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330A -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330A
KR20180029330A KR1020160117037A KR20160117037A KR20180029330A KR 20180029330 A KR20180029330 A KR 20180029330A KR 1020160117037 A KR1020160117037 A KR 1020160117037A KR 20160117037 A KR20160117037 A KR 20160117037A KR 20180029330 A KR20180029330 A KR 20180029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ength
curing
signal generating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479B1 (ko
Inventor
류성우
홍승호
김진환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6011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4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natura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2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는 콘크리트 양생을 위해,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배치되며, 콘크리트 내부의 블리딩수를 흡수하는 흡수층; 흡수층 상측에 형성된 방수층; 방수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단열층 및 타설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는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강도발현 확인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온도센서를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로 인입시키는 삽입부 및 삽입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삽입부 내의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콘크리트의 적산온도 값에 기초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이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 발생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CURING COVER WITH EVALUATING SYSTEM FOR STRENTH OF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그리고 물을 적절하게 배합한 콘크리트 혼합물을 양생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며, 물, 불, 지진 등과 같은 자연풍해에 잘 견딜 수 있으므로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에서 중요한 재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콘크리트는 배치 플랜트(batch plant)에서 제조되어 레미콘으로 지칭되는 콘크리트 운반차로 운반된 다음,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어 다져지고 양생된다. 배치 플랜트는 1회의 콘크리트 반죽량을 계량하여 혼합기에 투입하고 완전히 반죽된 콘크리트를 배출시키고 나서 콘크리트 반죽을 새로이 하여 투입하는 식으로 1회마다 콘크리트를 반죽하는 것이다.
타설된 콘크리트는 양생될 때 수화작용을 동반하는데, 수화작용은 용질(溶質) 분자 혹은 이온이 그 주위에 몇 개의 물분자를 끌어들여 하나의 분자군을 이루는 현상이므로, 하나의 분자군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수화열이 발생하게 된다.
수화열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그 결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부 온도차가 발생되어 온도균열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온도균열은 양생 시에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수화열에 의해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부 온도차가 30℃ 이상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균열은 내부와 외부 표면의 온도차에 의한 온도균열 외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양생과정에서 외부 표면이 건조 수축되면서 발생되는 건조수축균열 역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에 의한 온도균열을 방지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효율적인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0695호(발명의 명칭: 양생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양생방법)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양생포를 설치하는 단계; 양생포에 의해 콘크리트의 표면의 레이턴스를 제거하는 단계; 양생포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콘크리트의 표면에 공급하는 단계; 및 외부로부터 양생포에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의 양생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0695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포장 재료의 수화반응에 필요한 열과 수분이 대기중으로 소실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양생포를 제공한다.
또한, 양생포 효과에 의한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을 예측하고 예측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이 되었음을 자동으로 알려, 콘크리트 강도 발현을 확인할 수 있는 양생포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는 콘크리트 양생을 위해,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배치되며, 콘크리트 내부의 블리딩수를 흡수하는 흡수층; 흡수층 상측에 형성된 방수층; 방수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단열층 및 타설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는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강도발현 확인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온도센서를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로 인입시키는 삽입부 및 삽입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삽입부 내의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콘크리트의 적산온도 값에 기초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이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 발생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흡수층은 직물 형태로 직조된 섬유이며, 방수층은 3mm 내지 7mm의 고무로 형성된 것이다. 한편, 방수층은 흡수층의 상부에 방수재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방수재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에어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수층 및 단열층은 흡수층의 상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하다.
