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026A -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026A
KR20180026026A KR1020160112758A KR20160112758A KR20180026026A KR 20180026026 A KR20180026026 A KR 20180026026A KR 1020160112758 A KR1020160112758 A KR 1020160112758A KR 20160112758 A KR20160112758 A KR 20160112758A KR 20180026026 A KR20180026026 A KR 20180026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bent
partition member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445B1 (ko
Inventor
김해일
김상윤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태경제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경제이비 filed Critical (주)태경제이비
Priority to KR1020160112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4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02S40/425Cooling mean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패널과, 접속반을 포함하는 태양광발전장치에 있어서, 접속반은,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와,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와, 본체에 구비되고, 부품의 열기를 식혀준 내부 공기를 2개 이상의 이동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SOLAR GENERATOR USING NATURE WAY AND FORCED METHOD OUTLET}
본 발명은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격벽부재에 절개공간부를 형성하여 송풍팬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내부 공기와 합류시켜 배출하므로 내부 공기의 배출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은 태양 전지모듈에서 생산된 직류전류를 인버터가 교류전류로 변환하여 각 수용가에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태양전지패널(solar battery panel)과, 접속반(connector)과, 인버터(invter)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접속반은 감시 기능이 없는 일반형 접속반과, 채널을 감시할 수 있는 채널 감시형 접속반으로 이루어진다. 일반형 접속반과 채널 감시형 접속반 모두 저압형과 고압형으로 나뉜다.
일반형 접속반은 태양 전지모듈과 인버터 사이의 정격 보호모듈로 휴즈 및 역류방지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인버터를 보호하고 모듈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보호한다.
채널 감시형 접속반은 상술한 일반형 접속반의 기능에다 부가하여 통신 기능을 탑재하므로 태양 전지모듈별 전압, 전류 상태 및 불량 상태를 점검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일반형 접속반 및 채널감시형 접속반 모두 사용 도중에 접속반 내부에 발생된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이,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고 차거운 외부공기를 내부로 순환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접속반에는 통풍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기존의 접속반의 통풍구는 본체의 측면에만 형성되고, 통풍구가 측면에만 형성됨에 따라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로 인해 외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내부 부품에 과도한 열기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부품에 손상이 가해져 쉽게 파손되거나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8991호(발명의 명칭: 태양광 접속반, 등록일: 2013.09.10)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체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격벽부재에 절개공간부를 형성하여 송풍팬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내부 공기와 합류시켜 배출하므로 내부 공기의 배출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패널과, 접속반을 포함하는 태양광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반은,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부품의 열기를 식혀준 내부 공기를 2개 이상의 이동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안내부는, 상기 본체 내에 가로 질러 배치되고, 절개공간부를 구비하는 격벽부재; 및 상기 격벽부재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 이동시켜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격벽부재에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공기이동공; 및 상기 공기이동공의 하측 또는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이동공을 통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조립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공간부는 상기 격벽부재에서 상기 도어 반대측 후방 부위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재의 후단에는 공가의 이동을 상측을 거쳐 전측으로 안내하는 상향굴곡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부재의 전측에는 하측으로 절곡된 하향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덮개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격벽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차단판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의 단부에는 상기 하향굴곡부기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굴곡진 굴곡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향굴곡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 측으로 구부려지고, 상기 상향굴곡부의 단부에는 공기의 전측 이동시 공기이동 위치를 다르게 하여 안내하는 주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본체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격벽부재에 절개공간부를 형성하여 송풍팬유닛에 의해 이동하는 내부 공기와 합류시켜 배출하므로 내부 공기의 배출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부재의 후측 단부에 상측으로 굴곡된 상향절곡부를 형성하여 공기의 이동을 공기이동공의 토출 공기와 상측에서 합류하도록 상측으로 유도하여 안내하고, 상햐굴곡부를 전측으로 구부리면서 주름홈부를 형성하여 와류 발생을 증진시켜 공기의 유속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반 본체 내측으로 외기를 흡입하는 외기유입촉진부를 이용하여 통풍구조를 본체의 측면과 본체의 저면에 각각 이중으로 형성하므로 외기의 급속 유입을 유도하거나 외기의 충돌을 인한 와류를 유도하여 내부 부품의 열기를 신속하게 식혀 부품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 유속증진안내부를 형성하여 측부과 하부에서 유입되어 합류하는 외기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안내하고, 필터부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내부 절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외기유입촉진부와 유속증진안내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외기유입안내부의 측면 및 저면부위의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유입촉진부와 유속증진안내부를 통해 외기가 유압, 안내 및 충돌되어 속도가 증진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상측부위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안내부를 상세하게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송풍안내부의 변형 예를 보인 서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내부 절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외기유입촉진부와 유속증진안내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외기유입안내부의 측면 및 저면부위의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유입촉진부와 유속증진안내부를 통해 외기가 유압, 안내 및 충돌되어 속도가 증진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상측부위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안내부를 상세하게 보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에서 송풍안내부의 변형 예를 보인 서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패널 및 접속반을 포함한다.
