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923A -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923A
KR20180026923A KR1020160113863A KR20160113863A KR20180026923A KR 20180026923 A KR20180026923 A KR 20180026923A KR 1020160113863 A KR1020160113863 A KR 1020160113863A KR 20160113863 A KR20160113863 A KR 20160113863A KR 20180026923 A KR20180026923 A KR 20180026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
sheet
cellulose
extract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효진
송경희
최승만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113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923A/ko
Publication of KR20180026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9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액에서 미생물을 발효하여 제조된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슬라이싱하여 제조된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는 보수성 및 사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피부의 탄력, 수분도 및 투명도 등의 미용효과를 증진시켜 새로운 화장용 마스크 시트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smetic of biocellulose sheet comprising extract of puer te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액에서 미생물을 발효하여 제조된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슬라이싱하여 제조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분야에서 시트(sheet) 타입의 마스크팩은 손으로 바를 필요 없이 얼굴 형태로 제작된 시트를 붙이는 것으로 보습 및 청정효과 등을 얻을 수 있는 제품으로, 얼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디자인의 시트나 상/하단의 2 장으로 나뉜 시트, 눈밑/눈가/입가 등의 특정 부위에 맞춘 시트 등 다양한 형태로 시장에 나와 있다. 시트 타입의 마스크 팩은 일반적인 화장유액에 비해서 오랫동안 피부에 작용할 수 있도록 유액을 담지할 수 있는 지지체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지지체가 제공하는 폐쇄효과(occlusive effect)에 의해 피부 효능 성분의 피부침투를 효과적으로 증진시켜, 탁월한 보습효과와 피부미용 효과를 가지는 화장 제품 형태이다.
시트 타입의 마스크는 크게 3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첫째 타입은, 코튼이나 펄프 타입의 식물 셀룰로오스 섬유나 나일론 또는 듀폰과 같은 합성섬유로 만든 부직포 타입으로, 상기 부직포를 화장유액의 담수체에 담가 마스크 모양의 지지체로 사용한다. 둘째 타입은, 천연 아가(agar)나 카라기난, 로거비스트검과 같은 천연 다당체로 만든 하이드로겔 타입의 마스크이다. 셋째 타입은, 미생물 배양을 통해 만들어진 바이오셀룰로오스 타입으로,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를 화장품용 담수체에 담가 마스크 모양의 지지체로 사용한다.
바이오셀룰로오스(biocellulose)는 다수의 발테리아, 특히, 아세포박터 속 균주의 배양을 통해 만들어진 고분자 물질로서, 미생물 셀룰로오스(microbial cellulose)라 불리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의약품용 화상처리제나 화장용 마스크 팩의 소재로 널리 활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바이오셀룰로오스는 정치배양 조건에서 배양액상에 반투명한 막(pellicle) 형태로 생성되는데(영국특허 제2131701호 참조), 바이오셀룰로오스는 식물에서 유래된 셀룰로오스와 같이 글루코오스가 β-1,4로 결합된 폴리머에 해당하나, 식물유래 셀룰로오스는 미세섬유의 묶음 형태로 구성되는 반면, 초산균이 생성하는 바이오셀룰로오스는 리그닌이나 헤미셀룰로오스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순수상태로 생산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그의 섬유폭은 식물 셀룰로오스보다 훨씬 적고, 3차원 망상구조를 이루고 있어 보수성이 우수하고 하이드로겔 마스크와 같은 부드러운 질감과 매끄러운 착용감을 가지고 있어 식물 셀룰로오스보다 산업적으로 이용 가치가 크다.
바이오셀룰로오스는 주로 과일주스의 배양액에서의 균체 배양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의 생산균주로는 아세토박터(Acetobacter)속, 라이조비움(Rhizobium)속, 및 아그로박터(Agrobacterium)속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 생산수율이 우수한 균주는 아세토박터 속 균주로, 그 중에서도 아세토박터 자일리늄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한국등록특허 제0405776호 참조). 상기 생산수율이 우수한 균주를 사용하는 방법 외에도 생산수율을 올리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아세토박터속 미생물과 잡균 오염을 방지하는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정치 혼합 배양 또는 교반 혼합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셀룰로오스 생산방법에 관한 시도도 알려져 있다(한국공개특허 제2002-0067226호 참조).
