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644A - 표시 제어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644A
KR20180021644A KR1020170104107A KR20170104107A KR20180021644A KR 20180021644 A KR20180021644 A KR 20180021644A KR 1020170104107 A KR1020170104107 A KR 1020170104107A KR 20170104107 A KR20170104107 A KR 20170104107A KR 20180021644 A KR20180021644 A KR 20180021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object
edge
displayed
scroll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스케 타카기
카츠히토 요시오
나츠코 미야자키
신고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표시 제어장치는, 표시 대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과,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유닛과,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표시 대상의 일부인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지 있지 않을 때에, 스크롤 지시를 접수한 것에 따라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고, 스크롤 지시가 종료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영역에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면 스크롤을 정지하고, 스크롤 지시에 따라 표시 대상을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표시 제어장치 및 그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 대상의 에지를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표시부에 화상의 일부의 영역을 표시하고, 유저의 조작에 의해 표시하는 영역을 변경하면서 화상을 유저가 확인하는 표시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137821호에는, 화상의 에지가 표시되었을 때에 유저가 더 에지쪽으로 이동하는 지시를 하면 표시되어 있었던 영역을 펴서 표시함으로써 화상의 에지가 표시부의 에지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화상의 에지가 표시되고, 유저가 더 에지의 방향으로 화상을 이동시키는 지시를 해도, 화상이 그것보다 더 이동할 수 없을 경우에는, 유저에 화상의 에지에 도달한 것을 통지하면 적합하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137821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이, 화상의 에지가 표시부의 에지에 도달했을 경우에 유저의 의도없이 표시 영역을 펴서 표시하면, 유저가 행하고 있는 조작이 확대 지시 등의 다른 지시로서 입력되었는지, 화상의 에지가 표시부의 에지에 도달했는지 모를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고, 표시 대상이 더 에지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은 것을 유저에게 명확하게 알리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표시 제어장치는, 표시 대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유닛과,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일부인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지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스크롤 지시를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고, 상기 스크롤 지시가 종료하기 전에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면 스크롤을 정지하고, 상기 스크롤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표시 제어장치는, 표시 대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유닛과,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일부인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접수유닛이 상기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스크롤 지시의 강도가 미리 정해진 크기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상기 스크롤 지시의 강도에 근거한 양만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고, 상기 스크롤 지시의 강도가 상기 미리 정한 강도보다도 클 경우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된 것에 따라 스크롤 정지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 대상을 서서히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표시 제어장치는, 표시 대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유닛과,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일부인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스크롤 지시를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고, 상기 스크롤 지시가 종료하기 전에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될 때 스크롤을 정지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지 않고, 상기 스크롤 지시에 따라 서서히 상기 표시 대상의 채도 또는 휘도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추가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 예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의 구성을 적용가능한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의 구성을 적용가능한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스크롤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플릭(flick)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터치 무브(Touch-Move)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a, 6b, 6c, 6d, 6e, 6f, 6g, 및 6h는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7b, 7c, 7d 및 7e는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8b, 및 8c은 본 실시 예의 변형 예의 표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일례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이나 각종 조건에 의해 적당하게 수정 또는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표시부(28)는 화상이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다. 표시부(28)와 일체가 되는 터치 패널(70a)이 설치된다. 셔터 버튼(61)은 촬영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부이며, 셔터 버튼(61)이 눌러지면 제1 단계에서 촬영 지시를 접수하고, 제2 단계에서 촬영을 실행한다. 셔터 버튼(61)을 둘러싸도록 배율 변경 레버(75)가 설치되어 있고, 좌우로 레버를 이동시킴으로써, LV(live view)가 표시되면 줌 배율을 변경하고, 재생 화면에서는 재생의 배율을 변경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60)는 각종 모드를 바꾸기 위한 조작부다. 조작부(70)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을 접수하는 각종 스위치, 버튼, 터치 패널 등의 조작 부재로 이루어지는 조작부다. 다이얼(73)은 조작부(70)에 포함되는 회전 조작 가능한 조작 부재다. 다이얼(73)의 내측에는, 십자 키(74)의 상하좌우 키 74a, 74b, 74c, 74d가 있다. 전원 스위치(72)는, 전원 온 및 전원 오프를 바꾸기 위해 눌러지는 버튼이다. 커넥터(112)는 예를 들면 PC(personal computer)나 프린터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케이블(111)을 디지털 카메라(100)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다.
기록 매체(200)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디스크 등의 비휘발성의 기록 매체다. 기록 매체 슬롯(201)은 기록 매체(200)를 격납하기 위한 슬롯이다. 기록 매체 슬롯(201)에 기록 매체(200)를 격납하면 기록 매체(200)는, 디지털 카메라(100)와의 통신이 가능해져 기록이나 재생이 가능해진다. 커버(202)는 기록 매체 슬롯(201)의 커버이다. 도 1은, 커버(202)를 열어서 슬롯(201)으로부터 기록 매체(200)의 일부를 추출해서 노출시킨 상태의 디지털 카메라(100)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에 있어서, 촬영 렌즈(103)는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군이다. 셔터(101)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셔터다. 촬상부(22)는 광학 상(optical image)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소자 등으로 구성되는 촬상소자다. A/D(analog-to-digital) 변환기(23)는, 촬상부(22)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화상처리부(24)는, A/D 변환기(23)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1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 보간, 축소 등의 리사이즈 처리, 및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부(24)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취득한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노광 제어 및 측거(ranging) 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에 의거하여, 디지털 카메라(100)는 TTL(Through-The-Lens) 방식의 AF(autofocus) 처리, AE(automatic exposure) 처리, EF(electro focus)(flash preliminary emission) 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부(24)는 또한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디지털 카메라(100)는 취득한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TTL 방식의 AWB(automatic white balance) 처리도 행한다.
A/D 변환기(23)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는, 화상처리부(24) 및 메모리 제어부(15)를 통해서 메모리(32)에 기록되거나, 또는, 화상처리부(24)를 통하지 않고 메모리 제어부(15)를 통해 메모리(32)에 직접 기록된다. 메모리(32)는, 촬상부(22)에 의해 취득되고 A/D 변환기(2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와, 표시부(28)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32)는, 소정 매수의 정지화상이나 소정시간의 동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도 충분한 기억 용량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32)는 화상표시용의 메모리(video memory)를 겸하고 있다. D/A(digital-to-analog) 변환기(13)는, 메모리(3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표시용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데이터를 표시부(28)에 공급한다. 이렇게 해서, 메모리(32)에 기록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는 D/A 변환기(13)를 통해 표시부(28)에 의해 표시된다. 표시부(28)는, LDC(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기 위에 D/A 변환기(1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따른 표시를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A/D 변환기(23)에 의해 일단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변환되어 메모리(32)에 축적된 디지털 신호를 D/A 변환기(13)에 의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신호를 표시부(28)에 순차적으로 전송해서 표시함으로써 전자 뷰파인더(viewfinder)로서 기능하고, 스루 더 렌즈(through-the-lens) 화상(라이브 뷰 표시)을 표시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56)는, 시스템 제어부(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소거·기록·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이며,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예를 들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56)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여기에서 기술한 프로그램은,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후술하는 각종 플로차트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디지털 카메라(100) 전체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전술한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본 예시적인 실시 예의 각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52)로서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한다. 시스템 메모리(52)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변수, 불휘발성 메모리(56)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등을 전개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모리(32), D/A 변환기(13), 표시부(28) 등을 제어함으로써 표시 제어도 행한다.
