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220A - Self Generating Apparatus of Disk Break - Google Patents

Self Generating Apparatus of Disk Brea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220A
KR20180022220A KR1020160107263A KR20160107263A KR20180022220A KR 20180022220 A KR20180022220 A KR 20180022220A KR 1020160107263 A KR1020160107263 A KR 1020160107263A KR 20160107263 A KR20160107263 A KR 20160107263A KR 20180022220 A KR20180022220 A KR 20180022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disk
disc
disposed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93095B1 (en
Inventor
한상민
Original Assignee
한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민 filed Critical 한상민
Priority to KR102016010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095B1/en
Publication of KR2018002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2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46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wheels or associated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A self-generation device applied to a disc brake is disclosed. The self-generation device applied to the disc brak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magnet disposed on a disc in a circular plate shape which is coupled to a wheel shaft of a vehicle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wheel shaft and located on the disc and a concentric hole so as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isc; a second magnet disposed on one side of a caliper housing, in which an accommod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disc is formed and a hydraulic device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disc by tightly coupling a brake pad of a vehicle to the disc is equipped, to face the first magnet; and an electricity generation portion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and generates electricity induced by a change of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magnet.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Self Generating Apparatus of Disk Break}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

본 발명은 자가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전기가 생성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a disc brake in which electricity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a disc.

자동차는 화석연료인 휘발유나 경유 등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화석연료의 고갈과 화석연료에서 배출되는 각종 환경 유해물질로 인한 지구환경파괴 문제가 심화되면서 다양한 대체 에너지가 활발히 연구되어 왔고, 현재는 전기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바이오 자동차가 실용화 단계에 있으며, 그 중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Although automobiles use fossil fuels such as gasoline and light oil as main energy sources, various alternative energy sources have been actively studied due to the exhaustion of fossil fuels and the problem of global environmental destruction caused by various harmful substances emitted from fossil fuels. Currently, electric vehicles, hybrid cars and bio-cars are in the practical use stage, and electric cars and hybrid cars have achieved remarkable results.

가장 바람직한 차세대 자동차 에너지원은 전기 에너지라는 점에 이견이 없지만 전기를 자동차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용량 배터리를 자동차에 탑재해야만 하므로 차량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또 부피가 큰 축전용 배터리를 차량에 탑제함으로써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에 적합한 고용량, 소형화 및 경량화된 축전지의 개발도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그에 대해서도 많은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The next-generation automotive energy source is the most desirable. However, in order to use electricity as an energy source for automobiles, it is necessary to mount a high capacity battery in the vehicle, so that the weight of the vehicle is increas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ight is increased by being mounted on a vehicl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high capacity,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battery suitable for an electric vehicle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and many achievements have been made.

그러나 자동차는 주행시 축전지의 전력이 점점 소모되므로 축전지에 전기를 재충전하지 않으면 운행할 수 없기 때문에 자동차의 주행도중 차량의 주행에너지를 활용하여 축전지에 전기를 충전시키는 기술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since the electric power of the storage battery is gradually consumed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e battery can not be operated unless the battery is recharged. Therefore,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technique of charging electricity into the battery by utilizing the traveling energy of the vehicle during traveling.

일 예로, 휘발유나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엔진 시동 후 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전기에 의해 얻어진 전기를 엔진 점화나 전조등, 방향등, 실내등과 같은 등화장치 및 오디오 장치나 운전석 계기판 점등용 전원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일부 전력은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an automobile using gasoline or light oil as fuel, the generator is rotated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after the engine is started, so that the electricity obtained by the generator is ignited by an ignition device such as an engine ignition, a headlight, And a power source for an audio device or a driver's instrument panel point light, and some of the remaining power is charged to the battery.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역시 자동차 주행시 주행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를 대용량 축전지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electric vehicle is also configured to generate electric power by using traveling energy when driving a vehicle, and to charge the generated electricity into a large capacity battery.

