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333A - 자필정보 입력장치 및 자필정보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자필정보 입력장치 및 자필정보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333A
KR20180026333A KR1020170106820A KR20170106820A KR20180026333A KR 20180026333 A KR20180026333 A KR 20180026333A KR 1020170106820 A KR1020170106820 A KR 1020170106820A KR 20170106820 A KR20170106820 A KR 20170106820A KR 20180026333 A KR20180026333 A KR 2018002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per
input
unit
electronic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386B1 (ko
Inventor
슈이치 다케스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ublication of KR2018002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4Form filling;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06V30/416Extracting the logical structure, e.g. chapters, sections or page numbers; Identifying elements of the document, e.g. aut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과제] 자필정보가 입력된 용지와 같은 내용의 전자화 데이터를 확실히 얻는다.
[해결 수단] 문서 폼이 인쇄되어 있는 것과 함께, 문서 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 용지가 재치되는 재치면과, 이 재치면의 이면 측에 배치되어 있고, 용지에 필기 궤적을 묘화 할 수 있는 필기구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전자 펜에 의한 지시 입력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부와,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문서 폼을 표시하는 것과 함께, 위치 검출부로 검출된 전자 펜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에 따른 표시를 하기 위한 표시 제어부와, 판독부로 판독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문서 폼의 취득 가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구비한다. 문서 폼을 취득할 수 있었던 것이 판별부로 판별되었을 때에, 위치 검출부에 있어서의 전자 펜에 의한 지시 입력 위치의 검출을 유효하게 한다.

Description

자필정보 입력장치 및 자필정보 입력방법{HAND-WRITTEN INFORMATION INPUTTING APPARATUS AND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TING METHOD}
본 발명은 용지에의 필기와 함께, 당해 용지에 필기된 정보를 취득 가능한 자필정보 입력장치 및 자필정보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지에 볼펜이나 연필 등의 필기구로 자필 입력을 행하는 대신에, 전자 펜 등을 이용하여, 전자 펜의 지시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 위치 검출부를 가지는 태블릿 단말 등의 입력장치에 입력함으로써, 전자 펜을 사용하여 입력한 자필정보를 전자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것이, 페이퍼리스화의 요구에 따라, 일반적으로 되고 있다.
그렇지만, 용지에 필기구로 자필 입력을 할 기회가 없어진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의 상황에서 용지에의 자필 입력이 요구되고, 게다가 그 필기된 용지를 보존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여전히 많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때문에, 센서를 구비한 위치 검출부의 입력면 상에 재치한 용지에, 볼펜이나 연필 등의 필기구나, 심체에 볼펜 기능을 갖게 한 전자 펜 등을 사용하여, 자필 입력을 했을 때에, 그 자필 입력된 필기 정보를, 위치 검출부로 검출하여, 전자 데이터로서 기억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가 종래부터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 2006-107124호 공보)에는, 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등에 의해 원고를 작성하여, 그 원고를 용지에 인쇄했을 때에, 태블릿의 기억부에, 그 인쇄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해 두고, 그 원고를 인쇄한 용지에, 필기구로 가필(加筆)했을 때에는, 태블릿의 좌표 입력부에서 그 전자적인 필기 궤적(좌표 데이터)을 검출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기억부에 기억된 좌표 데이터와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가필된 인쇄 원고와 마찬가지의 전자화된 문서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일본국 특개 2010-102368호 공보)에는, 도트 패턴을 구비한 폼이 인쇄된 전용 용지에 디지털 펜에 의해 손으로 쓰는 조작에 기초하여, 자필정보 또는 필적 정보를 수집하고, 자필정보에 의해서 개인정보를 인증하는 것과 함께, 자필정보를 이용하는 자필정보 처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6-107124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10-102368호 공보
그런데, 용지에 필기구로 자필 입력을 하는 상황으로서는, 미리 기정된 문서나 마크나 화상 등이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하나 또는 복수의 자필정보의 입력영역이, 공란(빈영역)으로서 배치되어 형성된 문서 폼을 인쇄한 용지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병원 등에서는, 문진표, 수술이나 검사시의 동의서나 승낙서, 회진 기록서 등 다종다양한 문서 폼이 존재하고, 그 문서 폼에는, 이름, 주소, 서명 등의 입력영역이 존재하며, 환자, 간호사, 의사 등, 특정인에 한해서 자필 입력해야 할 입력영역도 존재한다.
종래, 일반적으로는, 이들 다종다양한 문서 폼의 용지에 자필 입력된 자필정보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PC 등의 워드프로세서 기능을 이용하여, 전자화되어 있는 문서 폼의 입력영역에 전기(轉記)함으로써 전자 데이터화하거나, 용지에 자필 입력된 자필정보를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장치 등에 의해 읽어들여, 전자 데이터화하고, 전자화되어 있는 문서 폼에 합성하거나 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막대한 비용이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다종다양한 문서 폼이 인쇄되는 용지의 각각의 자필정보의 입력영역에 자필정보를 입력했을 때에, 당해 자필정보가 입력된 용지와 같은 내용, 즉, 인쇄된 문서 폼과 자필정보의 전자화 데이터가 얻어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장치가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은 오퍼레이터의 재입력 처리나, OCR 장치를 이용한 전자화 처리가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의 입력장치인 태블릿에서는, 문서 폼의 원고를 용지에 인쇄했을 때에, 그 인쇄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해 두는 기억부가 필수이다. 따라서, 다종다양한 문서 폼이 존재할 때에는, 그 원고의 화상 데이터 전부를 기억부에 기억해 두지 않으면 안 되어, 기억부로서 대용량인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태블릿에 재치하여 자필 입력이 이루어지는 용지의 원고 폼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것이 전제되기 때문에, 태블릿에 재치되는 용지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폼이 인쇄된 용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수단을 가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기억부에 원고 폼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용지가, 태블릿에 재치되어, 그 용지에 자필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 당해 자필정보가 입력된 용지와 같은 내용의 전자화 데이터를 얻지 못하여, 당해 입력장치의 당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디지털 펜의 폼 관리 시스템의 경우에는,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전용의 용지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 되고, 또한, 그 용지의 도트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특수한 디지털 펜을 이용할 필요가 있어, 오히려, 가외 비용이 들어버려, 이를 상술한 바와 같은 자필정보의 입력이 필요하게 되는 일반적인 상황에 있어서 이용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 2의 경우에도, 용지가 데이터베이스에 폼이 격납되어 있는 전용 용지인지 여부의 확인 수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만약, 용지가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폼과 아노토(anoto) 방식의 좌표 정보 패턴(도트 패턴)이 합성되어 인쇄되어 있는 전용 용지가 아닌 경우에는, 그 용지에 자필정보가 입력되었다고 해도, 당해 자필정보가 입력된 용지와 같은 내용의 전자화 데이터를 얻지 못하여, 당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필정보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필 입력을 위한 기입영역이 마련된 문서 폼이 인쇄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문서 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 용지가 재치되는 재치면과,
용지에 시인 가능하게 자필 가능한 전자 펜에 의해서, 상기 재치면에 재치된 상기 용지에의 자필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식별 정보 판독부와,
표시부와,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로 판독된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 폼이 인쇄된 상기 용지에 대응한 문서 폼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기 위한 상기 문서 폼 정보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취득 가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 폼 정보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취득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취득된 상기 문서 폼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위치 검출부로 검출된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를 표시 가능으로 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문서 폼 정보가 취득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위치 검출부로 검출된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를 표시 불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의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는, 재치면에 재치된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판독부로 판독하고, 당해 판독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문서 폼을 취득하여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에, 판별부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문서 폼을 취득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의 표시 가부로 판별하여, 표시할 수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 검출부에 있어서의 전자 펜에 의한 자필정보의 입력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즉, 판별부는 소정의 문서 폼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의 자필정보의 입력영역에 자필 입력이 행해지기 전에,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문서 폼의 전자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그 판별 결과에 의해, 자필정보의 입력 처리의 가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필정보 입력장치에 의하면, 문서 폼이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고, 대응하는 문서 폼의 전자 데이터가 얻어진 것을 확인한 후에, 용지에의 자필정보의 입력을 접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자필정보가 입력된 용지와 같은 내용의 전자화 데이터를 확실히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당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자필정보 입력장치는, 문서 폼의 전자 데이터는 미리 기억부에 기억해 두는 것은 아니며, 판독부로 판독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취득하도록 하므로, 문서 폼은 범용성이 높고, 또한 대용량의 기억부를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판독부로 판독된 식별 정보에 의해,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문서 폼과, 그 문서 폼의 전자 데이터의 대응 짓기가 용이하므로,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문서 폼의 입력영역에 전자 펜에 의해 자필 입력된 자필정보의 전자화 데이터와, 문서 폼의 전자 데이터의 합성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2와 같은 도트 패턴을 이용하는 전용 용지나 전용 용지 전용의 디지털 펜을 이용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문서 폼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의, 자필정보의 입력영역에 자필정보가 입력되기 전에,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문서 폼의 전자화 데이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필정보가 입력된 용지와 같은 내용의 전자화 데이터를 확실히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당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예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예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장치의 처리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예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장치에서의 페이퍼 폼의 등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자필정보 입력용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예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장치가 구비하는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예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장치의 처리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예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장치의 처리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태블릿 단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태블릿 단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태블릿 단말 및 전자 펜의 전기 회로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태블릿 단말의 처리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태블릿 단말의 처리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태블릿 단말의 처리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의 처리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의 처리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의 다른 예의 처리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의 다른 예의 처리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자필정보 입력장치를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의 다른 예의 처리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태블릿 단말의 다른 예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 및 자필정보 입력방법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자필정보 관리 시스템의 일례의 구성 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자필정보 관리 시스템은 문서 폼 및 자필정보 관리 서버 장치(이하, 간단히 서버 장치라고 한다)(1)와, 프린터(2)와, 자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태블릿 단말(3)과, 이 태블릿 단말(3)에 대해서 자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 펜(4)과, 태블릿 단말(3)과 통신을 행하는 모바일 단말(5)로 이루어진다. 또한, 모바일 단말(5)은 태블릿 단말(3)에서 입력된 자필정보에 기초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과 함께, 서버 장치(1)와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해서 제휴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태블릿 단말(3)에 편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모바일 단말(5)과 서버 장치(1)는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해서 접속된다. 통신 네트워크(6)는 인터넷이나 휴대 전화망을 포함하는 공중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6)는 Wi-Fi(등록상표)를 이용하는 무선 LAN이어도 된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6)는 서버 장치(1)와 모바일 단말(5)의 사이를 유선으로 접속하는 LAN의 구성이어도 된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소정의 문서 폼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에 자필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당해 자필정보가 입력된 용지와, 당해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문서 폼에 자필로 입력된 정보의 전자 데이터 양방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 시스템의 이용자는 희망하는 문서 폼을 작성하여, 서버 장치(1)에 그것을 등록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이용자는 이용하는 소정 크기의 용지에, 희망하는 문서 폼을 인쇄한 것을 서버 장치(1)에 제공하여 등록 요구해도 되고,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해서, PDF 데이터나 JPEG 데이터나 비트맵 데이터, 혹은 그 외의 데이터 형식의 문서 데이터로서, 상기 문서 폼을 포함하는 문서 데이터(용지에 대응한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여도 된다)를 서버 장치(1)에 제공하여 등록 요구하도록 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용지의 크기는 후술하는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가 구비하는 센서의 위치 검출 에어리어의 크기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이 예에서는, A4사이즈로 되어 있다.
서버 장치(1)에서는, 이 문서 폼의 등록 요구를 접수하고, 그 접수한 문서 폼에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등록한다. 이 예의 경우, 서버 장치(1)에서는, 문서 폼을 구비한 용지에 대해서, 혹은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용지의 각각의 페이지가 고유한 문서 폼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페이지에 대해서, 식별 정보를 부여한다. 이하, 이 식별 정보를 페이퍼 ID라고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문서 폼을 페이퍼 폼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이 예에 있어서는, 서버 장치(1)는, 페이퍼 폼 마다, 페이퍼 ID로서 유니크한 식별 정보, 이 예에서는 바코드를 부여하도록 한다.
페이퍼 폼의 데이터로서 서버 장치(1)의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는 데이터에는, 페이퍼 폼이 묘화되어 있는 용지나 복수 페이지로 구성된 용지의 각 페이지, 및 이들 용지 혹은 페이지에 대응한 인쇄용 데이터나 표시용 데이터와, 페이퍼 폼에 대응한 자필정보의 입력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좌표 데이터, 자필정보의 입력영역에 입력해야 할 정보의 속성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페이퍼 폼에 포함되는 자필정보의 입력영역을 나타내는 영역 좌표 데이터는,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가 구비하는 센서의 위치 검출 에어리어의 좌표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1)는 페이퍼 폼을 등록한 이용자로부터의 인쇄 요구에 따라, 프린터(2)에 의해, 그 등록된 페이퍼 폼이 인쇄된 자필정보 입력용지(8)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혹은, 서버 장치(1)는 페이퍼 폼을 등록한 이용자의 인쇄 요구에 따라, 그 등록된 페이퍼 폼의 인쇄용 데이터를 이용자로부터의 PC 등에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해서 송신한다. 이 경우에는, 이용자가 자신의 PC에 접속되어 있는 프린터(2)에 의해, 그 등록된 페이퍼 폼이 인쇄된 자필정보 입력용지(8)를 얻도록 한다.
