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391A -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391A
KR20180019391A KR1020160103692A KR20160103692A KR20180019391A KR 20180019391 A KR20180019391 A KR 20180019391A KR 1020160103692 A KR1020160103692 A KR 1020160103692A KR 20160103692 A KR20160103692 A KR 20160103692A KR 20180019391 A KR20180019391 A KR 20180019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molding machine
fabric sheet
conveyor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8689B1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이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호 filed Critical 이진호
Priority to KR102016010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6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1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4Detail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1G9/16Feed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4Detail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1G9/22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D04H18/02Needling machines with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폐 섬유를 분쇄 및 혼합하여 혼합사(30)를 공급하는 개면기(100); 상기 혼합사(30)를 일정폭만큼 얇게 펴서 성형기(300)로 공급하는 카드기(200); 상기 카드기(200)로부터 공급받은 혼합사(30)를 적층시켜 부직포시트를 성형하는 성형기(300); 상기 부직포시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400); 상기 부직포시트를 펀칭하는 펀칭기(500); 상기 부직포시트를 권취하여 하나의 부직포를 형성하는 권취부(600); 로 구성되는 통상의 부직포 제조장치에 부직포시트를 형성하는 성형기(300)를 다수개로 구성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깔려져 적층될 수 있도록 가변시킴으로써, 농업 또는 공업용으로 사용하는 부직포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혼합사의 상, 하 양측 표면에 별도의 합성수지재질의 마대 등을 덧대어 합지하지 않고, 상기 혼합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부직포시트를 제조함으로써 자체적인 인장강도가 높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높으며, 신속 정확한 작업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번거로움 작업이 불필요함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이 우수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Inorganic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inorganic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nd equipment}
본 발명은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폐 섬유를 재료로 하여 혼합사를 형성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부직포시트를 형성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층된 부직포시트가 뒤틀리지 않게 압착한 후 박음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마대를 합지 하지 않고서 자체적으로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는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농작물이 식재된 농지의 토양을 부직포류로 커버하게 되면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면서, 공기가 소통되고 토양을 보온하여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목적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농업용 시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합성섬유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부직포의 일측면에 부분적으로 열압착 엠보싱 처리를 실시하여 제조되는 부직포가 제공된 바 있으나, 이러한 부직포는 과도한 두께로 인하여 공기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수분 함량이 과다하여 잡초의 성장 억제라는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고, 농작물의 성장에도 지장을 주며, 특히 공기소통의 곤란으로 인하여 각종 미생물의 생장번식이 억제되기 때문에 오히려 토양을 산성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부직포의 경우 인장강도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상이한데, 이러한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부직포에 층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들을 다양한 방법들로 일체화시켜 제조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의 경우에는 섬유를 원료로 하여 위사 또는 경사로 이루어지는 한 방향으로 형성된 부직포시트를 형성한 후, 상기 부직포시트의 표면에 합성수지제(폴리에스테르 등)를 갖는 마대를 덧대어 상기 부직포시트와 마대를 고정시키도록 하였지만, 이러한 기술은 제조장치에 마대를 공급하는 별도의 인출부를 구성하여야 함으로써 장치의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고, 상기 인출부에 의해 공급되는 마대가 모두 인출될 시에는 상기 마대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름에 따라 마대 교체를 위하여 장치를 정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었다.
