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021A - 튜브용기 - Google Patents

튜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021A
KR20180025021A KR1020160112187A KR20160112187A KR20180025021A KR 20180025021 A KR20180025021 A KR 20180025021A KR 1020160112187 A KR1020160112187 A KR 1020160112187A KR 20160112187 A KR20160112187 A KR 20160112187A KR 20180025021 A KR20180025021 A KR 20180025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tainer
discharge
discharge port
stopp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식
Original Assignee
김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식 filed Critical 김흥식
Priority to KR102016011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5021A/ko
Publication of KR2018002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45Suspension means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4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는 서로 다른 사용자가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중에서 최소한 하나이상의 배출구와 결합하고,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를 포함하는 이중마개; 남은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중에서 최소한 하나이상의 배출구 인접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유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튜브용기는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내용물을 남김없이 짜낼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밀봉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튜브용기의 일 측에 모두 형성되거나, 상기 튜브용기의 양 측으로 각각 1개이상씩 형성되어 총 2개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중마개는 각 이중마개의 색상을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과, 각 이중마개의 높이를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과, 각 이중마개의 모양을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과, 각 이중마개의 모양은 동일하되, 크기를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별로 배출구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배출구식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튜브용기 {A Tube Vessel}
본 발명은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각각 사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튜브용기의 뚜껑을 분실하지 않도록 이중마개를 형성하며, 튜브용기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배출구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에는 튜브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는 배출구와는 분리된 배출방지마개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나의 배출구로 구성된 종래의 튜브용기는 튜브용기의 내용물이 무좀약과 같이 전염성이 높은 질병을 가진자가 다른 사용자와 같이 사용하거나, 치약, 연고, 로션과 같은 다양한 내용물을 사용할 때 여러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배출구를 같이 사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종래기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99207호는 튜브용기의 내부를 2부분으로 구획하여 한 개의 튜브용기 내에 서로 다른 크림의 염모제를 각각 담아 사용시에 외부에서 동시에 눌러 짜 줌으로써 비슷한 양의 두가지 크림이 배출되는 튜브용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9920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각각 사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튜브용기의 뚜껑을 분실하지 않도록 이중마개를 형성하며, 튜브용기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튜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는 서로 다른 사용자가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중에서 최소한 하나이상의 배출구와 결합하고,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를 포함하는 이중마개; 남은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중에서 최소한 하나이상의 배출구 인접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유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튜브용기는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내용물을 남김없이 짜낼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밀봉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튜브용기의 일 측에 모두 형성되거나, 상기 튜브용기의 양 측으로 각각 1개이상씩 형성되어 총 2개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마개는 각 이중마개의 색상을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과, 각 이중마개의 높이를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과, 각 이중마개의 모양을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과, 각 이중마개의 모양은 동일하되, 크기를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별로 배출구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배출구식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마개는 상기 상부마개와 상기 하부마개를 연결시켜주는 마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도부는 상기 모든 배출구에 형성되며, 상기 튜브용기의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재는 상기 튜브용기의 내측에 형성되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튜브용기 내측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튜브용기를 눌렀을 때, 상기 볼록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는 상기 튜브용기 내측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가 중력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용기의 외측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튜브용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각각 사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튜브용기의 뚜껑을 분실하지 않도록 이중마개를 형성하며, 튜브용기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튜브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튜브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튜브용기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용기중에서 각각 색상이 다른 배출구를 포함하는 튜브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용기중에서 각각 높이가 다른 배출구를 포함하는 튜브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용기중에서 각각 모양은 동일하지만 크기가 다른 배출구를 포함하는 튜브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튜브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튜브용기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용기중에서 각각 색상이 다른 배출구를 포함하는 튜브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용기중에서 각각 높이가 다른 배출구를 포함하는 튜브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용기중에서 각각 모양은 동일하지만 크기가 다른 배출구를 포함하는 튜브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100)는 서로 다른 사용자가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배출구(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튜브용기의 일 측에 모두 형성되거나, 상기 튜브용기의 양 측으로 각각 1개이상씩 형성되어 총 2개이상 형성될 수 있다.
