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181A - 센서 자동분류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자동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181A
KR20180022181A KR1020160107165A KR20160107165A KR20180022181A KR 20180022181 A KR20180022181 A KR 20180022181A KR 1020160107165 A KR1020160107165 A KR 1020160107165A KR 20160107165 A KR20160107165 A KR 20160107165A KR 20180022181 A KR20180022181 A KR 20180022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ube
unit
base pl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수
Original Assignee
(주)아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즈텍 filed Critical (주)아즈텍
Priority to KR102016010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181A/ko
Publication of KR2018002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16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radiation transmissivity, e.g. for light, x-rays, particle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자동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몸체의 바깥을 향하여 하방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분류부; 베이스판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구동하면서 센서의 품질 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센서 분류부로 센서를 이송시키는 슬라이딩 이송부; 및 센서 고정구로부터 검사 완료된 센서를 슬라이딩 이송부로 전달하는 푸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 품질의 센서로부터 불량품질까지 다양한 종류로 센서를 센서의 품질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센서 보관시 사용한 튜브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튜브에 센서를 안전하게 자동으로 보관함으로써 우수품질의 센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포장을 위한 조치가 불필요하여 센서 분류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불량품은 별도로 보관할 수 있어 불량센서를 정상품에 포함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자동분류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separating sensors}
본 발명은 센서 자동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센서의 품질상태를 테스트하여 센서의 품질상태에 따라 센서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는 센서 자동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서는 물리량에 관한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검출하고 신호를 가하여 전기량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센서의 종류로는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유량 센서, 지자기 센서, 광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이 있다.
특히, 지자기 센서는 주변의 지자계의 자속밀도에 반응하여 센서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전자 나침반, 항공기 등의 항법 시스템 등에서 위치 및 방향 검출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물체의 운동상태를 상세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기차, 선박, 비행기 등 각종 수송수단, 공장자동화 및 로봇 등의 제어시스템 등에 있어서 필수적인 센서이다.
아울러,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회전하는 물체에 대한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자동차, 기차, 선박, 비행기 등 각종 수송수단 등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의 센서는 제품으로 출시전에, 성능시험을 필수적으로 거친다. 이때, 센서의 성능시험은 센서에 직접적으로 물리량을 인가하고, 전기적인 출력을 측정함으로써, 그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보통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람이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하나씩 확인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측정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품질확인된 센서를 별도의 포장공정을 위해 포장공정으로 이동시켜 포장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포장공정 중에 센서가 섞이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생산능률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001557호, 센서 검사장치, 2008년 06월 0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의 품질에 따라 센서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는 센서 자동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와 몸체의 상측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지지판에 센서가 수납된 튜브가 적재되도록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브 적재부와 튜브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어 튜브 적재부로부터 공급되는 튜브를 일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튜브 이송부와 이송된 튜브의 양단 중 어느 한 단을 고정하여 튜브가 고정된 상태에서 튜브를 회동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판보다 하방향에 위치하도록 몸체에 결합되며, 원판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센서를 고정하는 복수의 센서 고정구를 구비하여 회전 구동하는 회전판을 구비하고, 지지판에 형성된 센서 배출홀을 따라 튜브에 수납된 센서를 이동시키는 센서 이송부와 센서 이송부에 안착된 센서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센서검사부 및 검사가 완료된 센서의 품질에 따라 센서를 분리하는 센서분리 배출부;를 포함하는 센서 자동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센서분리 배출부는 회전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몸체의 바깥을 향하여 하방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분류부; 베이스판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구동하면서 센서의 품질 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센서 분류부로 센서를 이송시키는 슬라이딩 이송부; 및 센서 고정구로부터 검사 완료된 센서를 슬라이딩 이송부로 전달하는 푸셔;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이송부는 