한편,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자 하는 자가 발전시스템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자가 발전시스템은 회전력을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자동차의 휠 또는 디스크에 적용하지 못하고, 휠 또는 디스크와 별도의 회전력 전달부재를 통해 연결하여 사용하는 관계로, 휠 또는 디스크의 회전력을 100% 활용하지 못해 전기 생산 능력이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self-power generation systems that convert rotational energy into electric energy. Such a self-power generation system can not be applied to a wheel or a disk of a vehicle that directly generates rotational force, Since they are connected through a member, they can not utilize 100% of the rotational power of the wheel or the disk, so that the electric production capacity is not satisfactory.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도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3740호(공개일 2014.07.04)와 같이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가 발전시스템이 개시되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disadvantages, a self-power generation system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piezoelectric element can be used to produce electricity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83740 (Laid-open date 2014.07.04).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압전소자를 이용한 자가 발전시스템은 압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서, 휠의 회전력을 모두 재활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었다.However, the self-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as described above produces electricity by using the pressure. Therefore, there is a limit in reus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wheel.

공개실용 20-2009-0013251Public Practice 20-2009-0013251 공개특허 10-2001-0016441Patent Document 1: JP-A-10-001644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에 적용되어 디스크의 회전만으로 발전이 가능한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self-generating apparatus which is applied to a brake of an automobile to be applied to a disc brake capable of generating power only by rotation of the disc.

둘째, 본 발명은 기존의 브레이크에 자석과 전기생성부만을 추가로 설치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self-generating device that is applied to a disc brake that can be simply constructed by additionally providing only a magnet and an electricity generating portion in a conventional brak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는 제 1 자석, 제 2 자석 및 전기생성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self-power generation apparatus applied to a disk brak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agnet, a second magnet, and an electricity generating unit.

상기 제 1 자석은 자동차의 휠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휠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디스크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크와 동심원 상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The first magnet is disposed on a circular plate-shaped disk coupled with the wheel shaft of the automobile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wheel shaft, and is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disk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isk.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디스크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디스크에 밀착시켜 디스크의 회전을 제한하는 유압장치가 내장되는 캘리퍼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제 1 자석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 1 자석과 마주보는 면은 상기 제 1 자석과 다른 극을 가진다.Wherein the second magnet has a receiving recess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a part of the disk and a hydraulic device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disk by closely contacting the brake pad of the automobile with the disk, And a surface facing the first magnet has a pol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magnet.

상기 전기생성부는 상기 제 1 자석 및 상기 제 2 자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자석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를 생산한다.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to produce electricity induced by a change in magnetic field due to rotation of the first magnet.

여기서,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디스크의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first magnet may be disposed on a plane of the disk.

이 경우, 상기 제 1 자석은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상기 브레이크 패드와 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magne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ther tha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rake pad when the driver depresses the brake.

또는,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magnet may be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k.

이 경우, 상기 전기생성부는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icity generating portion may be arranged to cross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caliper housing.

상기 디스크에는 링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는 링 형상의 상기 제 1 자석이 삽입될 수 있다.A ring-shaped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disk, and the ring-shaped first magnet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상기 디스크에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삽입홈에는 제 1 자석이 삽입될 수 있다.The disk may have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magnet may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grooves.

한편,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디스크에 고정되는 부분이 제 1 극성을 가지고, 상기 상기 제 2 자석과 마주보는 부분이 상기 제 1 극성과 서로 다른 극성인 제 2 극성을 가지도록 상하 적층 구조로 착자시킨 영구자석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agnet has a first polarity in a portion fixed to the disk, and a second polarity in a portion of the first magnet facing the disk, the second polarity being different from the first polarity, Which may be permanent magnets.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제 1 자석과 마주보는 부분은 상기 제 2 극성과 다른 극성인 제 1 극성을 가지고,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고정되는 부분이 제 2 극성을 가지도록 상하 적층 구조로 착자시킨 영구자석일 수 있다.The second magnet has a first polarity that is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and a second polarity that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polarity, and the second magnet has a second polarity. Lt; / RTI >

여기서, 상기 제 1 자석 및 상기 제 2 자석의 자력의 세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magnitudes of the magnetic forces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may be equal to each other.

