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036A -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 Google Patents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036A
KR20180026036A KR1020160112884A KR20160112884A KR20180026036A KR 20180026036 A KR20180026036 A KR 20180026036A KR 1020160112884 A KR1020160112884 A KR 1020160112884A KR 20160112884 A KR20160112884 A KR 20160112884A KR 20180026036 A KR20180026036 A KR 20180026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ishing rod
frame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437B1 (ko
Inventor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주)자자손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자손손 filed Critical (주)자자손손
Priority to KR102016011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4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는, 사용자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작동되고 의자부와 등받이부 마련되는 접이식 의자 본체; 및 상기 의자 본체의 전방에 일체로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작동되고, 다수의 낚싯대를 받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낚싯대 받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낚싯대 받침장치는, 상기 의자 본체의 의자부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틀을 형성하는 의자부 프레임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의 단부에서 그 내부로 끼움 결합되는 제2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수평프레임에 대해 길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H형상의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낚싯대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홀더 장착홈이 형성되는 낚싯대 홀더장착부; 및 상기 낚싯대 홀더장착부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단부에서 그 내부로 끼움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수직프레임에 대해 높낮이 조절되는 제2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파이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해 펼쳐지고 사용 후에는 수평지지부의 저면으로 접혀지도록 마련되는 수직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 본체에 낚싯대 받침장치를 일체로 장착하여 사용 시에는 의자와 함께 펼쳐지고 사용 후에는 접혀진 상태로 의자 본체에 일체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운반 및 보관 등의 각종 상황 발생시 편의성을 확보면서도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FOLDING CHAIR WITH SUPPORT APPARATUS OF FISHING ROD}
본 발명은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용 접이식 의자에 접이식 구조의 낚싯대 받침장치를 일체로 장착하여 사용 시에는 의자와 함께 펼쳐지고 사용 후에는 접혀진 상태로 의자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함에 있어 낚시 받침대 없이 낚싯대만 들고 낚시를 하게되면 팔도 아플 뿐 아니라 낚싯대가 고정되지 않는 관계로 그 채비도 물속에서 낚싯대의 동선을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입질의 확인이나 챔질을 어렵게 만든다. 그러므로 낚시 채비시 낚시 받침대는 낚싯대와 함께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진다.
주로 낚시자는 낚싯대를 한대만 사용하지 않고 다수대를 이용해 낚시 채비를 하게되므로 다수 낚싯대를 한꺼번에 거치할 낚시받침대가 필요하다. 다수 낚싯대들을 한꺼번에 거치할 낚시받침장치의 일 예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선등록 제20-0390136호 "낚시받침대 각도조절틀"이 있다. 선등록 제20-0390136호 "낚시받침대 각도조절틀"에서는 고정발을 갖는 재치틀과 재치틀상에 회전판을 다수 설치하고, 각 회전판상에는 낚싯대의 손잡이부분 앞측을 받침해주는 낚시받침대와 낚싯대의 뒷부분을 받침해주는 뒷받침대가 장치되도록 구현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낚시자는 낚싯대를 드리운 후 자신이 정한 자리에 앉아 안정된 상태에서 찌를 바라볼 수 있도록 대부분 간편하고 휴대가능한 낚시용 의자를 사용한다.
이러한 낚시용 의자와 낚시용 받침대는 별개품이므로 일일이 별도 설치하고 습지나 물가 등의 지면 특성상 받침틀에 거치된 낚싯대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한다. 심지어는 챔질한 물고기가 낚싯대를 끌고 가는 경우도 가끔씩 발생한다.
