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678A - 분여 용기 - Google Patents

분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678A
KR20180022678A KR1020177036579A KR20177036579A KR20180022678A KR 20180022678 A KR20180022678 A KR 20180022678A KR 1020177036579 A KR1020177036579 A KR 1020177036579A KR 20177036579 A KR20177036579 A KR 20177036579A KR 20180022678 A KR20180022678 A KR 20180022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ortion
wet tissue
opening
sheet material
transverse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반도
유스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22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2010/428Details of the folds or interfolds of th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최초의 시트재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음과 함께, 2매째 이후의 시트재를 취출할 때, 연속하여 시트재가 취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분여 용기(10)는, 서로 교차하는 세로 방향(전후 방향)(C)과 가로 방향(B)을 가지고, 수용한 시트재(웨트 티슈)(9)를 취출하기 위한 분여 개구(24)를 상면에 가지는 용기 본체(11)와, 용기 본체(11)의 상면에 힌지(힌지부)(38)를 개재하여 장착된 상측 덮개(12)를 구비한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분여 개구(24)는, 힌지부(38)측에 위치하는 제 1 구멍부(24a)와, 제 1 구멍부(24a)로부터 연속하여 힌지부(38)와 가로 방향(B)에 있어서 대향하는 측으로 연장되는, 시트재(웨트 티슈)(9)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 2 구멍부(24b)를 가진다. 제 1 구멍부(24a)의 가로 방향(X)의 치수(e3)가, 제 2 구멍구멍부(24b)의 가로 방향(X)의 치수(e4)보다 크다.

Description

분여 용기
본 개시는, 분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용한 시트재, 예를 들면 티슈 페이퍼를 팝업식으로 취출하는 분여 개구를 가지는 정면부(頂面部)와, 이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장착된 덮개를 구비한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분여 용기는 공지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슬릿을 가지는 가요성 시트를 개구에 가지는 분여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용기에 의하면, 이에 수용한 시트재를 취출할 때에는, 시트재를 슬릿에 통과시키고, 슬릿을 통과할 때의 저항에 의해, 시트재가 연속하여 개구로부터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공표특허 2003-529505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시트재가 연속하여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재가 슬릿을 통과할 때의 저항을 크게 하면, 최초의 시트재를 취출하기 위해, 개구를 통하여 용기의 내부에 손가락을 넣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손가락에 의해 최초의 시트재를 용이하게 취출하기 위해, 슬릿의 저항을 작게 하면, 2매째 이후의 시트재를 취출할 때에 연속하여 시트재가 취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분여 용기의 개량으로서, 최초의 시트재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음과 함께, 2매째 이후의 시트재를 취출할 때에, 연속하여 시트재가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여 용기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분여 용기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가지고, 적층 시트재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정면벽(頂面壁)에 위치하여, 상기 적층 시트재를 팝업식으로 취출할 수 있는 분여 개구를 가지는 분여 구조체와, 근위(近位) 가장자리부와 원위(遠位)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근위 가장자리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분여 개구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는 상측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분여 개구는, 상기 근위 가장자리부의 근방에 위치하여 상기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 1 구멍부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멍부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이어져 상기 원위 가장자리부의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구멍부로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멍부의 치수는, 상기 제 2 구멍부보다 크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분여 용기에 의하면, 분여 개구가 제 1 구멍부와 제 2 구멍부로 형성되고, 제 1 구멍부의 가로 방향의 치수가, 제 2 구멍부의 가로 방향의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최초의 시트재를 