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197B1 -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 Google Patents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197B1
KR101759197B1 KR1020170023244A KR20170023244A KR101759197B1 KR 101759197 B1 KR101759197 B1 KR 101759197B1 KR 1020170023244 A KR1020170023244 A KR 1020170023244A KR 20170023244 A KR20170023244 A KR 20170023244A KR 101759197 B1 KR101759197 B1 KR 101759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hin plate
mold
plate pane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섭
강병구
Original Assignee
(주)씨지스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지스플랜 filed Critical (주)씨지스플랜
Priority to KR102017002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거푸집을 이루는 패널에 형성되는 관통공;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관통공에 맞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에 배치되며, 탈거용 수나사와의 결합에 따라 상기 거푸집 패널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키는 이형 부재; 및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며, 상기 이형 부재와 상기 탈거용 수나사의 결합에 의한 상기 이형 응력을 지지하는 매립 부재를 포함하는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을 제공한다. 또한, 90°로 절곡된 부분이 원호 형상을 한 앵글로서 기둥의 코너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주앵글을 포함하는 포밍앵글 합성 기둥(forming Angle Composite, FAC); 및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상기 기둥의 각 면을 둘러싸는 4개의 거푸집 패널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거푸집 패널은, ㄷ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1 박판 패널; 상기 제1 박판 패널과 동일한 형태이며 상기 제1 박판 패널과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기둥의 한 면을 밀폐하는 제2 박판 패널; 및 상기 제1 박판 패널의 일 측면과 상기 한 면과 이웃하는 면에 배치되는 제2 박판 패널의 일 측면을 결합하는 코너 결합 앵글을 포함하는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REMOVABLE FORM FOR FORMING ANGLE COMPOSITE AND FORMING ANGLE COMPOSITE HAVING THE FORM}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탈형이 용이한 거푸집 구조를 가지는 선조립 기둥에 관한 것이다.
건설업 골조공사는 크게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철골 철근 콘크리트구조로 나눌 수 있다.
가장 많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철근 콘크리트구조는 콘크리트와 철근만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시공을 하고 거푸집 또한 현장에서 직접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으로 공사비가 다른 두 공법에 비해 가장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거의 모든 작업과 비용이 현장에서 발생을 하며, 위의 세 가지 공법 중 가장 공사기간이 길고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현장 인력 의존도가 높고 최근에 철근공과 목수의 인건비 상승으로 인력수급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공사비 또한 점점 상승하고 있다.
철골 구조의 경우 철골 부재의 공장 제작과 현장에서의 건식공법으로 인해 날씨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여타의 공법보다 강재 량이 많이 소요되어 철근콘크리트 공사에 비해 비용이 높은 공법이다.
철골 철근 콘크리트구조는 철골구조와 철골 콘크리트 구조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는데 철골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구조적 단점을 철근과 콘크리트로 보완을 하여 가장 튼튼하게 구조체를 만들 수 있는 공법이다. 그러나 철골을 사용함에 따라 공사비 상승요인이 있고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는 단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위 공법들의 장점을 조합하고 각 공정 간의 이질적인 부분을 조합하여 효과적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공법의 필요성이 날로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건축시장은 심각한 인력난과 원자재가격의 불안정성 등 호재보다는 악재가 많은 상황이며 가장 심각한 문제인 인력난에 봉착하여 고급기술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현장에 인력을 제때 수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이유로 건축시장의 판도는 점차 공법을 단순화하고 현장의 인력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즉 구조물이나 제품을 공장에서 제작을 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형태의 공법들로 변화되고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생긴 여러 형태의 공법들 중 기둥을 공장에서 생산하여 시공하는 선조립 형태의 제품과 공법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철근 선조립 기둥 공법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경제성과 철골 구조의 시공성이라는 두 조건을 충족시킬 수가 있다. 다만, 종래의 철근 선조립 기둥 시공은 거푸집 설치를 필요로 하며, 거푸집 설치 및 제거에는 여전히 다수의 인력이 소요되므로 인력 수요를 줄이기 위한 거푸집 구조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005411호 (공개일자 2015년01월14일),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대한국등록특허 제10-1552176호 (공고일자 2015년09월11일), 분리형 거푸집이 선조립된 기둥구조체"