그러므로 같은 곳에 설치되는 낚시용 의자에 낚시용 받침대를 한꺼번에 설치하여서 낚싯대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도구가 강구된다면 낚시 애호가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더욱이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철 가능한 구조로 된 낚시용 의자에 단순하게 설치되면서도 제기능을 하고 낚시자가 낚시할 자리를 옮길시에도 해체의 어려움 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면 더욱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0136호(2005.07.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5583호(2013.04.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072호(2014.02.28.)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낚시용 접이식 의자에 접이식 구조의 낚싯대 받침장치를 일체로 장착하여 사용 시에는 의자와 함께 펼쳐지고 사용 후에는 접혀진 상태로 의자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운반 및 보관 등의 각종 상황 발생시 편의성을 확보면서도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작동되고 의자부와 등받이부 마련되는 접이식 의자 본체; 및 상기 의자 본체의 전방에 일체로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작동되고, 다수의 낚싯대를 받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낚싯대 받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낚싯대 받침장치는, 상기 의자 본체의 의자부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틀을 형성하는 의자부 프레임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의 단부에서 그 내부로 끼움 결합되는 제2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수평프레임에 대해 길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H형상의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낚싯대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홀더 장착홈이 형성되는 낚싯대 홀더장착부; 및 상기 낚싯대 홀더장착부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단부에서 그 내부로 끼움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수직프레임에 대해 높낮이 조절되는 제2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파이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해 펼쳐지고 사용 후에는 수평지지부의 저면으로 접혀지도록 마련되는 수직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제1 수평프레임과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의 경계부에 탄성 걸림구를 갖는 길이 조절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탄성 걸림구에 걸림되도록 다수의 걸림공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경계부에 탄성 걸림구를 갖는 높낮이 조절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탄성 걸림구에 걸림되도록 다수의 걸림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는 수평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면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상기 의자 본체를 향하는 후방에는 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평지지부를 지지하도록 펼쳐진 후 상기 수평면과 상기 낚싯대 홀더장착부 저면 간의 상호 간섭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상기 수평지지부의 저면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자 본체는, 상기 의자부의 저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의자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낚싯대 받침장치가 완전히 접혀진 후 상기 의자부의 저면에 결속할 수 있는 결속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자 본체는,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 배치되도록 등받이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한 쌍의 어깨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 본체에 낚싯대 받침장치를 일체로 장착하여 사용 시에는 의자와 함께 펼쳐지고 사용 후에는 접혀진 상태로 의자 본체에 일체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운반 및 보관 등의 각종 상황 발생시 편의성을 확보면서도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를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이식 의자의 낚싯대 받침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를 전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이식 의자의 낚싯대 받침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의 접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의자 본체(100)와, 그리고 의자 본체(100)에 일체로 장착되는 낚싯대 받침장치(200)를 포함한다.
접이식 의자 본체(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마련된다. 즉, 의자 본체(100)는 통상적인 의자와 마찬가지로 의자부(110), 등받이부(120), 팔걸이부(130) 및 다리부(140)로 구성되며,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펼쳐지고 사용 후에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혀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접이식 구조를 갖는 의자 본체(100)는 사용자의 의해 일정한 순서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작동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이러한 접이식 의자 본체(100)는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여러 형태가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그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의자 본체(100)는 의자부(110)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틀을 형성하는 의자부 프레임(112)의 저면에 버클(152)을 매개로 체결되는 한 쌍의 결속밴드(150)가 결합된다. 즉, 결속밴드(150)는 의자부(110)의 저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그 자유단에는 상호 체결되는 버클(15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낚싯대 받침장치(200)는 완전히 접혀진 후 결속밴드(150)를 통해 의자 본체(100)에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일체로 결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자 본체(100)는 등받이부(120)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틀을 형성하는 등받이부 프레임(122)의 배면에 한 쌍의 어깨밴드(160)가 결합된다. 즉, 어깨밴드(160)는 의자 본체(100)의 등받이부(120)의 배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어깨밴드(160)는 접혀진 상태에서 낚싯대 받침장치(200)가 일체로 결속된 의자 본체(100)를 운반시 사용자가 어깨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깨밴드(160)의 착용에 따라 의자 본체(100)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의자부(110)는 각종 천으로 의자부 프레임(112)을 완전히 감싸서 형성되고, 등받이부(120)는 의자부(110)와 마찬가지로 각종 천으로 등받이부 프레임(122)을 완전히 감싸서 형성된다.