한편,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 필름으로 위사와 경사방향으로 직조하여 형성된 부직포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온전히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대량생산 자체가 불가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17012호 (2003.03.1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부직포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수지재질의 마대 등을 별도로 합지하지 않고 폐 섬유를 원료로 하여 혼합사를 형성한 후, 상기 혼합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시켜 부직포시트를 형성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층된 부직포시트가 뒤틀리지 않게 압착시켜 박음부를 형성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여 자체적인 인장강도를 향상시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폐 섬유를 분쇄 및 혼합하여 혼합사(30)를 형성하여 공급하는 개면기(100); 상기 개면기(100)로부터 혼합사(30)를 공급받아 일정폭만큼 얇게 펴서 성형기(300)로 공급하는 카드기(200); 상기 카드기(200)와 연결되어 왕복운동을 하며 상기 카드기(200)로부터 공급받은 혼합사(30)를 깔아 부직포시트를 성형하는 성형기(300); 상기 성형기(300)와 연결되어 부직포시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400);상기 컨베이어(400)로부터 이송되는 부직포시트를 펀칭하는 펀칭기(500); 상기 부직포시트를 권취하여 하나의 부직포를 형성하는 권취부(600); 로 구성되는 부직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면기(100)는 일측과 타측에 제 1, 2개면기(110, 120)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카드기(200)는 제 1, 2개면기(110, 120)와 연결되는 제 1, 2카드기(210, 220)가 구성되며 혼합사(30)의 배출 방향이 상이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성형기(300)는 제 1, 2, 3성형기(310, 320, 330)로 구성되되 제 1성형기(310)는 제 1카드기(210)와 연결되며 제 2성형기(320)는 제 2카드기(220)와 연결되고 제 3성형기(330)는 제 1, 2성형기(310, 330) 사이에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 1, 3성형기(310, 330)와 제 2성형기(3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400)는 제 1, 2컨베이어(410, 420)로 구성되되, 제 1컨베이어(410)는 제 2성형기(320)와 연결되어 부직포시트를 제 2컨베이어(420)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제 2컨베이어(420)는 상기 제 1, 3성형기(310, 330)로부터 형성된 부직포시트를 펀칭기(500)로 이송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코자 하였고,
상기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제 2성형기(320)를 작동시켜 제 2컨베이어(420) 상에 혼합사(30)를 일 방향으로 깔아 부분적인 적층이 이루어지는 1차부직포시트(11)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컨베이어(4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1차부직포시트(11)를 제 3성형기(330)로 상기 1차부직포시트(11)와 다른 일 방향으로 제 1컨베이어(410) 상에 깔아 2차부직포시트(12)를 형성한 후, 상기 제 1성형기(310)를 작동시켜 제 1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되는 2차부직포시트(12)의 상부에 상기 제 3성형기(3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혼합사(30)가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3차부직포시트(13)를 형성하며, 상기 3차부직포시트(13)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깔려진 각각의 혼합사(30)가 뒤틀리지 않게 압착시켜 박음부(20)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코자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하면, 농업 또는 공업용으로 사용하는 부직포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혼합사의 상, 하 양측 표면에 별도의 합성수지재질의 마대 등을 덧대어 합지하지 않고, 상기 혼합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부직포시트를 제조함으로써 자체적인 인장강도가 높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높으며, 신속 정확한 작업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번거로움 작업이 불필요함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이 우수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개면기, 제 2카드기, 제 1성형기, 제1 컨베이어의 작동과 제 2성형기를 통해 형성된 제 1부직포시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성형기와 제 1컨베이어의 작동과 제 3성형기를 통해 형성된 제 2부직포시트를 타나내는 도면
도 6은 제 1개면기, 제 1카드기, 제 1성형기의 작동과 상기 제 1성형기를 통해 형성된 제 3부직포시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개면기, 제 2카드기, 제 1성형기, 제1 컨베이어의 작동과 제 2성형기를 통해 형성된 제 1부직포시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성형기와 제 1컨베이어의 작동과 제 3성형기를 통해 형성된 제 2부직포시트를 타나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개면기, 제 1카드기, 제 4성형기, 제 3컨베이어의 작동과 제 4성형기를 통해 형성된 제 4부직포시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 3컨베이어, 제 1성형기의 작동과 상기 제 1성형기를 통해 형성된 제 5부직포시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폐 섬유를 재료로 하여 혼합사를 형성하고, 상기 혼합사를 이용하여 위사와 경사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시키되 지그재그로 적층시켜 부직포시트를 형성한 후 상기 부직포시트가 뒤틀리지 않게 압착하켜 박음부를 형성하여 인장강도를 향상시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폐 섬유를 분쇄 및 혼합하여 혼합사(30)를 형성하여 공급하는 개면기; 상기 개면기로부터 혼합사(30)를 공급받아 일정폭만큼 얇게 펴서 성형기로 공급하는 카드기; 상기 카드기와 연결되어 왕복운동을 하며 상기 카드기로부터 공급받은 혼합사(30)를 깔아 부직포시트를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성형기와 연결되어 부직포시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부직포시트를 펀칭하는 펀칭기(500); 상기 부직포시트를 권취하여 하나의 부직포를 형성하는 권취부(600); 로 구성되는 부직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면기는 일측과 타측에 제 1, 2개면기(110, 120)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카드기는 제 1, 2개면기(110, 120)와 연결되는 제 1, 2카드기(210, 220)가 구성되며 혼합사(30)의 배출 방향이 상이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성형기는 제 1, 2, 3성형기(310, 320, 330)로 구성되되 제 1성형기(310)는 제 1카드기(210)와 연결되며 제 2성형기(320)는 제 2카드기(220)와 연결되고 제 3성형기(330)는 제 1, 2성형기(310, 