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526A -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526A
KR20180020526A KR1020160104980A KR20160104980A KR20180020526A KR 20180020526 A KR20180020526 A KR 20180020526A KR 1020160104980 A KR1020160104980 A KR 1020160104980A KR 20160104980 A KR20160104980 A KR 20160104980A KR 20180020526 A KR20180020526 A KR 20180020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cy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network
diagno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640B1 (ko
Inventor
박현욱
부덕희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640B1/ko
Priority to CN201780039234.9A priority patent/CN109328332B/zh
Priority to EP17841613.7A priority patent/EP3451145B1/en
Priority to PCT/KR2017/007010 priority patent/WO2018034429A1/ko
Publication of KR2018002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526A/ko
Priority to US16/243,622 priority patent/US1081722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3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mbedded in an image processing device, e.g. printer, facsimile,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93Remedial or corrective 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9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by remote te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네트워크 진단을 위한 진단 정책이 변경되더라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업그레이드 없이,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Host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network diagnostics of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ed network diagnostic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위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생 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 관련 오류에 대한 에러코드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에러 코드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 공간이 필요하고, 미리 저장된 에러 코드에 해당되지 않는 네트워크 관련 오류가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진단이 불가능하며, 화상 형성 장치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될 때마다 이에 대응되는 진단 항목 및 에러코드를 마련하여 화상 형성 장치 및 호스트 장치에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네트워크 진단을 위한 진단 정책이 변경되더라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업그레이드 없이,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raw data)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외부의 정책 제공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진단의 기준이 되는 진단 정책을 수신하는 통신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진단 기초 데이터와 상기 진단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입출력부;를 포함한다.
제 2 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raw data)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외부의 정책 제공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진단의 기준이 되는 진단 정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진단 기초 데이터와 상기 진단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측면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이다.
제 4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장치의 요청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호스트 장치로 상기 수집된 진단 기초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외부의 정책 제공 서버에 저장된 네트워크 진단의 기준이 되는 진단 정책과 상기 진단 기초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한다.
제 5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호스트 장치의 요청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로 상기 수집된 진단 기초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외부의 정책 제공 서버에 저장된 네트워크 진단의 기준이 되는 진단 정책과 상기 진단 기초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6 측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호스트 장치, 및 정책 제공 서버가 연결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책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진단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진단 명령을 입력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진단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진단의 대상이 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진단 기초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호스트 장치로 진단 기초 데이터를 전송할 때, 진단 기초 데이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책 제공 서버가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진단 정책 및/또는 조치 정책 요청에 응답하여, 호스트 장치로 진단 정책 및/또는 조치 정책을 전송할 때, 진단 정책과 조치 정책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진단 명령을 수신한 후, 네트워크 진단 수행 중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기술적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카피(hard copy)"란 종이 등과 같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소프트 카피(soft copy)"란 TV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란 사진, 이미지 또는 문서 파일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캔 파일"이란 스캐너에서 화상을 스캔하여 생성한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 형성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 형성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은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 호스트 장치(200), 및 정책 제공 서버(300)가 연결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 호스트 장치(200), 및 정책 제공 서버(300)는 상호 간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하거나, 화상 형성 장치(100)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정책 제공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한 정보 또는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정보를 호스트 장치(200)나 정책 제공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및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e.g. NFC tag를 포함하는 스티커)등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호스트 장치(200)와 연결되어 있다. 통신부(13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전달하거나, 또는 제어부(120)에서 발생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가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인쇄 명령 신호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부(15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30)는 정책 제공 서버(300)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정책 제공 서버(300)를 통해 호스트 장치(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정책 제공 서버(300)를 통해 호스트 장치(200)의 통신부(230)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14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부(151), 스캔부(152) 및 팩스부(15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필요에 따라서 이들 중 일부 구성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화상 형성 작업 수행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인쇄부(151)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및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스캔부(152)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일 수 있다.