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470A - 커버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커버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470A
KR20180032470A KR1020160121747A KR20160121747A KR20180032470A KR 20180032470 A KR20180032470 A KR 20180032470A KR 1020160121747 A KR1020160121747 A KR 1020160121747A KR 20160121747 A KR20160121747 A KR 20160121747A KR 20180032470 A KR20180032470 A KR 2018003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jaw
protrusion
main body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사중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2470A/ko
Publication of KR2018003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50)의 공간(52)을 개폐하는 커버(80)가 상기 본체(50)의 힌지축(5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본체(50) 일측의 펜스(57)에는 걸이턱(5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8)의 양측에 해당되는 펜스(57)에는 구동캠(60)이 있고, 상기 구동캠(60)을 따라서 체결경로(68), 해제구동경로(70), 분리경로(72)가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캠(60)을 따라서 연동돌기(88)가 안내되는데, 상기 연동돌기(88)는 상기 커버(80)의 선단에 구비된 탄성아암(84)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아암(84)에는 상기 걸이턱(58)에 걸어지는 걸림턱(86)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동돌기(88)가 상기 구동캠(60)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커버(80)의 선단을 한 번 누르면 상기 걸이턱(58)에 상기 걸림턱(86)이 걸어져 잠금이 이루어지고, 다시 상기 커버(80)의 선단을 한 번 누르면 상기 걸이턱(58)에서 상기 걸림턱(86)이 빠져나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80)의 개폐동작이 매우 간단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버용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for cover}
본 발명은 커버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커버가 회전되어 소정의 공간을 개폐하도록 하는 커버에서 폐쇄상태를 잠금시키는 커버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버는 소정의 공간을 외부에 대해 개폐하는 것으로,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의 커버는 전장부품이 안착되는 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버의 크기는 대략 작업자가 한 손으로 개폐하고 착탈할 수 있는 정도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커버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0)에는 축지지펜스(12)가 한쌍이 있고, 상기 축지지펜스(12)에 양단이 연결된 힌지축(14)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하도록 커버(16)가 사용된다. 상기 커버(16)의 골격을 커버몸체(17)가 형성하는데, 상기 커버몸체(17)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커버몸체(17)의 선단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체결레버(18)가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걸이턱(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체결레버(18)의 일측이 걸어져 상기 커버몸체(17)가 상기 공간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커버(16)가 설치되는 위치가 좁은 공간인 경우에는 상기 체결레버(18)를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하기가 어렵다. 즉, 상기 체결레버(18)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걸이턱으로부터 체결레버(18)를 분리하는 작업이 번거롭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10-00014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를 눌러줌에 의해 커버몸체가 본체에 체결되고 다시 한번 눌러주면 커버몸체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커버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된 공간을 커버가 차폐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잠금하는 커버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선단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되는 걸이턱과, 상기 걸이턱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구동캠과, 상기 커버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턱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캠을 따라 안내되는 연동돌기가 구비되는 탄성아암과, 상기 커버가 상기 공간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돌기가 상기 구동캠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커버의 선단을 눌러줌에 따라 차례로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캠은 상기 걸이턱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아암도 상기 걸이턱의 양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탄성아암은 양단이 상기 커버의 커버몸체 선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양측의 상기 탄성아암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연동돌기는 상기 걸림턱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구동캠은 상기 걸이턱에 걸림턱이 걸어졌을 때 상기 연동돌기가 위치되는 체결위치면과, 상기 체결위치면에서 상기 걸이턱방향으로 연장되어 해제동작시에 상기 연동돌기를 안내하는 해제구동면과, 상기 해제구동면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동돌기를 안내하는 분리안내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해제구동면과 분리안내면의 사이에는 전이점이 구비되는데, 상기 전이점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돌기가 이동하는 방향이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반대로 된다.
상기 구동캠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는 상기 체결위치면, 해제구동면, 분리안내면을 따라 가면서 바닥의 높이가 점차 높아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된 공간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커버가 차폐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잠금하는 커버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에 구비되는 펜스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걸이턱과, 상기 걸이턱의 양측에 인접하여 상기 펜스에 구비되는 구동캠과, 상기 걸이턱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캠을 따라 안내되는 연동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선단에 있는 한 쌍의 탄성아암과, 상기 커버가 상기 공간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돌기가 상기 구동캠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커버의 선단을 눌러줌에 따라 차례로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아암은 양단이 상기 커버의 커버몸체 선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이턱이 상기 탄성아암의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돌출된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커버몸체에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상에 일부가 밀착되면서 상기 커버가 상기 공간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한다.