그리고, 제 1 자석과 제 2 자석의 서로 마주보지 않는 부분에는 차폐부가 구비되어 자기장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A shielding portion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not facing each other to prevent leakage of the magnetic fiel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첫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에 제 1 자석을 배치하고, 캘리퍼 하우징에 제 1 자석과 마주보도록 제 2 자석을 배치하고, 제 1 자석과 제 2 자석 사이에 전기생성부를 배치하여 디스크의 회전 시 제 1 자석이 회전하여 전기생성부 주변에 자기장의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전기생성부에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이동만으로도 전기가 생성되어 이를 자동차의 전기적 장치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lf-generating apparatus for a disc brake, comprising a first magnet disposed on a disc,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caliper housing so as to face the first magnet, A current may be generated in the electricity generating part as the first generating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magnets and the first magnet rotates during the rotation of the disk to cause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round the electricity generating part. Accordingly, electricity can be generated by merely moving the vehicle, which can be utilized as an energy source of the electric device of the automobile.

둘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디스크 및 캘리퍼 하우징에 제 1 자석, 제 2 자석 및 전기생성부만 배치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self-power generation apparatus applied to the disc brak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 energy can be obtained by disposing only the first magnet, the second magnet and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in the conventional disc and caliper housing.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The foregoing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there are shown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a disk brak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a disc brak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a disc brak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a disk brak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noted that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names and numerals, but are substantially not identical to element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a disk brak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a disk brak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는 제 1 자석(120), 제 2 자석(230) 및 전기생성부(2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self-power generation apparatus applied to the disc brak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agnet 120, a second magnet 230, and an electricity generation unit 240.

제 1 자석(120)은 브레이크의 디스크(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magnet 120 may be disposed on the disc 100 of the brake.

여기서, 디스크(100)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휠 샤프트(110)와 결합되어 휠 샤프트(110)와 함께 회전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disc 100 is applied to a disc brake of a general automobile, and may have a circular plate shape coupled with a wheel shaft 110 of an automobile to rotate together with the wheel shaft 110.

제 1 자석(120)은 디스크(100)와 동심원 상에 위치하여 디스크(1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The first magnet 120 is positioned concentrically with the disc 10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isc 100. [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자석(120)은 디스크(100)의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gnet 120 may be disposed on the plane of the disk 100. [

이를 위하여, 디스크(100)에는 디스크(100)의 둘레와 동심원 상에 삽입홈(1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홈(102)에는 삽입홈(102)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 1 자석(120)이 삽입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isc 100 may have an insertion groove 102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periphery of the disc 100. A first magnet 12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102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2.

만약, 브레이크 패드와 맞닿는 부분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여기에 제 1 자석이 삽입된다면, 디스크와 제 1 자석의 강도, 경도 등이 다르기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와의 마찰 시 브레이크 패드가 일정하게 마모되지 않거나, 브레이크 패드가 뒤틀릴 수 있다. 이는 자동차의 제동에 바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If the first magne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t a portion contacting the brake pad, the strength and hardness of the first magne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brake pad is not uniformly worn during friction with the brake pad, The brake pads may be twisted. This can lead to a major accident because it directly affects the braking of the car.

따라서, 삽입홈(102)은 자동차의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브레이크 패드(210)와 접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자석(120)은 브레이크 패드(210)와 접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크(100)의 회전에 따른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insertion groove 102 can be formed in a portion not in contact with the brake pad 210 when the driver of the car depresses the brake. That is, the first magnet 120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not in contact with the brake pad 210. Thereby, interference with rotation of the disc 100 can be avoided.

한편, 제 2 자석(230)은 캘리퍼 하우징(200)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magnet 230 may be disposed in the caliper housing 200.