이 경우에,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는, 서버 장치(1)에서 부여된 페이퍼 ID, 이 예에서는, 페이퍼 ID에 대응한 바코드가 소정의 위치에 인쇄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용자가 서버 장치(1)에 페이퍼 폼이 인쇄되어 있는 용지(7)를 등록할 때에는, 페이퍼 ID는 인쇄되어 있지 않지만, 이용자로부터의 인쇄 요구에 따라 프린터(2)에 의해 인쇄된 자필정보 입력용지(8)의, 이 예에서는, 좌상 단부에는, 페이퍼 ID로서의 바코드(8BC)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이 예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버 장치(1)는 등록된 페이퍼 폼의 각각에 대해서, 자필 입력된 자필정보를 대응지어서 관리하도록 한다. 이 때문에, 서버 장치(1)에의 페이퍼 폼의 등록 시에는, 과금이 가해진다. 과금은 1개의 페이퍼 폼마다 행해도 되고, 월 단위나 년 단위로, 등록된 페이퍼 폼의 수에 관계없이 일정액이 과금이 되는 과금 계약이어도 된다.
페이퍼 ID로서의 바코드(8BC)가 인쇄되어 있는 자필정보 입력용지(8)는, 본 발명의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자필정보가 입력되는 용지가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태블릿 단말(3)과, 전자 펜(4)과, 모바일 단말(5)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가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태블릿 단말(3)과, 모바일 단말(5)은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 예를 들면 블루투스(등록상표) 규격의 무선통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3)과, 모바일 단말(5)은 그 외의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으로 무선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펜(4)과 태블릿 단말(3)의 사이는, 전자 유도 방식에 의해 신호의 수수(授受)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태블릿 단말(3)에서는, 그 위치 검출부에서 전자 펜(4)에 의해서 지시되는 위치를 검출하는 것과 함께, 전자 펜(4)으로부터의 필압 정보나 식별 정보의 취득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전자 펜(4)의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펜 ID라고 한다.
태블릿 단말(3)은 자필정보 입력용지(8)를 위치 검출부의 입력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재치면 상에 걸리게 하는 클립 부재(31)를 구비한다. 이 클립 부재(31)는, 이 예에서는, 자필정보 입력용지(8)의 상단의, 바코드(8BC)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을 덮도록 하여, 자필정보 입력용지(8)를 눌러서 걸리게 한다. 그리고, 이 클립 부재(31)의 자필정보 입력용지(8)와 대향하는 면측에는, 페이퍼 ID의 판독부를 구성하는 바코드 리더(3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전자 펜(4)은 태블릿 단말(3)의 재치면에 걸린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볼펜 혹은 연필 등을 사용한 필기와 마찬가지로, 필기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전자 펜(4)의 심체를 볼펜의 리필심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볼펜으로의 필기와 마찬가지로, 시인 가능하게 필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태블릿 단말(3)에는, 재치면의 뒤쪽에 센서를 포함하는 위치 검출부가 배치되어 있고, 전자 펜(4)의 볼펜 필기 기능에 의해,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필기되었을 때에는, 그것과 동시에, 위치 검출부에서, 그 필기 궤적을,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필기 데이터)로서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바일 단말(5)은 표시 화면을 가지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패드형 단말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모바일 단말(5)에는, 미리, 이 시스템에 있어서 필요한 처리를 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 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태블릿 단말(3)에도, 이 시스템에 있어서 필요한 처리를 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즉, 태블릿 단말(3)은 클립 부재(31)에 의해 자필정보 입력용지(8)가 걸렸을 때에는, 바코드 리더(32)로,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인쇄되어 있는 페이퍼 ID로서의 바코드(8BC)를 판독하여, 그 판독된 바코드 정보를 모바일 단말(5)에 송출한다.
모바일 단말(5)은 태블릿 단말(3)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수취하면, 수취한 바코드 정보를, 혹은 바코드 정보에 대응한 페이퍼 ID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해서 서버 장치(1)에 송신한다. 그러면, 서버 장치(1)는 페이퍼 ID에 대응하는 페이퍼 폼이 등록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판별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 취지를 모바일 단말(5)에 회신하고, 또한, 등록되어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페이퍼 ID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페이퍼 폼의 표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5)에 회신한다.
모바일 단말(5)은 서버 장치(1)로부터 페이퍼 ID에 대응하는 페이퍼 폼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취지의 회신을 받았을 때에는, 태블릿 단말(3)에 대해서, 자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취지를 나타내는 준비 미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5)은 서버 장치(1)로부터 페이퍼 ID에 대응하는 페이퍼 폼의 표시 데이터를 수취했을 때에는, 그 표시 데이터에 의한 페이퍼 폼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것과 함께, 태블릿 단말(3)에 대해서 자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준비가 된 취지를 나타내는 준비 완료 정보를 송신하고, 태블릿 단말(3)로부터의 데이터의 접수 상태로 이행한다.
태블릿 단말(3)은 모바일 단말(5)로부터 준비 미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는,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검출 동작은 행하지 않거나, 혹은, 검출한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를 태블릿 단말(3)에는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태블릿 단말(3)은 모바일 단말(5)로부터 준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는,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검출에 대응하여, 당해 검출한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를, 펜 ID나 필압 정보 등의 부가 정보와 함께, 태블릿 단말(3)에 송신한다. 이때,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는, 페이퍼 폼의 자필정보의 입력영역에 자필 입력된 정보이다.
그리고, 태블릿 단말(3)은 이용자로부터의 조작 종료 지시가 있으면, 당해 조작 종료 지시를 모바일 단말(5)에 보내고, 모바일 단말(5)에의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 및 펜 ID나 필압 정보 등의 부가 정보의 송신을 끝낸다.
모바일 단말(5)은 태블릿 단말(3)로부터의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 및 펜 ID나 필압 정보 등의 부가 정보를 받으면, 버퍼 메모리에 격납하는 것과 함께, 표시 화면에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에 기초하는 전자 펜(4)에 의해 자필 입력된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5)은 태블릿 단말(3)로부터 조작 종료 지시를 수취하면, 버퍼 메모리에 격납하고 있던, 그때까지 태블릿 단말(3)로부터 수신한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필기 정보) 및 펜 ID나 필압 정보 등의 부가 정보를,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서, 서버 장치(1)에 송신하여, 기입완료 데이터의 격납요구를 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5)로부터 서버 장치(1)에 송신하는 필기 정보에는 타임스탬프를 부가한다. 이것에 의해, 같은 펜 ID에 대응지어진 자필 입력 정보여도, 타임스탬프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를 시간 정보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서버 장치(1)는 모바일 단말(5)로부터 수취한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진 전자 펜(4)에 의해서 자필 입력된 정보를, 자필정보의 격납부에, 수신한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서 기억한다.
서버 장치(1)는 이용자로부터 등록 정보의 제공을 요구받으면, 페이퍼 ID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내 모바일 단말(5)에 송신한다. 모바일 단말(5)에서는 수신한 정보를, 타임스탬프에 기초하여 식별 가능하게 화면에 표시시킨다. 이용자는 타임스탬프에 기초하여 페이퍼 폼에 손으로 쓴 정보, 혹은 체크 박스에의 체크 등의 자필로의 조작 지시를, 페이퍼 폼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 실시 형태의 자필정보 입력장치에 있어서는, 페이퍼 ID에 대응하는 페이퍼 폼이 서버 장치(1)에 격납되어 있는 것을, 모바일 단말(5)에 있어서, 서버 장치(1)로부터 페이퍼 폼의 데이터를 취득 가능한지 여부, 바꿔말하면 페이퍼 폼의 데이터를 표시 화면에 표시 가능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확인한다. 그리고, 이 확인이 되었을 때에만, 태블릿 단말(3)에 있어서, 클립 부재(31)에 의해 걸린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의 자필정보의 입력 처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의 자필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소망하는 전자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부의 상세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서버 장치(1)에 대해]
도 2는 서버 장치(1)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예의 서버 장치(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퓨터로 구성되는 제어부(101)에 대해서, 시스템 버스(100)를 통해서, 통신부(102), 수신정보 처리부(103), 페이퍼 폼 등록 처리부(104), 페이퍼 폼 표시정보 제공부(105), 격납 처리부(106), 기입완료 페이퍼정보 제공부(107), 인쇄 요구 처리부(108), 용지 리더(109), 바코드 데이터베이스(110),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111), 페이퍼 기입 데이터 메모리(112)의 각각이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102)는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해서 모바일 단말(5)과 접속하여, 페이퍼 폼의 등록, 송신 등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수신정보 처리부(103)는 통신부(102)를 통해서 수신한 수신 정보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수신 정보를 필요한 각부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한다.
페이퍼 폼 등록 처리부(104)는, 수신정보 처리부(103)를 통해서, 이용자로부터의 페이퍼 폼 등록 요구를 접수했을 때에, 뒤에 상술하는 바와 같은 페이퍼 폼 등록 접수 처리를 행해서, 등록을 접수한 페이퍼 폼의 데이터를,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111)에 격납한다. 페이퍼 폼 등록 처리부(104)는 등록 요구시에 접수한 페이퍼 폼의 데이터로부터, 자필정보의 입력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엔진을 구비하고 있다.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111)에는, 페이퍼 폼을 구성하는 각각의 입력영역에 대응한 속성정보가 정의되어 등록되어 있다.
각각의 입력영역(입력 항목)에는, 이 입력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입력영역의 속성, 혹은 입력영역에 입력되는 정보의 속성, 즉, 입력영역에의 정보 입력이 필수인지 여부, 입력된 입력영역에 의존해서 입력되는 다른 입력영역과의 의존성, 혹은, 입력영역에 입력되는 정보가, 텍스트, 숫자, 불린(참 또는 거짓), 서명인지 여부, 혹은 어느 나라의 언어로 입력 가능한지 여부의 속성이 관련지어져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망하는 페이퍼 폼을 사용해 태블릿 단말(3)로 자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의 입력을 행했을 때에는, 모바일 단말(5)은 사용된 페이퍼 폼에 대응한 속성정보를 페이퍼 ID에 기초하여 서버 장치(1)의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취득하고, 태블릿 단말(3)로부터 송신된 입력 정보에 대해, 페이퍼 폼을 구성하는 각각의 입력영역에 대응한 속성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입력자(기입자)가 사용하는 전자 펜에 할당된 펜 ID에 기초하는 각각의 입력영역에의 입력에 대한 가부 권한, 특정 입력영역에의 입력에 대해서는 그 외의 입력영역에의 입력이 한정적으로 되는 등의 입력영역 간의 의존성, 텍스트 변환 혹은 화상 인식할 때의 인식 정밀도의 향상 혹은 입력된 정보의 적절성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페이퍼 폼 표시정보 제공부(105)는, 수신정보 처리부(103)를 통해서, 모바일 단말(5)로부터의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를 수취했을 때에는, 모바일 단말(5)로부터의 페이퍼 ID에 대응하여 페이퍼 폼의 표시 데이터를 제공하는 처리를 행한다.
격납 처리부(106)는, 수신정보 처리부(103)를 통해서, 모바일 단말(5)로부터의 페이퍼 ID 및 자필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자필정보 격납요구를 수취했을 때에는, 모바일 단말(5)로부터 송신되는 페이퍼 ID 및 자필 입력된 정보를 페이퍼 기입 데이터 메모리(112)에 격납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기입완료 페이퍼정보 제공부(107)는, 수신정보 처리부(103)로부터 전송된 기입완료 데이터 제공 요구에 따라, 페이퍼 ID에 대응하여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111)에 격납되어 있는 페이퍼 폼의 데이터와, 페이퍼 ID에 대응하여 페이퍼 기입 데이터 메모리(112)에 격납되어 있는 페이퍼 기입 데이터(자필정보)를 합성하여 기입완료 페이퍼 정보를 생성하고, 정보 요구처로 송신한다.
인쇄 요구 처리부(108)는, 수신정보 처리부(103)를 통해서, 이용자로부터의, 등록되어 있는 페이퍼 폼의 인쇄 요구를 접수했을 때에는, 그 인쇄 요구에 기초하여, 자필정보 입력용지(8)를 생성하고, 이용자에게 인쇄용으로서 제공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용자로부터 자필정보 입력용지(8) 그 자체의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는, 인쇄 요구 처리부(108)는 프린터로 인쇄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소망하는 매수의 자필정보 입력용지(8)를 인쇄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용지 리더(109)는, 이용자가, 이용자가 희망하는 페이퍼 폼을 인쇄한 용지의 형태로, 페이퍼 폼 등록 요구를 행했을 때에, 그 용지를 판독하여, 페이퍼 폼의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바코드 데이터베이스(110)는 페이퍼 폼에 부여하는 페이퍼 ID로서의 바코드의 정보를 격납하고 있다.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111)는 등록된 페이퍼 폼의 데이터를 그 속성정보와 함께 격납한다.