시스템 타이머(53)는 각종 제어에 사용하는 시간이나, 내장된 시계의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측정부다. 모드 전환 스위치(60), 셔터 버튼(61), 및 조작부(70)는 시스템 제어부(50)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유닛이다.
모드 전환 스위치(60)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 모드를 정지 화상 기록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한다.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 포함되는 모드로서는, 오토 촬영 모드, 오토 씬 판별 모드, 메뉴얼 모드, 촬영 씬별의 촬영 설정이 되는 각종 씬 모드, 프로그램 AE 모드, 커스텀 모드 등이 있다. 유저는 모드 전환 스위치(60)를 이용해서 동작 모드를, 메뉴 화면에 포함되는 이들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직접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유저는 모드 전환 스위치(60)를 이용해서 디지털 카메라(100)를 메뉴 화면으로 일단 전환한 후에 또 다른 조작 부재를 이용해서 동작 모드를, 메뉴 화면에 포함되는 이들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영상 촬영 모드에도 복수의 모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셔터 스위치(62)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설치된 셔터 버튼(61)의 조작 도중, 즉 소위 셔터 버튼(61)의 반 누름(촬영 준비 지시) 시에 온 되어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을 발생한다.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에 의해, 시스템 제어부(50)는 AF 처리, AE 처리, AWB 처리, 및 EF(flash preliminary emission) 처리 등의 동작을 시작한다.
제2 셔터 스위치(64)는, 셔터 버튼(61)의 조작 완료 시에, 즉 소위 셔터 버튼(61)의 완전 누름(촬영 지시) 시에 온 되어,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을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에 의해, 촬상부(22)에 의한 정지 화상 촬상 동작으로부터, 촬상부(22)로부터의 신호를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200)에 기록할 때까지의 일련의 촬영 처리의 동작을 시작한다.
조작부(70)의 각 조작 부재는, 표시부(28)에 표시되는 각종의 기능 버튼을 선택 조작하는 것 등에 의해, 장면마다 적당하게 기능이 할당되고, 각종 기능 버튼으로서 작용한다. 기능 버튼으로서는, 예를 들면 종료 버튼, 리턴 버튼, 화상 점프 버튼, 점프 버튼, 피사계 심도 프리뷰(depth-of-field preview) 버튼, 및 속성 변경 버튼 등이 있다. 예를 들면, 메뉴 버튼이 눌러지면, 각종의 설정이 가능한 메뉴 화면이 표시부(28)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부(28)에 표시된 메뉴 화면과, 상하좌우의 4방향 버튼(74), 및 SET 버튼을 사용해서 직감적으로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80)는, 전지 검출 회로, DC-DC(direct-current-to-direct-current) 컨버터, 전원이 공급되는 블록을 전환하는 스위칭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전원 제어부(80)는 전지의 장착의 유무, 전지의 종류, 및 전지 잔량을 검출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80)는,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50)의 지시에 의거하여 DC-DC 컨버터를 제어하고,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에 기록 매체(200)를 포함하는 각 부에 공급한다. 전원 스위치(72)는, 유저로부터의 전원의 온과 오프의 전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부재다.
전원부(30)는, 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 등의 일차 전지, NiCd(nickel-cadmium) 전지, NiMH(nickel metal hydride) 전지, 또는 Li(lithium) 전지 등의 이차 전지, AC(alternating-current) 어댑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록 매체 인터페이스(I/F)(18)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200)와의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200)는, 촬영시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비휘발성의 기록 매체이며, 반도체 메모리, 광디스크, 자기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다.
또한, 조작부(70)의 하나로서, 표시부(28)에 대한 접촉을 검출 가능(터치 검출 가능)한 터치 패널(70a)을 갖는다. 터치 패널(70a)과 표시부(28)는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70a)을, 빛의 투과율이 표시부(28)에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표시부(28)의 표시면의 상층에 부착한다.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입력 좌표와, 표시부(28) 위의 표시 좌표를 서로 관련짓는다. 이 구성은 마치 유저가 표시부(28) 위에 표시된 화면을 직접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지와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을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에의 이하의 조작 혹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 터치 패널(70a)에 터치하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stylus)가 새롭게 터치 패널(70a)에 터치한 것. 즉, 터치의 시작(이하, "터치 다운(Touch-Down)"이라고 칭한다).
* 터치 패널(70a)이 터치 패널(70a)을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로 터치하고 있는 상태인 것(이하, "터치 온(Touch-On)"이라고 칭한다).
* 터치 패널(70a)을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로 터치한 채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하, "터치 무브(Touch-Move)"라고 칭한다).
* 터치 패널(70a)에 터치하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를 터치 패널(70a)로부터 떼어 놓은 것. 즉, 터치의 종료(이하, "터치 업(Touch-Up)"이라고 칭한다).
* 터치 패널(70a)에 아무것도 터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하, "터치 오프(Touch-Off)"라고 칭한다).
"터치 다운"이 검출되면, 동시에 "터치 온"인 것도 검출된다. "터치 다운" 후에, "터치 업"이 검출되지 않는 한은, 통상은 "터치 온"이 계속해서 검출된다. "터치 무브"가 검출되는 것도 "터치 온"이 검출되어 있는 상태다. "터치 온"이 검출되어 있어도, 터치 위치가 이동하고 있지 않으면 "터치 무브"는 검출되지 않는다. 터치 패널(70a)에 터치하고 있었던 모든 유저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가 "터치 업" 한 것이 검출된 후에는, 터치 패널(70a)의 상태가 "터치 오프"로 된다.
이들의 조작/상태와, 터치 패널(70a) 위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가 터치하고 있는 위치 좌표는 내부 버스를 통해서 시스템 제어부(50)에 통지되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제공된 정보에 의거하여 터치 패널(70a) 위에 어떤 조작이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 "터치 무브"에 관해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 위에서 이동하는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의 이동 방향에 관해서도, 위치 좌표의 변화에 의거하여 터치 패널(70a) 위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마다 판정할 수 있다.
터치 패널(70a)에 대하여 "터치 다운"으로부터 소정의 방식으로 "터치 무브"를 행한 후에 "터치 업"을 행했을 때, 스트로크(stroke)를 그린다. 재빠르게 스트로크를 그리는 조작을 "플릭(flick)"이라고 부른다. 플릭은, 터치 패널(70a) 위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를 터치한 채로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유저가 재빠르게 유저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를 이동시킨 후에, 터치 패널(70a)로부터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를 떼어내는 조작이다. 즉, 플릭은 터치 패널(70a) 위를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로 튕기듯이 재빠르게 그리는 조작이다. 터치의 시작으로부터 터치를 떼어 놓을 때까지의 시간이 예를 들면 0.5초나 0.3초로 한 소정시간 내에서 행하는 조작을 플릭이라고 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소정거리 이상을,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되고, 그대로 "터치 업"이 검출되면 플릭이 행해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소정거리 이상을, 소정의 속도 미만으로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드래그"가 행해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
터치 패널(70a)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 유도 방식, 화상 인식 방식, 광센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근거한 터치 패널 중 어떤 터치 패널의 타입을 사용해서든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70a)에 대한 접촉이 있었을 때 터치가 있었다고 검출하는 방식이나, 실제로 터치 패널(70a)에 접촉하지 않고 터치 패널(70a)에 대하여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가 접근하고 있어도 터치가 있었다고 검출하는 방식이, 터치 패널(70a)의 타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 예는 재생 모드에 있어서 복수의 화상을 표시부(28)에 동시에 표시하고, 스크롤 처리를 행할 때의 표시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지금부터는 이 표시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표시부(28)의 영역에 표시 가능한 화상의 매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유저는 스크롤을 행함으로써 차례로 화상을 볼 수 있다.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멀티 재생과 단일 재생이 있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멀티 재생에 있어서 기록 매체(200)(기록부)에 기록되는 복수매의 재생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고, 단일 재생에 있어서는 1매의 재생 화상을 표시한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멀티 재생에 있어서도 단일 재생에 있어서도,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파일에 기록되어 있는 순서로 차례로 표시된 화상(들)을 바꿀 수 있다.
