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245A -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 Google Patents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245A
KR20180026245A KR1020160113368A KR20160113368A KR20180026245A KR 20180026245 A KR20180026245 A KR 20180026245A KR 1020160113368 A KR1020160113368 A KR 1020160113368A KR 20160113368 A KR20160113368 A KR 20160113368A KR 20180026245 A KR20180026245 A KR 20180026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haped frame
lining
utility tunne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611B1 (ko
Inventor
김기중
Original Assignee
(주)세니츠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니츠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세니츠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11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6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7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or impeding fall or injuries of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4Sealing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을 일정 깊이로 굴착한 굴착공간의 내면에 콘크리트 벽체로 형성된 수직구와, 상기 지반의 일정 깊이에서 상기 수직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착되는 공동구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구의 내부로 인입되는 공동구 라이닝이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에 설치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로서, 상기 접속부의 둘레면을 따라 면접촉하도록 일정한 폭을 갖고 링 형상으로 형성된 링형 프레임과; 상기 링형 프레임의 외면과 상기 접속부 사이 및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면과 상기 공동구 라이닝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의 외면 및 내면이 각각 상기 접속부 및 상기 공동구 라이닝과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를 구비하되,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면과 상기 공동구 라이닝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공동구 라이링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변형되어 하부가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외면과 접촉됨으로써, 수직구와 공동구의 접속부를 보강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에서의 차수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동구를 통하여 수직수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신 케이블이나 송전케이블과 같은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REINFORCEMENT AND WATERPROOF STRUCTURE OF VERTICAL SHAFTS-UTILITY TUNNELS INTERFACE}
본 발명은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Shield TBM 시공시 발생하는 수직구와 공동구의 접속부를 보강하고 차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구는 지반 굴착을 수반하는 지하 매설물(배전선로를 비롯하여 유선방송 케이블·초고속정보통신망·상수도관·난방용 온수관 등 각종 생활관련 중요공급시설)을 공동으로 수용하는 지하 시설물을 말하며, 한 장소에서 동시에 여러 종류의 설비를 유지 보수할 수 있고 쾌적한 지상공간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이 건설되는 신도시, 상업지역, 아파트 단지 등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지하 공동구는 그 내부로 지하수 등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방수공법에 적용되고 있으며, 그러한 방수공법으로는 콘크리트방수 또는 아스팔트방수 등이 적용되고 있는데, 상기 콘크리트방수는 콘크리트에 방수액을 첨가하여 층층히 적층하여 구조물을 만드는 방법이며, 아스팔트방수는 가열 용융한 아스팔트로 아스팔트펠트나 아스팔트루핑을 연속적으로 겹쳐서 방수층을 만드는 공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방수 또는 아스팔트방수가 공동구에 적용되더라도 종래에는 공동구 내부에 지하수 등이 쉽게 누수되면서 하자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하자를 보수하기 위한 비용의 소모가 많아지고, 유지나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한 일례로 선등록특허 제10-0592104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공동구가 설치되는 지하의 바닥면에 소정의 두께로 설치되는 바닥기초 콘크리트판넬과, 공동구의 전후면을 제외한 사방 테두리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방수시트커버와, 상기 방수시트커버의 표면에 겹쳐지면서 방수시트커버와 함께 공동구의 사방 테두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충격흡수가 가능한 수지발포제판넬로 형성된 방수시트 보호용 커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지하 공동구의 방수구조는 공동구가 설치되는 지하 바닥면에는 바닥기초 콘크리트판넬을 설치하고, 상기 바닥기초 콘크리트판넬의 상면에 설치되는 공동구의 사방둘레에는 방수시트커버와 방수시트 보호용 커버를 순차적으로 감싸 설치함에 따라 바닥기초 콘크리트판넬과 방수시트커버와 방수시트 보호용 커버로 인하여 공동구 내부에 누수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종래와 같이 지하 건축구조물의 지하공동구를 방수시트나 방수제 등만을 이용하여 방수처리를 하게 되면 지하공동구를 방수하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는 방수시트나 방수제에 토사가 그대로 접촉하게 되어 토사에 함유되어 있는 물이나 습기 등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그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즉, 방수시트나 방수제가 오랜 시간 물이나 습기에 노출되어 있으면, 방수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수직구 및 공동구의 벽체 내부로 물이 침투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벽체의 내부로 물이 침투되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물의 침투로 인하여 벽면에 크랙이 발생하여 공동구 구조물의 안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공동구는 수직구 등과 같은 구조물의 지하 외벽체의 중간부 또는 지하층 바닥에서 상기 수직구와 연결되어 전기·가스·수도 등 각종 공급시설을 수직구로 유입시킨다.
