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256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256A
KR20180031256A KR1020160119464A KR20160119464A KR20180031256A KR 20180031256 A KR20180031256 A KR 20180031256A KR 1020160119464 A KR1020160119464 A KR 1020160119464A KR 20160119464 A KR20160119464 A KR 20160119464A KR 20180031256 A KR20180031256 A KR 20180031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mpressor
condenser
evaporato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283B1 (ko
Inventor
류병진
최재혁
박상일
김경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283B1/ko
Priority to EP17191590.3A priority patent/EP3296664B1/en
Publication of KR2018003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7/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cascade operation, i.e. with two or more circuits, the heat from the condenser of one circuit being absorbed by the evaporator of the next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25B31/004Lubrication oil recircul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3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9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11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expansion valve or capillary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6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1Fan speed control of condense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03Oil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5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냉매를 압축하는 제1 압축기와 상기 제1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1냉매를 응축하는 제1 응축기와 상기 제1 응축기를 통과한 제1냉매를 팽창시키는 제1 팽창기구와 상기 제1 팽창기구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1 증발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냉매의 순환을 통해 공조운전을 수행하는 공조사이클 회로와; 제2냉매를 압축하는 제2압축기와 상기 제2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2냉매를 응축하는 제2 응축기와 상기 제2 응축기를 통과한 제2냉매를 팽창시키는 제2 팽창기구와 상기 제2 팽창기구를 통과한 제2냉매를 증발시키는 제2 증발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2냉매의 순환을 통해 저장된 식품을 냉각하는 냉각사이클 회로와; 상기 제1 응축기를 통과한 제1냉매와 상기 제2 응축기를 통과한 제2냉매를 열 교환하는 쿨링리시버와; 상기 제2 압축기를 통과한 제2냉매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제2 증발기를 통과한 제2냉매와 열교환하는 제1 바이패스 유닛과; 공기 조화기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상기 제1 바이패스 유닛이 상기 제2 압축기에서 토출된 제2 냉매와 상기 제2 증발기를 통과한 제2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를 냉방하는 공조사이클과, 식품을 냉각하는 냉각사이클 사이에 열교환을 통해 효율적인 운전을 하고, 압축기로 회수되지 못하는 냉동오일을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기구 및 실내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조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즉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성되는 경우,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에 따라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 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난방 절환밸브를 통과하여 실외열교환기로 유동을 하고, 실외열교환기는 응축기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후,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된다. 이때 실내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작용을 하게 되고, 실내열교환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다시 냉난방 절환밸브를 통과하여 압축기로 유입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난방 절환밸브를 통과하여 실내열교환기로 유동을 하고, 실내열교환기는 응축기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후, 실외열교환기로 유입된다. 이때 실외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작용을 하게 되고, 실외열교환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다시 냉난방 절환밸브를 통과하여 압축기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실내열교환기를 갖는 실내기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실내기 중 일부만 부분 부하로 운전될 수 있는데, 접속된 실내기 중 일부가 정지하는 경우 정지된 실내기의 실내열교환기 내부에 저압 가스 상태의 냉매가 존재하게 되고, 실내기의 접속 대수를 고려하여 냉매를 봉입하게 되면 비운전인 실내기의 냉매량이 실외열교환기로 이동되고, 냉매 순환 상태가 변하여 공조사이클에는 최적의 냉매량이 분포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난방 운전시 실외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의 기능이 바뀌는데, 실내기의 접속 대수에 따라 실외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의 체적 비율이 달라지고, 냉난방 운전 모드 변경에 따른 냉매량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공조사이클의 냉매량이 최적의 양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조사이클에는 냉매가 저장되는 리시버가 설치된다. 리시버는 공조사이클의 냉매량이 부족한 경우 저장된 냉매를 공조사이클로 유동시키고, 공조사이클의 냉매량이 과다한 경우 공조사이클의 냉매를 저장하여서, 공조사이클의 냉매량이 최적의 양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냉방 운전시에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과냉시키는 과냉각기가 설치된다. 상기 과냉각기는 상기 실외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어 인터쿨러로 작용한다.
한편, 최근의 대형 슈퍼마켓에는 식품을 저온상태로 보관하는 쇼케이스와 같은 저온보관기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저온보관기가 설치되는 건물에는 실내를 공조하는 공조사이클회로와, 상기 저온보관기를 냉각하는 냉각사이클회로가 통합된 복합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된다.
상기 복합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상기 과냉각기는 상기 냉각사이클회로의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와, 상기 공조사이클회로의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열교환시켜서, 상기 냉각사이클회로의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과냉시키고, 상기 공조사이크회로의 응축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과열시키는 효과를 얻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리시버 및 상기 과냉각기가 별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게 되고, 상기 리시버 및 과냉각기를 사이클회로로 구성하기 위한 냉매배관들이 과다하게 사용되어 구조가 복잡해짐과 아울러 원가상승을 초래하고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냉각사이클회로의 증발기는 쇼케이스에 배치되고, 응축기는 실외에 배치되게 된다.
냉각사이클회로를 구성하는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압축기로부터 냉매와 함께 토출되는 냉동 오일(Oil)이 적절하게 압축기로 회수되어서 압축기 내에 냉동오일의 고갈을 방지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에 사용되는 냉동오일 그 자체의 점도는 저온일 수록 커지게 된다. 냉각사이클회로의 쇼케이스에 사용되는 증발기에서 냉매의 온도는 -40℃ ~ -5℃ 정도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냉각사이클회로의 증발기의 토출단에서 압축기의 흡입단을 연결하는 가스관 내의 오일은 점도가 매우 높아지게 되고, 유동성이 저하되게 된다. 냉동오일은 가스관에 체류하게 되어 압축기로 회수되지 못하고, 압축기의 신뢰성은 저하된다.