취출할 때에는, 사용자는, 제 1 구멍부에 손가락을 넣어 시트재를 취출할 수 있음과 함께, 2매째 이후의 시트재를 제 2 구멍부로부터 취출함으로써, 연속하여 시트재가 취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여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분여 구조체를 제거한 용기 본체의 정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분여 구조체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분여 구조체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용기 본체에 분여 구조체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는 용기 본체에 분여 구조체를 장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분여 구조체의 분여 개구와, 포장체의 포장체 개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의 (a)는 웨트 티슈의 적층 상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b)는 웨트 티슈의 적층 상태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의 (a)는 웨트 티슈의 적층 상태의 또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b)는 웨트 티슈의 적층 상태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분여 용기로서, 시트재로서의 웨트 티슈의 분여 용기를 예로 들고,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를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 사시도로 나타난 분여 용기(10)는, 웨트 티슈를 수용하기 위해 용기 본체(11)와, 용기 본체(11)의 상면에 힌지부(38)(도 7 참조)를 개재하여 장착된 상측 덮개(12)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1)는, 착탈 가능한 바닥 덮개(13)를 떼어냄으로써, 웨트 티슈의 포장체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의 쌍두(雙頭) 화살표(A, B, C)는, 분여 용기(10)의 상하 방향(A), 가로 방향(B), 전후 방향(C)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로서, II-II선은, 분여 용기(10)의 바닥 덮개(13)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C)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위치에 있다. 용기 본체(11)는, 상하 방향(A)에서 대향하는 정면벽(14)과 주벽(周壁)(34)을 가진다. 용기 본체(11)의 바닥에는 제거 가능한 바닥 덮개(13)가 감합된다. 용기 본체(11) 내에는, 복수매 겹쳐진 웨트 티슈(9)의 포장체(8)가 수용된다. 웨트 티슈(9)는, 섬유 부직포이며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선에서 반으로 접혀지고, 상하 방향(A)에 있어서 절곡선이 전후 방향(C)의 일방의 단부와 타방의 단부가 교차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웨트 티슈(9)가 분여 개구(24)를 통과할 때에 구멍 가장자리(24b)에 접촉함으로써, 다음에 계속되는 웨트 티슈(9)가 취출되는 것이 규제된다. 정면벽(14)의 중앙 부분에 오목면부(15)가 위치한다. 오목면부(15)는 지지면(18)과 주연(周緣)(19)으로 형성되고, 지지면(18)의 중앙부에 웨트 티슈(9)를 취출하기 위한 원형의 개구(25)(도 3 참조)가 위치한다. 오목면부(15)에는, 분여 구조체(17)가 배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11) 및 바닥 덮개(16)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이 가능하고, 경질의 재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분여 구조체(17)가 제거된 용기 본체(11)의 상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지지면(18)이 노출되어 있다. 지지면(18)의 대략 중앙부에는 원형의 개구(25)가 위치하는 주연(19)의 근방 외측에는 각 계합 클로(engaging claw)(55)가 배치되어 있다. 각 계합 클로(55)는, 한 쌍의 제 1 클로(56) 및 제 2 클로(57)와, 이들 사이에 간극(58)을 가진다. 계합 클로(55)는, 제 1 클로(56)와 제 2 클로(57)가 외력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한 열가소성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클로(56, 57)는, 두부(頭部)(56a, 57a)와, 경부(頸部)(56b, 57b)를 가진다(도 6 참조).
도 4는, 분여 구조체(17)의 상방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분여 구조체(17)의 하방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분여 구조체(17)에는, 외주(外周)에 위치하는 강성 플랜지(20)와, 플랜지(20)의 내방으로 이어지는 가요성 주벽(22)과, 주벽(22)의 내주로 이어지는 강성 내측 덮개부(23)와, 내측 덮개부(23)의 내주로 이어져 분여 개구(24)를 구획 결정하는 가요성 플랩(26)을 가지고 있다. 주벽(22)의 정부(32)는, 도 6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 형상 양측연(兩側緣)(32b)과, 양측연(32b)의 사이에 위치하는 환 형상 홈(32a)으로 형성되고, 상측 덮개(12)에 대하여, 패킹 기능을 가진다. 상측 덮개(12)의 내면에 위치하는 환 형상 리브(30)가 홈(32a)에 밀접하게 감합된다. 주벽(22)과, 내측 덮개부(23)의 외주연부(外周緣部)의 사이에는, 하방으로의 환 형상 돌출부(32d)가 위치하고 있다. 돌출부(32d)와, 지지면(18)의 환 형상 지지 돌기(35)의 선단부(35a)는, 용기 본체(11)에 분여 구조체(17)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전자가 후자에 맞닿는다(도 6의 (b) 참조).
