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228A -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228A
KR20180022228A KR1020160107275A KR20160107275A KR20180022228A KR 20180022228 A KR20180022228 A KR 20180022228A KR 1020160107275 A KR1020160107275 A KR 1020160107275A KR 20160107275 A KR20160107275 A KR 20160107275A KR 20180022228 A KR20180022228 A KR 20180022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meat
storage
condition
kimchi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이순석
박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6010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228A/ko
Publication of KR20180022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육류 숙성/보관 모드가 선택된 경우 육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육류 종류를 입력받아 육류에 따른 숙성조건으로 숙성을 수행하는 단계; 제어부가 숙성을 수행한 후 제1 보관조건에 따라 저장실 온도를 유지시키는 단계; 및 제어부가 제1 숙성 보관조건으로 저장실 온도를 유지시킨 후 제2 숙성 보관조건으로 저장실 온도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KIMCHI REFRIGERATOR}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냉장고에서 육류 숙성/보관모드가 선택될 경우 육류에 따른 최적의 조건으로 숙성을 수행한 후 육류에 생동효과를 부여하여 식감을 향상시키고 신선도 유지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한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이 죽은 후에는 사후 경직이 일어나는데, 사후경직이란 생물이 죽은 뒤에 근육이나 관절 등이 뻣뻣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사후 경직 중인 육류는 딱딱하고 맛이 떨어지므로 상품성이 없게 된다.
그러나, 최대 경직이 지난 근육은 단백질 분해효소 등에 의해 자기소화가 시작되고 육질이 부드러워진다. 또한, 자기 소화가 시작되면 근육의 PH가 회복되고 보수성이 증가하며 효소가 작용하여 아미노산 등의 맛을 내는 물질이 생성되어 풍미도 좋아진다.
따라서, 사후경직 중인 육류는 최대 경직이 지나도록 일정온도에 보관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육류의 '숙성 과정'이라고 한다.
한편, 육류를 숙성시키면 연도가 좋아지지만 반대로 숙성기간이 필요이상으로 길어지면 미생물의 번식과 지방의 산패로 오히려 육질이 나빠질 수 있으며, 심한 경우는 식용으로의 사용이 부적당하게 된다.
따라서, 최적의 조건하에서 숙성시켜 보존하는 것이 육질의 식용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3-0042349호(2003.05.28.)인 "육류 숙성 저장장치 및 방법"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김치냉장고에서 육류 숙성/보관모드가 선택될 경우 육류에 따른 최적의 조건으로 숙성을 수행한 후 육류에 생동효과를 부여하여 식감을 향상시키고 신선도 유지기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한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육류 숙성/보관 모드가 선택된 경우 육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육류 종류를 입력받아 육류에 따른 숙성조건으로 숙성을 수행하는 단계; 제어부가 숙성을 수행한 후 제1 숙성 보관조건에 따라 저장실 온도를 유지시키는 단계; 및 제어부가 제1 숙성 보관조건으로 저장실 온도를 유지시킨 후 제2 숙성 보관조건으로 저장실 온도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육류에 따른 숙성조건은, 소고기인 경우 소고기 숙성온도는 3℃±1℃이고, 소고기 숙성시간은 120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육류에 따른 숙성조건은, 돼지고기인 경우 돼지고기 숙성온도는 1℃±1℃이고, 돼지고기 숙성시간은 48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숙성 보관조건은 -4℃±1℃로 11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2 숙성 보관조건은 -2℃±1℃로 72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제2 숙성 보관조건으로 저장실 온도를 유지시킨 후 생동 보관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은 김치냉장고에서 육류 숙성/보관모드가 선택될 경우 육류에 따른 최적의 조건으로 숙성을 수행한 후 육류에 생동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식감을 향상시키고, 육류에 적합한 최적의 숙성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하여 육류의 연도를 개선하고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제어장치는 키입력부(10), 온도감지부(20), 저장부(30), 표시부(50), 경보부(60), 부하장치(7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0)는 저장실(미도시)의 온도제어를 시작하기 위한 시작버튼과, 육류 숙성/보관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숙성/보관모드 선택버튼 및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선택하기 위한 육류 선택버튼 등 다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온도감지부(20)는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로써 감지된 온도를 제어부(40)에 전달한다. 온도센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온도센서는 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30)는 제어부(40)가 육류숙성을 제어할 때 적용하기 위해 육류에 따른 최적의 숙성조건 및 숙성 보관조건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소고기 숙성온도는 3℃±1℃이고, 소고기 숙성시간은 120시간이 저장되고, 돼지고기 숙성온도는 1℃±1℃, 돼지고기 숙성시간은 48시간이 저장된다.
