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045A -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045A
KR20180024045A KR1020160107809A KR20160107809A KR20180024045A KR 20180024045 A KR20180024045 A KR 20180024045A KR 1020160107809 A KR1020160107809 A KR 1020160107809A KR 20160107809 A KR20160107809 A KR 20160107809A KR 20180024045 A KR20180024045 A KR 20180024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s
internal electrode
coil
laminated electronic
electro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411B1 (ko
Inventor
권순광
정창렬
서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7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411B1/ko
Priority to JP2017042672A priority patent/JP6332657B2/ja
Publication of KR20180024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3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5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permanent magnets
    • H01F41/0273Imparting anisotrop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Details of via holes for interconnecting th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66Printed inductances with a magnetic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자성 분말을 함유하는 복수의 시트 및 코일을 포함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 분말은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며, 상기 자성 분말의 장축은 상기 코일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ED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개시는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축과 단축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여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는 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인덕터에 사용하는 자성 재료들은 페라이트(ferrite)나 금속 분말이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므로, 자기장이 가해지면, 특정한 방향이 아니라 전체 방향에 대하여 동일하게 자기장이 분포하게 된다. 하지만,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나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과 같이, 인식거리의 증가가 필요한 부품에서는 특정 방향으로의 자기장의 집중이 필요하다. 이 경우, 장축과 단축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판상 형태의 플레이크(flake) 자성 분말을 사용하게 되면 단축이 장축에 비해 거리가 가까워 단축보다는 장축으로 자화되기 쉬워지는데, 이러한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는 판상의 플레이크 분말을 포함하는 자성 시트를 사용하면 높은 투자율의 인덕터를 제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지 않는 자기 등방성의 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자성 시트를 사용할 경우, 인덕터 내 자성 시트의 방향성이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는 플레이크 분말을 포함하는 자성 시트를 사용하게 되면, 자로 (magnetic path)를 따라 플레이크(flake)의 장축이 배열되어야 형상 자기 이방성에 의한 투자율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인덕터 내 자성 시트의 방향성이 중요하다.
도1 에 보여지듯이, 칩 부품 내 배치되는 코일의 중심부와 코일의 외곽부를 포함하는 자성 바디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플레이크 장축이 자기장이 형성되는 방향(자속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인덕터는, 도2 에 보여지듯이, 플레이크의 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다수의 자성 시트를 두께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적층하므로, 자성 시트 내 포함되는 플레이크의 장축이 코일의 자속 방향과 오히려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자성 바디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코일의 중심부 영역)을 포함한다. 그 결과, 종래 인덕터는 형상 자기 이방성에 의한 고투자율의 특성을 구현하지 못하고, 오히려 인덕턴스 특성을 감소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하기의 특허문헌 1 은 복수의 도체 패턴이 인쇄된 복수의 자성체층이 적층된 본체를 포함하는 적층 인덕터를 개시하지만, 자성체 층 내의 자성 재료의 자기장 방향을 정렬하고, 그에 따라 도체 패턴의 방향을 조절하려는 문제 인식을 개시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19251호
본 개시는 대전류용 고투자율을 가지는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특히, 자성 분말로서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갖는 플레이크(flake) 자성 분말을 적용한 인덕터(inductor)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은 자성 분말을 함유하는 복수의 시트 및 코일을 포함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 분말은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자성 분말의 장축은 상기 바디 내 코일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바디는 그 안에 매설되는 코일을 중심으로 할 때, 코일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부 바디, 코일의 하면에 배치되는 하부 바디, 및 상부 및 하부 바디의 사이에서 코일을 매설하는 중앙 바디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앙 바디는 코일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코일의 중심부와 코일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코일의 외곽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자성 분말의 장축은 상부, 하부 및 중앙 바디의 전체 영역에서 그 안에 형성되는 코일의 자기장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의 제조방법은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는 자성 분말을 함유하며 상기 자성 분말의 장축이 일 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시트 상에 내부전극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 상기 내부전극 패턴이 인쇄된 복수의 시트를 적층 및 압착하여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제1 및 제2 외부전극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전극 패턴이 인쇄된 복수의 시트가 바디의 폭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한 후, 상기 바디의 폭 방향의 양 측면에서 바디의 중앙부를 향해 압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자성 분말로서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는 금속 플레이크(flake)를 적용하고, 상기 금속 플레이크의 장축이, 특히, 코일의 중심부와 코일의 외곽부에서 코일의 자기장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여서, 투자율을 현저하게 개선한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1 은 자성 분말로서 플레이크를 사용할 때 코일의 중심부 및 코일의 외곽부에서의 플레이크 배열 방향의 바람직한 일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 는 종래 인덕터로서 코일의 중심부 및 외곽부에서의 플레이크 배열 방향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 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4(a), 도4(b) 는 형상 이방성을 가지는 플레이크의 일 예에 따른 장축을 나타낸다.
