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199A - 진동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199A
KR20180023199A KR1020160108110A KR20160108110A KR20180023199A KR 20180023199 A KR20180023199 A KR 20180023199A KR 1020160108110 A KR1020160108110 A KR 1020160108110A KR 20160108110 A KR20160108110 A KR 20160108110A KR 20180023199 A KR20180023199 A KR 20180023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net
case
vibrator
side pla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530B1 (ko
Inventor
윤금영
강승렬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60108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530B1/ko
Priority to PCT/KR2017/008038 priority patent/WO2018038408A1/ko
Publication of KR2018002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Abstract

진동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는, 상면, 상기 상면과 대향되는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면에 수직인 방향의 권취축을 중심으로 하여 도선이 복수회 권취되고, 상기 권취된 도선이 적층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측면과 대향하는 복수의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과 결합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진동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자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측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그넷은 평면으로 형성된 일면들이 상기 복수의 측평면에 각각 대향하고, 상기 일면들과 상기 일면들의 반대면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된다.

Description

진동 발생 장치{VIBRATOR}
본 발명은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 등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 발생 장치는 휴대전화기, 호출기 및 게임기 등의 전자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자 알림용으로 사용되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 발생 장치는 통상적으로 영구자석과 코일을 포함하고, 영구자석과 코일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자를 이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킨다. 종래의 진동 발생 장치는 각운동 진동모터와 선형 진동모터가 널리 사용되었다.
각운동 진동모터는 영구자석과 코일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자가 회전하고, 회전자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자의 전극에 반복적으로 접촉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진동모터는 구성이 간단하고, 진동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브러쉬가 반복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내구성이 약하고, 이음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각운동 진동모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4471호(2006년07월03일 공개)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선형 진동모터는 영구자석과 코일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자가 수직 방향으로 왕복 선형운동함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선형 진동모터는 별도의 브러쉬 구조가 필요 없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잔진동이 적어 정교한 진동 패턴의 발생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형 진동모터는 상대적으로 구성이 복잡하고, 진동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선형 진동모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442호(2015년08월17일 등록)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진동 발생 장치에서 충분한 진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크기를 키워야 하지만, 최근의 전자장치가 경박단소화되는 추세에서 진동 발생 장치의 크기를 키우는 것은 매우 난해한 문제이다. 따라서 작은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내구성이 보장되고 진동력이 큰 진동모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전자장치는 사용자에게 향상된 햅틱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진동의 반응성이 빠르면서 잔진동이 없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선형 진동모터는 각운동 진동모터보다 반응성 및 잔진동 특성이 개선되었지만 최근에는 이보다 향상된 성능을 가지는 진동 발생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진동의 반응성이 빠르면서 잔진동이 최소화된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이면서도 진동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는, 상면, 상기 상면과 대향되는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면에 수직인 방향의 권취축을 중심으로 하여 도선이 복수 회 권취되고, 상기 권취된 도선이 적층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측면과 대향하는 복수의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과 결합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진동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자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측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그넷은 평면으로 형성된 일면들이 상기 복수의 측평면에 각각 대향하고, 상기 일면들과 상기 일면들의 반대면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3개의 측평면을 가지고, 상기 3개의 측평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마그넷이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4개의 측평면을 가지고, 상기 4개의 측평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마그넷이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측평면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장형 측평면 및 서로 대향하고 상기 장형 측평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2개의 단형 측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형 측평면에 대향하는 마그넷의 일면은 상기 단형 측평면에 대향하는 마그넷의 일면보다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측평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마그넷이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금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요크의 측면에 귄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평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측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금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그넷의 