또한, 숙성 후 생동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제1 숙성 보관조건으로 숙성 보관온도 -4℃±1℃와 숙성 보관시간 11시간이 저장되며, 숙성 후 숙성 보관을 위한 제2 숙성 보관조건으로 숙성 보관온도 -2℃±1℃와 숙성 보관시간 72시간이 저장된다.
이때 저장부(30)에 저장되는 숙성온도 및 숙성시간과, 숙성 보관온도 및 숙성 보관시간은 육류에 따라 실험에 의해 얻어진 수치로써 설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표시부(50)는 육류의 숙성 및 숙성 보관의 진행 상태를 표시한다.
제어부(40)는 표시부(50)를 통해 전체 숙성시간 중 숙성 진행시간에 대한 비율을 그래프 이미지나 숫자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고, 숙성 진행 상태에 대해 경과시간이나 잔여시간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숙성 보관시간에 대해서도 숙성시간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키입력이 없는 정상 동작 상태에서 표시부(50)를 히든(hidden) 상태로 유지하여 작동표시를 오프시킬 수 있으나, 육류 숙성/보관 모드에서 육류를 숙성한 후 숙성 보관하는 경우 표시부(50)의 히든 상태에서도 육류 숙성/보관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육류가 숙성된 후 숙성 보관되고 있음을 쉽게 인식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취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보부(60)는 김치냉장고의 작동상태에 대해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육류의 숙성이나 숙성 보관이 완료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경보방식으로는 표시부(50)를 점멸시켜 시각적으로 경보하거나 경보음을 발생시켜 청각적으로 경보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 방식과 청각적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경보할 수도 있다.
부하장치(70)는 저장실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한 가열장치(미도시) 및 냉각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가열장치 및 냉각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저장실이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40)는 키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설정모드에 따라 온도감지부(20)를 통해 측정된 저장실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부하장치(70)를 제어한다.
그리고, 작동상태에 대해 표시부(50) 및 경보부(6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키입력부(10)를 통해 육류 숙성/보관모드가 입력되고, 숙성시킬 육류가 선택되면, 저장부(30)에 저장된 육류에 따른 숙성조건을 읽어와 소고기인 경우 소고기 숙성조건에 따라, 돼지고기인 경우 돼지고기 숙성조건에 따라 부하장치(70)를 작동시켜 저장실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숙성한 후 생동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제1 숙성 보관조건과 제2 숙성 보관조건으로 보관함으로써, 육류에 식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육류에 적합한 최적의 숙성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하여 육류의 연도를 개선하고 맛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40)가 키입력부(10)로부터 육류 숙성/보관 모드가 선택된 경우, 키입력부(10)로부터 숙성시킬 육류 종류를 입력받는다(S10).
S10 단계에서 입력된 육류가 소고기인 경우, 제어부(40)는 저장부(30)로부터 소고기 숙성조건을 읽어와 부하장치를 작동시켜, 소고기 숙성조건에 따라 저장실 온도를 소고기 숙성온도인 3℃±1℃로 소고기 숙성시간인 120시간 동안 유지시켜 숙성을 수행한다(S20).
또한, 제어부(40)는 S10 단계에서 입력된 육류가 돼지고기인 경우, 저장부(30)로부터 돼지고기 숙성조건을 읽어와 부하장치(70)를 작동시켜, 돼지고기 숙성조건에 따라 저장실 온도를 돼지고기 숙성온도인 1℃±1℃로 돼지고기 숙성시간인 48시간 동안 유지시켜 숙성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육류에 따른 숙성조건에 따라 숙성시킴으로써 육질을 개선하고 맛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S20 단계에서 숙성을 수행한 후, 제어부(40)는 저장실 온도를 제1 숙성 보관조건으로 유지시켜 숙성된 고기에 생동효과를 부여하여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S30).
여기서 생동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제1 숙성 보관조건은, 숙성 보관온도 -4℃±1℃로 11시간을 유지하는 조건이다.
