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487A -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487A
KR20180024487A KR1020160110783A KR20160110783A KR20180024487A KR 20180024487 A KR20180024487 A KR 20180024487A KR 1020160110783 A KR1020160110783 A KR 1020160110783A KR 20160110783 A KR20160110783 A KR 20160110783A KR 20180024487 A KR20180024487 A KR 20180024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accident
information
acceler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1055B1 (ko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주)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젠 filed Critical (주)카젠
Priority to KR1020160110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0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가속도 센서 및 제1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차량탑재형 단말장치와, 제2 가속도 센서 및 제2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2 가속도 센서 및 제2 자이로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탑재형 단말장치의 통신부와 통신 연결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서버와 통신 연결되는 제2 통신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차량 가속도값, 상기 제1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차량 자세 정보, 상기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가속도값, 상기 제2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자세 정보에 따라,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상태 확인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상태 확인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INSPECTING SYSTEM OF VEHICLE ACCIDENT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사고여부를 정확히 판정하고, 사고시 사용자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제3자에게 사고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행동 요령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탑승자 및 주변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정보통신 기기의 발달로 다양한 산업에 스마트 기기 또는 관련기술을 접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자동차의 전장화와 스마트카로의 발달도 이러함 움직임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 보행자, 주변 차량의 운전자를 포함한 인간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사고 여부 가지 시스템의 일례로서,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센서를 이용해 사고 여부 및 사고 유형을 판단하는 시스템이나(특허문헌1 참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2 참조).
이러한 자동차에 장착된 센서나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센서만으로는 자동차 사고의 정도나 유형을 정밀하게 판정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차량의 급감속이나 급감속을 비롯하여, 급회전, 전복 등의 다양한 사고 유형을 판정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사고 유형만큼이나 사고시 사용자(탑승자)의 상태도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사용자 상태를 정밀하게 판정하기도 어려웠다.
따라서 다양한 사고 유형과 사용자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사고 후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친화적 안전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처한 위험정도나 상태에 따라 적정한 행동 요령을 제공하는 방법이나 시스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872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5653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사고여부를 정확히 판정하고, 사고시 사용자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제3자에게 사고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행동 요령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탑승자 및 주변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가속도 센서 및 제1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차량탑재형 단말장치와, 제2 가속도 센서 및 제2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2 가속도 센서 및 제2 자이로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탑재형 단말장치의 통신부와 통신 연결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서버와 통신 연결되는 제2 통신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차량 가속도값, 상기 제1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차량 자세 정보, 상기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가속도값, 상기 제2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자세 정보에 따라,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상태 확인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상태 확인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사고로 판단되기 이전에는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가속도값을 보정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사고로 판단된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중 정도와 사고 상황을 등급별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과 상기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 이후 사용자가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사용자가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알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사용자가 사고 이후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경보음 또는 경보영상의 발화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통신부는, 사용자가 사고 이후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행동 요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사고 확인 방법으로서, a) 휴대단말기의 제어부가, 차량탑재형 단말장치의 제1 가속도 센서 및 제1 자이로 센서로부터 차량 가속도값과 차량 자세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b) 상기 제어부가 제2 가속도 센서 및 제2 자이로 센서로부터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가속도값, 상기 차량 자세 정보,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 상기 사용자 자세 정보에 따라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확인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확인 정보를 제2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c-1)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과 상기 차량 가속도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가속도값을 보정하는 단계와, c-2) 상기 차량 가속도값의 변동률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과 상기 차량 가속도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c-3) 상기 차량의 사고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중 정도와 사고 상황을 등급별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3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 이후 사용자가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에, 상기 c-3단계에서 사용자가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경보음 또는 경보영상의 발화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c-3단계에서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행동 요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사고의 정도나 유형을 정밀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사고 유형이나 사용자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사고 후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고시 사용자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제3자에게 사고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행동 요령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탑승자 및 주변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교환을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확인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 내에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가 구비되고, 사용자(운전자 또는 동승자)는 휴대단말기(20)를 소지한 상태로 차량(1)에 탑승할 수 있다.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와 휴대단말기(20)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며, 휴대단말기(2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의 서버(30)와 연결된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핀 형태의 접속단자, 유에스비(USB) 커넥터, 적외선 포트, 블루투스(Bluetooth) 포트, 무선랜 포트 등이 모두 가능하다. 무선 통신 방식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무선 식별(RFID), 근거리 통신(NFC) 및 지그비(Zigbee) 등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와 휴대단말기(20)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휴대단말기(20)와 서버(30)는 TCP/IP 프로토콜을 통한 인터넷 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량(1)은 자동차, 상용차, 트럭, 이륜차, 특수차량, 전동자전거 등 그 유형을 불문하고 사용자가 탑승 가능한 모든 형태의 육상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면 될 것이다.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는 가속도값이나 위치/자세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차량 제조시 차량(1)에 제조되어 공급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차량(1) 내에 설치할 수 있는 일체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는 비컨(beacon), 블랙박스, 또는 기타 장치일 수 있다.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의 구성의 상세는 후술하기로 한다.
