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393A - 드롭다운 시일 - Google Patents

드롭다운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393A
KR20180026393A KR1020177036531A KR20177036531A KR20180026393A KR 20180026393 A KR20180026393 A KR 20180026393A KR 1020177036531 A KR1020177036531 A KR 1020177036531A KR 20177036531 A KR20177036531 A KR 20177036531A KR 20180026393 A KR20180026393 A KR 20180026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expansion means
seal
base rai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딘테어
Original Assignee
플래닛 지디제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래닛 지디제트 아게 filed Critical 플래닛 지디제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26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롭다운 시일에 관한 것으로, 이 드롭다운 시일은 하우징 레일(1), 지지 레일(2), 시일 프로파일(3), 하강 기구, 및 관통 개구(12, 25, 30)를 포함하고, 이 관통 개구는 드롭다운 시일의 길이방향(L)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한 지지 레일(2)의 하강/상승 방향(A)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잠금 바아(4)가 관통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지지 레일(2)은 기부 레일(20) 및 드롭다운 시일의 길이방향(L)으로 기부 레일(20)에 인접하는 팽창 수단(5)을 갖는다. 관통 개구(12, 25, 30)는 팽창 수단(5)을 따라 또는 팽창 수단을 통해 형성되어 있고, 팽창 수단(5)의 전체 높이에 걸쳐 내부 폭(BE)을 가지며, 이 내부 ?i은 기부 레일(20)의 내부 폭(BB) 보다 크고 또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기부 레일의 외부 폭에 대응한다. 내부 폭(BE, BB)은 길이방향(L)에 수직하게 또한 하강/상승 방향(A)에 수직하다. 기부 레일(20), 팽창 수단(5) 및 시일 프로파일(3)은 하강 기구에 의해 함께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분할된 지지 레일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롭다운 시일은 비교적 두꺼운 구동 또는 가장자리 볼트 바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롭다운 시일
본 발명은 문짝과 바닥 사이의 틈을 시일링하기 위한 무문턱 도어용 드롭다운 시일(drop-down seal)에 관한 것이다.
자동적으로 또한 기계적으로 하강될 수 있는 시일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시일링 장치는 일반적으로 문짝과 바닥 사이의 하측 틈을 드래프트(draft), 소리 및 빛 침투에 대해 시일링하기 위해 무문턱 도어에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EP 0 338 974에 개시되어 있는 시일이 편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경우,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시일링 장치가 자동적으로 작동된다. 대응하는 하강 기구의 예가 EP 0 509 961, DE 19 516 530, DE 3 526 720, DE 3 418 438 및 DE 3 427 938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 드롭다운 시일은 일측 또는 양측에서 작동되지만, 일반적으로 전방측에서, 도어가 폐쇄될 때 안으로 밀리는 스프링 장착 해제 볼트에 의해 작동되고, 스프링 장착 해제 볼트는 문짝으로부터 돌출된다. 다른 종류의 해제 기구도 알려져 있다.
더욱이, 잠금 볼트 또는 잠금 바아를 수용하기 위한 역할을 한는 관통 개구를 그러한 시일에 제공하는 것이 EP 1 191 182 및 EP 1 308 590에 개시되어 있다. 바아는 이 경우 드롭다운 시일의 하우징 레일 및 시일링 스트립에 침투한다. 결과적으로, 도어의 전체 폭은 이러한 잠금 바아를 사용할 때에도 시일링될 수 있고, 볼트는 시일링 스트립의 하강 기구와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EP 2 050 918에는 그러한 관통 개구를 갖는 드롭다운 시일이 개시되어 있고, 관통 개구는, 짧아질 수 있고 하강 기구가 통과되지 않는 영역을 갖는다.
IT 1392997 Ⅵ에는 관통 개구와 시일링 립을 갖는 별도의 단부 요소를 갖는 드롭다운 시일이 개시되어 있고, 단부 요소는 수동으로 하강되어야 한다.
DE 20 3014 100 774 U에는, 문짝의 하측 전방면에 나사 결합되는 바아 안내 플레이트가 개시되어 있고, 그래서 하우징 레일의 관통 개구는 동시에 잠금 바아를 위한 가이드로서 역할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알려져 있는 장치에서, 하우징 레일의 폭은 잠금 바아 및/또는 잠금 볼트의 직경을 제한한다. 다시 말해, 좁은 시일의 경우에, 충분히 안정적이도록 바아 및/또는 볼트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져야 하거나 또는 시일은 감소된 단면을 갖는 약화된 바아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두꺼운 잠금 바아 및/또는 볼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드롭다운 시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적 사항을 갖는 드롭다운 시일로 달성된다.
