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872B1 -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872B1
KR101796872B1 KR1020160102584A KR20160102584A KR101796872B1 KR 101796872 B1 KR101796872 B1 KR 101796872B1 KR 1020160102584 A KR1020160102584 A KR 1020160102584A KR 20160102584 A KR20160102584 A KR 20160102584A KR 101796872 B1 KR101796872 B1 KR 101796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nonwoven fabric
fabric sheet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이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호 filed Critical 이진호
Priority to KR102016010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 D04H17/10Felting apparatus for felting between rollers, e.g. heated rollers
    • D04H17/12Multi-roller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4Detail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1G9/16Feed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4Detail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1G9/22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74Rags; Fabric scrap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8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in combination with weld-bon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D04H18/02Needling machines with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시트에 마대를 펀칭하는 펀칭부의 일 측에 접착비닐공급부를 구성하여 상기 펀칭부에 의해 마대가 결합된 부직포시트의 하부 방향으로 접착비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접착비닐공급부의 일 측에 열롤러와 압착롤러로 구성되는 제 2압착부를 구성하여 상기 마대가 결합된 부직포시트의 하부에 상기 접착비닐이 열 압착되도록 하였고, 비닐공급부와 비닐압착롤러를 구성하여 상기 접착비닐이 열 압착되어 접착력을 갖는 부직포 시트의 하부에 비닐이 지속적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하는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부직포의 제조 공정에서 폐섬유가 분쇄 및 혼합되어 성형된 부직포시트에 비닐을 덧댈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부직포에 사용자가 사용용도에 따라서 비닐을 일일이 덧대야 하는 번거로운 수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한 번의 공정으로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며, 방음성, 보온성 및 내수성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Description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 using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at the crimping device vinyl}
본 발명은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대가 결합된 부직포시트의 하부에 접착비닐을 공급 및 열 압착하고, 상기 접착비닐이 열 압착되어 접착력을 갖는 부직포시트의 하부에 비닐을 공급 및 압착하여 방음성, 보온성 및 내수성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는 천연, 화학, 유리, 금속 등 다양한 섬유를 상호간의 특성에 따라 엉키게 하며 시트모양의 웨브(Web)를 형성하고, 이를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결합시켜 만든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단가가 저렴한 특징이 있어, 의류, 생필품 및 산업용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부직포를 제조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제조장치를 살펴보면, 다양한 섬유의 원류를 가공하여 공정 내부로 공급하는 원료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의 가공된 원료를 부직포로 가공토록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를 압착하여 직물 형상으로 가공하는 압착롤러와, 상기 압착롤러에 의해 가공되어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부직포를 보관 또는 사용이 용이한 형태로 권치시키는 권취부로 대분 구성을 하여,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료가 이송장치에 의해 공정을 이동하면서 접착제를 도포하고 압착롤러에 의해 압착시키는 등 기타의 가공을 행함으로써, 섬유 원료를 기계적, 물리적 결합으로 웹 구조를 형성하여 종횡의 방향성이 없는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가지는 부직포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부직포는 솜, 레이온 등과 같은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는 내수성이 떨어져 빗물과 같은 물에 매우 취약하며, 산업현장과 같은 실외에서 쓰이는 경우, 우천 시에 빗물에 쉽게 노출되어 부직포가 빗물에 젖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부직포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부직포에 별도의 비닐을 구비하여 부직포의 일 측에 결합시키거나 덮어서 빗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한 방법은 일일이 부직포에 비닐을 덮어야 됨에 따라 인력낭비가 발생하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그로 인해 인건비의 상승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부직포시트에 마대를 펀칭하는 펀칭부의 일 