휴대단말기(20)는 사용자 단말기, 개인 휴대단말기, 개인 휴대 통신기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 웹패드, PDA,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입력 및 출력(디스플레이)이 가능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통상의 경우 휴대단말기(20)는 음성 통화, 영상 통화, Wi-Fi, 블루투스, 인터넷 연결 등의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입력 및 출력 수단으로 터치스크린을 갖춘 경우가 많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는 제1 가속도 센서(14)와 제1 자이로 센서(15)를 구비한다. 가속도 센서는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 또는 충격량과 같은 동적 힘을 측정하며, 자이로 센서는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위치 및 자세(방위) 변화를 측정한다.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는 탑재된 물체의 동작 인식을 위한 기본적인 센서이다.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는 프로세서(11), 메모리(12), A/D 컨버터(13), 및 통신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 컨버터(13)는 제1 가속도 센서(14) 및 제1 자이로 센서(15)에서 전달된 아날로그 측정값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신호처리가 가능하도록 프로세서(11)로 전달한다.
통신부(16)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휴대단말기(20)의 제1 통신부(23)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에는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 이외에,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음향 센서, 광센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GPS 수신장치 또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들 센서나 장치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통신부(16)를 통해 휴대단말기(2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추가적인 정보는 차량의 사고 정도나 사고 유형을 파악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20)는 제2 가속도 센서(282)와 제2 자이로 센서(283)를 구비한다. 제2 가속도 센서(282)와 제2 자이로 센서(283)는 각각 제1 가속도 센서(14) 및 제1 자이로 센서(15)와 그 기능이나 구조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휴대단말기(20)는 제어부(21), 메모리(22), 제1 통신부(23), 제2 통신부(24), 입력부(25), 디스플레이부(26), 음향부(27), 및 센서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8)는 A/D 컨버터(281), 및 전술한 제2 가속도 센서(282)와 제2 자이로 센서(2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는 제2 가속도 센서(282) 및 제2 자이로 센서(28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1)는 중앙 연산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IC 모듈 그 자체이거나 그 일부로 이해될 수 있으며, 각종 정보의 수집, 연산, 처리를 담당한다. 따라서, 제어부(21)는 각종 센서 및 장치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사고의 정도, 차량 사고의 유형, 사용자의 위중 상태, 사용자의 위치, 사고 대응방법 등을 판단하고 송수신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
메모리(22)는 프로그램 메모리 또는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하며, 휴대단말기(20)의 일반적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의 메모리(12)도 그 기능은 휴대단말기(20)의 메모리(22)와 유사하다.