문짝과 바닥 사이의 틈을 시일링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문턱 도어용 드롭다운 시일은, 하우징 레일, 지지 레일, 시일 프로파일 및 하강 기구를 가지며, 상기 시일 프로파일은 상기 지지 레일에 배치되고, 특히 유지된다. 지지 레일은 하강 기구에 의해 상기 하우징 레일에 대해 시일 프로파일과 함께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드롭다운 시일은, 드롭다운 시일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지 레일의 하강/상승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관통 개구를 가지며, 잠금 바아가 상기 관통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지지 레일은 기부 레일 및 드롭다운 시일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기부 레일에 인접하는 팽창 수단을 가지며, 상기 관통 개구는 팽창 수단을 따라 그리고/또는 팽창 수단을 통해 형성되어 있고, 팽창 수단의 전체 높이에 걸쳐, 기부 레일의 내부 폭 보다 크고 또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기부 레일의 외부 폭에 대응하는 내부 폭을 갖는다. 내부 폭 및 외부 폭은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또한 상기 하강/상승 방향에 수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부 레일, 팽창 수단 및 시일 프로파일은 하강 기구에 의해 함께 상승 및 하강된다.
본 명세서에서, "잠금 바아" 및/또는 "바아" 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드롭다운 시일을 통과하고 또한 예컨대 바닥 오목부에 결합하여 바닥의 길이 방향으로 잠금을 이루는데에 적합한 잠금 볼트 또는 다른 기다란 구조물도 포함된다. 특히 바아는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도어 손잡이 또는 플러시 볼트에 연결되는 구동 볼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더 넓은 설계를 갖는 관통 개구 및 바람직하게는 더 넓은 설계를 갖는 팽창 수단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드롭다운 시일은 종래 기술에서 보다 넓은 바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예컨대, 동일한 단면을 갖는 드롭다운 시일의 경우에, 이전에 사용되는 바아 보다 1 내지 2 mm 만큼 더 큰 직경을 갖는 바아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서, 팽창 수단의 내부 폭만 하우징 레일의 내부 치수 보다 넓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외부 치수는 또한 더 넓고, 또한 지지 레일이 통상적으로 하우징 레일에서 갖는 틈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메꾼다.
본 발명에 따른 방안에서, 팽창은 하우징 래일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다시 말해, 드롭다운 시일 및/또는 하우징 레일은 공지된 시일과 동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레일은 전체 길이에 걸쳐 단일체로 연장되어 있어 내부 부품을 보호한다.
또한, 바아는 지지 레일의 기부 레일에 의해 안내될 필요가 없는 것이 유리하며, 그래서 바아는 어떤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팽창 수단의 내면이 평평하게 구성되는 경우, 팽창 수단은 실제로 아무런 저항 없이 바아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또한 그 반대도 가능하고, 바아와 지지 레일 간의 상대 운동이 방해를 받지 않는다. DE 20 2014 100 774 U에서와 같은 특정한 안내는 불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시일 프로파일은 상기 기부 레일 및 팽창 수단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팽창 수단은 상기 기부 레일에 배치되고, 특히 유지되며 또한 기부 레일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시일의 조립이 간단하게 되고 상승 및 하강시 공통 운동이 보장된다. 더욱이, 이미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고 위에서 언급된 지지 레일이 기부 레일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이 프로파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시일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탄성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시일 프로파일은 기부 레일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체결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시일 프로파일은 실제로 시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지지 레일에 연결된다. 이 경우, 시일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우징 레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시일 프로파일은 심지어 길이 방향으로 하우징 레일의 일 측 또는 양측에서 돌출해 있다.
그러나, 시일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팽창 수단에 직접 체결되지 않고 이 영역에서 헐겁게 연장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팽창 수단의 측벽은 매우 얇게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일 프로파일은 2개의 상향 림(limb)을 갖는데, 이들 림은 하우징 레일의 내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또한 시일링 가능하게 지탱된다. 바람직하게는, 림은 시일 프로파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다시 말해, 팽창 수단을 따라서도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일 프로파일은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거나 함께 고정 연결되는 복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부분은 예컨대 함께 결합되거나 함께 용접된다.
