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833A - 웨이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웨이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833A
KR20180017833A KR1020160102268A KR20160102268A KR20180017833A KR 20180017833 A KR20180017833 A KR 20180017833A KR 1020160102268 A KR1020160102268 A KR 1020160102268A KR 20160102268 A KR20160102268 A KR 20160102268A KR 20180017833 A KR20180017833 A KR 20180017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thin film
wafer
layer
de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겸
김재선
류경민
장규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833A/ko
Priority to PCT/KR2017/007807 priority patent/WO2018030666A1/ko
Priority to TW106127277A priority patent/TWI655326B/zh
Publication of KR20180017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 H01L21/225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using diffusion into or out of a solid from or into a solid phase, e.g. a doped oxide layer
    • H01L21/2251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254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from or through or into an applied layer, e.g. photoresist, nitrides
    • H01L21/2257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from or through or into an applied layer, e.g. photoresist, nitrides the applied layer being silicon or silicide or SIPOS, e.g. polysilicon, porous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02Preparing waf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51Group 12/16 materials
    • H01L21/02554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87Structure
    • H01L21/0259Microstructure
    • H01L21/02598Microstructure monocrystal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6Selective deposition, e.g. simultaneous growth of mono- and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25With simultaneous mechanical treatment, e.g. mechanico-chemical poli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웨이퍼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단결정실리콘 구조의 잉곳을 제작하는 잉곳 성장단계; 상기 잉곳을 가공하여 서브기판을 제작하는 서브기판 제작단계; 상기 서브기판 상측에 폴리실리콘(poly silicon) 구조의 박막층의 증착공정을 진행하는 폴리실리콘 증착단계; 상기 박막층 상면을 연마하는 웨이퍼 연마단계; 및 상기 웨이퍼를 세척하는 웨이퍼 클리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이퍼 제조방법{Wafer manufacturing method}
실시예는, 단결정실리콘과 폴리실리콘이 결합된 구조를 가진 웨이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단결정실리콘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플로우팅존 (FZ: Floating Zone)법 또는 초크랄스키(CZ:CZochralski)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FZ 법을 적용하여 단결정실리콘 잉곳을 성장시키는 경우, 대구경의 실리콘 웨이퍼를 제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정 비용이 매우 비싼 문제가 있기 때문에, CZ 법에 의하여 단결정실리콘 잉곳을 성장시키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CZ 법에 의하면, 석영 도가니에 폴리실리콘(poly silicon)을 장입하고, 흑연 발열체를 가열하여 이를 용융시킨 후, 용융 결과 형성된 실리콘 용융액에 시드 결정(Seed Crystal)을 침지시키고, 용융액 계면에서 결정화가 일어나도록 하여 시드 결정을 회전하면서 인상시킴으로써 단결정실리콘 잉곳이 성장된다.
한편, 폴리실리콘은 단결정실리콘과 다른 결정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실시예는, 단결정실리콘과 폴리실리콘이 결합된 구조를 가진 웨이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웨이퍼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단결정실리콘 구조의 잉곳을 제작하는 잉곳 성장단계; 상기 잉곳을 가공하여 서브기판을 제작하는 서브기판 제작단계; 상기 서브기판 상측에 폴리실리콘(poly silicon) 구조의 박막층의 증착공정을 진행하는 폴리실리콘 증착단계; 상기 박막층 상면을 연마하는 웨이퍼 연마단계; 및 상기 웨이퍼를 세척하는 웨이퍼 클리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단계는, 상기 서브기판의 상측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산화막층 형성단계; 및 상기 산화막층 상측에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을 진행하는 박막층 증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층은, 상기 산화막층 상측에 형성되는 시드층(seed layer); 및 상기 시드층 상측에 형성되는 메인층(main layer)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메인층은, 주상성장결정(columnar grain)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박막층은 상압(atmospheric pressure) 분위기에서 상기 산화막층에 증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박막층의 증착온도는 925℃ 내지 11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은, 상기 박막층의 증착온도가 다른 적어도 2구간으로 나누어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은, 증착온도가 925℃ 내지 1050℃ 인 제1구간과, 증착온도가 1050℃ 내지 1100℃인 제2구간으로 나누어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에서 사용되는 소스가스는 SiHCl3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은, 상기 산화막층을 제거하지 않고 상기 산화막층 상에 소스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박막층이 증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웨이퍼는 휨이 40μm 이하로 