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015B1 -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015B1
KR101517015B1 KR1020130063395A KR20130063395A KR101517015B1 KR 101517015 B1 KR101517015 B1 KR 101517015B1 KR 1020130063395 A KR1020130063395 A KR 1020130063395A KR 20130063395 A KR20130063395 A KR 20130063395A KR 101517015 B1 KR101517015 B1 KR 101517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base
frame
rear side
waterme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1968A (ko
Inventor
강기민
Original Assignee
강기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민 filed Critical 강기민
Priority to KR102013006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0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1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19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s
    • B65D2519/00139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 B65D2519/0058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2519/0059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측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방측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우전후방측 프레임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탄성패드, 상기 좌우측 프레임과 상기 전후방측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탄성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박의 적재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수박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Collapsible container for watermelon}
본 발명은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측 프레임과 전후방측 프레임의 내측에 탄성시트를 설치하고, 베이스의 상면에 탄성패드를 설치하여 수박의 적재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수박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물품의 적재 및 운반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관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1317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는 네개의 절곡축대부(20)(22)(24)(26)하부에 베이스부(4)의 네모서리에 끼워지는 끼움브라켓(28)이 일체로 고정형성되고, 사방프레임을 구성하는 전후좌우측면 프레임(8)(10)(12)(14)의 절첩축(8s)(10s)(12s)(14s)이 네개의 절곡축대부(20)(22) (24)(26)의 각 대향면에 축결합되게 구성하되 상기의 절첩축(8s)(10s)(12s)(14s) 각각은 절곡축대부(20)(22)(24)(26)에 결합고정된 고정축봉(30)에 각 전후좌우 측면프레임(8)(10)(12)(14)에 연결된 회전축관(32)의 끼움구성으로 형성하고, 사방프레임중 하나 이상의 측면프레임에 상방개방홈부를 형성하여 도어(40)를 힌지(42)로 연결하여 삽입설치되게 하며 도어(40)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보강돌출측부(44)상에 잠금편(46)을 설치하여 이웃 측면프레임과 잠금체결 고정되게 구성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는 수박의 적재 및 운반 시, 수박의 외면이 각각의 프레임에 부딪히게 되므로 수박이 크게 훼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는 평면상 정사각형에 가깝게 제작되어 1톤 트럭으로 다수개의 컨테이너를 운반할 때, 불필요하게 남는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운반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0831317 B1 KR 1998-035013 U
본 발명은 좌우측 프레임과 전후방측 프레임의 내측에 탄성시트를 설치하고, 베이스의 상면에 탄성패드를 설치하여 수박의 적재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수박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평면상의 형상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하여 운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측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방측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우전후방측 프레임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탄성패드, 상기 좌우측 프레임과 상기 전후방측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탄성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는 좌우측 힌지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전후방측 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는 전후방측 제1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이 설치되는 쪽보다 상기 전후방측 프레임이 설치되는 쪽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전후방측 프레임은 전후방측 하부프레임과 전후방측 상부프레임으로 분할되고, 상기 전후방측 상부프레임은 전후방측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전후방측 하부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된 잠금부재에 의해 상기 좌우측 프레임과 상기 전후방측 프레임이 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힌지부는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상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을 안내 지지하는 상하 장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프레임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방측 하부프레임의 양측면에는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일면에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에 상기 돌출부가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전후방측 하부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이 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 본 발명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는 좌우측 프레임과 전후방측 프레임의 내측에 탄성시트를 설치하고, 베이스의 상면에 탄성패드를 설치하여 수박의 적재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수박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 본 발명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는 직사각형 형상이기 때문에,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네 개를 1톤 트럭에 딱 맞게 적재 가능하여 적재 및 운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 본 발명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는 전후방측 프레임을 베이스 위로 절첩했을 때, 직사각형의 베이스 외측으로 전후방측 프레임이 튀어나오지 않도록 가동프레임을 고정프레임 