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525A - 귀장착형 혈압계 - Google Patents

귀장착형 혈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525A
KR20180024525A KR1020160110890A KR20160110890A KR20180024525A KR 20180024525 A KR20180024525 A KR 20180024525A KR 1020160110890 A KR1020160110890 A KR 1020160110890A KR 20160110890 A KR20160110890 A KR 20160110890A KR 20180024525 A KR20180024525 A KR 20180024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ressure
housing
rotary shaft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7612B1 (ko
Inventor
장수민
Original Assignee
장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민 filed Critical 장수민
Priority to KR102016011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6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33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using induced vibration of the 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장착형 혈압계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에 장착되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회전축이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측정자의 외이도를 통해 진입될 수 있게 된 모터와, 하우징의 전면에 일단이 지지되며 타단이 탄성적으로 유동될 수 있게 회전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회전축에 이격되게 설치된 탄성바와, 탄성바의 타단에 설치된 압력센서와, 회전축의 외측에서 나선상으로 회전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일단은 하우징의 전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축의 종단에 결합되며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에 대한 권회수가 증가되면서 회전축과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고,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축이 회전되면 회전축에 대한 권회수가 감소되면서 회전축과의 이격거리가 증가하여 탄성바를 회전축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간섭하도록 된 가변스프링과, 하우징에 장착되며 측정자의 외이도 내측면에 대한 압력센서의 가압변화에 대응되어 발생되는 음향을 검출하는 음향센서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며 음향센서에서 검출되는 음향신호와 압력센서에서 검출되는 압력정보를 이용하여 측정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귀장착형 혈압계{ear wearing type blood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귀장착형 혈압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귀의 외이도 에 삽입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귀장착형 혈압계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가 점차 진행되고 성인병의 발병이 높아짐에 따라 성인의 생활습관병이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다. 특히 고혈압에 관련된 질병인 경우에는 장시간에 걸쳐서 수시로 혈압을 체크하고, 혈압 데이터의 수집이 상당히 중요하게 인식되어 지고 있다.
혈압의 측정방식에는 청진 방식(Korotkoff sounds), 오실로메트릭 방식(Oscillometric), 트노메트릭 방식(Tonometric) 등이 있다.
청진 방식(Korotkoff sounds)은 동맥혈이 지나는 신체 부위에 충분한 압력을 가해 혈액의 흐름을 차단한 후 감압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맥박 소리가 들리는 순간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systolic pressure)으로 측정하고, 맥박 소리가 사라지는 순간의 압력을 이완기 혈압(diastolic pressure)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청진 방식을 적용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장치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66972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청진방식을 적용한 혈압계는 대부분 팔을 압박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휴대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귀의 외이도 혈관에 청진 방식으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귀장착형 혈압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정된 혈압정보를 무선으로 외부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는 귀장착형 혈압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귀장착형 혈압계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회전축이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측정자의 외이도를 통해 진입될 수 있게 된 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일단이 지지되며 타단이 탄성적으로 유동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에 이격되게 설치된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의 타단에 설치된 압력센서와;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서 나선상으로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의 종단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에 대한 권회수가 증가되면서 상기 회전축과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고,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에 대한 권회수가 감소되면서 상기 회전축과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면서 상기 탄성바를 상기 회전축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간섭하도록 된 가변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측정자의 외이도 내측면에 대한 상기 압력센서의 가압변화에 대응되어 발생되는 음향을 검출하는 음향센서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음향센서에서 검출되는 음향신호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검출되는 압력정보를 이용하여 측정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부는 측정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되게 상기 모터를 제어하면서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검출된 압력이 설정된 제1목표값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게 제어하고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혈류가 개방되면서 발생하는 제1음향신호가 수신되면 제1음향신호발생시의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값을 최고혈압으로 측정처리하고, 상기 제1음향신호의 지속이 중단되는 시점의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값을 최저혈압으로 측정처리한다.