한편, 보이차는 중국 운남성 남서쪽 일대에서 자생하는 대엽종의 찻잎을 발효시킨 흑차의 일종으로, 찻잎 속 산화효소에 의한 발효차인 반발효, 완전발효차와는 다르게 산화효소의 작용을 억제한 후 일정한 습도, 온도 조건 하에 미생물 번식을 유도하여 발효시킨 반발효차이다. 보이차의 품질 형성에는 미생물이 중요한 작용을 하는데, 발효과정 중 발생하는 물질이 보이차의 맛과 향 뿐만 아니라 피부미용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지면서 화장품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보이차는 숙성기간이 오래될수록 항 스트레스 기능성 아미노산 성분인 감마아미노낙산, 폴리페놀 등 더 많은 유효성분이 추출되며, 특히, 이러한 유효성분들은 항산화능 및 항염효과에 탁월한 효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J. Agric. Food Chem., Vol. 55, No. 21, 2007). 따라서, 이러한 보이차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개발되거나 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바이오셀룰로오스를 화장용 마스크팩의 시트로 사용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의 장점인 보수성 및 우수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피부에 추가적인 효능을 부여할 수 있는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 배양액으로 보이차 추출물을 이용할 경우, 상기의 효능 외에도 추가적으로 피부의 탄력 및 수분도 등의 미용효과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67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액에서 미생물을 발효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슬라이싱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함침액에 함침시켜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는 다음의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
1)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액에서 미생물을 발효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제조된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슬라이싱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서 용어, "보이차"는 중국차의 일종으로, 주로 중국 운남지방이 기원인 발효차를 의미하며, 주로 중국 운남성(雲南省)에서 자생하는 대엽종(大葉種) 차나무에서 얻어지며 차엽의 효소를 파괴시킨 뒤 차입을 퇴적하여 공기중에 있는 미생 물의 번식을 유도해 다시 발효가 일어나게 만든 차이다. 차엽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비타민을 비롯하여 카페인, 탄닌, 플라보노이드 및 정유 등이 있으며(이용주 등, 생약학, 동명사. 189-190, 1981), 찻잎은 전통적으로 당뇨, 비만, 항산화, 항고혈압, 항균, 콜레스테롤 강하 및 항궤양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상용차로서 일상적으로 음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이차 추출물"이란, 운남성에서 생산된 대엽종의 찻잎을 쇄청건조시킨 모차를 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산차(散茶), 혹은 긴압차(緊壓茶)를 함유하는 추출물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보이차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찻잎은 산지 등에서 직접 획득하거나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이차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찻잎을 적당한 용매로 추출 여과한 후, 농축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찻잎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C1) 내지 4(C4)의 저급 알콜과 같은 극성 용매, 또는 폴리올류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용출할 수 있으며, 추출 온도는 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추출시간은 약 1시간 내지 1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013 생차 천년고차에서 구입한 보이차를 이용하여 보이차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보이차 추출물을 배양액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보이차 추추물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바이오셀룰로오스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바이오셀룰로오스"는 다수의 박테리아 배양에 의해서 생산되는 고분자 물질로 반투명한 막(pellicle)의 형태로 생성되며, 리그닌 또는 헤미셀룰로오스가 전혀 포함되지 않고 3차원 망상구조로 이루어져, 보수성이 우수하고 부드러운 질감 및 매끄러운 착용감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배양액"은 식물이나 미생물의 성장과 발육에 필요한 영양소나 화학 성분을 포함하고 삼투압, 수소 이온의 농도, 온도와 같은 물리적 조건을 조정한 시험용의 액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배양액은 배양액 총 중량에 대하여 보이차 추출물을 0.01 중량% 이상을 함유할 수 있으며, 배양액을 모두 상기 보이차 추출물 100 중량%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양액은 질소원을 별도로 혼합하지 않거나, 혹은 바이오셀룰로오스의 수율 향상을 위해서 다양한 질소원을 보이차 추출물과 함께 배양할 수 있으며, 상기 질소원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으로, 그 범위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효모추출물 또는 황산암모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액을 사용하면서 생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글루코스가 함유된 식물 추출물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코코아, 옥수수 또는 복분자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양액으로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액을 사용하여 미생물 발효를 통해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미생물"은 바이오셀룰로오스(biocellulose)를 생산하는 균주로, 다른 용어로 생산균주라 명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생물은 아세토박터(Acetobacter)속, 라이조비움(Rhizobium)속, 또는 아그로박터(Agrobacterium)속 등의 균주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높은 생산 효율성을 위해 여러 종의 균주를 혼합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산수율이 우수한 아세토박터속 자일리늄과 잡균 오염을 방지하는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을 정치 혼합 배양 또는 교반 혼합 배양할 수 있다. 