측에 접착비닐공급부를 구성하여 상기 펀칭부에 의해 마대가 결합된 부직포시트의 하부 방향으로 접착비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접착비닐공급부의 일 측에 열롤러와 압착롤러로 구성되는 제 2압착부를 구성하여 상기 마대가 결합된 부직포시트의 하부에 상기 접착비닐이 열 압착되도록 하였고, 비닐공급부와 비닐압착롤러를 구성하여 상기 접착비닐이 열 압착되어 접착력을 갖는 부직포 시트의 하부에 비닐이 지속적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하는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폐섬유를 분쇄 및 혼합하여 카드기(200)로 공급하는 개면기(100); 상기 개면기(1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폐섬유를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얇게 펼쳐 성형기(300)로 공급하는 카드기(200); 상기 카드기(2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폐섬유를 컨베이어(400)에 적층시켜 부직포시트(10)를 성형하는 성형기(300); 상기 성형기(300)에 의해 성형된 부직포시트(10)를 제 1압착부(500)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400); 상기 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되는 부직포시트(10)를 압착하는 제 1압착부(500); 상기 제 1압착부(500)에 의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상부에 마대(20)를 덧댈 수 있게 마대(20)를 공급하는 마대공급부(600); 다수의 니들이 구성되어 상기 부직포시트(10)와 마대(20)를 펀칭하여 결합시키는 펀칭부(700); 완성된 부직포(1)를 권취하는 권취부(1100); 로 구성되는 부직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700)와 권취부(1100)의 사이에 구성되되, 상기 펀칭부(700)와 이격되어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로 접착비닐(30)을 공급하는 접착비닐공급부(810)와,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와 이격되어 상기 접착비닐(30)의 하부로 비닐(40)을 공급하는 비닐공급부(820)로 구성되는 공급부(800);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와 비닐공급부(820) 사이에 구성되되, 상호 마주하며 접착비닐(30)을 포함하는 부직포시트(10)의 상부를 누르는 압착롤러(920)와, 상기 접착비닐(30)의 열 압착을 위한 열롤러(910)로 구성되는 제 2압착부(900);가 포함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롤러(920)의 일 측에 이격되게 구성되어 좌, 우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비닐(40)을 상기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압착시키는 비닐압착롤러(10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롤러(920)는 상기 열롤러(910)의 상부에 이격되어 구성되되, 상, 하측으로 유동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하면, 부직포의 제조 공정에서 폐섬유가 분쇄 및 혼합되어 성형된 부직포시트에 비닐을 덧댈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부직포에 사용자가 사용용도에 따라서 비닐을 일일이 덧대야 하는 번거로운 수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한 번의 공정으로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며, 방음성, 보온성 및 내수성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성형기에 의해 부직포시트가 성형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부직포 제조장치의 구성 중 접착비닐공급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인 부직포 제조장치의 구성 중 제 2압착부, 비닐공급부 및 비닐압착롤러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부직포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마대가 결합된 부직포시트의 하부에 접착비닐을 공급 및 열 압착하고, 상기 접착비닐이 열 압착되어 접착력을 갖는 부직포시트의 하부에 비닐을 공급 및 압착하여 방음성, 보온성 및 내수성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폐섬유를 분쇄 및 혼합하여 카드기(200)로 공급하는 개면기(100); 상기 개면기(1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폐섬유를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얇게 펼쳐 성형기(300)로 공급하는 카드기(200); 상기 카드기(2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폐섬유를 컨베이어(400)에 적층시켜 부직포시트(10)를 성형하는 성형기(300); 상기 성형기(300)에 의해 성형된 부직포시트(10)를 제 1압착부(500)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400); 상기 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되는 부직포시트(10)를 압착하는 제 1압착부(500); 상기 제 1압착부(500)에 의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상부에 마대(20)를 덧댈 수 있게 마대(20)를 공급하는 마대공급부(600); 다수의 니들이 구성되어 상기 부직포시트(10)와 마대(20)를 펀칭하여 결합시키는 펀칭부(700); 완성된 부직포(1)를 권취하는 권취부(1100); 로 구성되는 부직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700)와 권취부(1100)의 사이에 구성되되, 상기 펀칭부(700)와 이격되어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로 접착비닐(30)을 공급하는 접착비닐공급부(810)와,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와 이격되어 상기 접착비닐(30)의 하부로 비닐(40)을 공급하는 비닐공급부(820)로 구성되는 공급부(800);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와 비닐공급부(820) 사이에 구성되되, 상호 마주하며 접착비닐(30)을 포함하는 부직포시트(10)의 상부를 누르는 압착롤러(920)와, 상기 접착비닐(30)의 열 압착을 위한 열롤러(910)로 구성되는 제 2압착부(900);가 포함된다.