낚싯대 받침장치(200)는 다수의 낚싯대를 받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수평지지부(210)와, 낚싯대 홀더장착부(220)와, 그리고 수직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즉, 낚싯대 받침장치(200)는 의자 본체(100)에 일체로 장착되어 사용시에는 낚싯대를 받칠 수 있도록 펼쳐지고 사용 후에는 의자 본체(100)와 함께 접혀지는 구조로 된 것이다.
수평지지부(210)는 의자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수평 상태로 길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며, 제1 수평프레임(222)과, 제1 수평프레임(222)에 결합되어 길이 조절되는 제2 수평프레임(224)과, 그리고 제2 수평프레임(224)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재(226)를 포함한다.
제1 수평프레임(222)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의자 본체(100)의 의자부(110)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틀을 형성하는 의자부 프레임(112)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 수평프레임(222)은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의자부 프레임(112)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된다. 이에, 제1 수평프레임(222)은 사용자의 조작시 의자부 프레임(112)에 대해 회전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2 수평프레임(224)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제1 수평프레임(222)의 단부에서 그 내부로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제2 수평프레임(224)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수평프레임(222)에 대해 길이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제2 수평프레임(224)은 그 상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걸림공(225)이 형성되며, 걸림공(225)에는 길이 조절부재(226)에 마련된 탄성 걸림구(227)가 걸림되게 된다.
여기서 제1 수평프레임(222)과 제2 수평프레임(224)은 상호 결합된 후 평면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H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다수의 낚싯대를 받칠 수 있는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길이 조절부재(226)는 제2 수평프레임(224)의 길이 조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1 수평프레임(222)과 제2 수평프레임(224)의 경계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길이 조절부재(226)는 탄성 걸림구(227)에 의해 제2 수평프레임(224)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길이 조절부재(226)는 제2 수평프레임(224)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수평프레임(222)에 대해 길이 조절된 후 탄성 걸림구(227)에 의해 걸림공(225)을 걸림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2 수평프레임(22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낚싯대 홀더장착부(220)는 낚싯대를 거치하기 위한 낚싯대 홀더(222)를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낚싯대 홀더장착부(220)는 수평지지부(210)에 마련된 제2 수평프레임(224)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낚싯대 홀더장착부(220)는 제2 수평프레임(224)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낚싯대 홀더(222)를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홀더 장착홈(224)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낚싯대 홀더장착부(220)는 제2 수평프레임(224)의 단부에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낚싯대 홀더장착부(220)는 전술한 일자(|) 형상이 아닌 일정길이를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낚싯대 홀더장착부(220)가 일정길이를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낚싯대 홀더장착부(220)에 다수의 낚싯대 홀더를 장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낚싯대는 서로 간섭받지 않도록 사용자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낚싯대 홀더(222)는 낚싯대를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이러한 낚싯대 홀더(222)는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여러 형태가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그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직지지부(230)는 수평지지부(2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1 수직프레임(232)과, 제1 수직프레임(232)에 대해 길이 조절되는 제2 수직프레임(234)과, 제2 수직프레임(234)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파이크(236)와, 그리고 제2 수직프레임(23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재(238)를 포함한다.
제1 수직프레임(232)은 낚싯대 홀더장착부(22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 수직프레임(232)은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낚싯대 홀더장착부(220)의 저면에 힌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제1 수직프레임(232)은 사용자의 조작시 수평지지부(210)에 대해 회전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1 수직프레임(232)의 상단부는 수평면(232A)으로 형성되되, 수평면(232A)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의자 본체(100)를 향하는 후방에는 곡면부(232B)가 형성된다. 즉, 제1 수직프레임(232)은 수평지지부(210)를 지지하도록 펼쳐진 후 수평면(232A)과 낚싯대 홀더장착부(220)의 저면 간의 상호 간섭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곡면부(232B)에 의해 수평지지부(210)의 저면 방향으로만 접혀지도록 회전범위가 제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수평지지부(210)의 지지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2 수직프레임(234)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제1 수직프레임(232)의 단부에서 그 내부로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제2 수직프레임(234)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수직프레임(232)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서, 제2 수직프레임(234)은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걸림홈(235)이 형성되며, 걸림홈(235)에는 높낮이 조절부재(238)에 마련된 탄성 걸림구(239)가 걸림되게 된다.