또한, 상기 측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을 상기 측정부에 제어되어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최고혈합과 최저혈압 정보를 상기 측정부에 제어되어 외부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귀장착형 혈압계에 의하면, 귀에 장착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혈압 측정정보를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어 혈압 측정데이터의 이력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귀장착형 혈압계가 착용자의 귀의 외이도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외이도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귀장착형 혈압계의 탄성바가 외이도을 압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귀장착형 혈압계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귀장착형 혈압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귀장착형 혈압계가 착용자의 귀의 외이도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외이도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귀장착형 혈압계의 탄성바가 외이도을 압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귀장착형 혈압계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귀장착형 혈압계(100)는 하우징(110), 모터(130), 탄성바(140), 압력센서(150), 가변스프링(160), 음향센서(170), 측정부(180), 조작부(181), 표시부(182), 통신모듈(185)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모터(180)를 포함한 작동요소가 내장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10)은 귀(10)에 걸어 착용할 수 있는 귀걸이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에 장착되어 있다.
모터(130)의 회전축(132)은 하우징(110)의 내부수용공간에서 전면(11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측정자의 외이도(12)로 진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모터(130)의 회전축(132)의 종단면에는 피부와의 접촉시 손상을 억제하도록 쿠션을 갖는 소재로 마감처리된 쿠션패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바(140)는 하우징(110)의 전면(112)에 일단이 지지되며 타단이 탄성적으로 유동될 수 있게 회전축(132)의 연장방향을 따라 회전축(132)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탄성바(140)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초기위치로 복원되는 판스프링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압력센서(150)는 탄성바(140)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다.
압력센서(150)는 회전축(132)과 대향되는 탄성바(140)의 일면 반대편에 설치되어 있다.
압력센서(150)는 피부와의 접촉시 검출된 압력을 측정부(180)에 출력한다.
가변스프링(160)은 회전축(132)의 외측에서 나선상으로 회전축(132)의 연장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가변스프링(160)은 일단(164)이 하우징(110)의 전면(112)에 고정되고 타단(165)은 회전축(132)의 종단에 결합되어 있다.
가변스프링(160)은 회전축(132)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132)에 대한 권회수가 증가되면서 회전축(132)과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고, 즉, 나선궤도의 반경이 작아지고,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축(132)이 회전되면 회전축(132)에 대한 권회수가 감소되면서 회전축(132)과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며 탄성바(140)를 회전축(132)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간섭하도록 되어 있다.
가변 스프링(160)은 탄성적으로 변형 및 복원되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음향센서(170)는 하우징(110)에 장착되며 측정자의 외이도(12) 내측면(14)에 대한 압력센서(150)의 가압변화에 대응되어 발생되는 음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음향을 측정부(180)에 출력한다.
조작부(181)는 측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는 다르게 조작부(181)는 생략되고 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된 배터리(미도시)의 전력 공급이 유지되는 동안은 측정모드로 판단하고 설정된 주기마다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부(182)는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측정부(180)에서 측정된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을 측정부(180)에 제어되어 표시한다.
통신모듈(185)은 측정부(180)에 제어되어 측정부(180)에서 측정된 최고혈압과 최저혈압 정보를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모듈(185)은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측정부(180)는 모터(130)의 구동을 제어하며 음향센서(170)에서 검출되는 음향신호와 압력센서(150)에서 검출되는 압력정보를 이용하여 측정자의 혈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혈압을 표시부(182) 및 통신모듈(185)을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측정부(180)는 조작부(181)에 의해 측정모드로 설정되면 회전축(132)이 제2방향으로 회전되게 모터(130)를 제어하면서 압력센서(150)로부터 검출된 압력이 설정된 제1목표값에 도달하면 모터(130)의 회전축(132)을 역방향인 제1방향으로 회전되게 제어하고, 이 과정에서 음향센서(170)로부터 측정자의 외이도 내측면의 압력센서(150)에 의해 압박된 혈류가 개방되면서 발생하는 제1음향신호가 수신되면 제1음향신호발생시의 압력센서(150)의 압력값을 최고혈압으로 측정처리하고, 제1음향신호의 지속이 중단되는 시점의 압력센서(150)의 압력값을 최저혈압으로 측정처리한다.
여기서, 제1목표값은 적절하게 적용하며 되고, 일 예로서 200mmHg로 설정된다.
또한, 최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에 해당하고, 최저혈압은 이완기 혈압에 해당한다.
이러한 귀장착형 혈압계에 의하면, 귀에 장착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혈압 측정정보를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어 혈압 측정데이터의 이력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10: 하우징 130: 모터
132: 회전축 140: 탄성바
150: 압력센서 160: 가변스프링
170: 음향센서 180: 측정부
181: 조작부 182: 표시부
185: 통신모듈