쪽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 본 발명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는 좌우측 프레임과 전후방측 프레임을 베이스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웠을 경우, 좌우측 프레임에 형성된 돌기에 또 다른 컨테이너의 베이스 하부에 형성된 돌기 삽입구를 삽입시켜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적층하여 운반할 수 있고, 좌우측 프레임과 전후방측 프레임을 모두 절첩 했을 경우, 지지브라켓의 상단에 또 다른 컨테이너의 베이스 하부를 올려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적층하여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 본 발명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는 수박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전방측 하부프레임은 베이스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두고, 전방측 상부프레임은 전방측 하부프레임 측으로 절첩하여 수박의 적재 및 하역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 본 발명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는 좌우측 프레임의 지지턱에 전후방측 프레임의 돌출부가 걸리는 것에 의해 전후방측 하부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이 견고하게 지지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 본 발명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는 가이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좌우측 프레임의 걸림편이 걸려서 고정되는 구조로 좌우측 프레임을 베이스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웠을 경우, 견고하게 지지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후방측 프레임이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후방측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이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방측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잠금 방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우측 프레임을 절첩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돌출부를 지지턱에 지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후방측 프레임이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후방측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이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전방측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잠금 방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우측 프레임을 절첩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의 돌출부를 지지턱에 지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는, 베이스(100)와, 베이스(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프레임(200)과, 베이스(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프레임(300)과, 베이스(100)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측 프레임(400)과, 베이스(10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방측 프레임(500)과, 베이스(100)와 좌우전후방측 프레임(200,300,400,500)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힌지부(210.310,130)를 포함하되, 베이스(100)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탄성패드(110), 좌우측 프레임(200,300)과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탄성시트(600)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횡방향의 길이가 종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이다.
이는 베이스(100)가 후술할 좌측 프레임(200)과 우측 프레임(300)이 설치되는 쪽보다 전방측 프레임(400)과 후방측 프레임(500)이 설치되는 쪽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이라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네 개를 1톤 트럭에 적재할 경우, 트럭의 적재 공간에 불필요하게 남는 공간 없이 적절하게 적재할 수 있으므로 적재 및 운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베이스(100)의 하부면에는 지게차로 물품의 적재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파레트부(180)가 형성된다.
베이스(100)의 상부면에는 탄성패드(110)가 설치된다.
탄성패드(110)는 고무재질임이 바람직하며, 탄성패드(110)의 상면에는 수박이 적재된다.
탄성패드(110)는 수박의 적재 및 운반시, 수박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줌으로써 수박의 훼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100)의 좌측에는 좌측 프레임(200)이 배치되고, 베이스(100)의 우측에는 우측 프레임(300)이 배치된다.
힌지부(210.310,130)는 베이스(100)와 좌우전후방측 프레임(200,300,400,500)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하단을 연결한다.
힌지부(210.310,130)는 베이스(100)와 좌우측 프레임(200,300)의 하단을 연결하는 좌우측 힌지부(210,310)와, 베이스(100)와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의 하단을 연결하는 전후방측 제1힌지부(130)로 이루어진다.
좌측 프레임(200)과 우측 프레임(300)은 동일한 형상이고, 서로 대칭된 형태로 설치되며, 좌측 프레임(200)과 우측 프레임(300)의 하단은 각각 좌측 힌지부(210)와 우측 힌지부(310)에 의해 베이스(100)에 연결된다.
좌측 힌지부(210)는 베이스(100)의 좌측 모서리에 두 개가 형성되고, 우측 힌지부(310)는 베이스(100)의 우측 모서리에 두 개가 형성된다.
좌우측 힌지부(210,310)는 베이스(100)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브라켓(312)과, 좌우측 프레임(200,300)에 설치되는 회동축(314)을 포함한다.
지지브라켓(312)은 좌우측 프레임(200,300)의 하부가 삽입되어 좌우측 프레임(200,300)의 상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316)와, 가이드부(316)에 형성되어 회동축(314)을 안내 지지하는 상하 장공(318)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부(316)에는 좌우측 프레임(200,300)의 하부가 삽입되어 회동축(314)에 의해 결합된다.
가이드부(316) 내에서 좌우측 프레임(200,300)이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 회동축(314)도 장공(318)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된다.
회동축(314)은 지지브라켓(312)과 좌우측 프레임(200,30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좌우측 프레임(200,300)이 베이스(100) 상면 측으로 절첩 가능하게 하는 축의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316)의 상부에는 걸림턱(317)이 형성된다.
걸림턱(317)은 역사다리꼴 형상이다.
걸림턱(317)은 좌우측 프레임(200,300)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편(250,350)을 지지하여 좌우측 프레임(200,300)이 베이스(100) 외측으로 기울지 않게 하고, 베이스(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지지 되게끔 한다.