바람직하게는, 팽창 수단은 드롭다운 시일의 단부를 형성하지 않고 추가 단부 요소를 형성하는데, 기부 레일로부터 먼쪽에 있는 팽창 수단의 단부에서 팽창 수단에 인접하는 추가 단부 요소가 존재한다. 이 경우, 시일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단부 요소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단부 요소는 상기 하강 구에 의해 기부 레일, 팽창 수단 및 시일 프로파일에 의해 함께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 수단은 지지 레일에서 단절부를 형성한다. 단부 요소 및 기부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구성이고 시일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기부 레일 및 단부 요소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시일 프로파일은 전체 기부 레일, 팽창 수단 및 단부 요소에 걸쳐 단절 없이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팽창 수단은 상기 단부 요소에 배치되고, 특히 유지되며, 또한 단부 요소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팽창 수단은 일 단부에서 기부 레일에 체결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단부 요소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 수단은 기부 레일과 단부 요소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 레일과 단부 요소는 같은 단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단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는 지지 레일의 프로파일로 제조된다.
기부 레일, 단부 요소 및 팽창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레일을 함께 형성하고, 이 지지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양측에서 하우징 레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길이를 갖거나 또는 약간 더 짧다.
바아가 하강 과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기계적 하강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기부 레일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팽창 수단으로부터 떨어져 끝난다.
팽창 수단은, 나머지 지지 레일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것 보다 큰 내부 폭을 갖는 관통 개구를 허용하는 한, 어떤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팽창 수단은 2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들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외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양 플레이트는 기부 레일의 벽 두께에 비해 좁게 되어 있다.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기부 레일 및 존재한다면 단부 요소의 측벽에 체결되고, 이 측벽은 사용 상태에서 서로 반대 편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부 레일 및 단부 요소에 대한 체결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리벳 핀 또는 볼트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 리벳 핀 또는 볼트는 기부 레일의 두 대향 측벽을 통과하고 그 결과 내부에서 측면 리프 베어링을 측벽에 고정시킨다.
2개의 플레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양 플레이트는 기부 레일의 대응하는 벽 두께 보다 작은 벽 두께를 갖는다.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팽창 수단은 이들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각 플레이트는, 양 단부에서 각각의 측면 리프에 이어져 있는 기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2개의 측면 리프 중의 하나에는 각진 리프가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부 플레이트는 외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기부 플레이트의 굽힘은 연속적인데, 즉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 굽힘은 하나 이상의 단차를 두고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 리프는 바람직하게는 평평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 레일의 전방면은 기부 플레이트에 대한 전방면 하측 스탑을 형성하고, 기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는 측면 리프 아래로 돌출해 있다. 그 결과, 플레이트는 기부 레일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단부 요소는 단부 요소에 대한 변위가 또한 가능하지 않도록 하는 그러한 스탑을 형성한다. 이들 스탑은 리벳 연결의 회전 억제 잠금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각진 리프는 하측 영역에서, 기부 레일 및 존재한다면 단부 요소의 내면의 일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각진 리프와 이 영역 사이의 연결이 회전 억제 잠금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플레이트는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서로 별개인 2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는데, 이들 두 부품은 서로에 대해 거울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한 각진 리프는 단부 요소에 배치되고 다른 각진 리프는 기부 레일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상기 2개의 플레이트 모두는 각각의 기부 플레이트 및 2개의 각각의 측면 리프를 가지면서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공통의 각진 리프가 두 플레이트 사이의 연결 요소를 형성한다. 팽창 수단의 개방 단부, 즉 각진 리프 또는 연결 웨브의 반대편에 있는 단부에서, 스페이서, 예컨대 스페이서 슬리브가 지지 레일의 측벽 안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며, 도면은 단시 설명을 위한 것이고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롭다운 시일의 사시도로, 바아가 그 시일을 통과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드롭다운 시일의 지지 레일 및 이 지지 레일을 통과하는 바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승된 지지 레일 및 시일 프로파일을 갖는 도 1에 따른 드롭다운 시일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드롭다운 시일을 전방에서 본 것으로, 상승된 지지 레일 및 시일 프로파일이 나타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드롭다운 시일의 종단면도로, 하강된 지지 레일 및 시일 프로파일이 나타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드롭다운 시일을 전방에서 본 것으로, 하강된 지지 레일 및 시일 프로파일이 나타나 있다.
