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313A - 제품 적층 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적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313A
KR20180024313A KR1020160110268A KR20160110268A KR20180024313A KR 20180024313 A KR20180024313 A KR 20180024313A KR 1020160110268 A KR1020160110268 A KR 1020160110268A KR 20160110268 A KR20160110268 A KR 20160110268A KR 20180024313 A KR20180024313 A KR 20180024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pallet
receiving frame
weight
po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to KR102016011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313A/ko
Publication of KR20180024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35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with a stepwise downward movement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Abstract

제품 적층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품 적층 장치는: 팔레트가 수용되는 수용 프레임; 수용 프레임의 둘레부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포스트; 포스트에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팔레트를 지지하도록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터 부재; 및 이웃한 서포터 부재를 각각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되고, 이웃한 하측의 서포터 부재가 팔레트의 탑재에 의해 회전될 경우, 이웃한 상측의 서포터 부재가 후속의 팔레트를 지지하도록 이웃한 상측의 서포터 부재를 회전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품 적층 장치{PRODUCT STACK APPARTUS}
본 발명은 제품 적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이 순차적으로 적층 및 취출될 수 있는 제품 적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부품은 자동화 제조 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자동화 제조 공정에서 제작된 부품은 팔레트에 적재된다. 팔레트에 부품이 충분히 적재되면, 팔레트를 제품 적층 장치에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제품 적층 장치에는 팔레트가 서로 이격되도록 탑재 레버가 설치된다. 팔레트가 한 층의 탑재 레버에 적층된 후 작업자가 다음 층의 탑재 레버를 펼침으로써 팔레트를 적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팔레트가 적층될 때마다 작업자가 탑재 레버를 펼쳐야하므로, 팔레트의 연속적인 적층이 어려웠고, 제품의 제조 단가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74762호(2014. 12. 15 등록, 발명의 명칭: 자동 적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이 순차적으로 적층 및 취출될 수 있는 제품 적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는: 팔레트가 수용되는 수용 프레임; 상기 수용 프레임의 둘레부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터 부재; 및 이웃한 상기 서포터 부재를 각각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되고, 이웃한 하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가 상기 팔레트의 탑재에 의해 회전될 경우, 이웃한 상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가 후속의 상기 팔레트를 지지하도록 이웃한 상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를 회전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터 부재는 상기 팔레트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부; 및 상기 서포터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자중에 의해 상기 서포터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서포터부의 자중보다 무겁게 형성되는 웨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수용 프레임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수용 프레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에는 상기 웨이트부의 슬라이드축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동 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제한부는 하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에 상기 팔레트가 탑재될 경우 상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를 밀어 올려 회전시키고, 상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가 상기 팔레트의 탑재에 의해 회전될 경우 상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축부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공부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링크부재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부에는 상기 서포터부에 상기 팔레트 탑재시 상기 포스트에 걸려 상기 서포터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회전각 제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에는 최하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가 상기 팔레트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최하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는 상기 수용 프레임의 상하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웃한 하측의 서포터 부재가 팔레트의 탑재에 의해 회전될 경우, 이웃한 상측의 서포터 부재가 링크부재에 의해 후속의 팔레트를 지지하도록 회전되므로, 작업자가 서포터 부재를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후속의 팔레트가 서포터 부재에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생산 라인에서 작업자의 도움 없이 팔레트가 자동적으로 적층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측의 서포터 부재에 팔레트가 탑재될 경우 이동 제한부가 상측의 서포터 부재를 밀어 올려 회전시키므로, 상측의 서포터 부재는 팔레트가 지지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웨이트부가 서포터부보다 무겁게 형성되므로, 서포터 부재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웨이트부의 자중에 의해 서포터 부재가 포스트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팔레트가 수용 프레임에 수용될 때에 서포터 부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팔레트를 연속적으로 수용 프레임에 적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에서 포스트, 서포트 부재 및 링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에서 포스트, 서포트 부재 및 링크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에서 최하측의 서포트 부재에 팔레트가 탑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에서 하측에서 2번째 서포트 부재에 팔레트가 탑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에서 하측에서 3번째 서포트 부재에 팔레트가 탑재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품 적층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에서 포스트, 서포트 부재 및 링크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에서 포스트, 서포트 부재 및 링크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는 수용 프레임(110), 포스트(120), 서포터 부재(130) 및 링크부재(140)를 포함한다.
수용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팔레트(10)가 수용된다. 팔레트(10: 도 4 참조)에는 차량의 부품이 수용된다. 팔레트(10)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수용 프레임(110)은 상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수용 프레임(110)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수직 부재(113)와 수평 부재(115)가 연결된 형태를 갖는다. 수용 프레임(110)은 하측을 커버하는 베이스(111)를 포함한다.
