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349U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349U
KR20170000349U KR2020150004800U KR20150004800U KR20170000349U KR 20170000349 U KR20170000349 U KR 20170000349U KR 2020150004800 U KR2020150004800 U KR 2020150004800U KR 20150004800 U KR20150004800 U KR 20150004800U KR 20170000349 U KR20170000349 U KR 201700003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hamber
side panel
pressur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078Y1 (ko
Inventor
유록형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4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7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 차단기실과 상부 차단기실이 구획되고, 하부 케이블실과 모선실과 상부 케이블실이 구획된 배전반에 있어서, 하부 차단기실과 연통되는 제 1 사이드 방압구가 형성된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 모선실과 연통되는 제 2 사이드 방압구가 형성된 센터 사이드패널; 하부 케이블실과 연통되는 제 3 사이드 방압구가 형성된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 하부 차단기실에서 제1사이드 방압구를 통과한 가스를 안내하는 제1사이드덕트; 모선실에서 제2사이드 방압구를 통과한 가스를 제2사이드덕트; 및 하부 케이블실에서 제3사이드 방압구를 통과한 가스를 안내하는 제3사이드덕트를 포함하여, 사이드패널을 통해 옆으로 유동된 가스가 사이드덕트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할 수 있어 배전반의 전후 방향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각 실의 사이에 별도의 방압 통로를 위치시킬 필요가 없이, 각 실을 서로 인접하면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전반{Distribution Board}
본 고안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압 통로를 갖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은 수전과 배전 계통에서 전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차단기 및 보호계전기를 철재 외함에 수납하여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하여 주기 위한 설비이다.
배전반은 배전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접지된 금속체로 폐쇄 조립한 폐쇄 배전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전반은 아크 단락사고, 예를 들어 3상 아크 단락이 발생하면 배전반은 폭발해서 부근의 인체에까지 피해를 끼칠 수 있다.
배전반은 상부에 방압구(ACR VENT)를 형성하여, 아크 폭발 사고시에 발생된 가스가 방압구를 통해 방출되게 할 수 있다.
KR 제10-2011-0117959 A (2011년10월28일 공개)
본 고안은 구획된 각 실 사이에 별도의 방압 통로를 형성할 필요 없고 전후 방향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하부 차단기실과 상부 차단기실이 구획되고, 하부 케이블실과 모선실과 상부 케이블실이 구획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차단기실과 연통되는 제 1 사이드 방압구가 형성된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 상기 모선실과 연통되는 제 2 사이드 방압구가 형성된 센터 사이드패널; 상기 하부 케이블실과 연통되는 제 3 사이드 방압구가 형성된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 상기 하부 차단기실에서 제1사이드 방압구를 통과한 가스를 안내하는 제1사이드덕트; 상기 모선실에서 제2사이드 방압구를 통과한 가스를 제2사이드덕트; 및 상기 하부 케이블실에서 상기 제3사이드 방압구를 통과한 가스를 안내하는 제3사이드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사이드덕트와 제2사이드덕트와 제3사이드덕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긴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고 가스 통공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사이를 덮는 덕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덕트와 제2사이드덕트와 제3사이드덕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로어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덕트와 제2사이드덕트와 제3사이드덕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덕트커버의 반대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가스통공은 상기 제1 사이드 방압구와 제2 사이드 방압구 및 제3 사이드 방압구와 개구 방향이 직교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외측면과 덕트커버의 외측면을 함께 덮는 아우터 사이드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덕트와, 제2사이드덕트 및 제3사이드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안내된 가스가 배출되는 어퍼 방압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탑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과 상기 탑 커버 사이에 배치된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은 상기 제1사이드덕트를 