재생 모드는 핀치인(pinch-in) 조작이나 축소 레버 조작, 즉 배율 변경 레버(75) 좌회전의 조작에 의해 단일 재생으로부터 멀티 재생으로 전환 가능하다. 재생 모드는 화상에의 터치, SET 버튼의 누름, 또는 확대 레버의 조작, 즉 배율 변경 레버(75) 우회전에 의해 멀티 재생으로부터 단일 재생으로 전환 가능하다. 또한, 재생 모드는 단일 재생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표시 화상을 바꾸는 조작, 즉 여러 번의 "터치 무브"를 재빠르게 행하거나, 다이얼(73)의 연속적인 회전을 행하면, 스크롤 재생으로 전환된다. 스크롤 재생에 있어서는, 표시부(28)의 중앙에 화상이 1매의 화상이 표시되고, 그 좌우로 2매나 4매의 화상이 표시되어 일렬로 화상이 배열되어 표시된다.
도 3을 참조해서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의 멀티 재생의 스크롤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스크롤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이 처리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전원이 들어가고, 재생 모드가 선택되어, 멀티 재생이 되면 시작한다.
스텝 S3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멀티 재생 화면(600)을 표시부(28)에 표시한다. 도 6a는 멀티 재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고, 현재는 32매의 재상 화상을 나타내지만 36매분의 재생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바 605는 멀티 재생 화상 중에서 현재 표시부(28)에 표시되어 있는 영역의 위치가 어느 근처인가를 나타낸다.
각 화상에 표시되어 있는 번호는, 기록 매체(200)에 기록되어 있는 각 화상의 화상 파일의 정렬 순서를 이해하기 위해서 나타낸 것이며,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는 화상 1∼화상 102까지 있는 것으로 한다. 화상 1(선두 화상)과 화상 102(말미 화상)는 화상 파일순으로 에지에 있는 화상이다. 재생 화면에 있어서는, 단일 재생, 멀티 재생, 또는 스크롤 재생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화상 파일 순서에 따라 화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멀티 재생에 있어서 화상의 일람을 표시한 상태에서, 유저가 표시된 영역을 변경하는 스크롤을 하면, 화상 파일 순서에 따라 차례로 화상이 표시된다. 일단 선두 화상과 말미 화상(즉, 에지)이 표시되면, 거기에서 잠시 이동을 멈춘다.
스텝 S3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6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두 화상용의 가이드 화상인 가이드 화상(604)과, 말미 화상용의 가이드 화상(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표시부에 투과도 T=100%로 배치한다. 가이드 화상은, 선두 화상이나 말미 화상이 표시되고, 더 이상 스크롤 처리를 할 수 없다는 것을 유저에게 나타내기 위한 화상이다. 가이드 화상은 흑색의 그라데이션 화상이다. 재생 화상은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가 저하함에 따라 어두워져 더 보기 어려워진다.
"터치 무브"나 플릭이 된다고 표시되는 화상이 흐르는 것처럼 잇따라서 이동하는 스크롤 처리가 이루어지지만, 스크롤 처리 도중에 에지에 도달했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더 이상 스크롤 처리를 할 수 없다. 스크롤 도중에 선두 화상 혹은 말미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일단 거기에서 스크롤 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하면, 에지 부근의 화상을 찾기 쉬워진다.
가이드 화상은, 더 이상 스크롤 처리의 지시가 있어도 화상은 이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즉, 화상 일람의 에지에 스크롤이 도달한 것을 유저에게 나타내기 위한 화상이다. 스텝 S302에서는 아직, 유저에 의한 스크롤 처리를 디지털 카메라(100)에 지시하는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가이드 화상은 투과도 T=100%, 즉, 유저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최초로 배치된다. 또한, 도 6d에 나타낸 가이드 화상(604)은 선두 화상측의 에지에 스크롤이 도달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가이드 화상(선두용 가이드 화상)에서, 표시부(28)의 상방의 영역에서 색의 농도가 높아지고, 표시부(28)의 하방의 영역에서 색의 농도가 낮아지는 가이드 화상의 예를 나타낸다.
말미 화상측의 에지에 스크롤이 도달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가이드 화상(말미용 가이드 화상)은 표시부(28)의 하방의 영역에서 색의 농도가 높아지고, 표시부(28)의 상방의 영역에서 색의 농도가 낮아진다. 스텝 S302에 있어서 투과도 T=100%로 표시되는 가이드 화상은, 선두용 가이드 화상(604) 및 말미용 가이드 화상의 양쪽을 반드시 가지고 있지 않고,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표시부(28)에 표시되어 있는 멀티 재생 화상이 선두 화상측에 가까운지, 말미 화상측에 가까운지에 따라 그들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스텝 S3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표시부 28)에의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303에서 YES), 처리가 스텝 S304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303에서 NO), 처리가 스텝 S307로 진행된다.
스텝 S3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303의 터치가 개시되었을 때에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이미 표시되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가 도 6a 내지 6h 중에서, 선두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도 6a에 나타낸 멀티 재생 화면(600)의 영역 601의 표시 상태와 말미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도 6b에 나타낸 멀티 재생 화면(600)의 영역 602의 표시 상태 중 어느 하나인지, 혹은 어느 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정한다.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는, 도 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두 화상도 말미 화상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 603과 같은 상태를 나타낸다. 시스템 제어부(50)가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이미 표시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30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305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304에서 NO), 처리가 스텝 S309로 진행된다.
또한, 표시부(28)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스크롤할 정도로 없는 경우, 즉, 기록 매체(200)에 기록되어 있는 재생 화상이 모두 표시부(28)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크롤 처리를 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304 이후의 처리는 행하지 않는다.
스텝 S3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의 위치로부터, 한층 더 에지의 방향으로 스크롤 지시(플릭, "터치 무브", 상하 키 74a, 74b의 누름, 혹은 다이얼(73)의 좌우 회전)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다이얼(73)의 회전 방향이나 버튼(74)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스크롤 지시가 발행된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선두 화상의 표시 중에는, 더 상측의 화상(Y축의 마이너스 방향에 있는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롤 지시가 있었는지, 말미 화상의 표시 중에는, 더 하측의 화상(Y축의 플러스 방향에 있는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롤 지시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도 6a에 표시된 손가락 U는 하방으로의 플릭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플릭은, Y축의 마이너스 방향에 있는 화상을 표시하는 지시로서 처리된다. 선두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개시된 하방으로의 플릭에 의해, 멀티 재생 화면(600)의 다른 방면의 에지로 표시가 바뀐다. 시스템 제어부(50)가 현재 표시되어 있는 에지의 위치로부터 더 에지의 방향으로의 스크롤 지시가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305에서 YES), 처리가 스텝 S306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305에서 NO), 처리가 스텝 S309로 진행된다.
