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05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054B1
KR101479054B1 KR20130125070A KR20130125070A KR101479054B1 KR 101479054 B1 KR101479054 B1 KR 101479054B1 KR 20130125070 A KR20130125070 A KR 20130125070A KR 20130125070 A KR20130125070 A KR 20130125070A KR 101479054 B1 KR101479054 B1 KR 10147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lide lock
connector
fix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규철
오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13012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응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대응커넥터가 상기 커넥터결합부에서 착탈 가능한 해제위치와 상기 대응커넥터를 상기 커넥터결합부에 고정하는 락킹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락킹위치에서 상기 레버를 락킹하는 결합위치에서 상기 레버와의 락킹을 해제하는 분리위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락; 및 상기 슬라이드 락에 장착되고,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상기 슬라이드 락을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적은 힘으로도 커넥터와 대응커넥터를 체결할 수 있으며, 커넥터와 대응커넥터의 체결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에 대응커넥터가 체결되면, 상기 커넥터와 대응커넥터에 전달되는 전기 신호가 해제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커넥터는 대응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결합부에 대응커넥터가 결합되면, 커넥터와 대응커넥터를 고정시키는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는 탄성을 이용하여 커넥터에서 회동할 수 있으며, 커넥터에 대응커넥터가 결합되면 상기 탄성력을 이용하여 커넥터와 대응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레버는 커넥터와 대응커넥터가 결합되면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상기 레버에 충분한 힘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커넥터와 대응커넥터가 결합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넥터와 대응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임의의 힘으로 레버 상태를 해제하기 때문에 레버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적은 힘으로도 커넥터와 대응커넥터를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와 대응커넥터의 결합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커넥터는, 대응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대응커넥터가 상기 커넥터결합부에서 착탈 가능한 해제위치와 상기 대응커넥터를 상기 커넥터결합부에 고정하는 락킹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락킹위치에서 상기 레버를 락킹하는 결합위치에서 상기 레버와의 락킹을 해제하는 분리위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락; 및 상기 슬라이드 락에 장착되고,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상기 슬라이드 락을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커넥터의 슬라이드 락에 복원스프링을 장착하여 커넥터와 대응커넥터가 결합을 해제하고자 할 때, 복원스프링을 이용하여 커넥터와 대응커넥터의 결합을 고정하고 있는 레버의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적은 힘을 이용하여 커넥터와 대응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와 대응커넥터가 결합되면 고정부를 이용하여 커넥터의 레버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레버가 임의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넥터와 대응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 본체에서 슬라이드 락이 분해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고정부, 레버 및 수용바디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커넥터의 작동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 본체에서 슬라이드 락이 분해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고정부, 레버 및 수용바디의 작동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커넥터의 작동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대응커넥터(미도시)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120)가 형성된 본체(100)와, 대응커넥터가 커넥터결합부(120)에서 착탈 가능한 해제위치(P₁)와 대응커넥터를 커넥터결합부(120)에 고정하는 락킹위치(P₂)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100)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200)와, 본체(100) 상에 장착되고, 레버(200)를 락킹하는 결합위치(S₁)에서 레버(200)와의 락킹을 해제하는 분리위치(S₂)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락(300) 및 슬라이드 락(300)에 장착되고, 분리위치(S₂)에서 결합위치(S₁)로 슬라이드 락(300)을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4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대응커넥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넥터결합부(120)가 형성되며, 커넥터(10)의 전기적 보호를 위한 인터락 터미널(140)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100)에는 상기 커넥터결합부(12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와이어(w)가 장착된다.
상기 레버(200)는 해제위치(P₁)와 락킹위치(P₂)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레버(200)는 본체(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제위치(P₁)는 대응커넥터와 커넥터결합부(120)의 분리되는 위치이며, 상기 락킹위치(P₂)는 대응커넥터와 커넥터결합부(120)가 결합되는 위치라고 가정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해제위치(P₁)는 레버(200)가 본체(100) 후방에 위치한 상태이고, 상기 락킹위치(P₂)는 레버(200)가 본체(100) 상에 위치하여 대응커넥터와 커넥터결합부(120)가 결합되는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락(300)은 본체(100)에 장착되며, 레버(200)를 락킹하는 결합위치(S₁)에서 락킹을 해제하는 분리위치(S₂)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상기 결합위치(S₁)는 슬라이드 락(300)의 초기 위치라고 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위치(S₂)는 슬라이드 락(300)이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의 위치라고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결합위치(S₁)는 레버(200)가 본체(100) 후방에 위치하여 해제된 해제위치(P₁)에 대응하며, 상기 분리위치(S₂)는 레버(200)가 회동하여 락킹위치(P₂)에 위치한 상태와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 락(300)이 결합위치(S₁)에 위치하면, 슬라이드 락(300)의 고정단(340)은 수용바디(160)의 전단과 이격되어 있다. 이때, 레버(200)를 회동하면 슬라이드 락(300)의 고정단(340)이 수용바디(160)의 전단과 인접하게 위치한 뒤, 슬라이드 락(300)에 장착된 복원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하여 초기의 결합위치(S₁)로 복원된다.