본 발명의 목적은 인력 수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형 거푸집은, 시공 자립도를 가지는 선조립 기둥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구비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을 이루는 패널에 형성되는 관통공;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관통공에 맞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에 배치되며, 탈거용 수나사와의 결합에 따라 상기 거푸집 패널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키는 이형 부재; 및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며, 상기 이형 부재와 상기 탈거용 수나사의 결합에 의한 상기 이형 응력을 지지하는 매립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응력에 의해 상기 거푸집 패널과 분리되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 부재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외측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거푸집 패널과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형 부재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부재를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면과 상기 매립 부재 사이에 수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형태로 상기 이형 부재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는, 90°로 절곡된 부분이 원호 형상을 한 앵글로서 기둥의 코너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주앵글을 포함하는 포밍앵글 합성 기둥(forming Angle Composite, FAC); 및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상기 기둥의 각 면을 둘러싸는 4개의 거푸집 패널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거푸집 패널은, ㄷ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1 박판 패널; 상기 제1 박판 패널과 동일한 형태이며 상기 제1 박판 패널과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기둥의 한 면을 밀폐하는 제2 박판 패널; 및 상기 제1 박판 패널의 일 측면과 상기 한 면과 이웃하는 면에 배치되는 제2 박판 패널의 일 측면을 결합하는 코너 결합 앵글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주앵글과 상기 거푸집 패널 사이의 피복 두께를 확보하는 피복 확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복 확보 부재는, 콘크리트 타설시 유입되는 기포를 배출하는 에어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거푸집 패널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박판 패널 및 상기 제2 박판 패널과 동일한 형태이며 상기 제1 박판 패널과 상기 제2 박판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의 한 면을 밀폐하는 제3 박판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박판 패널 내지 상기 제3 박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관통공;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관통공에 맞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에 배치되며, 탈거용 수나사와의 결합에 따라 상기 거푸집 패널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키는 이형 부재; 및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며, 상기 이형 부재와 상기 탈거용 수나사의 결합에 의한 상기 이형 응력을 지지하는 매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박판 패널 내지 상기 제3 박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1T ~ 1.5T 두께의 강판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탄소섬유가 부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 박판 패널 내지 상기 제3 박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ㄷ 형태의 절곡부에 멍애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탈형 구조 및 거푸집 탈형 구조를 이용한 철근 선조립 기둥에 의하면,
첫째, 이형 부재는 암나사부에 탈거용 수나사가 결합될 때 거푸집 패널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키므로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에서 용이하게 거푸집 패널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거푸집 패널 제거시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거푸집 패널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매립 부재는 이형 응력에 의해 거푸집 패널과 분리되므로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에서 용이하게 거푸집 패널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셋째, 매립 부재는 이형 부재를 거푸집 패널의 내측면과 상기 매립 부재 사이에 수용하므로, 이형 부재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매립 부재는 이형 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형태를 가지므로 이형 부재의 암나사부에 탈거용 수나사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이형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섯째, 철근 선조립 기둥은 시공 자립도를 가지므로, 거푸집 