페이퍼 기입 데이터 메모리(112)는, 모바일 단말(5)로부터 송신되는 자필정보를,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서 격납하는 메모리이다. 또한, 페이퍼 기입 데이터 메모리(112)에는, 페이퍼 폼의 데이터와, 자필정보 입력영역에 입력된 자필정보를 합성한 정보를,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서 기억해 두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기입완료 페이퍼정보 제공부(107)는 수신정보 처리부(103)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기입완료 데이터의 제공 요구로부터 페이퍼 ID를 특정하고, 그 페이퍼 ID에 대응하는 기입완료 데이터를 페이퍼 기입 데이터 메모리(112)로부터 취득하여, 요구자 측에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수신정보 처리부(103), 페이퍼 폼 등록 처리부(104), 페이퍼 폼 표시정보 제공부(105), 격납 처리부(106), 기입완료 페이퍼정보 제공부(107), 인쇄 요구 처리부(108)의 각 처리부는, 제어부(101)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기능 처리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서버 장치(1)의 처리 동작]
도 3은 서버 장치(1)의 처리 동작의 메인 루틴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서버 장치(1)의 처리 동작은, 제어부(101)가 수신정보 처리부(103), 페이퍼 폼 등록 처리부(104), 페이퍼 폼 표시정보 제공부(105), 격납 처리부(106), 기입완료 페이퍼정보 제공부(107), 인쇄 요구 처리부(108)의 각 처리부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처리부의 구성으로 한 경우로서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01)는 페이퍼 폼 등록 요구를 접수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S101), 접수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페이퍼 폼 등록 처리 루틴을 실행한다(스텝 S102). 이 페이퍼 폼 등록 처리 루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4). 이 스텝 S102의 페이퍼 폼 등록 처리 루틴을 종료하면, 제어부(101)는 처리를 스텝 S101로 되돌려, 이 스텝 S1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101에서, 페이퍼 폼 등록 요구를 접수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101)는 페이퍼 폼 인쇄 요구를 접수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S103), 접수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페이퍼 폼 인쇄 요구 응답 처리 루틴을 실행한다(스텝 S104). 이 페이퍼 폼 인쇄 요구 응답 처리 루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7). 이 스텝 S104의 페이퍼 폼 인쇄 요구 응답 처리 루틴을 종료하면, 제어부(101)는 처리를 스텝 S101로 되돌려, 이 스텝 S1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103에서, 페이퍼 폼 인쇄 요구를 접수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101)는 페이퍼 ID를 수반하는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S105),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 응답 처리 루틴을 실행한다(스텝 S106). 이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 응답 처리 루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8). 이 스텝 S106의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 응답 처리 루틴을 종료하면, 제어부(101)는 처리를 스텝 S101로 되돌려, 이 스텝 S1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105에서,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101)는 기입완료 데이터 제공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S107),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기입완료 데이터 제공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08). 이 기입완료 데이터 제공 처리는 기입완료 페이퍼정보 제공부(107)가 행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정보 처리부(103)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기입완료 데이터 제공 요구로부터 페이퍼 ID를 특정하고, 그 페이퍼 ID에 대응하는 기입완료 데이터를, 페이퍼 기입 데이터 메모리(112)로부터 취득하여, 요구자 측에 송신하는 처리이다.
이 스텝 S108의 기입완료 데이터 제공 처리를 종료하면, 제어부(101)는 처리를 스텝 S101로 되돌려, 이 스텝 S1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107에서, 기입완료 데이터 제공 요구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도, 제어부(101)는 처리를 스텝 S101로 되돌려, 이 스텝 S10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페이퍼 폼의 등록 처리 루틴]
전술한 스텝 S102의 페이퍼 폼의 등록 처리 루틴의 예를, 도 4의 순서도 및 도 5,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스텝 S101에서의 페이퍼 폼 등록 요구의 접수에는, 통신부(102)를 통해서, 데이터로서의 페이퍼 폼 정보의 등록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와, 페이퍼 폼이 인쇄된 용지가 이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것에 기초하는 페이퍼 폼 등록 요구의 경우가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이용자에 의해 제공된 용지가 용지 리더(109)로 판독되어 서버 장치(1)에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페이퍼 폼 등록 요구를 접수했을 때에는, 서버 장치(1)는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하, 이용자 ID라고 한다)를 부여하여, 접수된 이용자명에 대응지어서 관리한다.
페이퍼 폼의 등록 처리 루틴이 개시되면, 제어부(10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등록하는 페이퍼 폼을 취득한다(스텝 S111). 이어서, 제어부(101)는 취득한 페이퍼 폼의 인쇄용 및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112).
다음으로, 제어부(101)는 취득한 페이퍼 폼을 해석하여, 공란으로 되어 있는, 자필정보가 입력되어야 할 자필정보 기입영역을 검출한다(스텝 S113). 또한, 제어부(101)는 취득한 페이퍼 폼으로부터, 검출한 자필정보 기입영역의 속성을 인식하는 것과 함께, 검출한 자필정보 기입영역의 영역 좌표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114).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페이퍼 폼이 등록되는 용지의 크기는,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의 위치 검출 에어리어의 크기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고, 이 예에서는, A4사이즈로 되어 있다. 자필정보 기입영역의 영역 좌표 데이터는, 이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로 검출되는 좌표 데이터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페이퍼 폼이 인쇄된 용지가 태블릿 단말(3)의 기정된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등록된 자필정보 입력영역의 좌표 데이터는,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의 좌표 데이터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등록 요구되어 있는 페이퍼 폼이 인쇄된 용지가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었을 경우에 대해서, 스텝 S113 및 스텝 S114의 처리를 설명한다. 즉, 도 5(A)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퍼 폼에는, 당해 페이퍼 폼이 인쇄되는 입력용지의 명칭, 예를 들면 승낙서, 동의서, 문진표 등을 나타내는 폼명의 표기 영역(9)이 마련되어 있는 것과 함께, 「이름」, 「주소」, 「전화 번호」, 「서명」 등의 자필정보 기입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스텝 S113에서는, 이들 자필정보 기입영역을 검출한다.
그리고, 스텝 S114에서는, 각각의 자필정보 기입영역 근방에 기재되어 있는, 자필정보 기입영역에 대응한 「이름」, 「주소」, 「전화 번호」, 「서명」 등의 입력 항목의 문자를 판독함으로써, 각각의 자필정보 기입영역의 속성을, 예를 들면, 텍스트, 영숫자, 숫자, 이미지로서 취득한다. 또한, 스텝 S114에서는, 각각의 자필정보 기입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좌표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경우에, 각각의 자필정보 입력영역은, 이 예에서는 직사각형 영역이므로, 각각의 직사각형 영역의 좌상의 점과, 우하의 점으로, 그 영역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즉,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용지의 좌상 모퉁이(P0)를 좌표의 원점으로 했을 때, 「이름」, 「주소」, 「전화 번호」, 「서명」의 각각의 자필정보 기입영역은, 상기한 직사각형 영역의 좌상의 점과, 우하의 점의 2점 페어인, [P1(X1,Y1), P2(X2,Y2)], [P3(X3,Y3), P4(X4,Y4)], [P5(X5,Y5), P6(X6,Y6)], [P7(X7,Y7), P8(X8,Y8)]로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위치(P0)가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의 기준 위치와 일치하면, 각 좌표는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의 좌표에 대응하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각각의 자필정보 기입영역에 대한 속성정보 혹은 영역 좌표 데이터는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것이지만, 키보드,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손 입력으로 설정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스텝 S114의 다음에는, 제어부(101)는 등록 요구를 접수한 페이퍼 폼에 페이퍼 ID를 부여한다(스텝 S115).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페이퍼 ID에 대응한 바코드를 부여하므로, 제어부(101)는 바코드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페이퍼 폼의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진 바코드를 취득하여, 등록 요구를 접수한 페이퍼 폼의 페이퍼 ID로서 부여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1)는 부여한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서,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111)에, 페이퍼 폼의 표시 데이터 및 자필정보 입력영역의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등록 데이터를 격납한다(스텝 S116).
도 6에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111)의 격납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이 도 6에 나타낸 등록 데이터는, 도 5의 예의 페이퍼 폼의 경우의 등록 데이터이다. 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록 데이터로서는, 입력용지의 명칭을 나타내는, 페이퍼 폼의 폼명(승낙서, 동의서, 문진표 등)과, 페이퍼 ID로서의 바코드와, 이용자 ID 및 이용자명과, 표시·인쇄용 데이터와, 자필정보 입력영역의 기입영역 ID와, 자필정보 입력영역의 항목명·항목속성과, 영역 좌표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스텝 S116의 다음에는, 제어부(101)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이용자 ID를, 페이퍼 폼의 등록 요구해 온 이용자에게 회신하여, 이용자에게 등록 종료를 통지한다(스텝 S117). 그리고, 페이퍼 폼의 등록 처리에 대한 과금을 이용자에 대해서 실행하고(스텝 S118), 이 페이퍼 폼의 등록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페이퍼 폼 인쇄 요구 응답 처리 루틴]
전술한 스텝 S104의 페이퍼 폼 인쇄 요구 응답 처리 루틴의 예를, 도 7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서버 장치(1)의 제어부(101)는 페이퍼 폼 인쇄 요구에 포함되는 이용자 ID를 취득하고(스텝 S121),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111)에 격납되어 있는 당해 이용자 ID에 대응지어져 있는 페이퍼 폼을 읽어내서, 예를 들면 그 폼명의 일람을, 요구자 측에 제공한다(스텝 S122).
이에 대해서는, 이용자는 제공된 일람으로부터 인쇄해야 할 페이퍼 폼을 선택한다. 제어부(101)는 그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페이퍼 폼을 특정하는 데이터를 수취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23). 그리고, 스텝 S123에서, 선택된 페이퍼 폼을 특정하는 데이터를 수취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101)는 선택된 페이퍼 폼을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111)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124).
다음으로, 제어부(101)는 취득한 페이퍼 폼에 부여되어 있는 페이퍼 ID로서의 바코드를 인식하고(스텝 S125), 그 바코드를 부가한 페이퍼 폼의 인쇄용 데이터를 생성하여, 인쇄 요구해 온 상대 측에 제공한다(스텝 S126). 이 스텝 S126에서는, 서버 장치(1)에 구비되어 있는 프린터(2)로 생성한 인쇄용 데이터에 의해 자필정보 입력용지(8)를 인쇄하여 제공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공되는 자필정보 입력용지(8)의 예를 도 5(B)에 나타낸다. 즉, 도 5(B)의 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필정보 입력용지(8)의 좌상단에는, 페이퍼 ID로서의 바코드(8BC)가 인쇄되어 있다.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 응답 처리]
전술한 스텝 S106의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 응답 처리 루틴의 예를, 도 8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서버 장치(1)의 제어부(101)는,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에 포함되는 페이퍼 ID를 취득하고(스텝 S131),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111)를 참조하여, 당해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져 등록되어 있는 페이퍼 폼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32).
이 스텝 S132에서, 등록되어 있는 페이퍼 폼이 없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101)는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의 거부를 의미하는 요구 NG를, 요구해 온 상대에게 통지하고(스텝 S133),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32에서, 등록되어 있는 페이퍼 폼이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101)는 페이퍼 ID에 대응하는 페이퍼 폼의 표시용 데이터를, 요구해 온 상대에게 송신한다(스텝 S134).
스텝 S134의 다음에는, 제어부(101)는 기입완료 데이터의 격납요구를 수신하는 것을 기다린다(스텝 S135). 그리고, 스텝 S135에서, 기입완료 데이터의 격납요구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101)는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진 페이퍼 폼을 이용하여 입력된 자필정보를, 페이퍼 기입 데이터 메모리(112)에 격납한다(스텝 S136). 그리고,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실시 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필정보 입력장치는 태블릿 단말(3)과, 전자 펜(4)과, 모바일 단말(5)로 이루어진다. 이하에, 태블릿 단말(3)과, 전자 펜(4)과, 모바일 단말(5)의 구성 예에 대해 설명한다.
<태블릿 단말(3)의 구성 예>
도 9 및 도 10은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태블릿 단말(3)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나타낸다.
[태블릿 단말(3)의 외관과 기본적인 구성]
도 9는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태블릿 단말(3)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3)은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입력면을 용지의 재치면(3S)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예의 태블릿 단말(3)은, 재치면(3S)의 상단부에, 용지(자필정보 입력용지(8))를 끼워서 태블릿 단말(3)의 지시 입력면인 재치면(3S) 상에 고정하는 클립 부재(31)를 구비하고, 바인더 등으로 불리며 널리 이용되고 있는 문방구와 같은 외관을 가진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재치면(3S)의 이면 측인 태블릿 단말(3)의 내부에는, 전자 유도 방식의 위치 검출부(300)가 탑재되어 있다. 태블릿 단말(3)에 대해서, 전자 펜(4)에 의해서, 좌표 데이터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전자 펜(4)은 태블릿 단말(3)의 내부에 탑재되는 위치 검출부(300)와 협동함으로써, 위치 검출부(300)로 수신 가능한 위치 검출용 신호를 반복해 송신하는 기능(좌표 지시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전자 펜(4)은 시인 가능한 잉크가 충전된 심체(4S)와, 당해 심체(4S)의 단부에 마련된 팁부(펜 끝)(4T)를 가짐으로써 용지(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시인 가능하게 필적을 남길 수 있는 기능(볼펜 기능)을 가진다.