한편, 신호 발생장치는 양생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이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신호 발생부는 음향 출력 장치 또는 조명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온도센서는 삽입부의 상단, 중앙 및 말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며, 삽입부는 콘크리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에 복수개의 온도센서가 포함되는 경우, 신호 발생장치는 각각의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발생장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네트워크 통신모듈을 통해,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사용자의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발생장치는 삽입부로부터 분리되어 양생포 상면의 일 영역에 설치 가능하다. 또한, 신호 발생 장치는 상기 신호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는 25cm 내지 35c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 재료의 수화반응에 필요한 열과 수분이 대기중으로 소실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양생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생포 효과에 의한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을 예측하고 예측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이 되었음을 자동으로 알려, 콘크리트 강도 발현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생포의 각 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발현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가 타설된 콘크리트에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생포의 각 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는 콘크리트 포장 재료의 수화반응에 필요한 열과 수분이 대기중으로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양생포(10) 및 강도발현확인장치(140)를 포함하며, 양생포(10)는 구체적으로 흡수층(110), 방수층(120), 및 단열층(130)을 포함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 확인 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1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먼저, 흡수층(110)은 콘크리트 타설 후 내부의 블리딩수를 잘 흡수하고 머금을 수 있는 직물 형태로, 직조된 섬유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방수층(120)은 흡수층(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흡수층(110)의 내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방수층(120)은 태양복사에너지를 쉽게 흡수할 수 있도록 검은색의 약 3 내지 7mm정도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방수층(120)은 흡수층(110)의 상면에 방수재가 코팅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방수재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층(130)은 방수층(120)의 상측에 형성되며, 외부 공기와의 온도 흐름을 차단하며,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열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단열층(130)은 복수개의 에어캡(3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에어캡은, 각각이 독립된 셀 형태로 공기가 밀폐된 것 일 수 있다.
한편, 단열층(130)은 복수개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폴리에틸렌 필름 사이에 복수의 에어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생포에서, 방수층(120) 및 단열층(130)은 흡수층(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방수층(120) 및 단열층(130)은 흡수층(11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층(110), 방수층(120) 및 단열층(130)은 가장자리 또는 일 영역에 밸크로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밸크로 테이프에 의하여 각각 흡수층(110)으부터 탈부착 될 수 있다.
강도발현 확인장치(140)는 양생단계에 의해 발현되는 콘크리트 강도를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의 누적온도, 즉 적산온도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추정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일정 강도 이상이 되었을 때,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적산온도에 따른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의 산출 방법은 콘크리트 기준에 있는 적산온도와 압축강도 관계식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는 양생포(10) 및 강도발현 확인장치(140)를 각각 분리된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강도발현 확인장치(140)는 양생포(10)로부터 분리되어 타설된 콘크리트의 일 영역에 설치 가능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발현 확인장치(14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발현 확인장치(140)는 신호 발생장치(142) 및 삽입부(144)를 포함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210), 온도센서(220), 메모리(230), 네트워크 통신모듈(240), 전원공급부(250), 제어부(260), 및 신호발생부(270)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발생장치(142)에는 타이머(210), 메모리(230), 네트워크 통신모듈(240), 전원공급부(250), 제어부(260), 및 신호발생부(270)가 포함되며, 삽입부(144)에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22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220)는 누적온도센서 일 수 있다.
한편, 신호발생장치(142)는 삽입부(144)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신호발생장치(142)가 삽입부(144)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삽입부(144)는 별도의 제 2 네트워크 통신모듈을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144)의 온도센서(220)로부터 측정된 온도값은 제2 네트워크 통신모듈을 통해 신호발생장치(142)의 네트워크 통신모듈(240)로 전송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삽입부(144)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말단에 첨단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첨단부(14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강도발현 확인장치(140)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타이머(210)는 양생포(10)에 의한 콘크리트의 양생 시간을 측정한다.
온도센서(220)는 실시간으로 콘크리트의 적산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온도센서(220)는 도 3에 도시된 삽입부(144)의 제 1 위치(32), 제 2 위치(34) 및 제 3 위치(36)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위치(32) 내지 제 3위치(3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가 타설된 콘크리트에 설치되었을 때,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단부와 접하는 삽입부(144)의 위치를 제 1 위치(32), 타설된 콘크리트의 중앙에 접하는 삽입부(144)의 위치를 제 2 위치(34), 타설된 콘크리트의 말단과 접하는 삽입부(144)의 위치를 제 3 위치(36)라고 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설된 콘크리트의 총 두께가 약 30cm 일 경우, 삽입부(144)의 제 2 위치(34)는 콘크리트의 상단으로부터 약 15cm의 깊이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센서(220)는 제 1 위치(32), 제 2 위치(34) 및 제 3 위치(36) 중 적어도 어느 위치에 복수 개 설치될 수도 있다.
메모리(230)에는 양생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의 온도 이력이 저장된다. 여기서 메모리(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모듈(240)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도발현 확인장치(140)는 네트워크 통신모듈(240)을 통해 콘크리트의 강도가 일정강도 이상이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의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사용자의 휴대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테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전원공급부(250)는 외부의 전원공급원, 또는 내부의 전원공급원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신호발생장치(142)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전원공급원은 일례로 휴대용 베터리일 수 있다.