분여 개구(24)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멍부(24a)와, 제 2 구멍부(24b)를 가지고 있다. 제 1 구멍부(24a)는, 상측 덮개(12)의 힌지부(38)측(근위 가장자리부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7 참조). 제 2 구멍부(24b)는, 상측 덮개(12)의 래치(latch)(46)측(원위 가장자리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구멍부(24a)의 형상은, 가로 방향(B)으로 연장되는 대략 버섯의 갓형이며, 제 2 구멍부(24b)는, 대략 버섯의 줄기형(슬롯)이다. 바꿔 말하면, 제 1 구멍부(24a)는 완만한 볼록 형상 두형(頭形)으로 형성되고, 제 2 구멍부(24b)는 당해 제 1 구멍부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근접하도록 만곡하면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상기 원위 가장자리부측으로 연장되어 폐쇄되는 대략 줄기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랜지(20)는, 예를 들면 경질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주벽(22)은, 실리콘 고무나 열가소성의 엘라스토머 등의 유연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어, 플랜지(20) 및 내측 덮개부(23)보다 강성이 낮다. 플랜지(20)와, 주벽(22)과, 내측 덮개부(23)와, 플랩(26)은, 사출 성형의 기술 중 하나인 이재질 성형(더블 몰드)의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플랜지(20)는, 계합 구멍(60)을 가지고 있다. 계합 구멍(60)은, 분여 개구(24)에 대하여, 주벽(22)의 외측에 4개 배치되어 있다. 각 계합 구멍(60)은, 상방측에 위치하는 원형의 대경부(60a)와, 하방측에 위치하는 원형의 소경부(60b)를 가지고 있다(도 6 참조).
도 6의 (a)는, 계합 클로(55)와 계합 구멍(60)으로 구성된 장착부(59)에 의해, 용기 본체(11)에 분여 구조체(17)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 장착은, 먼저, 가로 방향(B) 및 전후 방향(C)에 있어서, 4개의 계합 구멍(60)의 위치와 4개의 계합 클로(55)의 위치가 각각 합치하도록, 오목면부(15)에 분여 구조체(17)가 놓여진다. 계합 구멍(60)의 소경부(60b)의 직경 방향의 치수(f1)는, 계합 클로(55)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클로(56, 57)의 외주면의 직경 방향의 치수(d1)보다 크기 때문에, 분여 구조체(17)가 지지면(18)으로 눌려지면, 계합 클로(55)의 선단부가 계합 구멍(60)의 소경부(60b)에 삽입된다.
계합 구멍(60)의 소경부(60b)의 직경 방향의 치수(f1)가, 계합 클로(55)의 경부(56a, 57a)의 최외주면의 직경 방향의 치수(d2)보다 작기 때문에, 분여 구조체(17)의 누름에 의해, 계합 구멍 홀(60)의 소경부(60b)의 내주면과, 계합 클로(55)의 경부(56a, 57a)의 외주면이 맞닿는다. 또한 분여 구조체(17)가 눌려지면, 소경부(60b)의 주연이, 경부(56a, 57a)의 외주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제 1 클로(56)와 제 2 클로(57)가 서로 근접한다. 그 후, 또한 분여 구조체(17)가 눌려지면, 분여 구조체(17)의 돌출부(32d)가, 오목면부(15)의 돌출부(35)에 맞닿는다. 오목면부(15)의 돌출부(35)의 강성이, 분여 구조체(17)의 돌출부(32d)의 강성보다 크기 때문에, 또한 분여 구조체(17)가 눌려지면, 오목면부(15)의 돌출부(35)는 변형되지 않지만, 분여 구조체(17)의 돌출부(32d)가 변형된다.
그 후, 또한 분여 구조체(17)가 눌려지면,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 구멍(60)의 소경부(60b)가 경부(56b, 57b)에 맞닿음과 함께, 두부(56a, 57a)의 외주면이, 계합 구멍(60)의 대경부(60a)에 맞닿고, 장착부(59)에 의해 용기 본체(11)에 분여 구조체(17)가 장착됨과 함께, 용기 본체(11)로부터 분여 구조체(17)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장착부(59)는, 오목면부(15)의 돌출부(35)에, 분여 구조체(17)의 돌출부(32d)를 가압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11)에 분여 구조체(17)가 장착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11)와 분여 구조체(17)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VII-VII선 단면도로서, VII-VII선은, 분여 용기(10)의 바닥 덮개(13)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B)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위치에 있다. 상측 덮개(12)는, 예를 들면 경질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측 덮개(12)의 강성은, 주벽(22) 및 플랩(26)의 강성보다 크다. 