330) 사이에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 1, 3성형기(310, 330)와 제 2성형기(3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400)는 제 1, 2컨베이어(410, 420)로 구성되되, 제 1컨베이어(410)는 제 2성형기(320)와 연결되어 부직포시트를 제 2컨베이어(420)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제 2컨베이어(420)는 상기 제 1, 3성형기(310, 330)로부터 형성된 부직포시트를 펀칭기(500)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개면기, 카드기, 성형기, 컨베이어, 압착롤러(450), 펀칭기(500) 및 권취부(600)로 구성되는 통상의 부직포 제조장치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면기와 카드기 및 성형기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 구성하여 일 측방향의 결을 갖도록 형성되는 통상의 부직포를 서로 다른 방향의 결을 가지며 적층되도록 하여 별도의 부직포시트에 마대 등과 같은 구성을 합지하지 않고서도 자체적인 인장강도가 있는 무기포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3성형기(310, 330)는 전후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성형기(320)는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카드기(110)와 제 1성형기(310) 사이에는 제 1카드기(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성형기(310)와 다른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제 4성형기(340)가 구성되고, 상기 제 1카드기(110)와 제 1성형기(310) 사이에 구성되되 상기 제 4성형기(340)의 이격되어 제 4성형기(340)로부터 깔려져 혼합사(30)를 상기 제 1성형기(310)로 이송시키는 제 3컨베이어(430)가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는 혼합사(3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층하여 3차부직포시트(13)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혼합사(30)를 서로 다른방향으로 적층하되 연속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여 5차부직포시트(15)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개면기(110), 제 1카드기(210) 및 제 3성형기(330)의 위치와, 제 2개면기(120), 제 2카드기(220), 제 2성형기(320), 및 제 2컨베이어(420), 제 1성형기(310)의 위치를 서로 바꿔 배치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①을 설명하면,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개면기(120), 제 2카드기(220), 제 2성형기(320), 제 2컨베이어(420), 제 3성형기(330), 제 1컨베이어(410)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 2개면기(120)로부터 분쇄 된 폐 섬유가 혼합되어 혼합사(30)를 형성하게 된 후, 그 혼합사(30)가 제 2카드기(220)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 2카드기(220)는 상기 제 2개면기(120)로부터 공급받은 혼합사(30)를 제 2카드기(220)의 폭 만큼 잘 펴서 제 2성형기(320)측 방향으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제 2성형기(320)에 의해 제 2컨베이어(420) 상에 혼합사(30)를 일 방향으로 깔아 부분적인 적층이 이루어지는 1차부직포시트(11)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부직포시트(110)는 제 2컨베이어(4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1차부직포시트(11)를 제 3성형기(330)로 상기 1차부직포시트(11)와 다른 일 방향으로 제 1컨베이어(410) 상에 깔아 2차부직포시트(12)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 2성형기(3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형성된 1차부직포시트(11)의 상측에 다른 방향으로 혼합사(30)를 적층하여 서로 다른 방향의 결을 갖는 2차부직포시트(12)를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최종적으로 부직포를 형성함에 있어서 일 방향의 결만 가지게 됨으로써, 부직포시트를 형성한 후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부직포시트의 양측표면에 합성수지재질을 갖는 마대 등을 부착시켜 합지하였지만, 이러한 종래의 부직포 제조방법은 인출되는 마대가 소모될 시 상기 마대의 재공급을 위하여 장치를 전체적으로 정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 및 작업의 소요시간이 많이 발생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대를 합지 하지 않고, 혼합사(30)가 서로 적층되도록 하여 부직포시트를 구성하되, 서로 다른 방향의 결을 갖도록 적층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극복하면서도 인장강도를 자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불필요한 교체 시간을 절약함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2차부직포시트(12)가 형성되면 상기 2차부직포시트(12)가 자연스레 제 1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되는데, 이때, 제 1성형기(310)를 작동시켜 상기 제 1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되는 2차부직포시트(12)의 상측에 상기 제 3성형기(3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혼합사(30)가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3차부직포시트(13)를 형성한 후, 상기 3차부직포시트(13)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깔려진 각각의 혼합사(30)가 뒤틀리지 않게 압착시켜 박음부(20)를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무기포 부직포를 제조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차부직포시트(12)의 상측에 상기 제 3성형기(330)의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 1성형기(310)에 의해 동일한 방향의 결의 혼합사(30)를 적층하여 부직포시트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폐 섬유는 혼합사 라일론, 폴리에스텔, 면, 아크릴 중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부직포의 색상이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박음부(20)를 형성할 시, 니들 펀칭, 박음질, 홈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가 있고, 본 발명에서는 박음질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무기포 부직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실시 예②를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부직포시트(12)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실시 예①과 동일하게 하여 2차부직포시트(12)를 형성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개면기(110), 제 1카드기(210), 제 4성형기(340) 및 제 3컨베이어(430)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 4성형기(430)에 의해 제 3컨베이어(430) 상에 혼합사(30)를 제 2성형기(320)에 의해 형성되는 1차부직포시트(11)와 동일한 방향으로 깔아 부분적인 적층이 이루어지는 4차부직포시트(14)를 형성한다.
