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602A - 기저귀 교환대 - Google Patents

기저귀 교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602A
KR20180021602A KR1020160106379A KR20160106379A KR20180021602A KR 20180021602 A KR20180021602 A KR 20180021602A KR 1020160106379 A KR1020160106379 A KR 1020160106379A KR 20160106379 A KR20160106379 A KR 20160106379A KR 20180021602 A KR20180021602 A KR 20180021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nfant
silane coupling
coup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110B1 (ko
Inventor
김민정
권성은
김지혜
김민수
김가을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1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5/00Dressing-tables or diaper changing supports for children
    • A47D5/003Dressing-tables or diaper changing supports for children attached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저귀 교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가 기저귀를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 안전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킨 기저귀 교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팔걸이부의 내부에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둘레 조절이 가능하며, 한 쌍의 지지부에 유아가 수용되면 상기 압력센서가 유아를 감지하여 유아의 체형에 맞게 한 쌍의 지지부의 둘레가 조절됨으로써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판의 측면에 스피커가 설치되어 기저귀 교환대를 펼치는 경우 소리 또는 노래가 나와 유아가 편안한 상태로 기저귀를 교환할 수 있는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환경호르몬이 없는 항균성 소재로 제조되어 위생적으로 안전한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저귀 교환대{A diaper exchanging table}
본 발명은 기저귀 교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가 기저귀를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 안전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킨 기저귀 교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육아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7년 관련 법률이 개정되어 공원 및 공공건물 등 공중이용시설의 여성용 화장실에 영유아용 거치대 설치가 의무화되었으며 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 모유수유공간과 기저귀 교환대, 세면대 등을 갖춘 휴게실을 별도로 설치하도록 하였다.
특히 2010년 이래로 남녀 공중화장실에 기저귀 교환대의 설치가 의무화되었으나, 아직까지 기저귀 교환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공중화장실이 많은 실정이다.
기저귀 교환대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19980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4039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3021호 등에 관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기저귀를 교환하는 경우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없으며, 유아의 체형에 맞도록 상체 지지부를 조절할 수 없어 기저귀를 교환하는 도중에 유아가 기저귀 교환대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기저귀 교환대의 소재가 친환경 재료가 아니어서 환경호르몬에 노출되는 등의 위생 문제를 안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980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4039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302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아가 기저귀를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 안전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킨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걸이부의 내부에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둘레 조절이 가능하며, 한 쌍의 지지부에 유아가 수용되면 상기 압력센서가 유아를 감지하여 유아의 체형에 맞게 한 쌍의 지지부의 둘레가 조절됨으로써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바닥판의 측면에 스피커가 설치되어 기저귀 교환대를 펼치는 경우 소리 또는 노래가 나와 유아가 편안한 상태로 기저귀를 교환할 수 있는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호르몬이 없는 항균성 소재로 제조되어 위생적으로 안전한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면에 체결 가능한 고정판(100); 상기 고정판(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팔걸이부(200); 및 상기 고정판(100)의 하부와 힌지결합하며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는 바닥판(300)을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부(200)는 상기 고정판(100)의 상부와 연결되는 본체부(210) 및 상기 본체부(210)와 힌지결합하며 상기 본체부(210)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유아의 양쪽 겨드랑이에 각각 끼워지면서 유아를 수용하는 한 쌍의 지지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100), 팔걸이부(200) 및 바닥판(300)은 항균성 소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220)는 내부에 압력센서(230)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둘레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220)에 유아가 수용되면 상기 압력센서(230)가 유아를 감지하여 유아의 체형에 맞게 한 쌍의 지지부(220)의 둘레가 조절됨으로써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는 높이조절부(240)를 구비하여 유아의 키에 맞게 팔걸이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상기 본체부(2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00)은 박스 형상의 케이스(310) 및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고리(320)를 포함하고, 유아는 상기 케이스(310)에 눕혀져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고리(320)를 통하여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00)의 측면에는 스피커(330)가 설치되어 기저귀 교환대를 펼치는 경우 소리 또는 노래가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00)의 측면에는 스피커(330)를 수동으로 온/오프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 교환대는 사용 시에 펼치고 미사용 시에 접을 수 있는 접이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소재는 열가소성 수지, 항균제, 윤활제,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1~10중량부, 윤활제 1~10중량부, 규산나트륨 1~10중량부, 규산칼륨 1~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00), 팔걸이부(200) 및 바닥판(300)의 상면에 불소 수지, 항균제, 규산칼륨, 아크릴 에멀젼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불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1~5중량부, 규산칼륨 