걸림편(250,350)의 하부는 걸림턱(317)과 마찬가지로 역사다리꼴 형상이기 때문에 걸림편(250,350)이 걸림턱(317)에 상하방향으로 안착하거나, 이탈할 수 있다.
우측 프레임(300)을 절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베이스(100)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우측 프레임(300)을 살짝 들어올린다.
이에 따라, 우측 프레임(300)은 가이드부(316) 내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우측 프레임(300)에 형성된 걸림편(350)은 걸림턱(317)에서 이탈하게 된다.
다음, 우측 프레임(300)을 베이스(100)의 상면 측으로 회동시키면, 우측 프레임(300)은 베이스(100)의 상면에 절첩되어 진다.
좌측 프레임(200)을 절첩하는 방법 역시 위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좌측 힌지부(210)와 우측 힌지부(310)의 하부면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고, 단차진 면 중심에는 돌기 삽입공(150)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힌지부(210)는 좌측 프레임(200)을 베이스(100)에 대해 수직으로 지지하여 좌측으로 기울지 않게 한다.
우측 힌지부(310)는 우측 프레임(300)을 베이스(100)에 대해 수직으로 지지하여 우측으로 기울지 않게 한다.
좌측 프레임(200)과 우측 프레임(300)은 베이스(100)의 상면 측으로 절첩 가능하다.
좌측 프레임(200)과 우측 프레임(300)은 상하방향의 사다리 형상이며, 맨 하부에 있는 바는 좌측 프레임(200)과 우측 프레임(300)의 상하 슬라이딩 및 좌우 절첩을 위해 좌우 양끝에 있는 상하방향의 바와 이격되어 있다.
좌측 프레임(200)과 우측 프레임(300)의 좌우 양끝 내측면 중앙부에는 각각 지지턱(220,320)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턱(220,320)에 후술할 돌출부(412)가 걸리는 것에 의해 좌우측 프레임(200,300)과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이 서로 지지된다.
지지턱(220,320)은 좌측 프레임(200)의 우측으로 튀어 나와 있고, 우측 프레임(300)의 좌측으로 튀어 나와 있다.
지지턱(220,32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이 개방되어 있다.
지지턱(220,320)의 상단에는 제1상단면(322)과 제2상단면(324)이 형성되어 있다.
제1상단면(322)은 제2상단면(324)에 비해 높게 위치한다.
지지턱(220,320)의 전면에는 U자형 개방면(326)이 형성되어 있고, U자형 개방면(326)의 좌우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할 돌출부(412)가 U자형 개방면(326)의 높이가 낮은 쪽에서 출입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을 회동시켜 지지턱(220,320)에 돌출부(412)를 지지시킬 수 있으며, 돌출부(412)가 U자형 개방면(326)의 높이가 높은 쪽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이점도 있다.
좌측 프레임(200)과 우측 프레임(300) 좌우 양끝 내측면 상단부에는 각각 잠금부재 삽입부(230,330)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재 삽입부(230,330)에는 잠금부재(450)가 삽입고정되어 좌우측 프레임(200,300)과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을 지지시킨다.
좌측 프레임(200)에 형성되어 있는 잠금부재 삽입부(230,330)는 우측으로 튀어 나와 있고, 우측 프레임(300)에 형성되어 있는 잠금부재 삽입부(230,330)는 좌측으로 튀어 나와 있으며, 각각의 잠금부재 삽입부(230,330)는 양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잠금부재 삽입부(230,330)의 전면 중앙에는 타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프레임(200)과 우측 프레임(300)의 좌우 양끝 상단 중심에는 각각 돌기(240,340)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40,340)는 원통 형상으로 좌측 프레임(200)과 우측 프레임(300)의 좌우 양끝 상단 중심에서 상측으로 튀어나와 있다.
돌기(240,340)는 좌우측 프레임(200,300)이 베이스(100)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또 다른 베이스(100)를 적층할 때, 상부에 적층된 베이스(100)의 돌기 삽입공(150)에 삽입되어 지지력을 부가한다.
베이스(100)의 전방측에는 전방측 프레임(400)이 배치되고, 베이스(100)의 후방측에는 후방측 프레임(500)이 배치된다.