캘리퍼 하우징(200)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캘리퍼 하우징(200)과 동일한 것으로서, 디스크(10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202)이 형성되며,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드(210)를 디스크(100)에 밀착시켜 디스크(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유압장치(220)가 내장될 수 있다.The caliper housing 200 is the same as the caliper housing 200 which is applied to a disc brake of a general automobile. The caliper housing 200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202 for receiving a part of the disc 100, And a hydraulic device 220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disc 100 by tightly contacting the disc 100 may be incorporated.

제 2 자석(230)은 캘리퍼 하우징(200)의 수용홈(202)의 일측에 제 1 자석(120)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magnet 23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02 of the caliper housing 200 so as to face the first magnet 120.

본 실시예에서, 제 1 자석(120) 및 제 2 자석(230)의 자력의 세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tensities of the magnetic forces of the first magnet 120 and the second magnet 230 may be equal to each other.

도 1에는 디스크(100)의 일면에만 제 1 자석(120)이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제 1 자석(120)의 배치는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 1 자석(120)은 디스크(100)의 양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자석(120)이 디스크(100)의 양면에 설치되는 경우, 제 2 자석(230) 또한 수용홈(202)의 양 측에 설치될 수 있다.1, the first magnet 120 is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disk 100.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magnet 120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the first magnet 120 may be disposed on the disk 100 As shown in Fig. When the first magnet 12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isk 100, the second magnet 230 may also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202.

한편, 제 1 자석(120)은 디스크(100)에 고정되는 부분이 제 1 극성(120a)을 가지고, 후술할 제 2 자석(230)과 마주보는 부분, 즉 디스크(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제 1 극성(120a)과 서로 다른 극성인 제 2 극성(120b)을 가지도록 상하 적층 구조로 착자시킨 영구자석일 수 있다.The first magnet 120 has a first polarity 120a that is fixed to the disk 100 and is exposed to a portion of the disk 100 opposite to the second magnet 230, Portion may be a permanent magnet magnetized in a vertically stacked structure so as to have a second polarity 120b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polarity 120a.

또한, 제 2 자석(230)에서 제 1 자석(120)과 마주보는 부분은 제 2 극성(120b)과 다른 극성인 제 1 극성(230a)을 가지고, 캘리퍼 하우징(200)에 고정되는 부분이 제 2 극성(230b)을 가지도록 상하 적층 구조로 착자시킨 영구자석일 수 있다.The portion of the second magnet 230 facing the first magnet 120 has a first polarity 230a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polarity 120b and a portion fixed to the caliper housing 200 And may be a permanent magnet magnetized in a vertical lamination structure so as to have a bipolarity 230b.

예를 들면, 제 1 자석(120)에서 디스크(100)에 고정되는 부분이 S극이라면, 디스크(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N극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자석(230)에서 제 1 자석(120)과 마주보는 부분은 S극을 가지고, 캘리퍼 하우징(200)에 고정되는 부분은 N극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ortion of the first magnet 120 fixed to the disk 100 is an S pole, the portion of the disk 100 exposed to the outside may have N poles. A portion of the second magnet 230 facing the first magnet 120 has an S-pole, and a portion of the second magnet 230 fixed to the caliper housing 200 may have an N-pole.

이와 반대로, 제 1 자석(120)에서 디스크(100)에 고정되는 부분이 N극이라면, 디스크(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S극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자석(230)에서 제 1 자석(120)과 마주보는 부분은 N극을 가지고, 캘리퍼 하우징(200)에 고정되는 부분은 S극을 가질 수 있다.On the contrary, if the portion of the first magnet 120 fixed to the disk 100 is N-pole, the portion of the disk 100 exposed to the outside may have the S-pole. The portion of the second magnet 230 facing the first magnet 120 has an N pole and the portion fixed to the caliper housing 200 can have an S pole.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제 1 자석(120) 및 제 2 자석(230)의 극성이 후자와 같이 착자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자석(120) 및 제 2 자석(230)의 극성은 전자와 같이 착자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polarities of the first magnet 120 and the second magnet 230 are magnetiz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magnet 120 and the second magnet 230 The polarity may be magnetized like an electron.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기화되지 않는 것으로서, 전류를 입력받기 위한 전선 및 전기적 장치가 꼭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 1 자석(120) 및 제 2 자석(230)으로 적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 1 자석(120) 및 제 2 자석(230)으로는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The electromagnet is magnetized when the electric current flows and is not magnetized when the electric current does not flow, and electric wires and electric devices for inputting the electric current are indispensable. Therefore, it may not be suitable to be applied to the first magnet 120 and the second magnet 23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permanent magnets can be applied to the first magnet 120 and the second magnet 230 of the present embodiment.

