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263A -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263A
KR20180031263A KR1020160119485A KR20160119485A KR20180031263A KR 20180031263 A KR20180031263 A KR 20180031263A KR 1020160119485 A KR1020160119485 A KR 1020160119485A KR 20160119485 A KR20160119485 A KR 20160119485A KR 20180031263 A KR20180031263 A KR 20180031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item
image information
deliv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945B1 (ko
KR101863945B9 (ko
Inventor
고봉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브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브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브원
Priority to KR102016011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9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945B1/ko
Publication of KR10186394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94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은 연속하여 배송되는 복수의 배송물품 중 적어도 하나의 배송물품과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 장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여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와 상기 배송물품에 대한 운송장 정보에 따른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오배송 여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의 배송을 위한 기존의 정보와 택배 시스템의 운영 환경의 특징을 이용하여 오배송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택배 시스템의 적용이 유리하며, 택배 기사의 업무는 과중 되지 않으면서 수취인의 부재시에 따른 배송 물품의 분실 우려를 덜 수 있으며, 수취인으로 하여금 물품의 오배송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Method for shipping confirmation of goods and serv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산업에 걸쳐서 상품 가격의 투명성, 정보의 풍부함, 비용의 절감 등의 장점에 의해 온라인 시장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시장의 증가로, 소비자들이 직접 물품을 확인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물품의 정보를 확인하고 주문에서 결제까지 수행하고 있다.
온라인 시장에서 주문된 물품은 배송사사의 배송 시스템을 통해 직접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로 배송되고 있다. 다만, 급격한 온라인 시장의 증가에 비하여 배송 시스템의 물리적인 한계에 의해 물품의 배송이 지연되거나, 물품 자체가 바뀌거나 없어지는 오배송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배송사는 자신이 배송을 지연하여 운송물이 변질되어 소비자에게 피해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배상을 해주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운송물이 특정기일 이전에 목적지에 도착 하여야만 운송물의 가치가 제대로 실현되는 경우, 배송이 지연되어 가치를 훼손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택배회사가 운송물을 분실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되며, 택배회사는 그에 따른 손해를 배상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택배회사는 운송물의 파손, 훼손, 배송지연 등으로 인하여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 그 배상조건, 배상범위 등에 관해서는 택배표준약관을 정하고 손해배상액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으나, 수취인이 부재인 경우 실질적인 과실의 책임과 범위를 명확히 파악하기 힘든 현실적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의 손해 배상 시스템에서 택배 회사는 자신의 과실임에도 불구하고 운송물 가액의 일부에 해당하는 금액만 지급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는 택배 기사는 수취인의 부재에 따라 운송물을 수취인이 원하는 장소에 배송하고도, 유실됨에 따른 배상액으로 운송물 가액의 전부를 지급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손해의 배상 시 택배회사 및 소비자의 양측의 과실의 정도를 파악하고, 합리적인 손해 배상 액을 책정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6-0015765(공개일 2016.02.15)은 수취인 단말과 배송지를 방문한 배송인 단말 사이에서 수취인 단말로부터 배송지 사진을 등록 받고, 등록된 배송지 사진의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의 사진을 배송인 단말로부터 전송 받으면, 상품의 배송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다만, 이는 수취인 단말로부터 배송지 사진을 직접 받아야 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바 오배송이 발생하는 원인인 택배 기사의 업무를 절감시키기 보다는 더욱 과중시키므로 현실적인 적용에 문제가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배송이 발생하는 원인인 배송 업무를 과중 시키지 않으면서, 수취인으로 하여금 물품의 오배송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정보 없이 물품의 배송을 위한 기존의 정보와 배송 시스템의 운영 환경의 특징 만을 이용하여 물품의 오배송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물품의 오배송 여부를 확인된 상황에 따라 구분하여 확률 값으로 정하고 이에 따른 물품의 배상액을 결정하도록 하여, 오배송에 따른 배상액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은 연속하여 배송되는 복수의 배송물품 중 적어도 하나의 배송물품과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 장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여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와 상기 배송물품에 대한 운송장 정보에 따른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오배송 여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와 상기 배송물품의 이전 또는 이후에 배송된 배송물품을 포함하는 전후 이미지 정보 중 연속하는 적어도 두개의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시간 정보와 상기 운송장 정보에 따른 배송 예상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에 따른 촬영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시간 정보에 따른 촬영 시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연속하는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 가능한 촬영 위치 정보 이력 또는 촬영 시간 정보 이력과 상기 운송장 정보로부터 추출 가능한 배송 목적지 정보 