도5(a), 도5(b) 는 형상 이방성을 가지는 플레이크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장축을 나타낸다.
도6 은 도3 의 I-I'선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7 은 도3 의 복수의 시트를 분해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층 전자 부품
도3 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3 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적층 전자부품(100)은 내부에 코일을 매설하는 바디(1)와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전극(21,22)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1)는 두께(T)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면 및 하면, 길이(L)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단면 및 제2 단면, 폭(W)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3 의 하단에 확대되도록 도시된 바디(1)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1)는 바디의 두께(T)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코일의 상면으로부터 바디의 상면까지 배치되는 상부 바디(11), 코일의 하면으로부터 바디의 하면까지 배치되는 하부 바디(12), 및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 사이에 배치되며 코일을 매설하는 중앙 바디(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 바디(13)는 코일의 내측부에 대응하는 코일 중앙부와 코일의 외측부에 대응하는 코일 외곽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바디(1)는 자성 분말을 함유하는 복수의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시트는 바디의 폭(W) 방향을 따라 적층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시트 내에는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는 자성 분말이 함유된다. 이와 같이, 자성 분말이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게 되면 자기장의 자속을 일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자성 분말의 장축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자속을 집중 시킬 수 있다.
도4 와 도5 를 통해 형상 이방성을 가지는 플레이크의 장축이 파악될 수 있으므로, 도4 와 도5 를 참조하여, 시트 내 포함되는 자성 분말의 장축에 대한 개념을 설명한다.
도4 및 도5 를 참조하면,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는 자성 분말은 판상 형태의 플레이크(flake)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축과 단축이 구별 가능한 자성 분말이면 충분하다.
먼저, 도4a 와 도4b 를 참조하면, 판상 형태의 플레이크의 단면은 원형(round)일 수 있다. 플레이크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3차원의 중심축인 T축, L축, 및 W축의 교차점에 플레이크의 중심(O)을 대응시킬 때, 플레이크가 W축으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LW)가 가장 짧고, 플레이크가 L축으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LL)와 T축으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LT)는 서로 동일하고, LT와 LL의 각각은 플레이크가 W축으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 보다 길다.
따라서, 도4 의 판상 형태의 플레이크의 장축은 복수 개이며, T축과 L축의 각각과 평행하도록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5a 와 도5b 를 참조하면, 판상 형태의 플레이크의 단면은 타원형(oval)일 수 있다. 플레이크의 단면이 타원형인 경우, 3차원의 중심축인 T축, L축, 및 W축의 교차점에 플레이크의 중심(O)을 대응시킬 때, 플레이크가 W축으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LW)가 가장 짧고, 플레이크가 L축으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LL)가 T축으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LT)보다는 짧으나, W축으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LW)보다는 길다. 한편, 플레이크가 T축으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LT)가 가장 길다.
따라서, 도5 의 판상 형태의 플레이크의 장축은 1개 이며, T축과 평행하도록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크의 단면이 어떤 형상을 가지던지, 본 개시의 시트 내 포함되는 자성 분말은 W축으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LW)가 그 외 L축과 T축으로 연장되는 최대 길이 보다 항상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플레이크의 장축이 W축과 평행하지 않고, T축 및/또는 L축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어서, T축 혹은 L축으로 자속을 집중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도4 와 도5 를 통해 파악한 플레이크의 장축은 바디 내에서 코일의 자속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되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도6 과 도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 과 도7 은 시트 내 포함되는 자성 분말이,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크 분말인 일 예와 관련한다.
도6 은 도3 의 I-I'선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7 은 도3 의 복수의 시트를 분해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6 을 참조하면, 플레이크 분말의 장축은 복수 개 이며, 그 중 일부는 T축과 평행하며, L축과 평행하다.