상기 구동캠은 상기 걸이턱에 걸림턱이 걸어졌을 때 상기 연동돌기가 위치되는 체결위치면과, 상기 체결위치면에서 상기 걸이턱방향으로 연장되어 해제동작시에 상기 연동돌기를 안내하는 해제구동면과, 상기 해제구동면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동돌기를 안내하는 분리안내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해제구동면과 분리안내면의 사이에는 전이점이 구비되는데, 상기 전이점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돌기가 이동하는 방향이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반대로 된다.
상기 구동캠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는 상기 체결위치면, 해제구동면, 분리안내면을 따라 가면서 바닥의 높이가 점차 높아진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용 잠금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를 사용하여 본체에 형성된 공간을 차폐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장치를 구동캠을 따라 연동돌기가 안내되면서 걸림턱이 걸이턱에 걸어지고 분리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커버몸체를 눌러주기만 하면 커버가 본체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버가 본체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비한 커버와 본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구동캠과 걸이턱 주변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구동캠과 걸이턱 주변을 보다 상세하게 보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버의 걸림턱이 본체의 걸이턱에 걸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연동돌기가 구동캠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50)의 일측에는 공간(52)이 형성된다. 본 실시례의 도면에서는 상기 공간(52)과 관련해서 상기 본체(50)의 구성이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는 상기 공간(52)에는 다른 구성들이 구비되나, 여기서는 편의상 도시하지 않고 생략했다. 상기 본체(50)의 구성도 편의상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상기 본체(50)의 일측에는 축지지펜스(54)가 있다. 상기 축지지펜스(54)는 힌지축(56)의 양단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축지지펜스(54)는 2개가 한쌍으로 되거나 하나의 축지지펜스(54)에 상기 힌지축(56)의 양단이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축(56)이 있는 반대쪽의 펜스(57)에는 걸이턱(58)이 있다. 여기서 상기 펜스(57)는 반드시 상기 본체(50)에서 별도로 돌출되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펜스(57)는 상기 본체(50) 자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펜스(57)는 상기 본체(50)와는 별개의 부분일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펜스(57)는 상기 본체(50) 쪽에 있는 구성이다.
상기 걸이턱(58)은 상기 본체(50)측에, 보다 상세하게는 펜스(57)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58)의 양측 모서리에는 곡면(58')이 있다. 상기 곡면(58')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턱(86)의 연동경사면(87)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턱(58)에는 또한 걸이면(59)이 있다. 상기 걸이면(59)에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턱(86)이 걸어진다.
상기 걸이턱(58)에 인접하여서는 구동캠(60)이 있다. 상기 구동캠(60)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턱(58)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2개가 있다. 하지만, 상기 구동캠(60)이 반드시 2개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상기 걸이턱(58)의 양측에 상기 구동캠(60)이 있게 되면, 커버(80)의 체결이 안정적이 되고 분리동작 또한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구동캠(60)에는 체결위치면(62)이 있다. 상기 체결위치면(62)은 커버(80)가 본체(50)에 체결되었을 때,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돌기(88)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위치면(62)에서 상기 걸이턱(58)이 있는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된 위치에 해제구동면(64)이 있다. 상기 해제구동면(64)은 상기 체결위치면(62)보다 상기 걸이턱(58) 쪽으로 더 가까운 위치에 있다.
상기 해제구동면(64)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돌기(88)의 진입방향으로 더 연장된 위치에 전이점(65)이 있다. 상기 전이점(65)을 통과한 위치에서부터 분리안내면(66)이 있다. 상기 분리안내면(66)은 연동돌기(88)의 진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분리안내면(66)은 연동돌기(88)를 안내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턱(86)이 걸이턱(58)에 다시 걸리지 않고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리안내면(66)에 연동돌기(88)가 안내되어 커버(80)가 동작되면 커버(80)의 걸림턱(86)이 상기 걸이턱(58)에 걸리지 않아 커버(80)가 개방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안내면(62)으로 연동돌기(88)가 이동하는 경로를 체결경로(68)라고 한다. 상기 체결경로(68)를 지나서 상기 해제구동면(64)을 통과하는 경로를 해제구동경로(70)라고 한다. 상기 해제구동경로(70)를 통과하면서 연동돌기(88)가 분리안내면(66)쪽으로 이동할 복원력을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아암(84)이 얻게 된다. 상기 해제구동경로(70)를 지나서 커버(80)가 탄성부(9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될 때 연동돌기(88)가 이동하는 경로를 분리경로(72)라고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경로(68)에서 상기 해제구동경로(70)로 가면서 바닥의 높이가 조금씩 높아지게 된다. 이는 상기 걸이턱(58)이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턱(86)의 움직임에 대해 잠금해제 과정에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해제구동경로(70)에서 상기 분리경로(72)로 가면서 점차 바닥의 높이가 높아지고, 상기 분리경로(72)를 통과하면 상기 구동캠(60)의 가장 높은 위치와 같은 높이를 따라 연동돌기(88)가 안내된다.
