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193A -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193A
KR20180029193A KR1020170106532A KR20170106532A KR20180029193A KR 20180029193 A KR20180029193 A KR 20180029193A KR 1020170106532 A KR1020170106532 A KR 1020170106532A KR 20170106532 A KR20170106532 A KR 20170106532A KR 20180029193 A KR20180029193 A KR 20180029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ing unit
sensitive adhesive
adhesive layer
structural formula
titanium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609B1 (ko
Inventor
한창민
김광섭
김철우
이지문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29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6/02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59/1433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59/1477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2205/10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이형 필름; 및 테트라블록 공중합체(tetrablock copolymer)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는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제1 반복 단위, [구조식 2]로 표시되는 제2 반복 단위,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제3 반복 단위, 및 [구조식 5]로 표시되는 제4 반복 단위를 갖는다.
[구조식 1]
Figure pat00017

(구조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3~8의 정수이고, w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구조식 2]
Figure pat00018

(구조식 2에서,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3~8의 정수이고, x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구조식 3]
Figure pat00019

(구조식 3에서, Q는 [구조식 4]로 표시되며, y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구조식 4]
Figure pat00020

(구조식 4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3~8의 정수이다.)
[구조식 5]
Figure pat00021

(구조식 5에서, R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n은 3~8의 정수이며, z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화학식 1]
*-(CH2)p-*
(상기 화학식 1에서 p는 1 내지 12 의 정수이다.)