먼저, 종래의 일반적인 부직포 제조장치는 개면기(100), 카드기(200), 성형기(300), 컨베이어(400), 제 1압착부(500), 마대공급부(600), 펀칭부(700) 및 권취부(110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개면기(100)는 폐섬유를 분쇄 및 혼합하여 카드기(200)로 공급하고, 상기 카드기(200)는 상기 개면기(1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폐섬유를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얇게 펼쳐 성형기(300)로 공급하며, 상기 성형기(300)는 상기 카드기(2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폐섬유를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400)에 적층시켜 부직포시트(10)를 성형하고, 상기 컨베이어(400)는 상기 성형기(300)에 의해 성형되는 부직포시트(10)를 제 1압착부(500)로 이송시키며, 상기 제 1압착부(500)는 상기 컨베이어(4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되는 부직포시트(10)의 상, 하면을 가압하여 압착하고, 상기 마대공급부(600)는 상기 제 1압착부(5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 1압착부(500)에 의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상부에 마대(20)를 덧댈 수 있게 마대를 공급하며, 상기 펀칭부(700)는 다수의 니들이 구성되어 상기 부직포시트(10)와 마대(20)를 펀칭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권취부(1100)는 폐섬유가 상기한 개면기(100), 카드기(200), 성형기(300), 컨베이어(400), 제 1압착부(500), 마대공급부(600) 및 펀칭부(700)를 거쳐 완성된 부직포(1)를 운반 및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권취한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부직포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는 산업현장과 같은 실외에서 쓰이는 경우, 빗물이 부직포시트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사용자가 부직포의 일 측에 비닐을 일일이 결합시키거나 덮어서 사용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부직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700)에 의해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비닐(40)이 지속적으로 압착되어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가 제조될 수 있도록 상기 펀칭부(700)와 권취부(1100)의 사이에 공급부(800)와, 제 2압착부(9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부직포(1)는 일 측에 비닐(40)이 압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사용용도에 따라서 비닐(40)을 일일이 덧대야 하는 번거로운 수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한 번의 공정으로 비닐(40)이 압착된 부직포(1)를 제조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핵심구성요소인 상기 공급부(800)와, 제 2압착부(900)에 대해 설명하면,
도 1, 2, 3, 4,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800)는 상기 펀칭부(700)에 의해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방향으로 접착비닐(30)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펀칭부(700)의 일 측에 이격되어 구성되는 접착비닐공급부(810)와, 상기 접착비닐(30)의 하부로 비닐(40)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의 일 측에 이격되어 구성되는 비닐공급부(82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에서 공급되는 접착비닐(30)은 하기될 제 2압착부(900)에 의해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열 압착될 시, 상기 제 2압착부(900)의 열롤러(910)에 의해 녹아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면이 접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닐공급부(820)에서 공급되는 비닐(40)은 상기 접착비닐(30)이 하기될 제 2압착부(900)에 의해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열 압착되어 접착력을 가지는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접착될 시, 상기 부직포시트(10)의 방음성, 보온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에서 공급되는 접착비닐(30)의 폭은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공급될 시, 부직포시트(10)의 하부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하기될 제 2압착부(900)에 의해 상기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될 시,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 전체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비닐공급부(820)에서 공급되는 비닐(40)의 폭은 상기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비닐(40)이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접착될 시, 상기 비닐(40)이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2, 3,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와 비닐공급부(820) 사이에는 제 2압착부(900)가 구성된다.