중앙 바디(13)의 영역에 포함되는 자성 분말의 장축 중 T축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축은 코일 중심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 결과, 중앙 바디(13) 영역에서 자성 분말의 장축이 배열되는 방향과 코일의 자속 방향이 서로 일치하게 되어서, 투자율이 증가하고 인덕턴스(inductance) 특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이처럼, 자성 분말의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 자성 분말의 장축은 복수 개인데, 상기 복수 개의 장축 중 적어도 하나가 중앙 바디 내 코일의 자속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되면 중앙 바디 내 투자율 저하의 우려는 전혀 없다.
마찬가지로, 상부 및 하부 바디(11, 12)의 영역에 포함되는 자성 분말의 장축은 상부 및 하부 바디의 영역에서의 코일의 자속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및 하부 바디(11, 12)의 영역에 포함되는 자성 분말의 장축 중 일부는 L축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바디의 영역에서 코일의 자속 방향도 L축과 나란하게 형성되므로, 코일의 자속을 집중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T축과 L축은 서로 수직하는데, T축이 코일의 중심축 방향과 나란하므로, L축은 코일의 중심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된다. 그래서, 상부 및 하부 바디의 영역에 포함되는 자성 분말의 적어도 하나의 장축은 코일의 중심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는 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다수의 시트 상에 배치되는 내부전극 패턴을 설명한다. 특히, 상기 내부전극 패턴은 다수의 시트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도7 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것이 유용하다.
도7 을 참조하면, 바디 내에 배치되는 코일(2)은 복수의 시트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내부전극 패턴이 비아(via, 미도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복수의 시트 중 다수의 스트립 형상이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내부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시트는, 제1 외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인출부(2a)를 포함하는 제1 시트(1a), 및 제2 외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인출부(2b)를 포함하는 제2 시트(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바디의 폭(W)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시트와 제2 시트는 내부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복수의 시트 중 가장 멀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 상의 스트립 형상의 수에 따라 코일(2)의 권선 수가 결정되며, 스트립 형상의 수가 많을수록 코일의 권선 수가 많은 것이다. 스트립 형상의 수는 재료 설계 및 요구되는 전자부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출부(2a)는 제1 시트 상의 다수의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내부전극 패턴 중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가장 위에 배치되는 내부전극 패턴이다. 상기 제1 인출부(2a) 는 스트립 형상의 일 단부로부터 제1 시트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인출부(2b)는 제2 시트 상의 다수의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내부전극 패턴 중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내부전극 패턴이다. 상기 제2 인출부(2b)는 스트립 형상의 일 단부로부터 제2 시트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 외부전극(21)과 제2 외부전극(22)은 바디의 길이(L)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제1 인출부(1a)와 제2 인출부(1b)도 바디의 길이(L)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출된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전극(21,22)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은(Ag) 또는 구리(C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료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적층 전자부품은 자성 분말로서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는 금속 플레이크(flake)를 적용하고, 상기 금속 플레이크의 장축이 코일의 중앙부와 외곽부에서 자기장이 형성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여서 투자율을 현저하게 개선하도록 한다.
적층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예에 다른 적층 전자부품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는 자성 분말을 함유하며, 상기 자성 분말의 장축이 코일의 자기장의 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복수의 시트를 준비한다.
상기 복수의 시트의 적층되는 총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전자부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전체 적층 수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복수의 시트 상에 내부전극 패턴을 인쇄한다.
상기 내부전극 패턴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Ag) 또는 구리(Cu)와 같은 도전성 재료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내부전극 패턴 중 적어도 2 개는 바디의 길이(L)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단면 및 제2 단면으로 각각 인출하는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인출부는 각각 바디를 형성한 이후에 바디의 제1 및 제2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전극과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인출부가 배치되는 시트를 각각 제1 및 제2 시트라고 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시트는 바디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제1 및 제2 시트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중앙 시트가 배치된다. 제1 및 제2 시트는 내부전극 패턴이 인쇄된 복수의 시트 중 바디의 폭 방향을 따라 가장 멀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시트 상에는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제1 최외측 내부전극 패턴이 인쇄되고, 상기 제2 시트 상에는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제2 최외측 내부전극 패턴이 인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인출부는 상기 제1 시트 상의 제1 최외측 내부전극 패턴 중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가장 위쪽에 배치되는 내부전극 패턴이다. 상기 제1 인출부는 스트립 형상의 일 단부로부터 바디의 제1 단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인출부는 상기 제2 시트 상의 제2 최외측 내부전극 패턴 중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가장 아래쪽에 배치되는 내부전극 패턴이다. 상기 제2 인출부는 스트립 형상의 일 단부로부터 바디의 제2 단면까지 연장된다.
