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045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045A
KR20180031045A KR1020187006548A KR20187006548A KR20180031045A KR 20180031045 A KR20180031045 A KR 20180031045A KR 1020187006548 A KR1020187006548 A KR 1020187006548A KR 20187006548 A KR20187006548 A KR 20187006548A KR 20180031045 A KR20180031045 A KR 20180031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urea water
counterweight
water tank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490B1 (ko
Inventor
히로시 구마가이
가즈히코 미조구치
마사오 가리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1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4Pump-driv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03Oxidation catalysts for HC and CO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요소수 탱크(27)는, 카운터 웨이트(7)의 왼쪽 경사면(7C)과 평행이 되도록 경사진 뒤쪽 경사면(28A)과, 뒤쪽 경사면(28A)과 간격을 갖고, 또한 뒤쪽 경사면(28A)과 대략 평행으로 경사진 앞쪽 경사면(28B)과, 뒤쪽 경사면(28A)과 앞쪽 경사면(28B)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부 선회체(4)의 좌, 우 방향과 평행한 평탄면이 된 전면(28C)을 포함하는 박스체로서 형성하고 있다. 요소수 탱크(27)의 뒤쪽 경사면(28A)은, 카운터 웨이트(7)의 왼쪽 경사면(7C)을 따라서 대면하여 배치되고, 앞쪽 경사면(28B)은, 열교환 장치(9)와 간극을 갖고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 장치(9)와 요소수 탱크(27)의 앞쪽 경사면(28B)과의 사이에는, 냉각풍을 유통시키는 냉각풍 안내 통로(33)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을 정화하는 NOx 정화 장치에 공급하는 요소수 용액을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를 구비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마련된 프론트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후측(後側)에 선회 프레임의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프론트 장치와의 중량 밸런스를 잡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전측(前側)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에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놓기 상태로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좌, 우 방향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냉각풍으로서 흡입하는 냉각 팬과, 상기 냉각 팬보다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냉각 팬과 대면하여 마련되어 냉각풍에 의해서 유체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 등의 열교환 장치와, 상기 열교환 장치와 냉각풍의 흐름 방향에서 대면함과 함께 외기 유입구를 구비한 측면 커버부 및 상기 엔진, 열교환 장치의 상측을 덮는 상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외장 커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유압 셔블의 엔진에는 디젤 엔진이 이용되고 있다. 이 디젤 엔진은, 질소 산화물(이하, NOx라고 함) 등을 많이 배출한다고 되어 있다. 그래서,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의 후처리 장치로서, NOx를 정화하기 위한 NOx 정화 장치가 있다. 이 NOx 정화 장치는, 예를 들면, 엔진의 배기관에 마련되어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을 제거하는 요소(尿素) 선택 환원 촉매와, 환원제로서의 요소수 용액(이하, 요소수라고 함)을 요소 선택 환원 촉매의 상류측에 분사하는 요소수 분사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기 가스의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유압 셔블에는, 환원제인 요소수를 저장하기 위한 요소수 탱크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작금의 유압 셔블에는, 좁은 작업 현장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초소(超小) 선회형, 후방(後方) 초소 선회형이라고 불리는 소형 유압 셔블이 있다. 이들 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은, 상부 선회체가 하부 주행체의 차폭 내에서 대략 선회할 수 있도록, 상부 선회체가 소형화되어 있다.
따라서, 소 선회형의 소형 유압 셔블에서는, 선회 프레임 상의 설치 공간이 작아지기 때문에, 선회 프레임 상이 각종 기기류에 의해서 매우 혼잡한 상태가 된다. 한편으로, 요소수 탱크는, 요소수를 충분히 저장할 수 있는 큰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또, 급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손이 닿는 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요소수는, 예를 들면 60℃를 초과하여 온도 상승하면 열화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열원인 엔진 등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또한 공기가 유통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 의한 유압 셔블에서는, 열교환 장치의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 열교환 장치, 카운터 웨이트, 외장 커버에 의해서 둘러싸인 열교환 장치 상류실을 마련하고, 이 열교환 장치 상류실 내에 요소수 탱크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2-144955호 공보
여기서, 특허문헌 1에 의한 유압 셔블에서는, 요소수 탱크를, 열교환 장치의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열교환 장치 상류실에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요소수 탱크는, 열교환 장치를 향하여 냉각풍이 유통하는 통로의 일부를 막게 되기 때문에, 열교환 장치에 의한 유체의 냉각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소수 탱크를 열교환 장치의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한 경우이더라도, 열교환 장치에 의해서 유체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는,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에 부앙동 가능하게 마련된 프론트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후측에 선회 프레임의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상기 프론트 장치와의 중량 밸런스를 잡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전측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에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놓기 상태로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좌, 우 방향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냉각풍으로서 흡입하는 