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558A -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 - Google Patents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558A
KR20180029558A KR1020160117758A KR20160117758A KR20180029558A KR 20180029558 A KR20180029558 A KR 20180029558A KR 1020160117758 A KR1020160117758 A KR 1020160117758A KR 20160117758 A KR20160117758 A KR 20160117758A KR 20180029558 A KR20180029558 A KR 20180029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lade
conveying
m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7116B1 (ko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민 filed Critical 박성민
Priority to KR1020160117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1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Producing portions of meat with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e.g. weight or particular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2Apparatus for holding meat or bones while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6Work-tables; Fish-holding and auxiliary devices in connection with work-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8Cutting fish into por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게 식자재에 칼집 생성과 소소를 첨가할 수 있어 가공시간의 단축으로 생산량을 증대시키며 가동품질을 일정하게 유지가능한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에 관한 것으로, 축산물이나 수산물과 같은 식자재에 칼집을 형성시키는 육절기에 관한 것으로, 식자재를 이송시키는 제1,2이송부, 식자재를 세절과 소스를 첨가하는 세절부, 세절된 식자재를 배출하는 배출이송부로 구성하여; 이송되는 식자재에 칼집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소소를 자동으로 첨가하여 가공에 따른 과정이 단순해지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Automatic machine for meat source added}
본 발명은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자재에 칼집을 생성시키는 동시에 소소를 첨가할 수 있으며 회전축의 감속기능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에 양념이 골고루 스며들어 고기맛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육류에 그물 형상의 칼집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수작업을 하거나 육절기에 의해 칼집을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기 육류 칼집 형성방법인 육절기에 의한 칼집 형성은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송벨트와 커터가 회전되면 육류가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고 이송된 육류는 커터를 통과하면서 육류의 상면에 칼집이 형성되도록 되었다.
그리고 육류의 저면에 칼집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육류를 뒤집어 재차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시켜 커터를 통과하면서 육류 상면에 그물 형상의 칼집을 형성시키도록 하여 육류의 상면과 저면에 그물 형상의 칼집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육절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상기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지되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회전칼날이 형성되고 일단에 축설된 스퍼기어에 치합되는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칼날의 사이로 고기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칼날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장착되도록 와셔나 원형 지지대에 의해 간격이 조절된다. 즉 절단되는 고기의 폭은 상기 회전칼날의 간격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그러나 종래의 육절기는 단순히 냉동고기 또는 생고기를 일정간격으로 절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뿐이어서 조리시 양념이 잘 베이도록 고기에 칼집을 형성하는 공정은 결국 수작업으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육절기는 하나의 조리 용도로만 사용될 뿐이어서 육류의 대표적인 음식인 육회나 삼겹살의 조리를 위해서는 각각의 용도에 맞는 육절기를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식자재에 칼집을 생성시키는 동시에 소스가 첨가되도록 하여 식자재의 숙성 준비시간을 단축하고 회전축의 회전수를 감속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한 육절기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번호 제10-0781078호 (육류 칼집 자동 육절기) 공개번호 특2001-0083871호 (갈비살 칼집 자동 육절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송되는 식자재에 칼집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소소를 자동으로 첨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칼날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세절 기능과 소스의 배출기능을 분할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두 개의 칼날의 사이 틈새로 소스가 배출됨으로써 비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전축의 내부를 통해 소스를 공급함으로써 장비의 오염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축을 다수개의 축으로 연속 연결하여 감속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축산물이나 수산물과 같은 식자재에 칼집을 형성시키는 육절기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 측에 이격 형성된 사이로 식자재를 이송시키는 제1,2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식자재의 상부면을 일부분 절개하는 동시에 소스를 배출하는 다수개의 칼날을 등 간격으로 회전축에 형성하는 세절부, 상기 세절부를 통해 세절 및 소스가 첨가된 식자재를 배출하는 배출이송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송되는 식자재에 칼집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소소를 자동으로 첨가하여 가공에 따른 과정이 단순해지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칼날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세절 기능과 소스의 배출기능을 분할하여 수행하여 칼날 및 회전축, 구동 작용에 과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두 개의 칼날의 사이 틈새로 소스가 배출됨으로써 비산이 발생하지 않고, 회전축의 내부를 통해 소스를 공급함으로써 