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631A -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 Google Patents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631A
KR20180023631A KR1020160109270A KR20160109270A KR20180023631A KR 20180023631 A KR20180023631 A KR 20180023631A KR 1020160109270 A KR1020160109270 A KR 1020160109270A KR 20160109270 A KR20160109270 A KR 20160109270A KR 20180023631 A KR20180023631 A KR 20180023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fastener
formwork
coupled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5988B1 (ko
Inventor
이창남
Original Assignee
(주)센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벡스 filed Critical (주)센벡스
Priority to KR1020160109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988B1/ko
Priority to PCT/KR2016/009575 priority patent/WO2018038298A1/ko
Publication of KR2018002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거푸집 외부에서 체결구를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지지바에 결합된 고정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경량거푸집을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근 또는 주형강재의 외측에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전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구; 상기 복수의 고정구 전면에 결합되는 경량거푸집; 및 상기 경량거푸집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경량거푸집을 관통하여 고정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Structure of detachable lightweight form}
본 발명은 경량거푸집 외부에서 체결구를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지지바에 결합된 고정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경량거푸집을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에 대한 것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양생될 때까지 짧은 기간 설치하는 것으로, 종래 거푸집은 변형 방지를 위한 지지프레임이 후면에 설치되어 중량이 무겁고 외부에서 가설지지대로 지지시켜야 하여 자재 및 시공량이 상당하다.
이에 기둥 외곽에 배치된 ㄱ형강을 래티스부재로 결합한 후 래티스부재 외부에 골데크거푸집을 영구거푸집으로 선조립한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었다(특허 제10-1490748호).
상기 등록특허는 골데크거푸집을 강성이 강한 형강재에 지지시켜, 현장 거푸집 작업을 대폭 단축하고 외부 가설 지지대를 생략하는 등 거푸집의 경량화,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실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거푸집을 탈형하여 콘크리트 면을 노출할 경우, 금속재인 래티스부재의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수성 페인트 마감이 곤란하고 피복 두께를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거푸집을 탈형하는 경우에는 거푸집을 래티스부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으나, 이 경우 래티스부재가 거푸집을 직접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측압에 버틸 수 있도록 경량거푸집 외부에서 거푸집밴드를 체결하여 지지시킬 수 있다(특허 제10-1609778호).
그러나 상기 거푸집밴드는 중량이 무거워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다소 번거롭다.
또한, 폼타이에 의하여 거푸집을 내부에 고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폼타이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외부로 돌출되어 별도의 절단 작업이 필요하므로 비효율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경량거푸집을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어, 현장 거푸집 작업의 간소화로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근 또는 주형강재의 외측에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전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구; 상기 복수의 고정구 전면에 결합되는 경량거푸집; 및 상기 경량거푸집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경량거푸집을 관통하여 고정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체결구에는 일측 전단에 헤드부가 확대 형성된 걸림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전면에 상기 걸림구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보다 지름이 작아 걸림구의 헤드부가 걸리도록 삽입공과 연통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삽입공의 고정공 반대측 내측면에는 걸림구의 헤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체결구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경량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평판 및 베이스평판의 외측에 베이스평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베이스평판의 외측에 베이스평판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확대부로 구성되는 돌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체결구는 경량거푸집의 돌기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구는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경량거푸집 외부에서 체결구를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지지바에 결합된 고정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경량거푸집을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거푸집 작업의 간소화로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실현이 가능하다.
둘째, 가설재 시공의 생략과 더불어 경량의 데크거푸집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양중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셋째, 복수의 체결구를 일체화한 일체형 체결구 또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경우에는 체결구의 설치 및 해체가 더욱 간편하다. 아울러 이들 부재는 외측에서 폭 방향으로 경량거푸집을 지지하므로, 콘크리트 측압에도 저항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가 적용된 기둥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고정구와 체결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체결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5는 고정구와 체결구의 결합 과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고정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사시도.
도 7의 (a)와 (b)는 스토퍼 유무에 따른 걸림구의 해제 과정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경량거푸집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의 횡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가 적용된 기둥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근 또는 주형강재(1)의 외측에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바(2); 상기 지지바(2)의 전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구(3); 상기 복수의 고정구(3) 전면에 결합되는 경량거푸집(4); 및 상기 경량거푸집(4)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경량거푸집(4)을 관통하여 고정구(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구(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바(2)는 주근 또는 주형강재(1)의 외측에 부재의 폭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바(2)는 각 구조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 결합 가능하다.
상기 지지바(2)는 주근 또는 주형강재(1)에 리벳, 볼트, 용접 등의 방법 중 적용 가능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결합 가능하다.