1~10중량부, 아크릴 에멀젼 1~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항균제, 윤활제,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기저귀 교환대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1~10중량부, 윤활제 1~10중량부, 규산나트륨 1~10중량부, 규산칼륨 1~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의 혼합물로 표면 처리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아가 기저귀를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 안전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킨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걸이부의 내부에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둘레 조절이 가능하며, 한 쌍의 지지부에 유아가 수용되면 상기 압력센서가 유아를 감지하여 유아의 체형에 맞게 한 쌍의 지지부의 둘레가 조절됨으로써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바닥판의 측면에 스피커가 설치되어 기저귀 교환대를 펼치는 경우 소리 또는 노래가 나와 유아가 편안한 상태로 기저귀를 교환할 수 있는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호르몬이 없는 항균성 소재로 제조되어 위생적으로 안전한 기저귀 교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저귀 교환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저귀 교환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저귀 교환대의 바닥판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도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저귀 교환대(1)는 벽면에 체결 가능한 고정판(100); 상기 고정판(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팔걸이부(200); 및 상기 고정판(100)의 하부와 힌지결합하며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는 바닥판(300)을 포함한다(도 1 내지 3).
상기 고정판(100)은 고정부재에 의하여 공중화장실 등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팔걸이부(200) 및 바닥판(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팔걸이부(200)는 상기 고정판(100)의 상부와 연결되는 본체부(210) 및 상기 본체부(210)와 힌지결합하며 상기 본체부(210)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유아의 양쪽 겨드랑이에 각각 끼워지면서 유아를 수용하는 한 쌍의 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10)는 높이조절부(240)를 구비하여 유아의 키에 맞게 팔걸이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키가 다르더라도 높이조절부(240)를 사용하여 팔걸이부(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기저귀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상기 본체부(2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판(100)의 내부에는 본체부(2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2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수단을 통하여 본체부(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220)는 상기 본체부(210)와 힌지결합하며 상기 본체부(210)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유아의 양쪽 겨드랑이에 각각 끼워지면서 유아의 상체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220)는 내부에 압력센서(230)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둘레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220)에 유아가 수용되면 상기 압력센서(230)가 유아를 감지하여 유아의 체형에 맞게 한 쌍의 지지부(220)의 둘레가 조절됨으로써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몸이 왜소하거나 퉁퉁하더라도 상기 압력센서(230)에 의해 한 쌍의 지지부(220)의 둘레가 자동으로 조절되면 유아의 상체와 한 쌍의 지지부(220)가 밀착하게 되므로 기저귀를 교환하는 도중에 유아가 기저귀 교환대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30)가 한 쌍의 지지부(220)에 수용된 유아의 상체를 감지하면, 상기 한 쌍의 지지부(220)의 둘레가 자동으로 증가하여 한 쌍의 지지부(220)는 유아의 상체에 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센서(230)가 한 쌍의 지지부(220)에 수용된 유아의 상체를 감지하면, 상기 한 쌍의 지지부(220)가 안쪽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지지부(220)는 유아의 상체에 밀착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210) 또는 바닥판(300)에는 압력센서(230)를 수동으로 온/오프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눌러 압력센서(23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저귀 교환대는 사용 시에 펼치고 미사용 시에 접을 수 있는 접이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220)는 기저귀 교환대를 사용 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기저귀 교환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하여 본체부(210)와 함께 케이스(3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본체부(210)에는 한 쌍의 지지부(220)가 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한 쌍의 지지부(220)는 본체부(210)와 수직하게 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00)은 박스 형상의 케이스(310) 및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고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300)은 상기 고정판(100)의 하부와 힌지결합하며 유아의 하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유아는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공간에 눕혀져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고리(320)를 통하여 유아의 몸체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00)의 측면에는 스피커(330)가 설치되어 기저귀 교환대를 펼치는 경우 소리 또는 노래가 나올 수 있다.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소리 또는 노래에 의해 유아는 산만하게 움직이지 않고 편안한 상태로 기저귀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300)의 측면에는 스피커(330)를 수동으로 온/오프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눌러 스피커(33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판(100)에는 바닥판(300)이 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바닥판(300)은 고정판(100)과 수직하게 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00)은 기저귀 교환대를 사용 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기저귀 교환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하여 고정판(100), 본체부(210) 및 한 쌍의 지지부(220)를 케이스(310)의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300)은 고정부재에 의하여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판(100) 및 팔걸이부(20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기저귀 교환대의 고정판(100), 팔걸이부(200) 및 바닥판(300)은 항균성 소재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기저귀 교환대는 환경호르몬이 없는 항균성 소재로 제조되어 위생적으로 안전하다.