이력을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연속하는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 가능한 촬영 위치 정보 이력 또는 촬영 시간 정보 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송 위치 정보와 상기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을 위한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위치 정보, 상기 배송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차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오배송 여부의 결과를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구분하여 오배송 확률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오배송 확률에 따라 상기 배송물품의 유실 배상금을 책정하여 상기 책정된 유실 배상금액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송물품의 오배송 확인 서버는 연속하여 배송되는 복수의 배송물품 중 적어도 하나의 배송물품과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 장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여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와 상기 배송물품에 대한 운송장 정보에 따른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오배송 여부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확인부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와 상기 배송물품의 이전 또는 이후에 배송된 배송물품을 포함하는 전후 이미지 정보 중 연속하는 적어도 두개의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인부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시간 정보와 상기 운송장 정보에 따른 배송 예상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을 위한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확인부는 상기 촬영 위치 정보, 상기 배송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차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공부는, 상기 확인된 오배송 여부의 결과를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구분하여 오배송 확률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공부는, 상기 산출된 오배송 확률에 따라 상기 배송물품의 유실 배상금을 책정하여 상기 책정된 유실 배상금액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연속하여 배송되는 복수의 배송물품 중 적어도 하나의 배송물품과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 장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여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와 상기 배송물품에 대한 운송장 정보에 따른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오배송 여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의 배송을 위한 기존의 정보와 택배 시스템의 운영 환경의 특징을 이용하여 오배송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택배 시스템의 적용이 유리하며, 택배 기사의 업무는 과중 되지 않으면서 수취인의 부재시에 따른 배송 물품의 분실 우려를 덜 수 있으며, 수취인으로 하여금 물품의 오배송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의 오배송 여부를 확인된 상황에 따라 구분하여 확률 값으로 정하고 이에 따른 물품의 배상액을 결정하도록 하여, 오배송에 따른 배상액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배상액을 지불하는 주체의 불필요한 금전적 손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품의 배송확인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품의 배송확인 방법을 수행하는 구성의 동작 시점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품의 배송확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품의 배송확인 방법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품의 배송확인 방법에서 제공되는 결과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품의 배송확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외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을 위한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배송물품(5)과 배송물품(5)을 배송하는 배송인(10), 배송인 측 단말(15), 오배송 확인 서버(100), 배송사 서버(200), 및 오배송 확인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인(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송물품(5)은 사용자의 주문에 따라 택배 회사를 통해 배송되는 모든 물품을 포함한다. 배송물품(5)의 종류는 불문하며, 수취인의 배송주소로 직접 배송되는 모든 물품, 상품권, 및 기타 수탁 가능한 운송물을 포함한다.
또한 배송물품(5)은 운송에 적합하도록 포장 된 형태가 가능하므로, 포장 용기 내부에 물품이 수용된 경우, 물품과 포장용기 모두를 배송물품(5)으로 볼 수 있다.
배송인 측 단말(15)은 휴대폰, 태블릿, PDA, 노트북, PC 및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등 상용 가능한 UE를 통칭한다.
배송인 측 단말(15)은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배송사 서버(200) 또는 수신자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기술의 일례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배송인 측 단말(15)은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송물품(5)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정보(50)를 저장 및 관리한다.
촬영된 이미지 정보(50)는 통신 모듈을 통해 배송 확인 서버(100)에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배송 확인 서버(100)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 확인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배송인 측에서 송신한 이미지 정보(50)를 수신하고 이와 비교를 위한 비교 데이터로 운송장 정보(60)를 배송사 서버(200)를 통해 수신한다.
오배송 확인 서버(100)는 수신된 이미지 정보(50)와 운송장 정보(60)를 비교하여, 배송물품(5)의 오배송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를 수신인(20)에게 송신해 준다.
이때, 수신인(20)은 직접 배송물품(5)을 수신하는 수취인일 수 있다. 또는 확인된 오배송 여부는 배송사 서버(200)의 배송 확인자에게 송신될 수 있는 바, 이때 수취인은 배송사 서버(200)의 배송 확인자일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오배송 여부의 결과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등급 또는 가능성에 따른 확률 값으로 결정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오배송 여부의 결과를 배송물품(5)의 오배송에 따른 손해를 배상하는 보험사, 또는 배송사 서버(200)의 손해 산정인 일 수 도 있다.
