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206A -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 Google Patents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206A
KR20180078206A KR1020180075246A KR20180075246A KR20180078206A KR 20180078206 A KR20180078206 A KR 20180078206A KR 1020180075246 A KR1020180075246 A KR 1020180075246A KR 20180075246 A KR20180075246 A KR 20180075246A KR 20180078206 A KR20180078206 A KR 20180078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ring
cover
pair
user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진
Original Assignee
이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진 filed Critical 이예진
Priority to KR102018007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206A/ko
Publication of KR2018007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8Clamps or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하는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밀착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의 통로에 삽입되며 상기 외이도의 둘레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를 사용자의 귀에 밀착시키는 클립; 및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신호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OF EARRING TYPE}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귀찌 스타일로 귀 안쪽으로 클립 형식으로 꽂아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가 이동 환경에서 자유자재로 기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소형화, 경량화하여 신체 또는 의복에 착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기기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가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을 때에도 항상 착용하여 사용자가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때마다 명령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액세서리형 웨어러블 기기, 의류형 웨어러블 기기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이용되는 분야 또한 점점 더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여성이 세련되게 자신을 표현하면서 자연스럽게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신체 중요 신호 정보, 특히 여성의 바이탈 사인에 대한 정보를 복합적으로 측정하여 전송해주는 기기는 현재 출시된 것이 없어 이를 고안하여 발명을 하게 되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6-0068136호(발명의 명칭: 이어커프 형태의 웨어러블 스마트 주변장치, 공개일: 2016.06.15.)
액세사리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귀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체온 등과 같은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귀걸이형 웨어러블 기기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귀걸이형 웨어러블 기기는 귀 둘레에 걸쳐서 사용하는 형태를 가지므로, 착용 중에 웨어러블 기기가 흔들릴 염려가 있어 외력에 의해 쉽게 벗겨질 수 있고, 측정 정밀도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귀걸이형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귀에 착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므로, 이에 평상시 귀에 착용하여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평상시 착용하고 있다가 원하는 시기에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고, 착용시 클립 형태의 부착을 통해 외력에 의해 쉽게 벗겨질 염려가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생체신호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며 건강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외이도를 차단하지 않으며 착용 가능하여 착용시 외부로부터의 소리를 방해없이 자유로이 청취할 수 있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하는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밀착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의 통로에 삽입되며 상기 외이도의 둘레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를 사용자의 귀에 밀착시키는 클립; 및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신호 감지부를 포함하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에서 감지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에서 감지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는, 체온 측정센서, 맥박 검출센서, 호흡 측정센서, PPG(photoplethysmograph) 센서, 심전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션 감지부는 9축모션센서, IMU(Inertia Moment Unit)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계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상기 생체신호 감지부 및 상기 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중 상기 귀에 걸쳐지는 이어링 본체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에서 감지된 생체신호 데이터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미만일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링 본체는 절취된 링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이어링 본체의 각 자유단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액세서리로 착용하고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생체신호 변화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평상시 착용하고 있다가 원하는 시기에 웨어러블 기기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요청 시점의 생체신호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신모듈을 활용하여 서버에 전송하여 분석된 내용을 다시 가입된 키(key) 값을 가진 이동 단말기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착용시 고정되는 클립의 효과로 인해 활동량이 많은 운동 시라도 쉽게 벗겨질 염려가 없으며,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때 이탈할 경우, 이에 대한 보조적 알림을 통해 이상감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비해 사용자의 귓속에서 정확히 측정하므로, 사용자의 생체신호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이도를 차단하지 않으면서 착용이 가능하여, 착용시 외부로부터의 소리를 방해없이 자유로이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도 1의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를 귀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 커버(21), 클립(31), 생체신호 감지부(41)를 포함한다.
이어링 본체(11a,11b)는 절취된 비원호의 링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각 이어링 본체(11a,11b)의 일단부는 회전축(13)에 의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도 1에서 좌측에 위치한 이어링 본체를 제1이어링 본체(11a)라 하고, 우측에 위치한 이어링 본체를 제2이어링 본체(11b)라고 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는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 예컨대, 각 이어링 본체(11a,11b)의 자유단부는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한다. 그리고,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 중 어느 하나의 이어링 본체가 사용자의 귀 둘레(3, 도 6 참조)에 착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의 각 자유단부가 상호 접근할 때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하트 형상을 가진다.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의 각 자유단부가 상호 이격할 때,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물결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어링 본체(11a,11b)가 절취된 비원호의 링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21)는 타원형 단면의 판 형상을 가지며, 제1이어링 본체(11a)에 편지지되어 있다. 커버(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를 착용시 사용자의 귀(1, 도 6참조)에 밀착한다.
