면(catch surface)(336)을 포함한다. 상기 캐치 표면(336)은 상기 후방 단부(348)를 향하여 후방을 향한다. 상기 램프 표면(344)은 상기 탭(314)의 전방(350)으로부터 상기 캐치 표면(336)까지 연장한다. 상기 램프 표면(344)은 상기 전방(350)에서 상기 캐치 표면(336)까지 상기 램프 표면(344)을 따르는 거리를 갖는 상기 측면(212)으로부터 더 멀리 연장되도록 경사져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커넥터(104)(도 1에 도시됨)의 상기 하우징(110)의 제1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전기 커넥터(104)의 상기 하우징(110)의 제2 횡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의 도면은 상기 하우징(110)의 대략 절반을 도시하고, 도 7의 도면은 상기 하우징(110)의 대략 4 분의 3을 도시한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캐비티(106)를 정의하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면(354)을 따라 정의된 그루브 형상의(groove-shaped) 오목부(recess)(352)를 포함한다. 상기 그루브 형상의 오목부(352)는 상기 환형 트랙(328)의 적어도 원주 방향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상기 오목부(352)를 따른 상기 환형 트랙(328)의 상기 유지 렛지(334)(예를 들어, 상기 오목부(352)의 후방 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1 내부 숄더(358)의 전방 에지(356)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부 숄더(358)는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내부 숄더(358)는 상기 오목부(352)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후방 단부(304)까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내부 숄더(362)의 후방 에지(360)는 상기 오목부(352)의 전방 단부를 정의한다. 상기 후방 에지(360)와 상기 전방 에지(356) 사이의 상기 오목부(352)의 세로 방향 폭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도 3)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4)(도 3에 도시됨)를 수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고정 단부(fixed end)(366) 및 자유 단부(free end)(368)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가능한(deflectable) 래치(latch)(36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단부(366)는 상기 환형 트랙(328)과 상기 후방 단부(304) 사이의 축 방향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벽(370)에 고정된다. 상기 자유 단부(368)는 상기 벽(370)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 단부(366)를 중심으로 상기 벽(37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단부(366)는 상기 자유 단부(368)의 후방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래치(364)는 상기 세로축(193)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2개의 래치(364)를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보다 많거나 적은 래치(3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들(364)은 편향되지 않은(unbiased) 또는 정지(resting) 위치와 편향된 위치 사이에서 편향 가능하다. 상기 편향되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래치(364)는(도 3에 도시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로딩 경로에서 상기 캐비티(106)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편향 위치에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돌출부(314)(도 3)는 상기 돌출부(314)가 상기 환형 트랙(328)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경로 밖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래치(364)를 맞물리게 하여 편향시킨다. 상기 래치(364)는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전방 단부(302)를 향하는 상기 자유 단부(368)에 적어도 근접한 캐치 표면(372)을 갖는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캐치 표면(372)은 상기 자유 단부(368)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래치(364)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치 표면(372)은 상기 환형 트랙(328)의 상기 유지 렛지(334)의 세그멘트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래치(364)의 상기 캐치 표면(372)은 상기 제1 내부 숄더(358)의 상기 전방 에지(356)에 인접하여 연장된다. 