한편, 전기생성부(240)는 제 1 자석(120) 및 제 2 자석(230)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자석(120)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를 생산한다. 전기생성부(240)를 통해 생산되는 전기는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축전지에 저장되도록 축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 120 and the second magnet 230 to generate electricity induced by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magnet 120. The electricity generated through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orage battery to be stored in the battery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in this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전기생성부(240)는 일단 또는 양단이 캘리퍼 하우징(200)의 수용홈(202)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생성부(240)는 다단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코어 구조물로서, 이는 철심에 코일이 권선된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코일이 권선되는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코일이 권선된 횟수가 많을수록 전류의 세기가 향상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electricity generating portion 240 may b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202 of the caliper housing 200. Here,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40 is a plate-shaped core structure arranged in multi-stages, and it can use a ferrite core in which a coil is wound around an iron core or a coil is wound. The greater the number of times the coil is wound, the more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can be improved.

한편, 영구자석은 한가지 극성만을 가질 수는 없다. 즉, 일측에 N극이 형성되면, 타측에는 반드시 S극이 형성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a permanent magnet can not have only one polarity. That is, when the N pole is formed on one side, the S pole must be formed on the other side.

이에 따라, 제 1 자석(120)의 자속이 제 2 자석(230)으로 온전히 향하지 못하고, 제 1 자석(120)의 반대편에 형성된 극으로 일부 누설될 수 있다. 제 2 자석(230) 또한 제 1 자석(120)과 마주하지 않는 면에 위치한 극에 의해 자속이 누설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gnetic flux of the first magnet 120 can not completely be directed to the second magnet 230, but can be partially leaked to the pol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magnet 120. The magnetic flux can be leaked by the pol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magnet 230 not facing the first magnet 120 as well.

따라서, 제 1 자석(120)과 제 2 자석(230)의 서로 마주보지 않는 부분에는 차페부(122, 232)가 구비되어 자기장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1 자석(120)의 제 1 극성(120a)을 가지는 부분과, 제 2 자석(230)의 제 2 극성(230b)을 가지는 부분에는 차페부(122, 2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자석(120)과 제 2 자석(230)에 의한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120 and 230 can be prevented from leakage of magnetic fields by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0 and 232 at the portions not facing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0 and 230 may have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0 and 232,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230 and 230 may have a first polarity 120a and a second polarity 230b. As a result,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the first magnet 120 and the second magnet 230 can be maximized.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a disk brak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a self-powered device applied to a disk brak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02) 및 제 1 자석(12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insertion groove 102 and the first magnet 1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02)은 디스크(100)의 둘레와 동심원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삽입홈(102)에는 복수의 제 1 자석(120)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02 may be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 1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102,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the brake of the disc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자동차의 이동에 따라 디스크(100) 브레이크가 회전하고, 디스크 브레이크 상에 배치된 제 1 자석(120) 또한 회전하게 된다.First, as the vehicle moves, the disc 100 brake is rotated, and the first magnet 120 disposed on the disc brake is also rotated.