태양전지패널(미도시)은 지붕 등의 소정의 위치에 태양광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구성이다. 태양광전지패널은 통상적으로 태양광이 잘 비추는 위치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태양에서 비추는 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이다.
접속반은 태양전지패널에서 생성된 전기를 수용하여 적절한 상태로 변환하면서 설비를 보호하는 장치이다.
즉, 접속반은 태양전지패널(태양전지모듈)과 인버터(미도시) 사이에 배치되어 인버터를 보호하고 모듈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보호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반은, 본체(100), 도어(200) 및 송풍안내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패널에서 생성된 전기를 수용하여 적절한 상태로 변환하면서 설비를 보호하는 장치이다.
즉, 접속반은 태양전지패널(태양전지모듈)과 인버터(미도시) 사이에 배치되어 인버터를 보호하고 모듈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보호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태양전지패널은 지붕 등의 소정의 위치에 태양광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구성이다. 태양광전지패널은 통상적으로 태양광이 잘 비추는 위치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태양에서 비추는 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반은, 일반형 접속반(저압형, 고압형)과, 패널감시형 접속반(저압형, 고압형) 등과 같이 어떠한 타입의 접속반이던지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반은 일반형 접속반(저압형, 고압형 포함)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는 권리를 제한하지 않고, 채널감시형 접속반(저압형, 고압형)에도 권리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체(100)는 부품이 내장되는 구성이다, 본체(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외형을 형성한다.
본체(100)는 접속반을 통상적으로 외부에 배치하여 주로 사용하므로 부식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체(100)는 도장이 잘 이루어진 철 또는 합금 등의 판넬일 수도 있다.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높은 직사각형상의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 내에 설치되는 부품은 회로 차단기(MCCB), 졍션 모듈(JUNCTION MODULE), 과전압 보호장치(Surge Protector), 항온기(THERMOSTAT), 누전차단기(ELB), 분류기(SHUNT), 데이타 기록기(DATALOGG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상측 테두리의 둘레에 상측으로 배치되는 측면판(120)과, 측면판(120) 상에 덮여지는 덮개(130)를 포함한다.
바닥부(110)는 사각케이스 형태로 형성된다.
측면판(120)은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측면판(120)의 후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배면판(번호 미기재)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닥부(110)는 바닥에 접촉되는 바닥판(112)과, 바닥판(112)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구비되고, 측면판(120)에서 이격 배치되는 보조측면판(114)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바닥부(110)의 좌우너비는 한 쌍의 측면판(120)의 좌우너비에 비해 좁게 형성된다.
