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910A - 프로스 완드 - Google Patents

프로스 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910A
KR20180025910A KR1020187002828A KR20187002828A KR20180025910A KR 20180025910 A KR20180025910 A KR 20180025910A KR 1020187002828 A KR1020187002828 A KR 1020187002828A KR 20187002828 A KR20187002828 A KR 20187002828A KR 20180025910 A KR20180025910 A KR 20180025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nd
channel
chamber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핸드리커스 크리스티너스 마리아 웨셀스
핸드릭 조한 디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80025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9Steam nozzles, e.g. for introducing into a milk container to heat and foam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40Foaming or whip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49Details of the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2Details of the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B65D2081/00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를 포함하는 스팀 입구 단부, 스팀 입구로부터 분리되는 스팀 출구를 포함하는 스팀 출구 단부, 및 스팀 입구와 스팀 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팀 채널을 갖는 튜브형 벽을 포함한다. 프로스 완드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이다. 프로스 완드는 로스팅된 분쇄된 커피와 같은 음료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스 완드의 튜브형 벽은 공기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스 완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프로스 완드(froth wand)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프로스 완드(froth wand)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프로스 완드는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frothing)하기 위한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그러한 프로스 완드 및 시스템은 예컨대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A1-2003/0131735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알려진 시스템은 대체로 튜브형의 외부 슬리브(external sleeve) 및 외부 슬리브 내의 내측 코어(inner core)를 포함하는 긴 프로싱 완드(elongate frothing wand)를 포함한다. 내측 코어는 프로스 완드의 공급 단부로부터 스팀을 음료 내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스 완드의 배출 단부로 스팀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팀 도관(steam conduit)을 한정한다. 내측 코어는 또한 음료 제조 장치의 스팀 공급부에 대한 프로스 완드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메커니즘(coupling mechanism)을 포함한다. 결합 메커니즘은 스팀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그리고 유지보수 및 세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팀 공급부로부터의 프로싱 완드의 쉬운 분리 및 재결합을 허용하도록 상보적으로 구성되는 나사(thread), 클램프(clamp), 홈(groove), 신속 연결 메커니즘(quick connect mechanism), 또는 다른 적합한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슬리브는 쉽게 제거되어 세정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슬리브는 후속하여 제조되는 음료에 원하지 않는 향미(flavor)가 전해질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하나의 향미의 음료가 제조된 후에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능에 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수개의 상이한 외부 슬리브가 프로싱 완드에 교환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로싱 완드의 유용성을 다양화할 수 있다. 알려진 시스템이 프로스 완드를 세정하기 위해 프로스 완드를 제거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프로스 완드를 세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분리 및 재결합이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위생의 관점에서, 프로스 완드는 사용되었을 때마다 분리, 세정 및 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그러한 시스템의 사용을 어느 정도 비실용적으로 만들어, 그 결과 시스템의 사용자가 종종 프로스 완드가 사용된 후에 프로스 완드의 세정을 꺼리게 되며, 이는 건강상의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오염된 프로스 완드가 또한 음료 제조 장치의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 내부 오염은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위생적으로 가열하고 프로싱할 수 있는 프로스 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사용자 친화적이어서 음료를 제조하는 더욱 매력적인 방식을 제공하는 프로스 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안적인 프로스 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로스 완드로서,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를 포함하는 스팀 입구 단부, 스팀 입구로부터 분리되는 스팀 출구를 포함하는 스팀 출구 단부, 및 스팀 입구와 스팀 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팀 채널을 갖는 튜브형 벽을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스 완드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인, 프로스 완드를 제공한다. 재사용가능 프로스 완드 대신에 일회용 프로스 완드를 사용함으로써,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이 매우 위생적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된 프로스 완드의 세정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별개의 음료들이 보다 짧은 기간 내에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환경적으로 유리한 실시예에서, 일회용 프로스 완드는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된다.
특히 프로스 완드에 의해 가열될 또는 프로싱될 음료의 종류 및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스팀 출구가 튜브형 벽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로스 완드의 자유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스팀 출구의 배향이 프로싱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이러한 배향이 프로싱을 적어도 어느 정도 사용자의 선호에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팀 출구가 1.0 mm 내지 2.0 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개구일 때 음료의 가열 및 프로싱이 재현가능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싱이 스팀 출구를 형성하는 스팀 개구들의 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팀 출구는 복수의 스팀 출구 개구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스팀 출구에 인접한 다공성 요소(porous element)를 포함한다. 스팀 출구에 인접하게 또는 심지어 스팀 출구 내에 다공성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프로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다공성 요소가 프로싱을 적어도 어느 정도 사용자의 선호에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스팀 채널은 4 mm 내지 10 mm의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의 가열 및 프로싱이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의 튜브형 벽은 0.4 내지 0.6 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5 mm 벽 두께를 갖는다. 그러한 비교적 작은 두께를 가진 프로스 완드가 그의 사용 중에 작동 파라미터들을 견딜 수 있고, 또한 재료의 비교적 적은 사용으로 인해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스 완드가 1 내지 20 그램의 범위 내의 낮은 열 질량(thermal mass)을 갖는 재료로 제조될 때, 사용된 프로스 완드(즉, 스팀이 통과한 프로스 완드)가 적어도 프로스 완드를 폐기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수동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의 길이는 100 내지 120 mm, 특히 110 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스팀 출구 단부에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스 완드가 제조된 음료 내의 휘젓개(stirrer)로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블레이드는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또는 대칭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이어서, 교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 단부에 그립(grip)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그러한 그립은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또는 대칭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 단부에 상부 플랜지(upper flange)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교적 간단한 프로스 완드 홀더(froth wand holder)가 음료를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내에 프로스 완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기계적으로 간단하지만 여전히 매우 신뢰할 수 있다. 그러면, 상부 플랜지가 평평한 단부 면을 가질 때 그리고/또는 프로스 완드가 상부 플랜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유지 플랜지(retention flange)를 포함할 때 특히 유리하다. 또한, 그러한 플랜지(들)는 프로스 완드에 추가의 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형 벽의 외경이 스팀 출구 단부로부터 스팀 입구 단부를 향해 증가한다. 대안적으로, 튜브형 벽은 감소하는 외경을 갖는, 스팀 입구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프로스 완드의 경우에, 기계적으로 간단하지만 여전히 매우 신뢰할 수 있는, 프로스 완드를 유지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의 튜브형 벽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을 포함하는 공기 개구를 포함하고, 여기서 공기 개구 또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은 바람직하게는 튜브형 벽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롯(slot)으로서 형상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팀 채널을 통한 스팀의 더욱 일관된 유동이 달성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프로스 완드의 스팀 출구 단부 부근에서 튜브형 벽 상에 제공되는 순환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순환 채널은 흡입 개구 및 스팀 출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별개의 출구 개구를 갖고, 상기 순환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 우유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순환 채널 내에서의 스팀과 우유의 순환이 실현될 수 있다. 순환 채널은 프로스 완드의 스팀 출구 단부 부근에서 튜브형 벽 상에 배열되는 추가 튜브에 의해 또는 동축 순환 슬리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축 순환 슬리브는 순환 슬리브의 내벽과 프로스 완드의 외벽 사이에 순환 채널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충전 표시 마크(fill indication mark)를 포함한다. 그러한 충전 표시 마크는 예컨대, 스팀 출구가 액체 레벨 아래로 연장되도록 프로스 완드에 의해 프로싱될 음료가 부어지는 컵이 충분한 양으로 충전되는 것을 보장하는 최소 충전 레벨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충전 표시 마크는 제안된 충전 표시일 수 있으며, 이는 컵 - 프로스 완드가 그 내로 연장됨 - 내에 제안된 충전 표시 마크까지 충전되는 음료가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방식으로 가열되고 프로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추가의 최대 충전 표시 마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최대 충전 표시 마크까지 컵에 부어진 음료가 이러한 음료가 가열되고 프로싱될 때 컵의 에지를 넘어 흐르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음료 원료(beverage base material)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본체(base body) 및 커버(cover)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챔버 저부 및 챔버 저부의 주연부에 있는 챔버 벽에 의해 한정되는 음료 원료 챔버를 포함하고, 본체의 챔버는 챔버 저부 반대측에서 개방되고, 상기 챔버 벽에는 챔버 저부 반대편의 챔버 벽의 자유 단부에 밀봉 표면이 제공되고, 커버는 음료 원료 챔버를 폐쇄하기 위해 챔버 벽의 밀봉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용기는 음료 원료 챔버로 추출 매질(extraction medium)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개구 및 음료 원료 챔버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개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스 완드가 또한 음료 원료에 기초하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튜브형 벽이 음료 원료 챔버로부터 외향으로 반경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손잡이(elongated handle)를 형성하고, 상기 긴 손잡이가 본체와 일체형이고 손잡이 저부 및 챔버 벽의 밀봉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손잡이 밀봉 플랜지(handle sealing flange)를 포함하고, 음료 원료 챔버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상기 분배 개구가 챔버 벽의 밀봉 표면 내에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에 분배 개구와 연통하는 상류 채널 입구로부터 손잡이의 자유 단부에 제공되는 하류 채널 출구까지 연장되는 출구 채널이 제공되고, 상기 커버가 또한 손잡이 저부와 반대 방향으로 출구 채널을 폐쇄하기 위해 손잡이의 밀봉 플랜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출구 채널을 가진 손잡이를 갖는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용기가 음료 제조 장치 내에 설치될 때 그러한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 음료가 음료 제조 장치의 부품들과 접촉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 제조 장치의 정기적인 세정이 생략될 수 있고, 또한 이전에 제조된 음료의 잔류물이 그 후에 제조된 (상이한 종류의) 음료의 맛(taste)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 하나의 음료 제조 장치에 다양한 상이한 음료 원료들을 수용하는 용기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챔버 벽의 높이는 긴 손잡이의 높이보다 적어도 4배, 바람직하게는 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6배 더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손잡이가 음료를 매우 쉽게 제조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취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손잡이의 밀봉 플랜지는 채널 출구를 둘러싸고, 커버는 채널 출구를 폐쇄하기 위해 밀봉 플랜지에 부착되고, 커버는 출구 채널을 통해 분배되는 음료에 의해 개방되도록 채널 출구의 위치에서 약화된다(weakened).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가 음료 제조 장치에 사용되기 전에 용기의 내부가 주위로부터 완전히 밀폐되어 위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커버가 제조 중인 음료의 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도록 커버를 국소적으로 약화시킴으로써, 용기의 음료 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음료 제조 장치 상의 추가의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원료 챔버로 추출 매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개구는 챔버 저부 내에 제공되는 천공가능 추출 매질 흡입 부분(pierceable extraction medium intake portion)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는 천공가능 추출 매질 흡입 부분으로부터 음료 원료 챔버 내로 연장되는 추출 매질 입구 파이프(extraction medium inlet pipe)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 원료 챔버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상기 분배 개구는 챔버 벽의 밀봉 표면 내에 제공된다. 