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459B1 -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8459B1 KR101608459B1 KR1020140105130A KR20140105130A KR101608459B1 KR 101608459 B1 KR101608459 B1 KR 101608459B1 KR 1020140105130 A KR1020140105130 A KR 1020140105130A KR 20140105130 A KR20140105130 A KR 20140105130A KR 101608459 B1 KR101608459 B1 KR 1016084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nwoven fabric
- binding
- yarns
- yarn
- needle punch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6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60 car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59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D04H18/02—Needling machines with 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부직포를 공급하는 제1부직포공급부와; 상기 제1부직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제1부직포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열을 이루어 배치되면서 결합되는 복수의 제1결합사들을 공급하는 제1결합사공급부와; 복수의 제2결합사들이 열을 이루어 배치되며 니들펀칭에 의하여 일체화된 제2부직포를 상기 제2결합사가 상기 제1부직포에 결합된 상기 제1결합사와 교차하도록 공급하는 제2부직포공급부와; 니들펀칭에 의하여 상기 제1부직포 및 상기 제2부직포를 일체화하여 복합 부직포를 형성하는 메인니들펀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복합 부직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합 부직포의 일체화 전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를 평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를 측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의 복합 부직포 제조방치의 변형례를 측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의 변형례의 평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의 또 다른 변형례의 평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10, 20 : 부직포 (제1부직포, 제2부직포)
11, 21 : 결합사 (제1결합사, 제2결합사)
100 : 제1부직포공급부 200 : 제2부직포공급부
300 : 메인니들펀칭부 400 : 제1결합사공급부
Claims (21)
- 열을 이루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결합사들을 공급하는 제1결합사공급부와;
복수의 제2결합사들이 열을 이루어 배치되며 니들펀칭에 의하여 일체화된 제2부직포를 상기 제1결합사와 교차하도록 공급하는 제2부직포공급부와;
상기 제2결합사가 일체화된 상기 제2부직포와 상기 제1결합사를 니들펀칭에 의하여 일체화하여 복합 부직포를 형성하는 메인니들펀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부직포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상기 제1결합사들이 이루는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사들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2결합사들이 배치된 복수의 직사각형 제2부직포들이 상기 제1결합사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부직포공급부는,
상기 제2결합사가 일체화된 제2부직포가 감기며 회전에 의하여 제2부직포를 공급하는 제2부직포공급롤과;
상기 제1결합사의 이송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2부직포를 상기 복수의 상기 제1결합사들이 이루는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상기 제1결합사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제2부직포를 절단하는 제2부직포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부직포들은, 상기 제1결합사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후속되는 제2부직포와 일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부직포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상기 제1결합사들이 이루는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사들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2결합사들이 배치된 제2부직포가 감기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결합사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결합사의 이송방향으로 제2부직포를 공급하는 제2부직포공급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부직포는, 상기 복수의 상기 제1결합사들이 이루는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사들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2결합사들이 배치된 복수의 직사각형 부직포들이 상기 제1결합사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후속되는 부직포와 일부 중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부직포공급부는,
상기 제1결합사의 이송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제2부직포를 공급하는 보조부직포공급부와;
상기 제2부직포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열을 이루어 배치되면서 상기 제2부직포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사를 공급하는 제2결합사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제2결합사 및 상기 제2부직포를 니들펀칭에 의하여 일체화하는 보조니들펀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결합사들이 이송방향을 따라서 열을 이루어 배치되어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제1부직포를 공급하는 제1부직포공급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메인니들펀칭부는, 상기 제1부직포, 상기 제1결합사, 및 상기 제2부직포를 니들펀칭에 의하여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인니들펀칭부에 의하여 형성된 복합 부직포에 자외선보호물질을 분사하는 보호물질분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부직포 및 상기 제2부직포는, 상기 제1결합사가 부착된 면 및 상기 제2결합사가 부착된 면이 마주보도록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니들펀칭부에 의하여 형성된 복합 부직포에 자외선보호물질을 분사하는 보호물질분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 복수의 제1결합사들을 공급하는 제1결합사공급단계와;
복수의 제2결합사들이 열을 이루어 배치되며 니들펀칭에 의하여 일체화된 제2부직포를 상기 제2결합사가 상기 제1결합사와 교차하도록 상기 제1결합사와 밀착시키는 메인부직포밀착단계와;
상기 메인부직포밀착단계에서 결합된 상기 제1결합사 및 상기 제2부직포를 니들펀칭에 의하여 일체화하여 복합 부직포를 형성하는 일체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 - 복수의 제1결합사들을 제1부직포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열을 이루어 배치하여 제1부직포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하는 제1결합사결합단계와;
복수의 제2결합사들이 열을 이루어 배치되며 니들펀칭에 의하여 일체화된 제2부직포를 상기 제2결합사가 상기 제1부직포에 결합된 상기 제1결합사와 교차하도록 상기 제1결합사가 결합된 상기 제1부직포에 밀착시키는 메인부직포밀착단계와;