도 7은 도 2에 따른 바아를 갖는 지지 레일을 위쪽에서 본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팽창 수단의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플레이트를 전방에서 본 것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플레이트를 위쪽에서 본 것이다.
도 12는 도 9에 따른 플레이트를 측면에서 본 것이다.
도 13은 제 2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팽창 수단의 플레이트를 전방에서 본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플레이트를 위쪽에서 본 것이다.
도 15는 도 13에 따른 플레이트를 측면에서 본 것이다.
도 16은 제 3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팽창 수단의 플레이트를 전방에서 본 것이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플레이트를 위쪽에서 본 것이다.
도 18은 도 16에 따른 플레이트를 측면에서 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롭다운 시일을 나타내며, 플러시 볼트 또는 구동 볼트의 바아(4) 또는 볼트가 그 시일을 통과한다. 바아(4)는 방향(A)으로 드롭다운 시일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바아(4) 및 드롭다운 시일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드롭다운 시일은 하우징 레일(1)을 가지며, 이 레일에서 시일링 스트립은 방향(A)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시일링 스트립은 지지 레일(2) 및 이에 체결되어 있는 탄성중합체 시일 프로파일(3)을 포함한다. 하우징 레일(1) 및 지지 레일(2)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공지된 종류의 기계적 하강 기구(보이지 않음)가,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U-형 하우징 레일(1)에 배치되며, 공지된 종류의 작동 노브(knob)에서 하강 기구는 전방면에 있는 드롭다운 시일(나타나 있지 않음)의 단부에서 끝나고, 작동 노브는 하우징 레일(1)로부터 돌출해 있고 또한 문짝이 폐쇄되어 하강 기구를 작동시킬 때 안으로 밀리게 된다. 다른 종류의 기계적 하강 기구 및 해제 요소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따른 상승 상태에서, 시일링 스트립(2, 3)은 하우징 레일(1)의 측벽(11) 사이에 수용된다. 전방면에 있는 단부 영역에서 관통 개구(12)가 하우징 레일(1)에서 상측 웨브에 존재한다. 관통 개구(12)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다. 그러나 관통 개구는 다른 형상도 가질 수 있다. 관통 개구는 특히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 관통 개구(12)에는 바아(4)가 통과한다. 도 3 내지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일 프로파일(3)은 대응하는 관통 개구(30)를 갖는다. 하우징 레일(1)에 있는 관통 개구(12)는 바람직하게는 바아(4)를 안내하도록 치수 결정되는데, 즉 바아(4)의 직경 보다 미미하게 더 크다. 시일 프로파일(3)에 있는 관통 개구(30)는 바람직하게는 슬롯으로 되어 있고, 이 슬롯은 횡방향으로 바아의 직경 보다 미미하게 더 크다. 결과적으로, 시일이 보장된다.
그러나, 바아(4)의 영역에 있는 지지 레일(2)은 단순히 관통 개구를 갖지 않는다. 대신에 지지 레일(2)은 이 영역에서 팽창 수단(5)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명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레일(2)은 기부 레일(20)을 가지며, 이 기부 레일은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위쪽으로 개방된 실질적으로 U-형의 프로파일 레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시일 프로파일(3)을 체결하는 역할을 하는 하측 영역을 갖는다. 이 기부 레일(20)은 관통 개구(12)의 근처에 있을 때까지 하우징 레일(1)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기부 레일(20)은 기계적 하강 기구 및 하우징 레일(1)에 연결된다. 해제 요소를 제외한 하강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기부 레일(20)에서만 연장되어 있고 팽창 수단(5)으로부터 떨어져 끝난다.
팽창 수단(5)은 기부 레일(20)에 인접해 있다. 이 예에서, 팽창 수단은 제 1 체결 요소(23)(이 경우에는 제 1 리벳 핀)에 의해 기부 레일(20)의 내부 벽에 체결된다.
단부 요소(21)는 팽창 수단(5)의 반대 단부에 인접한다. 형상 면에서, 이 단부 요소는 기부 레일(20)과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실질적으로 더 짧다. 단부 요소는 기부 레일 처럼 바람직하게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팽창 수단(5)은 제 2 체결 요소(24)(이 경우에는 제 2 리벳 핀)에 의해 이 단부 요소(21)의 내벽에 체결된다.