그러면, 상류 채널 입구가 챔버 벽의 밀봉 표면 내에 제공되는 주변부 분배 채널을 통해 분배 개구와 연통하는 실시예에서 소형(compact) 프로스 완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음료 원료 챔버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상기 분배 개구는 챔버 벽 내의 분배 구멍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챔버 저부에는 천공가능 추출 매질 바이패스 흡입 부분(pierceable extraction medium bypass intake portion)이 제공되고, 챔버 벽에는 천공가능 추출 매질 바이패스 흡입 부분으로부터 손잡이의 출구 채널의 상류 채널 입구까지 연장되는 추출 매질 바이패스 파이프(extraction medium bypass pipe)가 제공된다. 추출 매질 바이패스를 사용함으로써, 용기로부터의 음료의 더욱 일관된 산출이 얻어질 수 있고, 또한 제조된 음료의 농도(strength)가 상기 추출 매질 바이패스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면, 추출 매질 바이패스 파이프가 챔버 벽의 밀봉 표면 내에 제공되는 주변부 분배 채널 내로 방출할 때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팀 입구는 용기(바람직하게는 챔버 저부) 내에 제공되고, 상기 스팀 입구는 천공가능 스팀 입구 부분을 갖고, 스팀 채널은 손잡이 내에서 상류 스팀 채널 입구로부터 손잡이의 자유 단부에 제공되는 하류 스팀 채널 출구까지 연장되고, 용기에는 천공가능 스팀 입구 부분으로부터 손잡이의 스팀 출구 채널의 상류 스팀 채널 입구까지 연장되는 스팀 입구 파이프가 추가로 제공되고, 상기 커버는 또한 손잡이 저부와 반대 방향으로 스팀 채널을 폐쇄하기 위해 손잡이의 밀봉 플랜지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 자체가 예컨대 우유 거품을 생성하기 위해 컵에 부어진 새로운 우유 내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스팀 채널에는 스팀 채널을 통한 스팀의 더욱 일관된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손잡이 저부 내에 제공되는 공기 입구 슬롯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출구 채널은 손잡이의 자유 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스팀 채널 내로 방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음료에 맛과 시각적 외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조된 음료가 스팀 내로 도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특정 실시예에서, 챔버 저부에는 천공가능 아로마 벤트 부분(pierceable aroma vent portion)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 원료 챔버 내에서의 음료의 추출 중에 아로마가 용기로부터 방출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음료를 제조하는 동안에 용기의 사용자에게 더욱 유쾌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챔버 저부 반대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챔버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출 과정을 실제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음료를 제조하는 동안에 추가의 감각 향상 경험을 제공한다.
위생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챔버 저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동으로 제거가능한 밀봉 멤브레인(sealing membrane)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프로스 완드에는 적어도 손잡이를 둘러싸는 수동으로 제거가능한 종이 슬리브(paper sleeve)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에는 손잡이를 수동으로 제거하기 위해 음료 원료 챔버와 손잡이 사이에 인열선(tear line)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팀이 추가 성분 내로 도입되도록 요구하지 않는 용기 변형에서 그리고 다른 음료 제조 장치들에서의 용기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손잡이가 제거될 수 있다.
프로스 완드에 데이터가 제공된 식별자(identifier)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내의 판독기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음료 제조 장치는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어, 예컨대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음료 원료 챔버 내에 공급될 온수의 온도와 양 및/또는 컵에 부어진 일정량의 우유 내에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와 지속기간을 조절함으로써, 예컨대 음료를 최적의 기본 방식(default manner)으로 제조하도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별자는 챔버 저부 내의 돌출부(protrusion)들 및/또는 함몰부(depression)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본체는 PLA (TBC)와 같은 바이오 플라스틱(bio plastics)으로부터 성형되며, 따라서 사용된 프로스 완드가 생분해성이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형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용기가 아주 다양한 음료 원료들을 수용하기에 적합하지만, 본 발명은 용기가 1인분(single serving)을 위한 양의 로스팅된 분쇄된 커피(roasted ground coffee)를 수용할 때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과 이점이 비제한적인 예로서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되는 하기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일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는,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절단된 정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컵이 컵 지지체 상에 배치된 도 1의 시스템의 일부를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l은 도 1 및 도 2의 프로스 완드를 사용하여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g는 프로스 완드가 컵 내의 여러 가지의 위치로 도시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팀 출구를 가진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일회용 프로스 완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f는 프로스 완드가 컵 내의 여러 가지의 위치로 도시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팀 출구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프로스 완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수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개구를 가진,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된 프로스 완드 홀더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프로스 완드 홀더의 수평 시트(horizontal seat)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개구 내로 개방되는 반경방향 슬롯을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된 프로스 완드 홀더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e는 프로스 완드 홀더를 수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손잡이 및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를 방출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방출기(froth wand ejector)를 포함하는 회전가능 프로스 완드 홀더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스팀 입구 단부에서 상이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수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d는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클램핑 수단(clamping means)을 포함하고 스팀 노즐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 내로 도입되고 그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에 의해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상호연결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시스템의 개념도(schematics)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에 의해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상호연결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시스템의 개념도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에 의해 가열되고 프로싱된 프로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로서의 마이크로폰(microphone)의 가능한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a는 용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제1 실시예를 용기의 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1 실시예를 용기의 상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
도 15c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1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투명한 커버에 의해 덮인 용기의 상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d는 커버가 제거된 도 1c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e는 측부로부터 도 1c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f는 아래로부터 도 1c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g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용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프로스 완드가 사용될 수 있는 자동 음료 제조 장치의 일례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a는 추가 성분으로서 우유가 컵에 부어지는 상태에서, 작동 위치에서 용기가 장치의 프로스 완드 홀더에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일 실시예와 함께 도 16의 장치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b는 도 17a의 장치와 프로스 완드를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a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3 실시예를 용기의 저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b는 측부로부터 도 18a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c는 도 18b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3 실시예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
도 18d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3 실시예를 커버가 제거된 용기의 상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e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3 실시예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
도 18f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3 실시예를 절단된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
도 19a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4 실시예를 용기의 저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9b는 측부로부터 도 19a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c는 도 19b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4 실시예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
도 19d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4 실시예를 커버가 제거된 용기의 상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9e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의 제4 실시예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프로스 완드의 구조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프로스 완드를 사용하여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의 예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로스 완드가 다른 장치 및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일 실시예를 사용하여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1)의 일례가 부분적으로 절단된 정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시스템(1)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2) 및 프로스 완드(3)를 포함한다.
장치(2)는 스팀 발생기(steamer)(4), 예를 들어 서모 블록(thermo-block), 스팀 발생기(4)를 스팀 노즐(6)에 연결하는 스팀 도관(5)을 포함한다. 냉수(8)를 위한 저장소(7)가 장치(2) 내에 제공되며, 이러한 냉수 저장소(7)는 냉수를 스팀 발생기(4)에 공급하기 위한 냉수 펌프(10) 및 냉수 도관(9)을 통해 스팀 발생기(4)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장치(2)는 또한 액체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커피 분배기(11)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액체 커피 분배기(11)는 농축된 액체 커피의 패키지(13)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12)를 포함한다. 액체 커피 분배기(11)는 또한 일정량의 농축된 액체 커피를 혼합 챔버(15) 내로 투입하기 위한 커피 투입 장치(coffee dosing apparatus)(14)를 포함한다. 온수가 온수기(water heater)(16)로부터 물 도관(17)을 통해 혼합 챔버(15)에 공급되어, 농축된 액체 커피를 마시기에 보다 적합한 농도를 갖는 액체 커피로 희석시킨다. 이러한 액체 커피는 액체 커피 출구(18)로부터 컵(도 1에 도시되지 않음) 내로 분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온수기(16)는 냉수 도관(9) 및 그의 연장부(9')에 의해 냉수 저장소(7)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다. 다른 예에서, 온수기(16)는 냉수 저장소(7)와 별개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장치(2)는 또한 프로스 완드(3)를 제거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19)를 포함한다.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적어도 스팀 노즐(6)이 일회용 프로스 완드(3)의 스팀 입구(20)와 연통하는 장치(2)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위치로 프로스 완드(3)를 유지시키도록 배열된다.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프로스 완드(3)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평 시트(29)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수평 시트(29)는 프로스 완드(3)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개구(30)를 갖는다.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또한 수평 시트(29)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lid)(31)를 포함하고, 도시된 예에서, 리드(31)는 그것이 시트(29)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되어 프로스 완드(3)가 프로스 완드 개구(30) 내에 배치되거나 그로부터 취출될 수 있도록(이른바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 또는 시트(29)를 향해 회전되어 후속하여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위치되는 프로스 완드(3)를 둘러쌀 수 있도록, 회전 샤프트(32) 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3)는 0.4 내지 0.6 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5 mm 벽 두께를 갖는 튜브형 벽(21)을 포함하는, 그리고 스팀 입구(20)를 포함하는 스팀 입구 단부(22), 스팀 입구(20)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팀 출구(24)를 포함하는 스팀 출구 단부(23), 및 스팀 입구(20)와 스팀 출구(24) 사이에서 연장되는, 4 mm 내지 10 mm의 직경을 가진 스팀 채널(25)을 갖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팀 출구(24)는 튜브형 벽(21)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프로스 완드(3)의 튜브형 벽(21)은 벽을 통해 연장되는 공기 개구(3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 개구는 슬롯 형상이며, 슬롯은 튜브형 벽(21)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개구는 하나 이상의 둥근 구멍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회용 프로스 완드(3)는 생분해성 재료, 특히 1 내지 20 그램의 범위 내의 낮은 열 질량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
도 2에서, 또한, 시스템(1), 특히 장치(2)가 컵(27)을 위한 지지체(26)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리고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유지되는 프로스 완드(3)가 프로스 완드 홀더의 작동 위치에서 지지체(26) 상에 위치되는 컵(27) 내로 연장되도록 프로스 완드 홀더(19)와 지지체(26)가 상호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일정량의 우유(28)가 제1 음료로서 도 2에 또한 표시되는 한편, 액체 커피는 또한 본 설명에서 제2 음료로 불리고, 일회용 프로스 완드(3)는 스팀 출구(24)가 우유 메니스커스(meniscus) 아래에 위치되도록 100 내지 120 mm, 바람직하게는 110 mm의 길이를 갖는다.