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이미지 센서로서, 예를 들어 CCD (Charge Coupled Device),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스캔부(152)는 원고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 구조, 이미지 센서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 구조과, 이들의 복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팩스부(153)의 경우,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구성은 스캔부(152)와 공유할 수 있고, 수신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구성은 인쇄부(151)와 공유할 수 있으며, 스캔 파일을 목적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200)에서 사용자의 네트워크 진단 명령이 입력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14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프로그램과 펌웨어(firmware)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동작에 관한 진단 기초 데이터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진단 기초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환경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설정 값을 이용하여 외부로의 네트워크 액세스 테스트 및 각종 네트워크 동작을 시도하여, 그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수집된 진단 기초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진단 기초 데이터는 XML, TXT, CSV 등 일정 형태의 포맷으로 호스트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호스트 장치(200)가 네트워크 진단을 완료하면, 통신부(130)는 화상 형성 장치(100) 외부의 정책 제공 서버(300)에 저장된 네트워크 진단의 기준이 되는 진단 정책과 진단 기초 데이터에 기초하여, 호스트 장치(200)에서 생성된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입출력부(11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네트워크 환경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네트워크 환경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정책 제공 서버(300)에 저장된 조치 가이드의 기준이 되는 조치 정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200)는 입출력부(210), 제어부(220), 통신부(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결과 발생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통신부(230)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제어할 수도 있다. 호스트 장치(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가전기기, 의료기기, 카메라 및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200)에서 사용자의 네트워크 진단 명령이 입력된 경우, 호스트 장치(2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24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진단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진단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raw data)를 화상 형성 장치(100)에 요청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진단 기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화상 형성 장치(100) 외부의 정책 제공 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 진단의 기준이 되는 진단 정책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정책 제공 서버(300)에 저장된 진단 정책에 변화가 있는 경우, 정책 제공 서버(300)에 저장된 진단 정책을 업데이트하여, 정책 제공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진단 정책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정책 제공 서버(300)로부터 조치 가이드의 기준이 되는 조치 정책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정책 제공 서버(300)에 저장된 조치 정책에 변화가 있는 경우, 정책 제공 서버에 저장된 조치 정책을 업데이트하여, 정책 제공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조치 정책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진단 기초 데이터, 정책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진단 정책 또는 조치 정책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진단 기초 데이터와 진단 정책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진단 결과는 메모리(240)에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따라 취할 수 있는 조치를 입출력부(210)를 통해 요청하면, 제어부(22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를 입출력부(21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통신부(230)는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정책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정책 제공 서버(300)에 저장된 조치 가이드의 기준이 되는 조치 정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를 정책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수신된 조치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책 제공 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책 제공 서버(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스토리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책 제공 서버(300)는 통신부(310)와 제어부(320)를 이용하여 웹 서버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정책 제공 서버(30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진단 정책 또는 조치 정책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스토리지(330)에 저장된 진단 정책 또는 조치 정책을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새로운 진단 정책 및 새로운 조치 정책이 추가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는 정책 제공 서버(300)에 진단 정책 및 조치 정책을 업데이트하고, 정책 제공 서버(300)에 저장되도록 관리한다. 정책 제공 서버(30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진단 정책 및 조치 정책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업데이트된 진단 정책 및 조치 정책을 호스트 장치(200)에 제공한다. 호스트 장치(200)는 새로 업데이트된 진단 정책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진단 기초 데이터를 분석하고, 새로 어데이트된 조치 정책에 따라 신규 조치 가이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20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진단을 위해 진단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200)에서 진단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진단 명령을 입력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200)의 입출력부(21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할 진단 대상의 화상 형성 장치(100)를 검색 및 선택한 후 진단 시작을 지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200)에서 진단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진단의 대상이 되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의 네트워크 진단 지시에 따라, 호스트 장치(200)는 진단 대상인 화상 형성 장치(100)에 진단 기초 데이터를 요청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진단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메모리(140)에 저장된 수집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네트워크 하드웨어 동작에 관한 진단 기초 데이터,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진단 기초 데이터, 네트워크 환경 설정 파라미터의 현재 설정 값을 이용하여 외부로의 네트워크 액세스 테스트 및 각종 네트워크 동작을 시도한 결과 등을 수집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수집한 진단 기초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200)에 전송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가 호스트 장치(200)로부터의 진단 기초 데이터 요청에 응답하여, 호스트 장치(200)로 진단 기초 데이터를 전송할 때, 진단 기초 데이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진단 기초 데이터는 XML 포맷의 형태이며, 이더넷 파이 칩(Ethernet PHY chip)이 구비되어 있는지, 그 타입은 무엇인지 나타내고 있으며, 이더넷이 인에이블 상태인지 디스에이블 상태인지와 이더넷 스피드가 수동으로 지정되었는지 자동 감지에 의한 속도 결정 방법으로 지정되었는지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진단 기초 데이터를 보면, 이더넷 파이 칩이 구비되어 있고, 그 타입은 "RTL8211E"이며, 이더넷은 인에이블 상태이고, 이더넷 스피드는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진단 기초 데이터는 이더넷 링크가 네트워크 스위치와 같은 외부 장치에 연결되어, 100Mbps Full Duplex로 링크가 형성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진단 기초 데이터는 이 외에도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 설정 파라미터에 대한 설정 값과 현재 상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200)는 정책 제공 서버(300)에 진단 정책을 요청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200)는 진단 정책 요청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조치 정책을 요청할 수도 있다. 