통과하는 가스를 상기 어퍼 방압부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 사이드패널과 상기 탑 커버 사이에 배치된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은 상기 제2사이드덕트를 통과하는 가스를 상기 어퍼 방압부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 사이드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블실의 가스가 상기 제2사이드덕트로 유입되는 제4사이드 방압구가 형성된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과 상기 탑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은 상기 제3사이드덕트를 통과하는 가스를 상기 어퍼 방압부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는 상기 상부 차단기실과 상부 케이블실을 덮고, 상기 상부 차단기실 상측에 상부 차단기실 어퍼 방압부가 배치되며, 상기 상부 케이블실 상측에 상부 케이블실 어퍼 방압부가 배치된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옆에 위치되고 상기 어퍼 방압부의 복수개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사이드패널 옆에 위치하는 사이드덕트를 통해 가스를 배출할 수 있어 배전반의 전후 방향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각 실의 사이에 별도의 방압 통로를 위치시킬 필요가 없이, 각 실을 서로 인접하면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 차단기실, 상부 차단기실, 모선실, 하부 케이블실 및 상부 케이블실의 총 5개 실의 방압 통로를 간단하면서 컴팩트한 구조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이드덕트가 사이드패널과 함께 방압 통로를 형성할 수 있어 사이드덕트를 구성하는 재료비가 저감될 수 있고,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사이드패널 일부의 측면이 가스를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으로 기능하여, 부품 공용화가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 일실시예에서 사이드덕트가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전반에 프레임이 설치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전반에 덕트커버가 설치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전반에 아우터 사이드커버가 설치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배전반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어셈블리(2)와, 캐비닛 어셈블리(2)의 공간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4)(6)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어셈블리(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 어셈블리(2)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 어셈블리(2)는 베이스(11)와, 사이드패널과, 리어 패널(13)(14)과, 탑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4)(6)는 캐비닛 어셈블리(2)의 전방 하측에 위치되는 로어 도어(4)와, 캐비닛 어셈브리(2)의 전방 상측에 위치되는 어퍼 도어(6)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은 복수개의 차단기(21)(22)가 설치되는 2단적 배전반일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차단기(21)(22)는 배전반 내부의 서로 다른 차단기실(R1)(R2)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배전반은 하부 차단기실(R1)과 상부 차단기실(R2)이 구획되고, 하부 차단기실(R1)과 상부 차단기실(R2) 후방에 하부 케이블실(R3)과 모선실(R4)과 상부 케이블실(R5)이 구획될 수 있다.
캐비닛 어셈블리(2)의 내부에는 캐비닛 어셈블리(2)의 공간을 프론트 공간과 리어 공간으로 전후 구획하는 수직 베리어(23)가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 어셈블리(2)의 내부에는 수직 베리어(23)의 전방 공간을 상하 구획하는 차단기실 베리어(24)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차단기실(R1)은 수직 베리어(23)의 전방이면서 차단기실 베리어(24)의 하측인 공간일 수 있다. 하부 차단기실(R1)은 로어 도어(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 차단기실(R2)는 수직 베리어(23)의 전방이면서 차단기실 베리어(24)의 상측인 공간일 수 있다. 상부 차단기실(R2)는 어퍼 도어(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캐비닛 어셈블리(2)의 내부에는 모선실(R3)을 하부 케이블실(R4) 및 상부 케이블실(R5)과 구획하는 센터 베리어(25)가 설치될 수 있다. 센터 베리어(25)는 수직 베리어(23)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하판부와, 후판부와, 상판부를 포함할 수 있고, 모선실(R3)은 수직 베리어(23)와 센터 베리어(25)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캐비닛 어셈블리(2)의 내부에는 하부 케이블실(R4)과 상부 케이블실(R5)을 구획하는 케이블실 베리어(26)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케이블실(R4)는 수직 베리어(23) 및 센터 베리어(25)의 후방이면서 케이블실 베리어(26)의 하측인 공간일 수 있다.
상부 케이블실(R5)은 수직 베리어(23) 및 센터 베리어(25)의 후방이면서 케이블실 베리어(26)의 상측인 공간일 수 있다.
배전반은 하부 차단기실(R1), 상부 차단기실(R2), 모선실(R3), 하부 케이블실(R4) 및 상부 케이블실(R5) 별로 각각 독립된 방압 통로를 갖을 수 있다.