도 3a 내지 도 3l을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스 완드(3)를 사용하여 가열하고 프로싱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도 3a에서, 리드(31)가 폐쇄되는 장치(2)의 시작 또는 휴지(rest) 위치가 도시된다. 음료가 제조될 수 있는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스팀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이 약 90℃의 대기 온도(idle temperature)로 유지되도록 스팀 발생기 또는 서모 블록(4)이 작동 상태로 유지된다. 도 3b에 도시된 제1 단계에서, 리드(31)가 회전 샤프트(32)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개방되어 프로스 완드 홀더(19)를 이른바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배치하고, 컵(27)이 지지체(26) 상에 배치된다. 시스템은 이러한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서 스팀의 공급이 불능화되도록 배열된다. 컵(27)을 배치할 위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지지체는 컵의 중심 또는 중심을 벗어난 위치를 표시하는, 예컨대 시각 마킹과 같은 위치 지표(position indicator)(33)를 포함한다. 중심 위치는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유지될 때 프로스 완드가 컵 내로 실질적으로 중심에서 연장됨을 의미하며,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서는 프로스 완드가 컵 내로 중심을 벗어나 연장될 것이다. 도 3c에 도시된 제2 단계에서, 프로스 완드(3)가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유지되도록 프로스 완드(3)가 장치(2)의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프로스 완드 개구(30) 내에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이른바 작동 위치에서, 스팀 노즐(6)이 프로스 완드(3)의 스팀 입구(20)와 연통한다. 도 3d에 도시된 제3 단계에서, 리드(31)가 폐쇄된다. 리드(31)는 프로스 완드(3)의 상부 에지와의 시일(seal)을 제공하는 그리고 또한 프로스 완드(3)의 클램핑을 제공하는 밀봉 수단(34)을 포함한다. 스팀 공급이 단지 프로스 완드(3)가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위치된 후에,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드(31)가 폐쇄되었을 때에 가능해지도록 시스템이 배열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e에 도시된 제4 단계에서, 컵(27)이 우유(28)와 같은 제1 음료로, 프로스 완드(3)의 스팀 출구(24)가 우유(28) 내로 연장되도록 프로스 완드(3) 상에 제공되는 충전 표시 마크(35)까지 충전된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5 단계에서, 스팀 발생기(4)가 작동되고, 물을 추가로 데워 스팀을 생성하며, 이러한 스팀은 이어서 프로스 완드(3)에 그리고 프로스 완드를 통해 스팀 출구(24)를 거쳐 우유(28) 내에 공급된다. 스팀 공급 중에, 냉수가 냉수 저장소(7)(도 1)로부터 스팀 발생기(4)에 공급된다. 프로스 완드(3)에 대한 그리고 프로스 완드를 통한 스팀의 이러한 공급 중에, 공기가 공기 슬롯(36)을 통해 스팀 내로 흡입된다. 스팀의 공급은 우유(28)의 가열 및 프로싱을 실현하며, 이러한 예에서 우유(28)를 충분히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해 사전결정된 기간 동안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간이 경과된 후에,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6 단계에서 스팀 발생기(4)가 정지된다. 이어서, 제7 단계(도 3h)에서, 액체 커피 분배기(11)가 작동되고, 제1 음료와 상이한 제2 음료로서의 커피가 커피의 투입이 완료될 때까지(도 3i) 컵(27) 내에 추가된다.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경우, 스팀 발생기(4)가 다시 작동되어 커피/우유 혼합물을 가열하고 프로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우유를 컵(27)에 붓고 가열 및 프로싱하기 전에 커피가 컵 내로 분배되고 선택적으로 가열 및 프로싱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 단계에서, 리드(31)가 개방되고(도 3j에 화살표에 의해 표시됨), 최종적으로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도달하여, 프로스 완드(3)를 프로스 완드 홀더(19)로부터 해제시키며, 프로스 완드는 도시된 예에서 도 3k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스 완드 홀더(19)로부터 수동으로 취출될 수 있다. 요구되는 경우, 프로스 완드(3)는 프로스 완드(3)가 해제된 후에 휘젓개로서 사용될 수 있고(도 3l), 사용자는 제조된 음료를 마신 후에 프로스 완드(3)를 폐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프로스 완드(3)는 그것이 단지 1회 사용된 때 폐기된다. 특히 시스템이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해 사용되는 빈도에 따라, 프로스 완드(3)가 1회를 초과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위생의 관점에서 프로스 완드가 사용되는 횟수는 바람직하게는 5회 미만이어야 한다.
도 4a 내지 도 4g에서, 도 3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팀 출구(24)를 가진 일회용 프로스 완드(3)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이때 프로스 완드는 그것이 컵(27)에 대해 위치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위치로 도시된다. 스팀 출구(24)는 1.5 mm의 직경을 갖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1.0 mm 내지 2.0 mm일 수 있다. 도 4b에 컵 내의 프로스 완드(3)의 중심 위치가 표시되는 한편, 도 4c 및 도 4d에는 컵(27)에 대한 프로스 완드(3)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가 표시된다. 반경방향 연장 슬롯(24)은 도 4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컵 벽에 어느 정도 접하게 연장되고, 도 4d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벽으로 지향된다. 도시되지 않은 위치에서, 반경방향 슬롯(24)은 프로스 완드(3)가 중심을 벗어나 위치될 때 컵의 중심으로 지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팀 출구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프로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쳐 그 또는 그녀가 원하는 대로 프로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f 및 도 4g에서 (화살표(2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6)의 높이가 조절가능한 경우에, 사용자는 지지체의 높이 및 그에 따라 프로스 완드, 특히 스팀 출구(24)가 침지되는 우유 내로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로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쳐 그 또는 그녀가 원하는 대로 프로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에는 우유 내로의 프로스 완드(3)의 침지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그들 자체의 두께를 각각 갖는 수개의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스 완드(3)는 스팀을 우유 내로 하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기울어질 수 있다. 컵을 기울임으로써 스팀의 이러한 하향 방향을 또한 실현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a 내지 도 5f에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1.5 mm의 직경을 갖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직경이 1.0 mm 내지 2.0 mm일 수 있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팀 출구(24)를 포함하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3)의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이때 프로스 완드(3)는 그것이 컵(27)에 대해 위치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위치로 도시된다. 도 5b에 컵 내의 프로스 완드(3)의 중심 위치가 표시되는 한편, 도 5c에는 컵(27)에 대한 프로스 완드(3)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가 표시된다. 도 5e 및 도 5f에서 (화살표(2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6)의 높이가 조절가능한 경우에, 사용자는 지지체의 높이 및 그에 따라 프로스 완드, 특히 스팀 출구(24)가 침지되는 우유 내로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로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쳐 그 또는 그녀가 원하는 대로 프로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에는 우유 내로의 프로스 완드(3)의 침지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그들 자체의 두께를 각각 갖는 수개의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스 완드(3)는 스팀을 우유 내로 하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기울어질 수 있다. 컵을 기울임으로써 스팀의 이러한 하향 방향을 또한 실현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팀 출구(24)에 의해 우유 내로 분배되는 스팀의 더욱 일관된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가 프로스 완드(3)의 공기 입구(36)를 통해 스팀 내로 도입된다. 도 5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팀 출구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프로스 완드(3)가 표시되고, 도 6a에서 공기 슬롯을 가진 이러한 프로스 완드(3)가 도시된다. 도 6a 내지 도 6g 및 도 10a 내지 도 10c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수개의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3)는 스팀 출구(24)에 인접한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축 순환 슬리브(45)를 가진 다공성 요소(44)를 포함하며, 이러한 동축 순환 슬리브는 슬리브(45)의 내벽과 프로스 완드(3)의 외벽 사이에 순환 채널을 형성하여, 음료 우유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해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순환 채널 내에서의 스팀과 우유의 순환을 실현한다. 순환 슬리브(45)가 프로스 완드(3)의 단부에 제공되기 때문에, 순환 슬리브가 작동 중에 순환을 달성하기 위해 우유 내로 쉽게 침지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순환 슬리브(45)는 물론 다공성 요소(44)가 없는 실시예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공기가 프로스 완드(3) 내의 공기 슬롯(36)에 의해 스팀 내로 도입되지만,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장치의 스팀 도관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 추가 튜브(46)가 프로스 완드(3)의 스팀 출구 단부(24) 부근에서 튜브형 벽(21) 상에 배열된다. 