이러한 상측 덮개(12)는, 오목면부(15)의 내주에 개폐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상측 덮개(12)는, 분여 용기(10)의 외면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외면부(28)와, 오목면부(15)와 마주 보는 내면부(29)를 가진다. 내면부(29)에는, 오목면부(15)를 향해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주벽(22)의 정부(32)에 맞닿는 환 형상 리브(30)가 위치한다. 환 형상 리브(30)는, 정부(32)의 양측연(32b)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서로 맞닿아 있는 주벽(22)과 환 형상 리브(30)는 일체가 되어, 개구(24, 25)를 둘러싸는 주벽부(72)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측 덮개(12)와 분여 구조체(17)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주벽부(72)의 내측에서는, 상측 덮개(12)의 내면부(29)가 개구(24, 25)와 대향하는 천장부(73)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주벽부(72)과 천장부(73)에 의하여, 개구(24, 25)의 상방에는 기밀성이 있는 공간(7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웨트 티슈(9)에 포함되는 액체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덮개(13)에 있어서의 내면의 적절한 부위에는, 수용하고 있는 포장체(8)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저지부(33)가 위치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상방/시계 방향을 향해 선회한 상태에 있는 상측 덮개(12)가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7의 우측 방향에 있어서, 상측 덮개(12)는, 그것에 형성된 축부(36)가 오목면부(15)에 형성된 베어링부(37)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어, 쌍두 화살표(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A)으로 왕복 선회시켜, 웨트 티슈(9)를 취출하기 위한 개구(24, 25)를 개폐할 수 있다. 축부(36)와 베어링부(37)는, 분여 용기(10)의 힌지부(38)를 형성하고 있다. 축부(36)의 근방에서는, 오목면부(15)에 있어서의 지지면(18)과 상측 덮개(12)의 사이에, 스프링(40)이 개재되어 있어, 상측 덮개(1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예의 스프링(40)은, 합성 고무나 천연 고무로 형성된 탄성띠 편(片)으로서, 이 탄성띠 편을 적절한 횟수만큼 접어 겹침과 함께, 탄성띠 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단부(41)를 오목면부(15)에 있어서의 지지면(18)에 대하여 고정하고, 다른 일방의 단부(42)를 상측 덮개(12)에 대하여 고정함으로써, 스프링(40)이 축압 상태에 있다. 일방의 단부(41)는, 지지면(18)과 플랜지(20)에 의한 협지에 의해 고정하고 있으며, 다른 일방의 단부(42)는, 억제 부재(43)를 개재하여, 상측 덮개(12)의 내면부(29)에 형성된 돌기(44)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40)은, 도면에 나타내는 예 대신에, 코일 스프링 등의 관용의 스프링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의 좌측 방향에 있어서, 폐쇄된 상태에 있는 상측 덮개(12)의 내면부(29)로부터는, 래치(46)가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래치(46)의 선단부에는 계합용의 돌기부(47)가 후기하는 래치 수용부(51)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용기 본체(11)의 전방 부분(48)(도 1을 함께 참조)에는, 오목면부(15)와 연결되는 오목부(49)가 형성되어 있어, 래치 수용부(51)가 수용됨과 함께,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의 상측 덮개(12)에 있어서의 래치(46)가 진입하고 있다. 상측 덮개(12)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오목부(49)는 상측 덮개(12)에 의해 덮여 있어, 분여 용기(10)의 외측에 나타나지 않고, 즉 분여 용기(10)의 밖에서는 보이지 않아, 분여 용기(10)의 외관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없다. 래치(46)를 계합시키기 위한 수용부로서 작용하는 래치 수용부(51)는, 플랜지(20)의 전방으로의 연장 돌출부(52)가 상방으로부터 맞닿아 있음으로써, 오목부(49)로부터 상방으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 분여 용기(10)는, 이른바 푸시 락/푸시 오픈의 락 기구를 가지는 용기의 일종이며, 한번, 분여 용기(10)에 대하여 상측 덮개(12)를 폐쇄한 후, 상측 덮개(12)를 누르면, 상측 덮개(12)가 분여 용기(10)에 대하여 개방된다.