검사가 완료된 센서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센서 이동홈이 형성되어 베이스판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판; 베이스판의 하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판을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타이밍 벨트; 및 센서 이동홈의 종단에서 베이스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검사가 완료된 센서를 해당하는 센서 분류부로 도달되기까지 이동을 제한하는 핀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분류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품질 분류부 및 벌크 분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우수품질 분류부는 베이스판 위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송부에서 이송된 센서를 하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센서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부; 및 센서 안내홈의 동일 축선을 따라 베이스판 위에 서로 이격 배치되며, 속이 빈 공튜브가 적재되도록 고정홈을 구비하는 공튜브 적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판은 공튜브 적재부의 일측면에 이격되어 공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릿홀; 및 공튜브 적재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이상 배치되며, 공튜브 적재부의 배치된 공튜브에 센서의 수납이 완료되면, 수납이 완료된 공튜브를 슬릿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슬릿홀의 길이는 공튜브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벌크 분류부는 검사가 완료되어 우수 품질 분리부에 수용되지 않은 센서를 품질의 상태에 따라 분류하는 복수의 배출유로를 구비하고, 유로 중 적어도 하나는 불량품을 배출하는 불량품 배출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자동분류 장치는 우수 품질의 센서로부터 불량품질까지 다양한 종류로 센서를 센서의 품질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센서 보관시 사용한 튜브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튜브에 센서를 안전하게 자동으로 보관함으로써 우수품질의 센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포장을 위한 조치가 불필요하여 센서 분류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불량품은 별도로 보관할 수 있어 불량센서가 정상품에 포함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x-y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의 튜브 이송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센서검사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1의 센서검사부를 F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의 회전 구동부가 튜브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의 회전 구동부가 튜브를 파지하여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의 센서분리 배출부의 부분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의 우수품질 분류부에 공튜브를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G"에 대한 동작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는 튜브에 수납되는 복수의 센서의 품질상태를 판단하고, 센서의 품질상태에 따라 센서를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센서는 튜브에 수납된 상태에서 배출되며, 튜브는 센서의 배출이 완료되면 공튜브를 형성하여 센서의 품질 상태에 따라 튜브가 수납될 수 있도록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x-y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 튜브 이송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센서검사부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5는 도1의 센서검사부를 F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는 몸체(100), 튜브 적재부(200), 튜브 이송부(300), 회전 구동부(400), 센서 이송부(500), 센서검사부(600) 및 센서분리 배출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상면에 상방향으로 이격배치되어 튜브 적재부(200)를 지지하는 지지판(110)을 구비한다. 지지판(110)의 각 모서리는 기둥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100)의 상면에는 튜브 적재부(200), 튜브 이송부(300), 회전 구동부(400), 센서 이송부(500), 센서검사부(600) 및 센서분리 배출부(700)가 배치된다.
튜브 적재부(200)는 지지판에 몸체(100)의 일측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배치어 튜브(T)를 적재하도록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튜브 적재부(20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홈을 형성하고, 홈을 따라 튜브(T)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튜브가 바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튜브 적재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에 배치된 적재부(200a)의 튜브공급이 완료되면, 후방에 배치된 적재부(200b)의 튜브를 연속해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에 배치된 적재부(200b)의 튜브를 공급할 때, 전방 적재부(200a)에 튜브를 적재함으로써 튜브를 연속해서 공급하여 튜브에 수납되어 있는 센서를 연속해서 공급하여 센서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튜브 적재부(200)는 하단에 튜브 이송부(300)를 통해 튜브를 일방향을 따라 이송할 때, 이송되는 튜브의 상단에 배치된 튜브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한하는 실린더(2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튜브 이송부(300)는 튜브 적재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튜브 적재부(200)로부터 공급되는 튜브를 일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레일(310), 이동부(320) 및 액추에이터(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31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지지판(110)에 서로 이격되어 이웃하여 배치된다.
이동부(320)는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튜브를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제1 슬라이딩부(321), 제2 슬라이딩부(322) 및 튜브 고정구(323)를 구비한다. 제1 슬라이딩부(321) 및 제2 슬라이딩부(322)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액추에이터(330)의 구동에 따라 레일(310) 위에서 슬라이딩 구동된다. 이와 같이 제1 슬라이딩부(321) 및 제2 슬라이딩부(322)로 형성됨으로써 튜브의 이송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튜브를 이송시킬 수 있다.