또한,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가스관은 보통 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의 길이를 가지는 데, 가스관에 체류하는 냉동오일 때문에 설치 시에 가스관의 길이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10에서 도시하는 것처럼 압축기로 회수되지 못하는 대부분의 냉동오일은 가스관에 체류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과냉각기 및 리시버가 일체로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쿨링리시버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스관의 길이를 늘려서, 설치 자유도를 혁신하고, 효율이 향상되고, 압축기의 신뢰성이 향상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 압축기로 오일 회수를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제1냉매를 압축하는 제1 압축기와 상기 제1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1냉매를 응축하는 제1 응축기와 상기 제1 응축기를 통과한 제1냉매를 팽창시키는 제1 팽창기구와 상기 제1 팽창기구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1 증발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냉매의 순환을 통해 공조운전을 수행하는 공조사이클 회로와; 제2냉매를 압축하는 제2압축기와 상기 제2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2냉매를 응축하는 제2 응축기와 상기 제2 응축기를 통과한 제2냉매를 팽창시키는 제2 팽창기구와 상기 제2 팽창기구를 통과한 제2냉매를 증발시키는 제2 증발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2냉매의 순환을 통해 저장된 식품을 냉각하는 냉각사이클 회로와; 상기 제1 응축기를 통과한 제1냉매와 상기 제2 응축기를 통과한 제2냉매를 열 교환하는 쿨링리시버와; 상기 제2 압축기를 통과한 제2냉매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제2 증발기를 통과한 제2냉매와 열교환하는 제1 바이패스 유닛과; 공기 조화기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상기 제1 바이패스 유닛이 상기 제2 압축기에서 토출된 제2 냉매와 상기 제2 증발기를 통과한 제2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2가지 이상의 구성을 하나의 구성으로 병합하여서 컴팩트하고,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가격이 저렴해지고, 냉각효율이 상승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쇼케이스의 증발기의 온도가 너무 낮아서 발생되는 오일회수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쿨링리시버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및 냉각 운전이 동시에 수행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및 냉각 운전이 동시에 수행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각 운전만 수행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냉각 운전 및 오일회수 운전이 동시에 수행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냉각 운전 및 오일회수 운전이 동시에 수행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각 부품에 따른 오일 잔류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도면은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름과 같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공조사이클회로(1) 및 냉각사이클회로(2)를 포함한다. 공조사이클회로(1)는 실외에 설치되는 공조실외기(O1) 및 실내에 설치되는 공조실내기(I1)를 포함할 수 있고, 냉각사이클회로(2)는 실외에 설치되는 냉각실외기(O2) 및 실내에 설치되는 냉각실내기(I2)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사이클회로(1)는 실내를 공조(냉방/난방)할 수 있고, 냉각사이클회로(2)는 냉각실내기(I2) 내에 저장된 식품을 냉각(냉장/냉동)할 수 있다.
첫 번째로, 공조사이클회로(1)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조사이클회로(1)는 제1 압축기(11)와, 실외열교환기(13)와, 제1 팽창기구(14)(15)와 실내열교환기(1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조사이클회로(1)는 제1냉매를 압축하는 제1 압축기(11)와 제1 압축기(11)에서 압축된 제1냉매를 응축하는 제1 응축기와 상기 제1 응축기를 통과한 제1냉매를 팽창시키는 제1 팽창기구(14)(15)와 제1 팽창기구(14)(15)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1 증발기를 포함하고, 제1 증발기를 통과한 제1 냉매는 다수 제1 압축기(11)로 공급된다.
공조사이클회로(1)는 냉방 운전시에, 냉매가 제1 압축기(11)와 실외열교환기(13)와 제1 팽창기구(14)(15)와 실내열교환기(16)와 제1 압축기(11)의 순서로 순환할 수 있다. 공조사이클회로(1)는 냉방 운전시에, 실외열교환기(13)는 제1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고, 실내열교환기(16)는 제1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공조사이클회로(1)는 난방 운전시에, 냉매가 제1 압축기(11)와 실내열교환기(16)와 제1 팽창기구(14)(15)와 실외열교환기(13)와 제1 압축기(11)의 순서로 순환할 수 있다. 공조사이클회로(1)는 난방 운전시에, 실외열교환기(13)는 제1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고, 실내열교환기(16)는 제1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공조사이클회로(1)는 냉방 운전시에 냉매가 제1 압축기(11)와 실외열교환기(13)와 제1 팽창기구(14)(15)와 실내열교환기(16)를 순환하게 하고, 난방 운전시에 냉매가 제1 압축기(11)와 실내열교환기(16)와 제1 팽창기구(14)(15)와 실외열교환기(13)를 순환하게 하는 냉난방 절환밸브(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축기(11)는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토출할 수 있다. 제1 압축기(11)는 복수개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압축기(11)에는 냉매가 제1 압축기(11)로 흡입되는 흡입유로(11a)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압축기(11)에는 제1 압축기(11)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1b)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압축기(11)가 병렬로 연결될 경우 흡입유로(11a)는 복수개의 제1 압축기(11)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토출유로(11b)는 복수개의 제1 압축기(11)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13)는 냉방 운전시 제1 압축기(1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제1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13)는 난방 운전시 제1 팽창기구(14)(15)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제1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13)는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공기-냉매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열교환기(13)는 물이나 부동액 등의 열원수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수냉매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팽창기구(14)(15)는 실외열교환기(13)로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외 팽창밸브(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팽창기구(14)(15)는 실내열교환기(16)로 출입되는 냉매를 조절하는 실내 팽창밸브(1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14)는 실내 팽창밸브(15)와 실외열교환기(13)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열교환기(13)와 실내열교환기(16) 중 실외열교환기(13)에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14)는 냉방 운전시 냉매가 팽창되지 않고 난방 운전시 냉매가 팽창되게 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14)는 냉방시 풀 오픈될 수 있고, 난방시 설정 개도로 조절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14)는 실외열교환기(13)와 실내 팽창밸브(15) 사이의 냉매관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열교환기(13)와 실내 팽창밸브(15) 사이의 냉매배관에는 냉방 운전시 냉매가 실내 팽창밸브(15)를 향해 유동되게 하고 난방 운전시 냉매를 차단하여 냉매가 실외 팽창밸브(14)로 유동되게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실내 팽창밸브(15)는 실외열교환기(13)와 실내열교환기(16)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열교환기(13) 및 실내열교환기(16) 중 실내열교환기(16)에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6)는 냉방 운전시 제1 팽창기구(14)(15)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제1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6)는 난방 운전시 제1 압축기(1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제1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12)는 4방향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냉난방 절환밸브(12)는 제1 압축기(11)의 흡입유로(11a)를 통해 제1 압축기(11)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압축기(11)의 토출유로(11b)를 통해 제1 압축기(1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실외열교환기(13)의 흡입토출유로(13a)를 통해 실외열교환기(13)와 연결될 수 있고, 공조기관(17)을 통해 실내열교환기(16)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13) 및 실내열교환기(16)는 공조액관(18)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공조기관(17)에는 공조기관(17)을 개폐하는 공조기관밸브(17a)가 설치될 수 있고, 공조액관(18)에는 공조액관(18)을 개폐하는 공조액관밸브(18a)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공조사이클회로(1)는 냉난방 절환밸브(12)와 제1 압축기(11) 사이에 설치된 제1 어큐물레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어큐물레이터는 제1 압축기(11)의 흡입유로(11a)에 설치되어, 냉난방 절환밸브(12)에서 제1 압축기(11)를 향해 유동되는 냉매는 상기 제1 어큐물레이터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제1 어큐물레이터로 유입된 냉매 중 액냉매는 상기 제1 어큐물레이터 내에 쌓이고, 상기 제1 어큐물레이터로 유입된 냉매 중 기상냉매는 제1 압축기(11)로 흡입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냉각사이클회로(2)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각사이클회로(2)는 제2 압축기(21)와, 제2 응축기(23)와, 제2 팽창기구(25)와 제2 증발기(26)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사이클회로(2)는 제2냉매가 제2 압축기(21)와 제2 응축기(23)와 제2 팽창기구(25)와 제2 증발기(26)와 제2 압축기(21)의 순서로 순환할 수 있다.