이 분여 용기(10)에 수용하는 포장체(8)를 도 8에 나타낸다. 포장체(8)는, 시트재인 웨트 티슈(9)와, 웨트 티슈(9)를 피복하는 피복 시트(8a)와, 피복 시트(8a)의 상면에 형성한 포장체 개구(8b)와, 포장체 개구(8b)를 폐색하고, 피복 시트(8a)의 상면에 부착한 도시 생략의 봉인 시일을 가지고 있다. 피복 시트(8a)는, 불투액성이며, 피복 시트(8a)의 내부의 웨트 티슈(9)에 포함되는 액체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포장체(8)의 포장체 개구(8b)와, 분여 구조체(17)의 분여 개구(24)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포장체 개구(8b)는, 전후 방향(C)의 치수(e5)보다 가로 방향(B)의 치수(e6)가 크다. 또한, 포장체 개구(8b)의 전후 방향(C)의 치수(e5)보다, 분여 개구(24)의 전후 방향(C)의 치수(e7)가 크다. 분여 용기(10)에 포장체(8)를 세팅할 때에는, 봉인 시일을 피복 시트(8a)로부터 벗겨내 포장체 개구(8b)를 노출한 후 바닥 덮개(13)에 포장체(8)를 재치한다. 포장체 개구(8b)의 가로 방향(B)의 치수(e6)보다, 제 2 구멍부(24b)의 가로 방향(B)의 치수(e4)가 작다. 또한, 포장체 개구(8b)와 제 2 구멍부(24b)가 평면에서 볼 때 겹치는 한편, 포장체 개구(8b)와 제 1 구멍부(24a)는 평면에서 볼 때 겹치지 않는다.
웨트 티슈(9)를 최초로 사용할 때에는, 바닥 덮개(13)에 포장체(8)를 재치하고, 바닥 덮개(13)를 용기 본체(11)에 장착하여, 상측 덮개(12)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분여 개구(24)의 제 1 구멍부(24a)로부터 손가락을 넣어, 가장 상방의 웨트 티슈(9)를 손가락으로 집어, 제 2 구멍부(24b)으로부터 웨트 티슈(9)를 취출한다. 최초의 웨트 티슈(9)를 취출할 때에는, 가로 방향(B)의 치수(e3)가 큰 제 1 구멍부(24a)에 손가락을 넣어 웨트 티슈(9)를 취출할 수 있다. 분여 개구(24)의 주연부에 위치하는 플랩(26)은 유연성/가요성을 가지고, 내측 덮개부(23)의 강성보다 플랩(26)의 강성이 작기 때문에, 최초의 웨트 티슈(9)를 취출할 때, 손가락이 강성이 큰 내측 덮개부(23)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초의 웨트 티슈(9) 및 2매째 이후의 웨트 티슈(9)를 취출할 때, 포장체 개구(8b)의 가로 방향(B)의 치수(e6)보다, 제 2 구멍부(24b)의 가로 방향(B)의 치수(e4)가 작기 때문에, 웨트 티슈(9)가, 포장체 개구(8b) 및 제 2 구멍부(24b)를 통과할 때의 저항에 의해, 연속하여 웨트 티슈(9)가 취출되는 것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이 분여 용기(10)에 의하면, 분여 개구(24)를 전후 방향(C)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그 분여 개구(24)가, 최초의 웨트 티슈(9)를 취출하기 위해 손가락을 넣기 위한 제 1 구멍부(24a)와, 웨트 티슈(9)가 연속하여 취출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제 2 구멍부(24b)를 가지기 때문에, 최초의 웨트 티슈(9)를 용이하게 취출시킴과 함께, 연속하여 웨트 티슈(9)가 취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구멍부(24a)가 힌지부(38)측에 위치하는 한편, 제 2 구멍부(24b)가, 힌지부(38)와 전후 방향(C)의 반대측(래치(46)측)에 위치하고, 포장체 개구(8b)와 제 1 구멍부(24a)가 평면에서 볼 때에 겹치지 않기 때문에, 웨트 티슈(9)가, 분여 개구(24)를 통과할 때, 확실하게 제 2 구멍부(24b)를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분여 구조체(17)의 종횡의 외주연부에는, 강성이 큰 플랜지(20)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분여 구조체(17)의 외주연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예의 용기 본체(11)에 있어서, 플랜지(20)와 지지면(18)은, 상호의 기계적인 감합이나 적절한 형상의 파스너의 사용, 용착이나 초음파 접합 등의 접합 수단의 사용 등에 의해 일체화할 수 있는 것 외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일체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는, 시트재로서 웨트 티슈(9)의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물이나 알코올 등의 액체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시트재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정면벽(14)에 반드시 오목면부(15)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포장체(8)에 수용하고 있는 웨트 티슈(9)의 적층 상태는, 상기 서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 및 도 11에는, 웨트 티슈(9)의 적층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지만, 실제의 웨트 티슈(9)는, 상하 방향(A)에 있어서, 서로 맞닿도록 적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의 웨트 티슈(9)를 가로 방향(B) 또는 전후 방향(C) 중 어느 일방에서 1회 절곡하여 반으로 접은 V자 형상으로 하고, 그 V자 형상으로 한 웨트 티슈(9)를 상하 방향(A)으로 적층해도 되고,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의 웨트 티슈(9)를 가로 방향(B) 또는 전후 방향(C) 중 어느 일방에서 2회 절곡하여 삼등분 접기의 Z자 형상으로 하고, 그 Z자 형상으로 한 웨트 티슈(9)를 상하 방향(A)로 적층해도 된다. 