전자 펜(4)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유도 방식으로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의 센서부와 신호를 수수함으로써, 그 지시 위치를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로 검출시키도록 한다. 이 실시 형태의 전자 펜(4)의 기계적인 구성은, 심체가 볼펜 기능을 가지는 점을 제외하면, 공지된 전자 유도 방식의 전자 펜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기계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블릿 단말(3) 상에 클립 부재(31)에 의해서 걸린 용지에 대해서, 전자 펜(4)의 볼펜 기능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문자나 기호를 필기하거나, 그림을 묘화하거나 할 수 있다. 이때, 동시에, 전자 펜(4)의 좌표 지시 기능에 의해서 전자 펜(4)으로부터 위치 검출부(300)를 향해서 송신된 신호에 의해, 용지 상에 형성된 필적에 대응하는 지시 위치의 정보로서의 좌표 데이터가 위치 검출부(300)에 의해 검출되어 전자 데이터로서 모바일 단말(5)에 송신된다. 이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3)은 모바일 단말(5)에 송신되는 전자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일시 기억부)를 갖는다.
그리고, 태블릿 단말(3)로 검출된, 전자 펜(4)이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 데이터(필기 데이터)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태블릿 단말(3)에 탑재된 컨트롤러 및 무선통신부를 통해서 모바일 단말(5)에 무선 송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용지에 필기된 정보를, 별도, 이미지 리더 등에 의해 전자 데이터로서 받아들인다고 하는 수고를 들이는 일 없이, 용지에 필기된 정보를 리얼타임으로 좌표 데이터(필기 데이터)로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3)에는 전원 버튼(33)이 마련되어 있다. 태블릿 단말(3)은, 도시를 생략했지만, 충전식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고, 전원 버튼(33)이 온으로 됨으로써, 배터리로부터 구동 전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태블릿 단말(3)의 클립 부재(31)는, 판 모양 부재의 구성부품과 용수철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판 모양 부재의 구성부품에는 종료 버튼(34)과, 파워 인디케이터(35)와, 통신 인디케이터(36)와, 준비 완료 인디케이터(37)와, 비프 스피커(38)가 마련되어 있다. 파워 인디케이터(35)와, 통신 인디케이터(36)와, 준비 완료 인디케이터(37)는, 이 예에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어 있다.
파워 인디케이터(35)는 전원 투입 상태의 알림용이다. 통신 인디케이터(36)는 태블릿 단말(3)과 모바일 단말(5) 사이의 무선 접속 상태의 알림용이다. 준비 완료 인디케이터(37)는 재치면(3S)에 재치된 자필정보 입력용지(8)의 페이퍼 폼이 서버 장치(1)에 등록되어 있어서, 모바일 단말(5)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지 어떤지의 확인용이다. 비프 스피커(38)는 여러 가지 상태를 비프음에 의해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인디케이터(35~37)에 의한 알림과 병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클립 부재(31)의 판 모양 부재의, 재치면(3S)에 재치된 용지와 대향하는 면측에는, 페이퍼 ID의 판독부의 예로서의 바코드 리더(3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3)의 클립 부재(31)의 판 모양 부재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용지가 클립 부재(31)에 의해 끼워져 걸려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용지 장착 센서(3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지 장착 센서(39)는 광학적으로 용지의 장착 유무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 예에서는, 재치면(3S) 측에 광원 또는 수광부의 한쪽을 배설하고, 클립 부재(31) 측에 광원 또는 수광부의 다른 쪽을 배설하며, 용지가 장착된 것은, 광원과 수광부의 사이가 용지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검출한다.
[태블릿 단말(3)의 하드웨어 구성 예]
도 10은 태블릿 단말(3)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구성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블릿 단말(3)은, 크게 나누면, 지시 입력면이 되는 재치면(3S) 측을 상측으로 하여, 위로부터 순서대로, 도 10(B)에 나타내는 상부 커버(상판)(311)와, 도 10(C)에 나타내는 전자 펜(4)에 의해서 지시되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312)와, 도 10(D)에 나타내는 실드 시트(313)와, 도 10(E)에 나타내는 센서 커버(314)를 구비한다. 최하부에 위치하는 센서 커버(314)는 합성 수지나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고, 상면은 개구부로 되어 있는 얇은 상자형으로 구성되어, 이 센서 커버(314) 내에 실드 시트(313)와 센서(312)가 수납된다.
실드 시트(313)는,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산화아연, 산화주석 등에 의해 형성된 도전성 시트에 자성 재료로 구성되는 전자 시트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센서(312)에의 불필요한 신호의 혼입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센서(312)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의 누설을 없애는 역할을 한다. 실드 시트(313)는 센서(312)의 지시 입력면을 겸용하는 재치면(3S) 측과는 반대측 면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된다.
센서(312)의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전자 펜(4)에 대해서 신호를 송신하거나, 전자 펜(4)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하는 다수의 루프 코일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311)는 전자 펜(4)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전파)를 투과시키는 소재,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유리나 세라믹 등에 의해 형성된다. 이 상부 커버(311)의 외부에 드러나는 면 측이, 위치 검출부의 지시 입력면을 겸용하는 재치면(3S)이 된다.
상부 커버(311)가 재치되는 재치면(3S)의 상단부에는, 도 9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 부재(31)가 마련되어, 용지를 상부 커버(311)의 재치면(3S) 상(위치 검출부의 지시 입력면 상)에 끼워지도록 하고 있다. 상부 커버(311)는 센서(312)를 덮어서 보호하는 것과 함께, 용지가 재치되는 상판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재치면(3S)의 크기는, 용지의 사이즈(A4)에 따른 것으로 되어 있고, 태블릿 단말(3)은, 이 예에서는, 센서 커버(314)의 벽부가 재치면(3S)의 주위에 돌출되어, 용지의 위치 규제 부재로서 작용하도록 한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예의 태블릿 단말(3)에 있어서는, 용지를 재치면(3S)에 재치했을 때에는, 센서 커버(314)의 벽부에 의해 재치 위치가 규제되고, 클립 부재(31)에 의해 걸리게 한 상태에서는,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의 센서(312)의 지시 입력영역과 합치하는 상태가 된다.
용지는 복수 매가 묶여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상태로, 태블릿 단말(3)의 상부 커버(311)의 클립 부재(31)에 의해 끼워진다. 그리고, 전자 펜(4)은 전자 유도 방식이므로, 소정 두께의 복수 매의 용지가 존재해도, 센서(312)와의 사이에서, 전자파의 교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예에 있어서는, 태블릿 단말(3)의 클립 부재(31)의, 판 모양 부재의 재치면(3S)과 대향하는 대향면측에 마련되어 있는 바코드 리더(32)는, 도 10(A)에 원리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32H)에 의해 클립 부재(31)의 대향면에 대해서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바코드 리더(32)의 판독면이, 재치면(3S)에 재치된 용지의 면에 대해서 항상 평행한 상태로 대향하도록 되어, 바코드 리더(32)가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8BC)를, 재치면(3S)에 재치된 용지의 두께에 관계없이, 판독 정밀도 좋게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도 10(D)에 있어서, 실드 시트(313)와 함께 나타낸 바와 같이, 실드 시트(313)를 사이에 두고 센서(312)와 대향하도록, 좌표 데이터 생성부(301)와 컨트롤러(302)가 마련된다. 좌표 데이터 생성부(301)는 센서(312)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좌표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이다. 컨트롤러(302)는, 주로, 좌표 데이터 생성부(301)로 생성된 좌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5)에 송출하는 제어 기능을 실현한다.
컨트롤러(302)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그 무선통신부에 대해서 송신 안테나(AT)가 마련되어 있다. 이 송신 안테나(AT)는 모바일 단말(5)에 대해서 좌표 데이터 등을 적절히 송신할 수 있도록, 실드 시트(313)에 의해서 덮이는 영역 밖에 마련된다. 또한, 컨트롤러(302)에는 전술한 전원 버튼(33)이나 종료 버튼(34), 인디케이터(35~37), 비프 스피커(38) 및 용지 장착 센서(39)가, 그 접속용 커넥터(303)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전자 펜(4) 및 태블릿 단말(3)의 전자 회로 구성 예]
도 11은 이 실시 형태의 전자 펜(4)의 등가 회로와, 이 전자 펜(4)과 전자 유도 방식에 의해 위치 검출 및 필압검출을 행하는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의 회로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1의 예의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312)와 좌표 데이터 생성부(301)와 컨트롤러(302)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312)에 있어서는, X축 방향 루프 코일그룹(3121)과, Y축 방향 루프 코일그룹(3122)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2개의 루프 코일그룹(3121, 3122) 중 하나의 루프 코일을 순서대로 선택하는 선택 회로(3123)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 펜(4)은 IC(400)로 구성되는 신호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이 IC(4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의 센서(312)에 구비된 여자 코일(3124)로부터 송신된 여자 신호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일례로서, 센서(312)의 루프 코일그룹(3121, 3122)은 전자 펜(4)으로부터의 전자 결합 신호의 수신에만 이용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전자 펜(4)과의 사이에서 전자 결합함으로써, 여자 코일(3124) 대신에 전자 펜(4)에 구비된 신호 제어 회로를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펜(4)에 구비된 신호 제어 회로에 대해서 소정의 제어 데이터 등의 신호가 송신된다.
이 도 11의 예의 위치 검출부(300)의 센서(312)에 있어서는, X축 방향 루프 코일그룹(3121)과, Y축 방향 루프 코일그룹(3122)을 둘러싸도록 하여, 여자 코일(3124)이 배설되어 있다. 도 11에 있어서는, 여자 코일(3124)은 2 턴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보다 많은 턴수, 예를 들면 8~10 턴으로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자 코일(3124)은 드라이브 회로(3012)에 접속되고, 드라이브 회로(3012)는 주파수 fo로 발진하는 발진 회로(3011)에 접속되어 있다. 발진 회로(3011)의 발진 신호는 선택 회로(3123)에도 공급되고 있다.
드라이브 회로(3012)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는 처리 제어부(3010)에 의해 제어된다. 처리 제어부(3010)는 드라이브 회로(3012)를 제어하고, 발진 회로(3011)로부터의 주파수 fo의 발진 신호의, 여자 코일(3124)에의 공급을 제어하며, 여자 코일(3124)로부터의 전자 펜(4)에의 신호 송신을 제어한다.
선택 회로(3123)는 처리 제어부(3010)에 의해 선택 제어되어 하나의 루프 코일을 선택한다. 이 선택 회로(3123)에 의해 선택된 루프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 전압은, 수신 앰프(3013)에서 증폭되고, 밴드 패스 필터(3014)에 공급되어, 주파수 fo의 성분만이 추출된다. 밴드 패스 필터(3014)는 그 추출한 성분을 검파 회로(3015)에 공급한다.
검파 회로(3015)는 주파수 fo의 성분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주파수 fo의 성분에 따른 직류 신호를 샘플홀드회로(3016)에 공급한다. 샘플홀드회로(3016)는 검파 회로(3015)의 출력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 구체적으로는 수신 기간 중의 소정의 타이밍으로 유지하여, A/D 변환 회로(3017)에 송출한다. A/D 변환 회로(3017)는 샘플홀드회로(3016)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 제어부(3010)에 출력한다. 처리 제어부(3010)는 상기 소정의 타이밍의 신호를 샘플홀드회로(3016)에 공급한다.
그리고, 처리 제어부(3010)는 A/D 변환 회로(3017)로부터의 디지털 신호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은 값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선택 회로(3123)로 선택되어 있는 루프 코일이 전자 펜(4)으로 위치 지시된 위치의 루프 코일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에 기초하여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를 검출한다.
처리 제어부(3010)는,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검출과는 별도로, 전자 펜(4)으로부터의 신호의 단속을, 수 비트의 디지털 신호로서 검출하고, 필압을 검출하는 것과 함께, 펜 ID를 검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처리 제어부(3010)는 검출한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와, 검출한 필압의 정보와, 검출한 펜 ID를, 서로 대응지어서 컨트롤러(302)에 공급한다.
컨트롤러(302)는 캘린더 기능이 첨부된 시계부(3021)를 구비하고, 처리 제어부(3010)로부터 수취한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와, 필압의 정보와, 펜 ID에, 시계부(3021)로부터의 시간 정보를 타임스탬프로서 부가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02)는, 그 타임스탬프를 부가한,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와, 필압의 정보와, 펜 ID를, 근거리 통신부(3022)로부터 모바일 단말(5)에 무선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302)의 근거리 통신부(30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등록상표) 규격의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이지만, 모바일 단말(5)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컨트롤러(302)는 그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통신 인디케이터(36)를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302)는 모바일 단말(5)과의 사이에서의 후술하는 바와 같은 통신을 행해서, 준비 완료 인디케이터(37)를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302)는 바코드 리더(32)로 판독된 바코드 정보를 모바일 단말(5)에 근거리 통신부(3022)로부터 송출한다. 또한, 용지 장착 센서(39)로부터의 센서 출력으로부터, 용지가 재치면(3S)에 놓여져 클립 부재(31)에 의해 걸린 것을 검지했을 때에는, 바코드 리더(32)를 기동하도록 제어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5)과의 사이에서의 후술하는 바와 같은 통신에 기초하여, 비프 스피커(38)로부터의 비프음의 방음(放音)을 제어하거나 하는 등,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여러 가지의 제어 동작을 한다.
전자 펜(4)의 회로 구성은, 도 11에 있어서 점선으로 둘러싸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인덕턴스 소자로서의 코일(401)에 병렬로 콘덴서(402)가 접속되어, 공진 회로(403)가 구성된다. 그리고, 이 공진 회로(403)에 병렬로, 스위치(404)가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치(404)는 IC(40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스위치(404)가 오프일 때에는, 공진 회로(403)에 의한 센서(312)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공진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스위치(404)가 온일 때에는, 코일(401)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콘덴서(402)가 단락되어, 공진 회로(403)에 의한 센서(312)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공진 동작이 오프가 된다.
