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839A -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839A
KR20180024839A KR1020160111763A KR20160111763A KR20180024839A KR 20180024839 A KR20180024839 A KR 20180024839A KR 1020160111763 A KR1020160111763 A KR 1020160111763A KR 20160111763 A KR20160111763 A KR 20160111763A KR 20180024839 A KR20180024839 A KR 20180024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fatty acid
composition
acid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813B1 (ko
Inventor
한은실
심민경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11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813B1/ko
Priority to CN201780067561.5A priority patent/CN109906072A/zh
Priority to PCT/KR2017/009074 priority patent/WO2018043971A1/ko
Priority to TW106129134A priority patent/TW201811295A/zh
Publication of KR20180024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상 분체와 구상 분체를 함유하여 밀착력 강화되고 발림성이 우수한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밀착력과 슬라이딩이 모두 우수하여 덧바름 표면이 개선되고 뭉침없이 깨끗한 볼륨력의 기능을 나타내어 마스카라의 이상적인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Highly adhesive ey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상 분체와 구상 분체를 함유하여 밀착력 강화되고 발림성이 우수한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카라의 기능은 속눈썹에 도포되어 속눈썹을 길게 컬링하고, 볼륨감을 부여하여 눈매를 강조하고 눈매에 표정을 부여하여 데에 있다. 마스카라에서 볼륨감이라 함은 마스카라가 속눈썹에 풍성하게 도포되어 속눈썹이 본래 상태보다 숱이 많고 풍성하게 연출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특히 서양 여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속눈썹이 빈약하고 눈이 작은 동양 여성들은 보다 눈썹을 짙고 길게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마스카라의 볼륨 기능에 대한 기대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볼륨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유상에 왁스(wax)나 피막을 형성하는 폴리머를 다량 사용하거나 분체를 사용해 오고 있다.
특히 분체는 함량을 증가함에 따라 쉽게 볼륨감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볼륨형 마스카라에 흔히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나일론, 실리콘계 수지, 폴리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모양이 둥근 구상 분체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12132호에는 폴리메틸실세스키오키산과 같은 실리콘계 수지 분체를 함유하고, 반전 유화법(phase inversion emulsifision)으로 제조함으로써 볼륨감이 우수한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구상 분체는 둥근 모양으로 인해 우수한 볼륨감을 제공하지만, 속눈썹 표면과의 부착면적이 작으므로 고르게 발리지 않고 덧바를 경우 속눈썹에서 떨어져 나와 가루떨어짐 현상이 야기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구상 분체에 탄화 수소계 유분을 배합하여 제조된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31542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구상 중공(中空) 분체를 사용함으로써 볼륨감과 컬링 유지력은 우수하지만, 발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 유분으로 인해 눈밑번짐이 유발되고 시간 경과에 따라 도포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마이카, 탈크, 세리사이트 등의 모양이 납작한 판상 분체를 사용할 경우, 속눈썹 표면과의 부착면적이 크므로 밀착력 있게 발리지만 발리는 양이 너무 작아 볼륨감이 떨어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분체의 함량을 늘리면 뭉쳐 발리거나 마스카라 질감이 퍼석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09612호 "마스카라 조성물"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림성이 우수한 제형을 만드는 기술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지방산과 아미노계 염기를 반응시키는 비누화 반응에 의한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도포에 의해 쉽게 무너지는 전단박화(shear-thining) 특성을 통해 우수한 발림성을 나타내는데, 이렇게 형성된 제형의 경우 물에 대한 지속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고강도 필름 형성제를 고함량으로 사용하여 지속성을 높히는데, 이럴 경우 도포 표면이 거칠어 지거나, 덧바를 시 슬라이딩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단박화(shear-thining)와 지속성을 가져가면서 슬라이딩을 높이기 위해 종래 기술로 구상 분체 투입하거나, 비결정성 왁스 또는 저점도 왁스를 사용하는데 이는 밀착력을 떨어뜨려 볼륨 감소, 덧바름 회수 증가로 또 다시 도표 표면을 거칠게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부드러운 발림과 지속성을 유지하면서 밀착력을 향상하여 덧바름 표면을 개선하고 깨끗한 볼륨력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판상 분체와 구상 분체의 중량비가 4 : 1 내지 2 : 1로 포함되는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밀착력과 슬라이딩이 모두 우수하여 덧바름 표면이 개선되고 뭉침없이 깨끗한 볼륨력의 기능을 나타내어 마스카라의 이상적인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테스트 결과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판상 분체와 구상 분체를 포함하고,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스티렌기가 부가된 아크릴레이트계의 조합인 필름 형성제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며, 비누화 반응을 통해 제형을 형성하는 부드러운 발림과 지속성을 유지하면서 밀착력을 향상하여 덧바름 표면을 개선하고 볼륨력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또는 아이브로우용 화장료 조성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용 화장료 조성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마스카라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볼륨감이 우수한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을 위해서는 조성물 중 분체의 부착력과 밀착력이 우수하여야 하는데, 분체의 밀착력과 부착력은 분체 입자의 크기 및 형상에 의해 좌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판상 분체는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되는 입자 크기에 비에 작은 입자이다.