또한,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의 웨트 티슈(9)를 가로 방향(B) 또는 전후 방향(C) 중 어느 일방에서 2회 절곡하여 삼등분 접기의 Z자 형상으로 하고, 그 Z자 형상으로 한 웨트 티슈(9)를 가로 방향(B) 또는 전후 방향(C) 중 어느 일방으로 어긋나게 적층해도 된다. 또한,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의 웨트 티슈(9)를 가로 방향(B) 또는 전후 방향(C) 중 어느 일방에서 반으로 접어 V자 형상으로 한 것과, 1매의 웨트 티슈(9)를 가로 방향(B) 또는 전후 방향(C) 중 어느 일방에서 2회 절곡하여 Z자 형상으로 한 것을 상하 방향(A)에 있어서 번갈아 적층해도 된다. 도 10의 (a), (b) 및 도 11의 (b)에 나타내는 웨트 티슈(9)의 적층 상태에서는, 상방에 위치하는 웨트 티슈(9)의 절곡된 단부(9a)가,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섬유 부직포의 단부에 맞닿는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웨트 티슈(9)의 적층 상태에서는, 웨트 티슈(9)의 절곡선(9b)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웨트 티슈(9)의 도중 부위(9c)와, 하방에 위치하는 웨트 티슈(9)의 단부가 맞닿는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부호 P는, 웨트 티슈(9)의 전후 방향(C)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을 나타낸다. 물론, 이들과 상이하도록 복수매의 웨트 티슈(9)를 상하 방향(A)으로 적층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고, 가로 방향(B)으로 연장되는 점선을 가지는 웨트 티슈(9)를, 분여 용기(10)에 수용해도 된다. 이러한 섬유 부직포 웹(web)의 일부가 분여 개구(24)를 통과할 때, 제 2 구멍부(24b)에 접촉함으로써, 섬유 부직포 웹으로부터 웨트 티슈(9)가 분리되어, 다음의 웨트 티슈(9)가 취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면(18)이 개구(25)를 가지고, 분여 구조체(17)가 분여 개구(24)를 구비하는 분여 용기(10)를 설명했지만, 지지면(18)에 분여 구조체(17)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개구(25)를 형성하지 않고 분여 개구(24)만을 가져도 된다.
상기 서술한 본 개시와 관련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가지고, 적층 시트재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정면벽에 위치하고, 상기 적층 시트재를 팝업식으로 취출할 수 있는 분여 개구를 가지는 분여 구조체와, 근위 가장자리부와 원위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근위 가장자리부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분여 개구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는 상측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분여 개구는, 상기 근위 가장자리부의 근방에 위치하여 상기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 1 구멍부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멍부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이어져 상기 원위 가장자리부의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구멍부로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멍부의 치수는, 상기 제 2 구멍부보다 크다.
상기의 본 개시는, 적어도 하기 실시 형태를 포함하고, 당해 형태는 단독 또는 조합하여 채택해도 된다.
(1) 상기 제 1 구멍부는 완만한 볼록 형상 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멍부는 상기 볼록 형상 두부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근접하게 만곡하면서 대략 평행하게 상기 원위 가장자리부의 측으로 연장되어 폐쇄되는 줄기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 상기 분여 구조체는 상기 분여 개구를 둘러싸고 구획 결정하는 가요성 플랩과, 상기 플랩을 둘러싸는 강성 내부 덮개를 가진다.
(3) 상기 내부 덮개부의 외주에는 패킹 기능을 가지는 환 형상의 가요성 주벽을 개재하여 강성 플랜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4) 상기 주벽은 정부를 가지고, 상기 정부는 상기 상측 덮개의 내면에 위치하는 환 형상 볼록 가장자리가 기밀하게 접촉하는 환 형상 홈을 가진다.