상기 지지바(2)는 Z 형강, ㄷ 형강 등의 형강재 또는 경량 철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지지바(2)가 기둥의 주형강재(1)에 결합되었으나, 보, 벽체 등 다른 부재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구(3)는 지지바(2)의 전면에 복수 개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할 체결구(5)가 결합되어 경량거푸집(4)을 고정한다.
상기 고정구(3)는 내부가 빈 박스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지지바(2)에 용접 결합 가능하다.
상기 고정구(3)는 내부에 콘크리트(C)가 유입되어 체결구(5)의 슬라이딩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측면을 밀폐하도록 한다.
상기 경량거푸집(4)은 복수의 고정구(3) 전면에는 결합되며, 상기 경량거푸집(4)의 외측에는 경량거푸집(4)을 관통하여 고정구(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구(5)가 구비된다.
이로써, 경량거푸집(4)의 외부에서 체결구(5)를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지지바(2)에 결합된 고정구(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경량거푸집(4) 외부에서 경량거푸집(4)을 지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지지바(2)에 경량거푸집(4)을 지지시킬 수 있다.
경량거푸집(4) 고정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 및 양생한 후에는 체결구(5)를 해체하고 경량거푸집(4)을 탈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경량거푸집(4)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다.
아울러 경량거푸집(4)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구조에 결합하므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외부 가설지지대가 필요 없고, 거푸집 외부에 거푸집 패널 지지를 위한 별도의 프레임도 불필요하다. 따라서 거푸집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거푸집의 설치 및 탈형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이 간단하여 고소 작업의 경우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폼타이 절단 작업 등 후속 작업이 불필요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주근 또는 주형강재(1)가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주근 또는 주형강재(1) 외부를 지지바(2)로 지지하는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의 특징을 활용하여 가설지지부재를 생략하고 거푸집 설치 및 탈형 작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선조립된 골조 부재에 공장 또는 현장에서 경량거푸집(4)을 결합한 후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단순한 공정만으로 부재 시공이 가능하다.
도 3은 고정구와 체결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체결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며, 도 5는 고정구와 체결구의 결합 과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5)에는 일측 전단에 헤드부(521)가 확대 형성된 걸림구(5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3)에는 전면에 상기 걸림구(52)의 헤드부(521)가 삽입되는 삽입공(31) 및 상기 삽입공(31)보다 지름이 작아 걸림구(52)의 헤드부(521)가 걸리도록 삽입공(31)과 연통되는 고정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구(5)의 걸림구(52)를 고정구(3)의 삽입공(31)을 통하여 삽입한 후 고정공(32) 측으로 이동시켜 헤드부(521)가 고정공(32) 내측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고정구(3)와 체결구(5)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5)의 걸림구(5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경량거푸집(4)에는 걸림구(52)가 통과되는 관통공(H)을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량거푸집(4)의 관통공(H)은 걸림구(52)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52)는 일단에 헤드부(521)가 형성된 볼트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볼트를 체결구본체(51)에 너트(53)로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본체(51)는 경량거푸집(4) 외측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도 3, 도 4 등에서는 ㄷ자 단면 형상의 체결구본체(51)가 도시되었다.
상기 ㄷ 형상의 체결구본체(51)는 기존 ㄷ 형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고, 너트(53) 체결이 용이하다. 아울러 일측을 고무망치로 가격하여 위치를 이동시키기 편리하다.
상기 체결구본체(51)는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너트(53)는 걸림구(52) 및 체결구본체(51)에 용접 결합하여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구(5)가 고정구(3)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5의 (a)와 같이 체결구(5)의 걸림구(52) 전단에 형성된 헤드부(521)가 고정구(3)의 삽입공(31)을 통하여 고정구(3)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의 (b)와 같이 걸림구(52)를 고정공(32) 측으로 이동하여 체결구(5)의 헤드부(521)가 고정구(3) 내측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체결구(5)를 이용하여 고정구(3)에 경량거푸집(4)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고정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7의 (a)와 (b)는 스토퍼 유무에 따른 걸림구의 해제 과정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31)의 고정공(32) 반대측 내측면에는 걸림구(52)의 헤드부(521)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3)는 경량거푸집(4) 해체시 걸림구(52)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구(3)로부터 체결구(5)를 쉽게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후 경량거푸집(4)을 해체할 경우, 상기 체결구(5)의 걸림구(52)를 삽입공(31)의 단부 끝까지 슬라이딩 이동하면 체결구(5)의 헤드부(521) 일측이 고정구(3) 내측에 걸려 안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삽입공(31)의 일단에 고정구(3) 내측으로 스토퍼(33)를 돌출 형성하면, 도 7의 (b)와 같이 스토퍼(33)가 헤드부(521)의 이동을 제한하다.