냉각 팬과, 상기 냉각 팬보다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냉각 팬과 대면하여 마련되어 냉각풍에 의해서 유체를 냉각하는 열교환 장치와, 상기 열교환 장치와 냉각풍의 흐름 방향에서 대면함과 함께 외기 유입구를 구비한 측면 커버부 및 상기 엔진, 열교환 장치의 상측을 덮는 상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외장 커버와, 상기 열교환 장치의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 상기 카운터 웨이트, 상기 열교환 장치, 상기 외장 커버에 의해서 둘러싸인 열교환 장치 상류실과, 상기 열교환 장치 상류실 내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환원제인 요소수를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전면(前面)측이며, 좌, 우 방향의 적어도 일방(一方)측이 상기 열교환 장치 상류실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요소수 탱크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경사면과 평행이 되도록 경사진 뒤쪽 경사면과, 상기 뒤쪽 경사면과 간격을 갖고, 또한 상기 뒤쪽 경사면과 대략 평행하게 경사진 앞쪽 경사면과, 상기 뒤쪽 경사면과 상기 앞쪽 경사면의 전단(前端)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선회체의 좌, 우 방향과 평행한 평탄면이 된 전면을 포함하는 박스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요소수 탱크의 뒤쪽 경사면은,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경사면을 따라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요소수 탱크의 앞쪽 경사면은, 상기 열교환 장치와 간극을 갖고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 장치와 상기 요소수 탱크의 앞쪽 경사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열교환 장치와 상기 앞쪽 경사면의 간극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풍을 유통시키는 냉각풍 안내 통로가 형성된,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요소수 탱크를 열교환 장치의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한 경우이더라도, 열교환 장치에 의해서 유체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프론트 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유압 셔블을 왼쪽 후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프론트 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유압 셔블을, 외장 커버를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선회 프레임과 열교환 장치와 요소수 탱크를 왼쪽 후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카운터 웨이트와 열교환 장치와 요소수 탱크의 배치 관계를 선회 프레임과 함께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카운터 웨이트와 열교환 장치와 요소수 탱크의 배치 관계를 선회 프레임과 함께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 중의 메인터넌스 개구의 주변부를 메인터넌스 커버를 개방한 상태로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카운터 웨이트의 메인터넌스 개구와 요소수 탱크의 배치 관계를 도 7 중의 화살표 Ⅷ-Ⅷ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요소수 탱크를 뒤쪽 경사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요소수 탱크를 전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요소수 탱크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 운전실(cab)을 탑재한 후방 초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1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크롤러식의 건설 기계를 구성하고 있다. 이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장치(3)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4)와, 상기 상부 선회체(4)의 전, 후 방향의 전측에 부앙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프론트 장치(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 장치(3)는,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4)(후술의 선회 프레임(6)) 사이에 직경이 큰 베어링 구조체로서 마련된 선회륜(3A)(도 1 참조)과, 상기 선회륜(3A)의 중심(O)(도 3 중에 도시)을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부 선회체(4)를 선회 구동하는 선회 모터(3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선회 중심(O)에는,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4) 사이에서 압유를 유통시키기 위한 센터 조인트(3C)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4)는, 하부 주행체(2)의 차폭과 대략 동등한 좌, 우 방향의 폭 치수를 갖고, 또한 카운터 웨이트(7)의 후면은, 선회 중심(O)을 중심으로 한 선회 반경의 가상 원(도시 생략) 내에 들어가도록,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압 셔블(1)은, 상부 선회체(4)가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선회 중심(O)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였을 때에, 후술하는 카운터 웨이트(7)의 외주면(7A)이 하부 주행체(2)의 차폭 내에 대략 들어가는 후방 초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로서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6)은 상부 선회체(4)의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6)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꺼운 강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닥판(6A)과, 상기 바닥판(6A) 상에 세워 설치되고, 좌, 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왼쪽 세로판(6B), 오른쪽 세로판(6C)과, 상기 각 세로판(6B, 6C)으로부터 좌, 우 방향의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전, 후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배치된 복수 개의 돌출 빔(6D)과, 좌, 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각 돌출 빔(6D)의 선단에 장착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왼쪽 사이드 프레임(6E), 오른쪽 사이드 프레임(6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 프레임(6)에는, 카운터 웨이트(7)와 대면하는 뒷부분측에 위치하고, 왼쪽 세로판(6B)과 왼쪽 사이드 프레임(6E) 사이를 접속한 왼쪽 뒷부분 빔(6G)과, 오른쪽 세로판(6C)과 오른쪽 사이드 프레임(6F) 사이를 접속한 오른쪽 뒷부분 빔(6H)가 마련되어 있다. 이 왼쪽 뒷부분 빔(6G)은, 외측이 되는 좌측 부위가 카운터 웨이트(7)의 왼쪽 경사면(7C)을 따라가도록 비스듬하게 전측으로 경사진 경사 부위(6G1)가 되어 있다. 한편, 오른쪽 뒷부분 빔(6H)은, 우측 부위가 카운터 웨이트(7)의 오른쪽 경사면(7D)을 따라가도록 비스듬하게 전측으로 경사진 경사 부위(6H1)가 되어 있다.