또한, 배양시 pH를 조절하기 위해 초산(acetic acid)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는데, 배양할 때의 pH는 3 내지 7의 범위가 적절하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접종되는 균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배양 온도는 20℃ 내지 35℃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30℃의 온도에서 배양할 수 있고, 배양 시간은 12시간 내지 48시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36시간 동안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발효"는 미생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발효라고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액에 미생물로 아세토박터균을 투입하여 30℃에서 120시간 동안 발효시켜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바이오셀룰로오스는 적절한 두께로 슬라이싱(slicing)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는 미생물 배양을 통해 만들어진 바이오셀룰로오스 타입의 시트로, 바이오셀룰로오스 원단이라 불리기도 하며,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를 화장품용 담수체에 담가 마스크 모양의 지지체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슬라이싱하는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0.05mm 내지 1mm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0.1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이오셀룰로오스의 두께가 얇아지면 피부 밀착력이 우수해지나 보액량이 줄어들어 피부위에서 빨리 마르게 되고, 두께가 두꺼워지면 피부 위에서 장시간 보습력을 유지할 수 있으나 피부 밀착력이 떨어져 사용상 편의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는 보수성 및 우수한 사용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의 효능 외에도 추가적으로 피부의 탄력, 수분도 및 투명도 등의 미용효과를 증진시키며, 실제로도 밀착감, 사용 중 부드러움, 사용 후 보습효과 및 자극도로 평가되는 전체적인 사용감 평가에서 다른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보다 월등히 우수하였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1)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액에서 미생물을 발효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제조된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슬라이싱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의 단계인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액에서 미생물을 발효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 단계는,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액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상기 2)의 단계인 상기 제조된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슬라이싱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1)의 단계에서 제조된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적절한 두께로 슬라이싱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수득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보이차 추출물", "배양액", "미생물", "발효", "바이오셀룰로오스" 및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1)의 단계에서, 발효 후 미생물 균체를 사멸시키고 배양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미생물" 및 "배양액"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균체"는 균류의 몸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발효 시 사용된 미생물의 몸 전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이오셀룰로오스가 마스크팩 시트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발효를 위해 주입된 미생물의 균체를 발효 후 사멸시키고 배양액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나, 열수 살균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미생물 균체를 사멸시키고 배양액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함침액에 함침시켜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방법에서 수득된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함침액에 함침시켜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단계는, 수득한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함침액, 구체적으로는 에멀젼,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중유적 형의 에멀젼에 함침시켜 피부 개선을 위한 마스크팩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마스크팩"은 얼굴에 붙이는 팩을 의미하는 것으로, 페이셜팩(facial pack)이라 불리기도 하며, 얼굴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팩제를 흠뻑 발라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피부가 거칠어졌을 때, 햇볕에 검게 탔을 때, 피로해졌을 때 등, 개선시키고자 하는 주 목적에 다라 적절한 팩제가 포함된 마스크팩을 선택하여 얼굴을 덮어 일시적으로 외기를 차단하여 효과를 올릴 수 있는 제품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함침액"은 피부를 개선시키기 위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액체 상태로 된 물질로서, 수득된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안에 함침액에 포함된 성분들이 침투될 수 있도록 하는 액체 상태의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함침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는 에멀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으로 나누어 각각의 성분을 55℃ 내지 80℃,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70℃, 보다 구체적으로는 70℃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각각의 성분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투입한 후 25℃ 내지 30℃, 보다 구체적으로는 28℃로 냉각하여 수중유형의 에멀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에멀젼(emulsion)"은 서로 용해하고 화합하지 않는 2개의 액체 중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액체 중에 미립자로 되어 분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물과 기름처럼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를 흔들어 섞으면 한 액체가 미세하게 쪼개져서 다른 액체 속으로 분산되며, 유탁질 또는 유탁액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수중유적형"은 에멀젼형을 나타내는 용어로, 분산매인 물 속에 기름이 가는 입자모양으로 분산되어 있는 에멀젼을 총칭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수상성분 및 유상성분으로 나누어 각각의 성분을 70℃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70℃를 유지한 상태로 유상성분을 수상성분에 교반하면서 천천히 투입한 후 28℃까지 냉각하여 수중유적 형의 에멀젼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함침액에 함침시키기 전에 일정한 수분 보유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탈수 혹은 건조 공정을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로 수득된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함침액에 함침시키기 전에 일정한 수분 보유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탈수 혹은 건조 공정을 거칠 수 있다. 