그 후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컨베이어(430)에 의해 이송된 4차부직포시트(14)를 제 1성형기(310)를 통해 제 1컨베이어(410)로부터 이송되는 2차부직포시트(12)의 상부에 상기 제 3성형기(3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혼합사(30)가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5차부직포시트(15)를 형성하며, 상기 5차부직포시트(15)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깔려진 각각의 혼합사(30)가 뒤틀리지 않게 압착시켜 박음부(20)를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무기포 부직포를 형성하게 된다.
즉, 실시 예②는 실시 예①과 달리 1차부직포시트(11)와 2차부직포시트(12)를 형성한 후, 별도로 상기 1차부직포시트(11)와 동일한 방향의 결을 갖는 4차부직포시트(14)를 형성하여 상기 2차부직포시트(12)의 상측에 상기 2차부직포시트(12)와 동일한 방향으로 혼합사(30)를 적층하여 5차부직포시트(15)를 형성 하여 인장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무기포 부직포를 제조하게 된다.
다시 말해, 실시 예②의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은 가로와 세로방향의 결로 형성되는 부직포시트들이 여러 번 서로 적층되도록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가 배치되어 구성될 경우에는, 실시 예③으로써, 제 1성형기(310)를 작동시켜 1차부직포시트(11a)를 형성하여 제 1컨베이어(410)를 타며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 2성형기(320)를 작동시켜 2부직포시트(12a)를 형성하여 제 2컨베이어(420)를 타며 이동되도록 하며 제 3성형기(330)를 작동시켜 제 1컨베이어(410)를 타며 이동하는 1차부직포시트(11a)의 상부로 혼합사(30)를 깔아 3차부직포시트(13a)를 형성하게 되며, 그 후로는 이동하는 3차부직포시트(13a)가 뒤틀리지 않게 펀칭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 1, 2개면기(110, 120)와 압착롤러(450), 펀칭기(500), 권취부(600)의 작동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방법 또한, 폐 섬유는 혼합사 라일론, 폴리에스텔, 면, 아크릴 중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박음부(20)를 형성할 시, 니들 펀칭, 박음질, 홈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포 부직포 구조와 부직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의하면, 부직포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별도의 합성수지재질의 마대 등을 덧대어 합지하지 않고 폐 섬유로 형성된 혼합사를 위사와 경사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적층토록 하여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자체적인 인장강도가 높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높으며, 신속 정확한 작업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번거로움 작업이 불필요함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이 우수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1, 11a : 1차부직포시트 12, 12a : 2차부직포시트
13, 13a : 3차부직포시트 14 : 4차부직포시트
15 : 5차부직포시트
20 : 박음부 30 : 혼합사
110 : 제 1개면기 120 : 제 2개면기
210 : 제 1카드기 220 : 제 2카드기
310 : 제 1성형기 320 : 제 2성형기
330 : 제 3성형기 340 : 제 4성형기
410 : 제 1컨베이어 420 : 제 2컨베이어 430 : 제 3컨베이어
450 : 압착롤러 500 : 펀칭기 600 : 권취부

Claims (7)

  1. 폐 섬유를 분쇄 및 혼합하여 혼합사(30)를 형성하여 공급하는 개면기; 상기 개면기(100)로부터 혼합사(30)를 공급받아 일정폭만큼 얇게 펴서 성형기로 공급하는 카드기; 상기 카드기와 연결되어 왕복운동을 하며 상기 카드기로부터 공급받은 혼합사(30)를 깔아 부직포시트를 성형하는 성형기; 상기 성형기와 연결되어 부직포시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400); 상기 컨베이어(400)로부터 이송되는 부직포시트를 펀칭하는 펀칭기(500); 상기 부직포시트를 권취하여 하나의 부직포를 형성하는 권취부(600); 로 구성되는 부직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면기는 일측과 타측에 제 1, 2개면기(110, 120)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카드기는 제 1, 2개면기(110, 120)와 연결되는 제 1, 2카드기(210, 220)가 구성되며 혼합사(30)의 배출 방향이 상이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성형기는 제 1, 2, 3성형기(310, 320, 330)로 구성되되 제 1성형기(310)는 제 1카드기(210)와 연결되며 제 2성형기(320)는 제 2카드기(220)와 연결되고 제 3성형기(330)는 제 1, 2성형기(310, 330) 사이에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 1, 