한편, 레버(200)를 해제위치(P₁)로 위치 변경하고자 할 때 레버(200)에 장착된 후술할 고정부(500)의 상태를 해제한 뒤, 슬라이드 락(300)을 전방으로 밀면 슬라이드 락(300)이 수용바디(160)의 전단과 인접하게 이동하는 분리위치(S₂)로 위치하면서 레버(200)의 락킹위치(P₂)가 해제될 수 있다. 이후, 레버(200)를 본체(100) 후방으로 회동시키면서 슬라이드 락(300)을 결합위치(S₁)로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10)는 레버(200)에 장착되고, 락킹위치(P₂)에서 레버(200) 및 슬라이드 락(3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500)는 레버(200)가 락킹위치(P₂)에 위치하면, 상기 락킹위치(P₂)를 고정하는 부재이며, 예를 들어 위치확보부재(CPA _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이다. 이러한 고정부(500)는 레버(200)가 락킹위치(P₂)에 위치하면, 레버(200)가 역 회전하여 대응커넥터가 커넥터결합부(1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커넥터(10)를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레버(200)는 슬라이드 락(300)의 일 단에 걸림되는 걸림턱(2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락(300)은 상기 걸림턱(220)에 걸림되는 고정단(340)과, 상기 고정단(340)에 형성되며, 레버(200)가 회동하면 걸림턱(220)의 저면과 접촉하면서 레버(200)를 락킹위치(P₂)로 위치시키는 경사면(320)을 포함한다.
즉,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단(340)은, 슬라이드 락(300)의 결합위치(S₁)와 분리위치(S₂)를 안내한다. 일 예로, 고정단(340)은 레버(200)가 해제위치(P₁)에 위치할 때, 후술할, 본체(100)의 수용바디(160)의 전단에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상태에서, 레버(200)가 락킹위치(P₂)로 회동하게 되면, 슬라이드 락(300)은 분리위치(S₂)에서 결합위치(S₁)로 상태가 변경되고, 고정단(340)은 수용바디(160)의 전단에서 이격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레버(200)의 걸림턱(220)이 고정단(340)의 하측에 걸림되면서 레버(200)가 락킹위치(P₂)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20)은 락킹위치(P₂)로 회동한 레버(200)의 걸림턱(220)을 고정단(340) 하부로 밀어내는 면(surface)이다. 즉, 레버(200)가 회동하여 락킹위치(P₂)로 이동하면, 레버(200)의 걸림턱(220) 저면은 상기 경사면(320)과 접하고, 이 상태에서 고정부(500)를 상부에서 하부로 밀면 고정부(500)가 레버(200)와 슬라이드 락(300)을 고정하는 락킹위치(P₂)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고정부(500)를 레버(200)와 슬라이드 락(300)을 고정한 방향과 역 방향으로 당겨 고정부(500)를 레버(200)에서 분리시키면, 레버(200)가 락킹위치(P₂)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락(300)을 분리위치(S₂)로 밀면 걸림턱(220)이 고정단(340)에서 분리되고, 레버(200)가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 락(300)은 레버(200)가 락킹위치(P₂)에서 고정되면, 후술할 고정부(500)의 고정턱(542)이 장착되는 장착홈(36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홈(368)은 레버(200)가 락킹위치(P₂)에서 고정되면 고정턱(542)이 장착되어 고정부(500)가 레버(200)를 고정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락(300)이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슬라이드 락(300)이 수용되는 수용바디(16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락(300)은 수용바디(160)의 일 측에 걸림되는 스토퍼(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용바디(160)는 본체(10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락(300)이 삽입되도록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되, 고정단(34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바디(160)는 본체(100) 상에 레버의 회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드 락(300)의 슬라이딩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166)과, 상기 가이드라인(166)의 상단에 마련되어 고정부(500)의 단부가 장착되어 레버(200)를 락킹위치(P₂)로 고정시키는 걸림돌기(16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360)는 수용바디(160) 일 측으로 노출되어 슬라이드 락(300)이 수용바디(160)에 삽입될 때, 슬라이드 락(300)의 삽입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360)는 수용바디(160)에 노출되는 측면 모서리(36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할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모서리(362)와 연결된 스토퍼(360)의 일 면(364)은 수용바디(160)에 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용바디(160)는 스토퍼(360)의 측면 모서리(362)와 일 면(364)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 면은 수용바디(16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락(300)에는 분리위치(S₂)에서 결합위치(S₁)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400)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복원스프링(400)이 슬라이드 락(300)에 탄성 지지되도록 지지부(16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원스프링(400)은 상기 슬라이드 락(300)과 본체(100)의 수용바디(16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200)가 회동하면서 슬라이드 락(300)이 결합위치(S₁)와 분리위치(S₂)로 상태가 변경된다. 