상기 내부 숄더(358)의 상기 전방 에지(356)는 상기 유지 렛지(334)의 제1 원주 세그먼트를 정의하고 대응 래치(364)의 상기 캐치 표면(372)은 상기 유지 렛지(334)의 제2 원주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래치(364)의 상기 캐치 표면들(372)은 상기 캐비티(106)의 둘레를 따라 상기 내부 숄더(358)의 상기 전방 에지(356)와 경계를 이루며, 각각은 상기 유지 렛지(334)의 각각의 원주 세그먼트를 정의한다. 상기 래치(364)는 선택적으로 각각 암(arm)(374) 및 헤드(376)를 포함한다. 상기 암(374)은 상기 고정 단부(366)로부터 상기 헤드(376)까지 연장하고, 상기 헤드(376)는 상기 자유 단부(368)까지 연장한다. 상기 헤드(376)는 상기 자유 단부(368)를 향하여 상기 헤드(376)를 따라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기 캐비티(106) 내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램프 표면(378)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 표면(378)은 상기 캐치 표면(372)까지 연장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벽(312)을 관통하여 형성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윈도우(310)는 상기 환형 트랙(328)의 상부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윈도우(310)은 상기 그루브 형상의 오목부(352)와 원주 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환형 트랙(328)의 상기 상부 세그먼트는 상기 상부 벽(312)이 원통형 대신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면이기 때문에 다른 그루브 형상의 오목부 대신에 상기 하우징(110) 내의 윈도우(3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 트랙(328)의 상기 상부 세그먼트를 따르는 상기 유지 렛지(334)는 상기 윈도우(310)의 후방 단부를 정의하는 상기 상부 벽(312)의 에지(384)에 의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형 트랙(328)은 상기 캐비티(106)의 전체 주변으로 연장된다. 상기 환형 트랙(328)의 전체 원주 길이를 따르는 상기 유지 렛지(334)는 상기 하우징(110)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내부 숄더(358)의 상기 전방 에지(356), 상기 래치들(364)의 상기 캐치 표면들(372), 및 상기 상부 벽(312)의 상기 에지(384)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106)의 상기 외부 채널들(326)은 상기 후방 단부(304)로부터 상기 환형 트랙(328)까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외부 채널(326)은 상기 제1 내부 숄더(358)의 주변 에지들(38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364)는 편향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채널(326) 내로 연장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돌출부(314)와 체결한다. 예를 들어, 상기 래치들(364)의 내부 측면들(382)은 상기 외부 채널들(326)의 외부 벽을 정의한다.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들(364)은 상기 캐비티(106)의 상기 중심 코어(324) 내로 연장되지 않는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커넥터(104) 일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가 상기 후방 단부(304)를 통해 상기 캐비티(106) 내로 로딩될 때, 상기 탭들(314)은 상기 대응하는 외부 채널들(326)에 수용된다. 상기 2개의 탭(314) 중 하나만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로딩 방향(316)으로의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이동은 상기 탭(314)의 상기 램프 표면(344)이 상기 외부 채널(326) 내의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364)의 상기 상보적인 램프 표면(378)과 맞물리게 한다. 상기 탭(314)은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상기 로딩 방향(316)으로 병진 운동을 하면서(move translationally) 편향 아크(arc)(386) 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래치(364)를 점차적으로 편향시킨다. 상기 래치(364)의 편향은 상기 래치(364)의 상기 헤드(376)를 상기 탭(314)의 경로 밖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탭(314)이 상기 환형 트랙(328)에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일단 상기 탭(314)의 상기 캐치 표면(336)이 상기 래치(364)의 상기 캐치 표면(372)을 통과하면,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364)는 편향되지 않은 위치(unbiased position)를 향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편향되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캐치 표면(372)은 상기 탭(314)의 상기 캐치 표면(336) 뒤로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대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후방 이동은 상기 캐치 표면들(336, 372)이 서로 맞물리게 하고,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추가적인 후방 이동을 차단한다.