상기 항균성 소재는 열가소성 수지, 항균제, 윤활제,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1~10중량부, 윤활제 1~10중량부, 규산나트륨 1~10중량부, 규산칼륨 1~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우레탄; 고무 탄성체; 실리콘 탄성체: 아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지지부(220)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우레탄, 폴레우레탄 폼, 고무 탄성체, 실리콘 탄성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자동둘레조절을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제는 항균작용, 살균작용, 소취작용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은 분말, 참숯, 황토, 토르말린, 맥반석, 금속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음이온 또는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으며, 온열작용을 통해 혈관을 확장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성과 소취성의 향상이 미미하고,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구성과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윤활제는 내마모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동식물유, 합성유, 그리스, 그래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윤활제의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기저귀 교환대의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규산나트륨은 난연성 및 접착성의 부여를 위해 사용되며, 고체상 또는 용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규산나트륨의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성 및 융착성이 저하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난연성 및 가공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규산칼륨은 접착성이 우수하여 조성물의 혼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난연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규산칼륨의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성이 저하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혼화성이 저하된다.
실란 커플링제는 유기 화합물과 결합할 수 있는 유기 관능기 및 무기물과 반응할 수 있는 가수분해기를 가지며, 열가소성 수지, 항균제, 윤활제, 규산나트륨 및 규산칼륨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켜 기저귀 교환대의 강도, 내구성, 난연성,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알킬 실란, 아미노 실란, 에폭시 실란, 아크릴 실란, 메르캅토 실란, 불소 실란, 비닐 실란, 클로로 실란, 실라잔 등이 사용된다.
특히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10~40중량% 및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60~90중량%로 구성되는 실란 커플링제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강도, 내열성, 내구성 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다한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으로 오히려 계면 접착 특성 및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항균제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란 커플링제 혼합물은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10~40중량% 및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60~90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되는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항균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다한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으로 오히려 계면 접착 특성 및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폴리글리시돌(PG)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글리시돌은 유아가 기저귀 교환대에 접촉하는 경우 발생하는 피부 트러블을 개선할 수 있으며,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상처를 치유하며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수평균분자량은 100,000~60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수평균분자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내구성, 항균성 등이 저하된다.
상기 폴리글리시돌의 수평균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5,000g/mol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4,000g/mol이다. 분자량이 1,000g/mol 미만인 경우 접착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고, 5,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항균성 및 소취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글리시돌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함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항균성 및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 에멀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아크릴 에멀젼은 접착성 및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아크릴계 수지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 등이 있다.