튜브 고정구(323)는 제2 슬라이딩부(322)의 양측 종단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제2 슬라이딩부(322)의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튜브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튜브 고정부(323)는 홈이 형성되어 이동부(320)에 의해서 일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튜브가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400)는 튜브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된 튜브의 양단 중 어느 한 단을 고정하여 튜브가 고정된 상태에서 튜브를 회동 구동시켜 센서 이송부(500)로 센서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하 도 6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센서 이송부(500)는 회전 구동부(400)가 회전되면 지지판(110)에 형성된 센서 배출홀(111)을 따라 튜브에 수납된 센서를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회전판(510), 센서 이송레일(520) 및 센서 고정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판(51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판(110) 보다 하방향에 위치하여 지지판(100)의 일 측면에 이격 배치된다. 회전판(510)은 회전판(510)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향하여 반복 패턴으로 형성되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판(510)이 몸체(100)에 결합되어 모터 구동에 의해서 회전구동 할 때, 전제척인 무게를 감소되어 전력부하를 감소시키면서 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센서 이송레일(520)은 센서 배출홀(111)을 따라 배출되는 센서를 센서 고정구(53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센서 이송레일(520)은 센서를 자유낙하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경사가 급하게 형성되다가 완만한 경사로 형성됨으로써 센서 고정구(530)에 센서가 빠르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 고정구(530)는 회전판(51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 고정구(530)는 45도 간격으로 배치되었으나, 3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센서 고정구(530)는 센서 이송레일(520)의 공급방향을 따라 센서 고정홈(531)이 형성되고, 공급된 센서를 수납한다. 이때, 센서 고정구(530)의 상측면은 개구부(532)를 형성한다. 개구부(532)는 센서에서 발광되는 빛이 센서검사부(600)에 전달되도록 하고, 반사된 빛이 다시 센서 고정구(530) 내측의 센서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센서검사부(600)는 센서 이송부(500)에 안착된 센서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제1 인가부(610), 제2 인가부(620), 제1 측정부(630) 및 제2 측정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인가부(610)는 복수의 센서 고정구(520) 중 하나의 센서 고정구(530) 하면에 배치되며, 센서 고정구(530)에 배치된 센서에 수직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인가한다. 제1 인가부(6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는 센서의 상태에서 따라 발광을 하게 되고, 발광된 빛이 반사되면 수광하게 된다.
한편, 제1 인가부(610)는 센서 이송레일(520)에서 공급된 센서에서 소정각도로 회전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최초 센서 공급되는 위치와 센서 검사 위치에 소정의 시차를 형성함으로써 센서 검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2 인가부(620)는 제1 측정부(630)에서 회전판(510)의 외주면 바깥에 배치되어 센서 고정구(530)에 배치된 센서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센서에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인가부(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는 센서의 상태에 따라 발광을 하게 되고 발광된 빛이 반사되면 수광하게 된다.
한편, 제1 측정부(630) 및 제2 측정부(640)는 제1 인가부(610) 및 제2 인가부(62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제1 인가부(610) 및 제2 인가부(620)의 전기신호에 따라 센서에서 발생한 빛을 수광하고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측정부(630)는 센서 고정구(530)의 상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센서 고정구(530)에 형성된 개구부(532)를 따라 이동하는 미러 측정부(631)와 미러 측정부(631)를 구동시키는 미러 구동부(632)를 구비한다.
한편, 미러 측정부(631)는 종단에 제1 미러(631a)와 제2 미러(631b)를 구비한다. 제1 미러(631a)와 제2 미러(631b)는 미러 구동부(632)의 구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적으로 변경된다. 이때, 제1 인가부(610) 및 제2 인가부(620) 중 적어도 하나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1 미러(631a)가 센서 고정구(530)의 개구부(532)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센서에서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고 반사한다. 그 다음에, 미러 구동부(632)에 의해서 제2 미러(631b)를 센서 고정구(530)의 개구부(532)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센서에서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미러(631a)는 미러 측정부(631)의 하방향으로 1도 기울어진 것이며, 제2 미러(631b)는 미러 측정부(631)의 하방향으로 4도 기울어진 것으로서, 제1 미러(631a)와 제2 미러(631b)는 서로 다른 기울기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 미러에 대해서 센서의 반응 특성을 확인하여 센서의 적합성 유무를 더욱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2 측정부(640)는 미러 측정부(630)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종이 측정부(641)와 종이 측정부(641)를 구동시키는 종이 구동부(642)를 구비한다. 종이 측정부(641)는 제2 미러(631b)에 의해서 센서의 발광 및 수광이 완료되면 종이 구동부(642)에 의해서 종이 측정부(641)를 센서 고정구(530)의 개구부(532) 상측에 위치시켜 센서에서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고 반사한다.