전방측 프레임(400)과 후방측 프레임(500)은 동일한 형상이고, 서로 대칭된 형태로 설치되며, 전방측 프레임(400)과 후방측 프레임(500)의 하단은 각각 전방측 제1힌지부(130)와 후방측 제1힌지부(130)에 의해 베이스(100)에 연결된다.
전후방측 제1힌지부(130)는 베이스(100)의 상면 모서리 내측에 형성된 고리(120)와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의 하단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축(416)을 포함한다.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의 하단 양측면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축(416)은 대응하는 각각의 고리(120)에 삽입되어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을 베이스(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은 베이스(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고, 그보다 더 베이스(100)의 외측으로는 회동되지 않는다.
이는 좌우측 프레임(200,300)에 형성된 지지턱(220,320)에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의 돌출부(412)가 걸리기 때문이다.
전방측 프레임(400)과 후방측 프레임(500)은 베이스(100)의 상면 측으로 절첩 가능하다.
전방측 하부프레임(410)과 후방측 하부프레임(510)의 양측면 상단부에는 각각 돌출부(412)가 형성된다.
돌출부(412)와 좌우측 프레임(200,300)에 형성된 지지턱(220,320)은 서로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된다.
돌출부(412)는 몸통부분에 비해 머리부분의 지름이 크게 형성된다.
돌출부(412)의 머리부분의 지름은 좌우측 프레임(200,300)에 형성된 지지턱(220,320)의 U자형 개방면(326) 좌우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돌출부(412)의 몸통부분의 지름은 좌우측 프레임(200,300)에 형성된 지지턱(220,320)의 U자형 개방면 (326)좌우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돌출부(412)의 머리부분이 지지턱(220,320) 내부에 위치할 경우, 지지턱(220,320)의 U자형 개방면(326)으로 돌출부(412)가 이탈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돌출부(412)는 좌우측 프레임(200,300)에 형성된 지지턱(220,320)에 걸려 전후방측 하부프레임(510)과 좌우측 프레임(200,300)이 서로 지지되게 한다.
전방측 프레임(400)의 돌출부(412)를 지지턱(220,320)에 지지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좌우측 프레임(200,300)을 베이스(100)에 대해 수직으로 세운다.
다음, 돌출부(412)가 형성된 전방측 프레임(400)을 베이스(100)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회동시켜 일으켜 세운다.
이때, 전방측 프레임(400)에 형성된 돌출부(412)가 좌우측 프레임(200,300)의 지지턱(220,320)에 도달할 때쯤, 전방측 프레임(400)을 살짝 들어올려 좌우측 프레임(200,300)의 지지턱(220,320) 위에 돌출부(412)가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 살짝 들어올린 전방측 프레임(400)을 놓게 되면 돌출부(412)는 지지턱(220,320)에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전방측 프레임(400)과 좌우측 프레임(200,300)은 서로 지지하게 된다.
후방측 프레임(500)의 돌출부(412)를 좌우측 프레임(200,300)의 지지턱(220,320)에 지지시키는 방법도 위와 동일하기에 생략하도록 한다.
전방측 프레임(400)은 전방측 하부프레임(410)과 전방측 상부프레임(420)으로 분할되고, 후방측 프레임(500)은 후방측 하부프레임(510)과 후방측 상부프레임(520)으로 분할된다.
전방측 하부프레임(410)의 상단부 외측면과 전방측 상부프레임(420)의 하단부 외측면은 두 개의 전방측 제2힌지부(414)에 의해 연결되고, 후방측 하부프레임(510)의 상단부 외측면과 후방측 상부프레임(520)의 하단부 외측면은 두 개의 후방측 제2힌지부(414)에 의해 연결된다.
전방측 상부프레임(420)과 후방측 상부프레임(520)은 각각 전방측 하부프레임(410)과 후방측 하부프레임(510) 상부에 절첩 가능하다.
이로 인해, 수박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전방측 하부프레임(410)은 베이스(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두고, 전방측 상부프레임(420)은 전방측 하부프레임(410) 측으로 절첩하여 수박의 적재 및 하역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전방측 상부프레임(420)과 후방측 상부프레임(520)은 각각 고정프레임(422)과 가동프레임(424)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프레임(422)은 좌우방향의 사다리 형상이다.
고정프레임(422)은 전방측 하부프레임(410) 및 후방측 하부프레임(510)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절첩될 때 전방측 하부프레임(410) 및 후방측 하부프레임(510)과 정확히 포개어진다.