그 이유는, 완전건조 후 화장유액을 침적시에는 바이오셀룰로오스(biocellulose)의 보수성이 떨어져, 마스크의 팽윤이 너무 오래 걸리거나 팽윤이 충분치 않은 단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는, 원심분리기를 사용한 탈수공정으로 수분함량을 바이오셀룰로오스시트 건조중량의 1~50 배의 중량으로 유지시킨 후 함침액에 함침시켜 화장유액을 투입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건조중량의 10~20 배의 중량 범위의 수분을 유지시킬 수 있다.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의 경우 건조중량의 동일 중량 미만의 수분을 남기면 마스크의 팽윤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거나, 팽윤이 충분치 않아 화장유액을 충분히 담수하지 못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이 나오지 않으며, 반대로 건조중량의 50배 초과의 수분을 담지하고 있으면, 더 이상의 미용액을 담지할 수 없어서 화장용 마스크 시트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마스크팩의 디자인을 얻기 위해 배양시의 트레이에 얼굴모양의 디자인을 음각성형시켜서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완성된 디자인 형태로 바로 얻을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평평한 트레이(예를 들어, 사각형 모양)에 바이오셀룰로오스를 배양하고 나서, 원하는 얼굴 모양의 칼날로 커팅하여 완성된 디자인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는 보수성 및 우수한 사용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의 효능 외에도 추가적으로 피부의 탄력, 수분도 및 투명도 등의 미용효과를 증진시키며, 실제로도 밀착감, 사용 중 부드러움, 사용 후 보습효과 및 자극도로 평가되는 전체적인 사용감 평가에서 다른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보다 월등히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는 보수성 및 사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피부의 탄력, 수분도 및 투명도 등의 미용효과를 증진시켜 새로운 화장용 마스크 시트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보이차 추출물의 준비
2013 생차 천년고차에서 구입한 보이차 1Kg에 에탄올과 물을 1:1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30kg 가하여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16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고 50메쉬 거름망으로 정제하여 보관하였다. 그 중 100g을 취하여 건조중량을 측정한 후 보이차 추출물의 농도가 0.5%가 되도록 정제수로 희석하였다.
실시예 2: 보이차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 바이오셀룰로오스 생산
1L를 기준으로 포도당 20g/L, 초산 10ml/L에 보이차 추출물을 각각 0%(v/v), 10%(v/v), 20%(v/v), 또는 30%(v/v)를 첨가하고 나머지는 증류수로 채워 용해 및 혼합시킨 후, 250ml 비커에 50ml씩 소분하고 120℃에서 30분간 살균한 다음, 배양된 아세토박터 균을 5ml씩 접종하고, 30℃의 온도에서 일주일간 배양하였다.
실시예 3: 시트 마스크팩 제조( 제조예 1 및 비교예 1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함침액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함량(중량%)
수상성분 정제수 잔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글리세린 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7
카보머 0.15
트로메타민 0.12
방부제 2
유상성분 디메치콘 1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0.5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0.5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0.3
적당량
구체적인 에멀젼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 에멀젼 제조방법]
1. 수상성분을 70℃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2. 유상성분을 70℃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3. 70℃를 유지한 상태로 2상을 1상에 교반하면서 천천히 투입한 후에 28℃까지 냉각하여 수중유적 형의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얼굴 형태로 타공한 후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한 에멀젼 25g에 함침시켜 제조예 1의 시트 마스크팩을 제조하고, 시판되고 있는 레이온 부직포를 얼굴 형태로 타공한 후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한 에멀젼 25g에 함침시켜 비교예 1의 시트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내 보이차 성분의 존재 여부 확인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배양된 바이오셀룰로오스에 보이차 성분이 함유됨을 측정하기 위하여, 셀룰로오스 생산 후 별다른 처리 없이 분쇄하고 원심 분리한 후 필터로 정제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분석장비는 Aligent 1200 HPLC를 이용하여 5마이크로미터 컬럼을 이용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샘플명 보이차 분석 제조예 1
Biocell-1 473.62 7.03
Biocell-2 811.26 2.46
Biocell-3 41.06 6.69
Biocell-4 38.34 3.38
Biocell-5 129.62 2.49
상기 표 2를 보면, 보이차에서 검출되는 폴리페놀 성분들이 마스크팩 시트에서도 검출되어,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한 배양액 내의 폴리페놀이 발효 후에도 마스크팩 시트에 잔류하여 피부에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인체에서 피부 탄력, 수분도 및 투명도 개선 측정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시트 마스크팩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피부 탄력, 피부 수분도 및 피부 투명도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부 탄력 측정]
온도 25℃, 습도 75%의 조건에서 3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30명을 선정하여, 2개 조로 나누어 각 조별로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화장용 시트 마스크팩을 매일 3회씩 4주간 안면에 사용하게 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샘플 피부탄력효과
제조예 1 0.71
비교예 1 0.54
[피부 수분도 측정]
온도 25℃, 습도 75%의 조건에서 3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30명을 선정하여, 2개 조로 나누어 각 조별로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화장용 시트 마스크팩을 20분간 사용한 뒤 1시간 후 피부수분도측정기(Corneometer)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샘플 피부수분도
제조예 1 117%
비교예 1 104%
[피부 투명도 측정]
3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30명을 선정하여, 2개 조로 나누어 각 조별로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화장용 시트 마스크팩을 20분간 사용한 뒤 1시간 후 피부투명도측정기(TLS850)를 이용하여 피부 투명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샘플 피부투명도
제조예 1 109.68%