패널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만을 지탱할 수 있도록 최소 두께의 강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거푸집 패널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작업자 1인에 의한 거푸집 패널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여섯째, 거푸집 패널은 외측 표면에 탄소 섬유가 부착되므로 강성 대비 무게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 1인에 의한 거푸집 패널 제거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탄소 섬유에 의해 거푸집 패널의 변형이 억제되므로 거푸집 패널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일곱째, 매립 부재는 콘크리트 타설면에 매립되므로 탈거용 수나사가 이형 부재와 결합할 때 탈거용 수나사의 단부가 기둥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기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방식에 따른 유로폼을 이용한 거푸집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탈형 거푸집의 적용 대상인 시공 자립도를 가지는 선조립 기둥의 일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선조립 기둥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형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서 탈거용 수나사 걸◎에 의해 이형 응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을 기둥 내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탈거용 수나사 결합에 의해 이형 응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종래 방식에 따른 유로폼을 이용한 거푸집이다. 종래 방식의 거푸집은 유로폼 블록을 조립하여 원하고자하는 크기의 거푸집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 방식은 기둥 구조의 선 시공이 완료된 후 거푸집을 기둥을 둘러싸도록 조립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까지 거푸집이 시공 구조물에 가해지는 모든 힘을 지탱해야 하므로 거푸집을 경량화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탈형 거푸집의 적용 대상인 시공 자립도를 가지는 선조립 기둥의 일예이다. 선조립 기둥은 시공 현장에서 조립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미리 조립되는 기둥이다. 선조립 기둥은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운송되어 시공 현장에서는 단지 수직으로 배치 고정만 하면 시공이 완료되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시공 자립도란, 시공 완료되면 동바리 등과 같은 별도의 지지 부재 없이 스스로 구조를 지탱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는 선조립 기둥이 시공 자립도를 지니는 것으로부터 착안한 것으로서, 거푸집 구조의 지지를 위한 구성을 선조립 기둥이 분담하도록 하는데서 출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1000)는 포밍앵글 합성 기둥(forming Angle Composite, 이하 FAC), 4개의 거푸집 패널(100)을 및 피복 확보부재(420)포함한다.
포밍앵글 합성 기둥(FAC)은 90°로 절곡된 부분이 원호 형상을 한 앵글로서 기둥의 코너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주앵글(400)을 포함한다. 포밍앵글 합성 기둥(FAC)은 시공 자립도를 가지는 선조립 기둥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선조립 기둥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예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포밍앵글 합성 기둥(FAC)의 기본 형태를 예로 든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밍앵글 합성 기둥(FAC)의 주앵글(400)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도시된 예는 변형 실시예 중의 일부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시공 자립도를 가지는 포밍앵글 합성 기둥(FAC)은 어느 것이던 본 발명의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1000)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1000)는 포밍앵글 합성 기둥(FAC)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거푸집 구조의 지지를 위한 구성을 선조립 기둥이 분담하도록 하는데서 착안된 것이므로 시공 자립도를 가지는 선조립 기둥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근 선조립 기둥도 시공 자립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면 포밍앵글 합성 기둥(FAC)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포밍앵글 합성 기둥(FAC)은 주앵글(400)들의 외측을 코너가 원호 형상이 되도록 감싸면서 주앵글(400)들의 외측에 다단으로 결합하는 띠철근(410)을 포함한다. 띠철근(410)은 구부러지는 부분의 내면 반경(R)이 띠철근 공칭지름(d)의 2배 내지 10배일 수 있다.
주앵글(400)들이 모서리가 없도록 절곡된 라운드 앵글인 경우 띠철근(410)은 주앵글(400)의 라운드 면에 강재가 밀착되어 구조재의로서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내부 콘크리트를 구속시킬 수 있고 (confinement effect), 또한 띠철근(410) 단절부에 정착을 충분히 해낼 수 있다.
4개의 거푸집 패널(100)은 위해 포밍앵글 합성 기둥(FAC)의 각 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한다.
각각의 거푸집 패널(100)은 제1 박판 패널(100a), 제2 박판 패널(100b) 및 코너 결합 앵글(600)을 포함한다.
제1 박판 패널(100a)은 "ㄷ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박판 패널이다.
제2 박판 패널(100b)은 제1 박판 패널(100a)과 동일한 형태이며 제1 박판 패널(100a)과 나란히 배치되어 포밍앵글 합성 기둥(FAC)의 한 면을 밀폐한다.
제1 박판 패널(100a)과 제2 박판 패널(100b)은 "ㄷ 형태"로 절곡된 부분을 볼트-너트 결합 또는 핀, 클램프 등의 통상적인 거푸집 결합 수단으로 결합한다.