제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서브기판은, 붕소(B) 또는 적인(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막층은, 상기 서브기판의 일면이 외부공기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막층은, 두께가 10Å 내지 15Å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박막층은, 두께가 1μm 내지 10μm로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웨이퍼 연마단계는, 상기 박막층의 상면에 상기 박막층의 일부가 연마되어 형성되는 연마면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박막층은, 두께가 1μm 내지 10μm로 증착되어 형성된 후, 상기 연마면은 증착된 상기 박막층이 0.1μm 내지 1μm 미만으로 연마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기 웨이퍼 클리닝단계 완료 후 진행되는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단결정실리콘 구조의 잉곳을 제작하는 잉곳 성장단계; 상기 잉곳을 가공하여 서브기판을 제작하는 서브기판 제작단계; 상기 서브기판 상측에 폴리실리콘 구조의 박막층의 증착공정을 진행하는 폴리실리콘 증착단계; 상기 박막층 상면을 연마하는 웨이퍼 연마단계; 및 상기 웨이퍼를 세척하는 웨이퍼 클리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단계는, 상기 서브기판의 상측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산화막층 형성단계; 및 상기 산화막층 상측에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을 진행하는 박막층 증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은 상기 박막층의 증착온도가 다른 적어도 2구간으로 나누어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웨이퍼는 SFQR 평탄도가 0.08μm 이하로 제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웨이퍼는 SFQR 평탄도가 0.05μm 이하로 제어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산화막층은, 웨이퍼의 전기저항을 높일 수 있고, 서브기판의 실리콘단결정 구조와 다른 폴리실리콘 구조를 가진 박막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웨이퍼 제조시 형성될 수 있는 산화막층을 제거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웨이퍼의 생산을 위한 시간, 비용 및 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박막층 증착단계를 증착온도가 다른 적어도 2구간으로 나누어 진행함으로써 웨이퍼 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웨이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웨이퍼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웨이퍼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웨이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박막층의 증착온도와 웨이퍼 휨(warp)의 관계를 나타낸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웨이퍼(10)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웨이퍼(10) 제조방법은 잉곳 성장단계(S110), 서브기판(100) 제작단계(S120), 폴리실리콘(poly silicon) 증착단계(S130), 웨이퍼(10) 연마단계(S140), 웨이퍼(10) 클리닝단계(S150) 및 후처리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잉곳 성장단계(S110)에서는, 도가니(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잉곳 성장장치에서 단결정실리콘 구조의 잉곳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잉곳(ingot)은 대체로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브기판(100) 제작단계(S120)에서는, 상기 잉곳을 가공하여 서브기판(100)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기판(100) 제작단계(S120)에서는, 상기 단결정실리콘 구조의 상기 잉곳을 적당한 두께로 슬라이싱(slicing)하고, 슬라이싱된 기판을 세척하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된 기판은 양면을 연마장치를 사용하여 연마하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연마공정을 마친 후, 세척 등 필요한 처리공정을 거치면 상기 서브기판(100)이 마련될 수 있다.
폴리실리콘 증착단계(S130)에서는, 상기 서브기판(100) 상측에 폴리실리콘 구조의 박막층(300)을 증착하고, 산화막층(200) 형성단계와 박막층(300) 증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실리콘 증착단계(S130)는 웨이퍼(10) 제조를 위한 각종의 장비들을 구비하고, 상기 장비들을 사용하여 웨이퍼(10) 제조를 위한 최적의 조건을 만들 수 있는 챔버(미도시) 내부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폴리실리콘 증착단계(S130)에서는, 상기 박막층(300)은 상압(atmospheric pressure) 분위기에서 상기 산화막층(200)에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막층(200)도 상압 분위기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폴리실리콘 증착공정은 상압 분위기의 챔버에서 진행되는 상압 화학기상증착(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APCVD)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산화막층(200)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서브기판(100) 상측에 산화막층(2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산화막층(200)은, 서브기판(100)의 상면이 약 1000℃ 정도의 고온의 분위기에서 챔버 내부에 존재하는 외부공기에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산화막층(200)은 서브기판(100)의 상면이 산소 또는 수증기에 노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박막층(300) 증착단계에서는, 폴리실리콘을 포함하는 박막층(300)을 상기 산화막층(200) 상측에 증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화막층(200)은 폴리실리콘 구조의 박막층(300)을 형성하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박막층(300) 증착단계에서, 상기 박막층(300)은 소스가스가 상기 산화막층(200)에 분사되어 상기 산화막층(200)에 증착 및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웨이퍼(10) 연마단계(S140)에서는, 폴리실리콘 증착단계(S130), 구체적으로 상기 박막층(300) 증착단계를 완료한 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웨이퍼(10) 연마단계(S140)에서는 박막층(300) 증착이 완료된 웨이퍼(10)를 연마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박막층(300) 상면, 더욱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메인층(320)의 상면을 연마할 수 있다.