상기 공간(54)을 차폐하는 커버(80)의 골격을 커버몸체(82)가 형성한다. 상기 커버몸체(82)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상기 공간(54)을 차폐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상기 커버(80)의 후단은 상기 힌지축(56)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80)의 선단에는 탄성아암(84)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탄성아암(84)이 2개가 나란히 있다. 이는 상기 구동캠(60)이 2개가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아암(84)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탄성아암(84)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커버몸체(82)에 연결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탄성아암(84)은 그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면 어떤 형상을 가지더라도 상관없다.
상기 탄성아암(84)에는 걸림턱(86)이 있다. 상기 걸림턱(86)은 상기 걸이턱(58)에 걸어져 상기 커버(80)가 본체(50)에 잠금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86)은 양측의 탄성아암(84)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86)에는 연동경사면(87)과 걸림면(87')이 있다. 상기 연동경사면(87)은 상기 걸이턱(58)의 곡면(58')에 안내되어 탄성아암(84)이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면(87')은 상기 걸이턱(58)의 걸이면(59)에 걸어져 잠금상태를 이룬다.
상기 탄성아암(84)에는 연동돌기(88)가 있다. 상기 연동돌기(88)는 상기 커버몸체(52)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연동돌기(88)는 상기 걸림턱(86)에 인접하여 있다. 상기 연동돌기(88)는 상기 커버(80)의 선단을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캠(60)에 안내되면서 상기 걸림턱(86)의 상기 걸이턱(58)에서 빠지도록 한다.
상기 커버몸체(82)에는 탄성부(90)가 있다. 상기 탄성부(90)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본체(50)에 대해서 상기 커버몸체(82)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몸체(82)에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져 중간부가 상기 본체(50)에 지지되면서 상기 커버몸체(82)가 상기 공간(52)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90) 대신에 상기 커버몸체(82)의 회전중심인 힌지축(56)에,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을 두어서 상기 커버몸체(82)가 상기 공간(52)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탄성부(90) 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사용하여 상기 커버몸체(82)가 상기 공간(52)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용 잠금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80)는 그 선단쪽, 상기 힌지축(56)과 연결된 반대쪽을 한 번 누르면 상기 커버본체(82)의 걸림턱(86)이 상기 본체(50)의 걸이턱(58)에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커버본체(82)가 상기 공간(52)을 폐쇄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86)의 연동경사면(87)이 상기 걸이턱(58)의 곡면(58')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탄성아암(84)을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상기 연동돌기(88)는 상기 체결위치면(62)쪽으로 상기 체결경로(68)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동경사면(87)이 상기 곡면(58')을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걸림면(87')이 상기 걸이면(59)에 걸어져서 커버(80)가 잠금상태가 된다.
상기 걸림턱(86)이 상기 걸이턱(58)에 걸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연동돌기(88)가 도 7의 A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상기 연동돌기(88)가 상기 구동캠(60)의 체결위치면(62)에 인접하여 있게 된다.
상기 커버본체(82)의 걸림턱(86)이 상기 본체(50)의 걸이턱(58)에 걸어진 상태에서 다시 한 번 상기 커버(80)의 선단을 눌러주면 상기 걸림턱(86)은 상기 걸이턱(58)에서 빠지면서 상기 탄성부(9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커버본체(82)의 걸림턱(86)이 상기 본체(50)의 걸이턱(58)에서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연동돌기(88)가 상기 구동캠(60)을 따라 안내되기 때문이다. 상기 커버(80)의 선단이 눌러질 때, 상기 탄성부(90)는 탄성변형된다.
즉, 상기 커버(80)의 선단을 눌러주면, 상기 연동돌기(88)가 상기 체결위치면(62)에서 해제구동면(64)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해제구동면(64)을 따라가면서 위에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아암(84)에 탄성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탄성아암(84)의 탄성변형은 상기 연동돌기(88)가 상기 해제구동면(64)을 통과할 때, 가장 커지고 상기 전이점(65)을 통과하면서 상기 탄성아암(84)의 탄성변형이 복원된다.