도 7 및 8에 명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팽창 수단(5)은 인접한 기부 레일(20) 및 인접한 단부 요소(21) 보다 큰 내부 폭(BE)을 갖는 관통 개구(25)를 갖는다. 기부 레일(20)의 내부 폭은 도 8에서 BB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나머지 지지 레일(2)이 허용할 수 있는 것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바아(4)가 사용될 수 있다.
시일 프로파일(3)은 기부 레일(20) 및 단부 요소(21)에 체결되지만 팽창 수단(5)에는 체결되지 않는다. 그러나 시일 프로파일은 시일의 전체 길이(L)에 걸쳐, 즉 또한 팽창 수단(5)의 영역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기부 레일(20), 팽창 수단(21) 및 단부 요소(22)의 강성적이고 강직한 연결로 인해, 이들 세 부분은 시일 프로파일과 함께 동일한 하강 기구에 의해 하강 및 상승될 수 있는데, 하지만 그 기구는 기부 레일(20)에만 연결되고 시일링 스트립의 나머지 요소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도 9 내지 12에서, 도 1 내지 8에 따른 제 1 실시 형태의 팽창 수단(5)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팽창 수단(5)은 2개의 플레이트(22)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도 9 내지 12에 나타나 있다. 다른 플레이트(22)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시일에서 180°만큼 회전되어 있다.
플레이트(22) 중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양 플레이트(22)는 매우 좁게 또한 얇게 되어 있다. 플레이트는 특히 기부 레일(20)의 측벽 보다 실질적으로 얇다.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는 강으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강직하고 비탄성적으로 구성된다.
플레이트(22)는 외측으로 구부려져 있는 본체(220)를 갖는다. 여기서 만곡은 연속적이다. 측면 리프(leaf)(221, 222)가 본체(220)의 양측에 인접해 있고, 각각의 체결 개구(224, 225)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체결 개구에는 각각의 리벳 핀(23, 24)이 통과한다. 각진 리프(223)가 측면 리프(222) 중의 하나에 인접한다.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90°이다. 이 각진 리프(223)은, 플레이트(22)가 기부 레일(20)과 단부 요소(21) 사이에 삽입될 때 스페이서로서 역할한다. 리프(223)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수용부, 즉 기부 레일(20) 또는 단부 요소(21)의 내부 폭에 대응한다.
각진 리프(223)는 하측 영역에서 테이퍼형 부분(226)을 가지며, 이 테이퍼형 부분은 단부 요소(21) 및 기부 레일(20)의 내부 프로파일에 각각 대응한다. 결과적으로, 각진 리프(223)는 이 공동부에 확실하게 끼워 맞춤되어 회전 억제 잠금을 형성하게 된다.
측면 리프(221, 222)에 대해 돌출해 있는 가장자리(227)를 갖는 본체(220)에 의해 추가적인 회전 억제 잠금이 보장된다. 이 가장자리(227)는 기부 레일(20) 및 단부 요소(21)의 하측 전방면에 지탱된다. 이는 추가적으로 단부 요소(21)와 기부 레일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팽창 수단의 대향하는 제 2 플레이트(22')는, 그의 각진 리프(223')가 기부 레일(20)에 배치되도록 배치되며, 제 1 플레이트(20)의 각진 리프(223)는 단부 요소(21)에 위치된다.
본체(220, 220')의 내부 및 외부 벽은 바람직하게는 매끄럽게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팽창 수단(5)은 바아(4)에 대해 사실상 무마찰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3 내지 15에서, 팽창 수단(5)의 플레이트(22)의 제 2 예시적 실시 형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동일하게 구성된, 하지만 서로에 대해 거울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2개의 플레이트(22)가 팽창 수단(5)을 형성한다. 플레이트(22)는 전술한 플레이트와 사실상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부 플레이트(220)는 단차형이고 외측으로 연속적으로 구부려져 있지 않다.