튜브용기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며, 그 내용물은 치약, 연고, 로션등 어느정도의 점성이 있는 물질이면 모두 가능할 것이다. 기존의 튜브용기에는 배출구가 한 개만 형성되어 있어, 하나의 배출구에서 나오는 내용물을 공유하는게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럴 경우 예를 들어 내용물이 치약인 경우 하나의 배출구에 여러명의 칫솔이 닿게되어 충치균이 전염될 수 있는등 위생상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별로 각각 다른 배출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배출구를 2개이상으로 형성하였다. 이 때,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용기의 일측에 배출구를 모두 배치할 수 있고, 도2와 같이 튜브용기의 양 측으로 각각 1개이상씩 배출구를 배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100)는 상기 배출구중에서 최소한 하나이상의 배출구와 결합하고, 상부마개(21)와 하부마개(22)를 포함하는 이중마개(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중마개는 상기 상부마개와 상기 하부마개를 연결시켜주는 마개 연결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튜브용기는 튜브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배출구에서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캡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튜브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캡을 분리한 이후에 캡을 분실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는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를 구비하여 배출구에 결합시킴으로써 내용물 사용후에도 자연스럽게 배출구를 덮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1 및 도2에서 보는바와 같이 마개연결부(23)를 형성하여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를 이어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각 사용자는 서로 다른 배출구를 사용하면서 튜브용기의 마개도 잃어버리지 않는 구조의 튜브용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100)는 남은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중에서 최소한 하나이상의 배출구 인접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유도부(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유도부는 상기 모든 배출구에 형성되며, 상기 튜브용기의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기존의 튜브용기는 배출구와 만나는 부분이 평행하게 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 경우, 처음 사용시에는 수월하지만 튜브용기 내용물의 잔량이 얼마남지 않았을 때에는 남은 내용물의 배출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출구 인접부분에 튜브용기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배출유도부를 형성하였다. 이 배출유도부는 내용물이 많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 손쉽게 튜브용기를 눌러 남은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깔끔하고 경제적인 튜브용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배출유도부는 배출구의 인접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배출구의 위치에 따라 튜브용기의 일측 또는 양측에 모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100)는 상기 튜브용기는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내용물을 남김없이 짜낼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밀봉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재는 상기 튜브용기의 내측에 형성되는 볼록부(41)와 오목부(42)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튜브용기 내측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튜브용기를 눌렀을 때, 상기 볼록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는 상기 튜브용기 내측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밀봉재는 튜브용기의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내용물을 남김없이 짜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튜브용기를 사용할 때 처음에는 맨끝에서부터 짜올라가면서 사용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간부분을 눌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끝에서부터 튜브용기를 눌러주면서 배출구까지 밀어주지만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밀봉재를 형성하여 튜브용기의 내부에서 서로 밀착시킬 수 있게 만들어줌으로서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밀봉재는 다양한 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록부(41)와 오목부(42)를 형성하여 튜브용기를 아래위로 눌러줄 때 볼록부와 오목부가 서로 결합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100)는 상기 이중마개는 각 이중마개의 색상을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과, 각 이중마개의 높이를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과, 각 이중마개의 모양을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과, 각 이중마개의 모양은 동일하되, 크기를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별로 배출구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배출구식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러명의 사용자가 복수개의 배출구를 사용하다보면 서로 자신의 전용 배출구가 어떤 것인지 혼란스러울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배출구를 식별할 수 있도록 배출구식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식별수단을 추가할 수 있다.
예시로써, 도4에서는 배출구식별수단으로 배출구별 이중마개의 색상을 다르게 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중마개는 크기를 규격화하여 호환가능성이 있도록 만들 수 있으므로 동일한 크기를 가진 다양한 색상의 이중마개를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원하는 색상의 이중마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밖에도 배출구식별수단으로서 이중마개의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미도시) 즉, 원모양, 사각형모양, 육각형모양등의 서로 다른 모양의 이중마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5에서는 배출구식별수단의 예시로써, 모양은 동일하지만 이중마개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였으며, 도6에서는 모양은 동일하지만 크기가 서로 다른 배출구식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배출구를 구분하는 장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100)는 상기 배출구가 중력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용기의 외측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걸림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튜브용기의 배출구를 아랫면으로 하여 튜브용기를 세워놓는 형태가 많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1에서 보는바와 같이 배출구를 중력방향의 아랫부분으로 향하게 하여 튜브용기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걸림부(5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는 튜브용기를 내려놓을만한 적당한 장소가 없거나 튜브용기를 특정장소에 놓은 위치를 기억못해서 일어나는 분실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배출구
20 : 이중마개
21 : 상부마개
22 : 하부마개
23 : 연결부
30 : 배출유도부
40 : 밀봉재
41 : 볼록부
42 : 오목부
50 : 걸림부
100 : 튜브용기

