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477A - 코너몰딩조립체 - Google Patents
코너몰딩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1477A KR20180021477A KR1020160106080A KR20160106080A KR20180021477A KR 20180021477 A KR20180021477 A KR 20180021477A KR 1020160106080 A KR1020160106080 A KR 1020160106080A KR 20160106080 A KR20160106080 A KR 20160106080A KR 20180021477 A KR20180021477 A KR 201800214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molding
- corner
- molding plate
- upper mo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9—Plinths specially adapted for joining wall coverings to floor surfa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Hygienic or watertight plinth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thod
- E04F19/0477—Plinths fixed by means of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너몰딩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은 상기 수직면에 결합되고 하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상부몰딩부와; 상단은 상기 상부몰딩부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수평면에 결합되는 하부몰딩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몰딩부는,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수직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코너를 커버하는 상부몰딩판과; 상기 상부몰딩판의 하단의 내측면으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절곡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몰딩부는, 상기 상부몰딩판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 하부몰딩판과; 상기 하부몰딩판의 상단의 내측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절곡날개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는 삽입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너몰딩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건축물의 코너부분에 배치되어 수직벽의 유동에도 밀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코너몰딩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시공할 때, 벽면과 수직벽 사이의 코너 영역에 수분이 침투하거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너몰딩이 시공된다.
도 1은 종래 코너몰딩(10)이 바닥면(B)과 수직벽(A) 사이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코너몰딩(10)은 오목한 곡면을 갖는 하나의 판상재질로 형성된다.
코너몰딩(10)의 상단부(11)는 수직벽(A)에 접촉배치되고, 하단부(13)는 바닥면(B)에 접촉배치된다. 그리고, 상단부(11)와 하단부(13)의 위치고정을 위해 리벳(12)과 체결부재(14)가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상단부(11)와 하단부(13)에 실리콘과 같은 마감재(15,16)가 씌워지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 코너몰딩(10)이 시공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서 샌드위치패널과 같은 수직벽(A)이 외력(F)에 의해 위치가 좌우로 이동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수직벽(A)의 위치가 이동되면, 수직벽(A)에 결합된 코너몰딩(10)의 상단부(11)가 수직벽(A)으로부터 일정 거리(d) 들뜨게 된다.
코너몰딩(10)의 들뜨게 되면, 들뜬 이격 공간(d)을 통해 수분(W)이나 이물질이 침투하게 된다. 수분(W)이 침투하면 코너부분에서 곰팡이가 발생되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벽이 이동되더라도 접촉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코너몰딩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분의 코너로의 유입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코너몰딩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수직면과 수평면 사이의 코너에 설치되는 코너몰딩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너몰딩조립체는, 상단은 상기 수직면에 결합되고 하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상부몰딩부와; 상단은 상기 상부몰딩부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수평면에 결합되는 하부몰딩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몰딩부는,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수직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코너를 커버하는 상부몰딩판과; 상기 상부몰딩판의 하단의 내측면으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절곡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몰딩부는, 상기 상부몰딩판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 하부몰딩판과; 상기 하부몰딩판의 상단의 내측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절곡날개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는 삽입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날개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고리는, 상기 하부몰딩판으로부터 상기 하부몰딩판과 상이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동완충판과; 상기 유동완충판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탄성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완충판은 상기 삽입고리가 상기 절곡날개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상부몰딩판의 하단과 상기 하부몰딩판의 상단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길이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지지판은 상기 삽입고리의 폭 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동완충판을 따라 유입되는 물이 상기 