호스트 장치(200)는 정책 제공 서버(300)로부터 진단 정책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진단 정책과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진단 기초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진단 기초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책 제공 서버(300)가 호스트 장치(200)로부터의 진단 정책 및/또는 조치 정책 요청에 응답하여, 호스트 장치(200)로 진단 정책 및/또는 조치 정책을 전송할 때, 진단 정책과 조치 정책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수집된 진단 기초 데이터에 포함된 네트워크 환경 설정 파라미터의 설정 값이나 현재 상태 값은 진단 정책의 체크 룰에 따라 비교된다. 도 9를 보면, 진단 정책의 체크 룰은 이더넷이 구비되었는지 체크하고, 구비된 이더넷이 디스에이블 상태인지 체크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Install"과 "Disabled"이므로, 이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로서 도 9에 도시된 조치 가이드가 호스트 장치(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200)에서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진단 명령을 수신한 후, 네트워크 진단 수행 중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호스트 장치(20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이 완료되기 전까지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한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한 뒤, 진단 정책을 통해 확인되는 네트워크 오류 또는 특정 상태가 발견되면,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호스트 장치(200)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조치 가이드로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면, 각 진단 항목마다 몇 건의 진단을 수행하여 몇 건의 조치 사항이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조치 사항이 있는 진단 결과를 클릭하면, 호스트 장치(200)는 조치 가이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200)의 화면에 표시된 조치 가이드를 참고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입출력부(110) 또는 호스트 장치(200)의 입출력부(210)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 오류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치 가이드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환경 설정을 변경한 후 네트워크 재진단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환경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210 단계에서,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1220 단계에서, 호스트 장치(200)는 화상 형성 장치(100) 외부의 정책 제공 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 진단의 기준이 되는 진단 정책을 수신한다. 호스트 장치(200)는 진단 정책에 변화가 있는 경우, 정책 제공 서버(300)에 저장된 진단 정책을 업데이트하여, 정책 제공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진단 정책을 수신한다.
1230 단계에서, 호스트 장치(200)는 진단 기초 데이터와 진단 정책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
1240 단계에서, 호스트 장치(200)는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출력한다.
더 나아가, 호스트 장치(200)는 정책 제공 서버(300)로부터 조치 가이드의 기준이 되는 조치 정책을 수신하고, 수신된 조치 정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를 조회하여, 조회된 조치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200)는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정책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정책 제공 서버(300)에 저장된 조치 가이드의 기준이 되는 조치 정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를 정책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조치 가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31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호스트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한다.
132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호스트 장치(200)로 수집된 진단 기초 데이터를 전송한다.
133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100) 외부의 정책 제공 서버(300)에 저장된 네트워크 진단의 기준이 되는 진단 정책과 진단 기초 데이터에 기초하여, 호스트 장치(200)에서 생성된 화상 형성 장치(100)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수신한다.
134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한다.
더 나아가,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정책 제공 서버(300)에 저장된 조치 가이드의 기준이 되는 조치 정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 또는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이제까지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실시예들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raw data)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외부의 정책 제공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진단의 기준이 되는 진단 정책을 수신하는 통신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진단 기초 데이터와 상기 진단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입출력부;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진단 정책에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정책 제공 서버에 저장된 진단 정책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정책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된 진단 정책을 수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책 제공 서버로부터 조치 가이드의 기준이 되는 조치 정책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조치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를 조회하며,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조회된 조치 가이드를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조치 정책에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정책 제공 서버에 저장된 조치 정책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정책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된 조치 정책을 수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상기 정책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정책 제공 서버에 저장된 조치 가이드의 기준이 되는 조치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를 상기 정책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수신된 조치 가이드를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6.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raw data)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외부의 정책 제공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진단의 기준이 되는 진단 정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진단 기초 데이터와 상기 진단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책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정책에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정책 제공 서버에 저장된 진단 정책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정책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된 진단 정책을 수신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 제공 서버로부터 조치 가이드의 기준이 되는 조치 정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치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된 조치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상기 정책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책 제공 서버에 저장된 조치 가이드의 기준이 되는 조치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를 상기 정책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조치 가이드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장치의 요청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호스트 장치로 상기 수집된 진단 기초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외부의 정책 제공 서버에 저장된 네트워크 진단의 기준이 되는 진단 정책과 상기 진단 기초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책 제공 서버에 저장된 조치 가이드의 기준이 되는 조치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13. 호스트 장치의 요청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 기초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로 상기 수집된 진단 기초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외부의 정책 제공 서버에 저장된 네트워크 진단의 기준이 되는 진단 정책과 상기 진단 기초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 제공 서버에 저장된 조치 가이드의 기준이 되는 조치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조치 가이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치 가이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3 항 및 제 14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60104980A 2016-08-18 2016-08-18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195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980A KR102195640B1 (ko) 2016-08-18 2016-08-18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201780039234.9A CN109328332B (zh) 2016-08-18 2017-07-03 用于图像形成设备的网络诊断的装置、方法及介质