제1 통신부(23)는 제어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의 통신부(16)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신부(23)는 통신부(16)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4)는 제어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외부의 서버(3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제2 통신부(24)는 외부의 서버(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3) 및 제2 통신부(24)는 무선기반 물리계층 프로토콜을 다루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신호 수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신호 수신모듈은 무선 신호의 수신 및 커스텀 신호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칩일 수 있으며,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케이스 내부에 탑재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해당 무선신호를 인입하여 케이스 내부로 유도할 수 있는 안테나 등의 설계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입력부(25)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6) 및 음향부(27)는 각각 이미지와 소리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입력부(25)와 디스플레이부(26)는 일체 또는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입력부(25)는 디스플레이부(26)와 별개로 예컨대 키보드 또는 입력 스위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입력부(25)는 디스플레이부(26)와 일체로 예컨대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부(28)에 구비된 A/D 컨버터(281), 제2 가속도 센서(282), 및 제2 자이로 센서(283)는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의 A/D 컨버터(13), 제1 가속도 센서(14), 및 제1 자이로 센서(15)와 그 기능은 유사하다. 그 외에, 센서부(28)에는 제2 가속도 센서(282)와 제2 자이로 센서(283) 이외에, 마그네틱 센서, 근접 센서, 음향 센서, 광센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또는 GPS 수신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21)의 주 기능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을 상세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의 제1 가속도 센서(14)로부터 수신된 차량 가속도값은 A/D 컨버터(13)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프로세서(11)로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의 제1 자이로 센서(15)로부터 수신된 차량 자세정보는 A/D 컨버터(13)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프로세서(11)로 수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집된 차량 가속도값과 차량 자세정보는 통신부(16) 및 제1 통신부(23)를 거쳐 휴대단말기(20)의 제어부(21)에 전달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20)의 제2 가속도 센서(28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가속도값은 A/D 컨버터(281)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제어부(21)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20)의 제2 자이로 센서(283)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자세정보는 A/D 컨버터(281)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제어부(21)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21)는 제1 가속도 센서(14)로부터 수신된 차량 가속도값, 제1 자이로 센서(15)로부터 수신된 차량 자세 정보, 제2 가속도 센서(28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가속도값, 제2 자이로 센서(283)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자세 정보에 따라,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상태 확인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판단된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상태 확인 정보는 제2 통신부(24)를 통해 외부의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차량의 사고 여부에는 차량의 사고의 경중이나 차량의 사고 유형이 포함될 수 있다. 사고의 경중은 차량의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차량 충돌시의 충격량을 등급별로 산정한 수치적 정보일 수 있다. 차량의 사고 유형은 급감속에 의한 사고, 급가속에 의한 사고, 급회전에 의한 사고, 전복사고, 추락사고 등의 유형별 수치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상태 확인 정보는 사용자의 위중 정도와 사고 상황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의 위중 정도와 사고 상황 정보는 사용자가 사고로 인해 의식불명 상태인지 여부, 사용자가 사고이후 차량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사용자가 사고이후 차량을 탈출했는지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1)는 차량의 사고로 판단되기 이전에는 사용자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차량 가속도값을 보정할 수 있다. 즉, 차량용 단말장치(10)에 장착된 제1 가속도 센서(14)의 측정값과 휴대단말기(20)에 장착된 제2 가속도 센서(282)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이를 보간하거나 실측 테이블값과 비교함으로써 차량의 실제 가속도값을 정밀하게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는 차량의 사고로 판단된 이후에는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중 정도와 사고 상황을 등급별로 판정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사고로 인해 차량 가속도값과 차량 자세의 변화량이 제로(0)가 된 이후에는, 제2 가속도 센서(28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가속도값, 제2 자이로 센서(283)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자세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위중 정도와 사고 상황을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의식불명 상태에 이르렀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는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 이후 사용자가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 결과는 제2 통신부(24)를 통해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적절한 알람정보를 사용자 측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제2 통신부(24)는 서버(30)로부터 알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일례로서, 제2 통신부(24)는 사용자가 사고 이후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인 경우 서버(30)로부터 경보음 또는 경보영상의 발화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의식불명 상태인 경우 또는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탈출하지 못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버(30)는 사고가 위중하고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해당 정보 및 차량정보,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위치정보 등을 응급구난이 가능한 기관(112, 119)이나 보험사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부(24)는 사용자가 사고 이후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인 경우 서버(30)로부터 행동 요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응급구난이 가능한 기관이나 보험사 관제센터로 직접 연락을 취하도록 유도하거나, 사고 상황을 수습하고 다른 부상자를 구난하는 요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확인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교환을 나타낸 신호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사고 확인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로부터 휴대단말기(20)로 차량 가속도값 및 차량 자세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GPS 정보나 차량정보, 차량 운행정보 등이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로부터 휴대단말기(20)로 전달될 수도 있다.
휴대단말기(20)는 차량 가속도값, 차량 자세정보, 사용자 가속도값, 사용자 자세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상태 확인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차량 및 운전자 정보는 휴대단말기(20)로부터 외부의 서버(3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서버(30)에서는 차량 및 운전자 정보에 따라 적절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휴대단말기(20)로 전달할 수 있다.