제2 압축기(21)는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토출할 수 있다. 제2 압축기(21)는 복수개가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압축기(21)에는 냉매가 제2 압축기(21)로 흡입되는 흡입유로(21a)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압축기(21)에는 제2 압축기(21)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유로(21b)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압축기(21)가 병렬로 연결될 경우 흡입유로(21a)는 복수개의 제2 압축기(21)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토출유로(21b)는 복수개의 제2 압축기(21)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응축기(23)는 제2 압축기(2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킨다. 제2 응축기(23)는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공기-냉매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응축기(23)는 물이나 부동액 등의 열원수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수냉매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응축기(23)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2 응축기(23)에 외기를 공급하는 응축기 팬(23a)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2 팽창기구(25)는 제2 증발기(26)로 들어가는 냉매를 팽창시킨다. 제2 팽창기구(25)는 제2 응축기(23) 및 제2 증발기(26)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응축기(23) 및 제2 증발기 중 제2 증발기(26)에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증발기(26)는 제2 팽창기구(25)에서 팽창된 냉매를 냉각실내기(I2) 내의 공기와 열교환시켜서, 냉각실내기(I2) 내에 저장된 식품을 냉각시키면서 상기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제2 압축기(21)는 흡입유로(21a)를 통해 제2 증발기(26)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압축기(21)는 토출유로(21b)를 통해 제2 응축기(2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응축기(23) 및 제2 증발기(26)는 냉각 액관(26a)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는 흡입유로(21a)를 개폐하는 제1 흡입유로밸브(21b)가 설치되고, 냉각 액관(26a)에는 흡입유로(26a)를 개폐하는 제2 흡입유로밸브(26b)가 설치된다.
한편, 냉각사이클회로(2)는 제2 증발기(26)와 제2 압축기(21) 사이에 설치된 제2 어큐물레이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어큐물레이터(70)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 설치되어, 제2 증발기(26)에서 제2 압축기(21)를 향해 유동되는 냉매는 제2 어큐물레이터(70)로 유입될 수 있고, 제2 어큐물레이터(70)로 유입된 냉매 중 액냉매는 제2 어큐물레이터(70) 내에 쌓이고, 제2 어큐물레이터(70)로 유입된 냉매 중 기상냉매는 제2 압축기(21)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를, 실내열교환기(16) 및 실외열교환기(13) 중 제1 응축기로 기능하는 것을 통과한 냉매와 열교환하여, 저장하는 쿨링리시버(50)를 더 포함한다. 쿨링리시버(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에서 후술한다.
실시예는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기 온도센서(83)는 외부의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서 제어유닛(90)에 제공한다.
실시예는 제2 압축기(21) 내에 오일의 정도를 감지하는 오일 레벨센서(22)를 더 포함한다. 오일 레벨센서(22)는 제2 압축기(21) 내의 오일량을 감지하여서, 오일량 정보를 제어유닛(90)에 제공한다.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는 제2 증발기(26)에서 토출되는 제2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토출 온도센서(81)가 구비된다. 토출 온도센서(81)는 제2 증발기(26)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에 과한 온도정보를 제어유닛(90)에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토출 온도센서(81)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중 제2 증발기(26)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즉, 토출 온도센서(81)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서 제2 증발기(26)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는 제2 증발기(26)에서 토출되는 제2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토출 압력센서(82)가 구비된다. 토출 압력센서(82)는 제2 증발기(26)에서 토출되는 제2냉매의 압력에 과한 압력정보를 제어유닛(90)에 제공한다.
제1 바이패스 유닛은 제2 압축기(21)를 통과한 제2냉매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제2 증발기(26)를 통과한 제2냉매와 열교환한다. 제1 바이패스 유닛은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정상운전) 시, 폐쇄되고, 오일회수 운전 시, 제2 압축기(21)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중 일부를 제2 증발기(26)의 토출단인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로 공급한다.
제1 바이패스 유닛에 의해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로 공급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에 제2냉매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의 오일의 온도는 상승되고, 용해도는 증가되며, 점도는 감소된다. 따라서, 정상운전 과정에서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에 큰 점도를 가지고 잔류하던 오일의 점도가 감소되어서 냉매의 압력으로 제2 압축기(21)로 쉽게 회수된다. 결국, 제2 압축기(21)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존재한다.
제1 바이패스 유닛은 제2 압축기(21)와 제2 응축기(23)를 연결하는 제2 압축기(21)의 토출유로(21b)와 제2 증발기(26)와 제2 압축기(21)를 연결하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을 연결하는 제1 바이패스 배관(61)과, 제1 바이패스 배관(61)에 배치되고,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1 단속밸브(63)를 포함한다.
제1 바이패스 배관(61)은 제2 압축기(21)에서 압축된 제2냉매 중 일부를 제2 증발기(26)의 토출단으로 바이패스한다. 제1 바이패스 배관(61)의 일측은 제2 압축기(21)의 토출유로(21b)에 연결되고, 제1 바이패스 배관(61)의 타측은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 연결된다.
제1 단속밸브(63)는 제1 바이패스 배관(61)을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조절한다. 제1 단속밸브(63)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전자식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단속밸브(63)는 다양한 개도 값이 조절되는 전자식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제1 단속밸브(63)는 제어유닛(90)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 개도 값이 조절된다. 제1 단속밸브(63)의 개도 값이 조절되어서,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냉방운전(정상운전) 중에 오일회수 운전을 병행할 수도 있고, 냉방운전을 정지하고, 오일회수 운전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상운전은 오일회수 운전을 제외한, 냉방운전,난방운전, 냉각운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2 바이패스 유닛은 제2 압축기(21)를 통과한 제2냉매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제2 증발기(26)를 통과한 제2냉매와 열교환한다. 제2 바이패스 유닛은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정상운전) 시, 폐쇄되고, 오일회수 운전 중 외기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은 경우, 추가적으로 제2 압축기(21)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중 일부를 제2 증발기(26)의 토출단인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로 공급한다.
제2 바이패스 유닛에 의해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로 공급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에 제2냉매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의 오일의 온도는 상승되고, 용해도는 증가되며, 점도는 감소된다. 따라서, 정상운전 과정에서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에 큰 점도를 가지고 잔류하던 오일의 점도가 감소되어서 냉매의 압력으로 제2 압축기(21)로 쉽게 회수된다. 결국, 제2 압축기(21)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존재한다. 즉, 제2 바이패스 유닛은 제1 바이패스 유닛에 의한 오일회수 운전이 원활하지 못한 환경에서 추가적으로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에 제2냉매의 온도를 추가적으로 상승시킨다.