또한, 도 5,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6)의 왼쪽 뒷부분에는 언더 커버(6J)가 마련되어 있다. 이 언더 커버(6J)는, 대략 평탄한 판체로서 형성되고, 후술하는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의 하면을 폐색하고 있다. 언더 커버(6J)는, 후술의 열교환 장치(9), 요소수 탱크(27) 등이 장착되는 것으로, 왼쪽 뒷부분 빔(6G)의 경사 부위(6G1)의 근방에 위치하는 왼쪽 뒷부분의 귀퉁이에 위치하여 요소수 탱크(27)(브래킷(30))를 장착하기 위한 탱크 장착대(6K)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7)는 선회 프레임(6)의 후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카운터 웨이트(7)는, 프론트 장치(5)와의 중량 밸런스를 잡는 것으로, 후면이 원호 형상을 한 중량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7)는, 선회 동작시에도 상부 선회체(4)의 후측이 하부 주행체(2)의 차폭 내에 대략 들어가도록, 선회 중심(O)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7)는, 상부 선회체(4)를 선회 동작하였을 때에, 이 상부 선회체(4)에 의한 선회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운터 웨이트(7)는, 좌, 우 방향의 양측을, 전측을 향하여 만곡시킴으로써 원호 형상의 외주면(7A)을 갖고, 이 형상으로 선회 프레임(6)의 선회 중심(O)에 가까운 전측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카운터 웨이트(7)의 전면측은, 좌, 우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여 좌, 우 방향으로 대략 평탄하게 연장된 중앙 전면(7B)과, 상기 중앙 전면(7B)의 좌단(左端)으로부터 후술의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을 향하여 전측으로 경사진 왼쪽 경사면(7C)과, 상기 중앙 전면(7B)의 우단(右端)으로부터 후술의 연료 탱크(18)를 향하여 전측으로 경사진 오른쪽 경사면(7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7)의 좌측 부위, 즉, 왼쪽 경사면(7C)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요소수 용액(이하, 요소수라고 함)의 급수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개구(7E)가 외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이 메인터넌스 개구(7E)는, 위쪽 프레임(7E1), 아래쪽 프레임(7E2), 안쪽 프레임(7E3) 및 바깥쪽 프레임(7E4)에 의해서 장방형 형상의 개구로서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 프레임(7E2)은 메인터넌스 개구(7E)의 최하부를 구성하고 있다. 메인터넌스 개구(7E)는, 통기성을 갖는 메인터넌스 커버(7F)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폐색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8)은, 카운터 웨이트(7)의 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6)의 후측에 마련되어 있다. 엔진(8)은,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놓기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엔진(8)의 좌, 우 방향의 일측이 되는 좌측에는, 냉각 팬(8A)이 마련되어 있다. 이 냉각 팬(8A)은, 엔진(8)을 동력원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후술하는 외장 커버(21)의 좌측면 커버부(22)의 각 외기 유입구(22A1, 22A2) 등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냉각풍으로서 흡입하고, 열교환 장치(9)를 향하여 화살표 A 방향(도 5, 도 6 참조)으로 유통시키는 것이다. 한편, 엔진(8)의 우측에는 후술의 유압 펌프(16)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엔진(8)의 전측 위치에는,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8B)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배기관(8B)의 하류측은, 후술하는 후처리 유닛(20)의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A)에 접속되어 있다.
열교환 장치(9)는, 엔진(8)의 냉각 팬(8A)보다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냉각 팬(8A)에 대면하도록 선회 프레임(6)의 왼쪽 후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열교환 장치(9)는, 온도 상승한 각종 유체를 냉각풍에 의해 냉각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교환 장치(9)는, 바깥쪽 프레임을 이루는 프레임체(10), 열교환기를 이루는 라디에이터(11), 오일 쿨러(12), 인터 쿨러(13), 공조(空調) 장치의 콘덴서(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체(10)는 열교환 장치(9)의 바깥쪽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이 프레임체(10)는, 엔진(8)의 냉각 팬(8A)에 의한 냉각풍의 흐름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놓기 상태로 탑재된 엔진(8)에서는, 열교환 장치(9)는, 상부 선회체(4)의 전, 후 방향이 가로 폭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프레임체(10)는, 상, 하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체(10)는, 예를 들면, 선회 프레임(6)의 언더 커버(6J) 또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체(10)의 엔진(8)측에는, 냉각 팬(8A)을 둘러싸도록 팬 슈라우드(10A)가 마련되어 있다.
라디에이터(11)는, 프레임체(10) 내의 뒷부분 우측(카운터 웨이트(7)측)에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11)는, 엔진(8)을 냉각하여 온도 상승한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는 것으로, 엔진(8)의 워터 자켓(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오일 쿨러(12)는, 프레임체(10) 내에서 라디에이터(11)의 전측 위치에 라디에이터(11)와 대략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전, 후 방향의 전측 위치에서 직렬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오일 쿨러(12)는, 온도 상승한 작동유를 냉각하는 것으로, 제어 밸브 장치(도시 생략), 작동유 탱크(17) 등에 접속되어 있다.
인터 쿨러(13)는 라디에이터(11), 오일 쿨러(12)를 사이에 두고 냉각 팬(8A)과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인터 쿨러(13)는, 엔진(8)의 과급기로부터 유입되는 가압된 공기(흡기)를 냉각하여 엔진(8)의 흡기측을 향하여 유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인터 쿨러(13)는,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11)와 오일 쿨러(12)의 경계 위치에 배치되고, 라디에이터(11)와 오일 쿨러(12)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공조 장치의 콘덴서(14)는, 인터 쿨러(13)의 하측 위치에 라디에이터(11), 오일 쿨러(12)와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14)는 공조 장치에 이용되는 냉각 매체를 냉각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교환 장치(9)에는, 열교환기인 라디에이터(11), 오일 쿨러(12), 인터 쿨러(13), 공조 장치의 콘덴서(14)를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덮도록 복수 매, 예를 들면 3매의 방진 네트(15)가 마련되어 있다. 각 방진 네트(15)는, 예를 들면 인터 쿨러(13)의 전면, 콘덴서(14)의 전면, 후술하는 요소수 탱크(27)의 상측(카운터 웨이트(7)의 메인터넌스 개구(7E)의 약 상반분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방진 네트는 열교환기마다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접어 구부림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1매의 방진 네트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11), 오일 쿨러(12), 인터 쿨러(13) 및 콘덴서(14)의 배치 관계는, 상술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도 있다. 또, 열교환기의 하나로서, 연료를 냉각하는 연료 쿨러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유압 펌프(16)는 엔진(8)의 우측에 장착되어 있다. 이 유압 펌프(16)는, 엔진(8)에 의해서 구동됨으로써, 후술의 작동유 탱크(17)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압유로서 제어 밸브 장치(도시 생략)를 향하여 토출하는 것이다.
작동유 탱크(17)는, 유압 펌프(16)의 전측에서 선회 중심(O)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6) 상에 마련되어 있다. 이 작동유 탱크(17)는, 하부 주행체(2), 선회 장치(3), 프론트 장치(5)에 마련된 각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유를 저장하는 것이다.
연료 탱크(18)는, 작동유 탱크(17)에 대하여 좌, 우 방향의 외측이 되는 우측에 늘어서도록 선회 프레임(6) 상에 마련되어 있다. 연료 탱크(18)는, 엔진(8)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이다.