상기 제 2압착부(900)는 상호 마주하며, 상기 접착비닐(30)을 포함하는 부직포시트(10)의 상부를 누르는 압착롤러(920)와, 상기 접착비닐(30)의 열 압착을 위한 열롤러(91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열롤러(910)는 내부에 열선이 구비되어 외면이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착롤러(920)는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로부터 공급되는 접착비닐(30)이 하부에 포함되는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상부를 누를 시, 상기 접착비닐(30)이 상기 열롤러(910)에 닿아 상기 접착비닐(30)이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열 압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롤러(9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롤러(910)의 상부에 이격되어 구성되되, 상, 하측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압착롤러(920)는 사용자가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압착롤러(920)를 상, 하측으로 유동시켜 상기 압착롤러(920)와 열롤러(910)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롤러(920)는 상기 부직포시트(10)의 상부에 결합된 마대(20)의 상부를 하측으로 유동시켜 가압함으로써,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공급되는 접착비닐(30)이 상기 열롤러(910)의 외면에 일정한 힘을 받으며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접착비닐(30)이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빈틈없이 열 압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 2압착부(900)는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로부터 공급되는 접착비닐(30)이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열 압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 2압착부(900)에 의해 상기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되어 접착력을 가지는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비닐(40)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와 비닐공급부(820)의 사이에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1, 2, 3,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롤러(920)의 일 측에는 좌, 우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비닐공급부(82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40)을 상기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압착시키는 비닐압착롤러(1000)가 이격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비닐압착롤러(1000)는 사용자가 상기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비닐압착롤러(1000)를 좌, 우측으로 유동시켜 상기 비닐압착롤러(1000)와 압착롤러(920)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비닐압착롤러(1000)는 상기 비닐압착롤러(1000)와 압착롤러(920)의 사이로 이송되는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공급되는 비닐(40)을 상기 압착롤러(920)가 구성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비닐(40)이 상기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되어 접착력을 가지는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빈틈없이 압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인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단계(S100)]
개면기(100)를 작동시켜 폐섬유를 분쇄 및 혼합하여 폐섬유의 짧은 섬유와 티끌 따위를 없애 카드기(200)로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제 2단계(S200)]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기(200)를 작동시켜 상기 개면기(1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폐섬유를 하기될 성형기(300)의 폭만큼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얇게 펼쳐 성형기(300)로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제 3단계(S300)]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기(300)를 작동시켜 상기 카드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얇게 펼쳐진 혼합된 폐섬유를 이동하는 컨베이어(400)에 적층시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부직포시트(10)를 지속적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제 4단계(S400)]
컨베이어(400)를 작동시켜 상기 성형기(300)에 의해 성형되는 부직포시트(10)를 지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이다.
[제 5단계(S500)]
제 1압착부(500)를 작동시켜 상기 컨베이어(400)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송되는 부직포시트(10)의 상, 하부를 가압하여 압착하는 단계이다.
[제 6단계(S600)]
마대공급부(600)를 작동시켜 상기 제 1압착부(500)에 의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상부에 마대(20)를 덧댈 수 있게 상기 부직포시트(10)의 상부에 마대(20)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제 7단계(S700)]
펀칭부(700)를 작동시켜 상기 부직포시트(10)와 상기 부직포시트(10)의 상부로 공급되는 마대(20)를 펀칭하여 결합시킨다.
본 발명인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중 핵심제조단계인 제 8단계(S800), 제 9단계(S900), 제 10단계(S1000) 및 제 11단계(S1100)에 대해 설명하면,
[제 8단계(S8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7단계(S700) 후, 접착비닐공급부(810)를 작동시켜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 방향으로 접착비닐(30)을 공급한다.
즉, 상기 제 7단계(S700) 후, 펀칭부(700)의 일 측에 이격되어 구성된 접착비닐공급부(810)를 작동시켜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방향으로 접착비닐(30)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접착비닐(30)은 하기될 제 9단계(S900)에서 제 2압착부(900)가 작동될 시, 제 2압착부(900)의 열롤러(910)에 의해 녹아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면이 접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공급되는 것이다.
[제 9단계(S9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압착부(900)를 작동시켜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로부터 공급되는 접착비닐(30)을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열 압착시킨다.
즉, 상기 제 8단계(S800) 후,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와 비닐공급부(820)의 사이에 구성된 열롤러(910)와, 압착롤러(920)로 구성된 제 2압착부(900)를 작동시켜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접착비닐(30)을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열 압착시키는 단계이다.
다시 말해, 상기 열롤러(910)를 작동하여 열롤러(910)의 외면이 고온으로 가열되어 상기 접착비닐(30)을 열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압착롤러(920)를 하측으로 유동시켜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상부, 즉, 마대(20)의 상부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부직포시트(10)의 공급되는 접착비닐(30)이 상기 열롤러(910)의 외면에 일정한 힘을 받으며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접착비닐(30)이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빈틈없이 열 압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 10단계(S10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공급부(820)를 작동시켜 상기 제 2압착부(900)에 의해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비닐(40)을 덧댈 수 있게 비닐(40)을 공급한다.
즉, 상기 제 9단계(S900) 후,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의 일 측에 이격되어 구성된 비닐공급부(820)를 작동시켜 상기 제 2압착부(900)에 의해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비닐(40)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비닐공급부(82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40)은 상기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되어 접착력을 가지는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접착되며 덧대어져 상기 부직포시트(10)의 방음성, 보온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제 11단계(S1100)]
비닐압착롤러(1000)를 작동시켜 상기 비닐공급부(82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40)을 상기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압착시킨다.