한편, 수직구는 수직구는 광업, 도로, 지하철 및 철도 교통 터널, 양수발전소의 수압터널 건설과정에서 굴착 혹은 운용을 위해 건설되는 지하공간 구조물을 일컫는 말이다.
이러한 수직구는 지반을 발파 등에 의해 개착식으로 굴착하면서, 숏크리트, 락 볼트 등에 의해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고,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수시트에 의한 방수작업 후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장타설 방식, 콘크리트 또는 강재에 의한 관체를 축조하면서 침하시키는 관체 침하방식에 의하여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수직구와 공동구를 연결하는 구조는 공동구와 연결되는 수직구의 내벽면에 단순히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한 보강벽을 가시공한 후에 공동구를 통하여 공동구 라이닝이 상기 보강벽을 통과하여 수직구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 후에 상기 보강벽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서 수직구와 공동구를 연결하는 구조이므로 수직구와 공동구 사이의 접속부가 구조적으로 안전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직구와 공동구 사이의 접속부에서 차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수분 침투로 인하여 공동구를 통하여 수직구로 인입되는 통신이나 전력 케이블 등과 같은 시설물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수직구와 공동구의 접속부를 보강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에서의 차수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동구를 통하여 수직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신케이블이나 송전케이블과 같은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을 일정 깊이로 굴착한 굴착공간의 내면에 콘크리트 벽체로 형성된 수직구와, 상기 지반의 일정 깊이에서 상기 수직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착되는 공동구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구의 내부로 인입되는 공동구 라이닝이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에 설치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로서, 상기 접속부의 둘레면을 따라 면접촉하도록 일정한 폭을 갖고 링 형상으로 형성된 링형 프레임과; 상기 링형 프레임의 외면과 상기 접속부 사이 및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면과 상기 공동구 라이닝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의 외면 및 내면이 각각 상기 접속부 및 상기 공동구 라이닝과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탄성체와 제2탄성체를 구비하되,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면과 상기 공동구 라이닝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공동구 라이링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변형되어 하부가 상기 공동구 라이닝의 외면과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구에 형성된 상기 접속부에 주입제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링형 프레임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접속부로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구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주입제 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동구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주입제 파이프의 외면에는 주입제를 방출할 수 있는 주입제 방출공이 상기 주입제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구의 내부로 연장 형성된 상기 주입제 파이프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제 파이프 전방의 상기 수직구의 내부에는 복수의 지지파이프가 교차되게 배치된 격자 형상의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주입제 파이프의 외면과 상기 접속부의 내면 사이에는 상기 수직구의 내부에 주입되어 충진이 이루어지는 주입제가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하는 막음패킹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막음부는 상기 주입제 파이프의 외면과 상기 접속부의 내면 사이의 상기 수직구 내측에 배치되며 수지재로 형성된 패킹부재와, 상기 수직구의 내면으로 노출되는 상기 패킹부재의 일측에 몰딩되는 시멘트 마감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구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주입제 파이프는 상기 수직구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주입제 파이프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구와 공동구의 접속부를 보강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에서의 차수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동구를 통하여 수직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신케이블이나 송전케이블과 같은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수직구와 공동구 라이링이 상호 접촉되는 접속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선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수직구와 공동구 라이링이 상호 접촉되는 접속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는, 지반을 일정 깊이로 굴착한 굴착공간의 내면에 콘크리트 벽체로 형성된 수직구(1)와, 상기 지반의 일정 깊이에서 상기 수직구(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착되는 공동구(2)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구(1)의 내부로 인입되는 공동구 라이닝(4)이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3)에 설치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로서, 상기 접속부(3)의 둘레면을 따라 면접촉하도록 일정한 폭을 갖고 링 형상으로 형성된 링형 프레임(100)과; 상기 링형 프레임(100)의 외면과 상기 접속부(3) 사이 및 상기 링형 프레임(100)의 내면과 상기 공동구 라이닝(4)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100)의 외면 및 내면이 각각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공동구 라이닝(4)과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탄성체(200)와 제2탄성체(300)를 구비하되, 상기 링형 프레임(100)의 내면과 상기 공동구 라이닝(4)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1탄성체(200)는 상기 공동구 라이링(4)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변형되어 하부가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외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직구(1)는 광업, 도로, 지하철, 철도 교통터널, 통신구, 엘리베이터, 집수정, 정화조, 물탱크, 방화수조 등 지하 공간 구조물의 일종을 말한다.