그리고, IC(400)는 공진 회로(403)에서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의 센서(312)로부터 전자 유도에 의해 수신한 교류 신호를, 다이오드(405) 및 콘덴서(406)로 이루어진 정류회로(전원 공급 회로)(407)에서 정류하여 얻어지는 전원 전압 Vcc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C(400)는 공진 회로(403)와는 콘덴서(408)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공진 회로(403)의 동작 상황을 모니터하고 있다. IC(400)는 공진 회로(403)의 동작 상황을 모니터함으로써, 센서(312)의 여자 코일(3124)과의 전자 결합 상황에 기초하여, 혹은, 이 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2개의 루프 코일그룹(3121, 3122)을 사용하여 위치 검출부(300)의 센서(312)로부터 송신된 제어 데이터 등의 신호 검출에 기초하여, 원하는 동작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전자 펜(4)은 심체(4S)에 인가되는 필압을, 예를 들면, 용량 가변 콘덴서의 정전 용량(Cv)으로서 검출하는 감압 소자로 이루어진 필압검출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IC(400)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용량 가변 콘덴서가 접속되어 있고, IC(400)는 필압에 따른 정전 용량(Cv)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IC(400)는 정전 용량(Cv)의 값으로부터 전자 펜(4)에 있어서의 필압을 검출한다. 그리고, IC(400)는, 검출한 필압을, 예를 들면 8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그 필압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에 의해, 스위치(404)를 제어함으로써, 필압의 정보를 부가 정보로서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에 송신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전자 펜(4)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 ID를 기억하는 ID 메모리(410)가 IC(400)에 대해서 접속되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IC(400)는 ID 메모리(410)로부터 읽어낸 펜 ID에 의해서도, 스위치(404)를 제어함으로써, 펜 ID를 부가 정보로서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에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자 펜(4) 및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의 위치 검출 동작 및 필압 정보나 펜 ID의 검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리 제어부(3010)는, 먼저, 드라이브 회로(3012)를 구동하여 여자 코일(3124)로부터, 소정 시간, 신호를 전자 펜(4)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처리 제어부(3010)는 선택 회로(3123)를 제어함으로써 X축 방향 루프 코일그룹(3121) 중 하나의 루프 코일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버스트 형상 신호를 전자 펜(4)에 송신한다. 전자 펜(4)은 그 버스트 형상 신호를 공진 회로(403)로 수신해서,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의 센서(312)에 반송하도록 한다. 처리 제어부(3010)는 그 반송된 버스트 형상 신호를 위치 검출용 신호로서 검출함으로써, 전자 펜(4)에 의해 지시된 위치의 X 좌표값을 구한다.
다음으로, 처리 제어부(3010)는 드라이브 회로(3012)를 구동하여 여자 코일(3124)로부터, 소정 시간, 신호를 전자 펜(4)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처리 제어부(3010)는 선택 회로(3123)를 제어함으로써 Y축 방향 루프 코일그룹(3122) 중 하나의 루프 코일을 순서대로 선택하여, 버스트 형상 신호를 전자 펜(4)에 송신한다. 전자 펜(4)은 그 버스트 형상 신호를 공진 회로(403)로 수신해서,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의 센서(312)에 반송하도록 한다. 처리 제어부(3010)는 그 반송된 버스트 형상 신호를 위치 검출용 신호로서 검출함으로써, 전자 펜(4)에 의해 지시된 위치의 Y 좌표값을 구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자 펜(4)의 지시 위치를 검출한 후에, 처리 제어부(3010)는 전자 펜(4)으로부터의 부가 정보로서의 필압 정보 및 펜 ID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여자 코일(3124)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계속한 송신을 행한 후, 좌표 검출시와 같은 타이밍으로 송수신을 부가 정보의 디지털 신호의 비트 수에 따른 횟수로 계속해서 행한다. 이때, 선택 회로(3123)에서는, 검출한 좌표값에 따라, 전자 펜(4)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루프 코일(X축 방향 루프 코일, Y축 방향 루프 코일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을 선택하여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전자 펜(4)의 IC(400)는 필압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용량 가변 콘덴서의 정전 용량(Cv)에 대응하여 얻어진 필압 정보와 펜 ID 정보로 이루어진 부가 정보의 디지털 신호에 의해,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로부터의 신호의 송수신에 동기하여 스위치(404)를 온·오프 제어한다. 스위치(404)가 오프일 때에는, 공진 회로(403)는 위치 검출부(3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위치 검출부(300)에 반송할 수 있으므로, 위치 검출부(300)의 루프 코일은 이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대해서, 스위치(404)가 온일 때에는 공진 회로(403)는 공진 동작이 금지된 상태에 있고, 이 때문에, 공진 회로(403)로부터 위치 검출부(300)에 신호는 반송되지 않아, 위치 검출부(300)의 루프 코일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위치 검출부(300)의 좌표 데이터 생성부(301)의 처리 제어부(3010)는, 부가 정보의 디지털 신호의 비트 수에 대응한 횟수로, 수신 신호의 유무의 판별을 행함으로써, 필압 정보 및 펜 ID에 따른 복수 비트의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 펜(4)으로부터의 필압 정보 및 펜 ID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펜(4)은, 필압 정보와 펜 ID 정보를,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한 신호로서, 태블릿 단말(3)의 위치 검출부(300)에 송신한다.
[태블릿 단말(3)의 처리 동작 예]
이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3)의 처리 동작 예를 도 12~도 14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주로 컨트롤러(302)가 행하는 처리이다.
태블릿 단말(3)에 있어서, 전원 버튼(33)에 의해 전원이 투입되면, 컨트롤러(302)는 파워 인디케이터(35)를 점등 상태로 한다(스텝 S201). 그리고, 컨트롤러(302)는 근거리 통신부(3022)의 통신 상태를 체크하여, 모바일 단말(5)과의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02). 모바일 단말(5)과의 사이의 통신이 불가이면, 통신 인디케이터(36)를 점멸시켜 통신이 불가인 취지를 이용자에게 알리고(스텝 S203), 처리를 스텝 S202로 되돌려서, 모바일 단말(5)과의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스텝 S202에서, 모바일 단말(5)과의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 것을 확인하면, 컨트롤러(302)는 통신 인디케이터(36)를 점멸 상태로부터 점등 상태로 바꾸어, 그 취지를 이용자에게 알린다(스텝 S204).
다음으로, 컨트롤러(302)는, 자필정보 입력용지(8)가 재치면(3S)에 재치되어 클립 부재(31)에 의해 걸려서 장착됐는지 여부를, 용지 장착 센서(39)의 센서 출력으로부터 판별한다(스텝 S205). 이 스텝 S205에서, 자필정보 입력용지(8)가 재치면(3S)에 재치되어 있지는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전자 펜(4)에 의한 위치 지시 입력을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06).
이 스텝 S206에서, 전자 펜(4)에 의한 위치 지시 입력을 검지하고 있지는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처리를 스텝 S205로 되돌려, 이 스텝 S205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206에서, 전자 펜(4)에 의한 위치 지시 입력을 검지했을 때에는, 자필정보 입력용지(8)가 재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프 스피커(38)로부터 비프음을 방음하여 경보 알림한다(스텝 S207). 그리고, 컨트롤러(302)는 처리를 스텝 S205로 되돌려, 이 스텝 S205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205에서, 자필정보 입력용지(8)가 재치면(3S)에 재치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준비 완료 인디케이터(37)를 점멸 상태로 한다(스텝 S208). 그리고, 컨트롤러(302)는, 바코드 리더(32)에 의해,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진 바코드를 판독한다(스텝 S209).
그리고, 컨트롤러(302)는 바코드의 판독이 불가인지 여부를 판별하여(도 13의 스텝 S211), 판독이 불가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비프 스피커(38)로부터 비프음을 발생시켜 경보 알림하고(스텝 S212), 그 후, 처리를 스텝 S211로 되돌린다. 이 비프음의 경보 알림에 따라, 이용자는 자필정보 입력용지(8)를 올바르게 다시 장착하는 등, 바코드의 판독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 처치를 한다.
그리고, 스텝 S211에서, 바코드의 판독이 가능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바코드 리더(32)로 판독된 바코드 정보(페이퍼 ID)를 취득하여, 그것을 모바일 단말(5)에 송신한다(스텝 S213).
모바일 단말(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코드 정보(페이퍼 ID)를 수취하면, 바코드 정보(페이퍼 ID)를 포함하는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를 서버 장치(1)에 보내, 그 회신으로서 서버 장치(1)로부터 바코드 정보(페이퍼 ID)에 대응하는 페이퍼 포맷을 표시하기 위한 페이퍼 포맷 표시 정보를 수취했는지 여부, 바꿔말하면, 페이퍼 포맷 표시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그 판별의 결과, 바코드 정보(페이퍼 ID)에 대응하는 페이퍼 포맷을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었을 때에는, 태블릿 단말(3)에 대해서 준비 완료 인디케이터(37)를 점멸 상태로부터 점등 상태로 바꾸어 자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 것을 통지한다.
그래서, 컨트롤러(302)는 모바일 단말(5)로부터 준비 완료 통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S214), 준비 완료 통지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전자 펜(4)에 의한 위치 지시 입력을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15).
이 스텝 S215에서, 전자 펜(4)에 의한 위치 지시 입력을 검지하고 있지는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처리를 스텝 S214로 되돌려, 이 스텝 S214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215에서, 전자 펜(4)에 의한 위치 지시 입력을 검지했을 때는, 모바일 단말(5)이 자필정보의 입력 준비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비프 스피커(38)로부터 비프음을 방음하여 경보 알림한다(스텝 S216). 그리고, 컨트롤러(302)는 처리를 스텝 S214로 되돌려, 이 스텝 S214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214에서, 모바일 단말(5)로부터 준비 완료 통지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점멸하고 있던 준비 완료 인디케이터(37)를 점등 상태로 바꾸어, 자필정보 입력이 가능하게 된 것을 이용자에게 알린다(스텝 S217).
다음으로, 컨트롤러(302)는 전자 펜(4)에 의한 자필정보 입력의 검지를 기다려(스텝 S218), 전자 펜(4)에 의한 자필정보 입력을 검지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검출한 전자 펜(4)에 의한 지시 위치의 정보를, 검지한 펜 ID와 대응 짓는 것과 함께, 시계부(3021)로부터 취득한 시간 정보를 타임스탬프로서 부가하여, 모바일 단말(5)에 송신한다(스텝 S219). 이 경우에, 바코드 리더(32)로 판독된 바코드 정보(페이퍼 ID)는, 이미 모바일 단말(5)에는 송신 완료이므로, 이 스텝 S219에서는 송신하지 않아도 되지만, 확인을 위해서, 바코드 정보(페이퍼 ID)도 송신 정보에 대응지어서 모바일 단말(5)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302)는 종료 버튼(34)이 조작됐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도 14의 스텝 S221). 이 스텝 S221에서, 종료 버튼(34)이 조작되지는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자필정보 입력용지(8)가 교체됐는지 여부를, 용지 장착 센서(39)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판별한다(스텝 S222). 즉, 재치면(3S)에 재치되어 있던 용지가 교환을 위해서, 클립 부재(31)로부터 빼내어 제거되면, 용지 장착 센서(39)는 수광부로 발광부의 광을 수광 가능하게 되므로 일단 온이 되고, 그 후, 용지가 재치면(3S)에 재치되어, 클립 부재(31)에 의해 걸리는 상태가 되면, 용지 장착 센서(39)는 수광부로 발광부의 광을 수광할 수 없게 되므로 오프가 되어, 용지의 교환이 검출된다.
스텝 S222에서, 용지가 교체되지는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처리를 도 13의 스텝 S218로 이행시켜, 이 스텝 S218 이후의, 같은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대한 전자 펜(4)에 의한 자필정보 입력에 대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222에서, 용지가 교체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처리를 도 12의 스텝 S208로 이행시켜, 이 스텝 S208 이후의, 자필정보 입력용지(8)가 재치면(3S)에 재치되었을 때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 S221에서, 종료 버튼(34)이 조작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재치면(3S)에 재치되어 있는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대한 자필정보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서, 그 종료 통지를 모바일 단말(5)에 송신한다(스텝 S223).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5)은 이 종료 통지를 수취하면, 재치면(3S)에 재치된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대응하는 페이퍼 폼의 정보에 기초하여,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미기입 입력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미기입 입력영역이 없으면 종료 승인 통지를 태블릿 단말(3)에 대해서 송신한다. 또한, 미기입 입력영역이 있으면, 미기입 통지를 송신한다.
그래서, 컨트롤러(302)는 모바일 단말(5)로부터 종료 승인 통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S224), 종료 승인 통지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미기입 통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25). 이 스텝 S225에서, 미기입 통지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처리를 스텝 S224로 되돌리고, 종료 승인 통지를 기다린다. 또한, 스텝 S225에서, 미기입 통지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비프 스피커(38)로부터 비프음을 방음하여 경보 알림한다(스텝 S226). 그리고, 컨트롤러(302)는 처리를 도 13의 스텝 S218로 되돌리고, 미기입 입력영역에 대한 전자 펜(4)에 의한 자필 입력의 완료를 기다린다.