웨이퍼(10) 연마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메인층(320)의 상면에 후술하는 연마면(330)을 형성할 수 있다.
웨이퍼(10) 클리닝단계(S150)에서는, 웨이퍼(10) 연마단계(S140)가 완료된 후, 상기 웨이퍼(10)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웨이퍼(10) 클리닝단계(S150)에서는 특히, 박막층(300) 증착단계와 웨이퍼(10) 연마단계(S140)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파티클은 웨이퍼(10)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 가공불량으로 인해 웨이퍼(10) 표면에 형성되는 돌출부 또는 함몰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파티클의 개수, 크기 등이 증가할 수로 웨이퍼(10)의 품질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웨이퍼(10) 클리닝단계(S150)에서는 화학적,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파티클을 제거함으로써 웨이퍼(10)의 품질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후처리 단계(S160)에서는, 완제품 웨이퍼(10)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리닝이 완료된 상기 웨이퍼(10)를 대상으로, 웨이퍼(10)의 SFQR 평탄도, 휨(warp) 정도 등을 측정하고, 웨이퍼(10) 표면에 존재하는 파티클의 개수와 크기 등을 측정한다.
이때, 필요한 경우, 파티클 제거 등을 위해 다시 웨이퍼(10) 클리닝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측정결과를 고려하여 불량품 웨이퍼(10)를 선별하여 폐기하고, 양질의 웨이퍼(10)만을 골라 제품출하를 위한 포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웨이퍼(10)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웨이퍼(10)는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웨이퍼(10)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완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실시예의 웨이퍼(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기판(100), 산화막층(200) 및 박막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기판(100)은 예를 들어, 단결정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기판(100)은 단결정실리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단결정실리콘은 실리콘(Si)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결정구조를 가진 실리콘을 말한다.
이때, 상기 단결정실리콘은 복수의 실리콘결정이 배열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각 결정들의 크기 및 형상 등이 유사하고, 그 배열상태 또한 규칙적일 수 있다.
상기 단결정실리콘 구조의 서브기판(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잉곳 성장단계(S110) 및 서브기판(100) 제작단계(S120)를 거쳐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기판(100)은 비저항값이 예를 들어, 1kΩcm 내지 10kΩcm인 것일 수 있다. 일반적인 p-형 서브기판의 비저항값이 약 10Ωcm인 점을 고려하면 상기 서브기판(100)은 비저항값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의 웨이퍼(10)는 예를 들어, 고저항 SOI(Silicon On Insulator)기판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서브기판(100)의 비저항이 크게 제작하는 것이 적절하기 때문이다.
즉, 실시예의 웨이퍼(10)가 고저항 SOI기판의 제작에 사용되려면, 상기 웨이퍼(10)가 전체적으로 전기저항이 높아야 하고, 따라서 서브기판(100)도 비저항값이 높을수록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서브기판(100)은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순물은 예를 들어, 붕소(B) 또는 적인(P)일 수 있다. 서브기판(100)의 제작시 상기 불순물들의 농도를 조절하여 상기한 비저항값 기타 서브기판(100)의 특성을 조절할 수도 있다.
산화막층(200)은 상기 서브기판(10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화막층(200)은 예를 들어, 실리콘산화막(silicon dioxide fil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화막층(200)은 전기저항이 높으므로, 고저항 SOI기판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의 웨이퍼(1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막층(200)은 상기 서브기판(100)의 일면 즉, 도 2에서 도면 상으로 보아, 상면이 외부공기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산화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산화막층(200)은 서브기판(100)의 상면이 산소(O2) 또는 수증기(H2O)에 노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산화막층(200)이 형성되기 위한 온도조건은 고온, 예를 들어, 약 1000℃ 정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리콘단결정 구조의 서브기판(100)에 폴리실리콘이 적층된 구조의 기판에서는 제조공정에서 고온의 분위기에서 외부공기에 노출되어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산화막층(200)은 제거된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상기 산화막층(200)이 전기저항이 높으므로, 고저항 SOI기판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의 웨이퍼(10)에서는 유용하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상기 산화막층(200)을 제거하지 않고 상기 산화막층(200) 상에 박막층(300)을 증착할 수 있다.