작은 입자의 판상 분체의 경우 퍼짐성이 낮고, 뻑뻑한 사용감을 주지만, 그만큼 밀착력이 우수하다. 밀착력이 좋은 판상 분체와 함께 저항 없이 발리는 퍼짐성이 매우 우수한 구상 분체를 추가하면 제형의 주 특징인 부드러운 발림성과 밀착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판상 분체와 구상 분체는 4 : 1 내지 2 : 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판상 분체는 평균 입도분포가 0.1 ~ 2.0 ㎛인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8 ㎛인 것으로, 예컨대 탈크(Talc), 운모(Mica), 카올린(Kaolin), 알루미나(Alumina) 등이 있으나, 탈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판상 분체는 분체의 두께가 매우 얇아 속눈썹에 얇게 발리기 때문에 볼륨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지만, 그 부착 면적이 넓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도 다시 떨어져 나오는 가루떨어짐 현상이 적으며 매끈매끈한 표면 특성으로 인하여 매우 부드럽고 매끄럽게 발리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Whittaker, Clark & Daniels사의 알루미나 시리즈(Activated 4082, Calcined 612, Tabular 635, Trihydrate 617 등), advanced Powder Technology사의 Alusion 등이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구상 분체는 평균 입경이 0.5 ~ 10 ㎛인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5.0 ㎛인 것으로, 예컨대 구상 실리카, 나일론, 식물성 셀룰로오스, 아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등이 있으나, 구상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상 분체는 형태적인 특성상 분체의 직경 두께만큼 속눈썹에 두껍게 달라붙게 되어 즉각적인 볼륨 향상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J.Rettenmaier & Sohne사의 Arbocel 시리즈(A300, BC1000, FT600-30 등), Presperse사의 Celluflow C-25, 토스코사의 Ramie Cellulose Powder 등이 시판되고 있다.
상기 판상 분체 및 구상 분체의 총 중량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 ~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로 포함된다. 이는 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너무 소량이어서 분체의 코팅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체끼리의 뭉침 현상이 생기고 분산이 용이하지 않아 유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제형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필름 형성제"는 분자가 중합하여 생기는 화합물로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해 속눈썹의 컬링을 유지시키고, 내상의 색소가 눈 밑에 묻어나지 않도록 돕는 성분을 말한다. 이러한 성분은 마스카라 외에도 헤어젤, 무스, 왁스, 스프레이 등의 헤어를 고정시키는 제품에 사용되며, 이 중에서도 짧은 속눈썹을 빠르게 고정시키고 안(眼) 자극과 끈적임이 없는 폴리머들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또한, 필름 형성제로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스티렌기가 부가된 아크릴레이트계의 조합을 함유한다.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종래의 필름 형성제들에 비하여 건조속도가 빠르므로, 번짐과 가루떨어짐 현상없이 눈썹에의 부착량을 많게 할 수 있으며, 눈썹에 얇고 견고한 필름막을 형성시켜 시간이 지나도 화장상태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C10 ~ 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레이트/C10 ~ 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있다.