삽입고리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몰딩판의 상단 내벽면에 일정두께 결합되어 상기 수직벽의 좌우 유동에도 상기 상부몰딩판의 상단과 상기 수직벽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신장되는 접착쿠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몰딩판의 하단부에는 일정 높이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과; 상기 단턱으로부터 수평하게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마감재가 덮혀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마감재결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몰딩조립체는 상부몰딩부와 하부몰딩부의 두개의 구성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몰딩부의 상부에 접착쿠션이 구비되어 수직벽의 이동을 1차적으로 완충하여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무몰딩부와 하부몰딩부의 절곡날개와 삽입고리의 결합구조에 의해 상부몰딩부가 일정각도 회동되며 수직벽의 이동에 대응하여 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절곡날개와 삽입고리에 의해 외부의 이물질과 물이 코너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시간 안정적으로 코너몰딩조립체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코너의 청결한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코너몰딩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몰딩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몰딩조립체가 건축물의 코너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몰딩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몰딩조립체가 건축물의 코너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몰딩조립체(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몰딩조립체(100)는 상단이 수직벽(A)에 밀착되고, 하단이 자유단 상태로 배치되는 상부몰딩부(110)와, 상단은 상부몰딩부(110)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은 바닥면(B)에 밀착되는 하부몰딩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몰딩조립체(100)는 상부몰딩부(110)와 하부몰딩부(120)의 두 개의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코너영역에서 서로 결합되어 코너를 커버하게 된다. 이렇게 상부몰딩부(110)와 하부몰딩부(120)가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므로 외력에 의한 수직벽(A)의 좌우 유동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수직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부몰딩부(110)는 오목한 곡면을 갖게 형성된 상부몰딩판(111)과, 상부몰딩판(1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접착쿠션(113)과, 상부몰딩판(111)의 하단 내측벽에 형성된 절곡날개(115)를 포함한다.
상부몰딩판(111)은 수직벽(A)의 폭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부몰딩판(111)은 오목한 곡률을 갖는 판상재질로 형성된다. 상부몰딩판(111)은 알루미늄이나 SUS와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몰딩판(111)의 상단 내측면에는 일정두께(d1)를 갖는 접착쿠션(113)이 구비된다. 접착쿠션(113)은 탄성을 갖는 쿠션재질로 형성된다. 접착쿠션(113)은 고무, 실리콘, 스펀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쿠션(113)의 양면에는 양면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이 배치되어 수직벽(A) 및 상부몰딩판(111)에 점착된다.
접착쿠션(113)은 일정두께(d1)를 가지므로 수직벽(A)이 좌우 유동에도 일정 범위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신장되며 상부몰딩판(111)과 수직벽(A)의 접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접착쿠션(113)의 높이(h1)는 상부몰딩판(111)의 곡률과 상부몰딩판(111)이 수직벽(A)에 접촉되는 면적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접착쿠션(113)의 두께(d1)는 두꺼울 경우 수직벽(A)의 유동에 대응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부몰딩판(111)과 수직벽(A)이 두께 만큼 들뜨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접착쿠션(113)의 두께(d1)는 육안으로 크게 드러나지 않는 범위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날개(115)는 상부몰딩판(111)의 하단 내측면에 절곡되게 형성되어 하부몰딩판(121)의 상단과 결합된다. 절곡날개(115)는 하부몰딩판(121)의 삽입고리(123)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절곡날개(115)는 삽입고리(123)가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충분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몰딩판(111)의 하단(111a)은 자유단 상태로 형성되어 하부몰딩부(120)와 결합되었을 때, 하부몰딩부(120)의 상부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하부몰딩부(120)는 상부몰딩부(110)와 바닥면(B) 사이에 결합된다. 하부몰딩부(120)는 상부몰딩판(111)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 하부몰딩판(121)과, 하부몰딩판(121)의 상단(121a)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절곡날개(115)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고리(123)와, 하부몰딩판(121)의 하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바닥면(B)과 밀착되는 마감재결합판(125)과, 마감재결합판(125)과 하부몰딩판(121)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턱(127)을 포함한다.
하부몰딩판(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몰딩판(111)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연속된 곡면을 형성한다. 상부몰딩부(110)와 하부몰딩부(120)가 결합되었을 때, 상부몰딩판(111)과 하부몰딩판(121)은 서로 상하로 배치되고, 상부몰딩판(111)의 하단(111a)과 하부몰딩판(121)의 상단(121a) 사이에는 이격간격(h2)이 형성된다. 이격간격(h2)은 상부몰딩판(111)이 수직벽(A)의 유동에 대응해서 좌우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될 때, 하부몰딩판(121)이 상부몰딩판(111)의 회동에 간섭을 주지 않기 위해 형성된다.