도 16 내지 18에 따른 예시적 실시 형태에서, 팽창 수단(5)은 2개의 개별적인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실질적으로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단일체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진 리프(223)는 두 측면 리프(222, 222') 사이의 연결 웨브를 형성한다. 각진 리프는 양측에 존재하지 않고, 측면 리프(221, 221')는 그 지점에서 비부착 상태로 끝난다. 실시 형태에 따라, 스페이서, 예컨대, 스페이서 슬리브가 이 자유 단부 영역에서 클램핑된다,
분할된 지지 레일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롭다운 시일은, 비교적 두껍고 그래서 안정적인 구동 볼트 바아 또는 가장자리 볼트 바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1 하우징 레일
10 상측 웨브
11 측벽
12 관통 개구
2 지지 레일
20 기부 레일
21 단부 요소
22 제 1 플레이트
22' 제 2 플레이트
220 기부 플레이트
220' 거울 대칭형 기부 플레이트
221 제 1 측면 리프
221' 거울 대칭형 제 1 측면 리프
222 제 2 측면 리프
222' 거울 대칭형 제 2 측면 리프
223 각진 리프
224 제 1 체결 개구
225 제 2 체결 개구
226 테이퍼형 부분
227 돌출 가장자리
23 제 1 체결 요소
24 제 2 체결 요소
25 관통 개구
3 시일 프로파일
30 관통 개구
4 잠금 바아
5 팽창 수단
L 드롭다운 시일의 길이방향
A 상승/하강 방향
BE 팽창 수단의 내부 폭
BB 기부 레일의 내부 폭

Claims (15)

  1. 문짝과 바닥 사이의 틈을 시일링하기 위한 무문턱 도어용 드롭다운 시일로서, 드롭다운 시일은 하우징 레일(1), 지지 레일(2), 시일 프로파일(3), 및 하강 기구를 가지며, 상기 시일 프로파일(3)은 상기 지지 레일(2)에 배치되고, 지지 레일(2)은 하강 기구에 의해 상기 하우징 레일(1)에 대해 시일 프로파일(3)과 함께 상승 및 하강될 수 있고, 상기 드롭다운 시일은, 드롭다운 시일의 길이방향(L)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한 지지 레일(2)의 하강/상승 방향(A)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관통 개구(12, 25, 30)를 가지며, 잠금 바아(4)가 상기 관통 개구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지지 레일(2)은 기부 레일(20) 및 드롭다운 시일의 길이방향(L)으로 상기 기부 레일(20)에 인접하는 팽창 수단(5)을 가지며,
    상기 관통 개구(12, 25, 30)는 팽창 수단(5)을 따라 그리고/또는 팽창 수단(5)을 통해 형성되어 있고, 팽창 수단(5)의 전체 높이에 걸쳐, 기부 레일(20)의 내부 폭(BB) 보다 크고 또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기부 레일(20)의 외부 폭에 대응하는 내부 폭(BE)을 가지며, 상기 내부 폭(BE, BB) 및 외부 폭은 길이방향(L)에 수직하게 또한 상기 하강/상승 방향(A)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기부 레일(20), 팽창 수단(5) 및 시일 프로파일(3)은 하강 기구에 의해 함께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드롭다운 시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프로파일(3)은 상기 기부 레일(20) 및 팽창 수단(5)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드롭다운 시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수단(3)은 상기 기부 레일(20)에 배치되고 또한 기부 레일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드롭다운 시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프로파일(3)은 기부 레일(2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체결되어 있는, 드롭다운 시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프로파일(3)은 상기 팽창 수단(5)에 대해 헐겁게(loosely) 연장되어 있는, 드롭다운 시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프로파일(3)은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함께 고정 연결되는 복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드롭다운 시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부 요소(21)가 상기 기부 레일(20)로부터 먼쪽에 있는 팽창 수단(5)의 단부에서 팽창 수단(5)에 인접해 있고, 상기 단부 요소(21)는 상기 하강 기구에 의해 기부 레일(20), 팽창 수단(5), 및 시일 프로파일(3)에 의해 함께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드롭다운 시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수단(5)은 상기 단부 요소(21)에 배치되고 또한 단부 요소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드롭다운 시일.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프로파일(3)은 상기 단부 요소(21)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체결되어 있는, 드롭다운 시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수단(5)은 2개의 플레이트(22, 22')를 포함하고, 플레이트(22, 22')는 상기 기부 레일(20) 및 존재하는 경우 단부 요소(21)의 상호 반대 측에 배치되고, 2개의 플레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기부 레일의 벽 두께 보다 작은 벽 두께를 갖는, 드롭다운 시일.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 플레이트(22, 22')는, 양 단부에서 각각의 측면 리프(leaf)(221, 221', 222. 222')에 이어져 있는 기부 플레이트(220, 220')를 포함하고, 2개의 측면 리프(222, 222') 중의 하나에는 각진 리프(223)가 배치되어 있는, 드롭다운 시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레일(20)의 전방면은 기부 플레이트(220, 220')에 대한 전방면 하측 스탑을 형성하고, 기부 플레이트(220, 220')의 가장자리(227)는 측면 리프(221, 221', 222, 222') 아래로 돌출해 있는, 드롭다운 시일.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리프(223)는 하측 영역(226)에서, 상기 기부 레일(20) 및 존재한다면 단부 요소(21)의 내면의 일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각진 리프(223)와 상기 영역 사이의 연결이 회전 억제 잠금을 형성하는, 드롭다운 시일.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플레이트(22, 22')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고 또한 서로 별개인 2개의 부품을 형성하는, 드롭다운 시일.