제2 바이패스 유닛은 제2 압축기(21)와 제2 응축기(23)를 연결하는 제2 압축기(21)의 토출유로(21b)와 제2 증발기(26)와 제2 압축기(21)를 연결하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을 연결하는 제2 바이패스 배관(62)과, 제2 바이패스 배관(62)에 배치되고,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2 단속밸브(64)를 포함한다.
제2 바이패스 배관(62)은 제2 압축기(21)에서 압축된 제2냉매 중 일부를 제2 증발기(26)의 토출단으로 바이패스한다. 제2 바이패스 배관(62)의 일측은 제2 압축기(21)의 토출유로(21b)에 연결되고, 제2 바이패스 배관(62)의 타측은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 연결된다.
제2 단속밸브(64)는 제2 바이패스 배관(62)을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조절한다. 제2 단속밸브(64)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전자식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단속밸브(64)는 다양한 개도 값이 조절되는 전자식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제2 단속밸브(64)는 제어유닛(90)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 개도 값이 조절된다.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 정체된 오일의 효율적인 회수를 위해서는 제1 및 제2 바이패스 배관(62)의 연결위치가 중요하다. 배관의 길이와, 효율을 고려하면, 제2 압축기(21)의 토출유로에서, 제1 바이패스 배관(61)은 제2 바이패스 배관(62)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2 압축기(21)에 가깝게 연결되고,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에서, 제1 바이패스 배관(61)은 제2 바이패스 배관(62)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2 압축기(21)에 가깝게 연결될 수 있다. 외기의 온도가 높은 평시에는 제1 바이패스 배관(61)을 통해 제2 압축기(21)에 가까운 곳으로 냉매를 바이패스하고, 외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제2 바이패스 배관(62)을 통해 제2 증발기(26)에 가까운 곳으로 냉매를 바이패스하여서, 오일회수 운전의 효율성을 높이고, 제2 어큐물레이터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제2 압축기(21)의 토출유로에 배치되어 제2 압축기(21)를 통과한 제2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는 제1 바이패스 배관(61)의 분기지점과 제2 바이패스 배관(62)의 분기지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바이패스 배관(61, 62)을 통해 유입된 냉매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의 냉매를 2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 연결되는 제1 바이패스 배관(61)의 타단과, 제2 바이패스 배관(62)의 타단은 제2 어큐물레이터와 제2 증발기(26) 사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바이패스 배관(61)의 타단과, 제2 바이패스 배관(62)의 타단은 제2 어큐물레이터와 제2 압축기(21)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유닛(90)은 공기 조화기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유닛(90)은 논리적인 파단이 가능한 처리장치와,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유닛(90)은 공기 조화기에서 센싱된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공기 조화기를 정상운전 또는 오일회수 운전 상태로 제어한다. 제어유닛(90)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정상운전을 병행하거나, 정상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
제어유닛(90)은 압축기(210) 내의 오일이 부족한 경우 오일회수 운전이라고 판단하고, 오일회수 운전을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90)은 오일 레벨센서(230)에서 입력된 오일 레벨이 기준 오일 레벨 보다 낮은 경우, 오일회수 운전을 실행하고, 제어유닛(90)은 오일 레벨센서(230)에서 입력된 오일 레벨이 기준 오일 레벨 보다 높은 경우, 정상운전을 실행한다. 다른 예로, 제어유닛(90)은 공기 조화기가 작동 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오일회수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2시간 내지 5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오일회수 운전을 시간을 기준으로 실행하는 것은 쇼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제2 증발기(26)와 통신이 안되는 경우 사용되는 방식이다.
제어유닛(90)은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의 온도가 낮은 경우 오일회수 운전이라고 판단하고 오일회수 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 제어유닛(90)은 토출 온도센서(81)에서 입력된 토출온도 값이 기준 토출온도 값 보다 낮은 경우, 오일회수 운전을 실행하고, 토출 온도센서(81)에서 입력된 토출온도 값이 기준 토출온도 값 보다 높은 경우, 정상운전을 실행한다.
제어유닛(90)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제1 바이패스 유닛이 제2 압축기(21)에서 토출된 제2 냉매와 제2 증발기(26)를 통과한 제2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유닛(90)은 제1 바이패스 유닛이 제2 압축기(21)에서 토출된 제2 냉매를 제2 증발기(26)의 토출단으로 바이패스 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90)은 정상운전 시에 제2 압축기(21)를 구동하여서, 쇼케이스에 냉기를 공급한다. 제어유닛(90)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제2 압축기(21)를 구동하고, 제1 단속밸브(63)를 개방하여서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 고온 고압의 냉매를 공급한다. 제어유닛(90)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제1 단속밸브(63)의 개도 값과, 개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유닛(90)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제1 단속밸브(63)는 완전히 개방하고, 외기의 온도가 설정온도(-15℃ ~ 5℃) 보다 낮은 경우 제2 단속밸브(64)가 개방되게 제어하고, 외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높은 경우, 제2 단속밸브(64)가 폐쇄되게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제어유닛(90)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제2 압축기(21)의 운전속도를 정상운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냉매의 유속이 증가되어서 오일회수가 원활하게 된다.
제어유닛(90)은, 냉방운전 중 오일회수 운전 시에 응축기 팬(23a)을 최대 속도로 회전시키고, 난방운전 중 오일회수 운전 시에 응축기 팬(23a)을 정지시키거나, 냉장운전 시 보다 상대적인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응축기 팬(23a)의 속도를 통해, 냉각사이클 회로의 냉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제어유닛(90)은 상술한 오일회수 운전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서로 동시에, 이시에 실행할 수 있고, 어느 하나만 실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쿨링리시버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쿨링리시버(50)는 쿨링부(51)와, 쿨링부(51)의 적어도 일단이 내부에 배치되는 리시버부(54)를 포함한다.
쿨링부(51)는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가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냉매유로(52)와, 적어도 하나의 제1 냉매유로(52)의 일부 외둘레를 둘러싸는 제2 냉매유로(53)을 포함한다. 실외열교환기(O1) 및 실내열교환기(I1) 중 제1 응축기로 기능하는 것을 통과한 냉매가 제2 냉매유로(53)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제1 냉매유로(52)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제1 냉매유로(52)를 흐르는 냉매는 과냉각되고, 제2 냉매유로(53)를 흐르는 냉매는 기화된다.
리시버부(54)는 쿨링부(51)의 적어도 일단이 내부에 배치되어, 제1 냉매유로(52)에서 빠져나오는 과냉각된 냉매를 저장한다.