장비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청결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회전축을 다수개의 축으로 연속 연결하여 감속기 기능을 수행하여 회전축의 마모율을 감소시키며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의 세절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의 세절부 중 칼날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의 세절부 중 칼날을 통해 소스의 유동 및 배출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의 세절부 중 회전축의 다른 실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의 개략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의 세절부에 의해 식자재에 칼집 형성 및 소스의 첨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축산물이나 수산물과 같은 식자재에 칼집을 형성시키는 육절기에 관한 것으로, 식자재를 이송시키는 제1,2이송부(10)(20), 식자재를 세절과 소스를 첨가하는 세절부(30), 세절된 식자재를 배출하는 배출이송부(40)로 육절기(100)를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육절기(100)는 상부와 하부 측에 이격 형성된 사이로 식자재를 이송시키는 제1,2이송부(10)(20)를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육절기(100)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10)는 제1모터(11)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축(12)과 이격 설치되는 제1회전축(13)의 외면에 결합시켜 회전하는 제1이송벨트(14)로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2이송부(20)는 제2모터(21)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제2구동축(22)과 이격 설치되는 제2회전축(23)의 외면에 결합시켜 회전하는 제2이송벨트(24)로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1이송부(10)는 승강 및 하강하면서 식자재의 크기에 따라 제2이송부(20)와 이격 거리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는데, 일 예로 상시 제1이송부(10)는 별도의 프레임(15)에 고정손잡이(16)의 해체를 통한 사용자의 조절작동으로 제2이송부(20)와 이격 거리를 조정하도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이송부(10)(20)의 제1,2이송벨트(14)(24)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며 식자재의 성분이 침투되거나 묻어나지 않는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식자재를 이송시키는 동시에 세절부(30)에서 세절시 일정 부분 고정역활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절부(30)는 제1,2이송부(10)(20)에 의해 이송된 식자재의 상부면을 일부분 절개하는 동시에 소스를 배출하는 다수개의 칼날(31)을 등 간격으로 회전축(32)에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세절부(30)의 칼날(31)은 식자재에 직접 접촉하여 칼집을 형성하는 제1칼날(31a)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1칼날(31a)이 측면에 근접 밀착되며 직경이 작은 제2칼날(31b)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1,2칼날(31a)(31b)이 회전축(32)의 소스홀(33)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시키며 칼날(31)과 칼날(31)의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구(34)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34)는 제1칼날(31a)이 고정되는 제1고정구(34)와 제2칼날(31b)이 고정되는 제2고정구(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칼날(31a)의 중앙부분은 제1고정구(34)에 용접방식이나 볼트로 고정 결합되고, 제2칼날(31b)은 테두리 끝단이 일측으로 경사진 디귿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수평단(31d)의 외측면이 제2고정구(34b)의 내측면에 밀착된 후 용접방식이나 볼트로 고정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제1,2고정구(34a)(34b)에 제1,2칼날(31a)(31b)이 각각 고정되면 제1,2칼날(31a)(31b)이 서로 밀착되어 중앙 부분에는 소스가 충진되는 충진공간(31e)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1칼날(31a)의 직경은 제2칼날(31b)보다 크게 형성되어 서로 중심을 일직선상에 배치시키면 제1칼날(31a)이 제2칼날(31b)보다 돌출되어 식자재를 세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로써, 상기 세절부(30)는 회전축(32)의 중앙을 통해 소스공급부(35)에서 공급되는 소스가 소스홀(33)을 통해 제1,2칼날(31a)(31b)의 사이로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2)은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소스홀(33)이 형성되며, 소스홀(33)은 회전축(32)의 외면에 원형 배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소스홀(33)은 고정구(34)의 제1,2고정구(34a)(34b)를 설치시 제1,2고정구(34a)(34b)이 사이이며 제1,2칼날(31a)(31b)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32)의 양 끝단은 베어링브라켓(32a)에 의해 육절기(100)를 형성하는 별도의 케이스에 결합되며, 회전축(32)의 일 끝단에는 별도로 설치되는 소스공급부(35)의 소스저장통(35a)과 연결되어 소스를 유동시키는 소스호스(35b)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소스공급부(35)의 소스저장통(35a)에서 소스호스(35b)를 통해 회전축(32)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35c)를 구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축(32)은 세절모터(36)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37)의 타 끝단에는 제1감속축(38a)~제n감속축(38n)을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1감속축(38a)~제n감속축(38n)에는 베어링(32b)이 결합되어 구동축(37)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은 제1감속축(38a)~제n감속축(38n)의 순으로 감속되며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회전축(32)의 구동축(37)은 세절모터(36)의 체인과 스플라킷 연결 방식이나 기어와 기어 연결 방식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구동축(37)과 연결순서는 제1감속축(38a)~제n감속축(38n)의 순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감속축(38a)~제n감속축(38n)은 일 끝단은 구동축(37)의 일 끝단이 끼워지는 크기로 확장단(39)을 형성하고, 타끝단은 확장단(39)과 일체로 연장되며 구동축(37)의 직경과 동일한 축소단(39a)으로 형성되어, 구동축(37)에 제1감속축(38a)의 확장단(39)이 연결되고, 제1감속축(38a)의 축소단(39a)에 제2감속축(38b)의 확장단이 연결되는 방식으로 제n감속축(38n)이 연속적으로 미끄럼접촉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감속축(38a)~제n감속축(38n)을 이루는 각각의 축소단(39a)에는 고고정을 위해 베어링(32b)이 설치되어 구동축(37)의 회전시 제1감속축(38a)~제n감속축(38n)이 순차적으로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데, 회전구동력의 회전수는 구동축(37), 제1감속축(38a), 제2감속축(38b)~제n감속축(38n)의 순으로 낮아지게 된다.