이와 같이, 센서는 각각의 미러 측정부(631)와 종이 측정부(641)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게 되며, 수광된 빛의 수광 패턴 신호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센서가 불량인지 정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정상품에 대해서도 품질의 차이에 구분하여 센서분리 배출부(700)를 통하여 센서를 분류시킬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의 회전 구동부가 튜브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의 회전 구동부가 튜브를 파지하여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의 회동 구동부(400)는 파지부(410) 및 회전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지부(410)는 튜브 고정구(323)에 안착된 튜브의 양단 중 일단을 파지하는 것으로서, 튜브 고정부(323)의 일측에 이격배치 된다. 이때 파지부(410)는 튜브 고정구(323)에 안착된 튜브의 일단을 삽입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파지홀(411)과 파지홀(411)을 튜브 고정부(323)로 이동시키는 파지홀 이송부(412)를 구비한다. 이때, 튜브 이송부(300)에 의해서 튜브 고정구(323)에 안착된 튜브가 설정된 위치에 이동하면, 파지홀(411)이 튜브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파지홀 이송부(412)는 슬라이딩 구동된다.
이때, 회전부(420)는 파지부(410)에 튜브가 끼워지게 되면 파지부(410)를 90도 회전시킨다. 파지부(410)가 90도 회전하게 되면, 튜브의 종단은 센서 배출홀(111)과 동일한 위치로 설정되고, 튜브에 수납된 센서는 센서 이송레일(520)을 따라 이동하여 센서 고정구(530)에 안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의 센서분리 배출부의 부분확대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의 우수품질 분류부에 공튜브를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G"에 대한 동작 상세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 분리 장치의 센서 분리부(700)는 베이스판(710), 센서 분류부(720), 슬라이딩 이송부(730), 및 푸셔(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판(710)은 회전판(5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몸체(100)의 바깥을 향하여 하방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된다. 이때, 베이스판(710)의 기울기는 하방향을 따라 25 ~ 35 도 이내로 형성되어 센서 분류부(720)에서 슬라이딩되는 센서를 자유낙하 시킬 수 있다.
베이스판(710)은 슬릿홀(711) 및 배출부(712)를 구비한다. 슬릿홀(711)은 베이스판(710)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길이방향의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납이 완료된 튜브를 베이스판(7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수납함(713)으로 이동시키는 유로 역할을 한다. 배출부(712)는 공튜브 적재부(7213) 사이에 배치된다. 배출부(712)는 수납이 완료된 공튜브를 슬릿홀(711)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하여 수납이 완료된 센서를 슬릿홀(711)로 통하여 수납함(713)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슬릿홀(711)의 길이는 공튜브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배출부(712)는 LM 가이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튜브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셔 플레이트(7121)와 푸셔 플레이트(712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7122) 및 푸셔 플레이트(7122)를 구동시키는 실린더(71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푸셔 플레이트(7121)는 공튜브 적재부(7213) 사이에서 튜브의 일측면을 균일하게 흔들림없이 슬릿홀(711)로 배출시킴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센서가 바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 분류부(720)는 베이스판(710)의 상측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품질 분류부(721) 및 벌크 분류부(722)를 구비할 수 있다.
우수품질 분류부(721)는 센서검사부(600)에서 검사된 센서 중 센서의 품질상태가 가장 우수한 센서를 분류하는 것으로서, 안내부(7211) 및 공튜브 적재부(7213)를 구비한다.