공기 추가 튜브(46)는 공기 흡입 개구(47), 및 스팀 출구(24)로부터 분리되지만 스팀 출구(24)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공기 출구 개구(48)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컵을 우유(28)로 충전하는 중에, 액체 레벨이 공기 추가 튜브(46)의 공기 흡입 개구(47) 위로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공기 추가 튜브(46)는 공기를 우유(28) 내로 도입하기 위해 공기 슬롯(36)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공기 추가 튜브(46)는 음료 우유를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해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튜브(46)의 내벽과 프로스 완드(3)의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순환 채널 내에서의 스팀과 우유의 순환을 실현하도록, 추가의 공기를 우유(28) 내로 도입하기 위해 또는 흡입 개구(47)가 우유의 레벨 아래에 위치될 때 또는 사용 중에 우유의 레벨이 흡입 개구(47) 위로 상승하게 될 때 공기 슬롯(36)(도 9c에 가상선으로 표시됨)에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스 완드(3)는 중심 스팀 채널(25), 및 튜브형 벽(21)을 둘러싸고 튜브형 벽과 공기 흡입 개구(47) 및 공기 출구 개구(48)를 갖는 링(ring) 형상의 공기 채널(50)을 형성하는 동축 튜브(49)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 개구(47)가 선택적으로 공기를 스팀의 유동 내로 도입하기 위해 장치(2) 내에 존재하는 공기 펌프에 연결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6e 내지 도 6g에서, 교반을 개선하기 위해 스팀 출구 단부(24)에 블레이드(51)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3)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블레이드(51)는 비대칭으로(도 6g) 또는 대칭으로(도 6e 및 도 6f) 형상화될 수 있다. 도 6e에 도시된 프로스 완드(3)는 또한 교반 중에 프로스 완드(3)를 파지하기 위한 그립(52), 예를 들어 대칭 그립, 또는 프로스 완드를 각각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배치하고 그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그립(53)(도 6f 및 도 6g), 예를 들어 비대칭 그립을 포함한다. 도 6f 및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스 완드(3)의 실시예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프로스 완드의 실시예는 또한 프로스 완드(3)가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시트(29) 내에 지지될 수 있게 하는 상부 플랜지(53)를 스팀 입구 단부에 포함하며, 여기서 상부 플랜지(54)는 밀봉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평평한 단부 면(54A)을 갖는다. 프로스 완드가 그 내부에 유지될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구성에 따라, 프로스 완드(3)는 또한 상부 플랜지(54)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유지 플랜지(55)(도 6f, 도 6g 및 도 1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스 완드의 실시예의 외경이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값을 갖지만, 프로스 완드의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형 벽의 외경이 스팀 출구 단부로부터 스팀 입구 단부를 향해 증가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튜브형 벽(21)은 스팀 입구 단부, 특히 상부 플랜지(54) 또는 프로스 완드의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56, 56A, 56B)을 포함하며, 이러한 부분은 감소하는 외경을 갖는다. 이러한 부분은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정합하는 프로스 완드 개구(30) 내에 유극 없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도 7, 도 8, 도 9 및 도 11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위되도록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2)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로스 완드 홀더(19)에 대한 대안적인 프로스 완드 홀더를 갖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예가 도시된다.
도 7a 및 도 7b에서, 프로스 완드 개구(30)를 가진 시트(19)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도시된다.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프로스 완드 개구(30)를 가진 시트(29)가 장치(2)의 하우징(2A) 외부에 위치되는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된다. 프로스 완드(3)를 프로스 완드 개구(30) 내에 배치한 후에(도 7b), 시트(29)가 하우징(2A) 내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손잡이(57)에 의해, 이제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리드(31)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와 유사하게 폐쇄될 수 있다.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는 도 8a에 도시된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예에서, 시트(29)는 반경방향 슬롯(30A)을 포함하며, 이러한 반경방향 슬롯은 프로스 완드를 시트의 측부로부터 반경방향 슬롯(30A)을 통해 변위시킴으로써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프로스 완드 개구(30) 내로 개방된다. 이러한 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 특히 시트(29)는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개구(30)(파선에 의해 표시됨)가 장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하지 않은 작동 위치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 홀더의 리드를 수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손잡이(5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장치(2)의 전방으로부터 반경방향 슬롯(30A)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리드(31)는, 장치의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거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할 수 있는 챔버 부분(2B)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는 프로스 완드 홀더의 리드를 수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손잡이(5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에서, 프로스 완드는 리드(31)가 폐쇄됨에 따라 시일(34)에 의해 클램핑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과 클램핑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의 밀봉과 별개로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시키기 위한 임의의 다른 알려진 클램핑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클램핑 메커니즘(58)의 예시적인 예가 도 11b에 개시된다. 클램핑 메커니즘(58)은 프로스 완드 개구(30)(실선에 의해 표시됨)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대기 위치(idle position)로부터 파선에 의해 표시되는 프로스 완드 개구 외부의 작동 위치(59')로 변위되도록 배열되는 이동가능 맞물림 부분(59)을 포함한다. 클램핑 메커니즘(58)은 또한 상기 변위가능 맞물림 부분(59, 59')에 결합되는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 회전 샤프트(61)를 통해 함께 결합되는 2개의 이동가능 클램핑 아암(arm) 또는 부분(60, 60A)을 포함한다. 이동가능 클램핑 부분(59)은, 맞물림 부분이 대기 위치에 있을 때 클램핑 부분의 아암(60, 60A)이 프로스 완드를 해제시키거나 수용하기 위한 해제 위치(RP)로 위치되도록, 그리고 맞물림 부분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즉 맞물림 부분(59A)이 프로스 완드에 의해 맞물리고 프로스 완드를 프로스 완드 개구 내로 삽입함으로써 내향으로 밀릴 때 클램핑 부분이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CP)로 위치되도록, 아암(60, 60A)에 결합된다. 프로스 완드 자체를 클램핑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기로서 사용하는 대신에, 장치(2)는 클램핑 메커니즘을 프로스 완드를 수용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위치 또는 프로스 완드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로 위치시키는 별개의 클램핑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클램핑 작동기는 바람직하게는 프로스 완드 홀더를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그리고 그것이 프로스 완드 홀더를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때 클램핑 메커니즘을 해제 위치로부터 클램핑 위치로 동시에 그리고 자동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손잡이(57) 또는 리드(31)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클램핑 메커니즘은 프로스 완드를 적어도 작동 위치에서 클램핑하도록 배열된다.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예시적인 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또한 반경방향 슬롯(30A)을 가진 시트(29)를 포함하며, 이러한 반경방향 슬롯은 프로스 완드를 시트의 전방으로부터 반경방향 슬롯(30A)을 통해 변위시킴으로써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프로스 완드 개구(30) 내로 개방된다. 이러한 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 특히 시트(29)는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도 9a 및 도 9b에 도시됨)로부터, 프로스 완드 개구(30)가 장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하지 않은 작동 위치(도 9c에 도시됨)로 회전가능하다.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시트(29)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57')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프로스 완드 홀더(19)는 프로스 완드(3)를 프로스 완드 홀더(19)로부터 방출시키기 위한 프로스 완드 방출기(62)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프로스 완드 방출기(62)는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반경방향 슬롯(30A)을 통해 프로스 완드(3)를 방출하도록 배열된다.