이때, 상기 복원스프링(400)에 의하여 별도의 부재나 과도한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슬라이드 락(300)이 결합위치(S₁)와 분리위치(S₂)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락킹위치(P₂)에 고정된 레버(200)를 해제위치(P₁)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슬라이드 락(300)을 레버(200)의 회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밀어 복원스프링(400)이 일시적으로 압착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복원스프링(400)이 일시적으로 압착되면 압착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여 복원스프링(400)이 탄성적으로 분리위치(S₂)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레버(200)가 복원스프링(400)에 적용되는 복원력으로 해제위치(P₁)로 회동하게 되어 최소의 힘을 이용하여 레버(200)를 락킹위치(P₂)에서 해제위치(P₁)로 위치 변경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원스프링(400)이 슬라이드 락(300)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락(300)은 복원스프링(400)이 장착되는 장착구(380)와 복원스프링(40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382)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바디(160)는 복원스프링(400)이 삽입되어 전, 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복원스프링 장착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한편, 고정부(500)는 걸림턱(220)과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레버(200)가 락킹위치(P₂)에 위치하여 고정부(500)가 레버(200)와 슬라이드 락(300)을 고정하도록 수용바디(160)의 걸림돌기(168)에 걸림되도록 고정턱(542)과, 해제위치에서 레버(200)에 장착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54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200)는 상기 해제위치(P₁)에서 방지턱(544)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돌기(240)을 더 포함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500)는 E-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버(200)에 장착되어, 레버(200)가 락킹위치(P₂)에 위치하면 고정부(500)를 레버(200)와 슬라이드 락(300)을 동시에 고정하는 상단핸들(510)과, 상기 상단핸들(510)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200)에 고정부(500)를 장착할 때, 고정부(500)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고, 고정부(500)과 레버(200)와의 장착력을 증대시키는 가이드돌기(530)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부(500)는 상기 가이드돌기(530)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턱(542)과 방지턱(544)이 형성된 장착브릿지(540)와, 상기 상단핸들(510) 하부로 연장되고, 레버(200)에 장착된 고정부(500)가 레버(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단부(520)가 형성된 중심브릿지(5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고정부(50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고정부(500)는 레버(200)가 해제위치(P₁)에 위치할 때, 상기 장착브릿지(540)과 수용바디(160)의 가이드라인(166)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다(도 5의 (a)). 이때, 고정부(500)가 레버(200)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고정부(500)의 장착브릿지(540)이 수용바디(160)의 가이드라인(166)에 걸림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장착브릿지(540)과 수용바디(160)의 가이드라인(166)은 소정간격 이격됨에 따라 고정부(500)를 레버(200)에 장착, 고정하기 위해서는 이격된 거리만큼의 과도한 힘을 이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고정부(500)의 장착브릿지(540)과 수용바디(160)의 가이드라인(166)의 이격만큼 고정부(500)가 레버(200)에 임의로 장착, 고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레버(200)를 회동하여 락킹위치(P₂)에 위치시킨 후, 고정부(500)를 레버(200) 방향으로 밀면, 장착브릿지(540)의 방지턱(544)은 레버(200)의 고정돌기(240) 상에 걸리고, 장착브릿지(540)의 고정턱(542)을 가이드라인(166) 상에 걸리게 된다. (도 5의 (b))
상기와 같이 방지턱(544)이 고정돌기(240) 상에 걸린 상태에서 고정부(500)를 레버(200) 방향으로 밀면, 장착브릿지(540)의 변형 시작위치(P)에서 방지턱(544)이 변형되지 않으려는 반력(RF₁)과의 거리(D₁)가 근접한 상태이다. 또한, 장착브릿지(540)의 변형 시작위치(P)에서 상기 방지턱(544)의 반력(RF₁)의 각도가 수직에 근접하기 때문에 방지턱(544)이 변형되지 않으려는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레버(200)가 락킹위치(P₂)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 즉, 분리된 상태일 때, 고정부(500)가 레버(200)에 임의로 장착,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고정턱(542)은 장착브릿지(540)의 변형 시작위치(P)에서 고정턱(542)이 변형되지 않으려는 반력(RF₂)과의 거리(D₂)가 상기 방지턱(544)의 반력(RF₁)과의 거리(D₁)보다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도 5 (b)의 D₁, D₂참고) 고정턱(542)의 변형에 영향을 주는 고정턱(542)의 반력(RF₂)과 장착브릿지(540)의 변형 시작위치(P)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각도 경사진다. 따라서, 고정턱(542)은 방지턱(544)에 비해 변형하고자 하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 의하여 고정부(500)를 레버(200) 방향으로 밀면, 방지턱(544)과 고정턱(542)은 변형이 일어나면서(도 5의 (c)), 각각 고정돌기(240)와 가이드라인(166)에 장착, 체결된다(도 5의 (d)).