필요시 휴대단말기(20)는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 또는 차량에 탑재된 다른 블랙박스 또는 영상/음성수집 장치를 통해 사고시 또는 사고와 인접한 때의 영상과 소리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서버(3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량 및 운전자 정보에 기초하여, 또는 필요시 수집된 영상과 소리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이러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제3의 서버(40)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3의 서버(40)는 예컨대 응급구난기관이나 보험사 서버일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데이터 저장용 서버일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사고 확인 방법에 있어서, 먼저 차량 가속도값과 차량 자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s1 단계). 즉, 휴대단말기(20)의 제어부(21)가 차량탑재형 단말장치(10)의 제1 가속도 센서(14) 및 제1 자이로 센서(15)로부터 차량 가속도값과 차량 자세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s2 단계). 즉, 휴대단말기(20)의 제어부(21)가 제2 가속도 센서(282) 및 제2 자이로 센서(283)로부터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의 사고여부 및 사용자 확인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s3 단계). 즉, 휴대단말기(20)의 제어부(21)가 앞의 s1 및 s2 단계에서 수신한 차량 가속도값, 차량 자세 정보, 사용자 가속도값, 및 사용자 자세 정보에 따라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확인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위 s3 단계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21)는 사용자 가속도값과 차량 가속도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자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차량 가속도값을 보정할 수 있다. 사용자 가속도값의 변화율이 일정 정도 이하인 경우 또는 사용자 가속도값과 차량 가속도값의 차이가 일정 정도 이하인 경우에는 차량 사고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차량 가속도값을 보간하거나 실측 테이블과 비교하여 차량의 실제 가속도값을 정밀하게 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21)는 차량 가속도값의 변동률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 가속도값과 차량 가속도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차량의 사고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21)는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중 정도와 사고 상황을 등급별로 판정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사고로 인해 차량 가속도값과 차량 자세의 변화량이 제로가 된 경우에는 제2 가속도 센서(28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가속도값과 제2 자이로 센서(283)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자세 정보만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중 정도와 사고 상황을 판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중 정도와 사고 상황의 일례로서, 제어부(21)는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 이후 사용자가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사고여부 및 사용자 확인 정보를 판단(s3 단계)한 이후에는, 외부 서버(3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 단계). 즉, 휴대단말기(20)의 제어부(21)가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확인 정보를 제2 통신부(24)를 통해 외부의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외부 서버(30)로부터 알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 단계). 즉, 휴대단말기(20)의 제어부(21)는 제2 통신부(24)를 통해 서버(30)로부터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확인 정보에 따라 선택된 적절한 알람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알람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6) 또는 음향부(27)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제어부(21)가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 이후 사용자가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로 판단한 경우, 제2 통신부(24)는 서버(30)로부터 경보음 또는 경보영상의 발화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1)는 이러한 발화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26) 또는 음향부(27)를 통해 경보영상이나 경보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외부의 서버(30)는 사고 정보(사고여부, 차량정보,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위치정보 등)를 응급구난이 가능한 기관이나 보험사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제어부(21)가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 이후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로 판단한 경우, 제2 통신부(24)는 서버(30)로부터 행동 요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행동 요령 정보에는 응급구난이 가능한 기관이나 보험사에 연락을 취하는데 필요한 정보, 사고 상황 수습이나 다른 부상자의 구난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사고 확인 방법을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도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량탑재형 단말장치
14: 제1 가속도 센서
15: 제1 자이로 센서
20: 휴대단말기
21: 제어부
282: 제2 가속도 센서
283: 제2 자이로 센서
30: 서버

Claims (9)

  1. 제1 가속도 센서 및 제1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차량탑재형 단말장치와,
    제2 가속도 센서 및 제2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제2 가속도 센서 및 제2 자이로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탑재형 단말장치의 통신부와 통신 연결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서버와 통신 연결되는 제2 통신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차량 가속도값, 상기 제1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차량 자세 정보, 상기 제2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가속도값, 상기 제2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자세 정보에 따라,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상태 확인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상태 확인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사고로 판단되기 이전에는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가속도값을 보정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사고로 판단된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중 정도와 사고 상황을 등급별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과 상기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 이후 사용자가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사용자가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알람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사용자가 사고 이후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경보음 또는 경보영상의 발화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통신부는, 사용자가 사고 이후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인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행동 요령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5. 제1항에 따른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사고 확인 방법으로서,
    a) 휴대단말기의 제어부가, 차량탑재형 단말장치의 제1 가속도 센서 및 제1 자이로 센서로부터 차량 가속도값과 차량 자세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b) 상기 제어부가 제2 가속도 센서 및 제2 자이로 센서로부터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가속도값, 상기 차량 자세 정보,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 상기 사용자 자세 정보에 따라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확인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사고 여부 및 사용자 확인 정보를 제2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확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c-1)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과 상기 차량 가속도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가속도값을 보정하는 단계와,
    c-2) 상기 차량 가속도값의 변동률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과 상기 차량 가속도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c-3) 상기 차량의 사고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중 정도와 사고 상황을 등급별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확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3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가속도값과 사용자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 이후 사용자가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확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에,
    상기 c-3단계에서 사용자가 차량에 계속 탑승된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경보음 또는 경보영상의 발화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c-3단계에서 사용자가 차량에서 탈출한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서버로부터 행동 요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고 확인 방법.