포스트(120)는 수용 프레임(110)의 둘레부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이때, 포스트(120)는 수용 프레임(110)에 상하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포스트(120)는 수용 프레임(110)의 모서리부와, 모서리부 사이의 중심부에 각각 배치된다. 포스트(120)의 하측은 베이스(111)에 의해 지지되고, 포스트(120)의 상측은 홀더부(121)에 의해 지지된다. 포스트(120)가 수용 프레임(110)의 둘레부에 배치되므로, 팔레트(10)의 둘레부에 복수의 포스트(120)가 배치된다.
서포터 부재(130)는 포스트(120)에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팔레트(10)를 지지하도록 포스트(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포터 부재(130)가 포스트(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팔레트(10)가 해당 서포터 부재(130) 측으로 하강될 때에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팔레트(1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포터 부재(130)는 서포터부(131)와 웨이트부(135)를 포함한다. 서포터부(131)는 팔레트(10)의 둘레부를 지지한다. 웨이트부(135)는 서포터부(13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자중에 의해 서포터부(131)를 회전시키도록 서포터부(131)의 자중보다 무겁게 형성된다. 웨이트부(135)가 서포터부(131)보다 무겁게 형성되므로, 서포터 부재(1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웨이트부(135)의 자중에 의해 서포터 부재(130)가 포스트(120)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팔레트(10)가 수용 프레임(110)에 수용될 때에 서포터 부재(13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팔레트(10)를 연속적으로 수용 프레임(110)에 적층할 수 있다.
서포터부(131)는 수용 프레임(11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웨이트부(135)는 수용 프레임(11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서포터부(131)와 웨이트부(135)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웨이트부(135)의 서포터부(131) 측에는 회전축부(136)가 결합되고, 회전축부(136)는 포스트(120)에 결합된다. 웨이트부(135)가 수용 프레임(11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웨이트부(135)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서포터부(131)가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서포터부(131)가 팔레트(10)의 이동 궤적에서 벗어나므로, 팔레트(10)가 하강될 때에 서포터부(131)가 팔레트(1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포터부(131)에는 팔레트(10)의 둘레부를 구속하도록 구속 돌기부(132)가 형성된다. 구속 돌기부(132)가 팔레트(10)의 둘레부를 구속하므로, 팔레트(10)가 서포터부(131)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부(135)에는 서포터부(131)에 팔레트(10) 탑재시 포스트(120)에 걸려 서포터부(131)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회전각 제한부(138)가 형성된다. 서포터부(131)가 팔레트(10)의 하중에 의해 회전될 때에 회전각 제한부(138)가 포스트(120)에 걸리므로, 서포터부(131)가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된다. 이때, 회전각 제한부(138)는 서포터부(131)가 포스트(120)와 수직한 각도보다 크게 아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서포터부(131)가 회전됨에 따라 팔레트(10)가 서포터부(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스트(120)에는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팔레트(10)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서포터 부재(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125)가 설치된다. 이때, 스토퍼(125)는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팔레트(10)의 하강 궤적에 위치되도록 서포터 부재(1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므로, 팔레트(10)가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에 탑재될 수 있다.