이러한 수직구(1)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개착식으로 굴착하면서 숏크리트, 락볼트 등에 의해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고 지하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수시트에 의한 방수작업 후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이 사용된다.
그리고, 수직구(1)의 내부로 통신케이블이나 전력케이블 등을 인입시키기 위해서는 수직구(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동구(2)를 형성하여 공동구(2)와 수직구(1)가 교차하도록 한 후에 공동구(2)로 노출되는 수직구(1)의 벽면을 관통시켜 접속부(3)를 형성한 후에 공동구(2)에 공동구 라이닝(4)을 설치하고, 공동구 라이닝(4)의 단부 일부가 접속부(3)를 통과하여 수직구(1)의 내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구(1)와 공동구 라이닝(4)이 상호 접촉되는 접속부(3)를 보강함과 동시에 차수를 위하여 접속부(3)에 차수 구조를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는 크게 수직구(1)와 공동구 라이닝(4)의 접촉면에 구비되는 링형 프레임(100)과, 링형 프레임(100)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되어 접속부와 접촉되는 제1탄성체(200)와 제2탄성체(300)로 이루어진다.
링형 프레임(10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구(1)와 공동구 라이닝(4)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그 재질은 철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링형 프레임(100)의 길이는 수직구(1)와 공동구 라이닝(4)이 상호 접촉되는 접촉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구(1)와 공동구 라이닝(4)의 상호 접촉면에 링형 프레임(100)을 고정함과 동시에 차수를 위하여 링형 프레임(100)의 외면과 수직구(1) 사이 및 링형 프레임(100)의 내면과 공동구 라이닝(4) 사이에는 각각 제2탄성체(300)와 제1탄성체(20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1탄성체(200)와 제2탄성체(300)는 지진이나 부등침하 등의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수직구(100)와 공동구 라이닝(4)이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탄성체(200)와 제2탄성체(30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지만 차수가 가능하도록 제1탄성체(200)와 제2탄성체(300)는 방수형 봉함재로 형성되는데, 상기 방수형 봉함재는 저밀도 밀폐형 다중셀 구조로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계열로 6각형 저밀도 밀폐형 셀 구조로 결합되어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며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재질이다.
방수형 봉함재를 시공시에는 열 용접 작업을 함으로써 재료의 이음부에 있어서 이음부의 강도가 모체와 동등 내지 이상이며 방수에 있어서도 확실한 성능을 나타내며, 양 측면에 홈이 가공되며 홈에는 접착제가 함유되도록 하여 구조체와의 접착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수형 봉함재가 갖는 특성은 신장 30%, 압축 60%, 전단 및 회전 100%의 거동 범위를 가지며, 설치시 유간보다 약 25% 더 큰 폭으로 설치되어 구조물에 필요한 변위량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으며, 어떠한 기하하적인 형상으로도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구조물 전체의 방수성을 확보하고, 자외선 및 여러 화학제품에 대해 뛰어난 저항력을 갖고 있으며, 고내구성, 내마모성을 갖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링형 프레임(100)의 내면과 상기 공동구 라이닝(4)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체(200)는 공동구 라이링(4)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변형되어 하부가 공동구 라이닝(4)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수밀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공동구 라이닝(4)의 직경이 설계했던 치수보다 다소 작거나 크게 제작되더라도 긴밀하게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수직구(1)에 형성된 접속부(3)에 주입제를 주입하기 위하여 일단이 링형 프레임(100)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접속부(3)로 삽입되고 타단이 수직구(1)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주입제 파이프(400)가 구비된다.
주입제 파이프(400)는 접속부(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배치되며, 공동구(1)의 내부에 배치되는 주입제 파이프(400)의 외면에는 주입제(M)를 방출할 수 있는 주입제 방출공(410)이 주입제 파이프(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어 있다.