그리고, 스텝 S224에서, 모바일 단말(5)로부터 종료 승인 통지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비프 스피커(38)로부터 종료 승인을 지시하는 비프음을 방음 한다(스텝 S227). 여기서, 종료 승인의 비프음은 다른 경보 알림을 위한 비프음과는 다른 것으로 되며, 예를 들면 경보 알림의 비프음이 「삐-」라고 하는 장음인 경우에는, 「삐, 삐」라고 하는 단음의 연속으로 되어, 서로가 식별 가능한 비프음으로 알림 된다.
이 스텝 S227의 다음에는, 컨트롤러(302)는 전원 버튼(33)이 조작되어 전원 오프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S228), 전원 오프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처리를 스텝 S222로 이행시켜, 이 스텝 S222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228에서, 전원 오프로 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컨트롤러(302)는, 모든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 후에 전원을 오프 한다.
또한, 이용자는 1매의 자필정보 입력용지(8)마다 종료 버튼(34)을 누르는 것 만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복수 페이지에 걸친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대한 자필정보 입력을 완료한 후에, 종료 버튼(34)을 누를 수 있다. 그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5)은 종료 버튼(34)의 조작에 기초하는 종료 통지를 수신할 때까지의 복수 페이지의 자필정보 입력용지(8)를 1그룹의 용지 그룹으로서 취급하도록 한다.
<모바일 단말(5)의 구성 예>
도 15는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바일 단말(5)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예의 모바일 단말(5)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퓨터로 구성되는 제어부(501)에 대해서, 시스템 버스(500)를 통해서, 네트워크 통신부(502), 네트워크 수신정보 처리부(503), 네트워크 송신정보 처리부(504), 근거리 통신부(505), 근거리 수신정보 처리부(506), 근거리 송신정보 처리부(507), 표시 제어부(508), 표시 정보 생성부(509), 기입 데이터 버퍼부(510)의 각각이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508)에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표시부(511)가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502)는 통신 네트워크(6)를 통해서 서버 장치(1)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이다. 네트워크 수신정보 처리부(503)는 네트워크 통신부(502)로 수신한 서버 장치(1)로부터의 정보의 처리부이다. 또한, 네트워크 송신정보 처리부(504)는 네트워크 통신부(502)를 통해서 서버 장치(1)에 송신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이다.
근거리 통신부(505)는 태블릿 단말(3)과 무선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로서, 전술도 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블루투스(등록상표) 규격의 통신 수단으로 구성된다. 근거리 수신정보 처리부(506)는 태블릿 단말(3)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의 처리부이다. 또한, 근거리 송신정보 처리부(507)는 태블릿 단말(3)에 송신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이다.
표시 제어부(508)는 표시부(511)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화상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표시 정보 생성부(509)는 네트워크 수신정보 처리부(503)를 통해서 수신한 서버 장치(1)로부터의 정보나, 근거리 수신정보 처리부(506)를 통해서 수신한 태블릿 단말(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한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기입 데이터 버퍼부(510)는 태블릿 단말(3)로부터 근거리 수신정보 처리부(506)를 통해서 수신하는 자필정보를, 태블릿 단말(3)로부터 종료 지시가 도래할 때까지, 페이퍼 ID나 펜 ID와 대응지어서 보존하는 메모리부이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네트워크 수신정보 처리부(503), 네트워크 송신정보 처리부(504), 근거리 수신정보 처리부(506), 근거리 송신정보 처리부(507), 표시 제어부(508), 표시 정보 생성부(509)의 각 처리부는, 제어부(501)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기능 처리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5)의 처리 동작 예]
다음으로, 이 실시 형태의 모바일 단말(5)의 처리 동작 예를 도 16 및 도 17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모바일 단말(5)의 처리 동작은, 네트워크 수신정보 처리부(503), 네트워크 송신정보 처리부(504), 근거리 수신정보 처리부(506), 근거리 송신정보 처리부(507), 표시 제어부(508), 표시 정보 생성부(509)의 각 처리부를, 제어부(501)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기능 처리부의 구성으로 한 경우로서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5)의 제어부(501)는 태블릿 단말(3)로부터의 페이퍼 ID로서의 바코드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01). 이 스텝 S301에서, 태블릿 단말(3)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그 외의 처리를 행하여(스텝 S302), 그 처리가 종료한 후, 스텝 S301로 처리를 되돌린다.
스텝 S301에서, 태블릿 단말(3)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서버 장치(1)에 수신한 페이퍼 ID로서의 바코드 정보를 포함한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303).
이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를 받은 서버 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자필정보 입력 개시 요구에 포함되는 페이퍼 ID로서의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페이퍼 폼이 등록되어 있으면, 그 페이퍼 폼의 정보를 모바일 단말(5)에 송신하고, 대응하는 페이퍼 폼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그 페이퍼 폼의 정보는 모바일 단말(5)에 송신할 수 없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요구 NG를 모바일 단말(5)에 송신한다.
모바일 단말(5)의 제어부(501)는 페이퍼 폼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S304), 모바일 단말(5)이 수신할 수 없고 요구 NG를 수신했을 때에는, 페이퍼 폼의 수신이 불가였던 취지를 태블릿 단말(3)에 통지한다(스텝 S305).
그리고, 스텝 S304에서, 페이퍼 폼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수신한 페이퍼 폼의 정보 내의 페이퍼 폼의 표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페이퍼 ID에 대응하는 페이퍼 폼을, 표시부(511)의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스텝 S306). 그리고, 페이퍼 ID에 대응하는 페이퍼 폼이 표시부(511)로 표시되면, 제어부(501)는, 태블릿 단말(3)에, 근거리 통신부(505)를 통해서 준비 완료 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307).
다음으로, 제어부(501)는 태블릿 단말(3)로부터의, 전자 펜(4)에 의한 자필정보로서의 위치 지시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505)를 통해서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08).
그리고, 스텝 S308에서, 태블릿 단말(3)로부터 전자 펜(4)에 의한 위치 지시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서버 장치(1)로부터 수신한 페이퍼 폼의 정보에 포함되는, 페이퍼 폼의 입력영역의 영역 좌표 데이터를 참조하여, 수신한 전자 펜(4)에 의한 위치 지시 정보의 좌표 데이터가, 어느 입력영역에의 자필정보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309).
그리고, 제어부(501)는 표시부(511)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페이퍼 폼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입력영역에, 수신한 자필정보를 표시하는 것과 함께, 대응하는 입력영역의 속성정보에 대응지어서, 수신한 자필정보를 기입 데이터 버퍼부(510)에 기억한다(스텝 S310).
스텝 S310의 다음에는, 제어부(501)는 태블릿 단말(3)로부터 종료 통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도 17의 스텝 S311). 또한, 스텝 S308에서, 태블릿 단말(3)로부터 전자 펜(4)에 의한 위치 지시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에도, 제어부(501)는 스텝 S311로 진행하여, 태블릿 단말(3)로부터 종료 통지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스텝 S311에서, 태블릿 단말(3)로부터 종료 통지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태블릿 단말(3)로부터 페이퍼 ID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12). 이 스텝 S312에서, 태블릿 단말(3)로부터 페이퍼 ID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처리를 도 16의 스텝 S308로 되돌려, 이 스텝 S308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312에서, 태블릿 단말(3)로부터 페이퍼 ID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처리를 도 16의 스텝 S303으로 되돌려, 이 스텝 S303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311에서, 태블릿 단말(3)로부터 종료 통지를 수신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기입 데이터 버퍼부(510)의 기억 정보를 참조하여, 태블릿 단말(3)로부터 수신한 페이퍼 ID에 대응한 페이퍼 폼의 입력영역에 대해서 필요한 자필정보를 전부 얻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기입이 필수로 된, 미기입 입력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13). 이 스텝 S313에서는, 태블릿 단말(3)로부터 종료 통지를 수신할 때까지 복수 개의 페이퍼 ID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들 복수 개의 페이퍼 ID에 대응하는 복수의 페이퍼 폼 전부에 대해서, 미기입 입력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스텝 S313에서, 기입이 필수로 된 미기입 입력영역이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미기입 입력영역이 있다는 취지의 통지를 태블릿 단말(3)에 송신한다(스텝 S314). 태블릿 단말(3)에서는, 이 통지를 수신하면, 비프음에 의해 경보 알림하므로, 이용자는 미기입 입력영역을 찾아서 전자 펜(4)에 의한 자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5)의 제어부(501)는 그 자필 정보가 입력 가능하도록, 스텝 S314의 다음에는, 처리를 도 16의 스텝 S308로 이행시켜, 이 스텝 S308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313에서, 미기입 입력영역이 없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종료 승인의 통지를 태블릿 단말(3)에 송신한다(스텝 S315). 다음으로, 제어부(501)는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서, 기입 데이터 버퍼부(510)에 기억되어 있는 자필정보를 서버 장치(1)에 송신한다(스텝 S316). 이때, 기입 데이터 버퍼부(510)에, 복수 개의 페이퍼 ID에 대응지어져 기입된 정보가 있으면, 그것들은 연속하는 페이지의 정보인 것으로 하여, 그룹화하여, 예를 들면 그룹 ID 등을 부가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501)는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 형태의 자필정보 입력장치에 있어서는, 태블릿 단말(3)에 있어서 클립 부재(31)에 의해 걸린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인쇄되어 있는 페이퍼 폼의 전자 데이터가 존재하여, 모바일 단말(5)의 표시 화면에 표시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을 때에, 클립 부재(31)에 의해 걸린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의 전자 펜(4)에 의한 자필정보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의 전자 펜(4)에 의한 자필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그것에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보증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용지에 자필 입력을 했지만, 대응하는 전자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는, 페이퍼 ID에 대응한 정보, 예를 들면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으면 되므로, 아노토 패턴(도트 패턴)을 이용한 전용의 용지 등을 이용할 필요는 없으며, 또한, 전자 펜도 특수한 디지털 펜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변형 예]
<모바일 단말(5)의 변형 예>
상술한 실시 형태의 자필정보 입력장치를 구성하는 모바일 단말(5)에 있어서는, 태블릿 단말(3)로부터의 전자 펜(4)에 의한 위치 지시 정보인 자필정보를, 문자 인식 혹은 화상 인식하는 문자 인식 엔진 혹은 화상 인식 엔진은 구비하지 않았지만, 그러한 엔진을 모바일 단말(5)이 탑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모바일 단말(5)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자 인식 처리 혹은 화상 인식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즉, 페이퍼 폼의 정보에는, 각각의 항목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영역과, 이 입력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입력영역의 속성 혹은 입력영역에 입력되는 정보의 속성, 즉, 입력영역에의 정보 입력이 필수인지 여부, 입력된 입력영역에 의존해서 입력되는 다른 입력영역과의 의존성, 혹은, 입력영역에 입력되는 정보가, 텍스트, 숫자, 불린(참 또는 거짓), 서명인지 여부, 혹은 어느 나라의 언어인지 여부의 속성이 입력 폼을 구성하는 각각의 입력영역에 관련지어져 정의되어 있어, 서버 장치(1)의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111)에 등록되어 참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용지에 자필정보를 입력할 때에, 입력자가 오기했을 경우에는, 오기한 부분에 전자 펜으로 이중선을 중첩시키거나, 사각으로 둘러싸서 ×표를 입력하거나 하는 등, 오기를 지시하는 필기 제스처를 행하는 것과 함께, 그 입력영역의 근방에, 오기한 문자 등의 대체 문자 입력을 하는 일이 많이 있다. 이 경우에 대체 입력을 한 문자 등은, 자필정보 입력용지(8)의 입력영역의 범위 밖에 필기되는 일도 많다.
이하에 설명하는 예에서는, 모바일 단말(5)이 오기를 지시하는 필기 궤적(필기 제스처)을 인식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자필정보 입력용지(8)의 입력영역의 테두리 밖에 필기한 대체 입력을, 그 입력영역에 대한 자필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렇게 구성한 모바일 단말(5)에 있어서의 오기 처리의 흐름을 도 18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도 18의 예에 있어서는, 제어부(501)는 오기를 지시하는 필기 궤적을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21). 이 스텝 S321에서, 오기를 지시하는 필기 궤적은 검지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펜(4)에 의한 자필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스텝 S322), 기입 데이터 버퍼부(510)에 기억한다(스텝 S323). 그리고, 제어부(501)는 처리를 스텝 S321로 되돌린다.
스텝 S321에서, 오기를 지시하는 필기 궤적을 검지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오기를 지시하는 필기 궤적 및, 그 오기가 지시된 입력 정보를, 예를 들면 오기를 지시하는 필기 궤적에는 특정의 플래그를 설정함으로써, 이 플래그의 유무에 기초하여 오기가 지시된 입력 정보는 다른 표시색으로 표시하는 등, 식별 가능한 표시를 행한다(스텝 S324). 그리고, 오기를 지시하는 필기 궤적 및, 오기가 지시된 입력 정보를 기입 데이터 버퍼부(510)에 기억한다(스텝 S325).