이 때, 제 1 자석(120)의 회전에 따라 제 1 자석(120)과 제 2 자석(230)의 상대적인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하게 되고, 제 2 자석(230)의 주변에는 자기장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rst magnet 120 and the second magnet 230 is continu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magnet 120, and a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occurs around the second magnet 230 have.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기생성부(240)에는 전류가 유도되어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 전기생성부(240)에서 생산된 전기는 축전지로 이동하여 저장되고, 저장된 전기는 자동차의 이동 또는 자동차에 구비된 전기장치의 작동에 사용될 수 있다.A current may be induced in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40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to produce electricity.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40 may be transferred to a battery and stored, and the stored electricity may be used for movement of an automobile or operation of an electric apparatus provided in the automobil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였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the disc brak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a disc brak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c brak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는 제 1 자석(120), 제 2 자석(230) 및 전기생성부(240)를 포함한다.4, the self-power generation apparatus applied to the disc brak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magnet 120, a second magnet 230, and an electricity generation unit 240. [

여기서, 제 1 자석(120), 제 2 자석(230) 및 전기생성부(240)는 배치되는 위치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since the first magnet 120, the second magnet 230, and the electricity generating part 24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positions in which they are disposed,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 1 자석(120)은 디스크(10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자석(230)은 캘리퍼 하우징(200)에 형성되는 수용홈(202)에서 디스크(10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4, the first magnet 12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 100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magnet 230 may be installed in a receiving groove 202 formed in the caliper housing 200 at a por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 100.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삽입홈(102) 및 제 1 자석(120)이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디스크(100)의 외주면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의 삽입홈(102)이 형성되고 각각의 삽입홈(102)에 제 1 자석(120)이 삽입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nsertion groove 102 and the first magnet 1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02 may b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first magnet 120 may be inserted into each insertion groove 102.

이 경우, 전기생성부(240)는 제 1 자석(120)과 제 2 자석(230) 사이에 배치되되, 캘리퍼 하우징(200)에 형성된 수용홈(202)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전기생성부(240)는 수용홈(20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 120 and the second magnet 230, and may be installed across the receiving recess 202 formed in the caliper housing 200. That is, both ends of the electricity generating part 240 may be fixed to the facing surfaces of the receiving grooves 202.

이로써, 제 1 자석(120), 제 2 자석(230) 및 전기생성부(240)가 디스크(100)의 회전에 따른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magnet 120, the second magnet 230, and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40 may not be affected by the rotation of the disk 100.

본 실시예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의 작동은 제 1 실시예의 작동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eration of the self-power generation apparatus applied to the disc brak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디스크 102: 삽입홈
110: 휠 샤프트 120: 제 1 자석
122: 차페부 200: 캘리퍼 하우징
202: 수용홈 210: 브레이크 패드
220: 유압장치 230: 제 2 자석
232: 차페부 240: 전기생성부
100: Disk 102: Insert groove
110: wheel shaft 120: first magnet
122: car frame 200: caliper housing
202: receiving groove 210: brake pad
220: Hydraulic device 230: Second magnet
232: Chipper 240: Electric generating part

Claims (11)