클립(31)은 커버(21)의 배면에 마련되어, 외이도(5, 도 6참조)의 통로에 삽입됨과 동시에, 외이도(5)의 둘레에 고정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립(31)은 사용자의 귀(1)의 귀구슬(7, 도 6참조)의 내측에 고정되어, 커버(21)를 사용자의 귀(1)에 밀착시킨다.
클립(31)은 홀더(33)와 스프링(37)을 포함한다.
홀더(33)는 판 형상을 가지며, 힌지축(35)에 의해 커버(21)의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축(35)은 커버(21)의 자유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스프링(37)은 커버(21)의 자유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홀더(33)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예컨대, 힌지축(35)의 외주에 결합되어, 홀더(33)의 타단부가 커버(21)의 배면에 밀착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로써, 클립(31)은 전체적으로 집게 형상을 가지며, 클립(31)은 외이도(5)로 삽입되며 사용자의 귀(1)의 귀구슬(7)의 내측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이어링 본체(11a)에 커버(21)가 편지지되고, 커버(21)의 배면에 클립(31)이 마련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좌측 귀(1)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생체신호 감지부(41)는 클립(31)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한다. 생체신호 감지부(41)는 생체신호 감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외이도(5)에 삽입되는 클립(31)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생체신호 감지부(41)는 체온 측정센서, 맥박 검출센서, 호흡 측정센서, PPG(photoplethysmograph) 센서, 심전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생체신호 감지부(41)가 외이도(5)에 삽입되는 클립(31)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생체신호 감지부(41)는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 또는 커버(21)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생체신호 감지부(41)에서 감지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외부 기기(75)로 송신하는 통신모듈(45)을 포함한다. 통신모듈(45)은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 커버(21), 클립(31) 중 하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귀(1)에 걸쳐지는 제2이어링 본체(11b)에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생체신호 감지부(41)에서 감지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며,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통신모듈(45)로 전송하는 제어부(51)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를 평상시 착용하고 있다가 원하는 시간에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제어부(51)는 생체신호 측정 커맨드를 외부 기기(75)로부터 통신모듈(45)을 통해 전송받거나 또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에 구비된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받는다. 제어부(51)는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 커버(21), 클립(31) 중 하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귀(1)에 걸쳐지는 제2이어링 본체(11b)에 마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55)를 더 포함한다.
모션 감지부(55)에서 감지된 움직임 데이터는 제어부(51)에 저장되며, 또한 통신모듈(45)을 통해 외부 기기(75)로 전송될 수 있다. 모션 감지부(55)에서 감지된 움직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모션 감지부(55)는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 커버(21), 클립(31) 중 하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21)에 마련된다. 모션 감지부(55)는 9축모션센서, IMU(Inertia Moment Unit)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계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생체신호 감지부(41) 및 통신모듈(45)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1)를 포함한다. 배터리(61)는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 커버(21), 클립(31) 중 하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미관상 사용자의 귀(1)와 머리뼈 사이에 배치되는 제2이어링 본체(11b)에 마련된다. 여기서, 제2이어링 본체(11b) 내에 코일을 감아, 무선충전기의 전자유도방식에 의해 코일을 통해 배터리(61)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65)를 더 포함한다.
생체신호 감지부(41)에서 감지된 생체신호 데이터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미만일 경우, 제어부(51)는 경보 발생부(65)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경보 발생부(65)는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 커버(21), 클립(31) 중 하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21)에 경보 발생부(65)로서 발광 램프가 마련된다. 여기서, 경보발생부(65)는 빛을 발하는 발광 램프,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 커버(21), 클립(31) 중 하나에 마련되어, 배터리(61)로부터 생체신호 감지부(41)와 통신모듈(45)과 제어부(51)와 모션 감지부(55)와 경보 발생부(65)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는 조작 버튼(71)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한 쌍의 이어링 본체(11a,11b)를 상호 접근시킨 후, 제2이어링 본체(11b)를 사용자의 귀 둘레(3)에 착용하고, 클립(31)으로 사용자의 귀(1)의 귀구슬(7)의 내측에 고정하여 커버(21)를 사용자의 귀(1)에 밀착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의 착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사용자의 귀(1)에 걸쳐짐과 동시에, 커버(21) 및 클립(31)에 의해 사용자의 귀(1)에 고정 지지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달리기 등과 같은 격한 운동을 하더라도,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가 외력에 의해 쉽게 벗겨질 염려가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생체신호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며 건강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용시 사용자의 귀(1)의 귀구슬(7)의 내측에 고정되는 클립(31)이 외이도(5)를 개방하며 외이도(5)의 내측에 삽입 밀착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소리를 방해없이 자유로이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에 의해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는 통신모듈(45)을 통해 외부 기기(75)로서 플랫폼 서버에 전송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된 후 플랫폼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를 평상시 착용하고 있다가 원하는 시간 일 예로, 사용자가 몸의 이상을 인식할 경우, 생체신호 측정 커맨드를 외부 기기(75)로부터 통신모듈(45)을 통해 제어부(51)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제어부(51)는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통신모듈(45)을 