  15. 제 11 항 내지 제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플레이트(22, 22')는 각각 하나의 기부 플레이트(220, 220') 및 각각 2개의 측면 리프(221, 221', 222, 222')를 가지면서 단일체로 함께 구성되어 있고, 공통의 각진 리프(223)가 두 플레이트(22, 22') 사이의 연결 요소를 형성하는, 드롭다운 시일.
KR1020177036531A 2015-07-01 2016-06-20 드롭다운 시일 KR201800263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4841.5 2015-07-01
EP15174841.5A EP3112577B1 (de) 2015-07-01 2015-07-01 Absenkdichtung
PCT/EP2016/064183 WO2017001226A1 (de) 2015-07-01 2016-06-20 Absenkd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393A true KR20180026393A (ko) 2018-03-12

Family

ID=5349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531A KR20180026393A (ko) 2015-07-01 2016-06-20 드롭다운 시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80363362A1 (ko)
EP (1) EP3112577B1 (ko)
JP (1) JP2018524500A (ko)
KR (1) KR20180026393A (ko)
CN (1) CN107709690B (ko)
AU (1) AU2016287082B2 (ko)
SG (1) SG11201710285TA (ko)
WO (1) WO2017001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5873B (zh) * 2019-08-14 2020-06-19 合力神控股有限公司 一种具有多种功能的石材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2691B1 (de) * 2001-07-20 2011-08-31 Planet Gdz Ag Schwellenlose Türe mit mindestens einem Türflügel und mit einer absenkbaren Dichtung .
US4277920A (en) * 1976-09-28 1981-07-14 Panelfold Doors, Inc. Portable and operable wall systems
DE3427938A1 (de) 1984-02-28 1985-09-12 Fa. F. Athmer, 5760 Arnsberg Automatische dichtungsvorrichtung fuer einen unteren tuerspalt
DE3418438A1 (de) 1984-05-18 1985-11-21 Fa. F. Athmer, 5760 Arnsberg Tuerdichtungsvorrichtung
DE3526720C2 (de) 1984-07-28 1986-07-17 Fa. F. Athmer, 5760 Arnsberg Dichtungsvorrichtung für den unteren Türspalt eines Türflügels
US4805345A (en) * 1987-07-10 1989-02-21 Nankai Kogyo Kabushiki Kaisha Sealing device for a door
FI88332C (fi) 1988-04-19 1993-04-26 Planet Matthias Jaggi Taetningsanordning foer en troeskelloes doerr
ATE115675T1 (de) 1991-04-17 1994-12-15 Planet Mjt Ag Dich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türflügel.
US5339881A (en) * 1993-03-08 1994-08-23 Modernfold, Inc. Electrically operated drop seal for operable walls
CH688741A5 (de) 1994-06-01 1998-02-13 Matthias Jaggi Dich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Türflügel.
US6195939B1 (en) * 1998-04-03 2001-03-06 David A. Sowers Pivot spring automatic door sealing apparatus
US6167937B1 (en) * 1998-08-13 2001-01-02 Hufcor, Inc. Seal setting mechanism
ES2272233T3 (es) * 1999-03-02 2007-05-01 Luis Muller Carranza Burlete.