즉, 상기 제1감속축(38a)~제n감속축(38n)은 세절모터(36)를 통해 전달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축(37)의 높은 회전수를 제1감속축(38a), 제2감속축(38b)~제n감속축(38n)의 순서를 지나면서 제n감속축(38n)의 축소단(39a)에 결합되는 칼날(31)이 적정 회전수로 세절을 위해 회전하도록 감속기 기능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세절부(30)를 통해 세절 및 소스가 첨가된 식자재를 배출하는 배출이송부(40)로 구성하는데, 상기 배출이송부(40)는 컨베이어벨트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육절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육절기(100)는 별도로 제작되며 도면상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상부에는 제1이송부(10)를 설치하고, 제1이송부(10)의 하부에는 제2이송부(20)를 이격시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이송부(10)(20)의 후방에 근접하게 회전축(32)에 고정구(34)를 이용하여 제1,2칼날(31a)(31b)을 등간격으로 결합한 세절부(30)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세절부(30)의 회전축(32)은 케이스에 회전되도록 양 끝단을 고정하고 회전축(32)에는 소스공급부(35)의 소스저장통(35a)에 연결된 소스호스(35b)를 연결한한다.
아울러, 상기 세절부(30)의 후방으로 배출이송부(40)를 설치하여 조립을 완료하는 것으로 육절기(100)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육절기(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육절기(100)에 제1,2제1,2이송부(10)(20) 및 세절부(30), 소스공급부(35), 배출이송부(40)를 작동시킬 전원을 인가한 다음 식자재(200)를 공급하는데 식자재(200)는 일 예로 육류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상기 식자재(200)를 제1,2이송부(10)(20)의 사이에 위치시키면 제1,2이송부(10)(20)는 각각 제1,2모터(11)(21)의 구동력에 의해 제1,2구동축(12)(22)이 회전하면 제1,2이송벨트(14)(24)의 회전으로 제1,2회전축(13)(23)이 회전하면서 식자재(200)가 세절부(30)로 이송한다.
이후, 상기 제1,2이송부(10)(20)를 통해 식자재(200)가 이동하면 세절부(30)는 세절모터(36)의 구동으로 회전축(32)이 회전하는 동시에 소스공급부(35)의 소스저장통(35a)에 저장된 소스가 펌프(35c)의 작동으로 소스호스(35b)를 통해 회전축(32)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32)의 회전은 세절모터(36)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는 구동축(37)이 우선 회전하며 다음으로 제1감속축(38a), 제2감속축(38b)~제n감속축(38n)의 순서를 지나면서 제n감속축(38n)의 축소단(39a)에 결합되는 칼날(31)이 적정 회전수로 세절을 위해 회전하도록 감속기 기능을 하여 회전축(32) 및 세절모터(36)에 과부하를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상기 회전축(32)과 함께 회전하는 칼날(31)의 제1칼날(31a)에 접촉되면서 동일 간격으로 칼집을 형성하는 동시에 회전축(32)의 내부를 통해 공급되는 소스가 소스홀(33)을 통해 배출된 후 제1,2칼날(31a)(31b)의 사이에 충진되면서 회전 원심력에 의해 제1칼날(31a)이 식자재(200)에 칼집을 형성할 때 배출되어 칼집의 일면에 우선적으로 묻혀진 다음 시간이 지날수록 유동하여 칼집에 전체적으로 번져 소스의 고르게 분포시키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절부(30)를 통과하면서 식자재(200)의 상부면적에 모두 칼집을 생성한 경우 식자재(200)의 방향을 변경하여 제1,2이송부(10)(20)를 통해 재 공급할 경우 다른 방향으로 칼집을 형성할 수 있어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후, 상기 세절부(30)를 통과하며 칼집의 형성 및 소스가 첨가된 식자재(200)가 배출이송부(40)를 통해 이송되면 작업자는 식자재(200)를 옮겨서 포장함으로써 간단한 작업으로 최소한의 인력을 이용하여 대량 가공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육절기(100)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이송부 11 : 제1모터
12 : 제1구동축 13 : 제1회전축
14 : 제1이송벨트 15 : 프레임
16 : 고정손잡이 20 : 제2이송부
21 : 제2모터 22 : 제2구동축
23 : 제2회전축 24 : 제2이송벨트
30 : 세절부 31 : 칼날
31a : 제1칼날 31b : 제2칼날
31d : 수평단 31e : 충진공간
32 : 회전축
32a : 베어링브라켓 32b : 베어링
33 : 소스홀 34 : 고정구
34a : 제1고정구 34b : 제2고정구
35 : 소스공급부 35a : 소스저장통
35b : 소스호스 35c : 펌프
36 : 세절모터 37 : 구동축
38a : 제1감속축 38b : 제2감속축
38n : 제n감속축 39 : 확장단
39a : 축소단 40 : 배출이송부
100 : 육절기 200 : 식자재

Claims (5)

  1. 축산물이나 수산물과 같은 식자재에 칼집을 형성시키는 육절기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 측에 이격 형성된 사이로 식자재를 이송시키는 제1,2이송부,
    상기 제1,2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식자재의 상부면을 일부분 절개하는 동시에 소스를 배출하는 다수개의 칼날을 등 간격으로 회전축에 형성하는 세절부,