Description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STRETCH RELEAS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THE SAME}
본 발명은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원 공급원으로서 모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배터리는 해당 장치의 부피, 면적, 두께 등과 실질적으로 연관되어 구동뿐 아니라 집적화 및 디자인 측면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배터리는 해당 장치 내 다른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당 장치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며, 수명이 다한 이후에는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적절한 연신이 가능하고 잔사 발생 없이 점착 및 점착 분리가 가능한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이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지지체 기재; 지지체 기재의 서로 대향하는 각 양면 상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점착층들; 및 제1 및 제2 점착층들을 보호하기 위해 이들 각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이형 필름들을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 시 많은 양의 원자재가 사용될 뿐 아니라 다수의 공정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점착력, 연신력 등의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공정 효율 및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이점을 갖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남아 있다.
한국 출원특허 제10-2009-7012042호 한국 출원특허 제10-2008-0060793호 한국 출원특허 제10-2008-0126399호 한국 출원특허 제10-2014-7027864호 한국 출원특허 제10-2010-7017707호 미국 등록특허 제7,101,615호 미국 공개특허 제2015/0064386호 미국 공개특허 제2015/0315421호 한국 출원특허 제10-2015-701924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양면 점착 및 점착 분리가 가능하고, 연신력, 점착력, 내열성 및 내한성이 우수한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공정 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이형 필름; 및 테트라블록 공중합체(tetrablock copolymer)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는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제1 반복 단위, [구조식 2]로 표시되는 제2 반복 단위,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제3 반복 단위 및 [구조식 5]로 표시되는 제4 반복 단위를 갖는다.
[구조식 1]
Figure pat00001
(구조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3~8의 정수이고, w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구조식 2]
Figure pat00002
(구조식 2에서,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3~8의 정수이고, x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구조식 3]
Figure pat00003
(구조식 3에서, Q는 [구조식 4]로 표시되며, y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구조식 4]
Figure pat00004
(구조식 4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3~8의 정수이다.)
[구조식 5]
Figure pat00005
(구조식 5에서, R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n은 3~8의 정수이며, z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화학식 1]
*-(CH2)p-*
(상기 화학식 1에서 p는 1 내지 12 의 정수이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이산화티타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은 루타일 형(rutile type) 이산화티타늄 또는 브루카이트 형(brookite type) 이산화티타늄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제3 반복 단위(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copolymer)) 1 당량에 대하여, 상기 제1 반복 단위 10 내지 20 당량, 상기 제2 반복 단위 15 내지 45 당량, 상기 제3 반복 단위 1 내지 4 당량, 상기 제4 반복 단위 1 내지 5 당량, 및 이산화티타늄 1 내지 4.5 당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테르펜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약 70μm 내지 300μm 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은 실리콘계 이형 필름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은 약 131μm 내지 135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양면 점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이형 필름 상에 테트라블록 공중합체(tetrablock copolymer)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한다. 상기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제1 반복 단위, 상기 [구조식 2]로 표시되는 제2 반복 단위, 상기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제3 반복 단위 및 상기 [구조식 5]로 표시되는 제4 반복 단위를 갖는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산화티타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은 루타일 형(rutile type) 이산화티타늄 또는 브루카이트 형(brookite type) 이산화티타늄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테르펜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우수한 연신력, 점착력, 내열성 및 내한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물성들은 고온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소자, 장치 등에 적용 시 본 발명의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잔사 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양면 점착 및 점착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지지체 기재 없이 각각 하나의 이형 필름 및 점착층만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최소화된 공정 및 원자재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정 단순화 및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이형 필름(10) 및 점착층(20)을 포함한다.
이형 필름(10)은 점착층(20)에 대하여 적절한 이형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실리콘계 이형 필름일 수 있다. 이형 필름(10)은 낮은 표면 저항을 가질 수 있고, 약 131μm 내지 135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점착층(20)은 테트라블록 공중합체(tetrablock copolymer)를 포함하고, 이형 필름(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20)은 양면 점착 및 점착 분리가 가능하며, 이의 일 면은 이형 필름(10)의 일 면과 점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점착층(20)은 고른 표면 및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불투명한 백색을 띌 수 있다.
상기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는 ABCD형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로서, 제1 내지 제4 반복 단위들을 갖는다. 상기 제1 반복 단위(A 블록)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로 변성된 n-알킬-n-니트로소우레아 알킬(n-alkyl-n-nitrosourea alkyl)이며,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된다. 상기 제2 반복 단위(B 블록)는 변성된 폴리[(2-프로필-1,3-디옥산-4,6-디일)메틸렌](Poly[(2-propyl-1,3-dioxane-4,6-diyl)methylene])이며, 하기 [구조식 2]로 표시된다. 상기 제3 반복 단위(C 블록)는 폴리페놀 수지(polyphenolic resin)와의 합성에 의해 변성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copolymer)이며, 하기 [구조식 3]으로 표시된다. 상기 제4 반복 단위(D 블록)는 변성된 폴리비스페놀 디글리시딜 에테르(Polybisphenol diglycidyl ether)이며, 하기 [구조식 5]로 표시된다.