Claims (4)

  1.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수용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회전축이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측정자의 외이도를 통해 진입될 수 있게 된 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일단이 지지되며 타단이 탄성적으로 유동될 수 있게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에 이격되게 설치된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의 타단에 설치된 압력센서와;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서 나선상으로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의 종단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에 대한 권회수가 증가되면서 상기 회전축과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고,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에 대한 권회수가 감소되면서 상기 회전축과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면서 상기 탄성바를 상기 회전축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간섭하도록 된 가변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측정자의 외이도 내측면에 대한 상기 압력센서의 가압변화에 대응되어 발생되는 음향을 검출하는 음향센서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음향센서에서 검출되는 음향신호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검출되는 압력정보를 이용하여 측정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장착형 혈압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측정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되게 상기 모터를 제어하면서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검출된 압력이 설정된 제1목표값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게 제어하고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혈류가 개방되면서 발생하는 제1음향신호가 수신되면 제1음향신호발생시의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값을 최고혈압으로 측정처리하고, 상기 제1음향신호의 지속이 중단되는 시점의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값을 최저혈압으로 측정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장착형 혈압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을 상기 측정부에 제어되어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장착형 혈압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최고혈압과 최저혈압 정보를 상기 측정부에 제어되어 외부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장착형 혈압계.

KR1020160110890A 2016-08-30 2016-08-30 귀장착형 혈압계 KR101847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890A KR101847612B1 (ko) 2016-08-30 2016-08-30 귀장착형 혈압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890A KR101847612B1 (ko) 2016-08-30 2016-08-30 귀장착형 혈압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525A true KR20180024525A (ko) 2018-03-08
KR101847612B1 KR101847612B1 (ko) 2018-04-10

Family

ID=6172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890A KR101847612B1 (ko) 2016-08-30 2016-08-30 귀장착형 혈압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5808A4 (en) * 2019-04-19 2022-12-21 42 Health Sensor Holdings, Ltd. WEARABLE CARDIOVASCULAR MONITO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7955B2 (en) 2002-04-19 2006-11-21 Omron Healthcare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distal recording of phonocardiographic sign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5808A4 (en) * 2019-04-19 2022-12-21 42 Health Sensor Holdings, Ltd. WEARABLE CARDIOVASCULAR MONITO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612B1 (ko) 201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3444B2 (ja) 血圧計
CN107438397B (zh) 可调节腕戴式压力感测装置
JP5821657B2 (ja) 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EP2155049A1 (en) Sleeping mode accessory
JP6692420B2 (ja) 血圧測定のための補助デバイス及び血圧測定装置
JP7124552B2 (ja) 測定装置
CN110022763A (zh) 一种手表腕带
CN110381819B (zh) 生物信息测定装置和存储介质
KR101273619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전자 혈압계
KR20150092465A (ko) 손목시계형 혈압계
KR101847612B1 (ko) 귀장착형 혈압계
WO2015143728A1 (zh) 一种血压检测装置及测量方法、相关装置和通信系统
WO2018168796A1 (ja) 生体情報測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86903B2 (ja) 耳式血圧計
JP4927379B2 (ja) 血圧計
KR20180078206A (ko)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KR20170017126A (ko) 혈압 측정 수단을 포함한 헤드셋
KR102379668B1 (ko) 혈압 측정기
JP6710318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61996B2 (ja) 血圧計
JP4773127B2 (ja) 血圧測定装置
JP4773126B2 (ja) 血圧測定装置
JP4185036B2 (ja) 血圧計
JP5411246B2 (ja) 血圧計
JP5411247B2 (ja) 血圧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