스텝 S3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304에 있어서 표시부(28)에 표되어 있었던 에지와는 반대의 방법의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를 표시부(28)에 표시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된 멀티 재생 화면(600)을 폴더순의 최초(혹은 최후)의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부터 최후(혹은 최초)의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전환한다. 도 6a와 같이 선두 화상을 포함하는 멀티 재생 화면(600)의 영역 601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방으로의 플릭, 하방으로의 "터치 무브", 상 키 74a의 누름, 혹은 다이얼(73)의 좌회전이 입력되면, 표시된 멀티 재생 화면(600)은 도 6b에 나타내는 말미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 602로 전환한다.
스텝 S3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상하 키 74a, 74b의 누름 또는 다이얼(73)의 좌우 회전 등의 터치 조작 이외의 조작으로 스크롤 지시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하 키 74a 혹은 74b의 누름에서는 상하 키 74a 혹은 74b의 1회의 누름으로 1열분의 높이만큼 화상이 이동하고, 다이얼(73)의 좌우 회전에서는 다이얼(73)의 소정 각도의 회전으로 1열분의 높이만큼 화상이 이동한다.
1열은 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낸 화상 67∼72이나 화상 97∼102를 나타낸다. 즉, 멀티 재생 화면(600)의 영역 601이 표시되고, 화상 1 또는 2에 커서가 닿고 있는 상태에서 다이얼(73)이 우회전하거나 또는 하 키 74b가 눌러지면, 멀티 재생 화면(600)이 이동해 화상 1∼2가 비표시되고, 화상 33∼38이 새롭게 표시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커서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커서가 에지에 없는 경우 혹은 커서가 에지에 있어도 조작이 더 에지쪽으로 향한 조작이 아니면, 키 조작이나 다이얼 조작은 커서의 이동 지시로서 처리되고, 스크롤 지시로서는 처리되지 않는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조작 이외의 조작으로 스크롤 지시가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307에서 YES), 처리가 스텝 S310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307에서 NO), 처리가 스텝 S308로 진행된다.
스텝 S3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멀티 재생의 스크롤 처리를 종료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멀티 재생의 스크롤 처리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 오프, 재생 모드를 단일 재생으로 전환, 조작 모드를 촬영 모드로 전환, 메뉴 화면의 표시, 혹은 타임아웃에 의해 종료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멀티 재생의 스크롤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308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50)는 멀티 재생의 스크롤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308에서 NO), 처리가 스텝 S303에 돌아가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기다린다.
스텝 S3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에 있어서 상하 방향(Y축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플릭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상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플릭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309에서 YES), 처리가 스텝 S310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309에서 NO), 처리가 스텝 S311로 진행된다. 스텝 S3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플릭 처리를 행한다. 플릭 처리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 S3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의 좌표(xn, yn)를 취득하고, 취득한 좌표를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처리가 스텝 S309로부터 스텝 S311로 진행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303에 있어서 터치 조작을 시작했을 때 터치 위치의 좌표를 취득하고, 처리가 스텝 S313 또는 스텝 S314로부터 스텝 S311로 진행되었을 경우에는, 현재의 터치 위치의 좌표를 취득한다. 터치 패널(70a)의 좌표는, 도 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70a)의 좌측 위를 원점, 우측 방향을 X축의 플러스 방향, 하측 방향을 Y축의 플러스 방향으로 설정하도록 정의된다.
스텝 S3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가, 상하 방향(Y축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터치 위치("터치 무브")가 이동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터치 위치가 이동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31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313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312에서 NO), 처리가 스텝 S314로 진행된다. 스텝 S3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처리를 행한다. "터치 무브" 처리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해서 후술한다.
스텝 S3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로부터 터치가 떼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터치가 떼어졌다고, 즉 지금까지 행하고 있었던 터치 조작이 종료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31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315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314에서 NO), 처리가 스텝 S311로 진행된다.
스텝 S3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을 서서히 100%로 증가시킨다.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은 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낸 "터치 무브" 처리에 있어서 100% 미만의 값으로 감소될 수 있지만, 시스템 제어부(50)는 일단 터치가 떼어지면 투과도 Tn을, 소정시간마다 소정량씩 증가시켜서 100%로 되돌린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50)는 0.2초마다 10%씩 투과도 Tn을 상승시키거나, 0.03초마다 1%씩 투과도 Tn을 상승시키는 등, 조금씩 투과도 Tn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투과도 Tn을 100%로 되돌린다. 또한, 투과도 Tn이 100%일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315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스텝 S3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에지 표현 플래그를 OFF로 설정한다. 에지 표현 플래그는, 후술하는 도 5에 있어서 멀티 재생 화면(600)의 스크롤 중에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부(28)에 표시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다. 에지 표현 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이것은 이대로 계속해서 스크롤 처리를 계속할 수 없고, 더 이상은 스크롤 지시된 방향으로 멀티 재생 화면(600)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해서 플릭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함으로써 플릭 처리를 실현한다. 이 처리는, 처리가 도 3에 나타낸 스텝 S310로 진행되면 시작된다.
스텝 S4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멀티 재생 화면(600)의 스크롤 처리를 행한다. 스크롤 처리는, 멀티 재생 화면(600) 중 표시부(28)에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조금씩 이동시키고, 표시부(28)에 표시된 화상을 서서히 전환하는 처리다.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멀티 재생 화면(600)은 상하 방향으로만 스크롤한다. 스크롤 처리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스텝 S306과 같이 표시된 화상 전체가 전환되는 것이 아니고, 서서히 화상이 이동한다.
플릭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터치가 벗어나기 직전의 터치 위치의 이동 속도와, 터치를 하고 있었던 시간에 의거해, 멀티 재생 화면(600)의 이동 거리가 결정된다. 터치 위치의 이동 속도가 빠르고 터치를 하고 있는 시간이 짧을수록, 혹은 손가락/스타일러스가 터치 패널(70a) 위를 보다 재빠르고 신속하게 움직일수록, 조작이 강한 플릭으로서 시스템 제어부(50)에 입력되고, 대응하는 멀티 재생 화면(600)의 이동 거리도 길어진다.
플릭 조작이 행해지면, 유저가 터치 패널(70a)로부터 터치를 떼어 놓은 후에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플릭의 강도에 따른 거리만큼 스크롤 처리를 계속한다(도중에 에지에 도달한 경우에는 도중에만 계속한다). 플릭에 의한 스크롤 처리가 시작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이동량을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스텝 S4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플릭의 강도에 따른 거리만큼, 멀티 재생 화면(600)이 이동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플릭의 강도에 따른 거리만큼 멀티 재생 화면(600)이 이동하면, 스크롤 처리가 종료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플릭의 강도에 따른 거리만큼 멀티 재생 화면(600)이 이동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40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09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02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3로 진행된다.