이로써, 바닥부(110)와 측면판(120) 사이의 공간부를 통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외기를 상승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기존의 접속반이 측면판과 바닥판이 직각으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므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외기를 유입하는 공간이 없어 측면판으로만 외기를 유입하므로 외기유입효율이 저하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은 바닥부(110)와 측면판(120) 사이의 공간으로 외기를 유입함과 동시에 측면판(120)에 형성되는 통풍공간을 통해 이중으로 외기가 유입됨으로써, 외기 유입효율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덮개(130)는 비대칭인 V자 형상의 커버 형태로 형성된다. 이 덮개(130)는 상부 전측 중심부위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므로 비 또는 눈이 왔을 때, 잘 흘러 내리게 한다.
덮개(130)는 도어(200)를 덮어주도록 도어(200)에 비해 전측으로 약간 더 돌출되는 모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0)는 본체(100)의 전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개폐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보관된 부품등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때 사용된다.
도어(200)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중 도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200)는 록킹장치를 통하여 본체(100)에 결속된다.
외기유입촉진부(300)는 본체(100)에 구비되고 부품의 열기를 식히기 위해 2개 이상의 통풍경로를 통해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냉각 효율을 높이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본체에 구비되고 부품의 열기를 식히기 위해 2개 이상의 통풍경로를 통해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냉각 효율을 높이는 외기유입촉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유입촉진부(300)는 측면판(120)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측면판(120)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외기를 유입하는 측면통풍부(310)와, 보조측면판(114)과 측면판(120) 사이에 구비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외기를 유입하는 하부통풍부(320)를 포함한다.
측면통풍부(310)는 측면판(120)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측면통풍구(3120)와, 측면통풍구(312)를 커버하면서 하측으로 개방 형성되는 측면커버부재(314)를 포함한다.
측면통풍구(312)는 측면판(120)을 프레스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하여 하단부를 절개하면서 돌출시켜 커버가 덮여지듯이 하측에서 측면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구성된다.
측면커버부재(314)는 측면통풍구(312)가 덮개 형태로 되어 있지만, 단차가 낮은 관계로 이물질 또는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측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써, 다수 개의 측면통풍구(312)에 대하여 하측으로 길게 커버함으로써, 외기가 상측으로 설정거리 이동하다가 측면통풍구(312)를 통하여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하부통풍부(320)는 보조측면판(114)과 측면판(120)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마감판(322)과, 하부마감판(322)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는 하부통풍구(324)를 포함한다.
하부마감판(322)은 보조측면판(114)의 상면 테두리에서 측면판(120)의 저면테두리까지 연장 형성되어 마감하는 판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통풍구(324)가 형성된다.
하부통풍구(3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후 길이 방향으로 타원형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원형구멍 또는 격자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측면통풍구(312)와 하부통풍구(324)를 커버하고, 충돌에 의해 유속이 증진된 외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속증진안내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속증진안내부(400)는 측면통풍구(312)와 하부통풍구(324)를 커버하는 안내케이스부재(410)와, 안내케이스부재(410)의 상측에 측면통풍구(312)의 측면 유입 외기와 하부통풍구(324)의 하부 유입 외기를 합류시켜 상측으로 유도하는 상측토출구(420)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케이스부재(410)는 측면통풍구(312)를 통해 측면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하부통풍구(324)를 통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서로 충돌되어 합류하면서 와류를 유도 및 안내하고 상측토출구(420)를 통하여 상측으로 토출을 증진시켜 본체(100) 내부에 구비된 부품들에 외부 공기를 빠른 유속으로 공급함으로써, 부품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켜 준다.
안내케이스부재(410)의 내부에는 측면통풍구(312)와 하부통풍구(324)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재(4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재(430)는 한 겹 이상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굵기의 이물질을 모두 걸러주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필터부재(430)는 안내케이스부재(410)의 개방 형성된 하측부위를 통하여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안내케이스부재(410)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유통구멍(440)이 형성될 수 있다.