자동차의 휠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휠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디스크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크와 동심원 상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 1 자석;
상기 디스크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디스크에 밀착시켜 디스크의 회전을 제한하는 유압장치가 내장되는 캘리퍼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제 1 자석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자석; 및
상기 제 1 자석 및 상기 제 2 자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자석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생성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A first magnet disposed on a circular plate shaped disk coupled with a wheel shaft of the automobile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wheel shaft, the first magnet being disposed on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disk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disk;
And a hydraulic pressure device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disc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pad of the automobile so as to face the first magnet on one side of the caliper housing A second magnet; And
An electricity genera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to generate electricity induced by a change in magnetic field due to rotation of the first magne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c brak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디스크의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on a plane of the dis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은,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상기 브레이크 패드와 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gnet comprises:
Wherein the brake is disposed at a position other tha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rake pad when the driver depresses the brak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k.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생성부는,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comprises:
And wherein the main brake is disposed across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caliper housing.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는,
링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는 링 형상의 상기 제 1 자석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In the disk,
Wherein a ring-shaped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ring-shaped first magnet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삽입홈에는 제 1 자석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In the disk,
Wherein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formed, and a first magnet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groov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은,
상기 디스크에 고정되는 부분이 제 1 극성을 가지고, 상기 제 2 자석과 마주보는 부분이 상기 제 1 극성과 서로 다른 극성인 제 2 극성을 가지도록 상하 적층 구조로 착자시킨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gnet comprises:
Wherein the portion fixed to the disk has a first polarity and the portion facing the second magnet has a second polarity different from the first polarity.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disc brake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제 1 자석과 마주보는 부분은 상기 제 2 극성과 다른 극성인 제 1 극성을 가지고, 상기 캘리퍼 하우징에 고정되는 부분이 제 2 극성을 가지도록 상하 적층 구조로 착자시킨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magnet comprises:
Wherein the portion facing the first magnet has a first polarity different from the second polarity and the portion fixed to the caliper housing is a permanent magnet magnetized in a vertical lamination structure so as to have a second polarity, Self-generating device applied to disc brake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 및 상기 제 2 자석의 자력의 세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agnetic forces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are equal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자석과 제 2 자석의 서로 마주보지 않는 부분에는 차폐부가 구비되어 자기장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hielding portion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not facing each other to prevent leakage of a magnetic field.
KR1020160107263A 2016-08-23 2016-08-23 Self Generating Apparatus of Disk Break KR101893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263A KR101893095B1 (en) 2016-08-23 2016-08-23 Self Generating Apparatus of Disk Brea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263A KR101893095B1 (en) 2016-08-23 2016-08-23 Self Generating Apparatus of Disk Brea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20A true KR20180022220A (en) 2018-03-06
KR101893095B1 KR101893095B1 (en) 2018-10-04

Family

ID=6172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263A KR101893095B1 (en) 2016-08-23 2016-08-23 Self Generating Apparatus of Disk Brea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09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22B1 (en) * 2018-07-16 2019-06-03 옥재동 Discs combined with cast iron and aluminum
KR102030281B1 (en) * 2018-07-16 2019-10-08 옥재동 Self-powered calip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361A (en) 2000-10-17 2002-04-26 Isuzu Motors Ltd Eddy current type reducer
JP2009210054A (en) 2008-03-05 2009-09-17 Daihatsu Motor Co Ltd Wheel constru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22B1 (en) * 2018-07-16 2019-06-03 옥재동 Discs combined with cast iron and aluminum
KR102030281B1 (en) * 2018-07-16 2019-10-08 옥재동 Self-powered cali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095B1 (en)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013B1 (en) Magnetorheololgical fluid brake device with self-generating function
US20140042752A1 (en) Method and system to generate electricity
JP2011509064A (en) Rotor for electric machine
CN107425647B (en) Vehicle-mounted flywheel battery adopting five-degree-of-freedom hybrid magnetic bearing
US10734881B2 (en) Eddy current retarder with electricity generating function
EP2466729B1 (en) Power generating device and braking device
KR101893095B1 (en) Self Generating Apparatus of Disk Break
JP4811114B2 (en) Stator fixing structure and vehicle
CN104756379A (en) Variable reluctance resolver having integra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and rotary electric machine having same
US20110290581A1 (en) Steering drive for a motor vehicle
US20200282822A1 (en) In-wheel motor driving apparatus
JP5359236B2 (en) Inner rotor type motor
KR102625857B1 (en) Driven Motor for Electric Vehicle
KR101971293B1 (en) Motor for in-wheel working device
KR200237564Y1 (en) electricvehicle rechargeable
KR102569493B1 (en) Resolver Mounting Structure For Motor
KR102521691B1 (en) A generator
KR20200080381A (en) System of chargin an electric vehicle
US11606007B2 (en) Motor and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same
WO2023135513A1 (en) Permanent magnet brake
KR101452116B1 (en) power connecting apparatus and gener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RU125141U1 (en) DEVICE FOR DEVELOPMENT OF ELECTRIC ENERGY FROM CAR WHEELS
BG67100B1 (en) Battery charger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
KR20170114278A (en)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apparatus using the rotation of the disk
KR20220108559A (en) In wheel driv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