박막층(300)은 상기 산화막층(200)에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박막층(300)은 상기 산화막층(200) 상측에 형성되고, 폴리실리콘(poly silic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실리콘은 상기 단결정실리콘보다 실리콘결정의 크기 및 배열상태가 불규칙할 수 있다.
즉, 단결정실리콘 구조와 비교하여, 폴리실리콘은 실리콘원자들이 불규칙하게 배열되고, 폴리실리콘을 형성하는 각각의 실리콘결정의 크기, 형상에 차이가 크고, 상기 실리콘결정들의 배열상태도 불규칙하다.
상기 박막층(300)은 상기 산화막층(200)에 소스가스가 분사되어 박막층(300)이 적층되는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박막층(300)을 형성하기 위해 산화막층(200)에 분사되는 상기 소스가스는 예를 들어, SiHCl3일 수 있다.
상기 박막층(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드층(310)(seed layer)과 메인층(320)(mai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드층(310)은 상기 산화막층(200)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층(320)은 상기 시드층(310)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드층(310)은 상기 산화막층(200) 상에 형성되는데, 상기 산화막층(200)은 서브기판(100)과 결정구조가 다르다. 따라서, 산화막층(200) 상에 증착되는 시드층(310)은 서브기판(100)과 달리 불규칙한 크기, 형상 및 배열을 가지면서 성장하게 되어, 임의적 성장결정(random grain)을 가질 수 있다.
임의적 성장결정 구조를 가진 상기 시드층(310)은 결정성장의 방향성이 없거나 매우 작으므로, 상기 시드층(310)은 임의적 형상을 가진 결정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층(320)은 주상성장결정(columnar grain)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막층(200) 상에 소스가스가 분사되어 시드층(310)이 형성된 후, 실리콘결정이 계속적으로 성장하여 상기 산화막층(200)의 영향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나게 되면, 실리콘결정은 방향성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다.
박막층(300)에서 상기 실리콘결정이 방향성을 가지고 성장하는 부분이 메인층(320)이 될 수 있다. 이때, 실리콘결정의 성장방향성으로 인해, 상기 메인층(320)은 주상성장결정을 가질 수 있다.
결국, 상기 시드층(310)과 상기 메인층(320)은 주상성장결정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임의적 성장결정과 주상성장결정을 구분할 수 있은 기준이 명확하지는 않으므로, 상기 시드층(310)과 상기 메인층(320)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박막층(300)의 증착공정(SE2)이 계속 진행되면, 상기 산화막층(200)에 가까운 부위에는 임의적 성장결정구조를 가진 시드층(310)이 형성되고, 산화막층(200)에서 비교적 멀어 산화막층(200)의 영향을 벗어나는 부위에는 주상 성장결정구조를 포함하는 메인층(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층(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면(3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마면(330)은 상기 박막층(300)의 상면에 상기 박막층(300)의 일부가 연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마면(330)은 상기 메인층(320)의 일부가 연마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메인층(3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의 웨이퍼(10)는 각종 소자가 구비되거나, 다른 기판과 다시 결합하는 공정을 거치는 등의 작업을 통해 완제품 반도체기판의 부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10)를 이용한 완제품 반도체기판의 제작을 위해 웨이퍼(10)의 상면과 하면을 연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브기판(100)의 하면은 서브기판(100)의 제작시 미리 연마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화막층(200)은 두께(TH1)가, 예를 들어, 10Å 내지 15Å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화막층(200)의 두께(TH1)는 상기 박막층(300)의 두께(TH2)에 비해 상당히 작을 수 있다.