상기 메인부직포밀착단계에서 결합된 상기 제1부직포 및 상기 제2부직포를 니들펀칭에 의하여 일체화하여 복합 부직포를 형성하는 일체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 -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직포밀착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결합사들이 이루는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사들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2결합사들이 배치된 복수의 직사각형 제2부직포들을 상기 제1결합사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결합사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직포밀착단계는,
상기 제1결합사의 이송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2부직포를 상기 복수의 제1결합사들이 이루는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상기 제1결합사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제2부직포를 절단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부직포들은, 상기 제1결합사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후속되는 제2부직포와 일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직포밀착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결합사들이 이루는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사들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2결합사들이 배치된 제2부직포가 감기며,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제1결합사들이 이루는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결합사의 이송방향으로 제2부직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부직포는, 상기 복수의 제1결합사들이 이루는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사들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2결합사들이 배치된 복수의 직사각형 부직포들이 상기 제1결합사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후속되는 부직포와 일부 중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 -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니들펀칭에 의하여 형성된 복합 부직포에 자외선보호물질을 분사하는 보호물질분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부직포 및 상기 제2부직포는, 상기 제1결합사가 부착된 면 및 상기 제2결합사가 부착된 면이 마주보도록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 -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직포밀착단계는,
제2부직포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제2결합사들이 열을 이루어 배치되며 니들펀칭에 의하여 일체화시킨 후, 상기 제2부직포를 상기 제2결합사가 상기 제1결합사에 교차하도록 상기 제1결합사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5130A KR101608459B1 (ko) | 2014-08-13 | 2014-08-13 |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5130A KR101608459B1 (ko) | 2014-08-13 | 2014-08-13 |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0151A KR20160020151A (ko) | 2016-02-23 |
KR101608459B1 true KR101608459B1 (ko) | 2016-04-20 |
Family
ID=5544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5130A KR101608459B1 (ko) | 2014-08-13 | 2014-08-13 |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845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6602A (ko) | 2019-08-30 | 2021-03-10 | 아이코튼 주식회사 | 수압 밀봉 니들 헤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6869B1 (ko) | 2009-05-13 | 2014-06-16 | 주식회사 데크 | 니들펀칭 공법을 이용한 탄소프리폼 제조 방법 |
-
2014
- 2014-08-13 KR KR1020140105130A patent/KR1016084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6869B1 (ko) | 2009-05-13 | 2014-06-16 | 주식회사 데크 | 니들펀칭 공법을 이용한 탄소프리폼 제조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6602A (ko) | 2019-08-30 | 2021-03-10 | 아이코튼 주식회사 | 수압 밀봉 니들 헤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0151A (ko) | 2016-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11862B2 (ja) | らせん状に巻いたストリップ材を含む工業用布 | |
JP5279375B2 (ja) | 強化繊維糸シートを有する補強用不織基布 | |
TW200840709A (en) | Stitchbonded fabric with a substrate having diverse regional properties | |
US20080113152A1 (en) | Loop Materials | |
SK3512000A3 (en) | Large surface high tensile geo-grid, method of the manufacture, device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and their use as draining and reinforcing mesh grid as well as fence | |
KR101753867B1 (ko) | 탄성 복합 부직포 및 그 제조장치 | |
CN102482820A (zh) | 具有连续玻璃纤维的织物芯 | |
KR101608459B1 (ko) |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RU2604018C2 (ru) | Способ временного ограничения растяжения растяжимого нетканого полотна (варианты) | |
KR101735659B1 (ko) |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6736917B2 (en) | Process for manufacturing elastically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composite sheet | |
JP2020128602A (ja) | 複合型不織布とその製造方法 | |
KR20170095665A (ko) |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EP3736362B1 (en)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oven products | |
JP6698405B2 (ja) | 中綿 | |
US20130228281A1 (en) | Fabric having a foamed lay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 |
KR20200093638A (ko) | 일측에 불침투성 레이어를 그리고 타측에 안티 슬립 코팅을 갖는 부직포 시트 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 |
KR20170095664A (ko) |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JP2997404B2 (ja) | 強化スパンボンド不織布 | |
US20020023711A1 (en) | Process for manufacturing elastically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composite sheet | |
JP4917388B2 (ja) | 製紙用フェルト | |
KR100543071B1 (ko) | 직물기능을 하는 부직포 직물의 제조방법과 그 부직포 직물 | |
TWI626346B (zh) | 用於生產不織布的皮帶或套子及其形成方法 | |
KR101486000B1 (ko) | 3차원 입체 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 장치, 3차원 입체 형상 직물 제조 방법 | |
JP4968840B2 (ja) | カーペット用セカンド基布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1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3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