아크릴 에멀젼의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포제, 증점제, 촉매, 희석제, 분산제, 레벨링제, 가소제, 가교제, pH 조절제, 난연제, 안료, 습윤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이형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저귀 교환대는 고정판(100), 팔걸이부(200) 및 바닥판(300)의 상면에 불소 수지, 항균제, 규산칼륨, 아크릴 에멀젼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불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1~5중량부, 규산칼륨 1~10중량부, 아크릴 에멀젼 1~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저귀 교환대의 경도, 내구성, 강도, 내열성, 내오존성,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불소 수지는 코팅층의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항균제는 항균작용, 살균작용, 소취작용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항균제는 불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성과 소취성의 향상이 미미하고, 함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구성과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규산칼륨은 접착성이 우수하여 조성물의 혼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난연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규산칼륨의 함량은 불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성이 저하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혼화성이 저하된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접착성 및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아크릴 에멀젼의 함량은 불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불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강도, 내열성, 내구성 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다한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으로 오히려 계면 접착 특성 및 강도가 저하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우레탄 100중량부, 제올라이트 5중량부, 파라핀 오일 5중량부, 규산나트륨 3중량부, 규산칼륨 3중량부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5중량부를 혼합한 후 압출 가공하여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올라이트 대신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제올라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에틸렌옥사이드 3중량부 및 폴리글리시돌 3중량부를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인장강도, 내열성 및 항균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는 ASTM D 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내열성은 100℃로 유지되는 열풍 순환식 가열로에서 상기 조성물을 3시간 가열한 후 조성물의 황변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항균성은 KS K 069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인장강도
(kg/cm2)
430 460 450 390
내열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정균 감소율
(%)
황색포도상구균 98.6 98.7 99.8 83.6
폐렴균 98.8 99.1 99.9 85.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3의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인장강도, 내열성 및 항균성이 우수하여 기저귀 교환대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의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상기 특성이 실시예에 비하여 열등하여 기저귀 교환대의 재료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1: 기저귀 교환대 100: 고정판
200: 팔걸이부 210: 본체부
220: 지지부 230: 압력센서
240: 높이조절부 300: 바닥판
310: 케이스 320: 체결고리
330: 스피커

Claims (17)

  1. 벽면에 체결 가능한 고정판(100);
    상기 고정판(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팔걸이부(200); 및
    상기 고정판(100)의 하부와 힌지결합하며 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는 바닥판(300)을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부(200)는 상기 고정판(100)의 상부와 연결되는 본체부(210) 및 상기 본체부(210)와 힌지결합하며 상기 본체부(210)의 양 측면에 구비되어 유아의 양쪽 겨드랑이에 각각 끼워지면서 유아를 수용하는 한 쌍의 지지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100), 팔걸이부(200) 및 바닥판(300)은 항균성 소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220)는 내부에 압력센서(230)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둘레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220)에 유아가 수용되면 상기 압력센서(230)가 유아를 감지하여 유아의 체형에 맞게 한 쌍의 지지부(220)의 둘레가 조절됨으로써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10)는 높이조절부(240)를 구비하여 유아의 키에 맞게 팔걸이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상기 본체부(2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00)은 박스 형상의 케이스(310) 및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고리(320)를 포함하고,
    유아는 상기 케이스(310)에 눕혀져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고리(320)를 통하여 유아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00)의 측면에는 스피커(330)가 설치되어 기저귀 교환대를 펼치는 경우 소리 또는 노래가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00)의 측면에는 스피커(330)를 수동으로 온/오프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 교환대는 사용 시에 펼치고 미사용 시에 접을 수 있는 접이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소재는 열가소성 수지, 항균제, 윤활제,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1~10중량부, 윤활제 1~10중량부, 규산나트륨 1~10중량부, 규산칼륨 1~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00), 팔걸이부(200) 및 바닥판(300)의 상면에 불소 수지, 항균제, 규산칼륨, 아크릴 에멀젼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불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1~5중량부, 규산칼륨 1~10중량부, 아크릴 에멀젼 1~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15. 열가소성 수지, 항균제, 윤활제,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기저귀 교환대 제조용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1~10중량부, 윤활제 1~10중량부, 규산나트륨 1~10중량부, 규산칼륨 1~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제조용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의 혼합물로 표면 처리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교환대 제조용 조성물.