유통구멍(440)은 상측토출구(430)와 함께 측면통풍구(312)와 하부통풍구(324)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측토출구(420)를 통해 미처 상측으로 토출되지 못한 공기를 안내케이스부재(410)의 측면으로 추가 배출시키므로 부품의 냉각 효율을 더욱더 증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안내케이스부재(410)는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412)에 의해 측면판(120)의 내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필터부재(430)는 플랜지부(412)의 나사 결합을 통하여 안내케이스부재(410)의 공간부에서 다른 것으로 교체 장착될 수 있다.
송풍안내부(400)는 본체(100)에 구비되고, 부품의 열기를 식혀준 내부 공기기를 2개 이상의 이동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송풍안내부(500)는 본체(100)의 내부 상측에 가로 질러 배치되는 격벽부재(510)와, 격벽부재(510)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 이동시켜 배출부(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유닛(520)를 포함한다.
격벽부재(510)는 도어(200) 반대측 후방 부위가 절개된 절개공간부(512)가 형성된다.
격벽부재(510)의 후단에는 공가의 이동을 상측을 거쳐 전측으로 안내하는 상향굴곡부(514)가 구비된다.
상향굴곡부(514)는 격벽부재(510)의 수평면으로부터 살정 각도로 구부려져 상측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송풍유닛(524)의 공기이동공(522)을 통해 미쳐 이동하지 못하는 내부 공기를 절개공간부(512)의 개방부위를 통해 이동되게 함으로써 내부공기의 배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향굴곡부(514)는 격벽부재(510)에서 직각으로 구부려지는 것이 좋다.
도10을 참조하면, 상향굴곡부(5140는 상측으로 갈수록 배출부(530) 측으로 구부려질수 있다.
상향굴곡부(514)의 단부에는 공기의 전측 이동시 공기이동 위치를 다르게 하여 안내하는 주름부(5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주름부(516)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공기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주름홈부(516a)와, 주름홈부(516a)에 접하여 상측으로 돌출되어 공기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주름돌부(516b)를 포함한다.
주름부(518)을 통하여 이동하는 공기 중 주름홈부(516a)로 이동하는 공기는 하측 방향에서 이동하고, 주름돌부(516b)로 이동하는 공기는 상측 방향에서 이동하므로 공기이동공(522)에서 노출ㄷ회는 공기와 충돌할 경우, 급속한 와류가 발생되면서 배출부(530)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로써, 주름부(518)는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증진시킬 수 있다.
격벽부재(510)의 전측에는 하측으로 설정 각도 굴곡된 하향굴곡부(542)가 형성될 수 있다. 하향굴곡부(542)는 격벽부재(510)에서 직각으로 구부려지는 것이 좋다.
배출부(530)는 덮개(130)의 하측 가장자리와 격벽부재(510)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판(540)에 구비되어 내부 공기를 하측으로 안내하여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배출부(530)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덮개(130)에 의해 덮여짐에 따라 이물질과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부(530)는 타원형, 원형 또는 격자 형상 구멍으로 형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판(540)의 단부에는 하향굴곡부(542)가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굴곡진 굴곡플랜지부(544)가 구비될 수 있다.
송풍유닛(520)은 격벽부재(510)에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공기이동공(522)과, 공기이동공(522)의 하측 또는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이동공(522)을 통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조립체(524)를 포함한다.
송풍팬조립체(524)는 설치브라켓(526)을 이용하여 공기이동공(522) 주변의 격벽부재(510)에 설치된다.