배전반은 탑 커버(15)를 통해 가스를 방출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배전반은 상부 차단기실(R2)의 가스가 그 상측에 위치하는 탑 커버(15)를 통해 직접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전반은 상부 케이블실(R5)의 가스가 그 상측에 위치하는 탑 커버(15)를 통해 직접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전반은 하부 차단기실(R1)의 가스가 상부 차단기실(R2)를 통과하지 않고 하부 차단기실(R1)의 옆과 상부 차단기실(R2)의 옆을 우회하여 탑 커버(1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전반은 모선실(R3)의 가스가 상부 케이블실(R5)를 통과하지 않고, 모선실(R3)의 옆과, 상부 케이블실(R5)의 옆을 우회하여 탑 커버(1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전반은 하부 케이블실(R4)의 가스가 모선실(R3)이나 상부 케이블실(R5)를 통과하지 않고, 모선실(R3)의 옆과, 상부 케이블실(R5)의 옆을 우회하거나 하부 케이블실(R4)의 옆과, 상부 케이블실(R5) 옆을 우회하여 탑 커버(1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탑 커버(15)에는 상부 차단기실(R2) 상측에 상부 차단기실 어퍼 방압부(16)가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15)에는 상부 케이블실(R5) 상측에 상부 케이블실 어퍼 방압부(17)가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15)에는 후술하는 사이드덕트(SD1)(SD2)(SD3)에 의해 안내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어퍼 방압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방압부(18)(19)(20)는 복수개의 사이드덕트(SD1)(SD2)(SD3)에 안내된 공기를 배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전반이 제1사이드덕트(SD1)와, 제2사이드덕트(SD2) 및 제3사이드덕트(SD3)를 포함할 경우, 탑 커버(15)는 제1사이드덕트(SD1)와, 제2사이드덕트(SD2) 및 제3사이드덕트(SD3)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안내된 가스가 배출되는 어퍼 방압구(18)(19)(20)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5)에는 복수개의 어퍼 방압부(18)(19)(2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어퍼 방압부(18)(19)(20)은 탑 커버(15)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어퍼 방압부(18)(19)(20) 각각은 탑 커버(15)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5)에 형성된 어퍼 방압부(18)(19)(20)의 개수는 사이드덕트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덕트(SD1)(SD2)(SD3)가 3개일 경우, 어퍼 방압부(18)(19)(20)는 3개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5)에는 제1 어퍼 방압부(18)와 제2 어퍼 방압부(19)와 제3 어퍼 방압부(20)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15)는 상부 차단기실(R2)의 상측 및 상부 케이블실(R5)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부 차단기실(R2)과 상부 케이블실(R5)을 덮는 제1영역(A)과, 제1영역(A)의 옆에 위치되고 상부 차단기실(R2)과 상부 케이블실(R5)을 덮지 않는 제2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15)는 제1영역(A)에 상부 차단기실 어퍼 방압부(16)와 상부 케이블실 어퍼 방압부(17)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15)는 제2영역(B)에 제1 어퍼 방압부(18)와 제2 어퍼 방압부(19)와 제3 어퍼 방압부(20)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15)에 배치되는 어퍼 방압부(16,17,18,19,20)은 탑 커버(15)에 형성된 개구부(즉, 가스 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방압 바디와, 방압 바디에 힌지로 연결되고 방압 바디의 공간을 개폐하는 방압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15)에 형성된 개구부와 방압 바디의 공간을 통과한 고압 가스는 방압 커버를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 경우,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된 고압 가스는 탑 커버(15)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탑 커버(15)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어퍼 방압부(16,17,18,19,20)는 그 설치 위치가 상이하고, 모두 동일한 구조일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 일실시예에서 사이드덕트가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전반에 프레임이 설치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전반에 덕트커버가 설치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전반에 아우터 사이드커버가 설치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배전반은 복수개의 사이드패널(SP1)(SP2)(SP3)(SP4)(SP5)(SP6)(SP7)을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은 복수개의 좌측 사이드패널과, 복수개의 우측 사이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차단기실(R1), 상부 차단기실(R2), 모선실(R3), 하부 케이블실(R4) 및 상부 케이블실(R5)은 복수개의 좌측 사이드패널과, 복수개의 우측 사이드패널의 사이에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하부 차단기실(R1) 및 상부 차단기실(R2)의 방압 통로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전반은 하부 차단기실(R1)과 연통되는 제 1 사이드 방압구(SH1)가 형성된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은 하부 차단기실(R1)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에 위치되어 하부 차단기실(R1)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이 하부 차단기실(R1)의 좌측에 위치될 경우, 배전반은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의 반대편 즉, 하부 차단기실(R1)의 우측에 위치되는 로어 프론트 우측패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차단기실(R1)은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과 로어 프론트 우측패널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로어 프론트 우측패널은 하부 차단기실(R1)의 고압 가스가 통과하기 위한 방압구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로어 프론트 우측패널은 방압구가 형성되지 않는 로어 사이드 대응패널일 수 있다.
반대로,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이 하부 차단기실(R1)의 우측에 위치될 경우, 배전반은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의 반대편 즉, 하부 차단기실(R1)의 좌측에 위치되는 로어 프론트 좌측패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차단기실(R1)은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과 로어 프론트 좌측패널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로어 프론트 좌측패널은 하부 차단기실(R1)의 고압 가스가 통과하기 위한 방압구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로어 프론트 좌측패널은 방압구가 형성되지 않는 로어 프론트 대응패널일 수 있다.