[구조식 1]
Figure pat00006
(구조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3~8의 정수이고, w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구조식 2]
Figure pat00007
(구조식 2에서,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3~8의 정수이고, x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구조식 3]
Figure pat00008
(구조식 3에서, Q는 [구조식 4]로 표시되며, y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구조식 4]
Figure pat00009
(구조식 4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3~8의 정수이다.)
[구조식 5]
Figure pat00010
(구조식 5에서, R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n은 3~8의 정수이며, z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화학식 1]
*-(CH2)p-*
(상기 화학식 1에서 p는 1 내지 12 의 정수이다.)
한편, 상기 테트라블록 공중합체의 전체 구조 마지막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제4 반복 단위의 경우, 우측 연결기는 말단기(terminal group)이며, 이때 상기 제4 반복 단위의 말단은 하기 [구조식 6]으로 표시될 수 있다.
[구조식 6]
Figure pat00011
(구조식 6에서, R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n은 3~8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4~6의 정수이다.)
상기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제1 및 제3 반복 단위들(A 및 C 블록)을 가짐으로써 점착층(20)에 연신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2 반복 단위(B 블록)를 가짐으로써 점착층(20)에 내열성 및 내한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반복 단위(D 블록)를 가짐으로써 점착층(20)에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점착층(20)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은 점착층(20)을 구성하는 분자들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100)은 향상된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은 루타일 형(rutile type) 이산화티타늄 또는 브루카이트 형(brookite type) 이산화티타늄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나타제 형(anatase type) 이산화티타늄은 루타일 형(rutile type) 이산화티타늄을 500℃ 이상의 고온 열처리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점착층(20)을 구성하는 이산화티타늄으로서 아나타제 형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할 경우,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100)의 제조 시 추가 공정이 요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점착층(20)은 상기 제3 반복 단위(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copolymer)) 1 당량에 대하여, 상기 제1 반복 단위 10 내지 20 당량, 상기 제2 반복 단위 15 내지 45 당량, 상기 제3 반복 단위 1 내지 4 당량, 상기 제4 반복 단위 1 내지 5 당량, 및 이산화티타늄 1 내지 4.5 당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점착층(20)은 적절한 연신력, 내열성, 내한성 및 점착력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40 내지 85℃의 고온 조건에서도 이러한 물성들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점착층(20)은 상기 제1 반복 단위 12.0 내지 16.0 당량, 상기 제2 반복 단위 26.0 내지 38.0 당량, 상기 제3 반복 단위 2.0 내지 2.8 당량, 상기 제4 반복 단위 2.0 내지 4.0 당량, 및 이산화티타늄 1.5 내지 3.0 당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점착층(20)은 테르펜 수지(terpene resi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층(20)은 테르펜 수지를 통해 추가적으로 점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적절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점착층(20)은 약 100μm 초과 내지 300μm 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점착층(20)이 약 100μ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면, 예를 들어 40℃ 이상의 고온 조건 하에서 피착제(Glass(소다라임 글라스))와 점착층(20) 사이 점착력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점착층(20)은 피착제(Glass(소다라임 글라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박리될 수 있어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100)의 열적 안정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점착층(20)이 약 300μm 초과의 두께를 가지면, 파단의 발생 없이 충분한 정도로의 연신이 어렵고, 두께의 한계로 인해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100)을 집적화된 소자, 장치 등에 적용하는 데 제약이 따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상기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통해, 적절한 연신력, 점착력, 내열성 및 내한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물성들은 고온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소자, 장치 등에 적용 시 본 발명의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잔사 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양면 점착 및 점착 분리가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지지체 기재 없이 각각 하나의 이형 필름 및 점착층만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필름 총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집적화된 소자, 장치 등으로의 적용이 용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조 시 최소화된 공정 및 원자재가 요구되므로, 공정 단순화 및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다음의 공정들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테트라블록 공중합체(tetrablock copolymer)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점착층을 형성한다. 상기 점착층은 고른 표면 및 약 70μm 내지 300μm 미만의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동일한 이산화티타늄 및/또는 테르펜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제3 반복 단위(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copolymer)) 1 당량에 대하여, 상기 제1 반복 단위 10 내지 20 당량, 상기 제2 반복 단위 15 내지 45 당량, 상기 제3 반복 단위 1 내지 4 당량, 상기 제4 반복 단위 1 내지 5 당량, 및 이산화티타늄 1 내지 4.5 당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제1 반복 단위 12.0 내지 16.0 당량, 상기 제2 반복 단위 26.0 내지 38.0 당량, 상기 제3 반복 단위 2.0 내지 2.8 당량, 상기 제4 반복 단위 2.0 내지 4.0 당량, 및 이산화티타늄 1.5 내지 3.0 당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습식 코팅법을 사용하여 상기 이형 필름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습식 코팅법은,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microgravure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슬롯 다이 코팅(slot die coating), 콤마 코팅(comma coating)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형성된 상기 점착층은 양면 점착 및 점착 분리가 가능하고, 연신력, 점착력, 내열성 및 내한성을 가지며, 불투명한 백색을 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이형 필름 상에 1회의 코팅 공정을 통해 하나의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즉, 본 발명의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최소화된 공정 및 원자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효율 및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적용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100)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소자(30)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100)을 점착시킨다.