제어부(260)는 현장에서 타설 되는 콘크리트 배합 정보를 이용하여, 타이머(210)에 의해 측정된 양생 시간 및 온도센서(220)로부터 측정된 콘크리트의 누적온도에 기초하여 콘크리트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온도센서(220)가 복수개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260)는 각각의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260)는 양생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의 온도에 기초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콘크리트 강도가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이 되었을 때,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신호발생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신호발생부(270)는 음성 출력장치 또는 조명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출력장치는 일례로 스피커일 수 있으며, 조명장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생포(10)는, 강도발현 확인장치(140)에 의해 사용자에게 타설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일정강도 이상이 되었음을 청각 및 시각적으로 알리는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발현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가 타설된 콘크리트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발현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가 타설된 콘크리트에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발현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는 줄눈 콘크리트(300) 포장에서, 줄눈(310) 설치 예정 위치의 콘크리트(300)를 보온, 습윤 양생할 수 있다. 따라서, 줄눈(310) 절삭 시 파손을 야기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가 되었을 때, 강도발현 확인장치(140)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단말로 적정 강도가 되었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300)의 두께(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 30cm 일 수 있다. 또한, 양생포의 가로 길이는 60cm 내지 100cm이며, 양생포의 세로 길이는 줄눈 길이와 동일하여, 콘크리트의 줄눈 위치가 양생포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발현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가 도로의 콘크리트의 유지 보수 구간에 적용되는 경우, 콘크리트 강도 발현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는 일반적인 파손폭을 고려하여 약 0.5m 내지 1.0m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생포의 길이는 차로폭을 반영하여 1m 내지 4m 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발현 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는 콘크리트 수밀성 향상으로 인해, 줄눈(310)에 제설제 등에 의한 염화물의 침투를 억제시킬 수 있고, 동결 및 융해에 따른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발현 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는 줄눈 콘크리트 포장 시, 줄눈의 설치 예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줄눈 절삭 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손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도로이용자의 승차감 향상 및 유지관리 주관부서의 예산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양생포
110: 흡수층
120: 방수층
130: 단열층
140: 강도발현 확인장치
210: 타이머
220: 온도센서
230: 메모리
240: 네트워크 통신모둘
250: 전원공급부
260: 제어부
270: 신호발생부
300: 콘크리트

Claims (19)

  1. 콘크리트 양생을 위해,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내부의 블리딩수를 흡수하는 흡수층;
    상기 흡수층 상측에 형성된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의 상측에 형성되는 단열층을 포함하는 양생포에 있어서,
    상기 양생포는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는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강도발현 확인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를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로 인입시키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콘크리트의 적산온도 값에 기초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이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양생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층은
    직물 형태로 직조된 섬유인 것인, 양생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은
    3mm 내지 7mm의 고무로 형성된 것인, 양생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은 상기 흡수층의 상부에 방수재를 코팅하여 형성한 것인,
    양생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재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인, 양생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으로 형성된 것인, 양생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복수의 에어캡을 포함하는 것인, 양생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및 상기 단열층은
    밸크로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밸크로 테이프에 의해 상기 흡수층의 상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인, 양생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양생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가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이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양생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음향 출력 장치 또는 조명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양생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삽입부의 상단, 중앙 및 말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양생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첨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양생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복수개의 온도센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신호 발생장치는 각각의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강도를 산출하는 것인, 양생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장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산출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사용자의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양생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양생포 상면의 일 영역에 설치 가능한 것인, 양생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장치는 상기 신호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양생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의 두께는 25cm 내지 35cm인 것인, 양생포.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포의 가로 길이는 60cm 내지 100cm이며, 상기 양생포의 세로 길이는 상기 콘크리트에 시공될 줄눈 길이와 동일한 것인, 양생포.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포는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줄눈 시공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인, 양생포.