스텝 S4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부(28)에 표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도 6e는, 플릭에 의한 스크롤 처리 중에, 표시부(28)에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되고(영역 601), 즉, 스크롤이 에지에 도달했을 때의 표시를 나타낸 것이며, 멀티 재생 화면(600)의 투과도는 Tn = 100%이다.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된 후에는, 더 이상, 유저가 선단 화상을 플릭한 방향에 따른 방향측에 표시하는 화상이 없기(파일순으로 선단 화상보다 먼저의 화상이 없기) 때문에, 스크롤도 정지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스크롤 처리의 도중에,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뜻밖에 표시부(28)에 표시되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그 이상 스크롤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한다.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했을 경우에 행하는 애니메이션의 표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부(28)에 표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403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04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03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8로 진행된다.
스텝 S404∼S407의 처리는, 플릭에 의한 스크롤 처리의 도중에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되었을 때에,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것을 유저에게 나타내기 위해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를 서서히 감소시킨 후, 다시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를 증가시키는 처리다. 바꿔 말하면, 이 처리는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후, 가이드 화상을 서서히 짙게 하면서 가이드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그 이상 에지쪽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그 후에 가이드 화상을 옅게 함으로써 원래의 표시로 되돌아간다.
스텝 S4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가이드 화상(604)의 투과도 Tn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투과도 Tn을 예를 들면 0.2초마다 10%씩 감소시키거나, 0.03초마다 1%씩 감소시킨다. 도 6f는, 도 6e에 있어서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된 후, 투과도 Tn을 100%로부터 서서히 감소시키는 도중의 표시를 나타낸 것이며, 가이드 화상(604)이 보다 높은 농도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바 605에는 가이드 화상(604)이 중첩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과도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렇게, 시스템 제어부(50)는 멀티 재생 화면(600)을 이동시키지 않고, 에지에 도달한 것에 따라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을 서서히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유저는, 그 이상 멀티 재생 화면(600)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플릭에 의한 처리가 무효로 된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단지 멀티 재생 화면(600)을 이동시키지 않는 것만으로는 유저가 더 스크롤할 수 있는지(화상 1보다 앞의 파일 순서의 화상이 있다), 스크롤이 정지했는지, 플릭 조작 자체가 무효로 되었는지,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했는지를 유저가 모를 가능성도 있다.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직후에 갑자기 투과도가 낮은 (투과도 Tn = 20% 등) 화상을 표시하면,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것이 아니라 새롭게 무엇인가가 표시되기 시작했는가 하고 유저가 인식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를 감소시켜, 가이드 화상을 서서히 짙게 함으로써,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하여, 하방쪽의 플릭이 입력되더라도 그 이상 표시되는 화상이 없다는 것을 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스크롤 처리에 있어서 서서히 표시 영역이 변하는 것과, 투과도 Tn이 서서히 변하는 것은, 시간에 따라 표시가 서서히 변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것을 유저가 쉽게 인식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스텝 S4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가이드 화상(604)의 투과도 Tn이 최소의 투과도로 감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최소의 투과도는, 플릭 처리 중에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했을 때의 애니메이션에서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의 최소값, 즉 가장 높은 농도로 가이드 화상이 표시되었을 때의 투과도를 나타낸다.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은 최소의 투과도까지 1회 감소한 후에 서서히 증가한다. 최소의 투과도는 예를 들면 20%이나 10%와 같은 값에서도 좋고, 0이상 100미만의 값이면 어떤 값이든 괜찮다.
혹은, 플릭의 강도에 따른 거리로부터, 멀티 재생 화면(600)이 실제로 이동한 거리를 뺀 나머지의 거리에 따라 최소의 투과도를 변경해도 된다. 즉, 이동 후에 스크롤이 에지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충족되는 스크롤 거리가 거리 α인 것 같은 플릭의 경우보다도, 이 거리가 거리 β(>α)인 것 같은 플릭의 경우쪽이,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후의 투과도가 감소한다. 에지까지 거리 α 미만의 거리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 유저가 플릭을 하면, 거리 β만큼 멀티 재생 화면(600)을 이동시키려는 의도로 유저가 플릭을 했을 때 거리 β-α 간의 차에 대응하는 양만큼 투과도 Tn이 더 크게 감소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투과도 Tn이 최소의 투과도로 감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405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06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05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4로 돌아가고, 시스템 제어부(50)는 투과도 Tn이 최소의 투과도에 도달할 때까지 투과도 Tn를 감소시킨다.
스텝 S4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가이드 화상(604)의 투과도 Tn을 서서히 증가시킨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투과도 Tn을 예를 들면 0.2초마다 10%씩 상승시키거나, 0.03초마다 1%씩 상승시킨다. 도 6g는, 투과도 Tn이 최소의 투과도로 감소된 후, 다시 서서히 투과도 Tn이 증가하고 있는 도중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404에 있어서의 투과도 Tn의 감소와 스텝 S406에 있어서의 투과도 Tn의 증가를 같은 스피드로 진행시키지만, 스텝 S406의 서서히 증가해 가는 쪽이 더 고속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텝 S4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가이드 화상(604)의 투과도가 Tn=100%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도 6h는, 투과도 Tn이 최소의 투과도로 감소된 후, Tn = 100%로 되었을 때의 멀티 재생 화면(600)을 나타낸 것이다. 즉, 플릭에 의한 스크롤 처리 중에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하면, 도 6e 내지 도 6f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투과도 Tn이 한 번 감소한 후, 다시 도 6g와 같이 증가하고, 최종적으로는 도 6h와 같이 100%로 되돌아온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투과도 Tn이 Tn = 100%에 도달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407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50)는 플릭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07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6로 돌아가고, 시스템 제어부(50)는 투과도 Tn이 Tn = 100%가 될 때까지 투과도 Tn의 증가를 계속한다.
스텝 S4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에의 "터치 다운"(터치의 시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터치 다운"이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40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09에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08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1로 돌아간다. 시스템 제어부(50)가 스텝 S403에 있어서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부(28)에 아직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스텝 S403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8로 진행된 후 "터치 다운"이 행해지면(스텝 S408에서 YES), 스크롤 처리가 정지된다.
스텝 S4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크롤 처리를 정지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가 YES라고 판정한 후에 처리가 스텝 S409로 진행되었을 경우에는, 스크롤하는 속도가 서서히 느려져서 최종적으로 스크롤이 정지한다. 스텝 S40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가 YES라고 판정한 후에 처리가 스텝 S409로 진행되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408에 있어서 "터치 다운"이 행해졌을 때에 표시부(28)에 표시되어 있었던 멀티 재생 화면(600)의 영역을 표시하도록 표시를 제어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해서 "터치 무브"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50)를 실행함으로써 "터치 무브" 처리를 실현한다. 이 처리는, 도 3에 나타낸 처리가 스텝 S313로 진행되면 시작한다.
스텝 S5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에지 표현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에지 표현 플래그는, "터치 무브" 중에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다. 에지 표현 플래그가 ON으로 설정된 경우에 더 에지 방향으로 "터치 무브"를 행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크롤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것을 유저에 나타내기 위해 가이드 화상을 서서히 짙게 하면서 가이드 화상을 표시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에지 표현 플래그가 ON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5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02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501에서 NO), 처리가 스텝 S513로 진행된다.
스텝 S502∼S512은, "터치 무브" 중에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되고, 에지 표현 플래그가 ON으로 되었을 경우에(스텝 S501에서 YES) 행해진 처리다. 스텝 S503∼S506은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후에 더 에지의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졌을 경우(스텝 S502에서 YES)에 행해지는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나타내고, 스텝 S507∼S509은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후 반대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졌을 때에(스텝 S502에서 NO) 행해지는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을 증가시키는 처리를 나타낸다.