또한, 수신인(20) 역시, 오배송 여부의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오배송 확인 서버(100)에 제공하고, 오배송 확인 서버(100)는 배송인 측 단말(15)이 이를 즉시 확인하여, 오배송인 경우 배송인(10)이 배송물품을 정확한 위치에 옮길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오배송 확인 서버(100)의 개입 없이 피드백을 즉시 배송인 측 단말(15)에 제공하여, 즉각적인 배송의 정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서 배송사 서버(200), 오배송 확인 서버(100), 수신인(20)은 모두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주체로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인터넷 기술, 유선 인터넷 기술, 근거리 통신 기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 또는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송 확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상술한 도 1에 따른 장치들을 통한 배송 확인을 위한 장치들 간의 정보 송수신 시점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송인 측 단말(15)은 배송물품(5)을 촬영하고 이미지 정보(50)를 획득한다(S10).
이때, 이미지 정보(50)는 배송물품(5)뿐 아니라, 배송물품(5)이 놓여진 위치(7)를 포함하는 정보 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배송인(10)은 수취인의 주소 정보에 따라 배송물품(5)을 직접 배송하여야 하나, 수취인의 부재나 기타 다른 이유로 직접 수취인에게 물품을 전달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때 배송인(10)은 수취인이 원하는 장소 또는 미리 약속된 장소(7)에 배송물품(5)을 두게 된다.
이때, 수취인의 부재 상황에서 배송물품(5)은 멸실, 훼손 등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문제에 대한 책임의 소재를 판단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송 확인 방법은 배송물품(5)의 도착시간과 도착장소를 증명하기 위하여 배송인 측 단말(15)을 통하여 배송물품(5)과 함께 배송물품(5)이 놓여진 장소를 함께 촬영한 이미지 정보(50)를 이용한다.
배송인 측 단말(15)은 촬영된 이미지 정보(50)를 오배송 확인 서버(100)에 송신하고(S12), 배송사 서버(200)는 운송장 정보(60)를 오배송 확인 서버(100)에 송신한다(S14).
도 2에서 운송장 정보(60)를 송신하는 것을 배송인 측 단말(15)이 이미지 정보(50)를 송신한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시스템 상황에 따라 미리 운송장 정보(60)를 오배송 확인 서버(100)가 수신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한 뒤, 이미지 정보(50)가 송신되면 비교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오배송 확인 서버(100)는 이미지 정보(50)와 운송장 정보(60)를 수신하면 이미지 정보(50)에 포함된 부가 정보와 운송장 정보(60)를 비교하여 배송인(10)이 정확한 위치에 배송물품(5)을 두었는지를 확인한다(S16).
다음, 비교 결과에 따라 오배송 여부 확인 결과를 생성하여 수신인(20) 측에 제공해 준다(S18).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확인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연속하여 배송되는 복수의 배송물품(5) 중 적어도 하나의 배송물품(5)과 배송물품(5)의 배송 장소(7)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여 촬영된 이미지 정보(50)를 수신한다(S100).
일반적으로, 배송인(10)은 배송업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한번에 많은 물품을 배송하며 배송인(10)은 복수의 배송물품(5)을 도착주소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송하게 된다.
즉, 순차적인 배송 과정 속에서 일부 배송물품(5)은 직접 수취인에게 전달되며 일부 배송물품(5)은 수취인의 부재와 같이 직접 전달이 어려운 상황에서 도착주소지의 근처에 두거나 주택이나 상가를 관리하는 관리실에 수탁하게 된다.
이때, 수취인에게 직접 전달되지 못하는 배송물품(5)에 대해서 배송인(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송물품(5)이 수탁 되는 장소(7)와 함께 배송물품(5)을 촬영하고 이를 오배송 확인 서버(100)에 송신한다.
송신된 이미지 정보(50)를 오배송 확인 서버(100)가 수신하면(S100), 수신된 이미지 정보(50)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와 배송물품(5)에 대한 운송장 정보(60)에 따른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배송물품(5)의 오배송을 확인한다(S200).