이때, 상기 방지턱(544)과 방지턱(544)의 반력(RF₁)의 경사와 장착브릿지(540)의 변형 시작위치(P)과의 각도가 거의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도 5의 (c) 참조), 방지턱(544)의 변형에 필요한 힘이 최소화되면서 방지턱(544)과 고정턱(542)이 각각 고정돌기(240)와 가이드라인(166)에 장착, 체결될 수 있다.
이후, 고정부(500)가 레버(200)에 장착, 고정되면, 고정턱(542)의 상단이 걸림돌기(168)의 하측에 맞물려 고정부(500)가 상, 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고정턱(542)은 슬라이드 락(300)의 장착홈(368)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락(300)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에 상대커넥터를 결합시켜 고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해제위치(P₁)의 레버(200)를 본체(100) 정방으로 회동하여 락킹위치(P₂)에 위치시킨다(도 6의 (a) 및 (b)).
레버(200)가 락킹위치(P₂)에 위치하면, 고정부(500)를 강제 압입하여 레버(200)의 상태를 고정하게 되고(도 6의 (c)), 상기 과정에서 커넥터(10)에 결합된 상대커넥터의 결합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레버(200)를 락킹위치(P₂)에서 해제위치(P₁)로 이동시켜 커넥터(10)와 상대커넥터(1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 고정부(500)를 레버(200)에서 분리한 후, 슬라이드 락(300)을 전방 방향으로 밀어 레버(200)의 걸림턱(220)이 슬라이드 락(300)의 고정단(340)에서 분리될 수 있게 한다(도 6의 (d)).
이와 같이 레버(200)를 락킹위치(P₂)에서 해제위치(P₁)로 이동하기 위해서 레버(200)를 과도한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락킹위치(P₂)에서 해제위치(P₁)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레버(200)의 파손이나 변형 없이 레버(200)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커넥터 100: 본체
120: 커넥터결합부 140: 인터락 터미널
160: 수용바디 200: 레버
220: 걸림턱 300: 슬라이드 락
400: 복원스프링 500: 고정부

Claims (9)

  1. 대응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대응커넥터가 상기 커넥터결합부에서 착탈 가능한 해제위치와 상기 대응커넥터를 상기 커넥터결합부에 고정하는 락킹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레버를 락킹하는 결합위치에서 상기 레버와의 락킹을 해제하는 분리위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락; 및
    상기 슬라이드 락에 장착되고,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상기 슬라이드 락을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 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 상에 장착되고, 상기 락킹위치에서 상기 레버 및 상기 슬라이드 락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락의 일 단에 걸림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락은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가 회동하면 상기 걸림턱과 접촉하면서 상기 레버를 상기 락킹위치로 위치시키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드 락이 수용되는 수용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락은 상기 수용바디의 일측에 걸림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용바디는,
    상기 본체 상에 상기 레버의 회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락의 슬라이드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과
    상기 가이드라인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의 단부가 장착되어 상기 레버를 상기 락킹위치로 고정시키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림턱과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락킹위치에서 상기 레버 및 상기 슬라이드 락을 고정하도록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고정턱과,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레버에 장착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방지턱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락은,
    상기 레버가 상기 락킹위치에 고정되면, 상기 고정턱이 장착되는 장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버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락킹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레버와 상기 슬라이드 락의 방향을 동시에 고정시키는 상단핸들과,
    상기 상단핸들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장착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턱과 상기 방지턱이 형성된 장착브릿지와,
    상기 상단핸들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레버에 장착된 상기 고정부가 상기 레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단부가 형성된 중심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130125070A 2013-10-21 2013-10-21 커넥터 KR101479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070A KR101479054B1 (ko) 2013-10-21 2013-10-21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070A KR101479054B1 (ko) 2013-10-21 2013-10-21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054B1 true KR101479054B1 (ko) 2015-01-07

Family

ID=5258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070A KR101479054B1 (ko) 2013-10-21 2013-10-21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0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6264A1 (en) * 2016-02-10 2017-08-16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with identification feature
CN107453145A (zh) * 2017-08-07 2017-12-08 浙江永贵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二次锁紧机构