프로스 완드 홀더의 시트(29)는 시트(29)의 정지 단부(29A)가 프로스 완드 홀더의 시트 가이드(seat guide)(64)의 정지 표면(63)으로부터 이격되는 도 9d에 도시된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정지 단부(29A)가 정지 표면(63)에 맞닿는 작동 위치까지 변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변위는 중심 보스(centre boss)(29D)를 통해 시트(29)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시트 부분(29B)(도 9e)의 회전에 의해 달성된다. 상부 시트 부분(29B) 내에, 시트(29)에 고정되는 슬라이더(slider)(29C)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슬롯(29E)이 제공된다. 손잡이(57')의 작동에 의한 상부 시트 부분(29B)의 회전시, 슬롯(29D)의 측부 에지가 슬라이더(29C)와 맞물리며, 그 결과 시트(29)가 도 9d에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변위된다. 프로스 완드 홀더(19)의 시트 가이드(64)는, 보스(67)가 그 내부에 수용되고 시트(29)의 이동 중에 변위될 수 있는 2개의 캠 트랙(cam track)(65, 66)을 포함한다. 보스(67)는 아암(68)을 통해 회전축(69)에 연결되며, 프로스 완드 방출기(62)(아암으로서 형상화됨)가 또한 회전축(6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프링(70)에 의해 로딩된다(loaded).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70)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보스(67)가 트랙(65) 내에서 안내되는 작동 위치로 변위될 때 로딩되고,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로부터 보스(67)가 트랙(66) 내에서 안내되는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변위될 때 프로스 완드를 반경방향 슬롯(30A)으로부터 방출시키기 위해 방출기 아암(62)을 작동시키도록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스 완드가 자동으로 방출된다. 시스템은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스팀이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된 후 또는 예컨대 적합한 각각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주어지는 시스템에 대한 특정 명령시에만 시트(29)가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해제 위치로 변위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프로스 완드를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의 프로스 완드 홀더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될 때 수행되고, 프로스 완드 홀더를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가 손잡이의 적용에 의해 프로스 완드 홀더의 시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프로스 완드 홀더를 작동 위치로부터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변위시키는 단계가 스팀이 프로스 완드에 그리고 프로스 완드를 통해 공급된 후에만 이루어지고, 그 후에 프로스 완드가 프로스 완드 홀더로부터 자동으로 해제되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이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리드(31)는 작동 위치에서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과 노즐(6)(도시된 예에서 수평으로 연장됨)의 연통을 보장하는 도관(31A)을 포함한다. 그러나, 노즐(6)이 예컨대 또한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예가 예를 들어 도 11a 내지 도 11d에 개시된다. 이들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예에서, 스팀 노즐(6)은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2)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1d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스팀 노즐(44)은 또한 그것이 프로스 완드(3)의 스팀 채널(25)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치수설정된다. 스팀 노즐(6)은 스팀 채널을 둘러싸는 튜브형 벽의 내측 표면에 맞대어져 밀봉하기 위한 시일(71)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노즐(44)은 역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튜브(72)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 (리드의 일부 또는 리드의 대체물로서) 이러한 가이드 튜브(72)가 우선 하강되어, 프로스 완드의 상부 플랜지(54)에 맞대어져 밀봉하고, 클램핑 수단(58)에 의해 실현되는 클램핑에 더하여 클램핑을 제공한다(도 11c). 그 후에, 도 11d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팀 노즐(6)이 프로스 완드의 스팀 채널 내로 하강되며, 그 후에 스팀이 스팀 노즐과 스팀 채널에 그리고 그들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도 12에서, 시스템의 일례의 구성 계획(schedule)의 제1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상호연결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의 장치는 스팀 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스팀 발생기(4)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트롤러(73)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러(73)는 공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 펌프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냉수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냉수 펌프(1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밸브를 각각의 연결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밸브(4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자기적으로 제어되는 프로스 완드 방출기가 사용되는 경우에, 컨트롤러(73)는 또한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작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 프로스 완드 방출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시스템은 또한 하기의 셸프 구성요소(shelf component), 즉 역류 방지 밸브(non-return valve)(74), 공기 제한기(air restrictor)(75), 덕빌 밸브(duck-bill valve)(76), 추가의 서모 블록(77) 및 스팀 전달 밸브(78), 수량계(water flow meter)(79), 스팀 덤프 밸브(steam dump valve)(80), 응축기(81) 및 스팀 충전 밸브(82)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제2 구성 계획 예에서, 추가적으로 스팀 펌프(83)와 압력 조절기(84)가 도시된 방식으로 포함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양쪽 시스템은 또한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는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73)에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7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면, 컨트롤러(73)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전자기적으로 작동가능한)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정지시키도록 배열된다.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는 또한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배열되고,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프로스 완드 삽입 작동 위치로 위치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73)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러면, 컨트롤러(73)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고 컨트롤러(73)가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사전결정된 기간 내에 스팀 발생기(4)를 정지시켰음을 나타낼 때 프로스 완드 방출기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컨트롤러(73)는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로부터의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19)가 프로스 완드 삽입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 컨트롤러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배열되고/되거나, 프로스 완드 홀더 검출기(85)로부터의 신호가 프로스 완드 홀더가 작동 위치에 있음을 나타낼 때에만 컨트롤러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 계획에서, 장치는 또한 프로스 완드(3)가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 존재 검출기(86)를 포함한다. 프로스 완드 존재 검출기(86)는 프로스 완드(3)가 프로스 완드 홀더(19) 내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로스 완드 존재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7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면, 컨트롤러(73)는 적어도 프로스 완드 존재 신호에 따라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배열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 계획에서, 시스템, 특히 장치는 또한 컵(27) 내의 프로스(28A)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프로스 온도 센서(87)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87)는 측정된 프로스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러(73)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프로스 온도 센서는 컵(27) 위에(87A), 컵(27)의 상부 에지(27A) 위에서 컵(27) 옆에(87B), 또는 컵(27)의 상부 에지(27A) 아래에서 컵 옆에(87C) 위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도 14 참조)을 포함한다. 이어서, 프로스(28A)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프로스(28A)로부터 소리를 기록하는 것, 및 컨트롤러(73)에 저장된 적합한 알고리즘에 의해 기록된 소리로부터 온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컨트롤러(73)가 스팀 발생기(4)를 정지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73)는 각각의 센서(79, 85, 86, 87)에 의해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료를 가열 및 프로싱하고 제조하는 방법을 제어한다.
프로스 완드가 음료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실시예가 이하에 도시된다. 예로서, 본 발명은 음료 원료로서 로스팅된 분쇄된 커피(RGC)로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로스팅된 분쇄된 커피로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의 용기는 차(tea), 허브(herb), 수프(soup), 액체 음료 또는 음식 농축물, 분말 음료 또는 음식 농축물, 시럽(syrup), 믹스(mix)(분말 또는 액체 농축물), 주스, 초콜릿 음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음료 원료 또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물이 추출 매질로 기술될 것이지만, 원료에 따라 예컨대 우유와 같은 다른 추출 매질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RGC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스 완드(101)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프로스 완드(101)는 본체(102) 및 커버(103)(도 15c)를 포함한다. 본체(102)는 PLA로부터 성형되고, 챔버 저부(105) 및 챔버 저부(105)의 주연부에 있는 챔버 벽(106)에 의해 한정되는 RGC 챔버(10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벽이 원형 원주를 갖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벽이 다각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의 챔버(104)는 바람직하게는 1인분의 커피에 대한 양에 해당하는 양의 RGC를 수용하기 위해 챔버 저부(105) 반대측에서 개방된다.
챔버 벽(106)은 챔버 저부(105) 반대편의 그의 자유 단부에 밀봉 표면(107)을 갖고, 따라서 커버(103)가 RGC 챔버(104)를 폐쇄하기 위해 챔버 벽(106)의 밀봉 표면(107)에 부착될 수 있다.
프로스 완드(101)는 또한 물을 RGC 챔버(104) 내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 개구(108)를 포함하며, 이러한 흡입 개구는 챔버 저부(105) 내에 제공되는 천공가능 물 흡입 부분(108)에 의해 형성된다. 프로스 완드(101)는 또한 챔버 벽(106)의 밀봉 표면(107) 내에 제공되는, RGC 챔버(104)로부터 커피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개구(109)를 포함한다.
프로스 완드의 튜브형 벽은 음료 원료 챔버(104)로부터 외향으로 반경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손잡이(110)를 형성한다. 긴 손잡이(110)는 본체(102)와 일체형이고, 손잡이 저부(111) 및 손잡이 밀봉 플랜지(112)를 포함한다. 손잡이(110)에는 분배 개구(109)와 연통하는 상류 채널 입구(114)로부터 손잡이(110)의 자유 단부에 제공되는 하류 채널 출구(115)까지 연장되는 출구 채널(113)이 제공된다. 손잡이 밀봉 플랜지(112)는 커버(103)가 또한 손잡이 저부(111)와 반대 방향으로 출구 채널(113)을 폐쇄하기 위해 손잡이(110)의 밀봉 플랜지(112)에 부착될 수 있도록 챔버 벽(106)의 밀봉 표면(107)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도 15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110)의 밀봉 플랜지(112)는 채널 출구(113)를 둘러싸고, 따라서 커버(103)가 밀봉 플랜지(112)에 부착될 때 채널 출구(113)는 채널 출구(115)의 위치에서도 완전히 폐쇄된다(도 15c 참조). 출구 채널(113)을 통해 분배되는 음료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에 의해 채널 출구(115)를 개방시키기 위해, 커버(103)는 채널 출구의 위치(116)에서 약화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챔버 벽(106)의 높이는 긴 손잡이(110)의 높이의 약 5배이다. 이는 재료의 불필요한 사용 없이 충분한 양의 RGC가 챔버(104) 내에 수용될 수 있게 하면서 쉬운 취급을 보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높이 비가 특히 챔버(104) 내에 수용될 RGC의 양에 따라 적어도 4 또는 적어도 6일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상류 채널 입구(114)는 챔버 벽(106)의 밀봉 표면(107) 내에 제공되는 주변부 분배 채널(117)을 통해 분배 개구(109)와 연통하여 소형 프로스 완드(101)를 얻게 된다. 챔버 저부(105)에는 또한 주변부 분배 채널(117) 내에서 방출하는 챔버 벽(106) 내의 추출 매질 바이패스 파이프(119)를 통해 손잡이(110)의 출구 채널(113)의 상류 채널 입구(114)로 이어지는 천공가능 추출 매질 바이패스 흡입 부분(118)이 제공된다. 추출 매질 바이패스(118, 119)를 사용함으로써, 프로스 완드(101)로부터의 음료의 더욱 일관된 산출이 얻어질 수 있고, 또한 제조된 음료의 농도가 상기 추출 매질 바이패스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f에 도시된 프로스 완드(101)의 실시예에서, 챔버 저부(105)에는 또한 챔버 벽(106) 내의 스팀 입구 파이프(121)를 통해 손잡이(110) 내에 제공되는 스팀 출구 채널(23)의 상류 스팀 채널 입구(122)로 이어지는 천공가능 스팀 입구 부분(120)이 제공된다. 스팀 출구 채널(123)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출구(115)와 일치하는, 손잡이(110)의 자유 단부에 제공되는 하류 스팀 채널 출구로 종단된다. 이는 출구 채널(113)이 손잡이(110)의 자유 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125)에서 스팀 채널(123) 내로 방출한다는 점에서 실현된다. 프로스 완드의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스팀 채널(123)의 출구와 출구 채널(113)의 출구는 서로 별개일 수 있다.
도 15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103)는 또한 손잡이 저부(111)와 반대 방향으로 스팀 채널(123)을 차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스 완드(101) 자체가 예컨대 우유 거품을 생성하기 위해 컵에 부어진 새로운 우유 내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스팀 채널(123) 내로 개방되는 공기 입구 슬롯(124)이 손잡이 저부(111)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공기 입구 슬롯(124)은 스팀 채널(123)을 통한 스팀의 더욱 일관된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스팀이 스팀 채널로 통과되고 있을 때 공기가 스팀 채널(123) 내로 흡입되도록 허용한다.