비교예 1 100%
상기 표 3 및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를 사용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훨씬 우수한 피부 탄력 및 수분도 증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를 사용할 경우 피부 각질층의 수화 현상에 의하여 피부 투명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사용감 평가
30대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비교예 1 및 제조예 1를 얼굴 양쪽의 부위에 사용하게 하여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피부 밀착감, 사용 중 부드러움, 사용 후 보습효과 및 자극도 등 포괄적으로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피부 밀착감 사용 중 부드러움 사용 후 보습효과 자극도 전체적 만족도
비교예 1 8 9 13 15 10
제조예 1 42 41 37 35 40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포괄적인 사용감 평가에서 제조예 1의 시트가 비교예 1의 시트에 비해 전체적인 사용감의 모든 부분에서 월등히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Claims (10)

  1.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셀룰로오스는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액에서 미생물을 발효하여 제조된 것인,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아세토박터(Acetobacter)속, 라이조비움(Rhizobium)속 및 아그로박터(Agrobacterium)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미생물인 것인,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보수성 증진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가지는 것인, 시트.
  5. 1)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양액에서 미생물을 발효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제조된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슬라이싱하여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발효 후 미생물 균체를 사멸시키고 배양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아세토박터(Acetobacter)속, 라이조비움(Rhizobium)속 및 아그로박터(Agrobacterium)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미생물인 것인, 제조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함침액에 함침시켜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액은 수중유적 형의 에멀젼인 것인, 제조방법.
  10. 제8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
KR1020160113863A 2016-09-05 2016-09-05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6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63A KR20180026923A (ko) 2016-09-05 2016-09-05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63A KR20180026923A (ko) 2016-09-05 2016-09-05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923A true KR20180026923A (ko) 2018-03-14

Family

ID=6166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863A KR20180026923A (ko) 2016-09-05 2016-09-05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9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3919A (zh) * 2018-08-25 2018-10-26 郑州成济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持久保水生物纤维素面膜的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3919A (zh) * 2018-08-25 2018-10-26 郑州成济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持久保水生物纤维素面膜的制备方法
CN108703919B (zh) * 2018-08-25 2021-04-27 素妆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持久保水生物纤维素面膜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350B1 (ko) 화장용 바이오셀룰로오스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40527A (ko) 발효 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939059B (zh) 一种稻胚芽五菌发酵缓释化妆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81638B1 (ko) 단삼, 청대 및 희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바이오셀룰로오스(Biocellulose)를 적용한 화장용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904909B (zh) 一种含有玫瑰发酵液的去屑头皮精华及其制备方法
CN107693419A (zh) 滋养润肤油茶果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1793905B1 (ko) 수박 또는 사탕수수를 이용한 바이오 셀룰로오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402334B (zh) 青稞发酵提取物的应用
CN113398045A (zh) 一种抗衰老、舒缓的芦荟发酵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50124643A (ko) 스크럽제가 포함된 바이오 셀룰로오스 마스크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20180026923A (ko) 보이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7965B1 (ko)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9966213A (zh) 一种酵素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681639B1 (ko) 지각, 사상자 및 차전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바이오셀룰로오스(Biocellulose)를 적용한 화장용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1771B1 (ko) 닥나무 또는 그 추출물의 발효방법, 그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8657B1 (ko)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4100B1 (ko) 뿌리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991A (ko) 황칠나무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육모제
KR101875527B1 (ko)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건조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
KR101715194B1 (ko) 누룩으로부터 코직산 발현 및 농축추출방법
CN117180149B (zh) 一种舒缓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991340B (zh) 一种具有修复舒缓助眠功效的组合物、制备方法以及应用
KR102069443B1 (ko) 울금, 비트 및 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오셀룰로오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2963B1 (ko) 산양산삼 식초를 이용한 피부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