각각의 일면은 동일한 극성으로 착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일면의 모든 부분이 하나의 극성으로만 착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내부에 코일이 위치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마그넷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마그넷 사이는 중량체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진동의 반응성이 빠르면서 잔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이면서도 진동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진동 발생 장치의 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진동 발생 장치의 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는 케이스(100), 코일(200), 진동자(300) 및 탄성부(4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상면, 하면 및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과 하면은 서로 대향하게 위치하고, 측면은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케이스(10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내부 공간은 상부, 하면 및 측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이다. 내부 공간에는 코일(200), 진동자(300) 및 탄성부(400) 등 진동 발생 장치의 구성 요소들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외부의 충격을 막고 이물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전자기적 노이즈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내부의 전자기적 신호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두 개의 구성으로 분리될 수 있다. 두 개의 구성은 원래는 분리된 구성이었다가 하나로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는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110)는 케이스의 하면을 형성하고, 상부 케이스(120)는 케이스의 상면과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0)의 하면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110)와 결합되어 하면이 닫힐 수 있다.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은 대체적으로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나,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30)는 예를 들어, 케이스(100)의 하면과 측면의 하단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의 측면의 하단에는 홈이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측면이 하면과 결합되어 개구(1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130)를 통해 후술할 코일(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220)가 내부공간에서 외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회로(220)는 케이스(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자(221)까지 연장되는데, 단자(221)를 통해 코일(200)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회로(220)는 예를 들어, 연성의 회로(220)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하면은 개구(130) 주변에서 연장된 안착편(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의 외부로 연장된 회로(220) 및 단자(221) 부분은 안착편(111)의 상부에 위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코일(20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코일(200)은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케이스(100)와 직접 또는 다른 구성을 매개로 하여 고정되어 결합된다. 코일(200)은 도선이 복수 회 권취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코일(200)은 요크(250)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 회 권취된다. 요크(250)은 케이스(100)의 내측면(21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요크(250)은 케이스(100)의 하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코일(200)은 요크(250)의 측면에 복수 번 권취된다. 코일(200)의 도선은 요크(250)의 측면 표면을 따라 측면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및/또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적층되어 권선된다. 따라서 요크(250)의 측면에는 도선들이 서로 겹쳐서 그리고 도선들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코일(200)은 이러한 적층된 권취 도선으로 형성된 측면(210)을 포함한다.
코일(200)의 양단은 회로(220)를 통해 외부까지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코일(200)의 양단은 권취된 것에서 인출되어 회로(220)의 코일 측 단자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코일(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260)가 결합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260)는 코일(200)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260)는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요크(250)는 금속 플레이트(260)의 중공부를 관통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260)는 후술할 마그넷(310)과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켜 진동자(300)의 잔진동을 감소시키고, 진동 감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진동자(300)는 복수의 마그넷(310)과 마그넷과 결합되는 중량체(330)를 포함한다.
마그넷(310)은 코일의 측면(210)과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마그넷(310)은 코일의 측면(210)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두 개 이상의 마그넷(310)이 코일(200)의 측면(210)을 둘러싸면서 배치된다.
마그넷(310)은 코일의 측면(210)과 대향되는 일면(311)이 특정한 극성을 가지도록 착자된다. 이에 따라 마그넷(310)에서 일면(311)의 반대면에 해당하는 타면(312)은 반대 극성을 가지도록 착자된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일면(311)이 N극으로 착자되고, 타면(312)이 S극으로 착자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고 반대의 극성으로 착자되는 것도 가능하다.
마그넷(310)은 일면(311) 모든 부분이 하나의 극성으로만 착자된다. 종래의 몇몇 진동 발생 장치의 마그넷은 코일과 대향하는 일면을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하는 형태가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본 발명의 마그넷(310)은 일면(311)의 모든 부분이 하나의 극성으로 착자된다. 이에 따라 마그넷(310)의 타면(312)도 모든 부분이 일면(311)과 다른 하나의 극성으로만 착자된다.
복수의 마그넷(310)의 일면(311)은 모두 같은 극성으로 착자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마그넷(310)의 일면(311)은 모두 N극으로 착자되고, 복수의 마그넷(310)의 타면(312)은 모두 S극으로 착자될 수 있다. 일면(311)과 타면(312)의 극성이 반대가 될 수 있음은 자명한다.