주입제 방출공(410)은 주입제(M)를 접속부(3)의 내부에 균일하게 충진시킬 수 있도록 주입제 파이프(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뿐만 아니라, 주입제 파이프(4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구(1)의 내부로 연장 형성된 상기 주입제 파이프(400)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주입제 파이프(400) 전방의 수직구(1)의 내부에는 복수의 지지파이프가 교차되게 배치된 격자 형상의 지지부(500)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부(500)는 주입제를 주입하는 통로가 되는 주입제 파이프(400)의 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주입제 파이프(400)가 배치된 높이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복수가 배치되어 주입체 파이프(400)의 하측 외면과 접촉되도록 하고,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주입제 파이프(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도 지지파이프를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부(500)는 어느 하나의 수직구(1)에 공동구 라이닝(4)의 시공이 완료되면 다른 수직구(1)에 공동구 라이닝(4)을 시공시에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입제 파이프(400)의 외면과 접속부(3)의 내면 사이에는 수직구(1)의 내부에 주입되어 충진이 이루어지는 주입제(M)가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하는 막음부(6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막음부(600)는 주입제 파이프(400)의 외면과 접속부(3)의 내면 사이의 수직구(1) 내측에 배치되며 수지재로 형성된 패킹부재(610)와, 수직구(1)의 내면으로 노출되는 패킹부재(610)의 일측에 몰딩되는 시멘트 마감재(620)로 구성될 수 있다.
패킹부재(610)는 수지재로 형성됨으로써 주입제 파이프(400)를 탄성 지지하게 되므로 주입제 파이프(4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주입제(M)가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구(1)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주입제 파이프(400)는 수직구(1)의 내부에 배치되는 주입제 파이프(40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지지부(500)와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수직구(1)에 공동구 라이닝(4)의 시공이 완료되면 다른 수직구(1)에 공동구 라이닝(4)을 시공시에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를 수직구와 공동구 라이링이 상호 접촉되는 접속부에 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공동구(2)와 접속되는 수직구(1)의 벽면을 공동구 라이닝(4)이 인입될 수 있도록 공동구 라이닝(4)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원형으로 절개하는 시공을 한다.
그 후, 링형 프레임(100)의 내면과 외면에 각각 제1탄성체(200)와 제2탄성체(300)를 부착시킨 후에 링형 프레임(100)을 원형으로 절개된 수직구(1)의 벽면에 삽입한 후에 제1탄성체(200)의 내측으로 공동구 라이닝(4)이 삽입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수직구(1)와 공동구 라이닝(4)이 연결되도록 한다.
접속부(3)의 내부로 단부가 링형 프레임(100)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주입제 파이프(400)를 삽입하고, 수직구(1)의 내부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주입제 파이프(400)의 단부가 지지부(5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500)를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입제 파이프(400)를 통하여 주입제(M)를 접속부(3)로 주입하여 접속부(3) 전체가 주입제(M)로 충진되도록 한 후에 접속부(3)에 충진된 주입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주입제 파이프(400) 주연부의 접속부(3) 내측으로 막음부(600)가 설치되도록 한다.
수직구(1)의 내측으로 깊은 위치에는 막음부(600)의 패킹부재(610)를 설치하고, 패킹부재(6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수직구(1)의 내면측으로 노출되는 접속부(3)에는 시멘트 마감재(620)를 충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주입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 후, 수직구(1)의 내부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주입제 파이프(400)를 접속부(3)의 내부에 배치된 주입제 파이프(400)로부터 탈거시키고 주입제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직구(1)와 공동구 라이닝(4)의 연결 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는 수직구와 공동구의 접속부를 보강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에서의 차수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동구를 통하여 수직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신케이블이나 송전케이블과 같은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수직구 2 : 공동구
3 : 접속부 4 : 공동구 라이닝
100 : 링형 프레임 200 : 제1탄성체
300 : 제2탄성체 400 : 주입제 파이프
410 : 주입제 방출공 500 : 지지부
600 : 막음부 610 : 패킹부재
620 : 시멘트 마감재

Claims (7)

  1. 지반을 일정 깊이로 굴착한 굴착공간의 내면에 콘크리트 벽체로 형성된 수직구(1)와, 상기 지반의 일정 깊이에서 상기 수직구(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굴착되는 공동구(2)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구(1)의 내부로 인입되는 공동구 라이닝(4)이 상호 접속되는 접속부(3)에 설치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로서,
    상기 접속부(3)의 둘레면을 따라 면접촉하도록 일정한 폭을 갖고 링 형상으로 형성된 링형 프레임(100)과;