코너 결합 앵글(600)은 제1 박판 패널(100a)의 일 측면과 제1 박판 패널(100a)이 배치되는 기둥의 면과 이웃하는 면에 배치되는 제2 박판 패널(100b)의 일 측면을 결합한다. 코너 결합 앵글(600)과 제1 박판 패널(100a), 제2 박판 패널(100b)의 결합 또한 볼트-너트 결합 또는 핀, 클램프 등의 통상적인 거푸집 결합 수단으로 결합한다.
피복 확보부재(420)는 주앵글(400)과 거푸집 패널(100) 사이의 피복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 주앵글(400)에 배치된다. 피복 확보부재(420)는 "ㄱ형" 앵글로 형성하며 주앵글(400)에 용접 또는 볼트-너트 결합 등으로 고정한다. 거푸집 패널(100)은 피복 확보부재(420)에 밀착하게 배치되고, 피복 확보부재(420)로 인하여 형성되는 주앵글(400)과 거푸집 패널(100)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기둥의 피복을 이루게 된다.
이때, 피복 확보 부재(420)는 콘크리트 타설시 유입되는 기포를 배출하는 목적을 가지는 에어홀(4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거푸집 패널(100)은 제1 박판 패널(100a) 및 제2 박판 패널(100b) 두 장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포밍앵글 합성 기둥(FAC)의 단면이 큰 경우 제1 박판 패널(100a)과 제2 박판 패널(100b) 사이에 동일한 형태의 제3 박판 패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형태로 거푸집 패널(100)을 구성할 수 있다.
거푸집 패널(100)을 여러 장으로 분할하는 이유는 분할된 각 박판 패널(제1 박판 패널, 제2 박판 패널 및 제3 박판패널)을 작업자 1인이 탈형 할 수 있도록 경량으로 구현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시공하고자 하는 포밍앵글 합성 기둥(FAC)의 단면이 큰 경우 거푸집 패널(100)은 보다 많은 수의 박판 패널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거푸집 패널(100)의 경량화를 위해 각 박판 패널(100a, 100b)은 1T ~ 1.5T 두께의 얇은 강판으로 형성하고, 외측면에 탄소섬유를 부착하여 강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박판 패널(100a, 100b)은 ㄷ 형태의 절곡부에 멍애(500) 수용을 위한 멍애 수용홈(110a, 110b)을 구비할 수 있다. 멍애(500)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압력으로 안하여 각각의 박판 패널(100a, 100b)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둥의 4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형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서 탈거용 수나사 합에 의해 이형 응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을 기둥 내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거푸집 패널(100)이 기둥의 4면을 밀폐하면 거푸집이 되므로, 거푸집을 이루는 어느 한 면의 거푸집 패널(100)을 예로 하여 탈형이 용이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패널(100)은 관통공(120), 이형 부재(200) 및 매립 부재(300)를 포함한다.
관통공(120)은 거푸집 패널(100)면에 복수 개 형성된다. 관통공(120)은 탈거용 수나사가 이형 부재(200)에 결합될 때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각각의 관통공(120)은 이형 부재(200)에 구비되는 암나사부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해야 한다.
이형 부재(200)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암나사부가 관통공(120)에 맞도록 거푸집 패널(100)에 배치되며, 탈거용 수나사(B)와의 결합에 따라 거푸집 패널(100)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킨다.
매립 부재(300)는 타설된 콘크리트(C)가 관통공(120)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거푸집 패널(1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콘크리트(C)에 매립되며, 이형 부재(200)와 탈거용 수나사(B)의 결합에 의한 이형 응력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이형 부재(200)는 거푸집 패널(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매립 부재(300)는 이형 부재(200)를 거푸집 패널(100)의 내측면과 매립 부재(300) 사이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립 부재(300)는 이형 부재(200)의 회전을 억제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한다. 매립 부재(300)는 모자머리(320) 및 모자창(310)을 가지는 중절모 형태로 실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형 부재(200)는 육각 너트 형태로 실시한다면, 모자머리(320)는 육각형 모양으로 구현하여 탈거용 수나사(B)가 이형 응력 발생을 위해 회전할 때 이형 부재(200)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한다.