상기 탄성아암(84)의 탄성변형이 복원되면서 상기 연동돌기(88)는 상기 분리안내면(66)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분리경로(72)쪽으로 이동하려 한다. 특히, 상기 탄성부(90)의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연동돌기(88)는 상기 분리경로(72)를 따라가게 된다. 상기 분리안내면(66)을 연동돌기(88)가 따라 가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아암(84)이 약간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연동돌기(88)가 상기 체결경로(68)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동돌기(88)는 상기 체결경로(68)측에 있다가, 다시 작업자가 상기 커버(80)의 선단을 눌러주면, 위에서 설명한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축지지펜스
14: 힌지축 16: 커버
17: 커버몸체 18: 힌지축
50: 본체 52: 공간
54: 축지지펜스 56: 힌지축
57: 펜스 58: 걸이턱
58': 곡면 59: 걸이면
60: 구동캠 62: 체결위치면
64: 해제구동면 65: 전이점
66: 분리안내면 68: 체결경로
70: 해제구동경로 72: 분리경로
80: 커버 82: 커버몸체
84: 탄성아암 86: 걸림턱
87: 연동경사면 88: 연동돌기
90: 탄성부

Claims (13)

  1. 본체에 형성된 공간을 커버가 차폐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잠금하는 커버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선단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되는 걸이턱과,
    상기 걸이턱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구동캠과,
    상기 커버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턱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캠을 따라 안내되는 연동돌기가 구비되는 탄성아암과,
    상기 커버가 상기 공간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돌기가 상기 구동캠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커버의 선단을 눌러줌에 따라 차례로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커버용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은 상기 걸이턱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아암도 상기 걸이턱의 양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커버용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아암은 양단이 상기 커버의 커버몸체 선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버용 잠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양측의 상기 탄성아암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연동돌기는 상기 걸림턱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커버용 잠금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은 상기 걸이턱에 걸림턱이 걸어졌을 때 상기 연동돌기가 위치되는 체결위치면과, 상기 체결위치면에서 상기 걸이턱방향으로 연장되어 해제동작시에 상기 연동돌기를 안내하는 해제구동면과, 상기 해제구동면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동돌기를 안내하는 분리안내면으로 구성되는 커버용 잠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구동면과 분리안내면의 사이에는 전이점이 구비되는데, 상기 전이점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돌기가 이동하는 방향이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반대로 되는 커버용 잠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는 상기 체결위치면, 해제구동면, 분리안내면을 따라 가면서 바닥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커버용 잠금장치.
  8. 본체에 형성된 공간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커버가 차폐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잠금하는 커버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에 구비되는 펜스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걸이턱과,
    상기 걸이턱의 양측에 인접하여 상기 펜스에 구비되는 구동캠과,
    상기 걸이턱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캠을 따라 안내되는 연동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선단에 있는 한 쌍의 탄성아암과,
    상기 커버가 상기 공간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돌기가 상기 구동캠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커버의 선단을 눌러줌에 따라 차례로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커버용 잠금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아암은 양단이 상기 커버의 커버몸체 선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이턱이 상기 탄성아암의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돌출되는 커버용 잠금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커버몸체에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상에 일부가 밀착되면서 상기 커버가 상기 공간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하는 커버용 잠금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은 상기 걸이턱에 걸림턱이 걸어졌을 때 상기 연동돌기가 위치되는 체결위치면과, 상기 체결위치면에서 상기 걸이턱방향으로 연장되어 해제동작시에 상기 연동돌기를 안내하는 해제구동면과, 상기 해제구동면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동돌기를 안내하는 분리안내면으로 구성되는 커버용 잠금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구동면과 분리안내면의 사이에는 전이점이 구비되는데, 상기 전이점을 기준으로 상기 연동돌기가 이동하는 방향이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반대로 되는 커버용 잠금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는 상기 체결위치면, 해제구동면, 분리안내면을 따라 가면서 바닥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커버용 잠금장치.
KR1020160121747A 2016-09-22 2016-09-22 커버용 잠금장치 KR20180032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747A KR20180032470A (ko) 2016-09-22 2016-09-22 커버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747A KR20180032470A (ko) 2016-09-22 2016-09-22 커버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470A true KR20180032470A (ko) 2018-03-30

Family

ID=6190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747A KR20180032470A (ko) 2016-09-22 2016-09-22 커버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24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5328B (zh) 理線總成及其理線裝置
US8702134B2 (en) Door lock device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with movable latch
US20170002589A1 (en) Door handle for vehicle
JP5774236B2 (ja) トグルレバー作動装置を備える接続端子
KR20180016643A (ko) 로크 기구 및 개폐 장치
RU2015122405A (ru) Дверной контакт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прежде всего для электрошкафов
EP3396090A1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BR112016006271B1 (pt) Dispositivo de ventilador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101479054B1 (ko) 커넥터
KR20180032470A (ko) 커버용 잠금장치
KR101183122B1 (ko) 사물함용 손잡이
CN214138504U (zh) 串联滑轮和包括这样的串联滑轮的运输装置
KR101347408B1 (ko) 사물함 손잡이
KR101130655B1 (ko) 도어용 드로와 래치의 오토락 장치
KR101397972B1 (ko) 도어 개폐장치
KR20180124346A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20110017261A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160059790A (ko) 토잉 후크 캡
KR101487990B1 (ko) 틸팅 창호용 스테이
KR101251077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101453076B1 (ko) 사물함 손잡이
KR101673714B1 (ko) 잠금장치
KR101305294B1 (ko) 세이프티 후크 어셈블리
KR20160035416A (ko) 글로브박스 도어 개폐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