링크부재(140)는 이웃한 서포터 부재(130)를 각각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되고, 이웃한 하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팔레트(10)의 탑재에 의해 회전될 경우, 이웃한 상측의 서포터부(131)가 후속의 팔레트(10)를 지지하도록 이웃한 상측의 서포터부(131)를 회전시킨다. 이웃한 하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팔레트(10)의 탑재에 의해 회전될 경우, 이웃한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링크부재(140)에 의해 후속의 팔레트(10)를 지지하도록 회전되므로, 작업자가 서포터 부재(130)를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후속의 팔레트(10)가 서포터 부재(130)에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생산 라인에서 작업자의 도움 없이 팔레트(10)가 자동적으로 적층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링크부재(140)의 하단부에는 서포터 부재(130)의 웨이트부(1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부(143)가 형성된다. 링크부재(140)와 웨이트부(135)는 힌지부(143)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링크부재(140)에는 웨이트부(135)의 슬라이드축부(137)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동 제한부(141)가 형성된다. 이동 제한부(141)는 하측의 서포터 부재(130)에 팔레트(10)가 탑재될 경우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를 밀어 올려 회전시키고,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팔레트(10)의 탑재에 의해 회전될 경우 슬라이드축부(137)가 이동됨에 따라 링크부재(140)의 상승을 방지한다. 이때, 이동 제한부(141)는 링크부재(14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공부이다. 이러한 이동 제한부(141)는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팔레트(10)의 탑재에 의해 회전될 경우 링크부재(140)의 상승을 방지하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하측의 서포터 부재(130)에 팔레트(10)가 탑재될 경우 이동 제한부(141)의 하단부가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를 밀어 올려 회전시키므로,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는 팔레트(10)가 지지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동 제한부(141)는 링크부재(14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팔레트(10)의 탑재에 의해 회전될 경우 슬라이드축부(137)가 이동 제한부(141)를 따라 이동된다.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회전될 때에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의 슬라이드축부(137)가 이동 제한부(141)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회전되더라도 링크부재(140)가 상승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에서 최하측의 서포트 부재에 팔레트가 탑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에서 하측에서 2번째 서포트 부재에 팔레트가 탑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적층 장치에서 하측에서 3번째 서포트 부재에 팔레트가 탑재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자동화 공정에 의해 차량의 부품이 연속적으로 생산된다. 차량의 부품은 팔레트(10)에 적재된다. 팔레트(10)에 부품이 충분히 적재되면, 팔레트(10)는 이송 장치에 의해 수용 프레임(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서포터 부재(130)의 웨이트부(135)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므로, 서포터부(131)가 포스트(120)와 나란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는 스토퍼(125)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되므로,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의 서포터부(131)는 포스트(120)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를 제외한 나머지 서포터 부재(130)는 팔레트(10)에 걸리지 않도록 포스트(120)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의 서포터부(131)는 포스트(120)에 대하여 대략 45° 정도의 각도를 유지한다.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를 제외한 나머지 서포터부(131)가 포스트(120)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팔레트(10)가 수용 프레임(110)의 내부에서 하강되더라도 서포터 부재(130)에 걸리지 않는다.
팔레트(10)가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에 탑재되면, 팔레트(10)의 하중에 의해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회전된다. 이때,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일정 각도 회전되면,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의 회전각 제한부(138)가 포스트(120)에 걸리므로,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포스트(120)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서포터 부재(130)에서 팔레트(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포스트(120)와 수직하게 회전되는 경우,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의 웨이트부(135)는 상승된다. 최하측의 서포터 부재(130)의 웨이트부(135)가 상승됨에 따라 최하측의 링크부재(140) 역시 상승된다. 최하측의 링크부재(140)가 아래에서 2번째 서포터 부재(130)의 웨이트부(135)를 밀어 올림에 따라 2번째 서포터 부재(130)의 서포터부(131)가 포스트(120)와 대략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다. 2번째 서포터 부재(130)의 서포터부(131)에 팔레트(10)가 탑재되면, 팔레트(10)의 하중에 의해 2번째 서포터 부재(130)가 회전된다. 이때, 2번째 서포터 부재(130)의 회전각 제한부(138)가 포스트(120)에 걸리므로, 2번째 서포터 부재(130)에서 서포터부(131)가 포스트(120)와 거의 수직한 상태를 유지한다.
2번째 서포터 부재(130)가 포스트(120)에 수직하게 회전되는 경우, 2번째 서포터 부재(130)의 상측에 연결되는 2번째 링크부재(140)가 상승된다. 이때, 2번째 링크부재(140)가 상승됨에 따라 3번째 서포터 부재(130)의 웨이트부(135)가 밀려 올라가므로, 3번째 서포터 부재(130)의 서포터부(131)가 포스트(120)와 대략 45°의 각도를 유지하여 팔레트(10)를 탑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용 프레임(110)에 복수의 팔레트(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한편, 서포터 부재(130)에서 팔레트(10)가 취출되는 경우에는 서포터 부재(130)에 팔레트(10)가 탑재되는 경우와 반대로 서포터 부재(130)와 링크부재(140)가 동작된다. 즉,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에서 팔레트(10)가 취출되면, 웨이트부(135)는 하강되고, 서포터부(131)는 웨이트부(135)의 자중에 의해 포스트(120)에 대하여 대략 45°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측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의 슬라이드축부(137)가 이동 제한부(141)를 따라 하강되어 이동 제한부(141)의 하단부에 접촉됨에 따라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리고, 하측의 서포터 부재(130)에서 팔레트(10)가 제거되면, 하측의 서포터 부재(130)가 세워지도록 회전된다. 이때, 하측의 서포터 부재(130)의 웨이트부(135)가 하강됨에 따라 링크부재(140)가 하강되고, 링크부재(140)가 하강됨에 따라 상측의 서포터 부재(130)의 서포터부(131)가 포스트(120)와 나란하게 세워진다.