또한,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중앙 시트 상에는 제1 및 제2 시트 상의 제1 및 제2 최외측 내부전극 패턴 중 스트립 형상의 양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만이 선택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비아(via) 전극은 비아 전극이 형성될 시트에 배치되는 비아홀에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충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는 예를 들어, 은(Ag), 은-팔라듐(Ag-Pd), 니켈(Ni), 및 구리(Cu)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비아 전극과 관련하여 설명하면, 제1 시트, 중앙 시트, 및 제2 시트 상에 배치되는 내부전극 패턴은, 추후 바디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비아 전극을 통해 연결되어서 전체적으로 wire 형상을 가지는 코일을 구성할 수 있다.
연이어, 상기 내부전극 패턴이 인쇄된 복수의 시트를 적층 및 압착하여 바디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시트를 적층하는 방향은 바디의 폭(W) 방향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시트 내에 함유되는 자성 분말의 장축은 바디의 두께(T) 방향 및/또는 길이(L)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시트를 적층한 후 압착하는 방향은 바디의 폭 방향의 양 측면에서 바디의 중앙부를 향하는 것과 평행하는 방향이다. 그 결과, 복수의 시트 내 배치되는 자성 분말의 장축이 배치되는 방향(바디의 두께 방향과 바디의 길이 방향)이 변경되지 않으면서, 다수의 시트 간 딜라미네이션(delamination)이 방지될 수 있다.
그 후, 바디의 외부면 중 바디의 길이(L)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단면 및 제2 단면 상에 제1 및 제2 외부전극을 각각 배치한다. 상기 제1 외부전극은 제1 인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외부전극은 제2 인출부와 연결되어서, 하나의 폐자로(closed magnetic path)를 형성한다.
상기의 설명을 제외하고 상술 한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적층 전자 부품의 특징과 중복되는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도록 한다.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일 예"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시된 일 예들은 다른 일례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일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일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일례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일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때,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100: 적층 전자부품
1: 바디
11, 12, 13: 상부 바디, 하부 바디, 중앙 바디
1a, 1b: 제1 시트, 제2 시트
2: 코일
2a, 2b: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

Claims (16)

  1. 자성 분말을 함유하는 복수의 시트 및 코일을 포함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코일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부 바디, 코일의 하면에 배치되는 하부 바디, 및 상기 코일을 매설하며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 분말은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며,
    상기 자성 분말의 장축은 상기 코일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정렬되는,
    적층 전자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바디 내 포함되는 시트 안의 자성 분말의 적어도 하나의 장축은 코일의 중심부의 코일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층 전자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 내 포함되는 시트 안의 자성 분말의 적어도 하나의 장축은 상기 코일의 중심부의 코일 중심축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적층 전자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 포함되는 복수의 시트의 적층 방향은 상기 코일의 중심부의 코일 중심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적층 전자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분말은 판상 형태의 플레이크(flake) 형상을 가지는,
    적층 전자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성 분말을 포함하는 다수의 시트의 적층 방향은 바디의 폭 방향이고,
    상기 제1 외부전극과 상기 제2 외부전극은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적층 전자부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복수의 시트 상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전극 패턴이 비아(via)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폐자로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는,
    적층 전자부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외부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제1 외부전극과 연결되는 제1 인출부, 및 제2 외부전극과 연결되는 제2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출부는 내부전극 패턴이 배치되는 다수의 시트 중 바디의 폭 방향으로 가장 멀리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제1 및 제2 시트 상에 구성되는,
    적층 전자부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는 제1 시트 상의 다수의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제1 최외측 내부전극 패턴 중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가장 위에 배치되는 내부전극 패턴이며, 상기 제1 인출부는 스트립 형상의 일 단부로부터 바디의 일 단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인출부는 제2 시트 상의 다수의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제2 최외측 내부전극 패턴 중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가장 아래에 배치되는 내부전극 패턴이며, 상기 제2 인출부는 스트립 형상의 일 단부로부터 바디의 타 단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적층 전자부품.