상기 예시된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110)에 대한 제1 각도 방향으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를 도시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는 상기 탭들(314)이 상기 외부 채널들(326)에 수용되도록 하는 상기 제1 각도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110) 내로 로딩된다. 상기 탭들(314)이 상기 환형 트랙(328)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완전히 로드되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 및 상기 케이블(116)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제2 각도 방향에 있는 상기 전기 커넥터(104)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상부(320)가 상기 상부벽(312)을 향하는 도 8에 도시된 상기 제1 각도 방향과 비교하여, 상기 제2 각도 방향에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상부(3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을 따라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들(364) 중 하나를 향한다. 또한, 상기 제2 각도 방향에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탭들(314) 중 하나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상부 벽(312)을 향해 각을 이루고 상기 윈도우(310)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에 대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후방으로의 힘은 상기 탭(314)의 상기 캐치 표면(336)이, 상기 하우징(110) 내의 상기 로드된 위치에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를 유지하는 상기 환형 트랙(328)의 상기 상부 세그먼트에 따라 상기 유지 렛지(334)를 정의하는, 상기 상부 벽(312)의 상기 에지(384)에 인접하게 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커넥터(104)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104)의 상기 돌출부는 탭 대신에 편향 가능한 래치(402)이다. 상기 래치(402)는 캐치 표면(406)을 정의하는 상기 래치(402)의 헤드(404)가 고정 단부(410)까지 연장되는 상기 래치(402)의 암(408)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향된다.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가 상기 후방 단부(304)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캐비티(106) 내로 로딩됨에 따라, 상기 래치(402)의 상기 헤드(404)는 상기 후방 단부(304)와 상기 환형 트랙(328)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기 내부 숄더(358)와 맞물린다. 상기 내부 숄더(358)는 상기 래치(402)의 상기 캐치 표면(406)이 상기 숄더(358)의 상기 전방 에지(356)를 넘어 연장될 때까지 상기 래치(402)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편향시키고, 이 지점에서 상기 래치(402)는 편향되지 않은 위치를 향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향되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래치(402)의 상기 헤드(404)는 상기 환형 트랙(328)에 배치된다. 상기 캐치 표면(406)은 상기 숄더(358)의 상기 전방 에지(356)와 체결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의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상기 환형 트랙(328)의 적어도 원주 세그먼트는 그루브 형상의 오목부(4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 둘레의 확장된 길이에 따라, 상기 둘레를 따라 확장된 길이가 없는 하나 이상의 탭 대신에,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형 링(annular ring) 또는 플랜지(flang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환형 트랙의 상기 유지 렛지는 상기 캐비티(106) 내로 연장되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나 이상의 편향 가능한 래치의 캐치 표면들에 의해 전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가 상기 하우징(110) 내로 로딩될 때, 상기 환형 링은 상기 환형 링의 후방 캐치 표면이 상기 래치들의 상기 캐치 표면들의 전방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하나 이상의 래치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맞물리고 편향되며, 상기 래치는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축 방향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환형 링 뒤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축 방향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예들(및/또는 그들의 측면들)은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치수, 재료의 유형, 다양한 구성 요소의 배향, 및 다양한 구성 요소의 수량 및 위치는 특정 실시예의 파라미터를 정의하기 위해 의도된 것으로서, 이들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 예들일 뿐이다.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많은 다른 실시예 및 수정은 상기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을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넥터 시스템 102: 제1 전기 커넥터
104: 제2 전기 커넥터 108, 110: 하우징
112: 정합 축 114, 116: 전기 케이블
118, 120: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
122: 캐치 124: 래치
126: 키잉 리브 128: 키홀
132: 중심 콘택트 134: 유전체 홀더

Claims (11)

  1. 전기 케이블(116)에 종단된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 -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는 중심 콘택트(132), 유전체 홀더(134), 및 외부 콘택트(136)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318)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314)를 가짐 - ; 및
    전방 단부(302)와 후방 단부(304)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우징(110) -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에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캐비티(106)을 형성하고, 상기 전기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후방 단부의 개구(306)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축 방향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상기 돌출부와 체결하는 유지장치(327)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장치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 및 상기 케이블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함 - ; 을 구비하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10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후방 단부(304)에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캐치 표면(336)을 갖는 상기 유전체 홀더(134)의 탭이고, 상기 캐치 표면은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후방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지장치(327)의 유지 렛지(334)와 체결하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104).