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158B1 -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158B1
KR101273158B1 KR1020110056261A KR20110056261A KR101273158B1 KR 101273158 B1 KR101273158 B1 KR 101273158B1 KR 1020110056261 A KR1020110056261 A KR 1020110056261A KR 20110056261 A KR20110056261 A KR 20110056261A KR 101273158 B1 KR101273158 B1 KR 101273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transglutaminase
mascara
present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999A (ko
Inventor
김윤석
장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1005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15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께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트랜스글루타미나제는 속눈썹 표면의 단백질과 가수분해 단백질의 결합을 촉매함으로써, 속눈썹의 볼륨감, 컬링력 및 컬링 유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of mascara containing transglutaminase and hydrolyzed protein}
본 발명은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는 속눈썹에 도포되어 눈의 윤곽을 강조하고, 눈매에 아름다움을 줄 목적으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마스카라가 갖추어야 할 조건들은 속눈썹에 도포되므로 눈에 자극이 없어야 하고, 건조 속도가 빨라 도포 직후 눈썹 밑에 묻어남이 없으면서 속눈썹끼리 엉겨 붙거나 땀, 눈물 및 유분에 쉽게 번지지 않아야 한다. 또한, 가루날림이 없도록 균일하게 발리고, 사용시 부담감이 없으며, 미생물에 대한 오염이 적고, 세안 시 쉽게 지워져야 한다.
마스카라에서 볼륨력이라 함은 속눈썹이 본래 상태보다 두터워져 숱이 많고 풍성하게 연출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볼륨을 높이기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상기 볼륨을 높이기 위해 유상에 왁스나 피막 형성을 하는 폴리머를 다량 사용하는 방법 또는 분체를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분체를 사용할 경우, 가루날림 현상과 발림성 저하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왁스나 폴리머를 다량 사용할 경우, 볼륨감은 우수하나 눈썹에 도포된 무게감으로 인하여, 눈썹이 답답하고 컬링 유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다기능, 즉, 볼륨력과 컬링력, 컬링 유지력 등을 동시에 부여하는 마스카라에 대한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서 마 셀룰로오즈 파우더, 대나무 셀룰로오즈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필름형성제로 사용한 마스카라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61434호)에 관한 기술이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은 화학 원료를 사용하므로, 자극성 등의 인체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천연 원료를 이용하여 인체에 안정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볼륨력과 컬링력을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한편, 트란스글루타미나제는 아미노산 중 리신과 글루타민 사이의 이소펩타이드 결합을 형성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상기 트란스글루타미나제는 일반적으로 모발과 관련된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5490980호에서는 상기 트랜스글루타민아제를 모발, 피부 및 손톱에 유용한 컨디셔닝, 항균, 염료 및 향 등 다양한 유효 물질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 공개특허 제3567951호에서는 분자 중에 리진 및/또는 글루타민 잔기를 포함한 분자량 203 이상의 펩티드,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및 특정 화학식의 1급 아민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를 개시하고 있으며, 또한, 일본 공개특허 제2003-026543호에서는 중량 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3,000,000의 양친매성 폴리머와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를 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발 화장료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사용하여 속눈썹의 두께 증가를 통한 볼륨감이 우수하고, 또한, 컬링력 및 컬링 유지력 등의 특성이 우수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상기 트랜스글루타미나제가 속눈썹의 단백질 및 가수분해 단백질이 교차 결합하도록 촉매역할을 수행하므로, 속눈썹의 두께 증가를 통한 우수한 볼륨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트랜스글루타미나제(TGase, EC 2.3.2.13)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글루타미나제는 동물의 조직, 장기, 혈액에 존재하며, 또한, 식물, 미생물 등에서도 널리 존재하는 효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트랜스글루타미나제로 그 기원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단백질이나 펩타이드에 적용하면, 아실 교환반응, 교차반응 및 탈아미노 반응 등에 의해 글루타민(Glutamine)과 리신(Lysine)간의 교차 결합을 형성시키는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랜스글루타미나제는 수분, 일광, 열 및 온도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변성되거나 그 활성을 쉽게 잃어버리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상기 트랜스글루타미나제의 활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코팅, 캡슐화, 분산, 용해 및 에멀젼 등의 방법을 통하여 효소의 활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지방산 및 지방알콜 등을 사용하여 상기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코팅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트랜스글루타미나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001 중량부 미만이면, 원하는 시간 내에 적절한 활성을 나타내지 못할 우려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 비용이 상승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사용 제품(마스카라)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상기 트랜스글루타미나제와 함께 