EP3467959A1 (en) * 2017-10-05 2019-04-10 Tyco Electronics Japan G.K.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210083857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EP3876361A1 (en) * 2020-03-03 2021-09-0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Housing assembly for a connector, method for releasing a connection between a connector and a mating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3639A (ja) * 2001-01-04 2002-07-19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060089031A1 (en) 2003-03-28 2006-04-27 Flowers Robert J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with CPA member
KR20070100929A (ko) * 2005-03-15 2007-10-12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위치 확정 장치를 구비하는 레버 결합식 커넥터 어셈블리
US7384285B2 (en) 2006-02-21 2008-06-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latching and overstress mechanis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3639A (ja) * 2001-01-04 2002-07-19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060089031A1 (en) 2003-03-28 2006-04-27 Flowers Robert J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with CPA member
KR20070100929A (ko) * 2005-03-15 2007-10-12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위치 확정 장치를 구비하는 레버 결합식 커넥터 어셈블리
US7384285B2 (en) 2006-02-21 2008-06-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latching and overstress mechanism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6264A1 (en) * 2016-02-10 2017-08-16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with identification feature
US9748693B1 (en) 2016-02-10 2017-08-29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with identification feature
JP2017162797A (ja) * 2016-02-10 2017-09-14 ヤザキ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識別用の特徴を用いるコネクタの位置保証法
CN107453145A (zh) * 2017-08-07 2017-12-08 浙江永贵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二次锁紧机构
CN107453145B (zh) * 2017-08-07 2023-05-16 浙江永贵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二次锁紧机构
EP3467959A1 (en) * 2017-10-05 2019-04-10 Tyco Electronics Japan G.K.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0297945B2 (en) 2017-10-05 2019-05-21 Tyco Electronics Japan G.K.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210083857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KR102342856B1 (ko) 2019-12-27 2021-12-24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EP3876361A1 (en) * 2020-03-03 2021-09-0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Housing assembly for a connector, method for releasing a connection between a connector and a mating connector
DE102020202727A1 (de) 2020-03-03 2021-09-0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Gehäuseanordnung für einen Stecker, Verfahren zum Lösen einer Verbindung zwischen einem Stecker und einem Gegenstecker
US11777247B2 (en) 2020-03-03 2023-10-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Housing assembly for a connector, method for releasing a connection between a connector and a mating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54B1 (ko) 커넥터
JP440516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半体組立体
EP2500990B1 (en) Electric connector
US9281614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members
US709051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JP3194306U (ja) 取り出しやすいカードコネクタ
TWM604975U (zh) 第一連接器、第二連接器及電連接器組合
JP5634179B2 (ja) 保持部材及び組立体
JP2004220970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H11273787A (ja) コネクタ
US20170150634A1 (en) Handle assembly and server having the same
WO2014198928A1 (en) Plug and connector arrangement
US20170149168A1 (en) Dust-proof cove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US10665989B2 (en) Connector including a catching portion that catches an elastic locking portion of a mating connector, and an unlocking member to release the elastic locking portion
TW201628281A (zh) 具有鎖扣與解鎖機構的連接器
JP2019102442A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KR101581893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2016019742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holding member
US9093787B2 (en) Latching connector assembly
CN115275695A (zh) 免扎线网络模块、压线盖
KR101820142B1 (ko) 커넥터 분리 방지장치
JPH1126086A (ja) コネクタ
JP2001351738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KR101891043B1 (ko) 크레이들, 및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
CN217882098U (zh) 免扎线网络模块、压线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