배전반은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과 탑 커버(15) 사이에 배치된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SP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SP4)는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1)의 상단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배전반은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SP4)을 마주보게 배치되는 어퍼 프론트 대응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프론트 대응패널은 로어 프론트 대응패널과 탑 커버(1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차단기실(R2)은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SP4)와 어퍼 프론트 대응패널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차단기실(R2)은 고압 가스가 그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방압부(16)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SP4)와 어퍼 프론트 대응패널에는 고압 가스가 통과하기 위한 방압구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하부 차단기실(R1)의 고압 가스는 제 1 사이드 방압구(SH1)을 통해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의 옆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하부 차단기실(R1)에서 제1 사이드 방압구(SH1)을 통과한 공기는 제1 사이드덕트(SD1)에 의해 제1 어퍼 방압부(18)로 유동될 수 있다.
배전반은 하부 차단기실(R1)에서 제1사이드 방압구(SH1)를 통과한 가스를 제1 어퍼 방압부(18)로 안내하는 제1사이드덕트(S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이드 방압구(SH1)을 통과한 가스는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과 제1사이드덕트(SD1) 사이의 방압통로를 통과할 수 있고, 이후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SP4)와 제1사이드덕트(SD1) 사이의 방압통로를 통과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제1 어퍼 방압부(18)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은 제1사이드덕트(SD1)를 통과하는 가스를 상측 방향으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은 양면 중 제1사이드덕트(SD1)을 마주보는 면이 사이드 가이드면일 수 있고, 사이드 가이드면의 반대면이 하부 차단실(R1)을 향하는 하부 차단실 형성면일 수 있다.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SP4)은 제1사이드덕트(SD1)를 통과하는 가스를 제1 어퍼 방압부(18)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SP4)는 제1사이드덕트(SD1)을 마주보는 면이 사이드 가이드면일 수 있고, 사이드 가이드면의 반대면이 상부 차단실(R2)을 향하는 상부 차단실 형성면일 수 있다.
이하, 모선실(R3),하부 케이블실(R4) 및 상부 케이블실(R5) 각각의 방압 통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전반은 모선실(R3)과 연통되는 제 2 사이드 방압구(SH2)가 형성된 센터 사이드패널(SP2)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사이드패널(SP2)은 모선실(R3)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에 위치되어 모선실(R3)을 형성할 수 있다.
센터 사이드패널(SP2)은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의 후방 및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SP4)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배전반은 센터 사이드패널(SP2)의 반대편에 센터 사이드 대응패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모선실(R3)는 센터 사이드패널(SP2)와 센터 사이드 대응패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모선실(R3)의 가스는 센터 사이드(SP2)의 제 2 사이드 방압구(SH2)로 유출될 수 있고, 센터 사이드 대응패널에는 모선실(R3)의 고압 가스가 통과하기 위한 방압구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배전반은 센터 사이드패널(SP2)과 탑 커버(15) 사이에 배치된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SP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은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SP5)의 반대편에 센터 어퍼 사이드 대응패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S5)와 센터 어퍼 사이드 대응패널은 상부 케이블실(R5)의 전방 영역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모선실(R3)의 고압 가스는 제 2 사이드 방압구(SH2)을 통해 센터 사이드패널(SP2)의 옆으로 배출될 수 있다. 모선실(R2)에서 제2 사이드 방압구(SH2)을 통과한 공기는 제2사이드덕트(SD2)에 의해 제2 어퍼 방압부(19)로 유동될 수 있다.
배전반은 모선실(R3)에서 제2사이드 방압구(SH2)를 통과한 가스를 제2 어퍼 방압부(19)로 안내하는 제2사이드덕트(S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이드 방압구(SH2)을 통과한 가스는 센터 사이드패널(SP2)과 제2사이드덕트(SD2) 사이의 방압통로를 통과할 수 있고, 이후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SP5)와 제2사이드덕트(SD2) 사이의 방압통로를 통과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제2 어퍼 방압부(19)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센터 사이드패널(SP2)은 제2사이드덕트(SD2)를 통과하는 가스를 상측 방향으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사이드패널(SP2)은 양면 중 제2사이드덕트(SD2)을 마주보는 면이 사이드 가이드면일 수 있고, 사이드 가이드면의 반대면이 모선실(R3)을 향하는 모선실 형성면일 수 있다.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SP5)은 제2사이드덕트(SD2)를 통과하는 가스를 제2 어퍼 방압부(19)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SP5)는 제2사이드덕트(SD2)을 마주보는 면이 사이드 가이드면일 수 있고, 사이드 가이드면의 반대면이 상부 케이블실(R5)을 향하는 상부 케이블실 형성면일 수 있다.