  9.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10783A 2016-08-30 2016-08-30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KR101921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783A KR101921055B1 (ko) 2016-08-30 2016-08-30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783A KR101921055B1 (ko) 2016-08-30 2016-08-30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87A true KR20180024487A (ko) 2018-03-08
KR101921055B1 KR101921055B1 (ko) 2018-11-27

Family

ID=6172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783A KR101921055B1 (ko) 2016-08-30 2016-08-30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0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86B1 (ko) * 2018-07-27 2019-07-01 (주)로프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림 방법
KR20200049644A (ko) * 2018-10-29 2020-05-08 (주)서울소프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KR20210053257A (ko) * 2019-11-01 2021-05-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사고정보 신뢰도 기반 보험금 지급 시스템 및 방법
CN115206076A (zh) * 2021-03-24 2022-10-1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存储介质、骑乘式车辆以及系统
WO2023063575A1 (ko) * 2021-10-14 2023-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8136A (ja) * 2012-02-28 2013-09-09 Panasonic Corp 取付け角度補正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86B1 (ko) * 2018-07-27 2019-07-01 (주)로프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림 방법
KR20200049644A (ko) * 2018-10-29 2020-05-08 (주)서울소프트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사고 감응 및 대응 시스템
KR20210053257A (ko) * 2019-11-01 2021-05-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사고정보 신뢰도 기반 보험금 지급 시스템 및 방법
CN115206076A (zh) * 2021-03-24 2022-10-1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存储介质、骑乘式车辆以及系统
WO2023063575A1 (ko) * 2021-10-14 2023-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055B1 (ko)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055B1 (ko)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US108129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river phone operation using vehicle dynamics data
KR102325049B1 (ko) 보행자의 안전과 연관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ngelbrecht et al. Survey of smartphone‐based sensing in vehicles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applications
KR102263395B1 (ko) 외부 이동 수단의 움직임과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가 변경된 외부 이동 수단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231110B1 (en) Crash detection and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 implementing emergency assistance
CN106240491B (zh) 用于向车辆乘客提供警报的系统
US985255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questing emergency call for vehicle accident by using travelling information about vehicle
US20210158701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v2x mess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80759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nstruction of a vehicular crash
KR102335796B1 (ko)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회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ernandes et al. Automatic accident detection with multi-modal alert system implementation for ITS
JP5817812B2 (ja) 歩行者衝突検知システム及び歩行者衝突通報システム
JP6638608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
US20110279263A1 (en) Event Detection
KR101738414B1 (ko) 차량 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콜 시스템
CN102667886A (zh) 用于车辆意外情况检测的驾驶员辅助装置和系统以及用于检测车辆意外情况的方法
US20190147746A1 (en) Device for identifying an accident situation of an open road vehicle
CN109844828B (zh) 用于生成用于车辆的紧急呼叫的方法和设备
CN108140294A (zh) 车辆内部触觉输出
KR101157864B1 (ko) 스마트폰 기반의 자동차 주행 기록방법
KR101994686B1 (ko)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림 방법
KR102077763B1 (ko) 차량의 bcm을 활용한 충돌 감지 장치 및 시스템
CN111619561B (zh) 自动驾驶汽车的逃逸救生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85358B1 (ko) 운송 수단의 전복 사고 방지를 위한 화물 적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운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