이미지 정보(50)는 메타데이터로 촬영 시 사용되는 카메라 자체의 정보와 촬영 당시의 시간, 노출, 플래시 사용 여부, 해상도, 사진 크기 등의 사진 정보를 화상 데이터와 같이 저장하게 된다. 또한, GPS나 다른 부가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인식되는 위치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송 확인 방법은 수신된 이미지 정보(50)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운송장 정보(60)와 비교하는 것을 통해 오배송을 확인한다(S200).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이미지 정보(50)에 포함된 메타데이터 중 촬영 위치에 대한 정보(52)와 운송장 정보(60)에 포함된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예시한다.
배송인(10)이 배송물품(5)과 배송물품(5)이 놓여진 장소(7)를 포함하는 사진을 촬영 시, 화상 데이터(50)와 함께 촬영 위치에 대한 정보(52)도 함께 생성되어 이미지 정보(50)로 저장되게 된다.
즉, 촬영 위치 정보(52)는 배송인 측 단말(15)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인식된 정보일 수 있으며, 촬영 위치 정보(52)는 이미지 정보(50)의 촬영 위치를 정의하는 메타데이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영 위치 정보(52)는 위도와 경도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위도와 경도에 따라 결정된 지점을, 운송장 정보(60)에 포함된 배송 목적지 정보로서 받는 분의 주소란에 기재된 주소(62)에 대응되는 지점이 서로 동일한지 비교한다.
이때, 받는 분의 주소는 운송장과 관련된 표준에 따른 예시로서, 수취인이 배송 받고자 하는 위치 정보가 기재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정보(50)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는 GPS 외 통신 기지국을 기반으로 측정된 값일 수 도 있다.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를 이용하는 경우 통신 기지국을 기준으로 거리를 측정하여 지점을 판단하므로 오차가 수 Km로서 GPS에 비해 오차가 크다는 단점이 있으나, 중계기 등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나 지하 등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GPS와 통신 기지국 기반의 측정값을 결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위치 정보는 실내 위치 추적을 위하여 실시간 위치추적 서비스 혹은 시스템(RTLS, Real-Time Locating Service(System))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Wi-Fi(IEEE 802.11b), Zigbee(IEEE 802.15.4), UWB, 블루투스(Bluetooth), RFID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위치 추적을 위한 기법은 기지국 셀ID를 이용하거나, 3개 이상의 AP(Access Point)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의 위치를 계산하는 삼각법, 실내를 작은 공간으로 구분하고 각 공간에서 해당 공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와 수신 각도를 데이터베이스로 기록해 저장한 후 이를 실제 수신하는 신호와 비교, 위치를 파악하는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기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용되는 기법은 불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확인하는 단계(S200)는, 수신된 이미지 정보(50)에 포함된 촬영 시간 정보(54)와 운송장 정보(60)에 따른 배송 예상 시간 정보(64)를 비교하여 배송물품(5)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운송장 정보(60)는 배송물품(5)의 운송 기록(64)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운송 기록(64)은 시간에 따른 물품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통해 배송사 서버(200)는 수취인에게 배송 예상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제공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확인하는 단계(S200)는 운송장 정보(60)에 의해 산출된 배송 예상 시간 정보(64)와 수신된 이미지 정보(50)에 포함된 촬영 시간 정보(54)를 서로 비교한다.
비교 결과 배송 예상 시간 정보와 촬영 시간 정보가 동일하거나 일정 시간 간격 범위 이내인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배송을 확인한다.