운전실(19)은, 선회 프레임(6)의 왼쪽 전측에 탑재되어 있다. 운전실(19)은,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운전석, 주행용의 조작 레버, 작업용의 조작 레버 등(모두 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엔진(8)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엔진(8)의 배기측에 접속하여 마련된 후처리 유닛(20)의 구성에 대하여 서술한다.
후처리 유닛(20)은, 엔진(8)의 우측에 위치하여 유압 펌프(16)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후처리 유닛(20)은, 엔진(8)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등을 산화하여 제거하고,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NOx)을 정화하고, 또한, 배기 가스 음을 저감하는 것이다.
후처리 유닛(20)은, 유입측에 엔진(8)의 배기관(8B)이 접속된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A)와,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A)의 유출측에 접속된 접속관(20B)과, 상기 접속관(20B)에 마련되어 요소수를 분사하는 요소수 분사 밸브(20C)와, 상기 접속관(20B)의 유출측에 접속된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A) 내에는, 산화 촉매(도시 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이 산화 촉매는,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처리 부재 중 하나를 구성하는 것이다. 산화 촉매는, 소정의 온도하에서 배기 가스를 유통시킴으로써, 이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등을 산화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요소수 분사 밸브(20C)는, 요소수 관로, 요소수 펌프(모두 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후술의 요소수 탱크(27)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요소수 분사 밸브(20C)는, 접속관(20B) 내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를 향하여 요소수 용액을 분사하는 것이다.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D)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A)의 상측에 위치하여 접속관(20B)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D) 내에는, 요소 선택 환원 촉매, 산화 촉매 등(모두 도시 생략)이 수용되어 있다. 또,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D)의 하류측이 되는 후측 부위에는, 직경 방향의 상측으로 돌출하여 배기구(20E)가 마련되고, 이 배기구(20E)의 돌출단측은, 후술하는 상면 커버부(25)의 미관(尾管)(25A)에 접속되어 있다.
요소 선택 환원 촉매는, 통상, 엔진(8)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NOx)을, 요소수 용액으로부터 생성된 암모니아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환원 반응시켜, 질소와 물로 분해하는 것이다. 한편, 산화 촉매는, 요소 선택 환원 촉매에 의해 질소 산화물을 환원한 후에 남은 잔류 암모니아를 산화하여, 질소와 물로 분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부 선회체(4)의 후측에 위치하여 엔진(8), 열교환 장치(9) 등을 덮는 외장 커버(21)에 대하여 서술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커버(21)는, 카운터 웨이트(7)와 운전실(19) 사이에 배치되고, 엔진(8), 열교환 장치(9), 유압 펌프(16) 등을 덮는 것이다. 이 외장 커버(21)는, 후술의 좌측면 커버부(22), 우측면 커버부(24), 상면 커버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측면 커버부(22)는, 열교환 장치(9)와 냉각풍의 흐름 방향에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측면 커버부(22)는, 카운터 웨이트(7)와 운전실(19) 사이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6)의 왼쪽 사이드 프레임(6E) 상에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좌측면 커버부(22)는, 그 상, 하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하측에 걸쳐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된 측면 도어(22A)와, 당해 측면 도어(22A)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열교환 장치(9)측으로 굴곡진 왼쪽 모서리부(2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측면 도어(22A)는, 전측이 운전실(19)의 후면을 따라서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된 지주(支柱)(23)(도 2, 도 4 참조)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측면 도어(22A)에는, 외부의 공기를 열교환 장치(9)측(도 5, 도 6 중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 유입구(22A1, 22A2)를 구비하고 있다. 왼쪽 모서리부(22B)도, 외부의 공기를 열교환 장치(9)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 유입구(22B1, 22B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면 커버부(22)는, 후술하는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의 좌측과 상측의 일부를 폐색하는 폐색면을 구성하고 있다.
우측면 커버부(24)는, 카운터 웨이트(7)와 연료 탱크(18) 사이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6)의 오른쪽 사이드 프레임(6F) 상에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우측면 커버부(24)의 상측은 유압 펌프(16)측으로 굴곡져 있다.
상면 커버부(25)는 엔진(8), 열교환 장치(9) 등의 상측을 덮는 것이다. 이 상면 커버부(25)는, 좌, 우의 측면 커버부(22, 24)와 카운터 웨이트(7)에 둘러싸인 범위에 마련되어 있다. 상면 커버부(25)의 우측쪽에는, 미관(25A)이 마련되고, 이 미관(25A)은 후처리 유닛(20)의 배기구(20E)가 접속되어 있다. 상면 커버부(25)의 좌측 부분은,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의 상측의 일부를 폐색하는 폐색면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후술의 요소수 탱크(27) 등이 배치되는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의 구성에 대하여 서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을 폐색 공간으로서 나타낸 도면이 존재하지 않지만,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이 형성되는 위치에 부호를 붙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은, 상부 선회체(4)의 왼쪽 후측에 위치하고, 열교환 장치(9)에 대하여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은, 선회 프레임(6)의 언더 커버(6J), 카운터 웨이트(7)의 왼쪽 경사면(7C), 열교환 장치(9), 외장 커버(21)를 구성하는 좌측면 커버부(22) 및 상면 커버부(25)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의 후측은, 카운터 웨이트(7)의 왼쪽 경사면(7C)에 의해서 효율 좋은 사용이 곤란한 삼각형 형상의 공간이 되어 있다.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의 후측에는, 삼각형 형상의 공간을 이용하여 후술의 요소수 탱크(27)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이 되는 요소수 탱크(27)의 구성 및 그 구성에 의한 기능에 대하여 서술한다.