제1 소자(30)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유기 발광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와 같은 전자 장치를 구성하는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제1 소자(30)는 이의 하우징(housing) 소자일 수 있다.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100)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것으로서, 이형 필름(10) 및 점착층(20)을 포함한다. 제1 소자(30)와의 점착 공정을 통해, 점착층(20)은 서로 대향하는 이형 필름(10) 및 제1 소자(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형 필름(10)을 제거한다.
이형 필름(10)은 이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점착층(20)으로부터 박리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형 필름(10)이 제거되어 노출된 점착층(20)의 일 면에 제2 소자(40)를 점착시킨다. 이때, 점착층(20)은 양면 점착이 가능하고, 특히 고온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적절한 점착력을 갖기 때문에, 제1 및 제2 소자들(30, 40)은 낙상과 같은 물리적인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소자(40)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유기 발광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와 같은 전자 장치를 구성하는 소자일 수 있다. 제2 소자(4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터리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소자들(30, 40) 사이에 위치하는 점착층(20)을 제거한다.
점착층(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상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1 및 제2 소자들(30, 4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제1 소자(30)와 점착층(20) 사이 계면, 및 제2 소자(40)와 점착층(20) 사이 계면에서 미세하게 박리(50)가 발생될 수 있다. 이후,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여 제1 및 제2 소자들(30, 40) 사이로부터 점착층(20)이 완전히 제거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소자들(30, 40)은 잔사 발생 없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2-프로필-1,3-디옥산-4,6-디일)메틸렌](Poly[(2-propyl-1,3-dioxane-4,6-diyl)methylene])(Butvar®, B-98,CAS No. 63148-65-2)과 2,2-비스[4-(글리시딜옥시)페닐]프로판(2,2-Bis[4-(glycidyloxy)phenyl]propane)(CAS Number 1675-54-3)를 8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1차 가교하고, 다시 4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2차 가교하였다. 이에 따라,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테르펜 수지가 합성되었다. 합성된 테르펜 수지를 상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N-메틸-N-니트로소우레아 에탄(N-Methyl-N-nitrosourethane)(CAS No. 615-53-2), 아크릴로니크릴 부타디엔 공중합체(CAS No. 9003-18-3) 및 이산화티타늄(CAS No. 13463-67-7)과 4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ABCD형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제조되었다.
이후,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을 콤마(comma) 코팅 공정을 통해 133μm의 두께의 실리콘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100μm 두께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점착층을 120μ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점착층을 150μ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점착층을 200μ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물성 평가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하였고, 색상 및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에 대해서는 박리 강도, 인장 강도, 연신률 및 probe tack 시험값을 추가적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점착력은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을 25㎛의 PET 필름에 점착시켜 1일 동안 방치하고, 유리 기판에 2kgf로 합지하여 30분간 방치한 뒤, 0.3m/min의 박리(peeling) 속도로 180 박리하여 측정하였다. 박리 강도는 25 mm300 mm의 크기로 절단된 필름 시편 3매에 대해 자동식 압착 롤러 장치를 왕복 1회 2Kgf300 mm/min 속도로 롤링하여 해당 필름 시편들을 압착시킨 다음 30분 후 180˚ 박리강도기를 사용하여 ASTM D3330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한, 연신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0.15mm(두께)10mm20mm 크기의 필름 시편을 제작한 후,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시편이 파단될 때의 거리를 ASTM D638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인장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필름 시편이 파단될 때의 기계적 힘을 측정하였다. Prove tack 시험값은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점착층에 일정 하중을 가하여 일정 시간 접촉시킨 후, 점착층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점착층을 인장시킴으로써 측정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구성 이형 필름 μm 133 133 133 133
점착층 μm 100 120 150 200
총 두께 μm 233 253 283 333
물성 점착력 gf/25mm 2743.51 2854.81 3201.74 3476.23
색상 불투명 흰색 불투명 흰색 불투명 흰색 불투명 흰색
점착층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물성 단위 실시예 3
박리 강도
(180, on glass)
gf/25mm 3005
인장 강도 kgf/cm2 1.1
연신률 % 1650
probe tack 시험값 gf 65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적절한 연신이 가능하며, 박리 시 파단의 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박리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취급성(눌림), 타발성, 이형 박리력 등의 측면에서 안정적인 물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열적 안정성 평가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열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리 기판 에 점착된 실시예 3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을 [표 3]에 도시된 다음의 4가지 조건 하에서 방치한 후 박리하고, 상기 유리 기판 상에 실시예 3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잔여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잔사 발생 여부 박리성
40℃, 14일 없음 양호
60℃, 14일 없음 양호
60℃, 습도 90%, 14일 없음 양호
85℃, 3시간 없음 양호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3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40 내지 85 ℃의 고온에서 오랜 시간 방치된 이후에도 양호한 박리성을 갖는 것을 확인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물성을 유지하며, 양면 점착 및 점착 분리가 용이한 것을 알 수 있다.
10: 이형 필름
20: 점착층
30, 40: 제1 및 제2 소자들(하우징 장치, 배터리)
50: 박리 발생 부분
100: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Claims (11)