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유지장치(327)는 상기 캐비티(106)의 둘레를 따라 환형 트랙(328)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트랙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돌출부(314)를 수용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 및 상기 전기 케이블(116)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환형 트랙의 둘레 길이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환형 트랙의 후방 단부를 정의하는 유지 렛지(334)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렛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후방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막기 위해 상기 돌출부의 캐치 표면(336)과 맞물리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10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환형 트랙(328)은 상기 캐비티(106)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 및 상기 케이블(116)에 대해 360도 회전 가능한 전기 케이블 커넥터(104).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윈도우(310)를 포함하는 상부 벽(312)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상부 벽을 향해 각을 이루는 경우 상기 돌출부(314)가 상기 윈도우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윈도우는 상기 환형 트랙(328)의 상부 세그먼트를 정의하며, 상기 상부 세그먼트를 따르는 상기 환형 트랙의 상기 유지 렛지(334)는 상기 윈도우의 후방 단부를 따라 상기 상부 벽의 에지(384)에 의해 정의되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104).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표면(354)을 따라 그루브 형상의 오목부(352)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 형상의 오목부(352)는 상기 환형 트랙(328)의 적어도 원주 방향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 형상의 오목부(352)를 따르는 상기 환형 트랙의 상기 유지 렛지(334)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숄더(358)의 전방 에지(356)에 의해 정의되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104).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렛지(334)의 제1 원주 세그먼트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숄더(358)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유지 렛지의 제2 원주 세그먼트는 상기 하우징 상의 편향 가능한 래치(364)의 캐치 표면(372)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환형 트랙(328)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가 상기 캐비티(106) 내로 로딩될 때,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와 체결되고 편향되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104).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유지장치(327)는 상기 환형 트랙(328)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후방 단부(304) 사이에 축 방향에 위치하는 고정 단부(366)를 갖는 편향 가능한 래치(364)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가 바이어스 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의 캐치 표면(37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캐비티(106) 내로 연장되고 상기 유지 렛지(334)의 세그먼트를 정의하며,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가 상기 캐비티 내로 로딩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환형 트랙으로 진입하게 하도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와 체결되고 편향되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104).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캐비티(106)는 중심 코어(324) 및 외부 채널(326)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채널은 상기 중심 코어에 대해 개방되어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채널은 상기 환형 트랙(328)과 상기 후방 단부(304)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방 단부에서 상기 캐비티의 상기 개구(306)는 상기 돌출부(314)가 상기 외부 채널에 수용되는 경우에만 상기 캐비티 내의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를 허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364)는 그 내부에서 상기 돌출부와 체결하도록 상기 외부 채널 내로 연장되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104).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홀더(134)는 상기 유전체 홀더의 상부면(154)을 따라 개방된 채널(138)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 콘택트(132)는 상기 채널 내에 유지된 제1 케이블 절연 변위(CID) 피쳐(158)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콘택트(136)는 상기 유전체 홀더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외부 콘택트는 상기 유전체 홀더 내의 개구부(206)를 통해 상기 채널 내로 연장되는 제2 CID 피쳐(160)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케이블(116)이 상기 채널 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CID 피쳐가 상기 케이블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의 코어 도체(162)와 맞물리고 상기 제2 CID 피쳐가 상기 케이블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의 차폐층(164)과 맞물리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104).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120)의 상기 돌출부(314)는 캐치 표면(406)을 포함하는 헤드(404)를 갖는 편향 가능한 래치(402)이며,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유지장치(327)는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의 상기 헤드를 내부에 수용하는 환형 트랙(328)을 포함하며, 상기 환형 트랙의 후방 단부(334)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숄더(358)의 전방 에지(35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며,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의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는 상기 내부 숄더와 체결하고 상기 콘택트 서브 어셈블리가 상기 후방 단부(304)를 통해 상기 캐비티(106)에 수용될 때 반경 방향 내측으로 편향되고, 상기 편향 가능한 래치는 상기 캐치 표면이 상기 내부 숄더의 전방에 있을 때 편향되지 않은 위치를 향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캐치 표면이 상기 전방 에지와 체결되도록 하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104).