한편, 매립 부재(300)는 이형 응력에 거푸집 패널(100)과 분리되도록 거푸집 패널(10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매립 부재(300)는 이형 응력이 발생하면 거푸집 패널(100)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약한 힘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매립 부재(300)는 모자창(310)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점착 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실링용 실리콘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거푸집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탈거용 수나사 결합에 의해 이형 응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형 부재(200')는 거푸집 패널(100')의 외측에 용접 결합되어 거푸집 패널(100')과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즉, 거푸집 패널(100')이 탈거용 수나사(B)가 이형 응력 발생을 위해 회전할 때 이형 부재(200')의 회전을 억제한다. 이때, 매립 부재(300')는 이형 응력이 발생하면 거푸집 패널(100')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양면테이프와 같은 점착 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실링용 실리콘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거푸집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100 : 거푸집 패널
200 : 이형 부재
300 : 매립 부재
FAC : 포밍앵글 합성기둥
B : 탈거용 수나사

Claims (12)

  1. 시공 자립도를 가지는 선조립 기둥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구비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거푸집을 이루는 패널에 형성되는 관통공;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관통공에 맞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에 배치되며, 탈거용 수나사와의 결합에 따라 상기 거푸집 패널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키는 이형 부재; 및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며, 상기 이형 부재와 상기 탈거용 수나사의 결합에 의한 상기 이형 응력을 지지하는 매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부재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부재를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면과 상기 매립 부재 사이에 수용하고,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형태로 상기 이형 부재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응력에 의해 상기 거푸집 패널과 분리되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90°로 절곡된 부분이 원호 형상을 한 앵글로서 기둥의 코너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주앵글을 포함하는 포밍앵글 합성 기둥(forming Angle Composite, FAC); 및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상기 기둥의 각 면을 둘러싸는 4개의 거푸집 패널을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거푸집 패널은,
    ㄷ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제1 박판 패널;
    상기 제1 박판 패널과 동일한 형태이며 상기 제1 박판 패널과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기둥의 한 면을 밀폐하는 제2 박판 패널; 및
    상기 제1 박판 패널의 일 측면과 상기 한 면과 이웃하는 면에 배치되는 제2 박판 패널의 일 측면을 결합하는 코너 결합 앵글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거푸집 패널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박판 패널 및 상기 제2 박판 패널과 동일한 형태이며 상기 제1 박판 패널과 상기 제2 박판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의 한 면을 밀폐하는 제3 박판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박판 패널 내지 상기 제3 박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관통공;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관통공에 맞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에 배치되며, 탈거용 수나사와의 결합에 따라 상기 거푸집 패널에 이형 응력을 발생시키는 이형 부재; 및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어 콘크리트에 매립되며, 상기 이형 부재와 상기 탈거용 수나사의 결합에 의한 상기 이형 응력을 지지하는 매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형 부재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부재를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측면과 상기 매립 부재 사이에 수용하고,
    상기 매립 부재는,
    상기 이형 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형태로 상기 이형 부재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앵글과 상기 거푸집 패널 사이의 피복 두께를 확보하는 피복 확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복 확보 부재는,
    콘크리트 타설시 유입되는 기포를 배출하는 에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판 패널 내지 상기 제3 박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1T ~ 1.5T 두께의 강판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탄소섬유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판 패널 내지 상기 제3 박판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ㄷ 형태의 절곡부에 멍애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KR1020170023244A 2017-02-22 2017-02-22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KR101759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244A KR101759197B1 (ko) 2017-02-22 2017-02-22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244A KR101759197B1 (ko) 2017-02-22 2017-02-22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197B1 true KR101759197B1 (ko) 2017-07-18