  1. 이형 필름; 및
    테트라블록 공중합체(tetrablock copolymer)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는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제1 반복 단위, [구조식 2]로 표시되는 제2 반복 단위,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제3 반복 단위, 및 [구조식 5]로 표시되는 제4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구조식 1]
    Figure pat00012

    (구조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3~8의 정수이고, w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구조식 2]
    Figure pat00013

    (구조식 2에서,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3~8의 정수이고, x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구조식 3]
    Figure pat00014

    (구조식 3에서, Q는 [구조식 4]로 표시되며, y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구조식 4]
    Figure pat00015

    (구조식 4에서, n은 각각 독립적으로 3~8의 정수이다.)
    [구조식 5]
    Figure pat00016

    (구조식 5에서, R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n은 3~8의 정수이며, z는 1 내지 12의 정수이다.)
    [화학식 1]
    *-(CH2)p-*
    (상기 화학식 1에서 p는 1 내지 12 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이산화티타늄을 더 포함하고,
    이산화티타늄은 루타일 형(rutile type) 이산화티타늄 또는 브루카이트 형(brookite type) 이산화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제3 반복 단위 1 당량에 대하여, 상기 제1 반복 단위 10 내지 20 당량, 상기 제2 반복 단위 15 내지 45 당량, 상기 제3 반복 단위 1 내지 4 당량, 상기 제4 반복 단위 1 내지 5 당량, 및 이산화티타늄 1 내지 4.5 당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테르펜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70μm 내지 300μm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은 실리콘계 이형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은 131μm 내지 135μ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은 양면 점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형 필름 상에 테트라블록 공중합체(tetrablock copolymer)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트라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제1 반복 단위, 상기 [구조식 2]로 표시되는 제2 반복 단위, 상기 [구조식 3]으로 표시되는 제3 반복 단위, 및 상기 [구조식 5]로 표시되는 제4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산화티타늄을 더 포함하고,
    이산화티타늄은 루타일 형(rutile type) 이산화티타늄 또는 브루카이트 형(brookite type) 이산화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테르펜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70106532A 2016-09-09 2017-08-23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65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358 2016-09-09
KR20160116358 2016-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193A true KR20180029193A (ko) 2018-03-20
KR101965609B1 KR101965609B1 (ko) 2019-04-08

Family

ID=6191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532A KR101965609B1 (ko) 2016-09-09 2017-08-23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60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399B1 (ko) 1989-12-16 1997-12-26 윤종용 고해상도 모드 재생시 휘도신호의 노이즈 제거회로
US7101615B2 (en) 1997-05-14 2006-09-05 Tesa Ag Double-sided adhesive tape and its use
KR20080060793A (ko) 2006-12-27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부스팅 전압들을 발생하는 전압 발생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64325A (ko) * 2007-12-14 2009-06-18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연신 박리 테이프
KR20100103870A (ko) * 2008-01-11 2010-09-2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학적으로 투명한 연신 해제 감압 접착제
US20150064386A1 (en) 2013-09-04 2015-03-05 Apple Inc. Pull tab design for stretch release adhesive
KR20150097696A (ko) * 2012-12-19 2015-08-26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분리가능한 접착 스트립
US20150315421A1 (en) 2014-04-30 2015-11-05 Tesa Se Auxiliary adhesive tape for a removable adhesive fil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399B1 (ko) 1989-12-16 1997-12-26 윤종용 고해상도 모드 재생시 휘도신호의 노이즈 제거회로
US7101615B2 (en) 1997-05-14 2006-09-05 Tesa Ag Double-sided adhesive tape and its use
KR20080060793A (ko) 2006-12-27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부스팅 전압들을 발생하는 전압 발생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64325A (ko) * 2007-12-14 2009-06-18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연신 박리 테이프
KR20100103870A (ko) * 2008-01-11 2010-09-2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학적으로 투명한 연신 해제 감압 접착제
KR20150097696A (ko) * 2012-12-19 2015-08-26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분리가능한 접착 스트립
US20150064386A1 (en) 2013-09-04 2015-03-05 Apple Inc. Pull tab design for stretch release adhesive
US20150315421A1 (en) 2014-04-30 2015-11-05 Tesa Se Auxiliary adhesive tape for a removable adhesiv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609B1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02275B (zh) 粘合片、带有粘合层的光学膜、层叠体和图像显示装置
TWI406834B (zh) Glass substrate with protective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ing glass substrate with protective glass
US11069750B2 (en) Flexible color filter,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522941B1 (ko) 실리콘 이형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625228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터치 패널
KR20090037856A (ko) 보호 유리가 부착된 유리 기판, 보호 유리가 부착된 유리 기판을 사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박리지용 실리콘
TW201116404A (en) Multilayer structure with flexible base material and support, panel for use i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support and production method for panel for use in electronic device
KR101961674B1 (ko)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KR20080036069A (ko) 박판 유리 적층체 및 박판 유리 적층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20130128439A (ko) 광학 접착제를 갖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6649B1 (ko) 적층 시트 및 롤체
CN111448274B (zh) 层叠体及其用途
KR20140124078A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507496B (zh) 黏著劑及使用其之黏著片之用途、以及觸控面板用構件
TWI609939B (zh) 無基材雙面矽膠
TWI668287B (zh) Adhesive sheet
KR101965609B1 (ko) 연신 박리 감압 점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6364200B2 (ja) 電子部品用粘着テープ、電子部品の製造方法及びイメージセンサの製造方法
KR102247297B1 (ko) 수해리성 점착 테이프
KR20190030954A (ko) 양면 점착 폼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KR20180079695A (ko) 실리콘계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TW202016247A (zh) 黏著片、積層體及積層體的製造方法
KR20200059963A (ko) 폴더블 백플레이트, 폴더블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JP7318410B2 (ja) 貼り合わせ用粘着シート、多層体および多層体の製造方法
KR102602153B1 (ko) Rdl 형성 공정용 양면 접착 테이프,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이를 이용한 팬-아웃 패키지 제작 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