배전반은 하부 케이블실(R4)과 연통되는 제 3 사이드 방압구(SH3)가 형성된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은 센터 사이드패널(SP2)의 후방 및 후술하는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SP6)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배전반은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의 반대편에 로어 리어 사이드 대응패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케이블실(R4)는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와 로어 리어 사이드 대응패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와 로어 리어 사이드 대응패널은 하부 케이블실(R4)의 후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케이블실(R4)의 가스는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의 제3 사이드 방압구(SH3)로 유출될 수 있고, 로어 리어 사이드 대응패널에는 하부 케이블실(R4)의 고압 가스가 통과하기 위한 방압구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배전반은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과 탑 커버(15) 사이에 배치되는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SP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은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SP7)의 반대편에 어퍼 리어 사이드 대응패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SP7)와 어러 리어 사이드 대응패널은 상부 케이블실(R5)의 후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하부 케이블실(R4)의 고압 가스는 제 3 사이드 방압구(SH3)을 통해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의 옆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하부 케이블실(R4)에서 제3 사이드 방압구(SH3)을 통과한 공기는 제3 사이드덕트(SD3)에 의해 제3 어퍼 방압부(20)로 유동될 수 있다.
배전반은 하부 케이블실(R4)에서 제3사이드 방압구(SH3)를 통과한 가스를 제3 어퍼 방압부(20)로 안내하는 제3사이드덕트(SD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사이드 방압구(SH3)을 통과한 가스는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와 제3사이드덕트(SD3) 사이의 방압통로를 통과할 수 있고, 이후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SP7)와 제3사이드덕트(SD3) 사이의 방압통로를 통과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제3 어퍼 방압부(2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은 제3사이드덕트(SD2)를 통과하는 가스를 상측 방향으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는 양면 중 제3사이드덕트(SD3)을 마주보는 면이 사이드 가이드면일 수 있고, 사이드 가이드면의 반대면이 하부 케이블실(R4)을 향하는 하부 케이블실 형성면일 수 있다.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SP7)은 제3사이드덕트(SD3)를 통과하는 가스를 제3 어퍼 방압부(20)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SP7)는 제3사이드덕트(SD3)을 마주보는 면이 사이드 가이드면일 수 있고, 사이드 가이드면의 반대면이 상부 케이블실(R5)을 향하는 상부 케이블실 형성면일 수 있다.
한편, 배전반은 센터 사이드패널(SP2)의 하측에 배치된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SP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SP6)은 하부 케이블실(R4)의 가스가 제2사이드덕트(SD2)로 유입되는 제4사이드 방압구(SH4)가 형성될 수 있다.
배전반은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SP6)의 반대편에 센터 로어 사이드 대응패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S6)와 센터 로어 사이드 대응패널은 하부 케이블실(R4)의 전방 영역를 형성할 수 있다.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SP6)는 제2사이드덕트(SD2)를 통과하는 가스를 센터 사이드패널(SP2)의 옆으로 안내할 수 있고,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SP6)은 가스를 센터 사이드패널(SP2)과 제2사이드덕트(SD2)의 사이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블실(R4)에서 제4 사이드 방압구(SH4)를 통해 옆으로 유출된 가스는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SP6)과 제2 사이드덕트(SD2)의 사이를 통과하고, 이후 센터 사이드패널(SP2)와 제2 사이드덕트(SD2)의 사이를 통과하며,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SP5)와 제2 사이드덕트(SD2)의 사이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제2 어퍼 방압부(19)로 유동될 수 있다. 즉, 하부 케이블실(R4)의 고압가스는 제2 어퍼 방압부(19)와 제3 어퍼 방압부(20)로 분산되어 배출될 수 있고, 하부 케이블실(R4)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블실(R5)는 가스가 그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방압부(17)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SP5), 센터 어퍼 사이드 대응패널,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SP7) 및 어퍼 리어 사이드 대응패널에는 고압 가스가 통과하기 위한 방압구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상부 케이블실(R5)의 고압가스는 모두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어 제2 방압부(17)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1사이드덕트(SD1)와 제2사이드덕트(SD2)와 제3사이드덕트(SD3) 중 적어도 하나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긴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고 가스 통공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과,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사이 을 덮는 덕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이드덕트(SD1)와 제2사이드덕트(SD2)와 제3사이드덕트(SD3) 중 적어도 하나는 덕트커버의 반대면이 개방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에 형성된 가스통공은 제1 사이드 방압구(SH1)와 제2사이드 방압구(SH2) 및 제3 사이드 방압구(SH3)와 개구 방향이 직교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방압구(SH1)와 제2사이드 방압구(SH2) 및 제3 사이드 방압구(SH3)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수평 프레임에 형성된 가스통공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사이드덕트(SD1)와 제2사이드덕트(SD2)와 제3사이드덕트(SD3) 중 적어도 하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로어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이드덕트(SD1)과, 제2사이드덕트(SD2) 및 제3사이드덕트(SD3) 각각은 마주보는 사이드패널과 함께 방압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사이드덕트(SD1)과, 제2사이드덕트(SD2) 및 제3사이드덕트(SD3) 각각은 마주보는 사이드패널을 향하는 면이 개방될 수 있다.