    상기 세절부를 통해 세절 및 소스가 첨가된 식자재를 배출하는 배출이송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제1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축과 이격 설치되는 제1회전축의 외면에 결합시켜 회전하는 제1이송벨트,
    상기 제2이송부는 제2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제2구동축과 이격 설치되는 제2회전축의 외면에 결합시켜 회전하는 제2이송벨트로 형성하며,
    상기 제1이송부는 승강 및 하강하면서 식자재의 크기에 따라 제2이송부와 이격 거리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부의 칼날은 식자재에 직접 접촉하여 칼집을 형성하는 제1칼날,
    상기 제1칼날이 측면에 근접 밀착되며 직경이 작은 제2칼날,
    상기 제1,2칼날이 회전축의 소스홀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시키며 칼날과 칼날의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부는 회전축의 중앙을 통해 소스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소스가 소스홀을 통해 제1,2칼날의 사이로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세절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의 타 끝단에는 제1감속축~제n감속축을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제1감속축~제n감속축에는 베어링이 결합되어 구동축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은 제1감속축~제n감속축의 순으로 감속되며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
KR1020160117758A 2016-09-13 2016-09-13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 KR101847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758A KR101847116B1 (ko) 2016-09-13 2016-09-13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758A KR101847116B1 (ko) 2016-09-13 2016-09-13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58A true KR20180029558A (ko) 2018-03-21
KR101847116B1 KR101847116B1 (ko) 2018-04-10

Family

ID=6190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758A KR101847116B1 (ko) 2016-09-13 2016-09-13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191B1 (ko) 2019-04-15 2019-07-05 박종필 커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육류 칼집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8515B2 (ja) * 1999-06-16 2003-03-24 株式会社ビックサムテクノ 食品スライサの食肉移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116B1 (ko) 201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985B1 (ko) 김치 양념 혼합장치
JP6115868B2 (ja) チョッパーの運転方法
US201003073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licing of food products
US5840345A (en) Dough transport device
US201003073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licing of food products
KR101469922B1 (ko) 계육 수직 절단가공장치
KR20120051306A (ko) 육류 수평 절단장치
HUE033320T2 (en) Crusher for crushing the product
KR200489727Y1 (ko) 김치 양념 혼합장치
KR101847116B1 (ko) 소스 자동첨가용 육절기
EP087955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 double-layered food product
KR101774194B1 (ko) 곡물가공식품 분할용 절단기
US3624830A (en) Food-processing apparatus
US5733184A (en) Meat processing article, apparatus, and method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JP2015519872A (ja) 粘性の生地を搬送および計量するための装置
KR20160026223A (ko) 초퍼날의 밸런스를 가변 유지하는 냉동육 절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동육 슬라이스 절단장치
KR101117584B1 (ko) 근채류 절단용 공급장치
JP2003019695A (ja) 食品細断装置
US3004572A (en) Machine for slicing a food product
KR100455407B1 (ko) 고기 절단장치
KR200367318Y1 (ko) 고추세절장치
CN210061269U (zh) 多刀片的培根切片机
JP6840401B2 (ja) 食材用切断機
CN203636872U (zh) 一种新型切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