또한, 이미지 정보(50)의 메타데이터는 촬영 시간 정보 외에 이미지가 수정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므로, 임의로 이미지를 수정하는 경우 이미지의 수정이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송인(10)이 임의로 배송 정보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인하는 단계(S200)는, 수신된 이미지 정보(50)와 배송물품(5)의 이전 또는 이후에 배송된 배송물품(5)을 포함하는 전후 이미지 정보(50', 50'') 중 연속하는 적어도 두개의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배송물품(5)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송 확인 방법은 헌재 배송물품(5)에 대하여 촬영된 이미지 정보(50)와 운송장 정보(60)를 일대일로 비교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이전 또는 이후에 배송된 배송물품(5)의 이미지 정보(50', 50'')를 함께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배송 시스템의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물품의 배송은 지역을 기준으로 순차 배송되므로, 이전에 배송된 물품과 이후에 배송된 물품의 물리적 거리는 근접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송 확인 방법은 이전 이미지 정보(50')와 이후 이미지 정보(50'')를 함께 비교하여 오배송 여부를 더욱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먼저 현재 이미지 정보(50)와 이전 이미지 정보(50')의 촬영 위치 정보를 비교하거나, 현재 이미지 정보(50)와 이후 이미지 정보(50'')의 촬영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그 공간적 거리가 근접한 경우 배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확인 하는 단계(S200)는 일련의 이미지 정보(50) 들 중에서 순차적으로 연속하는 적어도 두개의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에 따른 촬영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배송물품(5)의 오배송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와 함께 적어도 두개의 이미지 정보(50)에 포함된 촬영 시간 정보에 따른 촬영 시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배송물품(5)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송 확인 방법은 이미지 정보(50) 간의 비교 뿐만 아니라 이미지 정보(50)의 이력과 운송장 정보(60)의 이력을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확인하는 단계(S200)는 적어도 두개의 연속하는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 가능한 촬영 위치 정보 이력 또는 촬영 시간 정보 이력과 운송장 정보(60)로부터 추출 가능한 배송 목적지 정보 이력을 비교하여 배송물품(5)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수행된 비교에 따른 오배송 확인 결과를 이용하여, 이전의 오배송 확인 결과가 정배송으로 확인된 경우 이를 현재의 오배송 확인 결과에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반영은 가중치를 통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확인하는 단계(S200)는 이미지 정보(50) 간의 거리차이, 시간차이, 오배송 확인 결과의 이력 들을 모두 가중치에 따른 수식으로 결정하고, 그에 따른 오배송의 확률 값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확인하는 단계(S200)는 도 6과 같이 이력 정보들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보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적어도 두개의 연속하는 이미지 정보(50)로부터 추출 가능한 촬영 위치 정보 이력 또는 촬영 시간 정보 이력을 이용하여 배송물품(5)의 배송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와 같이 배송장소가 밀집된 지역을 배송하는 경우에는 GPS나, 다른 장치를 통해 수행된 위치 정보의 오차에 의해 장소를 구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촬영 시간 정보의 이력과 배송 주소를 비교하여 배송인(10)의 아파트 동간 이동 시간, 층간 이동 시간, 또는 동일 층 내에서 호수간 이동시간의 평균을 산출하고, 이를 통해 측정된 위치 정보를 수정 또는 보완하여 배송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배송인(10)이 배송에 이용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70)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의 위치 정보를 함께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차량의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의 GPS기록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S100)는 배송물품(5)의 배송을 위한 차량 위치 정보(70)를 수신하고, 확인하는 단계(S200)는 촬영 위치 정보, 배송 목적지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70)를 이용하여 배송물품(5)의 오배송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미지 정보(50)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는 일정 거리를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 있으며, 그룹별 위치 정보의 이력은 차량의 위치 정보 이력에 대응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은 시동을 켜고 끄는 것에 의해 네비게이션 장치가 켜고 꺼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위치 정보(70)의 송신 시점을 네비게이션 장치가 켜지는 순간 통신 모듈을 통해 오배송 확인 서버(100)에 송신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방식을 통해 송신되는 차랑 위치 정보는 그룹별 위치 정보와 대응되게 된다.
일반적인 배송업무는 일정 거리의 구역을 기준으로 수행되며, 수행과정에서 구역과 구역을 이동해야 하는 경우 배송인(10)은 차량을 통해 이동하면서 배송 업무를 수행하게 되며, 일정 거리 내에서는 차량이 아닌 도보로 배송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보로 배송하며 촬영한 이미지 정보(50)의 촬영 위치 정보들은 일정 거리 내로 그룹화 될 수 있으며, 이 때 그룹화된 위치 정보들은 상술한 구역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그룹화된 위치 정보들의 그룹별 이력은 차량의 위치 정보 이력에 대응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확인하는 단계(S200)는 이를 이용하여 배송물품(5)의 오배송을 확인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배송물품(5)의 배송 확인 방법은 확인된 오배송 여부를 제공한다(S300).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대상은 수취인, 배송사 서버(200) 또는 제3의 임의의 주체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S300)는 확인된 오배송 여부의 결과를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구분하여 오배송 확률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산출된 오배송 확률은 배송물품(5)의 유실, 훼손 등에 따른 배상금의 책정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를 참조하면, 오배송 확률이 15%라고 결정된 경우 물품가액에 대하여 오배송 확률을 곱하여 유실 배상금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가액이 20만원인 경우 유실 배상금은 3만원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배송사 또는 배송인(10)이 배송물품(5)에 따른 보험 계약을 보유하는 경우에는 오배송 확률을 보험사 서버로 송신하고 이를 통해 과실책임이 없는 것으로 결정된 가액으로 17만원을 지급해야 함을 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공하는 단계(S300)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배송 확인 방법은 수신인(20)으로부터 제공된 오배송 여부의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받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신인으로부터 피드백을 제공 받고, 오배송 확인 서버(100)는 배송인 측 단말(15)에 이를 즉시 전달하여, 오배송인 