3성형기(310, 330)와 제 2성형기(3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400)는 제 1, 2컨베이어(410, 420)로 구성되되, 제 1컨베이어(410)는 제 2성형기(320)와 연결되어 부직포시트를 제 2컨베이어(420)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제 2컨베이어(420)는 상기 제 1, 3성형기(310, 330)로부터 형성된 부직포시트를 펀칭기(500)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3성형기(310, 330)는 전후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성형기(320)는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카드기(110)와 제 1성형기(310) 사이에는 제 1카드기(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성형기(310)와 다른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제 4성형기(340)가 구성되고,
    상기 제 1카드기(110)와 제 1성형기(310) 사이에 구성되되 상기 제 4성형기(340)의 이격되어 제 4성형기(340)로부터 깔려져 혼합사(30)를 상기 제 1성형기(310)로 이송시키는 제 3컨베이어(43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4. 제 1항의 제조장치를 이용하되,
    상기 제 2성형기(320)를 작동시켜 제 2컨베이어(420) 상에 혼합사(30)를 일 방향으로 깔아 부분적인 적층이 이루어지는 1차부직포시트(11)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컨베이어(4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1차부직포시트(11)를 제 3성형기(330)로 상기 1차부직포시트(11)와 다른 일 방향으로 제 1컨베이어(410) 상에 깔아 2차부직포시트(12)를 형성한 후,
    상기 제 1성형기(310)를 작동시켜 제 1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되는 2차부직포시트(12)의 상부에 상기 제 3성형기(3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혼합사(30)가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3차부직포시트(13)를 형성하며,
    상기 3차부직포시트(13)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깔려진 각각의 혼합사(30)가 뒤틀리지 않게 압착시켜 박음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5. 제 1항의 제조장치를 이용하되,
    상기 제 2성형기(320)를 작동시켜 제 2컨베이어(420) 상에 혼합사(30)를 일 방향으로 깔아 부분적인 적층이 이루어지는 1차부직포시트(11)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컨베이어(4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1차부직포시트(11)를 제 3성형기(330)로 상기 1차부직포시트(11)와 다른 일 방향으로 제 1컨베이어(410) 상에 깔아 2차부직포시트(12)를 형성한 후,
    제 4성형기(430)를 작동시켜 제 3컨베이어(430) 상에 혼합사(30)를 제 2성형기(320)에 의해 형성되는 1차부직포시트(11)와 동일한 방향으로 깔아 부분적인 적층이 이루어지는 4차부직포시트(14)를 형성하고,
    제 3컨베이어(430)에 의해 이송된 4차부직포시트(14)를 제 1성형기(310)를 통해 제 1컨베이어(410)로부터 이송되는 2차부직포시트(12)의 상부에 상기 제 3성형기(3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혼합사(30)가 연속적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5차부직포시트(15)를 형성하며,
    상기 5차부직포시트(15)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깔려진 각각의 혼합사(30)가 뒤틀리지 않게 압착시켜 박음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폐 섬유는 혼합사 라일론, 폴리에스텔, 면, 아크릴 중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박음부(20)를 형성할 시, 니들 펀칭, 박음질, 홈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KR1020160103692A 2016-08-16 2016-08-16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KR10186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92A KR101868689B1 (ko) 2016-08-16 2016-08-16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692A KR101868689B1 (ko) 2016-08-16 2016-08-16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391A true KR20180019391A (ko) 2018-02-26
KR101868689B1 KR101868689B1 (ko) 2018-07-23

Family