    상기 링형 프레임(100)의 외면과 상기 접속부(3) 사이 및 상기 링형 프레임(100)의 내면과 상기 공동구 라이닝(4)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100)의 외면 및 내면이 각각 상기 접속부(3) 및 상기 공동구 라이닝(4)과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탄성체(200)와 제2탄성체(300)를 구비하되, 상기 링형 프레임(100)의 내면과 상기 공동구 라이닝(4)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1탄성체(200)는 상기 공동구 라이링(4)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변형되어 하부가 상기 공동구 라이닝(4)의 외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1)에 형성된 상기 접속부(3)에 주입제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링형 프레임(100)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접속부(3)로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구(1)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주입제 파이프(4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1)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주입제 파이프(400)의 외면에는 주입제(M)를 방출할 수 있는 주입제 방출공(410)이 상기 주입제 파이프(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1)의 내부로 연장 형성된 상기 주입제 파이프(400)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제 파이프(400) 전방의 상기 수직구(1)의 내부에는 복수의 지지파이프가 교차되게 배치된 격자 형상의 지지부(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제 파이프(400)의 외면과 상기 접속부(3)의 내면 사이에는 상기 수직구(1)의 내부에 주입되어 충진이 이루어지는 주입제(M)가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하는 막음부(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600)는 상기 주입제 파이프(400)의 외면과 상기 접속부(3)의 내면 사이의 상기 수직구(1) 내측에 배치되며 수지재로 형성된 패킹부재(610)와, 상기 수직구(1)의 내면으로 노출되는 상기 패킹부재(610)의 일측에 몰딩되는 시멘트 마감재(6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1)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주입제 파이프(400)는 상기 수직구(1)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주입제 파이프(40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KR1020160113368A 2016-09-02 2016-09-02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KR10185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368A KR101859611B1 (ko) 2016-09-02 2016-09-02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368A KR101859611B1 (ko) 2016-09-02 2016-09-02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245A true KR20180026245A (ko) 2018-03-12
KR101859611B1 KR101859611B1 (ko) 2018-06-28

Family

ID=6172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368A KR101859611B1 (ko) 2016-09-02 2016-09-02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4441A (zh) * 2019-07-12 2019-10-18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设计有综合管廊的海绵城市道路及道路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240U (ja) * 1991-08-01 1993-02-23 羽田ヒユーム管株式会社 マンホールの横穴と管渠間の継手構造
JPH0715845U (ja) * 1993-08-30 1995-03-17 大同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組立マンホ−ル
JP2003027513A (ja) * 2001-07-16 2003-01-29 Nichikon:Kk マンホールの鞘管及びその固定方法並びに可撓性継手構造
JP2008240425A (ja) * 2007-03-28 2008-10-09 Teikoku Hume Kan Higashi Nippon Kk 止水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240U (ja) * 1991-08-01 1993-02-23 羽田ヒユーム管株式会社 マンホールの横穴と管渠間の継手構造
JPH0715845U (ja) * 1993-08-30 1995-03-17 大同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組立マンホ−ル
JP2003027513A (ja) * 2001-07-16 2003-01-29 Nichikon:Kk マンホールの鞘管及びその固定方法並びに可撓性継手構造
JP2008240425A (ja) * 2007-03-28 2008-10-09 Teikoku Hume Kan Higashi Nippon Kk 止水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611B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5550B2 (ja) 逆アーチを備えた2段階高速閉鎖トンネルの支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859612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KR101820872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CN110700857B (zh) 一种复合型隧道支护体系及施工方法
CN109026012A (zh) 竖井围岩支护结构及其开挖支护方法
KR20010010803A (ko) 유리섬유보강 플라스틱 주입관을 이용한 다단 그라우팅 장치및 공법
KR101260292B1 (ko) 그라우팅장치를 이용한 터널 보강공법
CN102839691B (zh) 无砂水泥管深井降水井口快速封堵方法及其装置
CN108149692B (zh) 一种适用于非闭合基坑的支护结构
KR101391127B1 (ko) 발포제 충진형 지중관로 보호용 멀티프로텍터
KR101859611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KR102103978B1 (ko)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CN213296693U (zh) 一种堵疏结合的后浇带防水结构
KR101440258B1 (ko) 막장에 그라우팅 공법을 적용한 토사터널 구축 메사공법
CN108253199A (zh) 内肋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及其接头连接方法
CN116816389A (zh) 隧道富水岩溶塌腔处理方法
CN208982058U (zh) 竖井围岩支护结构
KR101968968B1 (ko) 공동구용 터널-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212202065U (zh) 一种适用于上软下硬复合地层的隧道结构
JP3250045B2 (ja) 耐圧力コンクリート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08058152U (zh) 内肋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
KR102125014B1 (ko) 공동구용 수직구 접속부 보강 차수 구조
CN208106434U (zh) 用于地下中子能电站的结构体系
CN207891914U (zh) 浅埋暗挖隧道洞内端头墙桩锚一体支护结构
KR100926285B1 (ko) 관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