배전반은 제1사이드덕트(SD1)과, 제2사이드덕트(SD2) 및 제3사이드덕트(SD3) 각각이 덕트 커버 맞은편에 별도의 보조 커버를 더 포함하고, 덕트 커버와 보조 커버의 사이에 방압 통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보조 커버에 의해 재료비가 증대될 수 있고, 구조가 복잡할 수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두께가 증대될 수 있다.
배전반은 사이드패널의 측면이 방압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할 수 있다.
즉, 하부 차단기실(R1)의 방압 통로는 제1사이드덕트(SD1)가 마주보는 사이드패널(SP1)(SP4)과 제1사이드덕트(SD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선실(R3)의 방압 통로는 제2사이드덕트(SD2)가 마주보는 사이드패널(SP2)(SP5)와 제2사이드덕트(SD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블실(R4)의 방압 통로는 제3사이드덕트(SD3)가 마주보는 사이드패널(SP3)(SP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사이드덕트(SD1)과, 제2사이드덕트(SD2) 및 제3사이드덕트(SD3)는 배전반의 전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사이드덕트(SD2)는 제1사이드덕트(SD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사이드덕트(SD2)는 선단이 제1사이드덕트(SD1)의 후단과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사이드덕트(SD3)는 제2사이드덕트(SD2)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사이드덕트(SD3)는 선단이 제2사이드덕트(SD2) 후단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사이드덕트(SD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긴 한 쌍의 제 1 수직 프레임(101)(102)과, 한 쌍의 제 1 수직 프레임(101)(102)을 연결하고 가스 통공(103)이 형성된 제 1 수평 프레임(104)과, 한 쌍의 제 1 수직 프레임 사이를 덮는 제 1 덕트커버(105)(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이드덕트(SD1)는 한 쌍의 제 1 수직 프레임(101)(102) 하부를 연결하는 제 1 로어 프레임(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덕트커버(105)(106)는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SP1)을 마주보고 로어 프론트 사이프 패널(SP1)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로어 프론트 덕트커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덕트커버(105)(106)는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SP2)를 마주보고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SP2)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어퍼 프론트 덕트커버(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이드덕트(SD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긴 한 쌍의 제 2 수직 프레임(111)(112)과, 한 쌍의 제 2 수직 프레임(111)(112)을 연결하고 가스 통공(113)이 형성된 제 2 수평 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이드덕트(SD2)는 한 쌍의 제 2 수직 프레임(111)(112) 사이를 덮는 제 2 덕트 커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이드덕트(SD2)는 한 쌍의 제 2 수직 프레임(101)(102) 하부를 연결하는 제 2 로어 프레임(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덕트 커버(115)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덕트 커버(115)는 제 2 덕트 커버(115)는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센터 로어 사이드 패널(SP6), 센터 사이드 패널(SP2) 및 센터 어퍼 사이드 패널(SP5)의 옆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고, 센터 로어 사이드 패널(SP6), 센터 사이드 패널(SP2) 및 센터 어퍼 사이드 패널(SP5)를 함께 덮을 수 있다.
