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799A -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 Google Patents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799A
KR20180025799A KR1020170077698A KR20170077698A KR20180025799A KR 20180025799 A KR20180025799 A KR 20180025799A KR 1020170077698 A KR1020170077698 A KR 1020170077698A KR 20170077698 A KR20170077698 A KR 20170077698A KR 20180025799 A KR20180025799 A KR 20180025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r
opening
film
block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상
강경탁
문철주
송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주
Priority to KR102017007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5799A/ko
Publication of KR20180025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체와 고정설치되어 수상에서 부유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바에서 승강되는 차단막으로 준설이나 골재채취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준설이나 골재채취와 같은 작업이 종료되어 오탁수가 발생되지 않을시, 상기 차단막을 제1,2회전부재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바에 신속하게 감압하여 본체와 연결설치된 부유체를 다른 작업장소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키도록한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A silt protector}
본 발명은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체와 고정설치되어 수상에서 부유된 본체에 설치된 차단막으로 준설이나 골재채취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준설이나 골재채취와 같은 작업이 종료되어 오탁수가 발생되지 않을시, 상기 차단막을 제1,2 회전부재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바에 신속하게 감압하여 본체와 연결설치된 부유체를 다른 작업장소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키도록한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오탁방지막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위로 부상토록 하기 위한 부체(100)와 부체의 하부로 연결 형성되고 작업 수계를 구획토록 하기 위한 막체(200)로 구성되어, 환경영향에 예상되는 수계에서의 건설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구획된 수계 내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질 등을 포함한 각종 부상 오탁물이 다른 수계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으로서 수처리가 가능토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은 수계에서 건설작업(준설이나 골재채취)이 종료 후 다른 수계 건설작업(준설이나 골재채취)장소로 이동시 상기 오탁방지막의 구성인 상기 부체(100)와, 상기 막체(200)를 그대로 들어올려 이동수단에 실어 이동하여 새로운 수계건설작업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하는데;
이 상기 부체(100)와 상기 막체(20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기존의 수계 건설작업장소에서 수상에 부유되어 있는 상기 부체(100)와 수계에 수장되어 수압으로 인해 무게가 증가한 상기 막체(200)를 그대로 들어올리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발생하고, 상기 부체(100)와 상기 막체(200)를 폐기물처리 하는데도 많은 비용이 발생되고, 상기 부체(100)와 물기로 인해 무게가 증가한 상기 막체(200)가 일체로 된 상기 오탁방지막을 이동수단에 싣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발생하였고, 이를 다시 새로운 수계의 건설현장에 설치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많이 발생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처럼 부유체와 고정설치되어 수상에서 부유된 본체에 설치된 차단막으로 준설이나 골재채취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준설이나 골재채취와 같은 작업이 종료되어 오탁수가 발생되지 않을시, 상기 차단막을 제1,2회전부재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바에 신속하게 감압하여 본체와 연결설치된 부유체를 다른 작업장소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키도록한 오탁방지막이 제공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번호 10-2012-0051624호 공개번호 10-2012-008313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부유체와 고정설치되어 수상에서 부유된 본체에 설치된 차단막으로 준설이나 골재채취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준설이나 골재채취와 같은 작업이 종료되어 오탁수가 발생되지 않을시, 상기 차단막을 제1,2회전부재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바에 신속하게 감압하여 본체와 연결설치된 부유체를 다른 작업장소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키도록한 새로운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간부(25)의 내부에서 회동되게 설치되고, 좌측은 본체(20)의 좌측면(22a)에 관통되어 설치되고, 우측은 상기 본체(20)의 우측면(22b)에 관통되어 설치된 회동바(30)와; 상기 본체(20)의 좌측에 노출된 상기 회동바(30)의 좌측에 설치된 제1회전부재(70a)와; 상기 본체(20)의 우측에 노출된 상기 회동바(30)의 우측에 설치된 제2회전부재(70b)로 구성되는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에 있어서,
부유체(10)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부면(21)과 좌,우측면(22a,22b)과 전,후방면(23a,23b)이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개방부(24)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25)를 갖는 본체(20)와;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다수개로 설치된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에 착탈되는 착탈부재(50)와; 상기 착탈부재(50)들과 연결되어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감기거나, 풀려 상기 회동바(30)에 의하여 승강되고 다수개의 수평바(61)가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차단막(60)과;