이격간격(h2)이 큰 경우 육안으로 드러나 심미감이 저하되고, 이격간격(h2)을 통해 이물질과 수분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격간격(h2)은 상부몰딩판(111)의 회동에 간섭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길이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고리(123)는 상단(121a)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절곡날개(115)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결합된다. 삽입고리(123)는 하부몰딩판(121)의 상단(121a)으로부터 하부몰딩판(121)과 상이한 곡률로 연장형성되는 유동완충판(123b)과, 유동완충판(123b)의 상단에서 상부몰딩판(111) 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형성되어 상부몰딩판(111)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지지판(123a)을 포함한다.
유동완충판(123b)과 탄성지지판(123a)은 서로 고리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절곡날개(115) 내부로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굽혀지며 삽입된다. 탄성지지판(123a) 폭은 절곡날개(115)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절곡날개(115)의 끝까지 삽입되지 못하고 중간에서 끼워지며 결합된다.
이 때, 탄성지지판(123a)의 단부는 상부몰딩판(111)의 내벽면에 접촉지지된다. 이렇게 삽입고리(123)가 절곡날개(115)로 삽입되면, 수직벽(A)의 좌우 유동에 연동하여 상부몰딩판(111)이 좌우로 유동될 때, 하부몰딩판(121)의 상단(121a)을 중심으로 삽입고리(123)가 좌우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유동범위에 대응하게 된다.
또한, 탄성지지판(123a)이 가로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날개(115) 내부에 배치되고, 탄성지지판(123a)의 단부가 상부몰딩판(111)의 내벽면에 접촉지지되므로,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공간을 통해 물(W)이 유입되더라도 화살표로 도시한 경로와 같이 탄성지지판(123a)에 부딪힌 후 유동완충판(123b)의 곡면을 따라 다시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코너영역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어 코너영역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단턱(127)은 하부몰딩판(121)과 마감재결합판(125) 사이에 일정높이의 단차를 형성한다. 단턱(127)에 의해 하부몰딩판(121)과 마감재결합판(125) 사이에 형성된 단차는 마감재(16)를 도포하는 공간으로 작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127)부터 마감재결합판(125) 사이에 마감재(16)를 도포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마감재(16)가 도포되었을 때 바닥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던 문제를 해결하여 깔끔한 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몰딩조립체(100)를 바닥면(B)과 수직벽(A)으로 형성된 건축물의 코너영역에 시공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벽(A)와 바닥면(B)에 각각 상부몰딩부(110)와 하부몰딩부(120)를 결합한다. 설명을 위해 상부몰딩부(110)를 수직벽(A)에 먼저 결합시키는 것으로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 하부몰딩부(120)를 바닥면(B)에 먼저 고정할 수도 있다.
상부몰딩부(110)의 제조시에 접착쿠션(113)의 단면에는 양면접착테잎(미도시)이 구비된다. 작업자는 양면접착테잎(미도시)의 표면에서 보호테잎(미도시)을 분리하고 접착쿠션(113)을 수직벽(A)에 부착한다. 이렇게 접착쿠션(113)이 수직벽(A)에 부착되면 상부몰딩판(111)의 하단(111a)은 자유단 형태로 배치된다.
이 때, 바닥면(B)에 하부몰딩판(121)의 마감재결합판(125)을 수평하게 배치하고, 체결부재(125a)를 마감재결합판(125)과 바닥면(B)을 관통하여 체결하여 마감재결합판(125)을 하부몰딩판(121)에 고정한다.
그리고, 하부몰딩판(121)의 삽입고리(123)를 상부몰딩판(111)의 절곡날개(115) 내부로 삽입하여 끼운다. 삽입고리(123)는 탄성적으로 좁혀지며 절곡날개(115) 내부로 삽입되고 벌어지면서 탄성지지판(123a)이 상부몰딩판(111)의 내벽면을 지지하며 위치가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코너몰딩조립체(10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몰딩조립체(100)와 건축물의 결합안정성을 위해 마감재결합판(125)과 접착쿠션(113)에는 실리콘과 같은 마감재(15,16)가 도포될 수 있다.