8 포장체
8a 피복 시트
8b 포장체 개구
9 웨트 티슈
9a 단부
9b 절곡선
9c 도중 부위
10 분여 용기
11 용기 본체
12 상측 덮개
23 내측 덮개부
24 분여 개구
24a 제 1 구멍부
24b 제 2 구멍부
26 플랩
38 힌지부
46 래치
A 상하 방향
B 가로 방향
C 전후 방향(세로 방향)
e3 제 1 구멍부의 가로 방향의 치수
e4 제 2 구멍부의 가로 방향의 치수
e6 포장체 개구의 가로 방향의 치수

Claims (5)

  1.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가지고, 적층 시트재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정면벽에 위치하여, 상기 적층 시트재를 팝업식으로 취출할 수 있는 분여 개구를 가지는 분여 구조체와, 근위 가장자리부와 원위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근위 가장자리부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힌지부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분여 개구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는 상측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분여 개구는, 상기 근위 가장자리부의 근방에 위치하여 상기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확장되는 제 1 구멍부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멍부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이어져 상기 원위 가장자리부의 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구멍부로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멍부의 치수는, 상기 제 2 구멍부의 치수보다 큰 분여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멍부는 완만한 볼록 형상 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멍부는 상기 볼록 형상 두형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근접하게 만곡하면서 대략 평행하게 상기 원위 가장자리부의 측으로 연장되어 폐쇄되는 줄기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분여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여 구조체는 상기 분여 개구를 둘러싸고 구획 결정하는 가요성 플랩과, 상기 플랩을 둘러싸는 강성 내부 덮개를 가지는 분여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부의 외주에는 패킹 기능을 가지는 환 형상의 가요성 주벽을 개재하여 강성 플랜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분여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은 정부를 가지고, 상기 정부는 상기 상측 덮개의 내면에 위치하는 환 형상 볼록 가장자리가 기밀하게 접촉하는 환 형상 홈을 가지는 분여 용기.
KR1020177036579A 2015-06-30 2016-06-29 분여 용기 KR201800226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2227 2015-06-30
JP2015132227A JP6478839B2 (ja) 2015-06-30 2015-06-30 構造体
PCT/JP2016/069259 WO2017002850A1 (ja) 2015-06-30 2016-06-29 分与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678A true KR20180022678A (ko) 2018-03-06

Family

ID=5760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579A KR20180022678A (ko) 2015-06-30 2016-06-29 분여 용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80184859A1 (ko)
EP (1) EP3318506B1 (ko)
JP (1) JP6478839B2 (ko)
KR (1) KR20180022678A (ko)
CN (1) CN107635888B (ko)
CA (1) CA2987021A1 (ko)
MY (1) MY187197A (ko)
PH (1) PH12017550140A1 (ko)
TW (1) TWI680922B (ko)
WO (1) WO2017002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074B1 (ko) * 2017-02-21 2018-05-02 정규선 마스크 팩 케이스
JP7307554B2 (ja) * 2019-02-25 2023-07-12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2021066444A (ja) * 2019-10-18 2021-04-30 凸版印刷株式会社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有する包装容器
KR200494136Y1 (ko) * 2019-11-08 2021-08-11 변용필 티슈용기 마개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33491A5 (de) * 1978-08-23 1982-12-15 Finkelstein Oscar P Spender fuer bahnfoermiges material.
US4462507A (en) * 1979-04-26 1984-07-31 Sterling Drug Inc. Dispensing closure for closing a canister containing dispensable articles
US5560514A (en) * 1991-09-23 1996-10-01 Kimberly-Clark Tissue Company Wet wipe dispensing nozzle with rotatable port
JP3669758B2 (ja) * 1995-06-15 2005-07-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装置
JP3318166B2 (ja) * 1995-08-04 2002-08-26 中村 憲司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US5718353A (en) * 1996-05-08 1998-02-17 Gojo Industries, Inc. Towelette dispensing closure assembly
WO1999012823A1 (fr) * 1997-09-08 1999-03-18 Uni-Charm Corporation Dispositif couvrant
JP3746901B2 (ja) * 1997-10-15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閉自在容器
US6220435B1 (en) * 1998-06-26 2001-04-24 Contec, Inc. Presaturated wiper system
IL129856A (en) * 1999-05-10 2002-02-10 Albaad Massuot Yitzhak Ltd Lid extended for packing
US6523690B1 (en) * 2000-03-30 2003-0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container with flexible orifice