  10. 형상 자기 이방성을 가지는 자성 분말을 함유하며, 상기 자성 분말의 장축이 일 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시트 상에 내부전극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전극 패턴이 인쇄된 복수의 시트를 적층 및 압착하여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전극 패턴이 인쇄된 복수의 시트를 바디의 폭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한 후, 상기 바디의 폭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바디의 중앙부를 향해 압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시트 내 자성 분말의 장축이 바디의 두께 방향 및 바디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정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 상에 내부전극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는,
    제1 시트 상에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제1 최외측 내부전극 패턴을 인쇄하는 것과, 제2 시트 상에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제2 최외측 내부전극 패턴을 인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 상에 내부전극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중앙 시트 상에 제1 및 제2 시트 상의 제1 및 제2 최외측 내부전극 패턴 중 스트립 형상의 양 단부를 포함하는 일부 영역만이 선택적으로 인쇄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 상에 내부전극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트 상의 다수의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제1 최외측 내부전극 패턴 중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가장 위에 배치되며, 스트립 형상의 일 단부로부터 바디의 일 단면까지 연장되는 제1 인출부와,
    상기 제2 시트 상의 다수의 스트립 형상을 가지는 제2 최외측 내부전극 패턴 중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가장 아래에 배치되며, 스트립 형상의 일 단부으로 바디의 타 단면까지 연장되는 제2 인출부가 인쇄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부면 상에 제1 및 제2 외부전극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출부는 제1 외부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인출부는 제2 외부전극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내부전극 패턴이 인쇄되는 복수의 시트 상에 비아 전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적층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KR1020160107809A 2016-08-24 2016-08-24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93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809A KR101933411B1 (ko) 2016-08-24 2016-08-24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2017042672A JP6332657B2 (ja) 2016-08-24 2017-03-07 積層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809A KR101933411B1 (ko) 2016-08-24 2016-08-24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045A true KR20180024045A (ko) 2018-03-08
KR101933411B1 KR101933411B1 (ko) 2018-12-28

Family

ID=6130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809A KR101933411B1 (ko) 2016-08-24 2016-08-24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32657B2 (ko)
KR (1) KR101933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5004A (zh) * 2018-06-21 2021-02-05 日东电工株式会社 电感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0589A (zh) 2019-02-28 2021-10-08 富士胶片株式会社 供电部件、线圈配置用磁性片及线圈配置用磁性片的制造方法
CN112051523B (zh) * 2019-06-05 2023-06-23 爱盛科技股份有限公司 磁场感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9071B2 (ja) * 2004-07-12 2007-12-05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5054445B2 (ja) * 2007-06-26 2012-10-24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コイル部品
KR100982639B1 (ko) * 2008-03-11 2010-09-16 (주)창성 연자성 금속분말이 충전된 시트를 이용한 적층형 파워인덕터
JP2013172241A (ja) * 2012-02-20 2013-09-02 Murata Mfg Co Ltd 積層アンテナ、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5004A (zh) * 2018-06-21 2021-02-05 日东电工株式会社 电感器
US11948720B2 (en) 2018-06-21 2024-04-02 Nitto Denko Corporation Indu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411B1 (ko) 2018-12-28
JP6332657B2 (ja) 2018-05-30
JP2018032841A (ja)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281B1 (ko) 파워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US8159322B2 (en) Laminated coil
US9478334B2 (en) Magnetic module for power inductor, power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48862B1 (ko) 칩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7044508B2 (ja) 磁気結合型コイル部品
KR102052770B1 (ko) 파워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CN103093947A (zh) 多层式电感器及其制造方法
JP7240813B2 (ja) コイル部品
KR20120025236A (ko)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2730B1 (ko) 코일 전자부품
US20140022042A1 (en) Chip device, multi-layered chip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190013143A1 (en) Thin film type inductor
KR101933411B1 (ko) 적층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11217372B2 (en) Coil component
WO2012144103A1 (ja) 積層型インダクタ素子及び製造方法
KR101565705B1 (ko) 인덕터
KR101659206B1 (ko) 파워 인덕터
JP2003217935A (ja) 積層インダクタアレイ
US20120161914A1 (en) Transformer
KR101883036B1 (ko) 적층 전자 부품 및 적층형 칩 안테나
KR20150025936A (ko) 적층형 인덕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21809A (ko)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22400A (ko) 코일 전자 부품 및 안테나
KR102100348B1 (ko) 파워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5949A (ko)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