통해 외부 기기(75)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모듈(45)을 활용하여 사용자 요청 시점의 생체신호를 서버에 전송하여 분석된 내용을 다시 가입된 키(key) 값을 가진 이동단말기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달리, 커버(21)가 제2이어링 본체(11b)에 편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21)가 제2이어링 본체(11b)에 편지지되고, 클립(31)이 커버(21)의 배면에 마련됨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사용자의 우측 귀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는, 제1이어링 본체(11a)를 사용자의 귀와 머리뼈 사이에 착용하고, 클립(31)으로 사용자의 귀의 귀구슬(7)의 내측에 고정하여 커버(21)를 사용자의 귀에 밀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10')의 착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귀에 걸쳐짐과 동시에, 커버 및 클립에 의해 사용자의 귀에 고정 지지되므로, 착용시 외력에 의해 쉽게 벗겨질 염려가 없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생체신호의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며 건강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외이도를 차단하지 않으며 착용 가능하여 착용시 외부로부터의 소리를 방해없이 자유로이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10' :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11a,11b : 이어링 본체
21 : 커버 31 : 클립
33 : 홀더 37 : 스프링
41 : 생체신호 감지부 45 : 통신모듈
51 : 제어부 55 : 모션 감지부
61 : 배터리 65 : 경보 발생부

Claims (10)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하는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귀에 밀착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외이도의 통로에 삽입되며 상기 외이도의 둘레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를 사용자의 귀에 밀착시키는 클립; 및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생체신호 감지부를 포함하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에서 감지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에서 감지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는,
    체온 측정센서, 맥박 검출센서, 호흡 측정센서, PPG(photoplethysmograph) 센서, 심전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감지부는 9축모션센서, IMU(Inertia Moment Unit)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계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상기 생체신호 감지부 및 상기 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배터리는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중 상기 귀에 걸쳐지는 이어링 본체에 수납되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어링 본체, 상기 커버, 상기 클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생체신호 감지부에서 감지된 생체신호 데이터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미만일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링 본체는 절취된 링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이어링 본체의 각 자유단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하는,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KR1020180075246A 2018-06-29 2018-06-29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KR20180078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246A KR20180078206A (ko) 2018-06-29 2018-06-29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246A KR20180078206A (ko) 2018-06-29 2018-06-29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576A Division KR20180015323A (ko) 2016-08-02 2016-08-02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206A true KR20180078206A (ko) 2018-07-09

Family

ID=6291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246A KR20180078206A (ko) 2018-06-29 2018-06-29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82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4871B2 (en) 2020-06-15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bio-sig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4871B2 (en) 2020-06-15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bio-sig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536B2 (en) Patient-worn wireless physiological sensor with pairing functionality
US11963590B2 (en) Ring-type wearable device
US10729358B2 (en) Medic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9445768B2 (en) Personal biosensor accessory attachment
US20230031613A1 (en) Wearable device
US10729347B1 (en) Device with light-processing component covered by light-permeable touchable electrode for detecting biologic activity
EP3278724A1 (en) Wearable electrocardiographic detection device and wearable physiological detection device
US20150130613A1 (en) Selectively available information storage and communications system
JP2004344367A (ja) 医療用測定装置
WO2016119664A1 (zh) 穿戴式心电检测装置及穿戴式生理检测装置
WO2017165532A1 (en) Biosensor module for band attachment
KR20160135410A (ko) 생체 신호를 이용한 착용형 인증 장치
US20160166161A1 (en) Novel Design Considerations in the Development of a Photoplethysmography Ring
KR20180078206A (ko)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KR20180015323A (ko) 귀찌 스타일 웨어러블 기기
US20160045172A1 (en) Activity meter and event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KR101906550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라피 시스템
CN211270775U (zh) 耳夹式血氧检测器
KR20180066441A (ko) 통합형 호흡 측정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0755064A (zh) 一种电子设备
TW201626950A (zh) 穿戴式心電檢測裝置
KR20190037031A (ko) 멀티 융복합 센서기반 듀얼 모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작방법
KR20180023266A (ko) 웨어러블 비접촉식 생체신호 측정장치
CH711645A2 (en) Wristwatch for heart rate monitoring.
US20170273625A1 (en) Earpiece with glucose sensor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