이에 따라 걸림구(52)의 헤드부(521) 외측단이 삽입공(31)을 넘어가지 않으므로, 고정구(3)로부터 체결구(5)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3)는 삽입공(31) 형성을 위하여 절개한 고정구(3) 부분을 고정구(3)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체결구(5)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체결구(5)에는 복수의 고정구(3)와 대응되도록 일측에 복수의 걸림구(52)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폭 방향으로 긴 하나의 체결구(5)에 구비된 복수의 걸림구(52)를 각각 복수의 고정구(3)의 삽입공(31)에 결합한 다음, 체결구(5)를 한 번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각 걸림구(52)를 대응되는 고정구(3)의 고정공(32)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체결구(5)를 일체화하여 한 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므로, 여러 개의 체결구(5)를 일일이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경량거푸집(4)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아울러 폭 방향으로 길이가 긴 상기 체결구(5)는 경량거푸집(4) 외측에서 경량거푸집(4)을 폭 방향으로 지지하므로, 콘크리트 측압에 저항 가능하다.
도 9는 경량거푸집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량거푸집(4)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평판(41) 및 베이스평판(41)의 외측에 베이스평판(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베이스평판(41)의 외측에 베이스평판(41)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421)와 상기 연결부(421)의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확대부(422)로 구성되는 돌기부(4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량거푸집(4)은 베이스평판(41)과 돌기부(42)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평판(41)은 평평한 면이 구조물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경량거푸집(4) 제거시 기둥 등 부재면을 평평하게 한다.
상기 돌기부(42)는 베이스평판(41) 외측에 베이스평판(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부(421)와 확대부(42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421)는 베이스평판(41)과 수직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확대부(422)는 연결부(421)의 단부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2)에 의하여 경량거푸집(4)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증가하므로 거푸집 두께에 비하여 강성을 많이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측압에 잘 버틸 수 있다.
상기 돌기부(42)는 T형, ㄱ형, Y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 가능하며, 경량거푸집(4)으로 T형 데크폼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의 횡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5)는 경량거푸집(4)의 돌기부(4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구(5)는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연결부재(6)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경량거푸집(4)이 베이스평판(41)과 돌기부(42)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42)의 간섭에 의하여 복수의 체결구(5)를 직접 일체화할 수 없다. 따라서 별도의 연결부재(6)를 돌기부(42) 외측에서 결합하여 복수의 체결구(5)를 일체화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체결구(5)를 연결부재(6)로 결합하여 일체화하면, 연결부재(6)를 양측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체결구(5)를 고정구(3)의 삽입공(31) 또는 고정공(32) 측으로 한 번에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연결부재(6)를 한 번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복수의 걸림구(52)를 대응되는 각 고정구(3)의 고정공(32)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복수의 체결구(5)가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체결구(5)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상기 연결부재(6)를 경량거푸집(4)의 돌기부(42)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체결구(5)와 돌기부(42)의 높이는 상호 동일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6)는 돌기부(42)를 지지하여 콘크리트 측압을 폭 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의 실시예에 도시된 일체형 체결구(5) 및 도 10의 실시예에 도시된 연결부재(6)는 그 길이를 경량거푸집(4)의 한판 폭 길이만큼 형성하거나 복수 판의 경량거푸집(4)을 동시에 결합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경량거푸집(4)의 폭에 따라 일체형 체결구(5)나 연결부재(6)는 긴 것과 짧은 것을 번갈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주형강재 2: 지지바
3: 고정구 31: 삽입공
32: 고정공 33: 스토퍼
4: 경량거푸집 41: 베이스평판
42: 돌기부 421: 연결부
422: 확대부 5: 체결구
51: 체결구본체 52: 걸림구
521: 헤드부 53: 너트
6: 연결부재 C: 콘크리트
H: 관통공

Claims (6)

  1.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근 또는 주형강재(1)의 외측에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바(2);
    상기 지지바(2)의 전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구(3);
    상기 복수의 고정구(3) 전면에 결합되는 경량거푸집(4); 및
    상기 경량거푸집(4)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경량거푸집(4)을 관통하여 고정구(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구(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체결구(5)에는 일측 전단에 헤드부(521)가 확대 형성된 걸림구(5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3)에는 전면에 상기 걸림구(52)의 헤드부(521)가 삽입되는 삽입공(31) 및 상기 삽입공(31)보다 지름이 작아 걸림구(52)의 헤드부(521)가 걸리도록 삽입공(31)과 연통되는 고정공(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삽입공(31)의 고정공(32) 반대측 내측면에는 걸림구(52)의 헤드부(521)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체결구(5)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5. 제1항에서,