본체(10)의 상측 저면에는 내부에 공기를 순환시켜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팬조립체(524)가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유닛(520)의 송풍팬조립체(524)의 회전을 통해 내부 공기가 공기이동공(522)을 거쳐 이동할 때, 공기이동공(522)에서 통과하지 못하는 일부 공기는 절개공간부(512)를 통하여 상측을 거쳐 전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공기이동공(522)로 토출되는 공기와 합류하여 차단판(540)의 배출부(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배출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바닥부
112 : 바닥판 114 : 보조측면판
200 : 도어 300 : 외기유입촉진부
310 : 측면통풍구 312 : 측면통풍구
314 : 측면커버부재 320 : 하부통풍부
322 : 하부마감판 324 : 하부통풍구
400 : 유속증진안내부 410 : 안내케이스부재
412 : 플랜지부 420 : 상측토출구
430 : 필터부재 440 : 유통구멍
500 : 송풍안내부 510 : 격벽부재
512 : 절개공간부 514 : 상향굴곡부
516 : 주름부 516a : 주름홈부
516b : 주름돌부 520 : 송풍유닛
522 : 공기이동공 524 : 송풍팬조립체
530 : 배출부 540 : 차단판
542 : 하향굴곡부 544 : 굴곡플랜지부

Claims (5)

  1. 태양전지패널과, 접속반을 포함하는 태양광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반은,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부품의 열기를 식혀준 내부 공기를 2개 이상의 이동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안내부는,
    상기 본체 내에 가로 질러 배치되고, 절개공간부를 구비하는 격벽부재; 및
    상기 격벽부재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 이동시켜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격벽부재에 상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공기이동공;
    상기 공기이동공의 하측 또는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이동공을 통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조립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공간부는 상기 격벽부재에서 상기 도어 반대측 후방 부위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재의 후단에는 공가의 이동을 상측을 거쳐 전측으로 안내하는 상향굴곡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의 전측에는 하측으로 절곡된 하향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덮개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격벽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차단판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의 단부에는 상기 하향굴곡부기 접촉되도록 하측으로 굴곡진 굴곡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굴곡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 측으로 구부려지고,
    상기 상향굴곡부의 단부에는 공기의 전측 이동시 공기이동 위치를 다르게 하여 안내하는 주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60112758A 2016-09-01 2016-09-01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KR101889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758A KR101889445B1 (ko) 2016-09-01 2016-09-01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758A KR101889445B1 (ko) 2016-09-01 2016-09-01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026A true KR20180026026A (ko) 2018-03-12
KR101889445B1 KR101889445B1 (ko) 2018-08-24

Family

ID=6172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758A KR101889445B1 (ko) 2016-09-01 2016-09-01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4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411B1 (ko) * 2018-09-11 2019-03-05 주식회사 더조은에너지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KR101949463B1 (ko) * 2018-09-20 2019-02-18 주식회사 더조은에너지 IoT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63B1 (ko) * 2012-01-30 2013-09-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인버터를 포함하는 태양광 접속반
KR101451704B1 (ko) * 2014-04-30 2014-10-23 (주)대연씨앤아이 인버터 일체형 접속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445B1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1514B2 (ja) 室外ユニット
KR101889445B1 (ko)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CN109237640B (zh) 空调室外机和空调器
CN106786069A (zh) 一种电气工程用高效环流散热电气柜
KR101889444B1 (ko) 이중 흡입을 통한 교차 공기 유속을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JPWO2020044990A1 (ja) 電力変換システム及び蓄電システム
KR20170000349U (ko) 배전반
JP587735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190090586A (ko) 수배전반의 온도상승 방지구조
CN211654173U (zh) 机箱及电子设备
CN211119714U (zh) 一种热泵空调器室外机
US10227919B2 (en) Package-storage type engine generator
CN211739320U (zh) 空调室外机
CN114640148A (zh) 带有充电电子设备单元和冷却空气引导结构的充电器
CN107588478A (zh) 一种便于散热的空调器
CN208536180U (zh) 一种电控模块的散热结构以及空调外机
CN209960652U (zh) 空调器
CN216481319U (zh) 电器盒及空调室外机
CN218388390U (zh) 一种逆变器的散热结构及集装箱系统
CN218033431U (zh) 一种室外机以及空调系统
CN215260191U (zh) 空调室外机的电控盒及空调室外机
CN212538075U (zh) 一种防水安装装置及空调器
CN220441164U (zh) 通信设备及频率干扰仪
CN217178752U (zh) 空调器室外机
CN218996533U (zh) 一种电容散热防爆风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