상기 스티렌기가 부가된 아크릴레이트계로는 스티렌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아미노 메틸 프로판놀-아크릴레이트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인 예를 들면 스티렌/아크릴레이트/암모늄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암모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14, 아미노 메틸프로판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미노 메틸프로판놀-아크릴레이트/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 2-크로스 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14 등이 있으나, 스티렌/아크릴레이트/암모늄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는 예를 들면, Interpolymer사의 Syntran 시리즈(5009, 5760), National starch & chemical사의 Dynam X, Noveon사의 fixate 시리즈인 G-100 Polymer, Super hold Polymer, Plus Polymer 등이 있다. 이러한 폴리머들은 그 점도와 분자량이 다양하게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도 시판되고 있는 폴리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스티렌/아크릴레이트/암모늄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조합으로 그 중량비는 10 : 5 내지 10 : 10 이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10 : 8 의 중량비로 사용하였다. 지속성이 매우 우수한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경우 겉과 속의 건조속도 차이에 의해 덧바를 시 표면을 거칠게 만드는 단점이 있으나, 페닐기가 있는 스티렌/아크릴레이트/암모늄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소프트한 특성을 갖고 있어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건조되는 표면막을 일부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름 형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 4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0 ~ 30.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필름형성제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는 필름 형성 효과가 미미하고 지속성 개선에 기여하지 못하며,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스카라 조성물의 건조 속도가 너무 빨라져 발림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상기 필수 성분들 이외에도 아이 메이크업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첨가물들을 당업자가 기능 및 용도에 맞추어 용이하게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유화제, 왁스, 소포제, 방부제, 점증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그 제조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발림성이 우수한 제형을 만드는 기술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지방산과 아미노계 염기를 반응시키는 비누(soap)화 반응에 의한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지방산 에스테르인 비누, 즉 지방산 에스테르를 중화제로 중화하여 계를 안정화하고, 초기 발림성을 지속적으로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왁스 결정 억제제인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계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유화제 대신에 지방산 에스테르를 중화제로 중화한 비누를 사용하며,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가 12 ~ 22인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6 ~ 18인 팔미트산과 스테아린산이다. 탄소수가 12 미만이거나 22 초과이면 경도와 사용감이 우수하지 않다. 지방산 에스테르의 탄소수 길이가 12 미만이면 탄소 길이가 짧아서 발림성을 우수하게 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며, 탄소수 길이가 12 이상, 바람직하게는 16 이상인 지방산 에스테르이어야 라멜라 구조를 보다 쉽게 형성하며, 라멜라 구조는 외부의 변형력(스트레스)에 쉽게 구조가 깨지므로(shear shinning effect), 예를 들어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에 도포시 발림성이 우수해진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화제(neutralizing agent)"는 지방산을 중화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물질로서, 현저한 볼륨감, 컬링 및 컬링 유지력 향상과 가루떨어짐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중화제는 아미노메틸프로판올(Aminomethylpropanol: AMPD), 아미노부탄올(Aminobutanol), 테트라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tetrahydroxypropylethylenediamine), 디이소프로판올아민(diisopropanolamine),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triisopropanolamine),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및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화제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미노메틸프로판올(AMPD)이다.
상기 중화제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중화하지 않은 지방산들에 의해 조성물의 안정성이 좋지 않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마스카라의 pH가 높아져 안정성이 좋지 않고, 안(眼)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중화된 지방산 에스테르의 사용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 40 중량%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 ~ 30 중량% 이다. 본 발명에서 지방산 에스테르는 왁스 결정 억제제로서 역할을 하며, 따라서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왁스 결정 성장을 저해하지 못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왁스 결정이 커져서 초기의 매끈한 발림성 및 사용감이 표현되지 못하며,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초기의 조성물 점도가 너무 낮아서 눈썹에 도포되어 남아있지 않는 단점이 생긴다.
또한 상기 중화된 지방산 에스테르의 중화도는 30 ~ 98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80 %가 되도록 조절하고, 이때 pH는 9 미만을 유지하도록 한다. 지방산 에스테르의 중화도가 30%보다 적게 되면 유화제의 역할을 하지 못해 조성물의 안정도가 좋지 않아 상 분리가 일어나며, 반면 지방산 에스테르의 중화도가 98%를 넘게 되면 안정도는 우수하지만 점도가 높아 발림성이 저하되어 균일하게 발리지 않는 단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의 중화도가 높을수록 전단박화(shear-thining) 효과는 상승하나, pH 또한 동시에 상승하기 때문에, 중화도와 pH를 모두 고려하여 중화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탄소수가 18인 스테아린산을 아미노메틸프로판올(AMPD)로 중화도 약 70%가 되도록 중화하였으며, 이때 pH는 9 미만이 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본 명세서 상에서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로서 바람직하게 마스카라 조성물이며, 눈썹 또는 속눈썹을 그 도포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고려할 때 모든 케라틴을 포함하는 인체의 모(毛) 조직, 이를테면 머리카락(hair) 등에 대하여도 확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3>
하기 표 1에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의 구성 성분 및 조성을 나타내었으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마스카라 제형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사용된 필름 형성제는 스티렌/암모늄/메타아크릴레이트로 Interpolymer사의 Syntran 시리즈(5009, 5760)를 사용하였다.