쿨링부(51) 및 리시버부(54)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냉매유로(52)의 직경이 가장 작고, 제2 냉매유로(53)의 직경은 제1 냉매유로(52)의 직경보다 크며, 리시버부(54)의 직경은 제2 냉매유로(5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냉매유로(52)는 7개의 세경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쿨링부(51)는 상단이 리시버부(54)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하단은 리시버부(54)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리시버부(54)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쿨링부(51)는 리시버부(54)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단의 제1 냉매유로(52)가 개방되고, 제2 냉매유로(53)는 폐쇄된다. 제1 냉매유로(52)의 개방된 상단은 제2 냉매유로(53)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냉매유로(52)를 흐르는 냉매는 제2 냉매유로(53)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과냉각된 후, 제1 냉매유로(52)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빠져나와서, 리시버부(54)의 내부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쿨링부(51) 중 리시버부(54)의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제1 입구유로(52a) 및 제2 입구유로(53a)가 배치된다. 또한, 리시버부(54)의 상측에는 제1 출구유로(53b)가 배치되고, 리시버부(54)의 하측에는 제2 출구유로(54a)가 배치된다.
제1 입구유로(52a)는 제2 냉매유로(53)를 관통하여 제1 냉매유로(52)와 연결된다. 제1 입구유로(52a)는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를 제1 냉매유로(52)로 공급한다. 제2 냉매유로(53) 내에 제1 냉매유로(52)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제1 입구유로(52a)는 제2 냉매유로(53) 내에서 복수로 분지되어 복수의 제1 냉매유로(5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입구유로(53a)는 제2 냉매유로(53)에 연결된다. 제2 입구유로(53a)는 실외열교환기(13) 및 실내열교환기(16) 중 제1 응축기로 기능하는 것을 통과한 냉매를 제2 냉매유로(53)로 공급한다. 제2 냉매유로(53)는 제2 실외열교환기(13) 및 실내열교환기(16)를 연결하는 공조액관(18)에서 분지된 열회수액관(34)을 통해 연결된다. 즉, 열회수액관(34)은 제2 냉매유로(53) 및 공조액관(18)을 연결한다. 열회수액관(34)에는 열회수 팽창기구(34a)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는 공조액관(18)을 통해 일부가 제1 증발기로 이동될 수 있고, 나머지는 열회수액관(34)으로 이동되어 열회수 팽창기구(34a)에서 팽창된 후 제2 입구유로(53a)로 이동되며, 제2 입구유로(53a)로 이동된 냉매는 제2 냉매유로(53)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출구유로(53b)는 리시버부(54)의 상단을 관통하여 리시버부(54) 내에서 제2 냉매유로(53)의 상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입구유로(53a)를 통해 제2 냉매유로(53)로 공급된 냉매는 제2 냉매유로(53)를 통과한 후 제1 출구유로(53b)를 통해 빠져나올 수 있다. 리시버부(54)의 상단으로 돌출된 제1 출구유로(53b)는 열회수기관(35)을 통해 제1 압축기(11)의 흡입유로(11a)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출구유로(53b)를 통해 빠져나온 냉매는 열회수기관(35)을 통해 제1 압축기(11)의 흡입유로(11a)로 이동되어 제1 압축기(11)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출구유로(54a)는 냉각 액관(26a)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냉매유로(52)의 상단을 통해 빠져나와 리시버부(54)에 저장된 과냉각된 냉매는, 제2 출구유로(54a)를 통해 빠져나와 냉각 액관(26a)로 이동되어 제2 증발기(26)로 공급될 수 있다.
리시버부(54)의 상단에는 리시버부(54)의 상단을 차폐하는 캡(54b)이 배치될 수 있고, 캡(54b)이 배치되는 경우 제1 출구유로(53b)는 캡(54b)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리시버부(54)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 브래킷(55)이 배치될 수 있다. 마운팅 브래킷(55)은 리시버부(54)의 외주면을 감싸는 환형의 본체부(55a)와, 본체부(55a)의 외주면으로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마운팅부(55b)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부(55b)는 3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냉각실외기(O2)에 마운팅되어, 리시버부(54)를 냉각실외기(O2)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열회수액관(34)에는 열회수액관(34)을 개폐하는 열회수액관밸브(34b)가 설치되고, 열회수기관(35)에는 열회수기관(35)을 개폐하는 열회수기관밸브(35a)(35b)가 설치된다. 열회수기관밸브(35a)(35b)는 냉각실외기(O2)에 배치되는 제1 열회수기관밸브(35a)와, 공조실외기(O1)에 배치되는 제2 열회수기관밸브(35b)를 포함한다.
공조기관밸브(17a), 공조액관밸브(18a), 제1 흡입유로밸브(21b), 제2 흡입유로밸브(26b), 열회수액관밸브(34b), 및 열회수기관밸브(35a)(35b)는,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고, 공기조화기의 서비스(냉매충전, 고장)시에 작업자에 의해 닫힐 수 있다.
한편, 제1 압축기(11), 사방밸브(12), 실외열교환기(13), 실외 팽창밸브(14), 공조기관밸브(17a), 공조액관밸브(18a) 및 제2 열회수기관밸브(35b)는 공조실외기(O1)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압축기(21), 제2 응축기(23), 쿨링리시버(50), 제1 흡입유로밸브(21b), 제2 흡입유로밸브(26b), 열회수액관밸브(34b) 및 제1 열회수기관밸브(35a)는 냉각실외기(O2)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16) 및 실내 팽창밸브(15)는 공조실내기(I1)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증발기(26) 및 제2 팽창기구(25)는 냉각실내기(I2)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및 냉각 운전이 동시에 수행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 운전과 냉각실내기(I2)의 내의 식품을 냉각하는 냉각운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공조사이클회로(1)는 냉방 운전시에, 제1 압축기(11)가 구동되어 냉매를 토출한다. 제1 압축기(11)가 토출하는 냉매는 제1 압축기(11)의 토출유로(11b)를 통해 냉난방 절환밸브(12)로 이동된다. 냉난방 절환밸브(12)로 이동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3)의 흡입토출유로(13a)를 통해 실외열교환기(13)로 이동된다. 공조사이클회로(1)의 냉방 운전시에 실외열교환기(13)는 제1 응축기로 기능한다.
실외열교환기(13)를 통과한 냉매는, 일부가 공조액관(18)을 통해 실내열교환기(16)로 이동되고, 나머지는 열회수액관(34)을 통해 쿨링리시버(50)로 이동된다.