KR1020160106379A 2016-08-22 2016-08-22 기저귀 교환대 KR101896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79A KR101896110B1 (ko) 2016-08-22 2016-08-22 기저귀 교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79A KR101896110B1 (ko) 2016-08-22 2016-08-22 기저귀 교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602A true KR20180021602A (ko) 2018-03-05
KR101896110B1 KR101896110B1 (ko) 2018-09-06

Family

ID=6172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379A KR101896110B1 (ko) 2016-08-22 2016-08-22 기저귀 교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1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755B1 (ko) * 2019-07-17 2020-07-06 한별 육아보조기구의 키높이조절장치
KR20210109432A (ko) * 2020-02-27 2021-09-06 이준희 다목적 영유아 지지대
KR20220131036A (ko) * 2021-03-19 2022-09-27 상하이 친삼 인터내셔널 트레이딩 씨오., 엘티디. 개선된 기능을 갖는 유아용 욕조 스탠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60A (ko) 2020-06-25 2022-01-03 이은옥 기저귀 교환용 블라인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762A (ko) * 2000-08-08 2002-02-20 서문기철 곰팡이방지 및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합성수지제품의 제조방법
KR101199802B1 (ko) 2003-10-31 2012-11-09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벨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저귀 교환대 또는 의자
KR20120007881U (ko) * 2011-05-09 2012-11-19 신연철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
KR101240394B1 (ko) 2010-07-07 2013-03-11 김경준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13021A (ko) 2013-07-25 2015-02-04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절첩 가능 기저귀 교환대
KR101616314B1 (ko) * 2014-06-24 2016-05-13 주식회사 위드파파 기저귀 교환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762A (ko) * 2000-08-08 2002-02-20 서문기철 곰팡이방지 및 항균성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합성수지제품의 제조방법
KR101199802B1 (ko) 2003-10-31 2012-11-09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벨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기저귀 교환대 또는 의자
KR101240394B1 (ko) 2010-07-07 2013-03-11 김경준 탄성을 갖는 쿠션 기저귀 교환대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07881U (ko) * 2011-05-09 2012-11-19 신연철 승강장치가 구비된 기저귀 교환대
KR20150013021A (ko) 2013-07-25 2015-02-04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절첩 가능 기저귀 교환대
KR101616314B1 (ko) * 2014-06-24 2016-05-13 주식회사 위드파파 기저귀 교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755B1 (ko) * 2019-07-17 2020-07-06 한별 육아보조기구의 키높이조절장치
KR20210109432A (ko) * 2020-02-27 2021-09-06 이준희 다목적 영유아 지지대
KR20220131036A (ko) * 2021-03-19 2022-09-27 상하이 친삼 인터내셔널 트레이딩 씨오., 엘티디. 개선된 기능을 갖는 유아용 욕조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110B1 (ko)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110B1 (ko) 기저귀 교환대
KR101932703B1 (ko)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기능성 필름
MX339515B (es) Particulas biocidas de poliestireno metilado.
JP5766373B1 (ja) 難燃性立体格子形状クッション
JP2017057240A (ja) 除塵埃、物品の付着・剥離、繰り返し使用を可能とする粘着性を有する架橋成型物及びその製造方法。
CA2720859C (en) Multifunctional ambient lighting compositions
KR101992211B1 (ko) 마스크팩 커버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마스크팩
JP2011088965A (ja) 抗ウイルス性を有する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製シート
KR20180032786A (ko) 발포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운동매트의 제조방법
WO2006001182A1 (ja) 抗菌性発泡体
KR20010081891A (ko) 건축용 폴리올레핀 내장재
US9187613B2 (en) Use of finely dispersed metal particles in a material, a skin patch and an orthopedic article
CN105109380B (zh) 可水平旋转的飞机座椅扶手
JP2015025112A (ja) 機能性弾性内蔵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589555B (zh) 一种抗菌型瑜伽棒
JPH11130504A (ja) 人工大理石成形体
JP6162878B1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サニタリー用品、ドア部材、手すり部材、食器および配膳トレイ
KR101465237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산되는 매트리스
JP2020050718A (ja) 浴室用品用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浴室用品
CN204889850U (zh) 一种多功能马桶贴
CN104629209B (zh) 负离子地板
JP2015030981A (ja) 浴室用内装シート
KR102420630B1 (ko) 항균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벽 마감재용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8024874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サニタリー用品、ドア部材、手すり部材、食器および配膳トレイ
CN210611655U (zh) 双向调温储能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