요소수 탱크(27)는 열교환 장치 상류실(26) 내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27)는, 환원제인 요소수를 저장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로서 형성되고, 요소수 펌프, 요소수 관로(모두 도시 생략)를 거쳐 후처리 유닛(20)의 요소수 분사 밸브(20C)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27)는 라디에이터(11), 콘덴서(14)의 전측(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을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요소수 탱크(27)는, 라디에이터(11), 콘덴서(14)와의 사이에 후술의 냉각풍 안내 통로(33)를 형성함으로써, 이들을 향하여 냉각풍을 유통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27)는, 큰 용량을 갖는 상측 탱크부(28)와, 이 상측 탱크부(28)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측 탱크부(28)보다 작은 용량으로 형성된 하측 탱크부(2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측 탱크부(28)는, 카운터 웨이트(7)의 왼쪽 경사면(7C)(선회 프레임(6)의 왼쪽 뒷부분 빔(6G)의 경사 부위(6G1))과 평행이 되도록 경사진 뒤쪽 경사면(28A)과, 상기 뒤쪽 경사면(28A)과 간격을 갖고, 또한 상기 뒤쪽 경사면(28A)과 대략 평행으로 경사진 앞쪽 경사면(28B)과, 상기 뒤쪽 경사면(28A)과 상기 앞쪽 경사면(28B)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부 선회체(4)의 좌, 우 방향(화살표 A로 나타내어지는 냉각풍의 흐름 방향)과 평행한 평탄면이 된 전면(28C)과, 상기 뒤쪽 경사면(28A)과 상기 앞쪽 경사면(28B)의 후단에 형성되어 라디에이터(11)와 대면하는 우면(28D)과, 상기 뒤쪽 경사면(28A), 앞쪽 경사면(28B), 전면(28C), 우면(28D)의 상부에 마련된 상면(28E)을 포함하는 박스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면(28E)에는, 요소수의 공급 관로, 리턴 관로, 온도, 농도 등을 계측하기 위한 리드 선 등(모두 도시 생략)이 삽통(揷通) 상태에서 장착되는 장착구(28F)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뒤쪽 경사면(28A)에는, 뒤쪽에 위치하여 돌출 탱크부(28G)가 마련되고, 이 돌출 탱크부(28G)의 상측에는, 캡 구비 급수구(28H)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뒤쪽 경사면(28A)에는, 돌출 탱크부(28G)의 전측에 위치하여 요소수의 잔량을 나타내는 레벨 게이지(28J)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탱크부(28)의 뒤쪽 경사면(28A)은, 카운터 웨이트(7)의 왼쪽 경사면(7C)을 따라서 대면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상측 탱크부(28)를 카운터 웨이트(7)에 접근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상측 탱크부(28)의 우면(28D)은, 라디에이터(11)와 대략 평행으로 대면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뒤쪽 경사면(28A)과 우면(28D)에 의해 예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측 탱크부(28)(요소수 탱크(27))는,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의 최후부에 배치할 수 있고,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의 공간을 낭비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상측 탱크부(28)의 앞쪽 경사면(28B)은, 열교환 장치(9)와 간극을 갖고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앞쪽 경사면(28B), 우면(28D)과 열교환 장치(9)와의 사이에는, 라디에이터(11), 콘덴서(14)의 후측 부위 등에 냉각풍을 유통시키는 후술의 냉각풍 안내 통로(33)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탱크부(28)의 전면(28C)은, 냉각풍의 흐름 방향과 평행한 평탄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외장 커버(21)의 좌측면 커버부(22)를 구성하는 측면 도어(22A)의 외기 유입구(22A1, 22A2) 등으로부터 열교환 장치 상류실(26)로 유입된 냉각풍은, 전면(28C)을 따라서 화살표 A 방향을 향하여 원활하게 흐를 수 있어, 열교환 장치(9)에 효율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측 탱크부(28)의 돌출 탱크부(28G)는, 뒤쪽 경사면(28A)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측을 향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출 탱크부(28G)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경사면(28G1)에 전술한 급수구(28H)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의 하측 경사면(28G2)는, 카운터 웨이트(7)의 메인터넌스 개구(7E)의 최하부가 되는 아래쪽 프레임(7E2)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돌출 탱크부(28G)는, 메인터넌스 개구(7E) 내로 돌출시킬 수 있고, 이 메인터넌스 개구(7E)를 이용하여 용량을 확대할 수 있다. 더욱이, 메인터넌스 개구(7E) 내로 돌출한 돌출 탱크부(28G)에는, 급수구(28H)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 급수구(28H)에 용이하게 손을 뻗을 수 있어, 요소수의 급수 작업을 간단하게, 또한 주위에 흘리지 않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하측 탱크부(29)는, 선회 프레임(6)측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라디에이터(11), 콘덴서(14)보다 낮은 위치 또는 상측 부분이 라디에이터(11), 콘덴서(14)의 하측 부분에 약간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하측 탱크부(29)는, 냉각풍의 흐름을 방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탱크부(29)의 오른쪽 앞 부분은, 상측 탱크부(28)의 앞쪽 경사면(28B)보다 돌출한 돌출부(29A)가 되어 있다. 이 돌출부(29A)는, 요소수 탱크(27)를 후술의 브래킷(30)에 고정할 때에 고정 밴드(31)가 걸리는 부분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요소수 탱크(27)를 선회 프레임(6)에 장착하는 경우의 순서의 일례에 대하여 서술한다.
먼저, 상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브래킷(30)을 준비하고, 이 브래킷(30) 내에 요소수 탱크(27)의 하측 탱크부(29)를 넣는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탱크부(29)의 돌출부(29A)에 고정 밴드(31)를 걸어 너트(32)에 의해 조임으로써, 브래킷(30)에 대하여 요소수 탱크(27)가 고정된다.