실외열교환기(13)를 통과한 냉매 중 공조액관(18)을 통해 실내열교환기(16)로 이동되는 일부의 냉매는, 제1 팽창기구(15)에서 팽창된 상태로 실내열교환기(16)로 공급된다. 공조사이클회로(1)의 냉방 운전시에 실내열교환기(16)는 제1 증발기로 기능한다. 실내열교환기(16)로 이동된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고 증발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16)에서 증발된 냉매는 공조기관(17)을 통해 냉난방 절환밸브(12)로 이동된 후, 제1 압축기(11)의 흡입유로(11a)를 통해 다시 제1 압축기(11)로 공급될 수 있다.
냉각사이클회로(2)는 제2 압축기(21)가 구동되어 냉매를 토출한다. 제2 압축기(21)가 토출하는 냉매는 제2 압축기(21)의 토출유로(21b)를 통해 제2 응축기(23)로 이동된다. 제2 응축기(23)로 이동된 냉매는 냉각 액관(26a)를 통해 제2 증발기(26)로 이동된다.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는 제2 팽창기구(25)에서 팽창된 상태로 제2 증발기(26)로 공급된다. 제2 증발기(26)로 이동된 냉매는 냉각실내기(I2)내의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냉각실내기(I2) 내의 식품을 냉각시키고 증발될 수 있다. 제2 증발기(26)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를 통해 다시 제2 압축기(21)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조사이클회로(1)의 실외열교환기(13)를 통과한 냉매 중 열회수액관(34)을 통해 쿨링리시버(50)로 이동되는 나머지의 냉매는, 열회수 팽창기구(34a)에서 팽창된 후 제2 냉매유로(53)로 이동되어, 쿨링리시버(50) 내에서 냉각사이클회로(2)의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와 열교환되어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를 과냉각시키면서 기화될 수 있다.
그리고, 쿨링리시버(50)는 냉각 액관(26a) 중 제2 응축기(23) 및 제2 팽창기구(25)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는 제1 냉매유로(52)를 흐르면서 제2 냉매유로(53)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과냉각될 수 있다. 제1 냉매유로(52)를 흐르면서 과냉각된 냉매는, 제1 냉매유로(52)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빠져나와 리시버부(54) 내에 저장되고, 제2 냉매유로(53)를 흐르면서 기화된 냉매는 제1 출구유로(53b)를 빠져나와 열회수기관(35)을 통해 제1 압축기(11)의 흡입유로(11a)로 이동된 후 제1 압축기(11)로 공급된다. 그리고, 리시버부(54) 내에 저장된 과냉각된 냉매는, 제2 출구유로(54a)를 통해 빠져나와 냉각 액관(26a)로 이동된 후 제2 팽창기구(25)에 의해 팽창된 상태로 제2 증발기(26)로 공급된다. 제2 팽창기구(25)는 제어유닛에 의해 개도시간 및 개도량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어 냉각사이클회로(2) 내의 냉매량이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쿨링리시버(50)를 통한 열교환으로 인해, 공기 조화기의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존재한다. 제어유닛(90)은 냉방운전 시에 열회수 팽창기구(34a)를 최소로 개방한다. 따라서, 냉방운전 시에 냉각사이클회로에서 과도한 흡열로 공조사이클회로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및 냉각 운전이 동시에 수행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 운전과 냉각실내기(I2)의 내의 식품을 냉각하는 냉각운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공조사이클회로(1)는 난방 운전시에, 제1 압축기(11)가 구동되어 냉매를 토출한다. 제1 압축기(11)가 토출하는 냉매는 제1 압축기(11)의 토출유로(11b)를 통해 냉난방 절환밸브(12)로 이동된다. 냉난방 절환밸브(12)로 이동된 냉매는 공조기관(17)을 통해 실내열교환기(16)로 이동된다. 공조사이클회로(1)의 난방 운전시에 실내열교환기(16)는 제1 응축기로 기능한다.
실내열교환기(16)를 통과한 냉매는, 일부가 공조액관(18)을 통해 실외열교환기(13)로 이동되고, 나머지는 열회수액관(34)을 통해 쿨링리시버(50)로 이동된다.
실내열교환기(16)를 통과한 냉매 중 공조액관(18)을 통해 실외열교환기(13)로 이동되는 일부의 냉매는, 제1 팽창기구(14)에서 팽창된 상태로 실외열교환기(13)로 공급된다. 공조사이클회로(1)의 난방 운전시에 실외열교환기(13)는 제1 증발기로 기능한다. 실외열교환기(13)로 이동된 냉매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증발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13)에서 증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3)의 흡입토출유로(13a)를 통해 냉난방 절환밸브(12)로 이동된 후, 제1 압축기(11)의 흡입유로(11a)를 통해 다시 제1 압축기(11)로 공급될 수 있다.
냉각사이클회로(2)는 제2 압축기(21)가 구동되어 냉매를 토출한다. 제2 압축기(21)가 토출하는 냉매는 제2 압축기(21)의 토출유로(21b)를 통해 제2 응축기(23)로 이동된다. 제2 응축기(23)로 이동된 냉매는 냉각 액관(26a)를 통해 제2 증발기(26)로 이동된다.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는 제2 팽창기구(25)에서 팽창된 상태로 제2 증발기(26)로 공급된다. 제2 증발기(26)로 이동된 냉매는 냉각실내기(I2)내의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냉각실내기(I2) 내의 식품을 냉각시키고 증발될 수 있다. 제2 증발기(26)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를 통해 다시 제2 압축기(21)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조사이클회로(1)의 실내열교환기(16)를 통과한 냉매 중 열회수액관(34)을 통해 쿨링리시버(50)로 이동되는 나머지의 냉매는, 열회수 팽창기구(34a)에서 팽창된 후 제2 냉매유로(53)로 이동되어, 쿨링리시버(50) 내에서 냉각사이클회로(2)의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와 열교환되어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를 과냉각시키면서 기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는 제1 냉매유로(52)를 흐르면서 제2 냉매유로(53)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과냉각될 수 있다. 제1 냉매유로(52)를 흐르면서 과냉각된 냉매는, 제1 냉매유로(52)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빠져나와 리시버부(54) 내에 저장되고, 제2 냉매유로(53)를 흐르면서 기화된 냉매는 제1 출구유로(53b)를 빠져나와 열회수기관(35)을 통해 제1 압축기(11)의 흡입유로(11a)로 이동된 후 제1 압축기(11)로 공급된다. 그리고, 리시버부(54) 내에 저장된 과냉각된 냉매는, 제2 출구유로(54a)를 통해 빠져나와 냉각 액관(26a)로 이동된 후 제2 팽창기구(25)에 의해 팽창된 상태로 제2 증발기(26)로 공급된다. 제2 팽창기구(25)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개도시간 및 개도량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어 냉각사이클회로(2) 내의 냉매량이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쿨링리시버(50)를 통한 열교환으로 인해, 공기 조화기의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존재한다. 제어유닛(90)은 난방운전 시에 열회수 팽창기구(34a)를 최대로 개방한다. 따라서, 냉방운전 시에 냉각사이클회로의 폐열을 최대한 공조사이클회로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조사이클회로의 효율이 증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각 운전만 수행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냉각실내기(I2)의 내의 식품을 냉각하는 냉각운전만 수행할 수 있다. 즉, 공조사이클회로(1)는 작동되지 않고, 냉각사이클회로(2)만 작동될 수 있다.