중량체(330)는 마그넷(310)과 일체로 결합되어, 진동자(300)를 구성한다. 중량체(330)는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체 또는 상자성체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체(330)는 크기가 작으면서도 충분한 질량을 진동자(300)가 부가하기 위해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중량체(330)는 텅스텐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중량체(330)는 진동자(300)의 고유진동수를 보정하기 위해서 질량이 조절될 수 있다. 진동자(300)의 고유진동수는 진동자(300)의 질량과 후술할 탄성부(400)의 탄성계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탄성부(400)는 케이스(100)와 진동자(300)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스(100)와 진동자(300)를 연결한다. 탄성부(400)는 구체적으로, 일단이 케이스(100)의 내측면(주로, 상면 또는 하면이 바람직함.)과 결합되고, 타단이 진동자(3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어 둘 사이를 연결한다.
탄성부(400)는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판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400)는 케이스(100)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401), 진동자(300)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402) 및 제1 결합부(401)와 제2 결합부(402)를 연결하는 탄성변형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401)와 제2 결합부(402)는 대략 동심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제1 결합부(401)가 제2 결합부(402)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코일(200)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어 진동자(300)에 상하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변형부(403)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진동자(300)가 진동하는 것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코일(200) 및 마그넷(310)의 배치 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코일(200)은 측면(210)이 복수의 측평면(211)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측평면(211)은 실질적으로 평면으로 형성된 측면(210)을 의미한다. 코일(200)의 측면(210)은 측평면(211)과 이웃하는 측평면(211)을 연결하는 곡면의 측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200)이 복수의 측평면(211)을 포함하도록, 요크(250)도 이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크(250)도 복수의 측평면과 이웃하는 측평면을 연결하는 곡면의 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코일(200)이 3개의 측평면(211)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코일(200)은 상방에서 봤을 때, 단면이 삼각형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코일(200)이 권취된 요크(250)도 상방에서 봤을 때, 단면이 삼각형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마그넷(310)은 3개의 측평면(211)에 각각 대향하도록 3개의 서로 다른 마그넷(310)이 배치된다. 마그넷(310)에 있어서, 측평면(211)에 대향하는 일면(311)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마그넷(310)의 일면(311)은 일면 전체에서 측평면(211)과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마그넷(310)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모든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넷(310)의 일면(311)의 전체가 코일(200)의 측평면(211)과 동일한 거리로 이격됨에 따라 코일(200)에 균일한 자기장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코일(200)과 마그넷(310)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의 세기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각각의 마그넷(310)은 코일(200)의 측평면(211)의 중심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3개의 마그넷(310)은 코일(200)의 측평면(211)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체(33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다. 중공부 내부에는 코일(200)이 위치하게 된다.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마그넷(310)이 결합되는 결합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31)은 마그넷(310)의 개수에 맞춰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홈(331)은 중공부의 내주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마그넷(310)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면 결합홈(331)도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넷(310)과 결합홈(331)은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끼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중량체(330)의 결합홈(331)에 마그넷(310)이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마그넷(310) 사이의 공간도 중량체(330)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따라서 중량체(330)는 미리 정해진 질량을 가지면서도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중량체(330)의 소형화는 진동 발생 장치 전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진동 발생 장치의 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대비하여, 코일의 측평면의 개수 및 마그넷의 개수가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코일(200)은 4개의 측평면(211)을 가진다. 코일(200)은 상방에서 봤을 때, 단면이 사각형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코일(200)이 권취된 요크(250)도 상방에서 봤을 때, 단면이 사각형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코일(200)의 4개의 측평면(211)은 2개의 장형 측평면(213) 및 2개의 단형 측평면(2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장형 측평면(213)은 단형 측평면(214)보다 더 길게 형성된 측평면을 의미한다. 장형 측평면(213)은 단형 측평면(214)보다 면적이 더 넓게 형성된다.
마그넷(310)은 4개의 측평면(211)에 각각 대향하도록 4개의 서로 다른 마그넷(310)이 배치된다. 마그넷(310)에 있어서, 측평면(211)에 대향하는 일면(311)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마그넷(310)은 2개의 장형 측평면(213)과 대향하는 2개의 장형 마그넷(313)과 2개의 단형 측평면(214)과 대향하는 2개의 단형 마그넷(314)을 포함한다. 장형 마그넷(313)의 일면(311)은 단형 마그넷(314)의 일면(311)보다 더 넓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진동 발생 장치의 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대비하여, 코일의 측평면의 개수 및 마그넷의 개수가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코일(200)은 2개의 측평면(211)을 가진다. 2개의 측평면(211)은 서로 평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310)은 2개의 측평면(211)에 각각 대향하도록 2개의 서로 다른 마그넷(310)이 배치된다. 마그넷(310)에 있어서, 측평면(211)에 대향하는 일면(311)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케이스 200: 코일
210: 측면 211: 측평면
250: 요크 300: 진동자
310: 마그넷 330: 중량체
400: 탄성부