상기 좌측면(22a)의 후방이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후방결합부(22a-1)와, 상기 좌측면(22a)의 전방이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전방결합부(22a-2)와, 상기 좌측면(22a)의 상부가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상부결합부(22a-3)와, 상기 우측면(22b)의 후방이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후방결합부(22b-1)와, 상기 우측면(22b)의 전방이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전방결합부(22b-2)와, 상기 우측면(22b)의 상부가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상부결합부(22b-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전방결합부(22a-2)와 우측전방결합부(22b-2)에 상기 전방면(23a)의 좌,우측이 결합되고 그 결합부위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고정되며, 상기 좌측후방결합부(22a-1)와 상기 우측후방결합부(22b-1)에 상기 후방면(23b)의 좌,우측이 결합되고 그 결합부위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고정되며, 상기 좌측상부결합부(22a-3)와 우측상부결합부(22b-3)에 상기 상부면(21)의 좌,우측이 결합되고 그 결합부위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본 발명은 부유체와 고정설치되어 수상에서 부유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바에서 승강되는 차단막으로 준설이나 골재채취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준설이나 골재채취와 같은 작업이 종료되고 해안매립으로 인해 오탁수가 발생되지 않을시, 상기 차단막을 제1,2회전 부재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바에 신속하게 감압하여 본체와 연결설치된 부유체를 다른 작업장소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를 상부면, 좌,우측면, 전,후방면을 볼트로 조립 및 분해하도록 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바, 차단막의 수리 및 교체하는 것을 보다 손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링과 걸고리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막의 정면설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막의 평면설치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막의 설치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오탁방지막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링과 걸고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막의 정면설치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막의 평면설치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막의 설치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오탁방지막은 뷰유체(10)와, 본체(20)와, 회동바(30)와, 고정부재(40)와, 착탈부재(50)와, 차단막(60)과, 제1회전부재(70a)와, 제2회전부재(70b)와, 무게추(80)로 구성된다.
상기 부유체(10)는 수상에서 부유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상기 부유체(10)와 연결되어 설치하고 수상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본체(20)는 상부면(21)과 좌,우측면(22a,22b)과 전,후방면(23a,23b)이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개방부(2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공간부(25)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공간부(25)와 상기 개방부(24)는 서로 연통되어 구성된다.
상기 공간부(25)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회동바(30)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25)의 내부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유체(10)는 상기 본체(20)의 전,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뷰유체(10)는 상기 본체(20)의 전,후방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부유체(10)는 상기 본체(20)가 수상에서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본체(20)를 구성하는 상기 좌측면(22a)의 후방이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후방결합부(22a-1)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면(22a)의 전방이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전방결합부(22a-2)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면(22a)의 상부가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상부결합부(22a-3)로 구성된다.
상기 우측면(22b)의 후방이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후방결합부(22b-1)로 구성된다.
상기 우측면(22b)의 전방이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전방결합부(22b-2)로 구성된다.
상기 우측면(22b)의 상부가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상부결합부(22b-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전방결합부(22a-2)와 우측전방결합부(22b-2)에 상기 전방면(23a)의 좌,우측이 결합되고 그 결합부위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좌측후방결합부(22a-1)와 상기 우측후방결합부(22b-1)에 상기 후방면(23b)의 좌,우측이 결합되고 그 결합부위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좌측상부결합부(22a-3)와 우측상부결합부(22b-3)에 상기 상부면(21)의 좌,우측이 결합되고 그 결합부위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방면(23a)을 상기 좌,우측전방결합부(22a-2,22b-2)에 상기 볼트(b)들로 조립되고, 상기 후방변(23b)이 상기 좌,우측후방결합부(22a-1,22b-1)에 상기 볼트(b)들로 조립되며, 상기 상부면(21)이 상기 좌,우측상부결합부(22a-3,22b-3)에 상기 볼트(b)들로 조립되는 것은:
상기 본체(20)를 상기 상부면(21)과, 상기 전,후방면(23a,23b)과, 상기 좌,우측면(22a,22b)을 서로 분리 결합이 손쉽도록 하여 상기 본체(20)의 상기 공간부(25)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회동바(30) 또는 상기 본체(20)의 좌,우외측면에 설치된 제1,2회전부재(70a,70b)의 오랜 사용으로 인해 손상 및 훼손 또는 고장으로 인해 상기 회동바(30)를 상기 본체(20)의 상기 공간부(25)의 내부에서 손쉽게 교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공간부(25) 내부에 회동바(30)를 조립하여 차단막(60)을 회동바(30)에 쉽게 조립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상기 상부면(21)과, 상기 전,후방면(23a,23b)과, 상기 좌,우측면(22a,22b)으로 구성되어 어느 한 구성이 손상 및 훼손되면 그 손상 및 훼손된 구성을 손쉽게 교체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동바(30)는 상기 공간부(25)의 내부에서 회동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동바(30)의 좌측은 상기 본체(20)의 상기 좌측면(22a)에 관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30)의 우측은 상기 본체(20)의 상기 우측면(22b)에 관통,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의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오링(41)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부재(50)는 상기 고정부재(40)에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착탈부재(50)는 걸고리(5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걸고리(51)는 일측에 개방구(51a)가 설치된 몸체부(51b)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51c)는 상기 개방구(51a)에 인접하여 힌지(51d)로 상기 몸체부(51b)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개방구(51a)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51c)의 타측은 상기 몸체부(51b)의 내측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러하게 상기 몸체부(51b)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개폐부(51c)의 타측은 상기 몸체부(51b)의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51e)에 의해 간섭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개폐부(51c)는 상기 스프링(51e)의 탄발력으로 상기 개방구(51a)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51c)가 개방되어 상기 오링(41)에 상기 개방구(51a)가 삽입되고 난다음 상기 개방구(51a)를 상기 개폐부(51c)가 폐쇄하여 상기 걸고리(51)가 상기 오링(41)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단막(60)은 상기 착탈부재(50)들과 연결되어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감기겨나, 풀려 상기 회동바(30)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막(60)에는 다수개의 수평바(61)가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차단막(60)에 다수개의 수평바(61)가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은 상기 차단막(60)이 상기 수평바(61)들로 인해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면에 보다 용이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단막(60)은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차단막(60)은 상기 착탈부재(50)들과 연결되어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감기겨나, 풀려 상기 회동바(30)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착탈부재(50)인 상기 걸고리(51)들과 상기 차단막(60)의 상부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차단막(60)은 직물 천막지를 사용하여 준설, 골재채취, 해안매립 등으로 발생되는 수중오염물질이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막(60)의 양측에는 보강부재(6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재(62)는 상기 차단막(60)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막(60)의 일측에 설치된 보강부재(62)와, 또 다른 상기 차단막(60)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보강부재(62)를 서로 열결하는 연결부재(63)로 구성된다.
즉, 상기 부유체(10)와 연결된 상기 본체(20)의 상기 회동바(30)에 설치된 차단막(60)을 연속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유체(10)로 연결된 상기 본체(20)를 연속적으로 다수개로 설치하여 상기 본체(20)에 설치된 상기 차단막(60)을 하부로 하강시킨 다음에 상기 차단막(6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보강부재(62)는 또 다른 상기 차단막(60)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보강부재(62)와 상기 연결부재(63)로 연결설치하고, 상기 차단막(60)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보강부재(62)는 또 다른 상기 차단막(6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보강부재(62)와 상기 연결부재(63)로 연결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부재(70a)는 상기 본체(20)의 좌측에 노출된 상기 회동바(30)의 좌측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회전부재(70a)는 상기 회동바(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동바(30)에 설치된 상기 차단막(60)을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감거나 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회전부재(70b)는 상기 본체(20)의 우측에 노출된 상기 회동바(30)의 우측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회전부재(70b)는 상기 회동바(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동바(30)에 설치된 상기 차단막(60)을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감거나 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막(60)의 하부에는 체인 무게추(8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차단막(60)의 하부에는 체인 무게추(80)가 설치되는 것은 상기 차단막(60)이 수중이 수장되어 설치될 시, 강 또는 바다의 조류로 인해 상기 차단막(60)이 유동되어 상기 차단막(60)의 고유기능인 오탁기능의 상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부유체(10)와 고정설치되어 수상에서 부유된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회동바(30)에서 승강되는 상기 차단막(60)으로 준설이나 골재채취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준설이나 골재채취장소와 같은 작업장소가 끝나고 오탁수가 발생되지 않을시, 상기 차단막(60)을 상기 제1,2회전부재(70a,70b)로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회동바(30)에 신속하게 감압하여 상기 본체(20)와 연결설치된 상기 부유체(10)를 다른 작업장소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부유체 20 : 본체