냉각사이클회로(2)는 제2 압축기(21)가 구동되어 냉매를 토출한다. 제2 압축기(21)가 토출하는 냉매는 제2 압축기(21)의 토출유로(21b)를 통해 제2 응축기(23)로 이동된다. 제2 응축기(23)로 이동된 냉매는 냉각 액관(26a)를 통해 제2 증발기(26)로 이동된다.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는 제2 팽창기구(25)에서 팽창된 상태로 제2 증발기(26)로 공급된다. 제2 증발기(26)로 이동된 냉매는 냉각실내기(I2)내의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냉각실내기(I2) 내의 식품을 냉각시키고 증발될 수 있다. 제2 증발기(26)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를 통해 다시 제2 압축기(21)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공조사이클회로(1)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제2 응축기(23)를 통과한 냉매는 제1 냉매유로(52)를 흐르면서 열교환되지 않고 제1 냉매유로(52)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빠져나와 리시버부(54) 내에 저장된 후, 제2 출구유로(54a)를 통해 빠져나와 냉각 액관(26a)로 이동된 후, 제2 팽창기구(25)에 의해 팽창된 상태로 제2 증발기(26)로 공급된다. 제2 팽창기구(25)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개도시간 및 개도량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어 냉각사이클회로(2) 내의 냉매량이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냉각 운전 및 오일회수 운전이 동시에 수행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4의 냉방운전 및 냉각 운전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와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오일회수 운전 시에, 제1 바이패스 유닛에 의해 제2 압축기(21)에서 압축된 제2냉매가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로 공급된다.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에 제2냉매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의 오일의 온도는 상승되고, 용해도는 증가되며, 점도는 감소된다.
제어유닛(90)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외기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은 경우, 제2 단속밸브(64)를 추가적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제2 바이패스 배관(62)을 통해 제2 압축기(21)에서 압축된 냉매가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로 추가적으로 공급된다.
도 8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3 바이패스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실시예의 제3 바이패스 유닛은 제2 응축기(23)에서 토출된 냉매 중 일부를 제2 증발기(26)의 토출단으로 바이패스한다.
제3 바이패스 유닛은 냉방운전(정상운전) 시, 폐쇄되고, 오일회수 운전 시, 제2 응축기(23)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 중 일부를 증발기(160)의 토출단인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으로 공급한다. 제3 바이패스 유닛에 의해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으로 공급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에 냉매를 2상으로 상 변화시키고, 온도를 상승시킨다.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의 오일의 온도는 상승되고, 용해도는 증가되며, 점도는 감소된다. 따라서, 정상운전 과정에서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에 큰 점도를 가지고 잔류하던 오일의 점도가 감소되어서 냉매의 압력으로 압축기(210)로 쉽게 회수된다. 결국, 압축기(210)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존재한다.
제3 바이패스 유닛은 제2 응축기(23)와 제2 증발기(26)를 연결하는 냉각 액관(26a)과, 제2 증발기(26)와 제2 압축기(21)를 연결하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을 연결하는 제3 바이패스 배관(71)과, 제3 바이패스 배관(71)에 배치되고,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72)를 포함한다.
제3 바이패스 배관(71)은 제2 응축기(23)에서 응축된 냉매 중 일부를 제2 증발기(26)의 토출단으로 바이패스한다. 제3 바이패스 배관(71)의 일측은 액관(11)에 연결되고, 제3 바이패스 배관(71)의 타측은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 연결된다.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 정체된 오일의 효율적인 회수를 위해서는 제3 바이패스 배관(71)의 연결위치가 중요하다. 배관의 길이와, 효율을 고려하면, 제3 바이패스 배관(71)은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서 제2 압축기(21)와 제2 증발기(26) 중에서 상대적으로 제2 증발기(26)와 가까운 위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바이패스 배관(71)은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서 제2 증발기(26)와 인접한 위치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3 바이패스 배관(71)의 타측은 제1 및 제2 바이패스 배관(62)의 타측 보다 제2 증발기(26)에 인접한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 연결된다.
조절밸브(72)는 제3 바이패스 배관(71)을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조절한다. 조절밸브(72)는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전자식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절밸브(72)는 다양한 개도 값이 조절되는 전자식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조절밸브(72)는 제어유닛(90)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 개도 값이 조절된다. 조절밸브(72)의 개도 값이 조절되어서,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냉방운전(정상운전) 중에 오일회수 운전을 병행할 수도 있고, 냉방운전을 정지하고, 오일회수 운전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냉각 운전 및 오일회수 운전이 동시에 수행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은 도 7의 운전과 제3 바이패스 유닛의 운전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9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운전은 도 7의 운전과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유닛(90)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제3 바이패스 유닛이 제2 응축기(23)에서 토출된 제2 냉매와 제2 증발기(26)를 통과한 제2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유닛(90)은 제2 바이패스 유닛이 제2 응축기(23)에서 토출된 제2 냉매를 제2 증발기(26)의 토출단으로 바이패스 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90)은 정상운전 시에 제2 압축기(21)를 구동하여서, 쇼케이스에 냉기를 공급한다. 제어유닛(90)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제2 압축기(21)를 구동하고, 조절밸브(72)를 개방하여서 제2 응축기(23)에서 토출된 제2 냉매를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에 공급한다. 제어유닛(90)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조절밸브(72)의 개도 값과, 개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오일회수 운전 시에, 제3 바이패스 유닛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냉매는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에 제2냉매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제2 압축기(21)의 흡입유로(21a) 내의 오일의 온도는 상승되고, 용해도는 증가되며, 점도는 감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쿨링리시버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는, 과냉각기 및 리시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컴팩트해질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해질 수 있고, 냉각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제1냉매를 압축하는 제1 압축기와 상기 제1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1냉매를 응축하는 제1 응축기와 상기 제1 응축기를 통과한 제1냉매를 팽창시키는 제1 팽창기구와 상기 제1 팽창기구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1 증발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1냉매의 순환을 통해 공조운전을 수행하는 공조사이클 회로와;
    제2냉매를 압축하는 제2압축기와 상기 제2 압축기에서 압축된 제2냉매를 응축하는 제2 응축기와 상기 제2 응축기를 통과한 제2냉매를 팽창시키는 제2 팽창기구와 상기 제2 팽창기구를 통과한 제2냉매를 증발시키는 제2 증발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2냉매의 순환을 통해 저장된 식품을 냉각하는 냉각사이클 회로와;
    상기 제1 응축기를 통과한 제1냉매와 상기 제2 응축기를 통과한 제2냉매를 열 교환하는 쿨링리시버와;
    상기 제2 압축기를 통과한 제2냉매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제2 증발기를 통과한 제2냉매와 열교환하는 제1 바이패스 유닛과;
    공기 조화기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상기 제1 바이패스 유닛이 상기 제2 압축기에서 토출된 제2 냉매와 상기 제2 증발기를 통과한 제2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패스 유닛은,