KR1020160117037A 2016-09-12 2016-09-12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 KR10196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037A KR101963479B1 (ko) 2016-09-12 2016-09-12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037A KR101963479B1 (ko) 2016-09-12 2016-09-12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30A true KR20180029330A (ko) 2018-03-21
KR101963479B1 KR101963479B1 (ko) 2019-03-28

Family

ID=6190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037A KR101963479B1 (ko) 2016-09-12 2016-09-12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9115A (zh) * 2021-12-23 2022-04-12 上海先行建设监理有限公司 一种桥梁大体积混凝土基础的养护装置及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832A (ja) * 1993-04-02 1994-10-11 Toda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養生用マット
JP2004027572A (ja) * 2002-06-24 2004-01-29 Taisei Corp セメント系混合材料の養生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3121475U (ja) * 2006-02-24 2006-05-18 株式会社アシザワ 養生シートとメッシュシートの複合シート
KR20100010695A (ko) 2008-07-23 2010-02-02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양생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양생방법
KR20120017229A (ko) * 2010-08-18 2012-02-28 현대건설주식회사 양생제어가 가능한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방법
JP2014152570A (ja) * 2013-02-13 2014-08-25 Fujita Corp 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管理システム
KR20150083064A (ko) * 2014-01-02 2015-07-16 현대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 시 골판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943A (en) * 1992-06-24 1993-12-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reactor with makeup water assist from residual heat removal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832A (ja) * 1993-04-02 1994-10-11 Toda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養生用マット
JP2004027572A (ja) * 2002-06-24 2004-01-29 Taisei Corp セメント系混合材料の養生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3121475U (ja) * 2006-02-24 2006-05-18 株式会社アシザワ 養生シートとメッシュシートの複合シート
KR20100010695A (ko) 2008-07-23 2010-02-02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양생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양생방법
KR20120017229A (ko) * 2010-08-18 2012-02-28 현대건설주식회사 양생제어가 가능한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방법
JP2014152570A (ja) * 2013-02-13 2014-08-25 Fujita Corp 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管理システム
KR20150083064A (ko) * 2014-01-02 2015-07-16 현대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 시 골판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내외면의 온도차 저감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9115A (zh) * 2021-12-23 2022-04-12 上海先行建设监理有限公司 一种桥梁大体积混凝土基础的养护装置及方法
CN114319115B (zh) * 2021-12-23 2024-02-27 上海先行建设监理有限公司 一种桥梁大体积混凝土基础的养护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479B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5826C (en) Method for electronic temperature controlled curing of concrete and accelerating concrete maturity or equivalent age, precast concrete structures and objects and apparatus for same
KR101240878B1 (ko) 콘크리트 양생시 파이프 쿨링 기술을 응용한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 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콘트리트 온도차 저감 양생공법
KR101963479B1 (ko)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확인장치를 포함하는 양생포
HRP20221219T1 (hr) Struktura baterije i zaštitni uređaj
KR101503522B1 (ko) 혹한기 타설 콘크리트 벽체의 복합식 보온 양생 시스템 및 보온 양생 운용 방법
JP2014152570A (ja) 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管理システム
JP2011032843A (ja) Pcグラウト材の寒中養生施工システム及び施工方法
DE502005005102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absorbierender verbundstoffe
KR101913280B1 (ko) 탄소섬유발열 갱폼
US20220010501A1 (en) Systems and method for heating a concrete slab and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meltable precipitation thereon
KR101274769B1 (ko) 잠열재를 포함한 온수 순환식 콘크리트 양생시트,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양생시스템, 및 콘크리트 양생시스템의 제어방법
CN107675679B (zh) 熔化石蜡应急封堵堤坝水下渗漏裂缝的方法与装置
KR101920120B1 (ko) 폴리머 차수재 및 폴리머 차수재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댐 구조물의 누수 보수 방법
IT7919540A0 (it) Apparecchio perfezionato di mescolatura e riscaldamento di calcestruzzo asfaltico per ilrappezzo di superfici e relativo metodo.
KR101590345B1 (ko) 누수 보수용 아크릴 주입제 조성물
KR20090086825A (ko) 콘크리트 양생용 히팅 시스템
CN106550602A (zh) 用于固化混凝土的片材和系统、混凝土固化方法以及用于制备混凝土结构的方法
RU2542760C2 (ru) Противофильтрационное покрытие с бентонитовым жгутом
KR10073903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기능 복합 방수 공법
Kumar et al. Concreting at Low Ambient Temperatures at Salma Dam Project Afghanistan-A Case Study
CN206090640U (zh) 地下管廊主体结构伸缩缝替代装置
KR100354191B1 (ko) 방수공사용 시트 제조방법
CN208202373U (zh) 一种建筑屋顶薄膜防水结构
RU206283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теплоизоляция подзем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CN112399456B (zh) 一种进行移动健壮性的方法、装置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