브래킷(30)에 요소수 탱크(27)를 고정하면, 이 브래킷(30)을 선회 프레임(6)의 언더 커버(6J) 상에 배치된 탱크 장착대(6K) 상에 볼트 고정한다. 이에 의해, 요소수 탱크(27)는, 열교환 장치 상류실(26) 내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6)에 장착할 수 있다. 이 장착 상태에서는, 요소수 탱크(27)는, 열교환 장치(9)의 라디에이터(11)나 콘덴서(14) 등에 대하여 소정 치수만큼 떨어져 있고, 이들과의 사이에 후술의 냉각풍 안내 통로(33)를 형성하고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풍 안내 통로(33)는, 열교환 장치(9)와 요소수 탱크(27)를 구성하는 상측 탱크부(28)의 앞쪽 경사면(28B)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 냉각풍 안내 통로(33)는, 열교환 장치(9)와 앞쪽 경사면(28B)의 간극을 이용하여 냉각풍을 유통시키는 것이다. 냉각풍 안내 통로(33)는, 상측 탱크부(28)의 앞쪽 경사면(28B)에 의해서 냉각풍의 입구측을 크게 개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좌측면 커버부(22)(측면 도어(22A))의 각 외기 유입구(22A1, 22A2) 등을 통하여 열교환 장치 상류실(26) 내(화살표 A 방향)로 유입된 냉각풍을 냉각풍 안내 통로(33)측(화살표 B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풍 안내 통로(33)는, 화살표 B 방향의 냉각풍의 흐름에 의해 열교환 장치(9) 중, 냉각풍이 도착하기 어려운 깊숙한 위치가 되는 카운터 웨이트(7)의 전면 근방 부위에 배치된 라디에이터(11)나 콘덴서(14)를 향하여 냉각풍을 안내할 수 있다.
비산 방지 부재(34)는, 요소수 탱크(27)의 상측 탱크부(28)에 마련된 급수구(28H)의 주위에 마련되어 있다(도 7, 도 8 참조). 이 비산 방지 부재(34)는, 급수구(28H)로부터 요소수를 급수할 때에, 부식성을 갖는 요소수의 비산(부착)을 방지하는 것이다. 비산 방지 부재(34)는, 예를 들면, 복수 매의 수지판을 조합함으로써, 상측 탱크부(28)의 돌출 탱크부(28G)를 둘러싸도록 역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비산 방지 부재(34)는, 요소수의 비산에 의해서 주위의 부재가 부식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5)는, 열교환 장치 상류실(26) 내에 위치하여 요소수 탱크(27)의 전측에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고, 다음으로, 유압 셔블(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전실(19)에 탑승한 오퍼레이터는, 엔진(8)을 시동하여 유압 펌프(16)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유압 펌프(16)로부터의 압유는, 제어 밸브 장치를 통하여 각종 액추에이터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주행용의 조작 레버를 조작하였을 때에는, 하부 주행체(2)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한편, 작업용의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선회 장치(3)와 프론트 장치(5)를 동작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엔진(8)의 운전시에, 엔진(8)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배기관(8B),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A), 접속관(20B),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D)를 통하여 대기 중에 배출된다. 이 때에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A)에 마련된 산화 촉매가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등을 산화하여 제거한다.
한편, 접속관(20B)에서는, 요소수 분사 밸브(20C)로부터 배기 가스를 향하여 요소수를 분사하고,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D)에서는, 요소 선택 환원 촉매에 의해서 질소 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분해한다. 또한, 산화 촉매가 잔류 암모니아를 산화하고, 질소와 물로 분리함으로써, 정화한 배기 가스를 대기 중에 배출한다.
다음으로, 요소수 탱크(27)에 요소수를 급수하는 경우의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작업자는, 카운터 웨이트(7)의 메인터넌스 커버(7F)를 개방하여, 메인터넌스 개구(7E)로부터 요소수 탱크(27)를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측 탱크부(28)의 급수구(28H)의 캡을 떼어냄으로써, 이 급수구(28H)로부터 요소수를 급수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열교환 장치(9)의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6), 카운터 웨이트(7), 열교환 장치(9), 외장 커버(21)에 의해서 둘러싸인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을 갖고, 상기 열교환 장치 상류실(26) 내에는, 환원제인 요소수를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27)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카운터 웨이트(7)은, 전면측이며, 좌, 우 방향의 좌측이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을 향하여 경사지는 왼쪽 경사면(7C)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27)의 상측 탱크부(28)는, 카운터 웨이트(7)의 왼쪽 경사면(7C)과 평행이 되도록 경사진 뒤쪽 경사면(28A)과, 상기 뒤쪽 경사면(28A)과 간격을 갖고, 또한 상기 뒤쪽 경사면(28A)과 대략 평행으로 경사진 앞쪽 경사면(28B)과, 상기 뒤쪽 경사면(28A)과 상기 앞쪽 경사면(28B)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부 선회체(4)의 좌, 우 방향과 평행한 평탄면이 된 전면(28C)을 포함하는 박스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상측 탱크부(28)의 뒤쪽 경사면(28A)은, 상기 카운터 웨이트(7)의 왼쪽 경사면(7C)을 따라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상측 탱크부(28)의 앞쪽 경사면(28B)은, 상기 열교환 장치(9)와 간극을 갖고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 장치(9)와 요소수 탱크(27)를 구성하는 상측 탱크부(28)의 앞쪽 경사면(28B)과의 사이에는, 상기 열교환 장치(9)와 상기 앞쪽 경사면(28B)의 간극을 이용하여 냉각풍을 유통시키는 냉각풍 안내 통로(3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커버(21)의 좌측면 커버부(22)로부터 요소수 탱크(27)(상측 탱크부(28))의 전면(28C)을 따라서 유입된 냉각풍의 일부는,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풍 안내 통로(33)를 향하여 흐른다. 이 냉각풍은, 상기 냉각풍 안내 통로(33)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 장치(9) 중 상기 카운터 웨이트(7)의 전면 근방 부위, 즉, 라디에이터(11), 콘덴서(14)의 뒤쪽 부위를 향하여 안내된다.