스텝 S510∼S512은 에지가 표시된 후 일단 반대 방향으로 유저가 스크롤했지만, 다시 에지의 방향으로 스크롤했을 때(스텝 S503에서 NO)의 처리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더 에지의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는, 에지가 표시되었을 때에 행해지고 있었던 "터치 무브"의 방향의 "터치 무브"이며, 반대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는 에지가 표시되었을 때의 "터치 무브"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를 가리킨다.
스텝 S5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로부터 더 에지의 방향으로 "터치 무브" 처리가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는, 스텝 S517로부터 스텝 S502로 처리가 진행되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후술하는 스텝 S517에 있어서 기록된 Y축의 방향의 "터치 무브" 방향과 같은 Y축의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영역 701로부터 하방으로 스크롤 처리가 행해지고, 영역 702가 표시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고, 이대로 하방으로의 스크롤 지시가 입력되면 스텝 S502의 판정은 YES가 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선단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는, 하방(Y축의 플러스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말미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방(Y축의 마이너스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현재 표시중의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로부터 더 에지의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50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03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즉 시스템 제어부(50)가 현재 표시 중의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로부터 반대 방향으로의 에지를 향해서 "터치 무브"가 행해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502에서 NO), 처리가 스텝 S507로 진행된다.
스텝 S5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도 7a에 나타낸 영역 701에 있어서는 에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스텝 S503의 판정은 NO가 되고, 도 7b에 나타낸 영역 702에 있어서는 선단 화상인 화상 1이 있으므로 스텝 S503의 판정은 YES가 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에지가 표시되어 있다(선두 화상 혹은 말미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503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04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503에서 NO), 처리가 스텝 S507로 진행된다.
스텝 S5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가이드 화상(604)의 투과도 Tn을 Tn = 100 - α*|yn - Ya|로 감소시킨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했을 때의 투과도 100으로부터,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하고 나서 더 에지의 방향으로 유저가 터치 위치를 이동시킨 Y축의 방향의 거리(에지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 거리)와 소정 수 α을 곱한 값을 뺀다.
기준 좌표 Ya는, 멀티 재생 화면(600)이 에지에 도달했을 때에 유저의 손가락 U가 터치하고 있었던 Y축 좌표다. 또한, yn은 현재의 터치 위치의 Y축 좌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기준 좌표 Ya와 현재의 Y축 좌표의 값을 비교하고,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하고 나서 유저가 더 에지의 방향으로 "터치 무브"를 행하는 거리에 따라 가이드 화상의 농도를 서서히 증가시킨다.
도 7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터치 무브"가 수행되어도 표시부(28)에 표시되는 영역은 영역 702인 채로 변경되지 않지만, 가이드 화상(604)의 투과도 Tn이 감소한다. 도 7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7c보다도 더 하방으로의 "터치 무브"를 입력하면 투과도 Tn은 더 감소하고, 가이드 화상(604)의 농도는 증가한다. 따라서, 투과도 Tn은 도 7c의 투과도 > 도 7d의 투과도 Tn가 된다.
또한, 소정 수 α은 터치 패널(70a)의 Y축 방향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혹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Y축 방향의 터치 패널(70a)이 0≤ y ≤A일 경우에, 터치 패널(70a)의 Y축의 반 정도를 "터치 무브" 하면 투과도 Tn이 100에서 20으로 감소되도록 α을 설정하면, α는 α = 20% × (2/A)이 된다.
스텝 S5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504에서 취득된 Tn을 최저 투과도 Tb로서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터치 무브"가 반대 방향으로 행해졌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최저 투과도 Tb로부터 "터치 무브"의 거리에 따라 투과도 Tn를 서서히 증가시키므로, 스텝 S505에서 기록한 최저 투과도 Tb를 사용한다. 도 7d의 시점에서 하방으로의 "터치 무브"로부터 상방으로의 "터치 무브"로 방향을 전환했을 경우에는, 이때의 최저 투과도 Tb가 후술하는 스텝 S509에서 사용된다.
스텝 S5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의 터치 위치의 Y축 방향의 좌표 yn을 Yb로서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스텝 S505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최저 투과도 Tb로부터 "터치 무브"의 거리에 따라 투과도 Tn를 서서히 증가시켜 갈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는 Tb과 그때의 터치 좌표 yn을 비교한다.
스텝 S5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크롤 처리를 행한다. 도 5에 나타낸 스크롤 처리는, 도 3에 나타낸 스텝 S312에서 판정된 터치 위치의 이동에 근거하여, 멀티 재생 화상 중 표시부(28)에 표시되는 영역이 이동한다. 터치 위치의 이동량과 표시부(28) 위에서 이동하는 멀티 재생 화상의 영역의 이동량(변경량)은 같게 된다. 즉, 손가락 U(혹은 스타일러스)의 이동(터치 위치의 이동)에 따라, 멀티 재생 화상이 이동한다.
스텝 S5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투과도 Tn이 Tn≠100%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가이드 화상(604)의 투과도 Tn이 100%로부터 감소되고, 가이드 화상(604)이 시인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7e는 도 7d에서 하방으로의 스크롤 지시가 있었던 상태로부터 상방에의 스크롤 지시가 전환된 후의 표시부(28) 위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7e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왔을 때의 "터치 무브"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상방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졌을 경우에는, 스텝 S502에서 NO라고 판정되어(스텝 S502에서 NO), 스크롤 처리가 행해지므로, 영역 703이 표시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선단 화상(화상 1)이 비표시가 된다. 도 7d의 시점에서는 투과도 Tn이 Tn≠100이므로, 반대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되면 거리에 따라 서서히 투과도 Tn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도 7d의 투과도 Tn은, 도 7e의 투과도 Tn보다 작다.
시스템 제어부(50)가 투과도 Tn이 Tn≠100%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50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09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투과도 Tn = 100%)에는(스텝 S508에서 NO),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처리를 종료한다. "터치 무브"가 계속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3에 나타낸 스텝 S312에서 다시 YES라고 판정하고, 반복해서 도 5에 나타낸 "터치 무브" 처리를 행한다.
스텝 S5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가이드 화상(604)의 투과도 Tn을 Tn = Tb + β|yn-Yb|로 증가시킨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505에서 갱신된 최저 투과도 Tb에, 투과도 Tn이 최저 투과도 Tb로 감소되었을 때의 터치 위치부터의 Y축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거리와 소정수 β을 곱한 값을 더하여, 투과도 Tn을 증가시킨다. 이렇게, 시스템 제어부(50)는 갱신된 최저 투과도 Tb로부터, Yb로부터의 "터치 무브"의 거리에 따라 투과도 Tn을 서서히 증가시키도록 투과도 Tn을 제어해서, 가이드 화상(604)이 서서히 희미해지게 한다.