경우 배송인(10)이 배송물품을 정확한 위치에 옮길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물품(5)의 배송 확인 방법을 수행하는 오배송 확인 서버(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배송 확인 서버(100)는 수신부(110), 확인부(120), 제공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부(110)는 연속하여 배송되는 복수의 배송물품(5) 중 적어도 하나의 배송물품(5)과 배송물품(5)의 배송 장소(7)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여 촬영된 이미지 정보(50)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부(110)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배송인 측 단말(15)과 같이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배송인 측 단말(15), 배송사 서버(200), 수신인(20) 간의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 확인부(120)는 수신된 이미지 정보(50)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와 배송물품(5)에 대한 운송장 정보(60)에 따른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배송물품(5)의 오배송을 확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정보(50)의 메타데이터로, 촬영 위치 정보 촬영 시간 정보와 운송장 정보(60)의 배송 목적지 정보, 배송 예산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오배송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이전 이후 이미지 정보(50', 50'')를 통한 이력과 배송에 이용되는 차량의 위치 정보(70)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부(130)는 확인된 오배송 여부를 제공한다.
이때 제공하는 것은 확인된 오배송 여부를 미리 결정된 출력 양식에 따라 결과 값으로 생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생성된 오배송 확인 결과 값은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인(20) 측으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오배송 확인 결과 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오배송 확률 값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형태로 유실 배상금 또는 보험금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오배송 확인 서버(100)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통해,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배송사 서버(200)의 역할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기록 매체로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연속하여 배송되는 복수의 배송물품 중 적어도 하나의 배송물품과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 장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여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와 상기 배송물품에 대한 운송장 정보에 따른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오배송 여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와 상기 배송물품의 이전 또는 이후에 배송된 배송물품을 포함하는 전후 이미지 정보 중 연속하는 적어도 두개의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시간 정보와 상기 운송장 정보에 따른 배송 예상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에 따른 촬영 위치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시간 정보에 따른 촬영 시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연속하는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 가능한 촬영 위치 정보 이력 또는 촬영 시간 정보 이력과 상기 운송장 정보로부터 추출 가능한 배송 목적지 정보 이력을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연속하는 이미지 정보로부터 추출 가능한 촬영 위치 정보 이력 또는 촬영 시간 정보 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송 위치 정보와 상기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을 위한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위치 정보, 상기 배송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차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오배송 여부의 결과를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구분하여 오배송 확률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오배송 확률에 따라 상기 배송물품의 유실 배상금을 책정하여 상기 책정된 유실 배상금액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11. 연속하여 배송되는 복수의 배송물품 중 적어도 하나의 배송물품과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 장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여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와 상기 배송물품에 대한 운송장 정보에 따른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오배송 여부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오배송 확인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와 상기 배송물품의 이전 또는 이후에 배송된 배송물품을 포함하는 전후 이미지 정보 중 연속하는 적어도 두개의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오배송 확인 서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시간 정보와 상기 운송장 정보에 따른 배송 예상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오배송 확인 서버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을 위한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확인부는 상기 촬영 위치 정보, 상기 배송 목적지 정보 및 상기 차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오배송 확인 서버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확인된 오배송 여부의 결과를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구분하여 오배송 확률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오배송 확인 서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산출된 오배송 확률에 따라 상기 배송물품의 유실 배상금을 책정하여 상기 책정된 유실 배상금액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오배송 확인 서버
  17. 연속하여 배송되는 복수의 배송물품 중 적어도 하나의 배송물품과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 장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여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와 상기 배송물품에 대한 운송장 정보에 따른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오배송 여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며,
    연속하여 배송되는 복수의 배송물품 중 적어도 하나의 배송물품과 상기 배송물품의 배송 장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여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와 상기 배송물품에 대한 운송장 정보에 따른 배송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배송물품의 오배송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오배송 여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한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160119485A 2016-09-19 2016-09-19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1863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485A KR101863945B1 (ko) 2016-09-19 2016-09-19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485A KR101863945B1 (ko) 2016-09-19 2016-09-19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263A true KR20180031263A (ko) 2018-03-28