안내부(7211)는 베이스판(7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슬라이딩 이송부(730)에서 이송된 센서를 소정시간 동안 대기시키면서 하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하방향을 따라 센서 안내홈(7212)이 형성된다. 공튜브 적재부(7213)는 센서 안내홈(7212)의 동일 축선을 따라 베이스판(710)의 상측과 하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공튜브 적재부(7213)는 공튜브를 상방향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로 인해서, 적재된 공튜브는 공튜브 적재부(7213)의 x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방향(z축 방향)으로만 이동이 허용되어 센서 안내홈(7212)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다.
안내부(7211)의 종단에 공튜브 적재부(7213)를 배치시킴으로써, 센서 안내홈(7212)을 따라 공튜브로 튜브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소정의 시간차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따라서 센서가 공튜브를 따라 센서를 연속해서 수납되도록 하거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센서를 간단하게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공튜브(TE)는 센서를 검사하기 위해서 센서를 수납했던 튜브일 수 있다.
이때, 상측에 위치하는 공튜브 적재부(7213)의 상단에는 안내부(7211)에서 센서의 하방향 이동을 구속 또는 해지하는 상부푸셔(7214)를 구비한다. 이때, 상부푸셔(7214)의 종단에는 튜브가이드 블록(7215)이 배치된다. 튜브 가이드 블록(7215)은 안내부(7211)를 향하여 튜브를 이동시킬 때에, 같은 위치로 튜브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는 안내부에서 튜브속으로 걸림없이 원활하게 유도됨으로써 배출이 일정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하측에 위치하는 공튜브 적재부(7213)의 하단에는 하부푸셔(7215)를 구비한다. 하부푸셔(7214)는 베이스판(710) 면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이동핀(7216)을 구비한다. 공튜브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공튜브의 상단과 안내부(7211)의 종단 사이에는 유격(E)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하부푸셔는 베이스판(710) 면을 따라 공튜브를 이동시켜 공튜브의 상단과 안내부(7211)의 종단 사이에 유격이 최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안내부(7211)의 종단에는 제2 핀실린더(72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핀실린더(7216)는 하부푸셔(7214)를 이용하여 공튜브(TE)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튜브가이드 블록(7215)을 따라 배치시킬 때에, 센서의 하방향을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센서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공튜브의 상단은 안내부(721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안내부(7211)로부터 전달되는 센서를 원활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우수품질 분류부(72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수품질 분류부(721)가 한 쌍이 구비되면, 제1 우수품질 분류부(721a)에 적재된 공튜브의 사용이 완료되면 제2 우수품질 분류부(721b)에 적재된 공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2 우수품질 분류부(721b)의 사용중에, 제1 우수품질 분류부(721a)에 공튜브를 적재시킴으로써 연속해서 튜브에 센서를 수납할 수 있다.
검사가 완료되어 우수 품질 분리부(721)에 수용되지 않은 센서는 벌크 분류부(722)를 통하여 품질 상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벌크 분류부(722)는 복수의 배출유로(722a) 및 각각의 배출유로(722a)와 연결되는 수용박스(722b)를 구비한다.
배출유로(722a)는 베이스판(710)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이송부(7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여 정렬 배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이송부(730)는 베이스판(710)의 상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수평 이동거리를 최소화시켜 장치운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배출유로(722a)는 하방향을 향하여 동일하게 이웃하는 종단에서 서로 이웃하는 거리가 벌어지도록 하방향을 향하여 더욱 연장되며, 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배출유로(722a)의 종단에 수용박스(722b)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배출유로(722a)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수용박스(722b)를 크게 할 수 있어 센서의 수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배출유로(722a)는 센서의 등급에 따라 센서의 등급을 A ~ D 등급으로 구분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동일한 등급의 센서를 A ~ D 위치로 수용시킬 수 있다. 이때, 배출유로(722a)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불량품 배출 유로(E)일 수 있다. 따라서 불량품 배출 유로(E)를 따라 수용박스(722b)에 수납된 센서는 폐기 처리함으로써 불량센서가 우수품질 분류부 등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이송부(730)는 베이스판(710)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구동하여 센서의 품질 상태에 따라 센서를 해당하는 센서분리부(72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슬라이딩판(731), 타이밍 벨트(732) 및 핀실린더(733)를 구비한다.