성분명 (단위,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1. 스테아릭애씨드 5.0 5.0 5.0 5.0 5.0 5.0
2. 카나우나왁스 5.0 5.0 5.0 5.0 5.0 5.0
3. 밀납 9.0 9.0 9.0 9.0 9.0 9.0
4. 산화철 7.0 7.0 7.0 7.0 7.0 7.0
5. 실리카 1.0 2.0 1.0 1.0
6. 탈크 4.0 4.0 2.0 4.0
7.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8. 아카시아검 2.0 2.0 2.0 2.0 2.0 2.0
9. 피브이피 2.0 2.0 2.0 2.0 2.0 2.0
10. 피브이에이 1.0 1.0 1.0 1.0 1.0 1.0
11. 하이드로에틸셀룰로오즈 0.2 0.2 0.2 0.2 0.2 0.2
12. 중화제 1.5 1.5 1.5 1.5 1.5 1.5
13. 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10.0 10.0 10.0 10.0 10.0 10.0
14. 스티렌/아크릴레이트/암모늄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8.0 8.0 8.0 8.0 8.0 8.0
15. 보존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 성분 1 ~ 6을 80℃로 가열하면서 용해시켰다.
2) 성분 7 ~ 12를 8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였다.
3) 상기 1)에 상기 2)를 서서히 가하면서 유화시켰다.
4) 성분 13 ~ 15를 가하여 교반하고 35℃로 냉각하였다
5) 이를 마스카라 용기에 충진 하였다.
<실험예 1> 슬라이딩, 밀착력 테스트 (관능평가)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한 비교예 1 ~ 3의 마스카라 제품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 ~ 3의 마스카라 제품을 매일 또는 자주 사용하는 20 ~ 35세의 여성 35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로 사용하도록 하여 제품의 효과를 비교하도록 하였다. 비교 항목으로는 각 제품들의 슬라이딩, 밀착력 항목들을 품평한 후 0 ~ 10까지의 점수를 주도록 하였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5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그 평균점수를 내어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서 평균 점수가 4.0 이하인 것은 "×", 5 ~ 6인 것은 "△", 7 ~ 8은 "○", 9 이상은 "◎"로 각각 표시하였다.
시험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슬라이딩 ×
밀착력 × ×
상기 실험 결과에 따라, 판상 분체인 탈크가 증가할수록 밀착력이 향상되고, 구상 분체인 실리카가 증가할수록 슬라이딩은 향상되나 밀착감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성인 판상 분체와 구상 분체의 중량비가 4 : 1 일 때 밀착력과 슬라이딩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볼륨력 테스트 (관능평가)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표본 대상으로 초기 도포시와 5회 도포시의 볼륨력 항목을 품평한 후 0 ~ 10까지의 점수를 주도록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평균 점수가 4.0 이하인 것은 "×", 5 ~ 6인 것은 "△", 7 ~ 8은 "○", 9 이상은 "◎"로 각각 표시하였다.