21 : 상부면 22a : 좌측면
22a-1 : 좌측후방결합부 22a-2 : 좌측전방결합부
22a-3 : 좌측상부결합부 22b : 우측면
22b-1 : 우측후방결합부 22b-2 : 우측전방결합부
22b-3 : 우측상부결합부 23a : 전방면
23b : 후방면 24 : 개방부
25 : 공간부 30 : 회동바
40 : 고정부재 41 : 오링
50 : 착탈부재 51 : 걸고리
51a : 개방구 51b : 몸체부
51c : 개폐부 51e : 스프링
60 : 차단막 61 : 수평바
62 : 보강부재 63 : 연결부재
70a : 제1회전부재 70b : 제2회전부재
80 : 체인 무게추 b : 볼트

Claims (6)

  1. 부유체(10)는 수상에서 부유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본체(20)는 상기 부유체(10)와 연결되게 설치하고 수상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20)는 상부면(21)과 좌,우측면(22a,22b)과 전,후방면(23a,23b)이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개방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공간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5)와 상기 개방부(24)는 서로 연통되어 구성되고,
    상기 공간부(25)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회동바(30)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25)의 내부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뷰유체(10)는 상기 본체(20)의 전,후방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부유체(10)는 상기 본체(20)가 수상에서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고정부재(40)는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의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설치되고,
    착탈부재(50)는 상기 고정부재(40)에 착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착탈부재(50) 또는 걸고리(51)로 구성되고,
    차단막(60)에 다수개의 수평바(61)가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은 상기 차단막(60)이 상기 수평바(61)들로 인해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면에 보다 용이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기 위하고,
    제1회전부재(70a)는 상기 본체(20)의 좌측에 노출된 상기 회동바(30)의 좌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70a)는 상기 회동바(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동바(30)에 설치된 상기 차단막(60)을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감거나 풀도록 구성되고,
    제2회전부재(70b)는 상기 본체(20)의 우측에 노출된 상기 회동바(30)의 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70b)는 상기 회동바(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동바(30)에 설치된 상기 차단막(60)을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감거나 풀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단막(60)의 하부에는 체인 무게추(80)가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차단막(60)의 하부에는 체인 무게추(80)가 설치되는 것은 상기 차단막(60)이 수중에 수장되어 설치될 시, 강 또는 바다의 조류로 인해 상기 차단막(60)이 유동되어 상기 차단막(60)의 고유기능인 오탁기능의 상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51)는 일측에 개방구(51a)가 설치된 몸체부(51b)로 구성되고,
    개폐부(51c)는 상기 개방구(51a)에 인접하여 힌지(51d)로 상기 몸체부(51b)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개방구(51a)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51c)의 타측은 상기 몸체부(51b)의 내측에 삽입되어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51b)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개폐부(51c)의 타측은 상기 몸체부(51b)의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51e)에 의해 간섭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51c)는 상기 스프링(51e)의 탄발력으로 상기 개방구(51a)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51c)가 개방되어 오링(41)에 상기 개방구(51a)가 삽입되고 난다음 상기 개방구(51a)를 상기 개폐부(51c)가 폐쇄하여 상기 걸고리(51)가 상기 오링(41)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차단막(60)은 착탈부재(50)들과 연결되어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감기겨나, 풀려 상기 회동바(30)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22a)의 후방이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후방결합부(22a-1)와, 상기 좌측면(22a)의 전방이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전방결합부(22a-2)와, 상기 좌측면(22a)의 상부가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좌측상부결합부(22a-3)와, 상기 우측면(22b)의 후방이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후방결합부(22b-1)와, 상기 우측면(22b)의 전방이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전방결합부(22b-2)와, 상기 우측면(22b)의 상부가 좌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우측상부결합부(22b-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전방결합부(22a-2)와 우측전방결합부(22b-2)에 전방면(23a)의 좌,우측이 결합되고 그 결합부위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고정되며, 상기 좌측후방결합부(22a-1)와 상기 우측후방결합부(22b-1)에 상기 후방면(23b)의 좌,우측이 결합되고 그 결합부위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고정되며, 상기 좌측상부결합부(22a-3)와 우측상부결합부(22b-3)에 상기 상부면(21)의 좌,우측이 결합되고 그 결합부위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고정설치되고,
    전방면(23a)을 상기 좌,우측전방결합부(22a-2,22b-2)에 상기 볼트(b)들로 조립되고, 후방변(23b)이 상기 좌,우측후방결합부(22a-1,22b-1)에 상기 볼트(b)들로 조립되며, 상부면(21)이 상기 좌,우측상부결합부(22a-3,22b-3)에 상기 볼트(b)들로 조립되는 것은:
    본체(20)를 상기 상부면(21)과, 상기 전,후방면(23a,23b)과, 상기 좌,우측면(22a,22b)을 서로 분리 결합이 손쉽도록 하여 상기 본체(20)의 공간부(25)의 내부에 설치된 회동바(30) 또는 상기 본체(20)의 좌,우외측면에 설치된 제1,2회전부재(70a,70b)의 사용으로 인해 손상 및 훼손 또는 고장으로 인해 상기 회동바(30)를 상기 본체(20)의 상기 공간부(25)의 내부에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60)에는 다수개의 수평바(61)가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차단막(60)에 다수개의 수평바(61)가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은 상기 차단막(60)이 상기 수평바(61)들로 인해 회동바(30)의 외측둘레면에 보다 용이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차단막(60)은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단막(60)은 상기 착탈부재(50)들과 연결되어 상기 회동바(30)의 외측둘레에 감기거나, 풀려 상기 회동바(30)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착탈부재(50)인 걸고리(51)들과 상기 차단막(60)의 상부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차단막(60)은 직물 천막지를 사용하여 준설, 골재채취, 해안매립으로 발생되는 수중오염물질이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60)의 양측에는 보강부재(62)가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재(62)는 상기 차단막(60)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차단막(60)의 일측에 설치된 보강부재(62)와, 또 다른 상기 차단막(60)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보강부재(62)를 서로 열결하는 연결부재(63)로 구성되고,
    부유체(10)와 연결된 본체(20)의 회동바(30)에 설치된 차단막(60)을 연속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유체(10)로 연결된 상기 본체(20)를 연속적으로 다수개로 설치하여 상기 본체(20)에 설치된 상기 차단막(60)을 하부로 하강시킨 다음에 상기 차단막(6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보강부재(62)는 또 다른 상기 차단막(60)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보강부재(62)와 상기 연결부재(63)로 연결설치하고, 상기 차단막(60)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보강부재(62)는 또 다른 상기 차단막(6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보강부재(62)와 상기 연결부재(63)로 연결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KR1020170077698A 2017-06-20 2017-06-20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KR20180025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698A KR20180025799A (ko) 2017-06-20 2017-06-20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698A KR20180025799A (ko) 2017-06-20 2017-06-20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820 Division 2016-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799A true KR20180025799A (ko) 2018-03-09

Family

ID=6172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698A KR20180025799A (ko) 2017-06-20 2017-06-20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57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4093A (zh) * 2019-03-29 2020-04-10 南京御河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环境工程用河道清污装置
KR102444071B1 (ko) * 2022-04-25 2022-09-16 주식회사 에이치디이앤씨 항만 오염방지를 위한 오탁방지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4093A (zh) * 2019-03-29 2020-04-10 南京御河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环境工程用河道清污装置
KR102444071B1 (ko) * 2022-04-25 2022-09-16 주식회사 에이치디이앤씨 항만 오염방지를 위한 오탁방지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4835B2 (ja) 雨水浸透桝、及び既設雨水桝の雨水浸透桝化工法
KR10127290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KR101689630B1 (ko) 에어버블을 이용한 이동식 소음,진동 오탁 방지 장치
KR20180025799A (ko)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이동식 오탁방지막
KR100943639B1 (ko) 수문 작동 간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삼각구조의 자동수문
US20110305517A1 (en) Vertical barrier fencing for containing contaminated materials, and use thereof
CN106522155A (zh) 消浪透水型防波堤
KR20060122333A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20090014689A (ko) 맨홀 커버장치
KR101725973B1 (ko) 준설 흡입과 배사 일원화 준설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준설 방법
KR101051452B1 (ko) 친환경적인 하천 쓰레기 수거 장치
JP4504274B2 (ja) 捨石護岸の法面を被覆する防砂シートの敷設方法および防砂シート
KR101099107B1 (ko) 레이디얼 수문 시스템
KR20140024036A (ko) 수질 정화기 겸용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025564A (ko) 자동 어도 겸용 수질정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자동보 작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1285341B1 (ko) 해수와 담수의 수위차이가 없는 유압식 가동보
KR100627032B1 (ko) 부유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 역할에 의해 수문본체를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동보 수문본체
KR101544196B1 (ko) 하천 수중 오니 준설작업용 굴삭장치
CN107059819B (zh) 一种快速截污除淤链网
KR20140025566A (ko) 다단계로 구성되는 자동어도와 하천생태계 복원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CN217733945U (zh) 河道拦挡清污装置
KR100937200B1 (ko) 환경정화용 제방구조물
KR100777597B1 (ko) 하천 바닥 세굴방지용 블록
KR102084406B1 (ko) 강관파이프 및 고무슬리브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KR100707723B1 (ko)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