Claims (8)

  1. 서로 다른 사용자가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중에서 최소한 하나이상의 배출구와 결합하고,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를 포함하는 이중마개;
    남은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중에서 최소한 하나이상의 배출구 인접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용기는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하고, 내용물을 남김없이 짜낼 수 있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밀봉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튜브용기의 일 측에 모두 형성되거나, 상기 튜브용기의 양 측으로 각각 1개이상씩 형성되어 총 2개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마개는 각 이중마개의 색상을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과, 각 이중마개의 높이를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과, 각 이중마개의 모양을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과, 각 이중마개의 모양은 동일하되, 크기를 다르게하여 형성하는 것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별로 배출구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배출구식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마개는 상기 상부마개와 상기 하부마개를 연결시켜주는 마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부는 상기 모든 배출구에 형성되며, 상기 튜브용기의 양측에 모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상기 튜브용기의 내측에 형성되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튜브용기 내측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튜브용기를 눌렀을 때, 상기 볼록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는 상기 튜브용기 내측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중력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용기의 외측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KR1020160112187A 2016-08-31 2016-08-31 튜브용기 KR20180025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187A KR20180025021A (ko) 2016-08-31 2016-08-31 튜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187A KR20180025021A (ko) 2016-08-31 2016-08-31 튜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021A true KR20180025021A (ko) 2018-03-08

Family

ID=6172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187A KR20180025021A (ko) 2016-08-31 2016-08-31 튜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50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58164A (ja) * 2019-03-27 2020-10-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分与装置及び分与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58164A (ja) * 2019-03-27 2020-10-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分与装置及び分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3008C (zh) 施用头发用产品的装置
KR102102937B1 (ko) 분배 이전에 액체를 격리시키기 위한 콘테이너 및 방법
CN101595035B (zh) 塑料安瓿
US20180079584A1 (en)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
EP2653405A1 (en) Drinks bottle
KR20170037886A (ko) 범용 병마개
BR0213407A (pt) Recipiente resistente a derramamento para ministrar formulações
KR20180025021A (ko) 튜브용기
US11414248B2 (en) Dispenser with a membrane for sachets
US3169562A (en) Combination cap and coupler
JPWO2014103574A1 (ja) リフィル容器用注出構造
US20170151580A1 (en) Pump dispenser
US20220202160A1 (en) Hair oil applicator
AU2014398664B2 (en) Pump dispenser and container for a pump dispenser
KR102050048B1 (ko) 이중 튜브 뚜껑
CN110902093A (zh) 一种pe塑料瓶
CN109823682A (zh) 一种设有固态或液态物料储存结构的瓶盖
CN205240114U (zh) 能够选择性地吐出多种液态化妆品的化妆品吐出装置
CN112974029B (zh) 分配头
CN201031011Y (zh) 旋式双阀的液体包装瓶瓶盖组合
JP4880769B2 (ja) 任意割合吐出容器
CN205366487U (zh) 一种组合式防伪瓶盖
KR20210000217U (ko)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JP4355467B2 (ja) 櫛付き容器
US9914569B1 (en) Plastic soft tube with a cap structure able to control out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