다음으로, 제어부(501)는 오기가 지시된 입력 정보의 대체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26). 이 판별은 대체 입력된 정보에 부가되어 있는 타임스탬프가, 오기를 지시하는 필기 궤적의 타임스탬프의 직후인지 여부, 또는 대체 입력된 정보의 좌표위치가, 오기가 지시된 입력 정보가 존재하는 입력영역의 근방인지 여부, 혹은 양방을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대체 입력이 입력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면, 그 대체 입력은, 이 도 18의 처리를 거치지 않고, 입력영역에의 자필정보로서 표시되고, 기억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스텝 S326에서, 오기가 지시된 입력 정보의 대체 입력이 없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처리를 스텝 S321로 되돌린다. 또한, 스텝 S326에서, 오기가 지시된 입력 정보의 대체 입력이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그 오기가 지시된 입력 정보의 대체 입력을 당해 입력영역의 속성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그 대체 입력이 비록 당해 입력영역의 테두리 밖이어도 당해 입력영역에 입력되어야 할 정보라고 인식하여, 기입 데이터 버퍼부(510)에 기억한다(스텝 S327). 그리고, 제어부(501)는 처리를 스텝 S321로 되돌린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입력영역의 테두리 밖에 대체 입력이 이루어졌다고 해도, 그 대체 입력의 정보는, 당해 입력영역 내에 기입되어야 할 정보로서 인식되어 기억된다.
또한, 모바일 단말(5)이 자필정보를 문자 등의 전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문자 인식 엔진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페이퍼 폼의 각 입력영역에 입력되는 자필정보에 대해서, 그 속성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잘못해서 기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 번호의 기입영역에는, 숫자나 기호가 기재될 것이지만, 텍스트가 기입된 것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그것을 기입 에러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19는 그렇게 구성한 경우의 모바일 단말(5)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모바일 단말(5)의 제어부(501)는 태블릿 단말(3)로부터의 전자 펜(4)에 의한 위치 지시 정보로부터, 당해 전자 펜(4)에 의한 위치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입력영역의 속성을 판단한다(스텝 S331).
다음으로, 판단한 입력영역의 속성을 참조하여, 당해 입력영역에의 전자 펜(4)에 의한 자필정보에 대한 인식 처리를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여, 문자 오류나, 문자 데이터가 그 입력영역에 적절한지 어떤지를 감시한다(스텝 S332).
그리고, 제어부(501)는, 자필 입력된 문자가, 그 입력영역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S333), 적합하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 취지를 태블릿 단말(3)에 통지(에러 통지)한다(스텝 S335). 태블릿 단말(3)에서는, 이 에러 통지를 받으면, 비프음에 의해, 그것을 이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스텝 S333에서, 입력영역에 적합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제어부(501)는, 자필 입력된 문자가 오류인지 여부를 판별하여(스텝 S334), 오류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 취지를 태블릿 단말(3)에 통지(에러 통지)한다(스텝 S335). 태블릿 단말(3)에서는, 이 에러 통지를 받으면, 비프음에 의해, 그것을 이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스텝 S334 및 스텝 S335의 다음에는, 제어부(501)는 처리를 스텝 S331로 되돌리고, 이 스텝 S33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태블릿 단말(3)로부터 송신된 입력 정보에 대해, 페이퍼 폼을 구성하는 각각의 입력영역에 대응한 속성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입력자(기입자)가 사용하는 전자 펜에 할당된 펜 ID에 기초하여, 각각의 입력영역에의 입력에 대한 가부 권한이라든가, 특정 입력영역에의 입력에 대해서는 그 외의 입력영역에의 입력이 한정적으로 된다든가 등의 입력영역 간의 의존성, 혹은 문자 인식 혹은 화상 인식할 때의 인식 정밀도의 향상, 입력된 정보의 적절성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8 및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 문자 인식 엔진이나 화상 인식 엔진을 이용한 문자 인식 처리나 화상 인식 처리는, 자필정보 입력용지를 이용하지 않고, 표시 화면의 전면 측 또는 이면 측에 센서를 가지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즉, 도 20은 이런 종류의 전자기기의 일례로서의 패드형 단말(1500)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 예에서는 표시 화면(1501)의 이면 측에, 센서를 가지는 위치 검출부(1502)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패드형 단말(1500)에 부속되는 전자 펜(4N)에 의해 표시 화면(1501)에서 위치 지시 입력을 하면, 위치 검출부(1502)로 전자 펜(4N)의 위치 지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위치 검출부(1502)와, 전자 펜(4N)은, 전자 유도 방식인 것이어도 되고, 센서가 표시 화면(1501)의 전면 측에 배치된 정전 용량 방식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전자 펜(4N)은 용지에 필기하기 위한 볼펜이나 연필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이 예의 패드형 단말(1500)은 전자 펜(4N)에 의한 자필정보 입력을 접수할 수 있고, 그 입력된 자필정보를 문자 인식 혹은 화상 인식하는 문자 인식 엔진 혹은 화상 인식 엔진을 구비하고 있다.
도 20의 예에 있어서는, 패드형 단말(15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소정의 서버 장치로부터, 도시한 바와 같은 페이지 폼(페이퍼 폼에 대응)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표시 화면(1501)에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0의 예의 페이지 폼은 자필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것이며, 그 자필 정보 입력을 하기 위한 입력영역의 좌표 영역 데이터 및 각각의 입력영역의 속성정보를, 패드형 단말(1500)은, 페이지 폼의 데이터에 포함하여 취득하고 있다.
전자 펜(4N)의 사용자는 표시 화면(1501)에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 폼의 기재사항에 따른 자필정보 입력을, 표시 화면(1501)을 통해서 행한다. 또한, 이 경우에, 도 20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낸 테두리는, 표시 화면(1501)에는 표시되어 있어도 되고, 표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사용자는 페이지 폼의 기재사항의 지시에 따라, 표시 화면(1501)의 공란의 영역에 자필정보 입력을 한다.
이때에, 패드형 단말(1500)에서는, 상술한 도 18 및 도 19를 이용한 처리와 같은 처리를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입력영역에 입력된 자필정보에 대한 문자 인식 혹은 화상 인식을 행할 때에, 자필정보 입력을 하기 위한 입력영역의 속성정보를 참조한다.
이 경우에, 도 18의 처리에서는, 오기를 했을 때의 대체 입력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이 도 20의 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전자 펜(4N)을 이용하여 공란에 자필정보 입력을 했을 때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좌표 범위의 입력영역으로부터 밀려나와 자필정보가 입력되었다고 해도, 속성정보로서의, 자필정보 입력을 하기 위한 입력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위치의 정보를 참조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서로가 근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입력영역이 배치되어 있었다고 해도, 좌표위치를 비교함으로써 본래 입력해야 할 입력영역을 특정하여, 이 입력영역에 입력된 자필정보를 관련지을 수 있다. 자필 입력된 정보에 부가되어 있는 타임스탬프가, 그 직전의 필기 궤적의 타임스탬프의 직후인지 여부, 또는 대체 입력된 정보의 좌표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입력영역의 근방인지 여부, 혹은 그 양방의 정보를 참조할 수도 있다.
입력영역에 입력해야 할 정보가, 예를 들면, 텍스트인지 숫자인지를 나타내는 속성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입력영역에 입력된 자필정보를 문자 인식 할 때에, 이 속성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9의 처리와 같은 처리를 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자필정보 입력이 적절한 입력은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재입력을 촉구하는 등의 대응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0의 예에서는, 표시 화면(1501)에 표시되어 있는 「확인」의 아이콘(1503)을 사용자가 클릭함으로써, 각 입력영역에의 자필정보가 적절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태블릿 단말(3)의 변형 예>
상술한 태블릿 단말(3)에 있어서는, 자필정보 입력용지(8)는 클립 부재(31)에 마련되어 있는 판독부로서의 바코드 리더(32)에 의해, 페이퍼 ID로서의 바코드가 올바르게 판독되도록, 태블릿 단말(3)의 센서 커버(314)의 벽부에 의해 위치 규제되어, 재치면(3S)의 적절한 위치에 걸리도록 했다.
그러나, 페이퍼 ID는, 다른 방법에 의해서,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태블릿 단말에 있어서,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대한 위치 규제 부재가 존재하지 않고, 위치 규제 부재가 존재해도,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 인쇄되어 있는 페이퍼 폼과 태블릿 단말의 위치 검출부의 좌표위치가 어긋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이하에 설명하는 태블릿 단말에서는, 재치면(3S)에 재치된 자필정보 입력용지(8)와, 위치 검출부의 좌표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모바일 단말에서는 페이퍼 폼의 본래의 입력영역에의 자필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21은 그렇게 구성한 태블릿 단말(3A)의 주요부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예의 태블릿 단말(3A)에 있어서는, 자필정보 입력용지(8A)의, 태블릿 단말(3A)의 재치면(3SA)에 있어서의 재치 위치 어긋남을 검지하기 위한 복수 개, 이 예에서는, 5개의 센서(91, 92, 93, 94, 95)가 재치 위치가 적절한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재치 위치 검출 회로로서 구비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센서(91~95)는 모두 광학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서(91 및 92)는 태블릿 단말(3A)의 클립 부재(31A)의 우단에,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센서(93 및 94)는 태블릿 단말(3A)의 클립 부재(31A)의 좌단에,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센서(95)는 태블릿 단말(3A)의 재치면(3SA)의 클립 부재(31A)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91~94)는, 전술한 용지 장착 센서(39)와 마찬가지로, 클립 부재(31A)에 걸리는 용지에 의해 광의 수광이 방해받는 광원과 수광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센서(95)는 용지로 덮였을 때에, 그것을 검출할 수 있는 광학센서로 되어 있다. 이들 센서(91~95)의 배치 간격은, 미리 정해져 있고 기지(旣知)로 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용지의 시프트는 좌단을 기준으로 하여 검출하는 것으로 하고 있고, 좌측의 3개의 센서(93, 94, 95)는 용지의 왼쪽 엣지 검출용 및 상하 검출용이다. 또한, 우측의 센서(91, 92)는 좌단 기준에서의 우측 기울기 없음 검출용이다.
이 예에서는, 이들 5개의 센서(91~95)에 의해, 재치면(3SA)에 재치되는 자필정보 입력용지(8A)의 재치 위치의, 도 21에 있어서, 실선(8S)으로 나타내는 태블릿 단말(3A)의 위치 검출부의 좌표위치와의 적합 위치로부터의 시프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위치에, 자필정보 입력용지(8A)가 재치되었을 때에는, 센서(91~95)에서의 센서 출력으로부터, 위치 어긋남의 오프셋값으로서, (ΔX, ΔY)가 얻어진다. 또한, 센서(91~94) 중의 적어도 1개의 센서는, 자필정보 입력용지(8A)가 재치면(3SA)에 재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용지 재치 유무 검출 회로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이 용지 재치 유무 검출 회로에 의해서 자필정보 입력용지(8A)가 재치면(3SA)에 재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위치 검출부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또는 상기 위치 검출부로 검출된 상기 전자 펜(4)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를 표시부로 표시 불가로 함으로써, 자필정보 입력용지(8A)가 재치면(3SA)에 재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 펜(4)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가 표시부로 표시되지 않게 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이 예의 태블릿 단말(3A)은 위치 검출부로 검출한 전자 펜(4)의 지시 위치의 좌표에 대해서, 위치 어긋남의 오프셋값 (ΔX, ΔY)를 가산 혹은 감산하여 검출 위치의 보정 처리를 행한 후에 모바일 단말(5)에 송신한다. 혹은, 센서 출력을 모바일 단말(5)에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5)에서 검출 위치의 보정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5)에서는 위치 어긋남의 오프셋값 (ΔX, ΔY)가 가미되어 위치 보정된, 전자 펜(4)이 위치 지시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퍼 폼의 어느 입력영역에의 입력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자필정보 입력용지(8A)가 태블릿 단말(3A)의 재치면(3SA)에 있어서, 태블릿 단말(3A)의 위치 검출부의 좌표위치와의 위치 어긋남이 있는 상태로 재치되었다고 해도, 모바일 단말(5)에서는 적절히 페이퍼 폼의 어느 입력영역에의 자필정보인지를 올바르게 판정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 예]
상술한 실시 형태의 태블릿 단말(3)에 있어서는, 재치면(3S)에 자필정보 입력용지(8)가 재치되어 클립 부재(31)에 의해 걸린 것은, 용지 장착 센서(39)에 의해 검출하도록 했다. 그러나, 판독부의 예를 구성하는 바코드 리더(32)에 의해 상시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감시함으로써, 재치면(3S)에 자필정보 입력용지(8)가 재치되어 클립 부재(31)에 의해 걸렸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용지가 교체된 것을 마찬가지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은 스탠바이 상태로 바코드 리더(32)에 의해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감시하도록 하여,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었을 때에, 메인 전원을 투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재치면(3S)에 자필정보 입력용지(8)가 재치되어 클립 부재(31)에 의해 걸린 것은, 용지 장착 센서(39)에 의해 검출하도록 했지만, 클립 부재(31)의 개폐를 검출하는 센서를 마련해 두고, 그 센서로, 클립 부재(31)가 개폐되었을 때에, 자필정보 입력용지(8)가 장착된 것으로 하여, 바코드 리더(32)에 의해 바코드의 판독을 행하게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병원 등에서는, 문진표, 수술이나 검사시의 동의서나 승낙서, 회진 기록서 등 다종다양한 문서 폼이 존재하고, 그 문서 폼에는 환자, 간호사, 의사 등이 각각 자필 입력하는 입력영역이 존재한다. 그 경우에, 환자, 간호사, 의사의 각각이 사용하는 전자 펜은 각각이 소지하는 전자 펜이 되므로, 각자가 고유한 펜 ID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같은 하나의 페이퍼 폼에 있어서도, 다른 펜 ID의 전자 펜으로 자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펜 ID의 전자 펜을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자필정보 입력은 펜 ID에 대응지어져 모바일 단말에 송신되므로, 모바일 단말에서는 예를 들면 펜 ID 마다 다른 문자색을 할당하는 등, 다른 표시 형태로, 그 자필 정보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펜 ID의 전자 펜으로 입력되었는지가 용이하게 판별 가능하다.