이렇게 코너몰딩조립체(100)의 시공이 완료되면, 상부몰딩판(111)의 접착쿠션(113)이 수직벽(A)과 밀착 배치되어 코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하부몰딩판(121)의 마감재결합판(125)은 단턱(127)에 의해 하부몰딩판(121)과 단차가 있게 형성되므로, 마감재결합판(125)에 마감재(16)가 도포되더라도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깔끔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에 의해 수직벽(A)에 좌우로 외력(F)이 작용할 경우, 접착쿠션(113)이 탄성적으로 수직벽(A)의 유동에 대응할 수 있다. 즉, 탄성적으로 압축되거나 신장되면서 수직벽(A)의 이동에 대응하게 된다. 또한, 하부몰딩판(121)의 상단을 중심으로 절곡날개(115)에 삽입된 삽입고리(123)가 회동되면서 상부몰딩판(111)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직벽(A)이 유동되더라도 코너몰딩조립체(10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부몰딩판(111)의 하단(111a)과 하부몰딩판(121)의 상단(121a) 사이의 공간을 통해 물(W)이 유입되는 경우, 도 4에 확대도시된 점선 경로와 같이 물이 탄성지지판(123a)에 부딪쳐 절곡날개(11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유동완충판(123b)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코너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코너가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코너몰딩조립체(100)의 조립순서는 상황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너몰딩조립체는 상부몰딩부와 하부몰딩부의 두개의 구성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몰딩부의 상부에 접착쿠션이 구비되어 수직벽의 이동을 1차적으로 완충하여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무몰딩부와 하부몰딩부의 절곡날개와 삽입고리의 결합구조에 의해 상부몰딩부가 일정각도 회동되며 수직벽의 이동에 대응하여 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절곡날개와 삽입고리에 의해 외부의 이물질과 물이 코너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시간 안정적으로 코너몰딩조립체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코너의 청결한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코너몰딩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코너몰딩조립체 110 : 상부몰딩부
111 : 상부몰딩판 111a : 하단
113 : 접착쿠션 115 :절곡날개
120 : 하부몰딩부 121 : 하부몰딩판
121a : 상단 123 : 삽입고리
123a : 탄성지지판 123b : 유동완충판
125 : 마감재결합판 125a : 체결부재
127 : 단턱
111 : 상부몰딩판 111a : 하단
113 : 접착쿠션 115 :절곡날개
120 : 하부몰딩부 121 : 하부몰딩판
121a : 상단 123 : 삽입고리
123a : 탄성지지판 123b : 유동완충판
125 : 마감재결합판 125a : 체결부재
127 : 단턱
Claims (5)
- 건축물의 수직면과 수평면 사이의 코너에 설치되는 코너몰딩조립체에 있어서,
상단은 상기 수직면에 결합되고 하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상부몰딩부와;
상단은 상기 상부몰딩부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수평면에 결합되는 하부몰딩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몰딩부는,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수직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코너를 커버하는 상부몰딩판과;
상기 상부몰딩판의 하단의 내측면으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절곡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몰딩부는,
상기 상부몰딩판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 하부몰딩판과;
상기 하부몰딩판의 상단의 내측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절곡날개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는 삽입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몰딩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날개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고리는,
상기 하부몰딩판으로부터 상기 하부몰딩판과 상이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동완충판과;
상기 유동완충판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탄성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완충판은 상기 삽입고리가 상기 절곡날개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상부몰딩판의 하단과 상기 하부몰딩판의 상단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몰딩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판은 상기 삽입고리의 폭 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동완충판을 따라 유입되는 물이 상기 삽입고리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몰딩조립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몰딩판의 상단 내벽면에 일정두께 결합되어 상기 수직벽의 좌우 유동에도 상기 상부몰딩판의 상단과 상기 수직벽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신장되는 접착쿠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몰딩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몰딩판의 하단부에는 일정 높이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과;