천공가능 아로마 벤트 부분(126)이 음료의 추출 중에 천공된 후 아로마가 프로스 완드(101)로부터 방출되게 하기 위해 챔버 저부(104) 내에 제공된다. 커버(103)는 예컨대 사용자가 추출 과정을 지켜볼 수 있도록 챔버 저부 반대편의 위치(127)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손잡이(110)에는 음료와 조합될 우유의 최소 레벨을 표시하기 위한 마킹(128)이 제공되고, 사용 전에 제거될 (도시되지 않은) 수동으로 제거가능한 종이 슬리브로 둘러싸일 수 있다. 프로스 완드(101)의 챔버 저부(105)의 외측 표면에는 사용 전에 제거될 수동으로 제거가능한 밀봉 멤브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우유에 거품을 생성하는 데 스팀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프로스 완드 변형 또는 사용자가 스팀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 본체(102)에는 손잡이(110)가 수동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음료 원료 챔버(104)와 손잡이(110) 사이에 인열선(129)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5g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101)의 제2 실시예가 부분적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스 완드(101)는 그것이 챔버 저부(104) 내에 함몰부 형태의 식별자(13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5a 내지 도 15f에 도시된 프로스 완드와 상이하며, 이러한 식별자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내의 판독기에 의해 판독될 때, 예컨대 용기 내에 수용된 RGC의 유형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이러한 데이터는 예컨대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음료 원료 챔버 내에 공급될 온수의 온도와 양 및/또는 컵에 부어진 일정량의 우유 내에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와 지속기간을 조절함으로써, 예컨대 음료를 최적의 기본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해 음료 제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6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용기를 가진 본 발명의 프로스 완드가 연결될 수 있는 프로스 완드 홀더(131a)를 갖는 자동 음료 제조 장치(131)가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7a에서, 추가 성분으로서 우유가 컵(132)에 부어지는 상태에서, 작동 위치에서 프로스 완드(101)가 장치(131)에 연결되는 음료 제조 시스템이 도시된다. 도 17a의 시스템은 도 17b에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자동 음료 제조 장치(131)는 물을 프로스 완드(101)의 RGC 챔버(104) 내에 공급하기 위한 급수 장치(133)를 포함하며, 따라서 장치(131) 자체에 브루잉 챔버(brewing chamber)가 없을 수 있다. 급수 장치(133)는 수평 지지 표면(134) 및 급수 노즐(135)을 포함하며, 이러한 급수 노즐 상에 프로스 완드(101)가 가압되되 급수 노즐(135)이 천공가능 물 흡입 부분을 천공하도록 가압될 수 있고, 프로스 완드 홀더(131a)는 프로스 완드(101)가 장치(131)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프로스 완드(101)는 RGC 챔버(104)로부터 커피 음료를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분배하기 위해 채널 출구(115)가 컵(132) 내로 하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긴 손잡이(110)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자동 음료 제조 장치(131)에 연결된다. 장치(131)에는 또한 프로스 완드(101)를 자동 음료 제조 장치(131)에 연결할 때 천공가능 물 바이패스 흡입 부분을 천공하는 물 바이패스 공급 노즐(137)을 갖는 물 바이패스 공급 장치(136), 및 프로스 완드(101)를 자동 음료 제조 장치(131)에 연결할 때 용기의 천공가능 스팀 입구 부분을 천공하는 스팀 공급 노즐(139)에 연결되는 스팀 도관(138a)을 갖는 스팀 공급 장치(138)가 제공된다. 장치(133, 136, 138)에 필요한 물은 각각 장치(133, 136, 138)의 물 홀더(141, 141', 141")와 연통하는 탈착가능 물 저장소(14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음료 제조 장치(131)는 또한 용기를 자동 음료 제조 장치(131)에 연결할 때 천공가능 아로마 벤트 부분을 천공하는 아로마 벤트 천공기(piercer)(142)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에 의한 음료의 제조 중에 생성되는 아로마가 아로마 벤트 부분을 통해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증대된 맛과 향(smell)의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장치(143)가 물과 스팀 공급 장치(133, 136, 138)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장치(131) 내에 포함된다. 제어 장치(143) 및/또는 장치(131)는 예컨대 장치(131)의 상부에 있는 온/오프 스위치(144)에 의해 켜질 수 있지만, 장치(131)의 재현가능하고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음료 제조 시스템은 프로스 완드(101)가 자동 음료 제조 장치(131)의 프로스 완드 홀더(131a)에 연결된 후에만 제어 장치(143)에 의한 작동이 가능해지도록 배열된다. 그러한 연결은 예컨대 검출기(145, 146)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 장치(131)는 노즐(135, 137, 139)과 아로마 벤트(142)가 도 17b에 실선으로 표시된 상부 연결 위치(CP)와 도 17b에 파선으로 표시된 하부 작동 위치(AP) 사이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배열된다. 장치(131)는 노즐이 상부 연결 위치(CP)에 있는지 또는 하부 작동 위치(AP)에 있는지를 확립할 수 있는 그리고 노즐이 존재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장치(143)에 송신하는 센서(147)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음료 제조 시스템은 노즐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에만 제어 장치(143)에 의한 작동이 가능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자동 음료 제조 장치(131)는 프로스 완드(101)의 식별자(130)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기를 포함하며, 이러한 판독기는 본 예에서 검출기(145, 146)에 의해 형성된다. 판독기(145, 146)는 판독된 식별자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자동 음료 제조 장치(13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143)에 제공한다. 특히, 제어 장치(143)는 특정 유형의 로스팅된 분쇄된 커피에 맞추어진 처리 프로파일(processing profile)을 포함하는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처리 프로파일 각각은 사용 중에, 식별자(130)의 판독시 처리 프로파일이 선택되는 특정 유형의 로스팅된 분쇄된 커피에 대해 각각의 기본 과정(default process)을 수행하기 위해 장치 공급 장치(133, 136, 138)를 제어하도록 제어 장치(143)에 명령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컨대 챔버(104)에 공급될 온수의 양과 온도가 식별자의 판독시 제어 장치(143)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온/오프 스위치(144)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더하여, 장치(131)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처리 프로파일을 무효로 하는 그 또는 그녀 자신의 처리 프로파일 또는 선호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제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료 제조 장치는 컵(149) 내에 분배되거나 존재하는 음료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음료 온도 센서(150)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150)는 측정된 음료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장치에 공급하기 위해 제어 장치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 장치(143)는 측정된 음료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음료 제조 장치를 제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스팀의 공급이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음료 온도 센서(150)는 도시된 예에서 컵 위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microphone)(150A)을 포함한다.
도 17b에, 자동 음료 제조 장치(131)가 컵(149) 내에 존재하는 우유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우유량 검출기(148), 이 예에서 저울(weighing scale)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시된다. 우유량 검출기(148)는 검출된 양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장치(143)에 공급한다. 제어 장치(143)는 이어서 컵(149) 내의 우유의 양에 따라 스팀 공급 장치(138)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f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스 완드(이하에서 제3 프로스 완드로 불림)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고, 제1 및 제2 실시예와 유사한 제3 프로스 완드의 부분이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된다.
제3 프로스 완드(101)는 본체(102) 및 커버(103)(도 18e)를 포함한다. 본체(102)는 PLA로부터 성형되고, 챔버 저부(105) 및 챔버 저부(105)의 주연부에 있는 챔버 벽(106)에 의해 한정되는 RGC 챔버(10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벽이 원형 원주를 갖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벽이 다각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의 챔버(104)는 바람직하게는 1인분의 커피에 대한 양에 해당하는 양의 RGC를 수용하기 위해 챔버 저부(105) 반대측에서 개방된다.
챔버 벽(106)은 챔버 저부(105) 반대편의 그의 자유 단부에 밀봉 표면(107)을 갖고, 따라서 커버(103)가 RGC 챔버(104)를 폐쇄하기 위해 챔버 벽(106)의 밀봉 표면(107)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103)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천공된 멤브레인 또는 다공성 필터(103A) 및 커버 요소(103B)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 요소(103B)는 RGC 챔버(104) 위로 돔(dome) 형상인 한편, 멤브레인 또는 다공성 필터(103A)는 평평하여, 바람직하게는 챔버(104) 내의 로스팅된 분쇄된 커피와 상이한 추가의 음료 원료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추가 챔버(104A)를 형성한다.
프로스 완드(101)는 또한 물을 RGC 챔버(104) 내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 개구(108)를 포함하며, 이러한 흡입 개구는 챔버 저부(105) 내에 제공되는 천공가능 물 흡입 부분(108)에 의해 형성된다. 제3 프로스 완드(101)는 또한 천공가능 추출 매질 흡입 부분(108)으로부터 음료 원료 챔버 내로, 바람직하게는 천공된 멤브레인 또는 다공성 필터(103A)까지 연장되는 추출 매질 입구 파이프(108A)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 매질이 추가의 음료 원료에 제공된 다음에, 천공된 멤브레인 또는 다공성 필터를 통해 챔버(104) 내의 RGC로 유동한다. 프로스 완드(101)는 또한 RGC 챔버(104)로부터 커피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구멍(109)을 챔버 벽(106) 내에 포함한다. 챔버(104) 내에서 분배 구멍(109)의 전방에, 격자(grid)(G) 및 필터 시트(filter sheet)(F)가 개구(109)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긴 손잡이(110)는 음료 원료 챔버(104)로부터 외향으로 반경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긴 손잡이(110)는 본체(102)와 일체형이고, 손잡이 저부(111) 및 손잡이 밀봉 플랜지(112A, 112B)를 포함한다. 손잡이(110)에는 분배 개구(109)와 연통하는 상류 채널 입구(114)로부터 손잡이(110)의 자유 단부에 제공되는 하류 채널 출구(115)까지 연장되는 출구 채널(113)(또한 도 18d1 참조)이 제공된다. 손잡이 밀봉 플랜지(112)는 커버(103)가 또한 손잡이 저부(111)와 반대 방향으로 출구 채널(113)을 폐쇄하기 위해 손잡이(110)의 밀봉 플랜지(112)에 부착될 수 있도록 챔버 벽(106)의 밀봉 표면(107)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도 18f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110)의 밀봉 플랜지(112)는 출구 채널(113)을 덮는다. 상류 채널 입구(114)는 분배 구멍(109)과 직접 연통하여 소형 프로스 완드(101)를 얻게 된다.