EP1486638B1 (de) 2000-09-25 2011-06-15 Planet GDZ AG Absenkdichtung für eine schwellenlose Tür
CN2490296Y (zh) * 2001-07-12 2002-05-08 杨柳凤 门底自动升降密封装置
DE20221596U1 (de) 2001-11-06 2006-07-20 Planet Gdz Ag Kantriegel für eine Tür
US20040111972A1 (en) * 2002-12-16 2004-06-17 Planet Gdz Ag Sill-free door with lowerable seal
PL2050918T3 (pl) 2007-10-19 2016-04-29 Planet Gdz Ag Uszczelka opadająca wyposażona w otwór przelotowy
IT1392997B1 (it) 2009-02-03 2012-04-02 Geron Assieme di guarnizione per ante di serramenti nonche' metodo di assemblaggio di tale assieme
GB201014833D0 (en) * 2010-09-07 2010-10-20 Rbp Associates Ltd Drop-down door seal
CH705344A1 (de) * 2011-08-02 2013-02-15 Planet Gdz Ag Dichtung für eine schwellenlose Tür.
DE202011052040U1 (de) * 2011-11-21 2013-02-26 Tanja Pollmeier Klemmschutzvorrichtung
GB201215433D0 (en) * 2012-08-30 2012-10-17 Rbp Associates Ltd Door seal
ITVI20130037A1 (it) * 2013-02-20 2014-08-21 C C E Costruzioni Chiusure Ermetic He S R L Guarnizione e dispositivo di tenuta per ante di porte e serramenti
CN203114104U (zh) * 2013-02-25 2013-08-07 龙隆无尘设备(昆山)有限公司 门底自动密封装置
DE102013112193A1 (de) * 2013-11-06 2015-05-21 Christian Rager Türschienenvorrichtung
EP2876233A1 (de) * 2013-11-21 2015-05-27 Planet GDZ AG Kantriegel und Türdichtungssystem
DE202014100774U1 (de) 2014-02-21 2014-04-08 Athmer Ohg Türdichtvorrichtung
EP3122981B1 (de) * 2014-03-26 2018-11-28 Planet GDZ AG Dichtungsvorrichtung und befestigungsmittel
WO2016066577A2 (de) * 2014-10-27 2016-05-06 Planet Gdz Ag Dichtung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2577A1 (de) 2017-01-04
WO2017001226A1 (de) 2017-01-05
CN107709690A (zh) 2018-02-16
CN107709690B (zh) 2019-07-30
AU2016287082A1 (en) 2017-12-07
US20180363362A1 (en) 2018-12-20
SG11201710285TA (en) 2018-01-30
EP3112577B1 (de) 2017-08-30
JP2018524500A (ja) 2018-08-30
AU2016287082B2 (en)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4743B1 (en) Roll formed roll-up door guide with double wind bar end
ES2738781T3 (es) Portón con un elemento de puerta, así como elemento de remate para un elemento de portón con un elemento de puerta integrado
KR20190124778A (ko) 창문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새시 또는 슬라이딩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새시를 위한 바닥 문틀 시스템
KR102132396B1 (ko) 배수구 형성용 지지부재를 가진 유리난간대가 포함된 창호
KR20180026393A (ko) 드롭다운 시일
US4637165A (en) Corner deflection assembly
AU2005217708A1 (en) Fixing device for a slide or guide rail
HU220920B1 (en) Sealing and bolt for windows, doors or similars
RU2443842C1 (ru) Приводимый в действие рукояткой шпингалет с приводными штангами для окна или двери
US20220034162A1 (en) Roller shutter lock assembly
DE202013105916U1 (de) Fenster- oder Türflügel mit einer Haltevorrichtung zur Aufnahme eines flügelüberdeckenden Flächenelements
EP2604783A1 (de) Fensterflügelprofil mit Federelement für die Montage von Klotzbrücken oder dergleichen
ITMI981495A1 (it) Elemento di connessione per un profilato composito e profilato composito comprendente detto elemento di connessione
US20180044970A1 (en) Door frame
EP2666950B1 (en) Panel for a sectional door, sectional door, and use of a profile on a sectional door
JP2019210680A (ja) シャッター用ガイドレールの防火構造
US741197A (en) Window-sash.
US2660239A (en) Center bar for flexible storm windows
EP0592350A1 (en) Blast resistant windows
US20210115725A1 (en) Configurable astragal and snap feature for fenestration systems
EA020727B1 (ru) Дверь пластмассовая со стопор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верного замка, а также ст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верного замка для нее
DK2987943T3 (en) Shielding device with length adjustable side rails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 shielding device
PL184328B1 (pl) Wkładka ryglująca do profili drzwi i okien
ATE499500T1 (de) Beschlag
US769626A (en) Weather-str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