그 결과, 요소수 탱크(27)를, 열교환 장치(9)의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열교환 장치 상류실(26)에 배치한 경우이더라도, 상측 탱크부(28)의 전면(28C)을 따라서 냉각풍을 유통시킬 수 있는 데다가, 냉각풍 안내 통로(33)에 의해서 라디에이터(11)나 콘덴서(14)에 냉각풍을 적극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 장치(9)에 의해서 각종 유체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카운터 웨이트(7)의 왼쪽 경사면(7C)에는, 외부를 향하여 개구시킨 메인터넌스 개구(7E)가 형성되고, 요소수 탱크(27)의 상측 탱크부(28)에는, 메인터넌스 개구(7E)에 대향하는 부위에 요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28H)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7)의 메인터넌스 커버(7F)를 개방함으로써, 메인터넌스 개구(7E)로부터 요소수 탱크(27)를 노출시킬 수 있고, 이 급수구(28H)로부터 요소수를 용이하게 급수할 수 있다.
또, 요소수 탱크(27)를 구성하는 상측 탱크부(28)의 뒤쪽 경사면(28A)에는, 카운터 웨이트(7)의 메인터넌스 개구(7E)의 최하부가 되는 아래쪽 프레임(7E2)보다 상측 부분을, 메인터넌스 개구(7E) 내에 돌출시킨 돌출 탱크부(28G)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 탱크부(28G)에는 급수구(28H)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요소수 탱크(27)는, 상측 탱크부(28)에 돌출 탱크부(28G)를 돌출하여 마련한 만큼 용량을 증대할 수 있고, 유압 셔블(1)의 가동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더욱이, 메인터넌스 개구(7E) 내로 돌출한 돌출 탱크부(28G)에 급수구(28H)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메인터넌스 개구(7E)로부터 급수구(28H)에 용이하게 손을 뻗을 수 있다. 그 결과, 요소수의 급수 작업은, 간단하게, 또한 주위에 흘리지 않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27)의 급수구(28H)의 주위에는, 급수시의 요소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 방지 부재(34)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비산 방지 부재(34)는, 요소수의 비산에 의해서 주위의 부재가 부식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요소수 탱크(27)는, 브래킷(30)을 개재하여 선회 프레임(6)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브래킷(30)을 생략하고, 요소수 탱크(27)를 직접적으로 선회 프레임(6)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요소수 탱크(27)는, 고정 밴드(31)를 이용하여 브래킷(30)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나사 부재 등의 기타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브래킷(30)에 요소수 탱크(27)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후처리 유닛(20)의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A) 내에 산화 촉매만을 마련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0A) 내에, 산화 촉매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입자상 물질 제거 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 생략하여 DPF라고도 부르고 있음)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소형의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된다. 그 이외에도, 유압 크레인 등의 기타 건설 기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하부 주행체
4: 상부 선회체
5: 프론트 장치
6: 선회 프레임
7: 카운터 웨이트
7A: 외주면
7C: 왼쪽 경사면
7E: 메인터넌스 개구
7E2: 아래쪽 프레임(최하부)
8: 엔진
8A: 냉각 팬
9: 열교환 장치
11: 라디에이터
12: 오일 쿨러
13: 인터 쿨러
14: 콘덴서
21: 외장 커버
22: 좌측면 커버부
22A: 측면 도어
22A1, 22A2, 22B1, 22B2: 외기 유입구
22B: 왼쪽 모서리부
25: 상면 커버부
26: 열교환 장치 상류실
27: 요소수 탱크
28: 상측 탱크부
28A: 뒤쪽 경사면
28B: 앞쪽 경사면
28C: 전면
28G: 돌출 탱크부
28H: 급수구
29: 하측 탱크부
33: 냉각풍 안내 통로
34: 비산 방지 부재
A, B: 냉각풍의 흐름 방향

Claims (5)

  1.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에 부앙동 가능하게 마련된 프론트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후측에 선회 프레임의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상기 프론트 장치와의 중량 밸런스를 잡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전측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에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놓기 상태로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좌, 우 방향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냉각풍으로서 흡입하는 냉각 팬과,
    상기 냉각 팬보다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냉각 팬과 대면하여 마련되어 냉각풍에 의해서 유체를 냉각하는 열교환 장치와,
    상기 열교환 장치와 냉각풍의 흐름 방향에서 대면함과 함께 외기 유입구를 구비한 측면 커버부 및 상기 엔진, 열교환 장치의 상측을 덮는 상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외장 커버와,
    상기 열교환 장치의 냉각풍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 상기 카운터 웨이트, 상기 열교환 장치, 상기 외장 커버에 의해서 둘러싸인 열교환 장치 상류실과,
    상기 열교환 장치 상류실 내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환원제인 요소수를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전면측이며, 좌, 우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이 상기 열교환 장치 상류실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요소수 탱크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경사면과 평행이 되도록 경사진 뒤쪽 경사면과, 상기 뒤쪽 경사면과 간격을 갖고, 또한 상기 뒤쪽 경사면과 대략 평행으로 경사진 앞쪽 경사면과, 상기 뒤쪽 경사면과 상기 앞쪽 경사면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선회체의 좌, 우 방향과 평행한 평탄면이 된 전면을 포함하는 박스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요소수 탱크의 뒤쪽 경사면은,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경사면을 따라서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요소수 탱크의 앞쪽 경사면은, 상기 열교환 장치와 간극을 갖고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 장치와 상기 요소수 탱크의 앞쪽 경사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열교환 장치와 상기 앞쪽 경사면의 간극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풍을 유통시키는 냉각풍 안내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경사면에는, 외부를 향하여 개구시킨 메인터넌스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요소수 탱크에는, 상기 메인터넌스 개구에 대향하는 부위에 요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수 탱크의 상기 뒤쪽 경사면에는, 상기 메인터넌스 개구의 최하부보다 상측 부분을, 상기 메인터넌스 개구 내에 돌출시킨 돌출 탱크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 탱크부에는, 상기 급수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의 주위에는, 급수시의 요소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 방지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장치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전면측에 위치하여 배치되고,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와, 상기 라디에이터와 전, 후 방향의 전측 위치에서 직렬로 나란히 배치되고, 작동유를 냉각하는 오일 쿨러를 포함하며,