시험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볼륨력(초기 도포)
볼륨력(덧바름 5회)
상기 실험 결과에서, 초기 도포 시 볼륨력은 판상 분체에 대해 결정되며, 덧바를 시 볼륨력은 분체의 전체 함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볼륨력이 우수한 실시예 1과 비교예 3을 도포한 이미지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3과 같이 밀착력만 좋을 경우 도포 시 액끼리 뭉치면서 발리는 반면, 실시예 1과 같이 밀착력과 슬라이딩이 모두 우수한 경우에는 뭉침없이 깨끗하게 발리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판상 분체와 구상 분체의 중량비가 4 : 1 내지 2 : 1로 포함되는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분체의 평균 입도분포는 0.1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분체의 평균 입경은 0.5 ~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분체 및 구상 분체의 총 중량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 ~ 1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필름 형성제를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5 ~ 30 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제는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스티렌/아크릴레이트/암모늄메타그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스티렌/아크릴레이트/암모늄메타그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0 : 5 내지 10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중화된 지방산 에스테르를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 ~ 40 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된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가 12 ~ 22인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를 30 ~ 98 %의 중화도로 중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된 지방산 에스테르의 pH는 9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KR1020160111763A 2016-08-31 2016-08-31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KR10264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63A KR102644813B1 (ko) 2016-08-31 2016-08-31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CN201780067561.5A CN109906072A (zh) 2016-08-31 2017-08-21 具有高附着力的眼部化妆品组合物
PCT/KR2017/009074 WO2018043971A1 (ko) 2016-08-31 2017-08-21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TW106129134A TW201811295A (zh) 2016-08-31 2017-08-28 高黏性眼部化妝品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63A KR102644813B1 (ko) 2016-08-31 2016-08-31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39A true KR20180024839A (ko) 2018-03-08
KR102644813B1 KR102644813B1 (ko) 2024-03-07

Family

ID=6130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763A KR102644813B1 (ko) 2016-08-31 2016-08-31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644813B1 (ko)
CN (1) CN109906072A (ko)
TW (1) TW201811295A (ko)
WO (1) WO20180439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018A (ko) 2018-10-08 2020-04-17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저점도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1681B2 (ja) * 2018-06-29 2023-08-07 ロレアル 持続的コンシール効果を有する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12B1 (ko) 2005-11-18 2007-04-20 (주)아모레퍼시픽 마스카라 조성물
KR20120045457A (ko) * 2010-10-29 2012-05-09 (주)아모레퍼시픽 글리세릴기가 부가된 왁스와 유연한 필름 폴리머를 함유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2908B2 (ja) * 1991-08-30 1997-11-05 花王株式会社 粉体化粧料
JP3308177B2 (ja) * 1996-12-18 2002-07-29 花王株式会社 粉体化粧料
KR20140121896A (ko) * 2006-04-17 2014-10-16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수계 액체 메이크업 화장료
JP2008050309A (ja) * 2006-08-25 2008-03-06 Miyoshi Kasei Inc 固形粉末化粧料
US20110301247A1 (en) * 2010-06-08 2011-12-08 Hayakawa Chihiro Cosmetic product containing film-forming polym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12B1 (ko) 2005-11-18 2007-04-20 (주)아모레퍼시픽 마스카라 조성물
KR20120045457A (ko) * 2010-10-29 2012-05-09 (주)아모레퍼시픽 글리세릴기가 부가된 왁스와 유연한 필름 폴리머를 함유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018A (ko) 2018-10-08 2020-04-17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저점도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06072A (zh) 2019-06-18
TW201811295A (zh) 2018-04-01
KR102644813B1 (ko) 2024-03-07
WO2018043971A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9106C (en)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a polyurethane-based polymer and an acrylic-based polymer
JP3605938B2 (ja) 睫用化粧料
KR101975850B1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438374B1 (ko) 양이온성 중합체와 양이온성 중합체로 코팅된 분체를함유하는 볼륨 마스카라 조성물
WO2005089701A1 (ja) まつ毛用化粧料
KR20180024839A (ko)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AU2020271556B2 (en) Curling mascara compositions
CN111278423B (zh) 睫毛化妆料
KR101494272B1 (ko) 지속력이 우수하고 클렌징이 용이한 수중유형 화장료조성물
KR101822003B1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79229B1 (ko) 비수계 분산액,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7141165A (ja) 睫用化粧料
KR101845969B1 (ko) 발림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63134B1 (ko) 실리콘중수(w/s) 유화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02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7522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22533356A (ja) 化粧持続力が改善されたマスカラ化粧料組成物
JP2020164431A (ja) シワ改善剤
KR101754213B1 (ko) 글리세릴기가 부가된 왁스와 유연한 필름 폴리머를 함유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20170038464A (ko) 저점도 마스카라 조성물
WO2007129797A1 (en) Mascara composition for excellent reapplication
KR101935797B1 (ko) 수분산 제형의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20210029640A (ko)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네일 프라이머 조성물
KR101273158B1 (ko)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030024935A (ko) 볼륨감과 지속성이 우수한 마스카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