슬라이딩판(731)은 베이스판(710)의 기울기와 동일한 각도로 베이스판(710)의 상측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구동한다. 슬라이딩판(731)은 하방향을 따라 센서 이동홈(7311)이 형성되어 푸셔(740)에 의해 센서 고정구(530)에서 분리된 센서를 센서의 품질 상태에 따라 센서 분류부(72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센서의 품질 상태는 우수한 품질, 보통의 상태 또는 불량품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타이밍 벨트(732)는 베이스판(710)의 후면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슬라이딩판(731)을 슬라이딩 구동시킨다.
핀실린더(733)는 슬라이딩판(731)에 형성된 센서 이동홈(7311)의 종단에서 슬라이딩판(731)의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센서 이동홈(7311)에 배치된 센서를 해당하는 센서 분류부(720)의 이동시점에 도달되기까지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핀실린더(733)는 슬라이딩판(731)에 수납된 센서를 해당하는 센서 분류부(720)에 도달되기까지 핀을 가동하여 센서 이동홈(7311)의 종단에서 센서의 하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해당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핀을 해제시켜 센서를 센서 이동홈(731a)에서 공튜브로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푸셔(740)는 검사 완료된 센서를 센서 고정구(530)로부터 슬라이딩판(731)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수직지지부(741), 수평지지부(742) 및 핀구동부(743)를 구비한다.
수직지지부(741)는 몸체(1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수평지지부(742)는 수직지지부(741)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센서 고정구(530)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핀구동부(743)는 수평지지부(742)의 종단에 결합되고, 센서 고정구(530)에 수납되어 있는 센서 이동홈(7311)을 향하여 센서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자동분류 장치는 우수 품질의 센서로부터 불량품질까지 다양한 종류로 센서를 센서의 품질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센서 보관시 사용한 튜브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튜브에 센서를 안전하게 자동으로 보관함으로써 우수품질의 센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포장을 위한 조치가 불필요하여 센서 분류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불량품은 별도로 보관할 수 있어 불량센서가 정상품에 포함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지지판
200 : 튜브 적재부 210 : 실린더
300 : 튜브 이송부 310 : 레일
320 : 이동부 330 : 액추에이터
400 : 회전 구동부 410 : 파지부
500 : 센서 이송부 510 : 회전판
520 : 이송레일 530 : 센서 고정구
600 : 센서검사부 610 : 제1 인가부
620 : 제2 인가부 630 : 제1 측정부
640 : 제2 측정부 700 : 센서분리 배출
710 : 베이스판 720 : 센서 분류부
730 : 슬라이딩 이송부 740 : 푸셔

Claims (6)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지지판에 센서가 수납된 튜브가 적재되도록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브 적재부와 상기 튜브 적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튜브 적재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튜브를 일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튜브 이송부와 상기 이송된 튜브의 양단 중 어느 한 단을 고정하여 상기 튜브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를 회동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보다 하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원판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센서를 고정하는 복수의 센서 고정구를 구비하여 회전 구동하는 회전판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센서 배출홀을 따라 상기 튜브에 수납된 센서를 이동시키는 센서 이송부와 상기 센서 이송부에 안착된 센서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센서검사부 및 상기 센서의 불량여부 검사가 완료된 센서의 품질에 따라 분리하는 센서분리 배출부;를 포함하는 센서 자동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분리 배출부는,
    상기 회전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몸체의 바깥을 향하여 하방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분류부;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구동하면서 상기 센서의 품질 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상기 센서 분류부로 센서를 이송시키는 슬라이딩 이송부; 및
    상기 센서 고정구로부터 검사 완료된 센서를 상기 슬라이딩 이송부로 전달하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자동분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이송부는,
    상기 검사가 완료된 센서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센서 이동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판;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판을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타이밍 벨트; 및
    상기 센서 이동홈의 종단에서 상기 베이스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상기 검사가 완료된 센서를 해당하는 상기 센서 분류부로 도달되기까지 이동을 제한하는 핀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자동분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분류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품질 분류부 및 벌크 분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자동분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품질 분류부는,
    상기 베이스판 위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이송부에서 이송된 센서를 하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센서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부; 및
    상기 센서 안내홈의 동일 축선을 따라 상기 베이스판 위에 서로 이격 배치되며, 속이 빈 공튜브가 적재되도록 고정홈을 구비하는 공튜브 적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자동분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공튜브 적재부의 일측면에 이격되어 상기 공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릿홀; 및
    상기 공튜브 적재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이상 배치되며, 상기 공튜브 적재부의 배치된 공튜브에 센서의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수납이 완료된 공튜브를 상기 슬릿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릿홀의 길이는,
    상기 공튜브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자동분류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 분류부는,
    검사가 완료되어 상기 우수 품질 분리부에 수용되지 않은 센서를 품질의 상태에 따라 분류하는 복수의 배출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 중 적어도 하나는 불량품을 배출하는 불량품 배출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자동분류 장치.