    상기 경량거푸집(4)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평판(41) 및 베이스평판(41)의 외측에 베이스평판(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베이스평판(41)의 외측에 베이스평판(41)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421)와 상기 연결부(421)의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확대부(422)로 구성되는 돌기부(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체결구(5)는 경량거푸집(4)의 돌기부(4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구(5)는 폭 방향으로 결합되는 연결부재(6)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KR1020160109270A 2016-08-26 2016-08-26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KR10189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270A KR101895988B1 (ko) 2016-08-26 2016-08-26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PCT/KR2016/009575 WO2018038298A1 (ko) 2016-08-26 2016-08-29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270A KR101895988B1 (ko) 2016-08-26 2016-08-26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631A true KR20180023631A (ko) 2018-03-07
KR101895988B1 KR101895988B1 (ko) 2018-09-06

Family

ID=6124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270A KR101895988B1 (ko) 2016-08-26 2016-08-26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5988B1 (ko)
WO (1) WO20180382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76B1 (ko) * 2020-02-03 2020-08-13 주식회사 제이씨엔아이 모듈형 강판 거푸집
KR20210078155A (ko) * 2019-12-18 2021-06-28 (주)센벡스 페로시멘트 거푸집이 구비된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용 선조립 철골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108B1 (ko) * 2020-08-19 2021-01-18 김윤기 교량 신축이음 보수용 면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보수 공법
CN114250970A (zh) * 2021-11-04 2022-03-29 河南应用技术职业学院 一种可拆卸装配式建筑模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1105A (en) * 1996-07-25 1999-01-19 Martineau; Julien Concrete form system
JP2006299715A (ja) * 2005-04-22 2006-11-02 Zenimaru Shoji Kk セパレータ取付金具、セパレータ取付金具締結具及びセパレータ取付構造
KR101490808B1 (ko) * 2013-08-27 2015-02-06 이승우 거푸집 탈부착형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KR101609778B1 (ko) * 2015-04-30 2016-04-06 (주)센벡스 강-콘크리트 합성기둥의 경량거푸집 지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055B1 (ko) * 2014-03-28 2015-04-17 이승우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1105A (en) * 1996-07-25 1999-01-19 Martineau; Julien Concrete form system
JP2006299715A (ja) * 2005-04-22 2006-11-02 Zenimaru Shoji Kk セパレータ取付金具、セパレータ取付金具締結具及びセパレータ取付構造
KR101490808B1 (ko) * 2013-08-27 2015-02-06 이승우 거푸집 탈부착형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KR101609778B1 (ko) * 2015-04-30 2016-04-06 (주)센벡스 강-콘크리트 합성기둥의 경량거푸집 지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155A (ko) * 2019-12-18 2021-06-28 (주)센벡스 페로시멘트 거푸집이 구비된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용 선조립 철골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의 시공 방법
KR102144476B1 (ko) * 2020-02-03 2020-08-13 주식회사 제이씨엔아이 모듈형 강판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8298A1 (ko) 2018-03-01
KR101895988B1 (ko)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988B1 (ko)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KR101490808B1 (ko) 거푸집 탈부착형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KR101683641B1 (ko) 거푸집 선조립형 기둥 구조물
KR101759197B1 (ko)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20190041785A (ko)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JP4164117B1 (ja) 角柱状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型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角柱状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EP2907932A1 (en) Cast-in anchor channel having sub-anchor
KR102029302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부재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CN110607904B (zh) 一种无孔式拆装的铝模板
KR100722403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1702958B1 (ko) 기둥용 거푸집 장치
KR101618798B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KR101764395B1 (ko) 커플러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587583B1 (ko) 메가컬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64501B1 (ko) 헤드 커플러 폼타이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이 적용된 기둥 시공 방법
KR100918042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
KR20120002152A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200426204Y1 (ko) 거푸집용 인코너패널
KR102236827B1 (ko)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KR100512075B1 (ko) 건축용 조립식 강재 거푸집
KR101207013B1 (ko) 알루미늄 패널로 된 조립식 갱폼
KR101915567B1 (ko)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2007937B1 (ko) 영구거푸집 패널이 구비된 선조립 철골조립체
KR200482779Y1 (ko) 조립식 거푸집용 수평 보강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