US20030080018A1 (en) * 2001-10-30 2003-05-01 Nally William T. Cleansing wipe dispenser
DE60310894T2 (de) * 2002-03-08 2007-08-30 Edmak Ltd. Spender für feuchttücher
KR100493018B1 (ko) * 2002-06-12 200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US7546930B2 (en) * 2002-08-28 2009-06-16 Rexam Beauty And Closures, Inc. Hermetic wipe container
JP4837881B2 (ja) * 2003-01-14 2011-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付き容器
US7143906B2 (en) * 2003-11-04 2006-12-05 Albaad Massuot Yitzhak Ltd Tissue dispensing cover
US20050230408A1 (en) * 2004-02-11 2005-10-20 Seager Richard H Single dispensing wetted tissue box
JP4671675B2 (ja) * 2004-12-03 2011-04-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体
US20090114669A1 (en) * 2007-11-05 2009-05-07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Sheet Product Dispenser
US20090314793A1 (en) * 2008-06-24 2009-12-24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Sheet product dispenser
US20100078443A1 (en) * 2008-09-26 2010-04-01 Rebecca Hoefing Wipes Canister Opening
US20100108706A1 (en) * 2008-11-05 2010-05-06 Kleen Test Products Inc Closure mechanism for wipe dispenser
JP5349916B2 (ja) * 2008-11-14 2013-1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閉自在容器
US9113759B2 (en) * 2009-02-19 2015-08-25 Gojo Industries, Inc. Wipes dispenser with anti-roping and anti-fallback features
US8198361B2 (en) * 2010-01-27 2012-06-12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Silicon polyethers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5912288B2 (ja) * 2010-11-25 2016-04-27 山田 菊夫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US9549646B2 (en) * 2010-12-08 2017-01-24 Gojo Industries, Inc. Wipes dispenser
US8944279B2 (en) * 2010-12-22 2015-0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dispenser with improved arc-shaped dispensing partition
JP5230776B2 (ja) * 2011-06-14 2013-07-10 大王製紙株式会社 ウエットシート収容容器
US9278799B2 (en) * 2011-07-06 2016-03-08 Kikuo Yamada Wet tissue package
GB201120050D0 (en) * 2011-11-21 2012-01-04 Reckitt Benckiser Llc Improvements in dispensing containers for wipes
WO2014073117A1 (ja) * 2012-11-09 2014-05-15 Yamada Kikuo ウェブ包装体
US20140190983A1 (en) * 2013-01-09 2014-07-10 Berlin Packaging, Llc Towelette Dispenser
US20160007812A1 (en) * 2013-03-14 2016-01-14 Kikuo Yamada Wipe dispenser
US9220379B2 (en) * 2013-03-26 2015-12-29 Clear Global, LLC Wipes dispenser
US10039425B2 (en) * 2014-04-23 2018-08-07 The Clorox Company Disinfecting wipes dispenser
US9974419B2 (en) * 2014-04-23 2018-05-22 The Clorox Company Disinfecting wipes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8506A1 (en) 2018-05-09
CN107635888B (zh) 2021-04-27
MY187197A (en) 2021-09-09
JP6478839B2 (ja) 2019-03-06
CN107635888A (zh) 2018-01-26
EP3318506A4 (en) 2018-05-09
US20180184859A1 (en) 2018-07-05
CA2987021A1 (en) 2017-01-05
WO2017002850A1 (ja) 2017-01-05
JP2017013854A (ja) 2017-01-19
TWI680922B (zh) 2020-01-01
EP3318506B1 (en) 2020-10-14
TW201713578A (zh) 2017-04-16
PH12017550140A1 (en)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638B2 (en) Openable and closable container
EP3018067B1 (en) Lid body for wet wipe packaging body and wet wipes packaging body
CN109715524B (zh) 盖机构、包装体及分配容器
AU2009314996B2 (en) Openable and closable container
KR20180022678A (ko) 분여 용기
CN109715515B (zh) 盖机构、包装体及分配容器
EP0952088B1 (en) Freely openable container
US20210024278A1 (en) Container for housing household tissue paper
JPH08143072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の取出口構造
JP6053090B1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収容容器
KR20160123947A (ko) 물티슈 포장용기용 접착 커버
JP5052092B2 (ja) 綿棒包装容器
JP6053089B1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収容容器
JP4408459B2 (ja) 蓋装置
JP7307554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4932469B2 (ja) 綿棒包装容器
JP3027171U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容器用蓋体及びこの蓋体を有するウエットティッシュ容器
JP3162634U (ja) 包装用蓋体
CN113811495A (zh) 家庭用薄页纸收纳容器
CN113874297A (zh) 家庭用薄页纸收纳容器
CN113874298A (zh) 家庭用薄页纸收纳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