즉, 상기 제 10단계(S1000) 후, 상기 압착롤러(920)의 일 측에 이격되어 구성된 비닐압착롤러(1000)를 작동시켜 상기 비닐압착롤러(1000)와 압착롤러(920)의 사이로 이송되는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상기 비닐공급부(82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40)을 상기 압착롤러(920)가 구성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비닐(40)을 상기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되어 접착력을 가지는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압착시키는 단계이다.
[제 12단계(S1200)]
상기 제 11단계(S1100) 후, 권취부(1100)를 작동시켜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비닐(40)이 압착되어 완성된 부직포(1)를 권취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하면, 부직포의 제조 공정에서 폐섬유가 분쇄 및 혼합되어 성형된 부직포시트에 비닐을 덧댈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부직포에 사용자가 사용용도에 따라서 비닐을 일일이 덧대야 하는 번거로운 수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한 번의 공정으로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며, 방음성, 보온성 및 내수성이 향상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1 : 부직포
10 : 부직포시트 20 : 마대
30 : 접착비닐 40 : 비닐
100 : 개면기
200: 카드기
300 : 성형기
400 : 컨베이어
500 : 제 1압착부
600 : 마대공급부
700 : 펀칭부
800 : 공급부
810 : 접착비닐공급부 820 : 비닐공급부
900 : 제 2압착부
910 : 열롤러 920 : 압착롤러
1000 : 비닐압착롤러
1100 : 권취부

Claims (6)

  1. 폐섬유를 분쇄 및 혼합하여 카드기(200)로 공급하는 개면기(100); 상기 개면기(1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폐섬유를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얇게 펼쳐 성형기(300)로 공급하는 카드기(200); 상기 카드기(2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폐섬유를 컨베이어(400)에 적층시켜 부직포시트(10)를 성형하는 성형기(300); 상기 성형기(300)에 의해 성형된 부직포시트(10)를 제 1압착부(500)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400); 상기 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되는 부직포시트(10)를 압착하는 제 1압착부(500); 상기 제 1압착부(500)에 의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상부에 마대(20)를 덧댈 수 있게 마대(20)를 공급하는 마대공급부(600); 다수의 니들이 구성되어 상기 부직포시트(10)와 마대(20)를 펀칭하여 결합시키는 펀칭부(700); 완성된 부직포(1)를 권취하는 권취부(1100); 로 구성되는 부직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700)와 권취부(1100)의 사이에 구성되되, 상기 펀칭부(700)와 이격되어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로 접착비닐(30)을 공급하는 접착비닐공급부(810)와,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와 이격되어 상기 접착비닐(30)의 하부로 비닐(40)을 공급하는 비닐공급부(820)로 구성되는 공급부(800);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와 비닐공급부(820) 사이에 구성되되, 상호 마주하며 접착비닐(30)을 포함하는 부직포시트(10)의 상부를 누르는 압착롤러(920)와, 상기 접착비닐(30)의 열 압착을 위한 열롤러(910)로 구성되는 제 2압착부(9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920)의 일 측에 이격되게 구성되어 좌, 우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비닐(40)을 상기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압착시키는 비닐압착롤러(10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920)는 상기 열롤러(910)의 상부에 이격되어 구성되되, 상, 하측으로 유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4. 개면기(100)를 작동시켜 폐섬유를 분쇄 및 혼합하여 카드기(200)로 공급하는 제 1단계(S100); 카드기(200)를 작동시켜 상기 개면기(1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폐섬유를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얇게 펼쳐 성형기(300)로 공급하는 제 2단계(S200); 성형기(300)를 작동시켜 상기 카드기(2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폐섬유를 컨베이어(400)에 적층시켜 부직포시트(10)를 성형하는 제 3단계(S300); 컨베이어(400)를 작동시켜 상기 성형기(300)에 의해 성형된 부직포시트(10)를 이송시키는 제 4단계(S400); 제 1압착부(500)를 작동시켜 상기 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되는 부직포시트(10)를 압착하는 제 5단계(S500); 마대공급부(600)를 작동시켜 상기 제 1압착부(500)에 의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상부에 마대(20)를 덧댈 수 있게 마대(20)를 공급하는 제 6단계(S600); 펀칭부(700)를 작동시켜 상기 부직포시트(10)와 마대(20)를 펀칭하여 결합시키는 제 7단계(S700); 완성된 부직포(1)를 권취하는 제 12단계(S1200); 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항의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하되,