KR101863945B1 KR101863945B1 (ko) 2018-06-01
KR101863945B9 KR101863945B9 (ko) 2022-05-23

Family

ID=6190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485A KR101863945B1 (ko) 2016-09-19 2016-09-19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94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3811A (zh) * 2020-12-17 2021-04-06 长沙格力暖通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配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57108B1 (ko) * 2020-07-03 2021-05-27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1261650A1 (ko) * 2020-06-24 2021-12-30 쿠팡 주식회사 배송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61652A1 (ko) * 2020-06-24 2021-12-30 쿠팡 주식회사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29978B2 (en) 2020-06-24 2022-08-30 Coupang Corp. Delivery status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WO2022255552A1 (ko) * 2021-06-04 2022-12-0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23033214A1 (ko) * 2021-09-03 2023-03-09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23239173A1 (ko) * 2022-06-10 2023-12-14 렉스젠(주)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896A (ko) * 2014-05-12 2015-11-23 배형준 물품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31473A (ko) * 2014-05-14 2015-11-25 (주)온세통신 서비스 제공전후 mms서비스를 이용하여 제품검증자료를 제공하는 배달배송검증방법
JP5942173B2 (ja) * 2014-11-05 2016-06-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商品モニタリング装置、商品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商品モニタリ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896A (ko) * 2014-05-12 2015-11-23 배형준 물품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31473A (ko) * 2014-05-14 2015-11-25 (주)온세통신 서비스 제공전후 mms서비스를 이용하여 제품검증자료를 제공하는 배달배송검증방법
JP5942173B2 (ja) * 2014-11-05 2016-06-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商品モニタリング装置、商品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商品モニタリング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650A1 (ko) * 2020-06-24 2021-12-30 쿠팡 주식회사 배송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61652A1 (ko) * 2020-06-24 2021-12-30 쿠팡 주식회사 배송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58780A (ko) * 2020-06-24 2021-12-31 쿠팡 주식회사 배송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29978B2 (en) 2020-06-24 2022-08-30 Coupang Corp. Delivery status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102257108B1 (ko) * 2020-07-03 2021-05-27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126952B1 (en) 2020-07-03 2021-09-21 Coupang Corp.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2004934A1 (ko) * 2020-07-03 2022-01-06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04550A (ko) * 2020-07-03 2022-01-11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613811A (zh) * 2020-12-17 2021-04-06 长沙格力暖通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配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255552A1 (ko) * 2021-06-04 2022-12-0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23033214A1 (ko) * 2021-09-03 2023-03-09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23239173A1 (ko) * 2022-06-10 2023-12-14 렉스젠(주) 간략 배송 주소를 제공하는 배송 업무 지원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945B1 (ko) 2018-06-01
KR101863945B9 (ko) 202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945B1 (ko)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US20180144298A1 (en) Tracking shipping using blockchain
US20220108270A1 (en) Transitioning items from a materials handling facility
US10643170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product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US7385499B2 (en) Item-base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9916561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devices for tracking inventory
RU2603554C2 (ru) Пункты получения товаров
US117559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boxes used in the delivery of packages
US20090125425A1 (en) Auditable merchandise delivery using an electronic bill of lading
KR20160012989A (ko) 어텐디드 장소들에서의 물품 픽업의 관리
KR20210112985A (ko) Erp 재고관리 시스템
JP4969232B2 (ja) 資材ロケ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資材搬入場所選別方法
CN107203858B (zh) 配送时间确定方法和装置
KR20180045511A (ko)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TW202242732A (zh) 提供關於訂單資訊之電子設備的操作方式及支援該操作方式之電子設備
TW201426602A (zh) 電子購物系統及方法
US1010892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transportation relays
US11922364B2 (en) Geo-verified delivery system
CN111612386A (zh) 运输状态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存储介质
KR20210058651A (ko)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N112744146A (zh) 基于车辆的包裹递送和对准系统和方法
JP2018180822A (ja) 倉庫管理サーバ、倉庫管理方法及び倉庫管理プログラム
KR20210023235A (ko) 물품배송의 확인방법
JP2015225440A (ja) 検収システム
DK3220327T3 (en) System for transporting objects using people in a community and using a space and time tra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