스파이크(236)는 제2 수직프레임(234)의 하단에 결합된다. 즉, 스파이크(236)는 제2 수직프레임(234)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스파이크(236)는 지면과 접촉되는 저면에 톱니 형상의 돌기(237)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수평지지부(210)를 지지시 수직지지부(230)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높낮이 조절부재(238)는 제2 수직프레임(234)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수직프레임(232)과 제2 수직프레임(234)의 경계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높낮이 조절부재(238)는 탄성 걸림구(239)에 의해 제2 수직프레임(23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높낮이 조절부재(238)는 제2 수직프레임(234)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수직프레임(232)의 길이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된 후 탄성 걸림구(239)로 걸림홈(235)을 걸림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2 수직프레임(234)의 길이 조절을 통해 수직지지부(230)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는 접혀진 상태로 운반된 후 사용하고자 하는 해당지점에서 사용자에 조작에 의해 펼쳐지게 된다. 즉, 접이식 의자를 형성하는 의자 본체(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의자부(110), 등받이부(120), 팔걸이부(130) 및 다리부(140)가 일정한 순서에 따라 전개되어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의자 본체(100)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낚싯대 받침장치(200)는 의자부(110)의 저면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어 의자 본체(100)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이후, 수평지지부(210)를 구성하는 제1 수평프레임(222)과 제2 수평프레임(224)은 수평 상태로 펼쳐진 후 길이 조절부재(226)에 의해 길이 조절되고, 수직지지부(230)를 구성하는 제1 수직프레임(232)과 제2 수직프레임(234)은 수평지지부(210)의 전면에서 수직 상태로 펼쳐진 후 높낮이 조절부재(238)에 의해 높낮이 조절됨으로써 낚싯대 받침장치(200)는 의자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완전히 펼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의자 본체(100)와 낚싯대 받침장치(200)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낚싯대 홀더장착부(220)에 낚싯대 홀더(222)를 장착하고 낚싯대 홀더(222)에 낚싯대를 거치함으로써 낚시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낚시를 마친 후에는 낚싯대 홀더장착부(220)에 장착된 낚싯대 홀더(222)를 제거하게 된다. 이후, 펼쳐진 의자 본체(100)를 접은 후 낚싯대 받침장치(200)를 접어서 의자부(110)의 저면에 배치하고 결속밴드(150)로 결속하게 됨으로써 낚싯대 받침장치(200)를 의자 본체(100)에 일체로 결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낚싯대 받침장치(200)가 결속밴드(150)에 의해 의자 본체(100)에 일체로 결속되면, 의자 본체(100)는 어깨밴드(16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는, 의자 본체(100)에 낚싯대 받침장치(200)를 일체로 장착하여 사용 시에는 의자와 함께 펼쳐지고 사용 후에는 접혀진 상태로 의자 본체(100)에 일체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운반 및 보관 등의 각종 상황 발생시 편의성을 확보면서도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의자 본체
110: 의자부 120: 등받이부
130: 팔걸이부 140: 다리부
150: 결속밴드 160: 어깨밴드
200: 낚싯대 받침장치
210: 수평지지부 222: 제1 수평프레임
224: 제2 수평프레임 225: 걸림공
226: 길이 조절부재 227: 탄성 걸림구
220: 낚싯대 홀더장착부 222: 낚싯대 홀더
224: 홀더 장착홈 230: 수직지지부
232: 제1 수직프레임 232A: 수평면
232B: 곡면부 234: 제2 수직프레임
235: 걸림홈 236: 스파이크
237: 돌기 238: 높낮이 조절부재
239: 탄성 걸림구

Claims (6)

  1. 사용자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작동되고 의자부와 등받이부 마련되는 접이식 의자 본체; 및
    상기 의자 본체의 전방에 일체로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작동되고, 다수의 낚싯대를 받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낚싯대 받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낚싯대 받침장치는,
    상기 의자 본체의 의자부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틀을 형성하는 의자부 프레임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의 단부에서 그 내부로 끼움 결합되는 제2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수평프레임에 대해 길이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H형상의 수평지지부;
    상기 수평지지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낚싯대 홀더를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홀더 장착홈이 형성되는 낚싯대 홀더장착부; 및