Family

ID=5943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244A KR101759197B1 (ko) 2017-02-22 2017-02-22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19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411B1 (ko) * 2018-02-08 2018-11-01 이한희 콘크리트 압송 파이프를 포함하는 선조립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방법
CN109098446A (zh) * 2018-10-17 2018-12-28 中交第公路工程局有限公司 混凝土构件施工装置及混凝土构件施工方法
KR102000522B1 (ko) * 2018-11-28 2019-07-16 (주)씨지스플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CN110065142A (zh) * 2019-05-14 2019-07-30 苏州良浦住宅工业有限公司 一种预制柱端部组合式模具成型结构
KR102001499B1 (ko) * 2019-01-07 2019-10-01 (주)씨지스플랜 선조립 기둥용 탈형 거푸집 고정 밴드
KR102000524B1 (ko) * 2019-01-07 2019-10-01 (주)씨지스플랜 선조립 기둥용 탈형 거푸집 고정 밴드
KR20200069282A (ko) * 2020-06-09 2020-06-16 (주)씨지스플랜 앵글형 선조립 기둥
CN113356584A (zh) * 2021-06-30 2021-09-07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面板精准预留洞口模具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748B1 (ko) * 2013-07-04 2015-02-06 (주)센벡스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KR101584008B1 (ko) * 2014-11-10 2016-01-20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748B1 (ko) * 2013-07-04 2015-02-06 (주)센벡스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KR101584008B1 (ko) * 2014-11-10 2016-01-20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411B1 (ko) * 2018-02-08 2018-11-01 이한희 콘크리트 압송 파이프를 포함하는 선조립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방법
CN109098446A (zh) * 2018-10-17 2018-12-28 中交第公路工程局有限公司 混凝土构件施工装置及混凝土构件施工方法
KR102000522B1 (ko) * 2018-11-28 2019-07-16 (주)씨지스플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KR102001499B1 (ko) * 2019-01-07 2019-10-01 (주)씨지스플랜 선조립 기둥용 탈형 거푸집 고정 밴드
KR102000524B1 (ko) * 2019-01-07 2019-10-01 (주)씨지스플랜 선조립 기둥용 탈형 거푸집 고정 밴드
WO2020145541A1 (ko) * 2019-01-07 2020-07-16 (주)씨지스플랜 선조립 기둥용 탈형 거푸집 고정 밴드
WO2020145542A1 (ko) * 2019-01-07 2020-07-16 (주)씨지스플랜 선조립 기둥용 탈형 거푸집 고정 밴드
CN110065142A (zh) * 2019-05-14 2019-07-30 苏州良浦住宅工业有限公司 一种预制柱端部组合式模具成型结构
KR20200069282A (ko) * 2020-06-09 2020-06-16 (주)씨지스플랜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2149128B1 (ko) 2020-06-09 2020-08-27 (주)씨지스플랜 앵글형 선조립 기둥
CN113356584A (zh) * 2021-06-30 2021-09-07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面板精准预留洞口模具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197B1 (ko)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구조체
US10890001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e-work shutterings
KR101490808B1 (ko) 거푸집 탈부착형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20090001153A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101764395B1 (ko) 커플러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895988B1 (ko)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KR20120002152A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20170111300A (ko) 탈형 보조 판넬을 갖는 거푸집 판넬
KR101900689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KR101759199B1 (ko)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JP2017002469A (ja) 型枠構造物
KR102000522B1 (ko)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KR102000523B1 (ko) 일체형 선조립 기둥을 위한 탈형 거푸집
KR20090007085A (ko) 철근조립거푸집,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철근콘크리트공사방법
KR20180012535A (ko) 각도조절용 타이
KR20220126001A (ko) 트러스거더가 합성된 기둥 거푸집 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641334B1 (ko) 조립식 라운드 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공법
KR200189807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거푸집
JP6415963B2 (ja) 型枠パネル用支持材、及び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構造
KR10136798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
AU2017100083A4 (en) Reinforced panel mold for concrete structures
JP6577756B2 (ja) 型枠構造物
KR200446594Y1 (ko) 보강편이 형성된 거푸집 간격유지구 및 체결구
KR20150094005A (ko) 콘크리트 블록 제작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