고정프레임(422)의 하단부 외측면은 제2힌지부(414)에 의해 전후방측 하부프레임(410,510)의 상단부 외측면과 힌지 연결된다.
고정프레임(422)의 상단 양끝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 내부에는 가동프레임(424)의 양끝이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된다.
가동프레임(424)은 고정프레임(422)에 대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가동프레임(424)의 상단면 좌우 양끝에는 잠금부재(450)가 설치된다.
가동프레임(424)은 좌우측 프레임(200,300)과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의 높이를 맞춰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동프레임(424)은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을 절첩했을 때, 직사각형의 베이스(100) 외측으로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이 튀어나오지 않도록 가동프레임(424)을 고정프레임(422) 쪽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잠금부재(450)는 회전 가능한 ㅡ자형 축의 중앙부에 ㄱ자형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ㅡ자형 축의 일측 끝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태이다.
잠금부재(450)를 이용한 잠금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가동프레임(424)을 상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잠금부재(450)와 잠금부재 삽입부(230,330)가 나란히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 수직으로 절곡된 ㅡ자형 축의 일측 끝단을 잠금부재 삽입부(230,330)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ㄱ자형의 손잡이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ㅡ자형 축을 회전시킨 후, 잠금부재 삽입부(230,330)의 타원형 구멍에 수직으로 절곡된 ㅡ자형 축의 일측 끝단을 좌우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다음, ㄱ자형 손잡이를 하측으로 내리면 ㅡ자형 축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수직으로 절곡된 ㅡ자형 축의 일측 끝단은 90도 회전하여 잠금부재 삽입부(230,330)에 걸리게 됨으로써 잠금부재(450)는 잠금부재 삽입부(230,330) 내에서 잠금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좌우측 프레임(200,300)과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은 잠금부재(450)와 잠금부재 삽입부(230,330)에 의해 서로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잠금부재(450)를 이용한 잠금방법은 전방측 프레임(400)과 후방측 프레임(500)이 동일하다.
가동프레임(424)과 고정프레임(422) 사이에는 스토퍼(700)가 설치된다.
스토퍼(700)는 복수개의 링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스토퍼(700)는 가동프레임(424)의 상측 슬라이딩을 일정 위치까지로 제한하여 가동프레임(424)이 고정프레임(422)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스토퍼(700)는 잠금부재(450)가 잠금부재 삽입부(230,330)와 나란히 위치하게 하여 손쉽게 잠금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좌우측 프레임(200,300)과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의 내측에는 탄성시트(600)가 설치된다.
단, 전후방측 프레임(400,500) 중, 가동프레임(424)은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해야하므로 탄성시트(600)를 설치하지 않는다.
또한, 좌우측 프레임(200,300)과 좌우측 힌지부(210,310)의 장공(318) 사이 이격된 공간에도 좌우측 프레임(200,300)의 상하 슬라이딩 및 절첩을 위해 탄성시트(600)를 설치하지 않는다.
탄성시트(600)는 투명한 렉산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내부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컨테이너에 적재된 수박의 개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적재 및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는 전후방측 프레임(400,500)을 베이스(100) 위로 절첩하고, 절첩한 전후방측 프레임(400,500) 위로 좌우측 프레임(200,300)을 절첩하여 간단하게 절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절첩 한 상태에서 지지브라켓(312)의 상단에 또 다른 컨테이너의 베이스(100)를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절첩된 복수개의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를 적층해서 부피를 줄여 보관 및 운반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좌측 프레임(200)과 우측 프레임(300)에 다른 번호를 부여하고, 전방측 프레임(400)과 후방측 프레임(500)에 다른 번호를 부여하였지만, 실제 좌측 프레임(200)과 우측 프레임(300)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 형상은 동일하고, 전방측 프레임(400)과 후방측 프레임(500) 또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 형상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베이스 110 : 탄성패드
120 : 고리 130 : 제1힌지부
150 : 돌기 삽입공 180 : 파레트부
200 : 좌측 프레임 210 : 좌측 힌지부
220,320 : 지지턱 230,330 : 잠금부재 삽입부
240,340 : 돌기 250,350 : 걸림편
300 : 우측 프레임 310 : 우측 힌지부
312 : 지지브라켓 314 : 회동축
316 : 가이드부 317 : 걸림턱
318 : 장공 400 : 전방측 프레임
410 : 전방측 하부프레임 412 : 돌출부
414 : 제2힌지부 416 : 결합축
420 : 전방측 상부프레임 422 : 고정프레임
424 : 가동프레임 450 : 잠금부재
500 : 후방측 프레임 510 : 후방측 하부프레임
520 : 후방측 상부프레임 600 : 탄성시트
700 : 스토퍼

Claims (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프레임;
    상기 베이스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프레임;
    상기 베이스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측 프레임;
    상기 베이스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방측 프레임;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우전후방측 프레임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면에 적재되는 수박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탄성패드,