KR1020170121776A 2016-09-22 2017-09-21 회전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 KR102416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72,596 2016-09-22
US15/272,596 US9837761B1 (en) 2016-09-22 2016-09-22 Electrical cable connector with rotatable hou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511A true KR20180032511A (ko) 2018-03-30
KR102416333B1 KR102416333B1 (ko) 2022-07-04

Family

ID=6045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776A KR102416333B1 (ko) 2016-09-22 2017-09-21 회전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37761B1 (ko)
JP (1) JP6994880B2 (ko)
KR (1) KR102416333B1 (ko)
CN (1) CN107863634B (ko)
DE (1) DE1020171213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5088B4 (de) * 2015-04-01 2018-10-11 Mitsumi Electronics Europe GmbH Hochfrequenz-Winkelstecker
DE102018127720B3 (de) 2018-11-07 2019-12-0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ochstrom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ersystem
US11824315B2 (en) 2019-03-08 2023-11-21 Huber+Suhner Ag Coaxial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EP3979428A1 (en) * 2020-10-01 2022-04-0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ctrical connector with minimal transfer of torsional loa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0894B1 (en) * 2010-08-23 2011-07-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with a cable receptor with an outer contact
CN203932572U (zh) * 2014-07-05 2014-11-05 王培云 一种路由器与电源线连接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42931B3 (fr) * 1983-03-14 1986-01-10 Drogo Pierre Connecteur electrique
JP3056591B2 (ja) * 1992-06-10 2000-06-26 富士通株式会社 抜け防止機構付ケーブルコネクタ
US6840822B1 (en) 2003-08-25 2005-0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connector
TW200637078A (en) 2005-04-07 2006-10-16 Top Yang Technology Entpr Co Electric connector with a metallic shell
US7347742B2 (en) 2005-09-02 2008-03-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provision for body clip
DE202008014409U1 (de) 2008-10-29 2009-01-2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F-Winkelsteckverbinder
CN201365011Y (zh) * 2009-02-17 2009-12-16 王志材 连接器
US7942707B2 (en) * 2009-04-28 2011-05-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with locking barb
US8366483B2 (en) 2011-02-04 2013-02-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adio frequency connector assembly
US9287659B2 (en) * 2012-10-16 2016-03-1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RFI protection
US9356439B2 (en) * 2013-09-26 2016-05-31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Patch cords for reduced-pair ethernet applications having strain relief units that resist rotational loads and related strain relief units and connectors
US9385466B2 (en) * 2014-10-29 2016-07-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tention features for cable assembly of a pluggable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0894B1 (en) * 2010-08-23 2011-07-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with a cable receptor with an outer contact
JP2012043798A (ja) * 2010-08-23 2012-03-01 Tyco Electronics Corp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CN203932572U (zh) * 2014-07-05 2014-11-05 王培云 一种路由器与电源线连接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1312A1 (de) 2018-03-22
CN107863634B (zh) 2021-06-22
CN107863634A (zh) 2018-03-30
US9837761B1 (en) 2017-12-05
JP6994880B2 (ja) 2022-01-14
JP2018049826A (ja) 2018-03-29
KR102416333B1 (ko) 202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166B1 (ko) 동축 커넥터 조립체
KR101910283B1 (ko) 동축 커넥터 조립체
JP5808043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EP231115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US9882317B1 (en) Connector system with hybrid electrical connectors
KR102416324B1 (ko) 전기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KR101216258B1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CN108475889B (zh) 大功率电连接器
US8029324B1 (en) RF connector assembly
KR102416333B1 (ko) 회전 가능한 하우징을 갖는 전기 케이블 커넥터
US10644414B2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JP2008532204A (ja) 改良したシールドを有する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CN109831928B (zh) 同轴连接器组件
KR102550876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JP2022153116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