Claims (13)

  1. 상면, 상기 상면과 대향되는 하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면에 수직인 방향의 권취축을 중심으로 하여 도선이 복수회 권취되고, 상기 권취된 도선이 적층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측면과 대향하는 복수의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과 결합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진동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자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측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그넷은 평면으로 형성된 일면들이 상기 복수의 측평면에 각각 대향하고,
    상기 일면들과 상기 일면들의 반대면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된 진동 발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3개의 측평면을 가지고,
    상기 3개의 측평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마그넷이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진동 발생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4개의 측평면을 가지고,
    상기 4개의 측평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마그넷이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진동 발생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측평면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장형 측평면 및 서로 대향하고 상기 장형 측평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2개의 단형 측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형 측평면에 대향하는 마그넷의 일면은 상기 단형 측평면에 대향하는 마그넷의 일면보다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진동 발생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측평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마그넷이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진동 발생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금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요크의 측면에 귄취된 진동 발생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평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측평면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금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진동 발생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그넷의 각각의 일면은 동일한 극성으로 착자된 진동 발생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일면의 모든 부분이 하나의 극성으로만 착자된 진동 발생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내부에 코일이 위치하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마그넷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진동 발생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진동 발생 장치.
KR1020160108110A 2016-08-25 2016-08-25 진동 발생 장치 KR10191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110A KR101914530B1 (ko) 2016-08-25 2016-08-25 진동 발생 장치
PCT/KR2017/008038 WO2018038408A1 (ko) 2016-08-25 2017-07-26 진동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110A KR101914530B1 (ko) 2016-08-25 2016-08-25 진동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199A true KR20180023199A (ko) 2018-03-07
KR101914530B1 KR101914530B1 (ko) 2018-11-02

Family

ID=6124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110A KR101914530B1 (ko) 2016-08-25 2016-08-25 진동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4530B1 (ko)
WO (1) WO20180384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0436B2 (en) 2018-07-11 2021-03-30 Mplus Co., Ltd. Elastic member structure and linear vibration motor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8265A1 (zh) * 2019-06-28 2020-12-30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振动电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5189B2 (ja) 2001-12-21 2007-06-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11173082A (ja) 2010-02-25 2011-09-08 Sanyo Electric Co Ltd 振動発生器
JP2013097028A (ja) 2011-10-28 2013-05-20 Micro Uintekku Kk 電磁駆動装置
JP5496990B2 (ja) * 2011-11-28 2014-05-21 株式会社永進ハイ−テック リニア振動デバイス
JP2013126299A (ja) * 2011-12-14 2013-06-24 Aisin Seiki Co Ltd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101197095B1 (ko) * 2012-02-14 2012-11-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
KR101557717B1 (ko) * 2013-04-18 2015-10-19 부전전자 주식회사 선형 진동 발생장치
JP6377904B2 (ja) * 2013-12-27 2018-08-2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携帯情報端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0436B2 (en) 2018-07-11 2021-03-30 Mplus Co., Ltd. Elastic member structure and linear vibration mot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8408A1 (ko) 2018-03-01
KR101914530B1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9658B2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CN101902115B (zh) 线性振动器
US9815085B2 (en) Haptic actuator
KR101255914B1 (ko) 선형 진동모터
US8987951B2 (en) Linear vibrator
US8288899B2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JP2017047415A (ja) ハプティックアクチュエータ
KR101525654B1 (ko) 선형 진동자
KR101079409B1 (ko) 수평 진동자
US20180229270A1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1857611B1 (ko) 선형진동모터
JP2009213952A (ja) 振動発生装置。
CN106655695B (zh) 一种线性振动马达
KR101914530B1 (ko) 진동 발생 장치
US20120146433A1 (en) Linear vibrator
KR20180009599A (ko) 각운동 진동모터
JP2010017622A (ja) 振動発生装置。
KR102066675B1 (ko) 진동 모터
KR20170035464A (ko) 선형 진동자
CN215580850U (zh) 一种线性振动马达
CN215580858U (zh) 一种线性振动马达
KR20180059973A (ko) 선형진동자
KR20120028221A (ko) 진동 발생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054831B1 (ko) 진동 모터
KR20180001472U (ko) 각운동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