이는 산화막층(200)의 두께(TH1)가 작더라도 고저항 특성을 가지는 점, 상기 산화막층(200)은 폴리실리콘 구조의 박막층(30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 산화막의 결정구조를 성장시켜 그 두께를 키우기 어려운 점 등을 고려하면, 상기 산화막층(200)의 두께(TH1)를 작게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박막층(300)은, 예를 들어, 두께(TH2)가 1μm 내지 10μm로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층(300) 두께(TH2)는 연마되어 제거되는 두께(TH3)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한편, 상기 연마면(33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박막층(300)의 상면이 연마되어 제거되는 연마두께(TH3)는 연마면(330)의 평탄도, 표면거칠기 등 표면상태, 연마장치의 특성, 웨이퍼(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연마두께(TH3)는, 예를 들어, 0.1μm 내지 1μm 미만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층(300)은 두께(TH2)가 1μm 내지 10μm로 증착되어 형성된 후, 상기 연마면(330)은 증착된 상기 박막층(300)이 0.1μm 내지 1μm 미만으로 연마되어 형성되며, 연마가 완료된 후 상기 박막층(300) 최종두께(TH4)는 9.9μm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박막층(300)의 두께(TH4)가 0이 될 수 없음은 당연하다.
실시예에서 상기 산화막층(200)은, 웨이퍼(10)의 전기저항을 높일 수 있고, 서브기판(100)의 실리콘단결정 구조와 다른 폴리실리콘 구조를 가진 박막층(300)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웨이퍼(10)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웨이퍼(10)의 제조방법에서 특히 상기 박막층(300) 증착단계의 진행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챔버 내부온도 변화를 나타낸다. 실시예의 박막층(300) 증착단계는 승온공정(SE1), 증착공정(SE2) 및 냉각공정(SE3)을 포함할 수 있다.
승온공정(SE1)은 박막층(300) 증착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챔버 내부온도를 승온하는 공정이다. 상기 승온공정(SE1)은 챔버 내부에서 상기 산화막층(200) 형성단계를 진행한 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산화막층(200) 형성단계 완료 후, 승온공정(SE1) 이전에 챔버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퍼지(purge)단계가 진행될 수 있고, 퍼지로 인해 챔버 내부온도가 일시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승온공정(SE1)에서는 챔버 내부의 퍼지를 진행함으로 인해, 챔버 내부온도 변동(fluctu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증착공정(SE2)에서는 산화막층(200) 상에 박막층(300)이 증착될 수 있다. 증착공정(SE2)에서 상기 박막층(300)의 증착온도는, 예를 들어, 925℃ 내지 1100℃일 수 있다. 이러한 고온의 조건은 챔버에 구비되는 가열장치를 통해 상기 챔버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산화막층(200)이 고저항 SOI기판의 제작에 유용하므로, 상기 증착공정(SE2)에서는 상기 산화막층(200)을 제거하지 않고 상기 산화막층(200) 상에 소스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박막층(300)이 증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웨이퍼(10) 제조시 형성될 수 있는 산화막층(200)을 제거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웨이퍼(10)의 생산을 위한 시간, 비용 및 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증착공정(SE2)은, 상기 박막층(300)의 증착온도가 다른 적어도 2구간, 예를 들어 제1구간과 제2구간으로 나누어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착공정(SE2)은 박막층(300) 증착온도가 925℃ 내지 1050℃ 인 제1구간과, 증착온도가 1050℃ 내지 1100℃인 제2구간으로 나누어 진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증착공정(SE2)을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으로 나누어 진행하는 경우, 웨이퍼(10)의 휨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하기에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증착공정(SE2)에서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은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막층(300) 증착이 상기 제1구간에서 선행하고, 다음으로 상기 제2구간에서 진행될 수 있다. 반대로, 박막층(300) 증착이 상기 제2구간에서 선행하고, 다음으로 상기 제1구간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공정(SE2)은 복수의 제1구간과 복수의 제2구간에서 반복되어 진행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구간과 제2구간의 반복횟수는 챔버, 웨이퍼(10)의 크기,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냉각공정(SE3)은 증착공정(SE2)이 완료된 후, 웨이퍼(10) 연마단계(S140) 시작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웨이퍼(10) 연마단계(S140)는 상기 웨이퍼(10)를 챔버 내부로부터 인출하여 연마장치를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웨이퍼(10)를 상기 챔버 내부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상기 냉각공정(SE3)에서는 상기 챔버 내부온도를 하강시켜 상기 웨이퍼(10)를 냉각할 수 있다.