또한, 페이퍼 폼이 구비하는 각각의 입력영역에 대해서 자필 입력할 수 있는 사람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입력영역의 속성정보로서, 자필 입력하는 사람을 제한하는 정보를 할당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펜 ID에 의해 자필 입력된 정보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영역마다, 자필정보의 표시색 등의 표시 형태를 바꾸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서명이 입력되는 입력영역인 것은 입력영역의 속성정보로부터 판단할 수 있지만, 이 서명이 입력되는 입력영역에의 자필정보에 대해서는, 시큐리티 대책을 위해서, 암호화 등의 처리를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호화 처리를 한 다음 데이터 전송 처리를 행하는 것을 지시하는 속성정보를, 서명이 입력되는 입력영역에 대응지어서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 매의 자필정보 입력용지(8)를 그룹화 하는 경우에는, 태블릿 단말에 있어서의 종료 지시에 기초하도록 했지만, 미리, 서버 장치(1)에 등록할 때에, 복수 페이지로 이루어진 자필정보 입력용지(8)를 1그룹으로서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은 그 복수 페이지의 자필정보 입력용지(8)에의 자필정보 입력이 완료될 때까지는, 태블릿 단말로부터의 종료 지시를 허가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자필정보 입력장치는 태블릿 단말과 모바일 단말의 조합에 의해 구성하도록 했지만, 양 단말의 기능을 구비하는 1대의 장치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의 표시 화면은 재치면과 공통으로 해도 되고, 재치면과는 다른 영역으로 해도 된다. 표시 화면을 재치면과 공통으로 하는 경우, 즉, 표시 화면 상에 용지를 재치하는 경우에는, 용지를 넘기도록 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입력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페이퍼 폼의 등록을 접수하는 장치와, 자필정보 입력 정보를 기억하는 장치는, 같은 서버 장치로 했지만, 다른 장치로 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자필정보 입력장치에서는, 태블릿 단말과 접속되는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 했지만,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예를 들면 PC 등이어도 된다. 또한, 태블릿 단말과 접속되는 장치는, 상술한 모바일 단말의 기능과,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와, 페이퍼 기입 데이터 격납부를 구비하는 서버 장치(1)의 모바일 단말과의 교환을 하는 기능 부분을 구비한 장치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서버 장치(1)의, 페이퍼 폼 데이터베이스 및 페이퍼 표시정보 제공부를 구비하는 부분과, 격납 처리부 및 페이퍼 기입 데이터 격납부를 구비하는 부분은, 다른 장치여도 된다.
또한, 전자 펜 및 태블릿 단말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유도 방식인 것을 이용했지만, 정전 용량 방식이나, 그 외의 결합 방식인 것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태블릿 단말의 클립 부재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용지를 사이에 두고 걸림 혹은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페이퍼 ID의 판독부는 클립 부재에 마련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예를 들면 태블릿 단말에 케이블을 통해서 판독부(예를 들면 바코드 리더)를 마련하고, 그 판독부(바코드 리더)로 용지의 페이퍼 ID(바코드)를 판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바코드는 페이퍼 ID의 일례이며, 자필정보 입력용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판독 장치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1…서버 장치, 2…프린터, 3…태블릿 단말, 3S…재치면, 4…전자 펜, 5…모바일 단말, 6…통신 네트워크, 8…자필정보 입력용지, 31…클립 부재, 32…바코드 리더

Claims (15)

  1. 자필 입력을 위한 기입영역이 마련된 문서 폼이 인쇄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문서 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 용지가 재치되는 재치면과,
    용지에 시인 가능하게 자필 가능한 전자 펜에 의해서, 상기 재치면에 재치된 상기 용지에의 자필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식별 정보 판독부와,
    표시부와,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로 판독된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 폼이 인쇄된 상기 용지에 대응한 문서 폼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기 위한 상기 문서 폼 정보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취득 가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 폼 정보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취득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취득된 상기 문서 폼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위치 검출부로 검출된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를 표시 가능으로 하고,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문서 폼 정보를 취득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위치 검출부로 검출된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를 표시 불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로 판독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상기 문서 폼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취득하는 요구를 행하는 것과 함께, 상기 문서 폼 정보의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한 상기 문서 폼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된 상기 문서 폼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펜에 의한 위치 지시 입력의 처리가 유효하게 된 것을 알리는 알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로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을 할 수 없었던 것을 알리는 알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재치면에 재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용지 재치 유무 검출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용지 재치 유무 검출 회로에 의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재치면에 재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가 상기 표시부로 표시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지를 상기 재치면 상에 걸리게 하는 클립 부재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는 상기 클립 부재의, 당해 클립 부재에 의해 걸린 상기 용지의 지면에 대향하는 면부 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에 의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재치면 상에 걸렸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는 상기 용지가 상기 클립 부재에 의해서 걸린 것이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식별 정보의 판독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재치면에 재치되었을 때의 위치가 적절한지 여부를 검출하는 재치 위치 검출 회로가 상기 클립 부재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치 위치 검출 회로에 의해서, 상기 재치면에 재치된 상기 용지의 위치 어긋남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재치 위치 검출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펜에 의해서 지시된 위치의 정보를 보정하는 위치 정보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치 위치 검출 회로에 의해서, 상기 재치면에 재치된 상기 용지의 위치 어긋남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재치 위치 검출 회로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펜에 의해서 지시된 위치의 정보를 보정하는 위치 정보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과 함께, 상기 위치 정보 보정부에 의해서 보정된 상기 전자 펜에 의해서 지시된 위치의 정보를 상기 문서 폼 정보와 함께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지에 인쇄된 상기 문서 폼에 대응한 상기 문서 폼 정보에는, 상기 문서 폼에 마련된 상기 기입영역을 특정하는 위치 정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 폼에 마련된 상기 기입영역과 상기 위치 검출부로 검출된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가 관련지어져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문서 폼에 마련된 상기 기입영역에 관련지어진, 상기 위치 검출부로 검출된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기입인 취지를 알리는 알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용지에 인쇄된 상기 문서 폼에 대응한 상기 문서 폼 정보에는, 상기 문서 폼에 마련된 상기 기입영역에 입력되는 자필정보의 속성정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입영역에 입력된 자필정보가 상기 속성정보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입영역에 입력된 자필정보가 상기 속성정보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취지를 알리는 알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
  14. 판독부와, 위치 검출부와, 취득부와, 제어부를 구비하는 자필정보 입력장치의 재치면에 재치된 자필 입력을 위한 기입영역이 마련된 문서 폼이 인쇄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문서 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 용지에 자필정보를 입력하는 자필정보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가 상기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공정과,
    상기 위치 검출부가 상기 용지에 시인 가능하게 자필 가능한 전자 펜에 의해서, 상기 재치면에 재치된 상기 용지에의 자필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를 검출하는 공정과,
    상기 취득부가, 상기 판독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 폼이 인쇄된 상기 용지에 대응한 문서 폼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문서 폼 정보를 취득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문서 폼 정보가 취득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문서 폼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를 표시 가능으로 하고, 상기 문서 폼 정보가 취득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를 표시 불가로 하는 공정을 구비한 자필정보 입력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자필정보 입력장치에는 검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검지부에 의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재치면에 재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지가 상기 재치면에 재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자 펜이 지시하는 위치의 정보를 표시 불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필정보 입력방법.
KR1020170106820A 2016-09-02 2017-08-23 자필정보 입력장치 및 자필정보 입력방법 KR102308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2214A JP6831661B2 (ja) 2016-09-02 2016-09-02 手書き情報入力装置及び手書き情報入力方法
JPJP-P-2016-172214 2016-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333A true KR20180026333A (ko) 2018-03-12
KR102308386B1 KR102308386B1 (ko) 2021-10-06

Family

ID=5974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820A KR102308386B1 (ko) 2016-09-02 2017-08-23 자필정보 입력장치 및 자필정보 입력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00371B2 (ko)
EP (1) EP3291075B1 (ko)
JP (1) JP6831661B2 (ko)
KR (1) KR102308386B1 (ko)
CN (1) CN107798319B (ko)
TW (1) TWI7443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9641A (zh) * 2018-05-14 2020-11-24 株式会社和冠 学习支援系统
CN109117005A (zh) * 2018-07-26 2019-01-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笔、信息录入系统和信息录入方法
CN109766159A (zh) * 2018-12-28 2019-05-17 贵州小爱机器人科技有限公司 填表位置的确定方法、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N109765988A (zh) * 2018-12-28 2019-05-17 贵州小爱机器人科技有限公司 填表位置的确定装置
CN110058749A (zh) * 2019-04-16 2019-07-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书写显示系统、方法和装置
CN113330446A (zh) * 2019-05-24 2021-08-31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手写识别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WO2021014701A1 (ja) 2019-07-19 2021-01-28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及び手書き入力装置
JPWO2021124753A1 (ko) 2019-12-17 2021-06-24
US11701914B2 (en) * 2020-06-15 2023-07-18 Edward Riley Using indexing targets to index textual and/or graphical visual content manually created in a book
KR102558667B1 (ko) * 2021-05-18 2023-07-26 (주)디엑스테크 전자 펜과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9499A (en) * 1993-11-30 1997-05-13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onic board to store and transfer information
KR20050046969A (ko) * 2003-11-15 2005-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가 위치한 영역만을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
US20060007189A1 (en) * 2004-07-12 2006-01-12 Gaines George L Iii Forms-based computer interface
JP2006107124A (ja) 2004-10-05 2006-04-20 Ricoh Co Ltd タブレット及び情報読み取り方法
US20060217821A1 (en) * 2005-03-14 2006-09-28 John Abraitis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form
JP2010102368A (ja) 2008-10-21 2010-05-06 Im & T:Kk デジタルペンのフォーム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478A (ja) * 2001-04-10 2002-10-25 Ricoh Co Ltd 記録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その実行のための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102105B2 (ja) * 2002-05-24 2008-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ペンを利用した書類記入システム
JP4244614B2 (ja) * 2002-10-31 2009-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手書き入力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手書き入力方法システム
JP4322169B2 (ja) * 2003-07-16 2009-08-26 株式会社リコー 文書処理システム、文書処理方法、文書処理プログラム
JP2005275599A (ja) * 2004-03-23 2005-10-06 Fuji Xerox Co Ltd 手書き出力装置、手書き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61387B2 (ja) * 2005-06-20 2011-03-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76718B2 (ja) * 2006-05-31 2012-0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ペーパー記録装置
JP5929505B2 (ja) * 2012-05-23 2016-06-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4025066A1 (en) * 2012-08-08 2014-02-13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pad apparatus,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electronic paper
KR102252185B1 (ko) * 2014-10-24 2021-05-14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발신형 전자 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9499A (en) * 1993-11-30 1997-05-13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onic board to store and transfer information
KR20050046969A (ko) * 2003-11-15 2005-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가 위치한 영역만을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
US20060007189A1 (en) * 2004-07-12 2006-01-12 Gaines George L Iii Forms-based computer interface
JP2006107124A (ja) 2004-10-05 2006-04-20 Ricoh Co Ltd タブレット及び情報読み取り方法
US20060217821A1 (en) * 2005-03-14 2006-09-28 John Abraitis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form
JP2010102368A (ja) 2008-10-21 2010-05-06 Im & T:Kk デジタルペンのフォーム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31661B2 (ja) 2021-02-17
CN107798319A (zh) 2018-03-13
TWI744331B (zh) 2021-11-01
US11200371B2 (en) 2021-12-14
CN107798319B (zh) 2023-04-07
US20180067913A1 (en) 2018-03-08
JP2018037033A (ja) 2018-03-08
EP3291075A1 (en) 2018-03-07
EP3291075B1 (en) 2019-03-27
TW201812536A (zh) 2018-04-01
KR102308386B1 (ko)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386B1 (ko) 자필정보 입력장치 및 자필정보 입력방법
JP2018037033A5 (ko)
US10324544B2 (en) Hand-written information process apparatus, hand-writt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hand-writt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7141495B2 (ja) 情報処理装置
JP4876718B2 (ja) 電子ペーパー記録装置
US20050024346A1 (en) Digital pen function control
US20080181501A1 (en) Methods, Apparatus and Software for Validating Entries Made on a Form
JP4432323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排紙トレイ上の記録シート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725461B1 (e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JP5633448B2 (ja) 記入支援システム、端末装置、プログラム
JP6261153B1 (ja) 電子ペン、位置検出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US20210311603A1 (en) System and method of tool identification for an interactive input system
JP5678757B2 (ja) 記入支援システム、端末装置、プログラム
JP2004030235A (ja) 個人認証システム、カード利用明細書および個人認証機能付き電子ペン
EP4276796A1 (en) Augmented book
JP2017215631A (ja) 入力装置、入力システム、入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03573A (ja) 申込システム、端末装置、プログラム
JP2005301650A (ja) 検診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検診システム
JP2014110014A (ja) 手書き入力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