가수분해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수분해 단백질로 실크 단백질, 우유 단백질 또는 콜라겐 단백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크 단백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크 단백질은 자연계로부터 얻은 실크를 가수분해시켜 생성된 단백질로, 일반적으로 모발이나 기타 다른 헤어의 보습 또는 보호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수분해 단백질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크기가 큰 여러 단백질을 화학적 가수분해 또는 효소 가수분해 등을 이용하여 크기를 조절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크기가 큰 단백질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노출되어 있는 글루타민과 리신의 농도가 낮아 트랜스글루타미나제와의 반응이 효과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가수분해를 통해 단백질 내부에 있는 글루타민과 리신을 노출시킨 뒤, 트랜스글루타미나제와의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001 중량부 미만이면, 효소(트랜스글루타마나제)의 활성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품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변화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께 사용하여, 상기 트랜스글루타미나제가 갖는 아미노산간의 결합 특성을 속눈썹 표면에 적용함으로써, 속눈썹 표면 단백질과 가수분해 단백질 사이에 형성되는 아미노산 간의 결합이 강화되고, 이러한 두 물질의 작용에 의해 궁극적으로 속눈썹의 길이가 연장되고 볼륨이 증가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 이외에도,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성분, 유화제, 점증제, 필름 형성제, 색소, 증류수, 보습제 및 방부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상성분으로는 왁스류 및 유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왁스류로는 식물성왁스, 동물성왁스, 광물성왁스, 합성왁스 및 천연왁스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물성왁스로는 카르나우바납, 칸데릴라납, 슈거왁스 및 목납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동물성왁스로는 밀납 및 라놀린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광물성왁스로는 파라핀,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 납 및 오조케라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합성왁스로는 폴리에틸렌왁스 및 피셔-트롭시 합성법을 통해 만들어진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화제는 왁스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속눈썹에 무겁고 두꺼운 왁스 코팅막이 형성되는 문제점과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증제는 마스카라에 비가역적인 필름막을 형성시키지 않으면서 균일한 화장막 형성과 상 안정화를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증제는 수용성 점증제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아카시아검, 산탄검, 카르기닌,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셀룰로오즈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필름형성제는 필름막을 형성시키는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름 형성제로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암모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피브이피/에이코신 공중합체, 아크릴릭/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멀젼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Hydroxyethylcellulose Dimethyldiallyammonium Chloride Compolymer, 상품명: 폴리쿼터늄-4)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형성제로 폴리비닐알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멀젼을 사용하여, 끈적임이 없고 균일한 필름막을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색소로 무기 색소, 유기 색소 또는 펄 색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만들고자 하는 색과 색의 농도에 따라 상기 색소의 종류와 함량을 달리하여, 색소 1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증류수는 마스카라의 형태에 따라 그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카라가 케익 또는 파우더 형태인지, 수중 유형 또는 유중 수형 마스카라 형태인지에 따라 그 함량이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습제로는 눈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여러 종류의 보습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DL-판테놀, 솔비톨,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및 솔비톨 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부제로는 통상적으로 마스카라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을 이용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디아졸리디닐우레아, 퀴터늄-15, 페녹시에탄올, 에탄올, 소르비산칼륨,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및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고, 또는 화장학적 제형을 제조하는데 기여하기 위한 pH 조정제, 침투 보조제 및 제품의 제형화를 위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컨디셔닝제, 외관향상제, 향료, 안료, 금속이온 봉쇄제 등의 다양한 화장품 제형화제를 또한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속눈썹에 단백질을 결합시켜 속눈썹의 볼륨감, 컬링력 및 컬링 유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한 제조 방법은, 증류수에 A상의 EDTA-2Na, 폴리비닐알콜,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 트리에탄올아민을 평량하여 70 내지 80℃로 가열, 교반하여 균질화한 후, 흑색 산화철을 분산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뒤, B상의 카르나우바납, 밀랍, 파라핀, 스테아린산, 시메치콘, 폴리소베이트20을 평량하여 80 내지 85℃로 가열 용해시킨 후, 상기 제조된 1차 혼합물에 서서히 투입하면서 5 내지 10분간 유화시켰다.
상기 제조된 용액을 냉각하고, 50℃에서 방부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멀젼, 실크 단백질 및 트란스글루타미나제를 혼합한 뒤, 교반, 균질한 다음 30℃까지 냉각하였다.