제 2 덕트 커버(115)는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덕트 커버(115)는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될 경우, 제 2 덕트커버(115)는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SP6)을 마주보고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SP6)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센터 로어 덕트커버와, 센터 사이드패널(SP2)을 마주보고 센터 사이드패널(SP2)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센터 덕트커버와,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SP5)을 마주보고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SP5)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센터 어퍼 덕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사이드덕트(SD2)는 제 2 수평 프레임(114)와 제 2 로어 프레임(118) 사이에 위치되게 한 쌍의 제 2 수직 프레임(111)(112)에 연결된 센터 수평 프레임(119)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수평 프레임(119)은 센터 사이드패널(SP2)와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SP6)의 경계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 수평 프레임(119)에는 하부 케이블실(R4)에서 제 4 사이드 방압구(SH4)로 유출된 가스가 센터 수평 프레임(119)를 통과하여 상측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가스통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사이드덕트(SD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긴 한 쌍의 제 3 수직 프레임(121)(122)과, 한 쌍의 제 3 수직 프레임(121)(122)을 연결하고 가스 통공(123)이 형성된 제 3 수평 프레임(124)과, 한 쌍의 제 3 수직 프레임 사이를 덮는 제 3 덕트커버(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사이드덕트(SD3)는 한 쌍의 제 3 수직 프레임(121)(122) 하부를 연결하는 제 3 로어 프레임(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덕트 커버(125)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덕트 커버(125)는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로어 리어 사이드 패널(SP3)와 어퍼 리어 사이드 패널(SP4)를 마주보고 로어 리어 사이드 패널(SP3)와 어퍼 리어 사이드 패널(SP4)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며 함께 로어 리어 사이드 패널(SP3)와 어퍼 리어 사이드 패널(SP4)을 함께 덮을 수 있다.
제 3 덕트 커버(125)는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덕트 커버(125)는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될 경우, 제 3 덕트커버(125)는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을 마주보고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SP3)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로어 리어 덕트커버와, 제 3 덕트커버(125)는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SP7)를 마주보고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SP7)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어퍼 리어 덕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외측면과 덕트커버 모두의 외측면을 함께 덮는 아우터 사이드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은 제1사이드덕트(D1)의 외측면를 덮는 아우터 프론트 사이드커버(13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프론트 사이드커버(131)(132)는 제1사이드덕트(D1)의 외면을 상하 분할하여 커버할 수 있다.
배전반은 제2사이드덕트(D2)의 외면을 덮는 아우터 센터 사이드커버(13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은 제3사이드덕트(D3)의 외면을 덮는 아우터 리어 사이드커버(13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커버는 제1사이드덕트(D1), 제2사이드덕트(D2) 및 제3사이드덕트(D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릴 수 있고, 배전반의 외관은 간결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5: 탑 커버 16: 상부 차단기실 어퍼 방압부
17: 상부 케이블실 어퍼 방압부 18: 제1 어퍼 방압부
19: 제2 어퍼 방압부 20: 제3 어퍼 방압부
DP1: 제1사이드덕트 DP2: 제2사이드덕트
DP3: 제3사이드덕트 SH1: 제 1 사이드 방압구
SH2: 제 2 사이드 방압구 SH3: 제 3 사이드 방압구
SH4: 제 4 사이드 방압구 SP1: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
SP2: 센터 사이드패널 SP3;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
R1: 하부 차단기실 R2: 상부 차단기실
R3: 모선실 R4: 하부 케이블실
R5: 상부 케이블실

Claims (12)

  1. 하부 차단기실과 상부 차단기실이 구획되고, 하부 케이블실과 모선실과 상부 케이블실이 구획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차단기실과 연통되는 제 1 사이드 방압구가 형성된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
    상기 모선실과 연통되는 제 2 사이드 방압구가 형성된 센터 사이드패널;
    상기 하부 케이블실과 연통되는 제 3 사이드 방압구가 형성된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
    상기 하부 차단기실에서 제1사이드 방압구를 통과한 가스를 안내하는 제1사이드덕트;
    상기 모선실에서 제2사이드 방압구를 통과한 가스를 제2사이드덕트; 및
    상기 하부 케이블실에서 상기 제3사이드 방압구를 통과한 가스를 안내하는 제3사이드덕트를 포함하는 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덕트와 제2사이드덕트와 제3사이드덕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긴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고 가스 통공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사이를 덮는 덕트커버를 포함하는 배전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덕트와 제2사이드덕트와 제3사이드덕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로어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배전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덕트와 제2사이드덕트와 제3사이드덕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덕트커버의 반대면이 개방된 배전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통공은 상기 제1 사이드 방압구와 제2 사이드 방압구 및 제3 사이드 방압구와 개구 방향이 직교한 배전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외측면과 덕트커버의 외측면을 함께 덮는 아우터 사이드커버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덕트와, 제2사이드덕트 및 제3사이드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안내된 가스가 배출되는 어퍼 방압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탑 커버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프론트 사이드패널과 상기 탑 커버 사이에 배치된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프론트 사이드패널은 상기 제1사이드덕트를 통과하는 가스를 상기 어퍼 방압부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배전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사이드패널과 상기 탑 커버 사이에 배치된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터 어퍼 사이드패널은 상기 제2사이드덕트를 통과하는 가스를 상기 어퍼 방압부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배전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사이드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블실의 가스가 상기 제2사이드덕트로 유입되는 제4사이드 방압구가 형성된 센터 로어 사이드패널을 더 포함하는 배전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리어 사이드패널과 상기 탑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리어 사이드패널은 상기 제3사이드덕트를 통과하는 가스를 상기 어퍼 방압부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배전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는
    상기 상부 차단기실과 상부 케이블실을 덮고, 상기 상부 차단기실 상측에 상부 차단기실 어퍼 방압부가 배치되며, 상기 상부 케이블실 상측에 상부 케이블실 어퍼 방압부가 배치된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옆에 위치되고 상기 어퍼 방압부의 복수개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2영역을 포함하는 배전반.