EP17841613.7A EP3451145B1 (en) 2016-08-18 2017-07-03 Host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network diagnosis on image form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on which network diagnosis is perform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17/007010 WO2018034429A1 (ko) 2016-08-18 2017-07-03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16/243,622 US10817228B2 (en) 2016-08-18 2019-01-09 Host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network diagnosis on image form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on which network diagnosis is perform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980A KR102195640B1 (ko) 2016-08-18 2016-08-18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526A true KR20180020526A (ko) 2018-02-28
KR102195640B1 KR102195640B1 (ko) 2020-12-28

Family

ID=6119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980A KR102195640B1 (ko) 2016-08-18 2016-08-18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진단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진단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17228B2 (ko)
EP (1) EP3451145B1 (ko)
KR (1) KR102195640B1 (ko)
CN (1) CN109328332B (ko)
WO (1) WO201803442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0413A1 (en) * 2001-06-19 2003-06-12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analyzing printer faults
US20050086333A1 (en) * 2003-10-16 2005-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autonomic solutions repository
KR20090010521A (ko) * 2007-07-23 200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와 호스트
KR20100044639A (ko) * 2008-10-22 201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들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KR20130037113A (ko) * 2011-10-05 2013-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링크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013156A1 (en) * 2012-07-04 201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6427B1 (en) * 1999-11-05 2003-02-04 Hewlett-Packard Company Network-based remote diagnostic facility
US7263632B2 (en) * 2003-05-07 2007-08-28 Microsoft Corporation Programmatic computer problem diagnosis and resolution and automated reporting and updating of the same
KR100677159B1 (ko) * 2004-12-15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 컴퓨터에서 외부장치의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및 장치
KR101154889B1 (ko) * 2005-08-22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단장치에 프린팅데이터를 제공하는 화상형성시스템 및 그진단데이터전송방법
KR20080060905A (ko) * 2006-12-27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진단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JP2008271126A (ja) * 2007-04-19 2008-11-06 Ntt Docomo Inc 移動端末装置、移動端末装置の診断方法
US10136030B2 (en) * 2012-07-04 2018-11-20 S-Printing Solution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network
EP2682869A1 (en) * 2012-07-04 2014-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Network
CN103227781A (zh) * 2013-03-28 2013-07-31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用户数据报协议的网络诊断及性能评估系统和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0413A1 (en) * 2001-06-19 2003-06-12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analyzing printer faults
US20050086333A1 (en) * 2003-10-16 2005-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autonomic solutions repository
KR20090010521A (ko) * 2007-07-23 200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방법 및 장치와 호스트
KR20100044639A (ko) * 2008-10-22 201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들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KR20130037113A (ko) * 2011-10-05 2013-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링크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013156A1 (en) * 2012-07-04 201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network
KR20140005768A (ko) * 2012-07-04 2014-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한 화상형성장치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46721A1 (en) 2019-05-16
EP3451145A4 (en) 2019-12-25
EP3451145B1 (en) 2021-08-25
EP3451145A1 (en) 2019-03-06
KR102195640B1 (ko) 2020-12-28
CN109328332B (zh) 2022-05-06
CN109328332A (zh) 2019-02-12
US10817228B2 (en) 2020-10-27
WO2018034429A1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9168B2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
US9769333B2 (en) SERVER for collecting status information of image forming devices
KR20190119476A (ko)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US108054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and location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10911611B2 (en) Transmitting fax document by using cloud server
JP65614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817228B2 (en) Host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network diagnosis on image form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on which network diagnosis is perform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80069468A (ko) 팩스 기능의 진단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1445070B2 (en) Determining print quality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rendered image
US10979591B2 (en) Method of managing image forming apparatus by using external ser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11115556B2 (en) Work form sharing
US98942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onfigured for processing of transmission at time specified in transmission setting information
US2020021345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failure repor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153450B2 (en) Providing of user interface screen based on different user interface platforms
JP2011044035A (ja)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36718B2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83690A (ko) 스크린 세이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스크린 세이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20210234990A1 (en) Method for outputting color image in user color
KR20180126794A (ko)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20220014019A (ko) 웹 페이지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제어
KR20200077845A (ko) 맞춤화 환경설정 정보에 따른 맞춤형 화면 제공
KR20190092723A (ko) 앱 사용 패턴에 기초한 앱 관리
KR20180001294A (ko) 모바일 프린팅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