상기 단턱으로부터 수평하게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마감재가 덮혀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마감재결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몰딩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6080A KR101892609B1 (ko) | 2016-08-22 | 2016-08-22 | 코너몰딩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6080A KR101892609B1 (ko) | 2016-08-22 | 2016-08-22 | 코너몰딩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1477A true KR20180021477A (ko) | 2018-03-05 |
KR101892609B1 KR101892609B1 (ko) | 2018-08-28 |
Family
ID=6172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6080A KR101892609B1 (ko) | 2016-08-22 | 2016-08-22 | 코너몰딩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260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1780B1 (ko) * | 2019-05-28 | 2019-11-07 | 이방섭 | 내화 클레딩 조립체 |
CN115354829A (zh) * | 2022-09-22 | 2022-11-18 | 上海外高桥造船海洋工程有限公司 | 用于船舶厨房的踢脚线及使用其的7000箱集装箱船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5547B1 (ko) | 2023-02-27 | 2023-10-05 | 유진숙 | 식품 제조시설용 코너 몰딩 및 그 시공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72573B2 (ja) * | 1996-05-13 | 1999-11-08 | 有限会社エフ.ディ.エー | 幅 木 |
KR101147011B1 (ko) * | 2009-12-10 | 2012-05-17 | 주식회사 대진아트 |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
KR101570509B1 (ko) * | 2014-04-17 | 2015-11-20 | 주신기업(주) | 건축용 외장재 |
-
2016
- 2016-08-22 KR KR1020160106080A patent/KR1018926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72573B2 (ja) * | 1996-05-13 | 1999-11-08 | 有限会社エフ.ディ.エー | 幅 木 |
KR101147011B1 (ko) * | 2009-12-10 | 2012-05-17 | 주식회사 대진아트 |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
KR101570509B1 (ko) * | 2014-04-17 | 2015-11-20 | 주신기업(주) | 건축용 외장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1780B1 (ko) * | 2019-05-28 | 2019-11-07 | 이방섭 | 내화 클레딩 조립체 |
CN115354829A (zh) * | 2022-09-22 | 2022-11-18 | 上海外高桥造船海洋工程有限公司 | 用于船舶厨房的踢脚线及使用其的7000箱集装箱船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2609B1 (ko) | 2018-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0334B1 (ko) | 패널 조립세트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892609B1 (ko) | 코너몰딩조립체 | |
KR101730004B1 (ko) | 우물 천장 구조물 | |
KR200414099Y1 (ko) | 건축물의 외장판넬 고정장치 | |
KR20090023908A (ko) | 건축물 외장판넬 고정장치 | |
US20170241137A1 (en) | Building component | |
KR200432632Y1 (ko) | 벽패널의 조립구조 | |
KR101389144B1 (ko) | 규격화된 시트패널을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 |
KR20160002240U (ko) | 창호용 필링피스 | |
JP2001303753A (ja) | 屋外床構造及びこれの構成部品 | |
US20120132602A1 (en) | Shelf unit | |
KR101772001B1 (ko) | 화장실용 칸막이패널 | |
JP7026586B2 (ja) | 建物外壁の排水構造 | |
JP6598212B2 (ja) | パネル用ジョイント材、間仕切り構造および間仕切り施工方法 | |
JP6334117B2 (ja) | 屋根の棟構造 | |
KR101711557B1 (ko) | 브라인드 판넬 설치용 고정 프레임 | |
KR20200144766A (ko) | 몰딩용 인코너 마감기구 | |
JP6965771B2 (ja) | 壁面材の上端固定構造 | |
JP6503892B2 (ja) |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シール材の取付構造 | |
JP6493748B2 (ja) | くつずり | |
JP4133689B2 (ja) | ロッキング外壁パネル | |
KR102590059B1 (ko) | 우물천장용 경량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우물천장 구조체 | |
KR101252793B1 (ko) | 건축용 판재 | |
JP7246022B2 (ja) | 引戸装置 | |
KR101348143B1 (ko) | 에이비에스 욕실 천장판 보강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