KR2020150004800U 2015-07-16 2015-07-16 배전반 KR200490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800U KR200490078Y1 (ko) 2015-07-16 2015-07-16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800U KR200490078Y1 (ko) 2015-07-16 2015-07-16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349U true KR20170000349U (ko) 2017-01-25
KR200490078Y1 KR200490078Y1 (ko) 2019-09-23

Family

ID=5796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800U KR200490078Y1 (ko) 2015-07-16 2015-07-16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7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221A (ko) * 2017-01-26 2018-08-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KR20190023256A (ko) * 2017-08-28 2019-03-08 동양산전(주) 배전반
US10622790B2 (en) 2018-06-12 2020-04-14 Lsis Co., Ltd. Arc ventilation system of multi stage distributing board
KR20200001522U (ko) * 2018-12-28 2020-07-08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2811A (ja) * 1997-05-19 1998-12-04 Toshiba Corp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2000228803A (ja) * 1999-02-08 2000-08-15 Fuji Electric Co Ltd 多段積形閉鎖配電盤
JP2009201274A (ja) * 2008-02-22 2009-09-03 Hitachi Ltd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ア
KR20110117959A (ko) 2010-04-22 2011-10-28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폐쇄배전반
KR20130110229A (ko) * 2011-03-16 2013-10-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기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2811A (ja) * 1997-05-19 1998-12-04 Toshiba Corp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2000228803A (ja) * 1999-02-08 2000-08-15 Fuji Electric Co Ltd 多段積形閉鎖配電盤
JP2009201274A (ja) * 2008-02-22 2009-09-03 Hitachi Ltd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ア
KR20110117959A (ko) 2010-04-22 2011-10-28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폐쇄배전반
KR20130110229A (ko) * 2011-03-16 2013-10-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기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221A (ko) * 2017-01-26 2018-08-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KR20190023256A (ko) * 2017-08-28 2019-03-08 동양산전(주) 배전반
US10622790B2 (en) 2018-06-12 2020-04-14 Lsis Co., Ltd. Arc ventilation system of multi stage distributing board
KR20200001522U (ko) * 2018-12-28 2020-07-08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US11588305B2 (en) 2018-12-28 2023-02-21 Ls Electric Co., Ltd. Distribution board venti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78Y1 (ko)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112B1 (ko)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KR20170000349U (ko) 배전반
KR101622445B1 (ko) 방압 통로 구조물이 구비된 배전반
US9577411B2 (en) Plenum assembly
CA2826844C (en) Arc-resistant switchgear enclosure with vent arrangement of a lower compartment
JP6143990B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636343B1 (ko)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CN105826854B (zh) 一种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CN107171191B (zh) 具有互连的排气系统的开关装置封壳
JP5837093B2 (ja) 電気室
US20190045644A1 (en) Ventilation cover apparatus for an electrical enclosure including water-resistant and arc-resistant features
US20040240160A1 (en) Electric switchgear with an enclosed design
CA2920239C (en) Improved outdoor enclosure for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KR20150102977A (ko) 방폭 하우징
JP4988833B2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CN111095702B (zh) 配电盘和电弧能量中断装置
CN102306912A (zh) 具有泄压装置的高压开关柜
CA2776825C (en) Gas insulated switchgear
KR101775793B1 (ko) 전기설비함의 방열공 자동닫힘장치
KR101787846B1 (ko) 배전반
US9825438B2 (en) Switchgear
JP6466033B2 (ja) スイッチギヤ
KR20180026026A (ko) 자연 및 강제식 배출구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EP3200295B1 (en) Switchgear
GB2511518A (en) A dual inlet extract fa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