    상기 제2 압축기와 상기 제2 응축기를 연결하는 상기 제2 압축기의 토출유로와 상기 제2 증발기와 상기 제2 압축기를 연결하는 상기 제2 압축기 흡입유로를 연결하는 제1 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제1 바이패스 배관에 배치되어,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1 단속밸브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속밸브는 전자식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축기를 통과한 제2냉매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제2 증발기를 통과한 제2냉매와 열교환하는 제2 바이패스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이패스 유닛은,
    상기 제2 압축기의 토출유로와 상기 제2 압축기의 흡입유로를 연결하는 제2 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제2 바이패스 배관에 배치되어,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2 단속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압축기의 토출유로에서, 상기 제1 바이패스 배관은 상기 제2 바이패스 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 압축기에 가깝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압축기의 흡입유로에서, 상기 제1 바이패스 배관은 상기 제2 바이패스 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 압축기에 가깝게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축기의 토출유로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압축기를 통과한 제2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1 바이패스 배관의 분기지점과 상기 제2 바이패스 배관의 분기지점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공기 조화기가 작동 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오일회수 운전을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축기 내에 오일의 정도를 감지하는 오일레벨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오일레벨 센서에서 입력된 오일 레벨이 기준 오일 레벨 보다 낮은 경우, 오일회수 운전을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
  9. 제5항에 있어서,
    오일회수 운전 시에,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 단속밸브가 개방되게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오일회수 운전 시에, 상기 제어유닛은 외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은 경우 제2 단속밸브가 개방되게 제어하고, 외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높은 경우, 제2 단속밸브가 폐쇄되게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상기 제2 압축기의 운전속도를 정상운전 보다 증가시키는 공기 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축기에 외기를 공급하는 응축기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냉방운전 중 오일회수 운전 시에 상기 응축기 팬을 최대 속도로 회전시키는 공기 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축기에 외기를 공급하는 응축기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난방운전 중 오일회수 운전 시에 상기 응축기 팬을 정지시키는 공기 조화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일부를 상기 제2 증발기의 토출단으로 바이패스하는 제3 바이패스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이패스 유닛은,
    상기 제2 응축기와 상기 제2 증발기를 연결하는 냉각 액관과, 상기 제2 증발기와 상기 제2 압축기를 연결하는 상기 제2 압축기의 흡입유로를 연결하는 제3 바이패스 배관과,
    상기 제3 바이패스 배관에 배치되고, 냉매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이패스 배관은 상기 제2 압축기의 흡입유로에서 상기 제2 압축기와 상기 제2 증발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제2 증발기와 가까운 위치에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상기 제3 바이패스 유닛이 상기 제2 응축기에서 토출된 제2 냉매를 상기 제2 증발기의 토출단으로 바이패스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오일회수 운전 시에, 상기 조절밸브를 개방하는 공기 조화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증발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토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토출 온도센서에서 입력된 토출온도 값이 기준 토출온도 값 보다 낮은 경우, 오일회수 운전을 실행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60119464A 2016-09-19 2016-09-19 공기조화기 KR10203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464A KR102032283B1 (ko) 2016-09-19 2016-09-19 공기조화기
EP17191590.3A EP3296664B1 (en) 2016-09-19 2017-09-18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464A KR102032283B1 (ko) 2016-09-19 2016-09-1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256A true KR20180031256A (ko) 2018-03-28
KR102032283B1 KR102032283B1 (ko) 2019-10-15

Family

ID=5989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464A KR102032283B1 (ko) 2016-09-19 2016-09-1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296664B1 (ko)
KR (1) KR102032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5150B (zh) * 2018-04-26 2024-04-16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
CN110469926B (zh) * 2018-05-11 2022-05-24 开利公司 用于空调系统的水循环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456866B1 (ko) 2018-11-07 2022-10-21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온조 시스템
CN113056642A (zh) * 2018-11-07 2021-06-29 伸和控制工业股份有限公司 流体调温系统和制冷装置
WO2020202555A1 (ja) 2019-04-05 2020-10-0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5325654A (zh) * 2022-08-10 2022-1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媒迁移控制方法以及空调机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800A (ja) * 1996-09-27 1998-04-21 Sanyo Electric Co Ltd 複合型冷凍装置
KR20040010740A (ko) * 2002-04-08 2004-01-3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냉동장치
KR20100032199A (ko) * 2008-09-17 201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131B1 (ko) * 2008-03-05 2009-05-14 유인석 한냉지용 중압 2원사이클 냉난방 히트펌프 시스템
KR101873595B1 (ko) * 2012-01-10 201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캐스케이드 히트펌프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800A (ja) * 1996-09-27 1998-04-21 Sanyo Electric Co Ltd 複合型冷凍装置
KR20040010740A (ko) * 2002-04-08 2004-01-3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냉동장치
KR20100032199A (ko) * 2008-09-17 201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283B1 (ko) 2019-10-15
EP3296664A1 (en) 2018-03-21
EP3296664B1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1256A (ko) 공기조화기
CN111351248B (zh) 一种空调系统及控制方法
KR101758179B1 (ko)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
EP2068096B1 (en) Refrigeration device
JP5992089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795291B1 (ko) 냉동장치
JP5774128B2 (ja) 空気調和装置
JP5639984B2 (ja) 空気調和装置
EP2068097B1 (en) Refrigeration device
KR101045435B1 (ko)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
JP5689079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ES2774151T3 (es) Dispositivo de refrigeración
JP6038382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0276239A (ja) 冷凍空気調和装置
US10330357B2 (en) Air conditioner and cooling receiver of air conditioner
US20220065505A1 (en) Multi-air conditioner for heating and cool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air conditioner for heating and cooling
JP4258363B2 (ja) 冷凍空調装置、冷凍空調装置の運転方法
JP5517891B2 (ja) 空気調和装置
US20210239334A1 (en) Water source heat pump head pressure control for hot gas reheat
JP7241880B2 (ja) 空気調和装置
WO2017138243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6257812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3217574A (ja) 空気調和機
KR20180031255A (ko) 공기조화기
US20240027077A1 (en) Hybrid multi-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multi-air cond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