S30 단계에서 생동효과를 부여한 후 숙성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40)는, 저장실 온도를 제2 숙성 보관조건으로 유지시킨다(S40).
이때 제2 숙성 보관조건은, 보관온도 -2℃±1℃로 72시간을 유지하는 조건이다.
한편 제어부(40)는 표시부(50)를 통해 숙성 상태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성 보관 상태에서는 표시부(50)의 히든 상태에서도 '소고기 숙성/보관' 상태나, '돼지고기 숙성/보관' 상태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S40 단계에서 제2 숙성 보관조건에 의한 숙성 보관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육류를 저장하는 생동 보관모드로 전환하여 장기 보관할 수 있다(S50).
여기서 생동 보관모드는 저장실의 온도를 -5℃±1℃로 유지하여 신선한 상태에서 장기 보관하는 모드이다. 이때 생동 보관모드의 저장실 온도는 설계사항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김치냉장고에서 육류 숙성/보관모드가 선택될 경우 육류에 따른 최적의 조건으로 숙성을 수행한 후 육류에 생동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식감을 향상시키고, 육류에 적합한 최적의 숙성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하여 육류의 연도를 개선하고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키입력부 20 : 온도감지부
30 : 저장부 40 : 제어부
50 : 표시부 60 : 경보부
70 : 부하장치

Claims (6)

  1. 제어부가 육류 숙성/보관 모드가 선택된 경우 육류 종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육류 종류를 입력받아 육류에 따른 숙성조건으로 숙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숙성을 수행한 후 제1 숙성 보관조건에 따라 저장실 온도를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숙성 보관조건으로 저장실 온도를 유지시킨 후 상기 제2 숙성 보관조건으로 상기 저장실 온도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에 따른 숙성조건은, 소고기인 경우 소고기 숙성온도는 3℃±1℃이고, 소고기 숙성시간은 120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에 따른 숙성조건은, 돼지고기인 경우 돼지고기 숙성온도는 1℃±1℃이고, 돼지고기 숙성시간은 48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숙성 보관조건은, -4℃±1℃로 11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숙성 보관조건은, -2℃±1℃로 72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숙성 보관조건으로 상기 저장실 온도를 유지시킨 후 생동 보관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160107275A 2016-08-23 2016-08-23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180022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275A KR20180022228A (ko) 2016-08-23 2016-08-23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275A KR20180022228A (ko) 2016-08-23 2016-08-23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28A true KR20180022228A (ko) 2018-03-06

Family

ID=6172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275A KR20180022228A (ko) 2016-08-23 2016-08-23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22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7596A (zh) * 2021-06-07 2022-12-2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7596A (zh) * 2021-06-07 2022-12-2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CN115507596B (zh) * 2021-06-07 2024-04-19 青岛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50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WO2018016374A1 (ja) 食品の貯蔵方法、およびこの貯蔵方法を備えた冷蔵庫
AU3627697A (en) Manufacture of pasta filata cheeses
KR20180022228A (ko)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Öründü et al. Effects of different starter culture applications pre-and post-scalding on the bi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asta filata type cheeses
KR20180022223A (ko)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US20070202240A1 (en) Accelerated Method For Drying And Maturing Sliced Food Products
JP2019138616A (ja) 貯蔵装置および冷蔵庫
KR20180022231A (ko)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325548B1 (ko) 김치저장고의 숙성제어방법
US20170055541A1 (en) Production of yogurt
KR19990066399A (ko) 김치냉장고의 김치숙성제어방법
US20160227804A1 (en) Reduced sodium chees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WO2019156009A1 (ja) 貯蔵装置および冷蔵庫
KR20200011147A (ko) 김치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330932B1 (ko)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김치저장고 및 그 구동방법
WO2023165443A1 (zh) 一种冰箱及其超声处理装置的控制方法
JP5621083B2 (ja) 製麹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発酵調味料の製造方法
KR100812363B1 (ko) 김치냉장고의 부저음 출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42806B1 (ko) 김치저장고의 운전 제어방법
KR20040003889A (ko) 김치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EP3375294A1 (en) Accelerated fungal growth
Eyssen Nothing beats an outstanding cheese
KR970006114B1 (ko) 김치냉장고의 숙성제어방법
Dimitrovska Sensory Evaluation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Traditional ‘’Bieno’’Chee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