    상기 낚싯대 홀더장착부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단부에서 그 내부로 끼움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수직프레임에 대해 높낮이 조절되는 제2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파이크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해 펼쳐지고 사용 후에는 수평지지부의 저면으로 접혀지도록 마련되는 수직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제1 수평프레임과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의 경계부에 탄성 걸림구를 갖는 길이 조절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탄성 걸림구에 걸림되도록 다수의 걸림공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경계부에 탄성 걸림구를 갖는 높낮이 조절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탄성 걸림구에 걸림되도록 다수의 걸림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는 수평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면의 중심부를 기준하여 상기 의자 본체를 향하는 후방에는 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평지지부를 지지하도록 펼쳐진 후 상기 수평면과 상기 낚싯대 홀더장착부 저면 간의 상호 간섭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상기 수평지지부의 저면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본체는,
    상기 의자부의 저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의자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낚싯대 받침장치가 완전히 접혀진 후 상기 의자부의 저면에 결속할 수 있는 결속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본체는,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에 배치되도록 등받이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어깨 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한 쌍의 어깨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KR1020160112884A 2016-09-02 2016-09-02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KR101877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84A KR101877437B1 (ko) 2016-09-02 2016-09-02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84A KR101877437B1 (ko) 2016-09-02 2016-09-02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036A true KR20180026036A (ko) 2018-03-12
KR101877437B1 KR101877437B1 (ko) 2018-07-11

Family

ID=6172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884A KR101877437B1 (ko) 2016-09-02 2016-09-02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4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708A (ko) * 2019-09-17 2021-03-25 (주)아피스 낚시대 받침틀 파지기능을 구비한 전폭 조절식 좌대받침틀
KR20220041423A (ko) * 2020-09-25 2022-04-01 김현진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377A (ko) * 2007-07-23 2009-01-30 김태형 의자용 다용도 낚싯대 받침틀 지지장치
KR20090002625U (ko) * 2007-09-12 2009-03-17 한회임 레져용의자
KR101061973B1 (ko) * 2009-03-03 2011-09-05 라승진 의자가 일체로 구비되는 낚시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708A (ko) * 2019-09-17 2021-03-25 (주)아피스 낚시대 받침틀 파지기능을 구비한 전폭 조절식 좌대받침틀
KR20220041423A (ko) * 2020-09-25 2022-04-01 김현진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437B1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396B2 (en) Chair and pack frame combination
US8668268B1 (en) Lounge chair assembly
US8573454B2 (en) Combination backpack and seating apparatus
US8424731B2 (en) Child carrier
KR200485278Y1 (ko) 낚시용 절첩식 의자
US6702384B1 (en) Support device
US20140183831A1 (en) Walking aid device with foldable seat
US20170087037A1 (en) Seat or part thereof
KR101877437B1 (ko) 일체형 낚싯대 받침장치를 갖는 접이식 의자
KR101538963B1 (ko)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US8474916B2 (en) Selectively configurable chair system
KR200485063Y1 (ko) 접이식 의자의 목받침 구조
US8752889B1 (en) Bench system
JP3195625U (ja) リュックサック
KR101484404B1 (ko) 가방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방
KR200164295Y1 (ko) 접이식 의자가 부설된 배낭
CN210901861U (zh) 一种具有防脏功能的背包腰靠装置
JP3104318U (ja) リュックサック
KR101467473B1 (ko) 그늘막부재를 갖춘 접이식의자
JP2004248880A (ja) ベビーホルダー
ES1185686U (es) Silla tumbona portatil plegable en 40mm
JP3103172U (ja) 登山用ハーネスおよび垂直面用ハーネスの尻ベルト一体型腿ベルト
WO2009027749A1 (en) Lounger
KR20220083233A (ko) 이동 작업용 휴대의자
JP2010000209A (ja) 折り畳み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