또한, 스텝 S507에 있어서는 스크롤 처리를 하고 있으므로, 디지털 카메라(100)는 스텝 S509에 있어서, 투과도 Tn이 투과도 Tn < 100로 감소된 가이드 화상(604)이 시인 가능하지만, 에지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갑자기 투과도 Tn을 100%로 되돌리면, 지금까지 유저가 보고 있었던 가이드 화상(604)이 비표시되어, 지금 표시되어 있는 영역이 에지에 가깝지 않고, 유저가 한번 더 "터치 무브"를 행하면 더 에지의 화상이 표시될 것이라고 유저가 인식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후에 투과도를 줄이려면 조금씩 투과도 Tn을 감소시켜서, 유저가 한번 더 에지의 방향으로 "터치 무브"를 부적당하게 행하면 스크롤 위치가 의도치 않게 에지에 도달할 것이라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한다.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접근했기 때문에 스크롤 위치가 아직 에지에만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도 투과도 Tn을 너무 성급하게 줄이면, 그것을 인식하고 있는 유저에 있어서는 가이드 화상에 의해 화상의 시인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어, 시스템 제어부(50)는 투과도 Tn을 변경하지 않는다. 즉,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 따라 투과도 Tn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멀티 재생 화면(600) 중의 표시되어 있는 영역이 동일해도,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후의 반대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에 의해 이 영역이 표시되었는지, 스크롤 위치가 아직 에지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되었는지에 따라 투과도 Tn을 감소시킬 것인지, 투과도 Tn을 투과도 Tn = 100%로 유지할 것인지를 변경한다. 이 제어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인성의 저하를 막으면서,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것도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스텝 S5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투과도 Tn을 Tn = 100%로 되돌린다. 스텝 S510은, 시스템 제어부(50)에 의해 스텝 S503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스텝 S503에서 NO)의 처리이므로, 디지털 카메라(100)는 1주기 이상 전의 "터치 무브" 처리의 스텝 S507에 있어서의 스크롤 처리가 행해지고, 에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다. 따라서, 스텝 S502에 있어서 더 에지의 방향(에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스텝 S517과 같은 방향)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졌으므로, 시스템 제어부(50)는 투과도 Tn을 100%로 되돌려서,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스텝 S5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크롤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스텝 S507과 같다. 스텝 S5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에지 표현 플래그를 OFF로 설정하고,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이때 에지 표현 플래그가 OFF로 설정되지만, 스크롤 위치가 다시 에지에 도달하면 에지 표현 플래그는 ON으로 설정된다.
스텝 S5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크롤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스텝 S507과 같다. 스텝 S5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에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스텝 S513에 있어서의 스크롤 처리에 의해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스텝 S51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515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514에서 NO),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5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Y축 좌표를 Ya = yn으로서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Ya는,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했을 때의 터치 패널(70a) 상의 Y축의 터치 위치 좌표를 나타낸다. 스텝 S5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에지 표현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하고,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스텝 S5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516에 있어서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했을 때에 "터치 무브"가 행해졌던 방향을 시스템 메모리(52)에 기록한다. 이때, 기록된 "터치 무브"의 방향은, 스텝 S502에 있어서의 판정에서 사용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유저로부터 지시된 특정 방향으로의 표시 영역의 이동이 그 이상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더 명확하게 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화상이 에지에 도달한 후, 더 에지쪽으로 이동하는 처리가 수행되었을 때에 유저가 스크롤하려고 하는 화상 자체는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저는 스크롤 처리를 더 이상 수행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를 서서히 감소시키도록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유저는, 유저가 행한 스크롤 지시(버튼 74, 다이얼 73, 플릭, 또는 터치 무브)가 실제로 입력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투과도를 서서히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고, 갑자기 투과도 Tn를 0% 등의 낮은 값으로 줄이면, 유저는 새로운 표시가 되는 처리가 개시되었는가 하고 인식해버릴 가능성도 있다.
유저가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계속해서 스크롤 지시를 할수록, 가이드 화상은 더 높은 농도로 표시된다. 유저의 조작량으로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했다는 것을 유저가 알아차리지 못해 가이드 화상에 의해 화상의 시인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없다. 즉, 디지털 카메라(100)는 화상의 시인성이 저하하는 것을 막으면서도,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했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디지털 카메라(100)는 선두 화상 혹은 말미 화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더 에지쪽으로 화면을 이동시키는 지시를 하면, 다른 쪽의 에지를 표시하는(스텝 S306) 것으로서 설명했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한쪽의 에지로부터 다른 쪽의 에지로 천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카메라(100)는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하면 항상 더 에지쪽으로 화면을 이동시키는 지시가 있어도, 그 이상은 화면을 이동시키지 않고,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를 서서히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멀티 재생 화면(600)은 외부 출력으로서 표시부(28)와는 다른 외부의 기기에 출력 가능하지만, 외부 출력하고 있는 때에는 가이드 화상은 표시되지 않는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디지털 카메라(100)는 표시 대상으로서 멀티 재생 화면(600)의 표시 중에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를 변경해서 가이드 화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멀티 재생이 아닌 화면의 스크롤 재생에도 적용 가능하다. 스크롤 재생은 좌우측 방향(X축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 플릭, 좌우 키 74c, 74d의 누름, 및 다이얼(73)의 회전에 의해 스크롤 지시가 가능하다. 표시 대상은 화상의 확대 표시시의 표시, 단일 재생시의 표시, 메뉴 화면(항목의 일람표시), 아이콘의 일람표시, 지도, 텍스트, 지도나 텍스트 등이 혼합되어 있는 문서, 표 등일 수도 있다.
기록 매체(200)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 화상 열람 어플리케이션, 혹은 메일 일람 표시 화면 등 다운로드하면서 표시를 하는 것과 같은 표시 대상에도 본 예시적인 실시 예는 유효하다. 본 예시적인 실시 예는 표시된 화상의 에지로서 2개의 에지, 선두 화상과 말미 화상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디지털 카메라(100)는 단지 선두 화상만 혹은 단지 말미 화상만 처리할 수 있다.
[변형 예]
도 8을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실시 예의 변형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 화상은 도 6d에 나타낸 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 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화상 내의 색의 농도를 같게 해도 된다. 또는, 가이드 화상 내에서 색을 변경하거나, 도 8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패턴의 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표시 제어장치는 멀티 재생 화면(600)의 에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더 에지 방향으로 표시 영역을 이동하는 지시가 있으면, 가이드 화상을 표시하지 않고, 도 8b와 같이 에지의 화상(화상 102)을 움직이지 않고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지 않았던 반대 방향에 위치된 화상(화상 57∼68)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제어장치는 에지로부터 더 에지 방향으로 스크롤 처리를 행하는 지시를 했을 경우에, 마치 실제로 무언가를 지나치게 잡아당겨서 뜻하지 않게 끊어져 줄어드는 것처럼 표현을 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 예의 각각에서는, 멀티 재생 화상의 표시는 가이드 화상의 투과도 Tn을 변경함으로써 멀티 재생 화상을 어둡게 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그렇지만, 스크롤 대상을 어둡게 하는 방법은 투과도 Tn의 변경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표시 제어장치는 표시부(28)의 휘도를 서서히 감소시키거나, 화상의 표시의 농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롤 위치가 에지에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표시의 다른 예로서, 화상의 채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서서히 그레이(gray)로 만들어서, 화면의 휘도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표시 제어장치는 화상의 채도를 "터치 무브"의 양에 따라 컬러 화상으로부터 그레이 화상으로 서서히 변경하거나, 혹은 화면의 휘도를 서서히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유저에게 그 이상 스크롤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표시 제어장치는, 그라데이션(gradation)을 이용하지 않고 화면 전체의 휘도나 채도를 변경할 수 있다.