    상기 좌우측 프레임과 상기 전후방측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내부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컨테이너에 적재된 상기 수박의 개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수박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한 탄성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는 좌우측 힌지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전후방측 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는 전후방측 제1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이 설치되는 쪽보다 상기 전후방측 프레임이 설치되는 쪽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전후방측 프레임은 전후방측 하부프레임과 전후방측 상부프레임으로 분할되고,
    상기 전후방측 상부프레임은 전후방측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전후방측 하부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하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프레임의 상단면 좌우 양끝에 설치된 잠금부재에 의해 상기 좌우측 프레임과 상기 전후방측 프레임이 서로 지지되되,
    상기 가동프레임에는 상기 탄성시트가 설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힌지부는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상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을 안내 지지하는 상하 장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프레임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측 하부프레임의 양측면에는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의 일면에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에 상기 돌출부가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전후방측 하부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이 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KR1020130063395A 2013-06-03 2013-06-03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KR101517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95A KR101517015B1 (ko) 2013-06-03 2013-06-03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95A KR101517015B1 (ko) 2013-06-03 2013-06-03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968A KR20140141968A (ko) 2014-12-11
KR101517015B1 true KR101517015B1 (ko) 2015-05-04

Family

ID=5245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395A KR101517015B1 (ko) 2013-06-03 2013-06-03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364A (ko) * 2016-04-15 2017-10-25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자유도 구속형 수직 가이드바를 갖는 접이식 컨테이너
KR102168396B1 (ko) * 2020-05-20 2020-10-21 한국로지스풀 주식회사 접이식 무빙랙 및 이의 접이방법
KR200495861Y1 (ko) * 2021-08-05 2022-09-06 주식회사 제로 유압쇼바를 구비한 롤테이너
AU2022200628B1 (en) * 2022-02-01 2022-12-08 K. Hartwall Oy Ab Conta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2547A (ja) * 2002-09-05 2004-09-24 Wmb World Move Box Anstalt 軍事キャンプ設備収納箱
WO2010075950A1 (en) * 2008-12-29 2010-07-08 Deutsche Post Ag Container with variable heigh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2547A (ja) * 2002-09-05 2004-09-24 Wmb World Move Box Anstalt 軍事キャンプ設備収納箱
WO2010075950A1 (en) * 2008-12-29 2010-07-08 Deutsche Post Ag Container with variable h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968A (ko)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1743B1 (en) Crate with collapsible wall
US8820560B2 (en) Collapsible bin
AU756030B2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transporting a liquid
KR101517015B1 (ko) 수박 전용 접이식 컨테이너
US20070125779A1 (en) Collapsible container
KR101648388B1 (ko) 접이식 컨테이너 파렛트
US20080190810A1 (en) Collapsible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KR20210126139A (ko) 화물 유닛
JP4733078B2 (ja) かご型パレット
EP2202168A1 (en) Container with variable height
WO2011020134A1 (en) Collapsible shipping bin of variable capacity
JP3903253B2 (ja) 輸送用折畳コンテナ
US20210331832A1 (en) Collapsible storage and transportation unit
KR20160003166U (ko) 운송용 거치대
US7347340B2 (en) Folding container
KR101458096B1 (ko) 철재상자
AU2009217386A1 (en) Container
JP4081032B2 (ja)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JP6520107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US20230242303A1 (en) Container
WO2009127004A1 (en) Improvements in relation to utility bins
KR102016346B1 (ko) 가변형 롤 파레트
JP2018079969A (ja) 折畳み型物流用コンテナ
US20220297885A1 (en) Pallet apparatus
EP3010837B1 (en) Crate for the transport of mot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