ID=6153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692A KR101868689B1 (ko) 2016-08-16 2016-08-16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894A1 (ko) * 2018-08-31 2020-03-05 (주)에스플러스컴텍 부직포 재활용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762A (ko) * 2001-02-19 2002-08-24 이동걸 무파우다 접착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020073634A (ko) * 2001-03-15 2002-09-28 서연권 기능성부직포와 그 부직포의 표면처리방법 및 장치
KR200317012Y1 (ko) 2003-03-11 2003-06-19 남일산업주식회사 복합부직포
JP2007239115A (ja) * 2006-03-07 2007-09-20 Tokyo Kasen Kk 繊維成型材の製造装置および繊維成型材
KR101175095B1 (ko) * 2011-10-24 2012-08-23 주식회사 패더그린 폐면직물 부직포 제조장치, 폐면직물 부직포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762A (ko) * 2001-02-19 2002-08-24 이동걸 무파우다 접착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020073634A (ko) * 2001-03-15 2002-09-28 서연권 기능성부직포와 그 부직포의 표면처리방법 및 장치
KR200317012Y1 (ko) 2003-03-11 2003-06-19 남일산업주식회사 복합부직포
JP2007239115A (ja) * 2006-03-07 2007-09-20 Tokyo Kasen Kk 繊維成型材の製造装置および繊維成型材
KR101175095B1 (ko) * 2011-10-24 2012-08-23 주식회사 패더그린 폐면직물 부직포 제조장치, 폐면직물 부직포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894A1 (ko) * 2018-08-31 2020-03-05 (주)에스플러스컴텍 부직포 재활용 장치 및 방법
CN112639184A (zh) * 2018-08-31 2021-04-09 圣加康德股份公司 无纺布再利用装置及方法
US11879192B2 (en) 2018-08-31 2024-01-23 S Plus Com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nonwoven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689B1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3459B2 (en) Needling loops into carrier sheets
KR101540025B1 (ko) 회전체형 니들펀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회전체형 섬유제품 제조 방법과 그 섬유조성물
CN101194061A (zh) 将环圈针刺到载体片中的方法
US4295251A (en) Method for controlling edge uniformity in nonwoven fabrics
WO2008154300A1 (en) Anchoring loops of fibers needled into a carrier sheet
KR101868689B1 (ko)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KR101595438B1 (ko) 부직포 생산시스템
ZA997160B (en) Textile planar structure.
KR101631430B1 (ko) 부직포 제조장치
JP2018199264A (ja) 3dシート材、及び、3dシート材の製造方法
KR101539527B1 (ko) 자동차 시트의 서포트 매트용 패턴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턴 부직포
TW537974B (en) Elastic stretchable laminate sheet and it production method
CN106240095B (zh) 在表面上形成连续交替的隆起部和沟槽来制造具有弹性及吸音性的聚酯短纤维层压体的方法
KR20100007292A (ko) 가장자리부의 마감 처리가 가능한 단면부직포 제조 장치및 자동 밴딩결착부와 그 제조장치로 생산되는 단면부직포
KR101752768B1 (ko)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9950B1 (ko) 단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제조장치
EP3851565A1 (en) Elastic filament and cutting method and cutting structure thereof and textile with the elastic filament
CN212608607U (zh) 一种无纺布折边装置
KR101796872B1 (ko)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KR101875531B1 (ko) 펠트 또는 부직포의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패턴 펀칭 방식의 완충 부직포 제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86555B1 (ko) 완충재와 완충재가 수용되는 포켓을 형성하는 물결형상 중심재를 포함하는 완충 레이어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완충재와 완충재가 수용되는 포켓을 형성하는 물결형상 중심재를 포함하는 완충 레이어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장치
KR101052593B1 (ko) 도트 무늬를 갖는 부직포 및 그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807268B1 (ko) 저신도 고강도의 부직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08459B1 (ko)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347613B1 (ko) 부직포가 부착된 견면의 제조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