    상기 제 7단계(S700) 후, 접착비닐공급부(810)를 작동시켜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 방향으로 접착비닐(30)을 공급하는 제 8단계(S800)와,
    상기 제 8단계(S800) 후, 제 2압착부(900)를 작동시켜 상기 접착비닐공급부(810)로부터 공급되는 접착비닐(30)을 상기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열 압착시키는 제 9단계(S900)와,
    상기 제 9단계(S900) 후, 비닐공급부(820)를 작동시켜 상기 제 2압착부(900)에 의해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비닐(40)을 덧댈 수 있게 비닐(40)을 공급하는 제 10단계(S10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단계(S1000) 후, 비닐압착롤러(1000)를 작동시켜 상기 비닐공급부(82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40)을 상기 접착비닐(30)이 열 압착된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압착시키는 제 11단계(S11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9단계(S900)에서 상기 제 2압착부(900)의 열롤러(910)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압착롤러(920)를 하측으로 유동시켜 마대(20)가 결합된 부직포시트(1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부직포시트(10)의 하부에 접착비닐(30)을 열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KR1020160102584A 2016-08-11 2016-08-11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KR101796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584A KR101796872B1 (ko) 2016-08-11 2016-08-11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584A KR101796872B1 (ko) 2016-08-11 2016-08-11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872B1 true KR101796872B1 (ko) 2017-11-10

Family

ID=6038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584A KR101796872B1 (ko) 2016-08-11 2016-08-11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210A (ko) 2020-07-24 2022-02-04 이현종 압착과 건조를 통한 부직포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913B1 (ko) 2001-04-23 2003-06-12 김계현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를 위한 방수층 보호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90282B1 (ko) 2004-02-25 2006-06-19 주식회사 신일상공 방수 및 보온용 천 제조장치
KR101175095B1 (ko) 2011-10-24 2012-08-23 주식회사 패더그린 폐면직물 부직포 제조장치, 폐면직물 부직포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913B1 (ko) 2001-04-23 2003-06-12 김계현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를 위한 방수층 보호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90282B1 (ko) 2004-02-25 2006-06-19 주식회사 신일상공 방수 및 보온용 천 제조장치
KR101175095B1 (ko) 2011-10-24 2012-08-23 주식회사 패더그린 폐면직물 부직포 제조장치, 폐면직물 부직포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210A (ko) 2020-07-24 2022-02-04 이현종 압착과 건조를 통한 부직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0698B (zh) 气流成网与针刺加固相结合的非织造过滤毡
GB2389527B (en) Method of making a mat
JPH07149147A (ja) 木質系積層ファイバーマットとその木質系積層ファイバーマット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96872B1 (ko) 비닐이 압착된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방법
CN109159500A (zh) 一种以竹纤维为基材的汽车顶棚及其制备方法
CN102172929A (zh) 一种用秸秆生产木束板的技术方法
CN203919886U (zh) 一种用于手糊工艺的方格布复合毡
KR101598443B1 (ko) 자동차용 시트 커버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496829B1 (ko) 중간층이 울 섬유로 된 의류용 다층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CN102660843A (zh) 一次成型床垫
CN106240095B (zh) 在表面上形成连续交替的隆起部和沟槽来制造具有弹性及吸音性的聚酯短纤维层压体的方法
CN203093257U (zh) 玻璃棉贴面复合装置
KR101752768B1 (ko)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N206455942U (zh) 一种无纺布带焊接装置
CN105196637A (zh) 超声波复合沙发布
KR101868689B1 (ko)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CN103331058A (zh) 一种作为迎尘面的氟纤维高温过滤材料加工方法
CN206579154U (zh) 胶条压合机
JP2000052467A (ja) 多積層成型可能な不織布積層体
KR20160125756A (ko) 부직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05282344U (zh) 一种金属薄膜按键凸点贴合结构
KR20010000546A (ko) 폐섬유와 폐합섬수지를 원자재로 하는 수산물상자의제조방법
CN210082604U (zh) 一种定形好强度高的热压复合模具
RU240058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тных дисков
CN216373378U (zh) 一种杯型口罩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