도 18a 내지 도 18f에 도시된 제3 프로스 완드(101)의 실시예에서, 챔버 저부(105)에는 또한 스팀 입구 파이프(121)를 통해, 둘 모두 손잡이(110) 내에 제공되는 출구 채널(113) 아래에 위치되는 스팀 출구 채널(123)의 상류 스팀 채널 입구(122)로 이어지는 천공가능 스팀 입구 부분(120)이 제공된다. 스팀 출구 채널(123)은 손잡이(110)의 자유 단부에 제공되는 하류 스팀 채널 출구(SO)로 종단된다.
도 18e 및 도 18f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 부분(103C)은 또한 손잡이 저부(111)와 반대 방향으로 스팀 채널(123)을 차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스 완드(101) 자체가 예컨대 우유 거품을 생성하기 위해 컵에 부어진 새로운 우유 내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e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가진 프로스 완드(이하에서 제4 프로스 완드로 불림)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고,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와 유사한 제4 프로스 완드의 부분이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된다.
제4 프로스 완드(101)는 본체(102), 및 디스크 형상의 부분(103D)과 긴 부분(103E)을 포함하는 커버(103)를 포함한다. 본체(102)는 PLA로부터 성형되고, 챔버 저부(105) 및 챔버 저부(105)의 주연부에 있는 챔버 벽(106)에 의해 한정되는 RGC 챔버(10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벽이 원형 원주를 갖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벽이 다각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의 챔버(104)는 바람직하게는 1인분의 커피에 대한 양에 해당하는 양의 RGC를 수용하기 위해 챔버 저부(105) 반대측에서 개방된다. 챔버 벽(106)은 챔버 저부(105) 반대편의 그의 자유 단부에 밀봉 표면(107)을 갖고, 따라서 디스크 형상의 커버 부분(103D)이 RGC 챔버(104)를 폐쇄하기 위해 챔버 벽(106)의 밀봉 표면(107)에 부착될 수 있다.
제4 프로스 완드(101)는 또한 물을 RGC 챔버(104) 내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 개구(108)를 포함하며, 이러한 흡입 개구는 챔버 저부(105) 내에 제공되는 천공가능 물 흡입 부분(108)에 의해 형성된다. 제4 프로스 완드(101)는 또한 천공가능 추출 매질 흡입 부분(108)으로부터 음료 원료 챔버 내로, 바람직하게는 챔버(104)의 높이의 절반까지 연장되는 추출 매질 입구 파이프(108A)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 매질이 정확한 추출을 위해 추가의 음료 원료 내에 제공된다. 제4 프로스 완드(101)는 또한 RGC 챔버(104)로부터 커피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구멍(109)을 챔버 벽(106) 내에 포함한다. 챔버(104) 내에서 분배 구멍(109)의 전방에, 격자(G) 및 필터 시트(F)가 개구(109)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4 프로스 완드의 튜브형 벽은 또한 음료 원료 챔버(104)로부터 외향으로 반경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손잡이(110)를 형성한다. 긴 손잡이(110)는 본체(102)와 일체형이고, 손잡이 저부(111) 및 커버 부분(103E)에 의해 형성되는 손잡이 밀봉 플랜지를 포함한다. 손잡이(110)에는 분배 개구(109)와 연통하는 상류 채널 입구(114)로부터 손잡이(110)의 자유 단부에 제공되는 하류 채널 출구(115)까지 연장되는 출구 채널(113)이 제공된다. 손잡이 밀봉 플랜지(112)는 커버(103)가 또한 손잡이 저부(111)와 반대 방향으로 출구 채널(113)을 폐쇄하기 위해 손잡이(110)의 밀봉 플랜지(112)에 부착될 수 있도록 챔버 벽(106)의 밀봉 표면(107)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상류 채널 입구(114)는 분배 구멍(109)과 직접 연통하여 소형 제4 프로스 완드(101)를 얻게 된다. 도 19a 내지 도 19e에 도시된 제4 프로스 완드(101)의 실시예에서, 챔버 저부(105)에는 또한 스팀 입구 파이프(121)를 통해, 둘 모두 손잡이(110) 내에 제공되는 출구 채널(113)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스팀 출구 채널(123)의 상류 스팀 채널 입구(122)로 이어지는 천공가능 스팀 입구 부분(120)이 제공된다. 스팀 출구 채널(123)은 손잡이(110)의 자유 단부 부근에 제공되는 하류 스팀 채널 출구(SO)로 종단된다.

Claims (48)

  1. 프로스 완드(froth wand)로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스팀 입구를 포함하는 스팀 입구 단부, 상기 스팀 입구로부터 분리되는 스팀 출구를 포함하는 스팀 출구 단부, 및 상기 스팀 입구와 상기 스팀 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팀 채널을 갖는 튜브형 벽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스 완드는 일회용 프로스 완드인, 프로스 완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프로스 완드는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되는, 프로스 완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출구는 상기 튜브형 벽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로스 완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출구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프로스 완드의 자유 단부에 배열되는, 프로스 완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출구는 1.0 mm 내지 2.0 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개구인, 프로스 완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출구는 복수의 스팀 출구 개구들을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스팀 출구에 인접하게 또는 상기 스팀 출구 내에 다공성 요소(porous element)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채널은 4 mm 내지 10 mm의 직경을 갖는, 프로스 완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튜브형 벽은 0.4 내지 0.6 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5 mm 벽 두께를 갖는, 프로스 완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1 내지 20 그램의 범위 내의 낮은 열 질량(thermal mass)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프로스 완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프로스 완드의 길이는 100 내지 120 mm, 바람직하게는 110 mm인, 프로스 완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스팀 출구 단부에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형상화되는, 프로스 완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대칭으로 형상화되는, 프로스 완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스팀 입구 단부에 그립(grip)을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형상화되는, 프로스 완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은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대해 대칭으로 형상화되는, 프로스 완드.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스팀 입구 단부에 상부 플랜지(upper flange)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는 평평한 단부 면을 갖는, 프로스 완드.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상부 플랜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유지 플랜지(retention flange)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벽의 외경이 상기 스팀 출구 단부로부터 상기 스팀 입구 단부를 향해 증가하는, 프로스 완드.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벽은 감소하는 외경을 갖는, 상기 스팀 입구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튜브형 벽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롯(slot)으로서 형상화되는 공기 개구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튜브형 벽은 공기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개구는 하나 이상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구멍들 각각은 상기 튜브형 벽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롯으로서 형상화되는, 프로스 완드.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출구 단부 부근에서 상기 튜브형 벽 상에 제공되는 순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 채널은 흡입 개구 및 상기 스팀 출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별개의 출구 개구를 갖고, 상기 순환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스 완드의 상기 스팀 채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프로스 완드.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충전 표시 마크(fill indication mark)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는 음료 원료(beverage base material)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본체(base body) 및 커버(cover)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챔버 저부 및 상기 챔버 저부의 주연부에 있는 챔버 벽에 의해 한정되는 음료 원료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 저부 반대측에서 개방되고, 상기 챔버 벽에는 상기 챔버 저부 반대편의 상기 챔버 벽의 자유 단부에 밀봉 표면이 제공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음료 원료 챔버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챔버 벽의 상기 밀봉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음료 원료 챔버로 추출 매질(extraction medium)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개구 및 상기 음료 원료 챔버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 개구를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벽은 상기 음료 원료 챔버로부터 외향으로 반경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손잡이(elongated handle)를 형성하고, 상기 긴 손잡이는 상기 본체와 일체형이고 손잡이 저부 및 상기 챔버 벽의 상기 밀봉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손잡이 밀봉 플랜지(handle sealing flange)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분배 개구와 연통하는 상류 채널 입구로부터 상기 손잡이의 자유 단부에 제공되는 하류 채널 출구까지 연장되는 출구 채널이 제공되고, 상기 커버는 또한 상기 손잡이 저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출구 채널을 폐쇄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의 상기 밀봉 플랜지에 부착되는, 프로스 완드.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벽의 높이는 상기 긴 손잡이의 높이보다 적어도 4배, 바람직하게는 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6배 더 큰, 프로스 완드.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기 밀봉 플랜지는 상기 채널 출구를 둘러싸고, 상기 커버는 상기 채널 출구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밀봉 플랜지에 부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출구 채널을 통해 분배되는 음료에 의해 개방되도록 상기 채널 출구의 위치에서 약화되는(weakened), 프로스 완드.
  31.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원료 챔버로 추출 매질을 흡입하기 위한 상기 흡입 개구는 상기 챔버 저부 내에 제공되는 천공가능 추출 매질 흡입 부분(pierceable extraction medium intake portion)에 의해 형성되는, 프로스 완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천공가능 추출 매질 흡입 부분으로부터 상기 음료 원료 챔버 내로 연장되는 추출 매질 입구 파이프(extraction medium inlet pipe)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33. 제2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원료 챔버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상기 분배 개구는 상기 챔버 벽의 상기 밀봉 표면 내에 제공되는, 프로스 완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채널 입구는 상기 챔버 벽의 상기 밀봉 표면 내에 제공되는 주변부 분배 채널을 통해 상기 분배 개구와 연통하는, 프로스 완드.
  35. 제2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원료 챔버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상기 분배 개구는 상기 챔버 벽 내의 분배 구멍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스 완드.
  36.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저부에는 천공가능 추출 매질 바이패스 흡입 부분(pierceable extraction medium bypass intake portion)이 제공되고, 상기 챔버 벽에는 상기 천공가능 추출 매질 바이패스 흡입 부분으로부터 상기 손잡이의 상기 출구 채널의 상기 상류 채널 입구까지 연장되는 추출 매질 바이패스 파이프(extraction medium bypass pipe)가 제공되는, 프로스 완드.