KR1020160107165A 2016-08-23 2016-08-23 센서 자동분류 장치 KR20180022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165A KR20180022181A (ko) 2016-08-23 2016-08-23 센서 자동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165A KR20180022181A (ko) 2016-08-23 2016-08-23 센서 자동분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181A true KR20180022181A (ko) 2018-03-06

Family

ID=6172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165A KR20180022181A (ko) 2016-08-23 2016-08-23 센서 자동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218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5466A (zh) * 2019-07-24 2019-11-05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监控设备旋转接头自动组装机
CN111232615A (zh) * 2020-01-11 2020-06-05 王震 一种自动化压力检测管材防辐射探伤装置
CN111744821A (zh) * 2020-07-07 2020-10-09 芜湖舜富精密压铸科技有限公司 一种压铸件自动分选装置
CN112893182A (zh) * 2021-01-29 2021-06-04 珠海迪沃航空工程有限公司 一种飞机发动机螺母用智能化矫正检测分类装置及矫正检测分类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5466A (zh) * 2019-07-24 2019-11-05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监控设备旋转接头自动组装机
CN111232615A (zh) * 2020-01-11 2020-06-05 王震 一种自动化压力检测管材防辐射探伤装置
CN111232615B (zh) * 2020-01-11 2021-08-06 王震 一种自动化压力检测管材防辐射探伤装置
CN111744821A (zh) * 2020-07-07 2020-10-09 芜湖舜富精密压铸科技有限公司 一种压铸件自动分选装置
CN112893182A (zh) * 2021-01-29 2021-06-04 珠海迪沃航空工程有限公司 一种飞机发动机螺母用智能化矫正检测分类装置及矫正检测分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2181A (ko) 센서 자동분류 장치
US9696330B2 (en) Sample conveyor apparatus and specimen testing automation system
US77531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handling of baggage objects
US10094845B2 (en) Sample processing apparatus and sample processing method
CN105314310A (zh) 货物搬运设备和方法
WO2013135781A1 (en) Gemstone inspection
CN214107910U (zh) 一种物料缺陷检测及分选设备
KR20150109305A (ko) 반도체 패키지 핸들러
TW201812970A (zh) 線接合器分配系統及其上的雜誌傳送方法
JP2009216698A (ja) 対象物の複数の側面を画像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60011948A (ko) 부품 검사 장치, 검사 부품 분류 장치 및 방법
US7119299B2 (en) Work inspection system
CN105234096B (zh) 半导体元件测试分类设备
KR101611876B1 (ko) 반도체 패키지 핸들러
KR101832279B1 (ko) 센서검사 장치
CN106423896A (zh) 一种尺寸自动检测机
US9248969B2 (en) Tray assembly for balancing weights
JPH1135126A (ja) 農産物保持機能を有する受皿及びこれを用いた選別装置
CN115508361A (zh) 外观检测装置
JP2020011792A (ja) 電子部品搬送システムおよび搬送車
KR101994735B1 (ko) 전자부품 검사장치
WO2022196323A1 (ja)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24318B1 (ko) Led 모듈 분류 시스템
JPH08330381A (ja) 製造装置
JPH07243817A (ja) ペレット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