    상기 간극을 통과하여 유통하는 냉각풍은,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가까운 상기 라디에이터를 향하여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187006548A 2015-10-06 2016-09-05 건설 기계 KR102022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8416 2015-10-06
JP2015198416A JP6385323B2 (ja) 2015-10-06 2015-10-06 建設機械
PCT/JP2016/075991 WO2017061207A1 (ja) 2015-10-06 2016-09-05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045A true KR20180031045A (ko) 2018-03-27
KR102022490B1 KR102022490B1 (ko) 2019-09-18

Family

ID=5848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548A KR102022490B1 (ko) 2015-10-06 2016-09-05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87476B2 (ko)
EP (1) EP3361010B1 (ko)
JP (1) JP6385323B2 (ko)
KR (1) KR102022490B1 (ko)
CN (1) CN108026712B (ko)
WO (1) WO20170612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2611B2 (en) * 2015-01-22 2019-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seal arrangement for use with vehicle condensers
US10308108B2 (en) 2015-03-30 2019-06-04 Kubota Corporation Working machine
JP6689806B2 (ja) * 2017-09-26 2020-04-28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
US10813286B2 (en) * 2017-11-15 2020-10-27 Cnh Industrial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flow orientation of an air flow exhausted from an agricultural harvester
JP7179590B2 (ja) * 2018-11-21 2022-11-2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US11642933B2 (en) * 2020-06-24 2023-05-09 Honda Motor Co., Ltd. Heat transfer system for a vehicle
JP2022077853A (ja) * 2020-11-12 2022-05-24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0695A (ja) * 2007-03-28 2008-10-09 Komatsu Ltd 建設車両
KR20100101614A (ko) * 2007-12-03 2010-09-17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
JP2012144955A (ja) 2011-01-14 2012-08-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4122476A (ja) * 2012-12-20 2014-07-03 Komatsu Ltd 作業車両
KR20150023518A (ko) * 2012-10-16 2015-03-05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유압 셔블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866A (ja) * 1999-02-04 2000-08-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4072898B2 (ja) * 2002-11-21 2008-04-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の機器配置構造
JP4211919B2 (ja) * 2003-03-24 2009-01-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カウンタウエイト
CN1806103B (zh) * 2003-06-16 2011-06-15 神钢建设机械株式会社 建筑机械
KR101217581B1 (ko) * 2006-08-02 2013-01-02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하이브리드 작업 차량
JP5043546B2 (ja) * 2007-07-24 2012-10-10 ヤンマー株式会社 燃料タンク
JP2010261373A (ja) * 2009-05-08 2010-11-18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
JP5336646B1 (ja) * 2012-12-20 2013-11-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WO2015045106A1 (ja) * 2013-09-27 2015-04-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6053038B2 (ja) * 2014-02-06 2016-12-2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04114826B (zh) * 2014-02-26 2015-10-21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JP6445476B2 (ja) * 2016-01-29 2018-12-2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0695A (ja) * 2007-03-28 2008-10-09 Komatsu Ltd 建設車両
KR20100101614A (ko) * 2007-12-03 2010-09-17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
JP2012144955A (ja) 2011-01-14 2012-08-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KR20150023518A (ko) * 2012-10-16 2015-03-05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유압 셔블
JP2014122476A (ja) * 2012-12-20 2014-07-03 Komatsu Ltd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1010A4 (en) 2019-05-01
EP3361010A1 (en) 2018-08-15
US20180245310A1 (en) 2018-08-30
JP2017071928A (ja) 2017-04-13
EP3361010B1 (en) 2020-04-29
CN108026712B (zh) 2020-06-12
WO2017061207A1 (ja) 2017-04-13
CN108026712A (zh) 2018-05-11
JP6385323B2 (ja) 2018-09-05
KR102022490B1 (ko) 2019-09-18
US10487476B2 (en)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1045A (ko) 건설 기계
EP2821608B1 (en) Cooling structure for urea aqueous solution conduit
WO2014069038A1 (ja) ダンプトラック
CN107923139B (zh) 工程机械
US8857384B2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776120B1 (ko) 건설기계
JP5636512B1 (ja) 作業車両
WO2014125622A1 (ja) 油圧ショベル
KR20180038497A (ko) 건설기계
KR101834979B1 (ko) 건설 기계
JPWO2014155507A1 (ja) 作業車両、及びホイールローダ
JP2017166142A (ja) 建設機械
KR101896579B1 (ko) 건설 기계
JP6176297B2 (ja) 建設機械
JP5438249B1 (ja) ダンプトラック
JP7025307B2 (ja) 建設機械
JP7271745B2 (ja) 建設機械
JP2020019402A (ja) 建設機械
JP2022065361A (ja) 建設機械
JP6869840B2 (ja) 建設機械
JP2023135911A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