  37. 제34항 및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매질 바이패스 파이프는 상기 챔버 벽의 상기 밀봉 표면 내에 제공되는 상기 주변부 분배 채널 내로 방출하는, 프로스 완드.
  38. 제27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입구는 상기 용기 내에 제공되고, 상기 스팀 입구는 천공가능 스팀 입구 부분을 갖고, 상기 스팀 채널은 상기 손잡이 내에서 상류 스팀 채널 입구로부터 상기 손잡이의 상기 자유 단부에 제공되는 하류 스팀 채널 출구까지 연장되고, 상기 용기에는 상기 천공가능 스팀 입구 부분으로부터 상기 손잡이의 상기 스팀 채널 출구의 상기 상류 스팀 채널 입구까지 연장되는 스팀 입구 파이프가 추가로 제공되고, 상기 커버는 또한 상기 손잡이 저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스팀 채널을 폐쇄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의 상기 밀봉 플랜지에 부착되는, 프로스 완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채널은 상기 손잡이의 상기 자유 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스팀 채널 내로 방출하는, 프로스 완드.
  40. 제2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저부에는 천공가능 아로마 벤트 부분(pierceable aroma vent portion)이 제공되는, 프로스 완드.
  41. 제2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 저부 반대편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프로스 완드.
  42. 제27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저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동으로 제거가능한 밀봉 멤브레인(sealing membrane) 또는 커버가 제공되는, 프로스 완드.
  43. 제27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손잡이를 수동으로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음료 원료 챔버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인열선(tear line)이 제공되는, 프로스 완드.
  44. 제2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데이터가 제공된 식별자(identifier)가 제공되는, 프로스 완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챔버 저부 내의 돌출부(protrusion)들 및/또는 함몰부(depression)들을 포함하는, 프로스 완드.
  46. 제27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PLA (TBC)와 같은 바이오 플라스틱(bio plastics)으로부터 성형되는, 프로스 완드.
  47. 제2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1인분(single serving)을 위한 양의 로스팅된 분쇄된 커피(roasted ground coffee)를 수용하는, 프로스 완드.
  48.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스 완드에는 적어도 상기 튜브형 벽을 둘러싸는 수동으로 제거가능한 종이 슬리브(paper sleeve)가 제공되는, 프로스 완드.
KR1020187002828A 2015-07-01 2016-06-30 프로스 완드 KR201800259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5070 2015-07-01
NL2015070A NL2015070B1 (en) 2015-07-01 2015-07-01 A froth wand.
PCT/NL2016/050466 WO2017003290A1 (en) 2015-07-01 2016-06-30 A froth w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910A true KR20180025910A (ko) 2018-03-09

Family

ID=5507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828A KR20180025910A (ko) 2015-07-01 2016-06-30 프로스 완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806294B2 (ko)
EP (1) EP3316747B1 (ko)
JP (1) JP6962824B2 (ko)
KR (1) KR20180025910A (ko)
CN (1) CN107708506B (ko)
AU (1) AU2016286168B2 (ko)
BR (1) BR112017028410B1 (ko)
CA (1) CA2990768A1 (ko)
DK (1) DK3316747T3 (ko)
ES (1) ES2792948T3 (ko)
IL (1) IL256669B (ko)
NL (1) NL2015070B1 (ko)
PL (1) PL3316747T3 (ko)
RU (1) RU2710414C2 (ko)
WO (1) WO2017003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5068B1 (en) * 2015-07-01 2017-01-30 Douwe Egberts Bv A system for heating and frothing a beverage, a device for heating and frothing a beverage suitable for being used in such a system, a froth wand suitable for being used in such a system and a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using such a system.
ITUA20162284A1 (it) * 2016-04-04 2017-10-04 Iacobucci Hf Aerospace S P A Cappuccinatore
NL2017385B1 (nl) * 2016-08-29 2018-03-08 Cramer Holding B V Stoominjectie-inrichting, stoompijp voor gebruik met een dergelijke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met stoominjectie verwarmen van een voedingsmiddel
GB2580148B (en) * 2018-12-21 2022-08-24 Douwe Egberts Bv Frothing container and method of creating a frothed beverage
GB2580183B (en) * 2018-12-24 2022-11-30 Douwe Egberts Bv A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and frothing a beverage
US20210068581A1 (en) * 2019-09-05 2021-03-11 B/E Aerospace, Inc. Multi-Position Shuttle Valve Assembly for an Aircraft Brewing Apparatus
GB2590699B (en) * 2019-12-24 2023-12-06 Douwe Egberts Bv Beverage prepar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6931A (en) 1930-02-17 1931-12-15 W E Long Co Process of imparting coffee aroma to soluble coffee
US3823241A (en) 1970-09-21 1974-07-09 Procter & Gamble Cryogenic aromatization of instant coffee
US3769032A (en) 1971-10-15 1973-10-30 Procter & Gamble Aroma-enriched coffee products and process
US4517120A (en) 1983-10-19 1985-05-14 Nestec, S.A. Coffee oil treatment
DE3472523D1 (en) 1983-12-06 1988-08-11 Nestle Sa Coffee aromatization
EP0352842B1 (en) 1988-07-13 1993-01-20 Douwe Egberts Koninklijke Tabaksfabriek- Koffiebranderijen-Theehandel N.V. Process for extracting coffee
CA2090169A1 (en) 1992-03-12 1993-09-13 Jerome F. Trumbetas Colloidal roasted coffee as aromatizer
JP2001070447A (ja) * 1999-09-06 2001-03-21 Shimadzu Corp 針無注射器
WO2001088187A1 (en) * 2000-05-19 2001-11-22 Rancilio Macchine Per Caffe' S.P.A. Device for heating and frothing a liquid, in particular milk
GB2374856B (en) * 2001-04-27 2004-11-03 Mars Uk Ltd Production of edible foams
US6786138B2 (en) * 2002-01-16 2004-09-07 Boyd Coffee Company Device for preparing milk froth for cappuccino
ES2338640T3 (es) * 2003-03-24 2010-05-11 Nestec S.A. Dispositivo para bombear un liquido a partir de un embalaje o de un recipiente.
ATE404097T1 (de) * 2003-12-22 2008-08-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Flüssigkeitspatrone für den einsatz in einem getränkesystem
DE102004024721A1 (de) * 2004-05-19 2005-12-15 Melitta Haushaltsprodukt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Vorrichtung zum Aufschäumen einer Flüssigkeit
ES2421582T3 (es) * 2005-04-13 2013-09-04 Nestec Sa Boquilla reemplazable para producir un líquido espumado
NL1030178C2 (nl) 2005-10-12 2007-04-13 Sara Lee De Nv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koffie-extract, alsmede het daarmee te verkrijgen extract.
WO2007063845A1 (ja) * 2005-11-29 2007-06-07 Sanden Corporation 液状食品加熱装置及び液状食品加熱装置用の蒸気噴出ノズル
ITTO20060089U1 (it) * 2006-06-12 2007-12-13 Buzzi Srl Dispositivo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alde schiumose, particolarmente cappuccini e simili
JP2012153894A (ja) * 2006-07-05 2012-08-16 Mitsubishi Plastics Inc 生分解性樹脂製管状成形体
WO2008049162A1 (en) * 2006-10-24 2008-05-02 Brando International Limited Protective sheath
US8685477B2 (en) * 2008-01-17 2014-04-01 Enodis Corporation Method for blending a beverage in a single serving cup
CN102438490A (zh) * 2009-04-20 2012-05-02 阳光有限责任公司 蒸汽棒
JP5393566B2 (ja) * 2010-03-30 2014-01-22 富士ケミカル株式会社 管状成形品
EP3521210B1 (de) * 2010-07-22 2020-01-08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mit barcode
EP2433527B1 (en) * 2010-09-28 2013-04-03 Gruppo Cimbali S.p.A. Improved automatic milk frothing wand
WO2012046766A1 (ja) 2010-10-05 2012-04-12 花王株式会社 コーヒー濃縮組成物
US20130149282A1 (en) * 2011-12-09 2013-06-13 David Christopher Marshall Food-based utensils and storag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9016670B2 (en) 2012-03-26 2015-04-28 B/E Aerospace, Inc. Froth wand for espresso maker
GB2508352B (en) 2012-11-28 2017-08-16 Douwe Egberts Bv Treating soluble coffee
KR102341481B1 (ko) 2013-12-23 2021-12-21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아로마-유지 가용성 커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08506B (zh) 2021-04-16
BR112017028410B1 (pt) 2022-07-05
NZ739104A (en) 2023-11-24
JP6962824B2 (ja) 2021-11-05
CA2990768A1 (en) 2017-01-05
DK3316747T3 (da) 2020-05-18
CN107708506A (zh) 2018-02-16
WO2017003290A1 (en) 2017-01-05
AU2016286168A1 (en) 2018-02-15
RU2710414C2 (ru) 2019-12-26
EP3316747A1 (en) 2018-05-09
NL2015070B1 (en) 2017-01-30
RU2018103747A3 (ko) 2019-08-02
EP3316747B1 (en) 2020-02-26
US10806294B2 (en) 2020-10-20
JP2018519111A (ja) 2018-07-19
RU2018103747A (ru) 2019-08-02
ES2792948T3 (es) 2020-11-12
PL3316747T3 (pl) 2020-08-10
IL256669B (en) 2021-12-01
US20180310753A1 (en) 2018-11-01
BR112017028410A2 (pt) 2018-08-28
AU2016286168B2 (en) 2021-07-01
IL256669A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5910A (ko) 프로스 완드
KR102514275B1 (ko)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음료를 가열하고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프로스 완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US11083323B2 (en) Container for containing a beverage base material,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including an automatic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and such a container, an automatic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for use in such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a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using such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