상기와 같이, 서포터 부재(130)가 팔레트(10)를 탑재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하나씩 회전되면서 펼쳐지므로, 팔레트(10)가 수용 프레임(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서포터 부재(130)에서 팔레트(10)를 취출할 때에 서포터 부재(130)가 하나씩 포스트(120)와 나란하도록 접히므로, 팔레트(10)가 서포터 부재(130)에 걸리지 않고 수용 프레임(110)에서 취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팔레트 110: 수용 프레임
111: 베이스 113: 수직부재
115: 수평부재 120: 포스트
121: 홀더부 125: 스토퍼
130: 서포터 부재 131: 서포터부
132: 구속 돌기부 135: 웨이트부
136: 회전축부 137: 슬라이드축부
138: 회전각 제한부 140: 링크부재
141: 이동 제한부 143: 힌지부

Claims (9)

  1. 팔레트가 수용되는 수용 프레임;
    상기 수용 프레임의 둘레부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포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터 부재; 및
    이웃한 상기 서포터 부재를 각각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되고, 이웃한 하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가 상기 팔레트의 탑재에 의해 회전될 경우, 이웃한 상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가 후속의 상기 팔레트를 지지하도록 이웃한 상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를 회전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부재는,
    상기 팔레트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부; 및
    상기 서포터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자중에 의해 상기 서포터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서포터부의 자중보다 무겁게 형성되는 웨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층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수용 프레임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웨이트부는 상기 수용 프레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층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에는 상기 웨이트부의 슬라이드축부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동 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제한부는 하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에 상기 팔레트가 탑재될 경우 상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를 밀어 올려 회전시키고, 상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가 상기 팔레트의 탑재에 의해 회전될 경우 상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축부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의 상승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층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공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층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링크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층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에는 상기 서포터부에 상기 팔레트 탑재시 상기 포스트에 걸려 상기 서포터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회전각 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층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는 최하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가 상기 팔레트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최하측의 상기 서포터 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층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수용 프레임의 상하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적층 장치.
KR1020160110268A 2016-08-29 2016-08-29 제품 적층 장치 KR20180024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68A KR20180024313A (ko) 2016-08-29 2016-08-29 제품 적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68A KR20180024313A (ko) 2016-08-29 2016-08-29 제품 적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313A true KR20180024313A (ko) 2018-03-08

Family

ID=6172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268A KR20180024313A (ko) 2016-08-29 2016-08-29 제품 적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3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31994A1 (it) * 2021-12-21 2023-06-21 Toppy S R L Dispositivo per immagazzinare o rilasciare pallets e macchina per la gestione di pallets con o senza carichi con tale dispositiv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31994A1 (it) * 2021-12-21 2023-06-21 Toppy S R L Dispositivo per immagazzinare o rilasciare pallets e macchina per la gestione di pallets con o senza carichi con tale dispositivo
EP4201856A1 (en) * 2021-12-21 2023-06-28 Toppy S.R.L. Device for storing or releasing pallets and machine for managing pallets with or without loads with such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7479B2 (en) Transport device
US9457480B2 (en) Transport device
TWI384575B (zh) 被搬送物之儲存裝置
US9475659B2 (en) Apparatus for handing and moving a stack of tires
KR20180024313A (ko) 제품 적층 장치
CN108181738B (zh) 一种偏光板贴附装置及偏光板预对位装置
KR200418767Y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매거진
CN105800097A (zh) 一种圆柱形物品放置料架
KR101975900B1 (ko) 중력을 이용한 자재 적재 기구
US20140003903A1 (en) Package stacking apparatus
CN207239602U (zh) 拆卸机构
WO2014104052A1 (ja) 板材収納装置
KR101517015B1 (ko)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CN103650126B (zh) 方向调整装置以及方向调整方法
US20130056485A1 (en) Substrate transport carrier
JP6015596B2 (ja) 固定状態判別装置
JP2574337Y2 (ja) ワーク収納棚
CN114275468A (zh) 一种上料装置
KR20130122287A (ko) 유동 가능한 걸림턱이 구비된 목재파레트 적재장치
KR101368373B1 (ko) 반도체 패키지 수납용 매거진
US20210163236A1 (en) Palletizer apparatus having improved gripper mechanism
CN109775095B (zh) 堆码装置及具有该堆码装置的托盘箱
JP2012502868A (ja) 版パレット内版ずれ制限
KR102637468B1 (ko) 도어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도어 이송 장치
CN105800096A (zh) 一种圆柱形物品料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