표시 제어장치는 섬네일 화상에 중첩하는 화상을 "터치 무브"의 거리에 따라 서서히 변경(추가)하는 것으로 표시 형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가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 상기의 각종의 제어에 관해서는, 1개의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행할 수 있고, 혹은 복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처리를 분담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실시 예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예시적인 각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며, 각 예시적인 실시 예는 적당하게 조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 예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다. 이것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스크롤 처리를 하는 지시에 따라 표시 대상의 스크롤 처리의 제어를 할 수 있는 표시 제어장치이면 어떤 장치에든 상술한 실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PC, 휴대 전화 단말 및 휴대형의 화상 뷰어, 디지털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태블릿 PC, 스마트폰, 투영 장치, 표시부를 가진 가전장치 등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촬영한 라이브 뷰 화상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수신해서 이 화상을 표시하고, 디지털 카메라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데스크탑 PC 등의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디지털 카메라는 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예시적인 실시 예)
예시적인 실시 예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도 실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예시적인 실시 예는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록 매체를 통해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 등)가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서 실행하는 처리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고, 더 에지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은 것을 유저에게 명확하게 알릴 수 있다.
그 외의 실시 예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고,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및/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표시 대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유닛과,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일부인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지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스크롤 지시를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고, 상기 스크롤 지시가 종료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면 스크롤을 정지하고, 상기 스크롤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표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크롤 지시가 종료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면 상기 표시 대상의 스크롤을 정지하고, 상기 표시 대상의 시인성을 더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된 후에 행해진 스크롤 지시의 양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표시 대상이 어두워진 후에, 상기 스크롤 지시가 종료한 것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서서히 밝게 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검출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크롤 지시는, 검출한 터치 조작의 터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이며,
    상기 제어유닛은, 터치 위치를 이동한 방향에 근거한 방향으로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지시의 종료는, 터치 조작을 종료하는 조작인, 표시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일부인, 제1 방향의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스크롤 지시를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어둡게 하지 않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제2 방향의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스크롤 지시를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에 있는 상기 표시 대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제1 방향으로의 스크롤 지시가 있고,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스크롤 지시가 있는 것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의 밝기가 제1 밝기까지 저하한 후에,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스크롤 지시가 있는 것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스크롤 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밝기로부터 상기 표시 대상을 밝게 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9. 표시 대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유닛과,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일부인,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접수유닛이 상기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스크롤 지시의 강도가 미리 정한 강도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상기 스크롤 지시의 강도에 근거한 양만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고, 상기 스크롤 지시의 강도가 미리 정한 강도보다도 클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된 것에 따라 스크롤 정지하고, 상기 표시 대상을 서서히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표시 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스크롤 지시의 강도가 미리 정한 강도보다도 클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된 후, 상기 표시 대상을 미리 정해진 밝기까지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지시에 따라 스크롤 위치가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표시 대상이 스크롤된 거리로부터, 상기 스크롤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이 스크롤된 거리를 뺀 거리에 근거한 양만큼, 상기 표시 대상의 밝기가 감소하는, 표시 제어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표시 대상이 어두워진 후, 상기 표시 대상을 밝게 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지시는, 터치의 시작으로부터 미리 정한 터치 위치의 이동 후에 터치를 떼어내는 동작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행하는 조작인, 표시 제어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지시는, 버튼 또는 다이얼에의 조작이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버튼의 누름에 대응하는 방향 또는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대응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상기 표시 대상과 중첩해서 배치되는 가이드의 투과도를 변경하는 변경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가이드의 투과도를 상기 스크롤 지시에 따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표시 대상을 어둡게 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대상은, 미리 정해진 순서로 배열되는 기록부에 기록된 복수의 화상인, 표시 제어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는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복수의 화상 중에서 미리 정해진 순서로 에지에 위치된 화상인, 표시 제어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그라데이션 화상인, 표시 제어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화상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대상의 에지쪽이 더 어두워져 있는, 표시 제어장치.
  20. 표시 대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유닛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유닛과,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일부인,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스크롤 지시를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고, 상기 스크롤 지시가 종료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될 때 스크롤을 정지하고,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지 않고, 상기 스크롤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의 채도 또는 휘도를 서서히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표시 제어장치.
  21. 표시부를 구비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표시 대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일부인,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스크롤 지시를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롤 지시가 종료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면 스크롤을 정지하고, 상기 스크롤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어둡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2. 표시부를 구비하는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표시 대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일부인,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스크롤 지시의 강도가 미리 정한 강도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상기 스크롤 지시의 강도에 근거한 양만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롤 지시의 강도가 미리 정한 강도보다도 큰 경우에는, 상기 스크롤 지시의 강도에 의거한 양만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된 것에 따라 스크롤을 정지하고, 상기 표시 대상을 서서히 어둡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3. 표시 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표시 대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일부인,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스크롤 지시를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롤 지시가 종료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되면 스크롤을 정지하는 단계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상기 표시 대상의 에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롤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표시 대상을 스크롤하지 않고, 상기 스크롤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 대상의 채도 또는 휘도를 서서히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4. 청구항 21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70104107A 2016-08-22 2017-08-17 표시 제어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20180021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1916A JP2018032075A (ja) 2016-08-22 2016-08-22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6-161916 2016-08-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644A true KR20180021644A (ko) 2018-03-05

Family

ID=6119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107A KR20180021644A (ko) 2016-08-22 2017-08-17 표시 제어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052577A1 (ko)
JP (1) JP2018032075A (ko)
KR (1) KR20180021644A (ko)
CN (1) CN1077704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1030S1 (en) * 2016-08-30 2019-09-24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1588677S (ko) * 2016-09-08 2017-10-23
USD860244S1 (en) * 2016-09-08 2019-09-17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1760882S (ja) * 2021-03-22 2024-01-10 ビデオ通話機能を有する電子計算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8402A1 (en) * 2007-01-07 2008-07-10 Christopher Blumenber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Gesture Operations
US9569088B2 (en) * 2007-09-04 2017-02-14 Lg Electronics Inc. Sc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JP5478438B2 (ja) * 2010-09-14 2014-04-23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
JP5668401B2 (ja) * 2010-10-08 2015-02-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82178B2 (en) * 2011-11-07 2017-02-28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ressure interaction on touch-sensitive surfaces
CN104854549A (zh) * 2012-10-31 2015-08-19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方法
JP6080515B2 (ja) * 2012-11-26 2017-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35092A (ja) * 2013-08-08 2015-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
CN104182133B (zh) * 2014-08-29 2017-10-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列表滑动控制方法及装置
JP6293627B2 (ja) * 2014-09-19 2018-03-14 アンリツ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CN105843493B (zh) * 2016-03-31 2019-03-05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首页幻灯展示及操作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70436B (zh) 2020-06-12
JP2018032075A (ja) 2018-03-01
CN107770436A (zh) 2018-03-06
US20180052577A1 (en)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43309B (zh) 显示控制装置、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70199620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3907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630904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or changing a display position
CN107770436B (zh) 显示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CN110058716B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2018117186A (ja) 撮像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1122207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mputer readable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JP6860368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6961545B (zh) 显示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US9294678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control apparatus
US2017030021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198459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3017088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11184543B2 (en) Exposure se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7475187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1027515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7005261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50100919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control apparatus
US10037136B2 (en) Display controller that controls designation of position on a display scre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21092958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21028785A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1035632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JP202302541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1141453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