성분(중량부)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A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EDTA-2Na 0.1 0.1 0.1
트리에탄올아민(TEA) 2.5 2.5 2.5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 0.3 0.3 0.3
폴리비닐알콜 2.0 2.0 2.0
흑색산화철 7.0 7.0 7.0
B상 밀납 9.0 9.0 9.0
카르나우바납 7.0 7.0 7.0
파라핀 2.0 2.0 2.0
스테아린산 4.0 4.0  4.0
시메치콘 1.0 1.0 1.0
폴리소베이트 20 1.0 1.0 1.0
C상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D상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멀젼 15 15 15
실크단백질 3.0 3.0 0
트랜스글루타미나제
(지방산 및 지방알콜 코팅)
1.0 0 1.0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의 품질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20 내지 35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시험항목(볼륨감, 발림성, 가루떨어짐 없음, 밀착력, 컬링력, 컬링 유지력 및 지속성)들을 품평한 후 0 내지 5점까지 점수를 주도록 하여 그 평균점수를 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볼륨감
발림성
가루떨어짐 없음
밀착력
컬링력
컬링 유지력
지속성
1 이하: X, 1~2.5:△, 2.5~4:○, 4이상:◎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크 단백질과 트란스글루타미나제를 동시에 사용한 실시예 1이 실크 단백질 및 트란스글루타미나제를 각각 사용한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볼륨감 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의 컬링력 및 컬링 유지력 비교>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의 컬링력 및 컬링 유지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인조 속눈썹에 각각의 조성물을 12회 도포한 후 컬링 각도를 디지털카메라로 측정하고, 8시간이 지난 후 컬링 각도를 다시 디지털 카메라로 측정하여 컬링 각도를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12회 도포 직후 37 34 35
도포 후 8시간 후 35 26 27
상기 표 3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실크단백질 및 트란스글루타미나제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이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상대적으로 컬링력과 컬링 유지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의 볼륨 비교>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의 볼륨 상승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도포 전 인조 속눈썹을 위치에 따라 좌에서 우로 5등분하고, 각 위치에서 6개 정도의 속눈썹 두께를 영상 촬영하여 전체 30개의 속눈썹 평균 두께를 계산한 뒤, 상기 속눈썹에 각각의 조성물을 12회 도포 후 4시간 뒤 다시 영상 촬영하여 속눈썹 평균 두께를 계산하여, 초기와 도포 후의 두께를 비교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도포 전 평균 두께(μm) 79 77 80
도포 후 평균 두께(μm) 90 80 83
두께 증가율(%) 13.9 3.9 3.8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크단백질 및 트란스글루타미나제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이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상대적으로 볼륨 상승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실크 단백질을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트랜스글루타미나제의 함량은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5 중량부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실크 단백질의 함량은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5 중량부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유상성분, 유화제, 점증제, 필름 형성제, 색소, 증류수, 보습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56261A 2011-06-10 2011-06-10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1273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261A KR101273158B1 (ko) 2011-06-10 2011-06-10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261A KR101273158B1 (ko) 2011-06-10 2011-06-10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999A KR20120136999A (ko) 2012-12-20
KR101273158B1 true KR101273158B1 (ko) 2013-06-14

Family

ID=4790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261A KR101273158B1 (ko) 2011-06-10 2011-06-10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1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868A (ja) * 2001-09-12 2003-03-19 Ichimaru Pharcos Co Ltd ストレス抑制剤
JP2009108085A (ja) * 2002-12-05 2009-05-21 Elc Management Llc 毛髪および睫毛においてカールを保持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868A (ja) * 2001-09-12 2003-03-19 Ichimaru Pharcos Co Ltd ストレス抑制剤
JP2009108085A (ja) * 2002-12-05 2009-05-21 Elc Management Llc 毛髪および睫毛においてカールを保持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999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6674B2 (en) Nonaqueous hair styl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JP2000063261A (ja) 皮膚外用剤
JP2020517729A (ja) マスカラ混合物
KR100305956B1 (ko) 고형미용조성물및그의용도
JP2005170940A (ja) パーソナルケアー用途での防水剤としてのアクリレートコポリマーの使用
JP5539638B2 (ja) 頭髪用化粧料
KR101823336B1 (ko) 마스카라 조성물
US9801798B2 (en) Moisturizing composition
KR102486936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22512394A (ja) 化粧品に使用するための豆類デンプンをベースとしたフィルム形成組成物
KR101273158B1 (ko) 트랜스글루타미나제 및 가수분해 단백질을 함유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1479689B1 (ko) 비누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293345B1 (ja) 睫毛化粧料
KR1009640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4746A (ko) 지속력이 우수하고 클렌징이 용이한 수중유형 화장료조성물
JP4136965B2 (ja) 毛髪化粧料
TWI802658B (zh) 優格狀化妝品組成物
JP2000086453A (ja) 毛髪化粧料
JPH04173718A (ja) 透明な皮膜型マスカラ
KR102575779B1 (ko)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11065192B2 (en) Mascara compositions including vinylpyrrolidone homopolymer and an acrylic film-forming polymer
JP6957228B2 (ja) 美容方法
KR101803403B1 (ko) 아이-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4268903A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a bio-based polyurethane dispersion
JP2016124822A (ja) 整髪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