박막층(300) 증착이 완료된 상기 웨이퍼(10)를 급격히 냉각할 경우, 웨이퍼(10)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각공정(SE3)에서는 챔버 내부온도의 하강시간, 단위시간당 온도하강율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박막층(300)의 증착온도와 웨이퍼(10) 휨의 관계를 나타낸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의 증착온도는 증착공정(SE2) 진행시 챔버 내부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수치범위 내의 웨이퍼(10) 중 임의로 선택하여 복수의 테스트용 웨이퍼(10)를 마련하였다. 물론, 상기 테스트용 웨이퍼(10)는 상기 웨이퍼(10) 클리닝단계(S150)를 완료하여 상기 연마면(330)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925/1050℃와 925/1100℃는 증착공정(SE2)에서 2중온도조건 즉, 증착온도를 서로 달리하는 제1구간과 제2구간으로 나누어 증착을 진행한 경우를 말하고, 상기 제1구간과 제2구간의 각각의 증착온도는 기재된 숫자와 같다.
또한, 925℃와 950℃는 증착공정(SE2)에서 단일온도조건 즉, 증착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여 증착을 진행한 경우를 말하고, 증착온도는 기재된 숫자와 같다.
그래프 상에서 각 온도조건마다 복수의 웨이퍼(10)를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그래프에서 +로 표시된 부분은 복수의 실험결과값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한편, 그래프의 세로축은 웨이퍼(10) 휨을 나타낸다. 상기 웨이퍼(10) 휨은 웨이퍼(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일면과 마주보도록 놓이는 가상의 기준면에서 상기 웨이퍼(10)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중앙에 놓이는 중앙면 즉, 웨이퍼(10)의 두께의 중심을 형성하는 면까지의 거리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로 정의된다.
도 4에 도시된 실험결과를 보면, 박막층(300) 증착공정(SE2)을 2중온도조건 즉, 제1구간과 제2구간으로 나누어 진행할 수록, 증착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박막층(300)의 휨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박막층(300) 증착공정(SE2)을 2중온도조건으로 진행하고, 제1구간/제2구간 온도조건을 약 925/1100℃로 할 경우, 웨이퍼 휨이 50μm 이하, 더욱 적절하게는 40μm 이하로 제어된 실시예의 웨이퍼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웨이퍼는 SFQR(Site Flatness Quality Requirements : site front least square range) 평탄도가 0.08μm 이하, 더욱 적절하게는 0.05μm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박막층(300) 증착단계를 증착온도가 다른 적어도 2구간으로 나누어 진행함으로써 웨이퍼(10) 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웨이퍼(10)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 웨이퍼
100: 서브기판
200: 산화막층
300: 박막층
310: 시드층
320: 메인층
330: 연마면
SE1: 승온공정
SE2: 증착공정
SE3: 냉각공정

Claims (19)

  1. 단결정실리콘 구조의 잉곳을 제작하는 잉곳 성장단계;
    상기 잉곳을 가공하여 서브기판을 제작하는 서브기판 제작단계;
    상기 서브기판 상측에 폴리실리콘(poly silicon) 구조의 박막층의 증착공정을 진행하는 폴리실리콘 증착단계;
    상기 박막층 상면을 연마하는 웨이퍼 연마단계; 및
    상기 웨이퍼를 세척하는 웨이퍼 클리닝단계
    를 포함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단계는,
    상기 서브기판의 상측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산화막층 형성단계; 및
    상기 산화막층 상측에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을 진행하는 박막층 증착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층은,
    상기 산화막층 상측에 형성되는 시드층(seed layer); 및
    상기 시드층 상측에 형성되는 메인층(main layer)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층은,
    주상성장결정(columnar gra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 상압(atmospheric pressure) 분위기에서 상기 산화막층에 증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박막층의 증착온도는 925℃ 내지 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은,
    상기 박막층의 증착온도가 다른 적어도 2구간으로 나누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은,
    증착온도가 925℃ 내지 1050℃ 인 제1구간과, 증착온도가 1050℃ 내지 1100℃인 제2구간으로 나누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에서 사용되는 소스가스는 SiHCl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은,
    상기 산화막층을 제거하지 않고 상기 산화막층 상에 소스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박막층이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는 휨이 40μm 이하로 제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기판은,
    붕소(B) 또는 적인(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층은,
    상기 서브기판의 일면이 외부공기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층은,
    두께가 10Å 내지 15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
    두께가 1μm 내지 10μm로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연마단계는,
    상기 박막층의 상면에 상기 박막층의 일부가 연마되어 형성되는 연마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
    두께가 1μm 내지 10μm로 증착되어 형성된 후,
    상기 연마면은 증착된 상기 박막층이 0.1μm 내지 1μm 미만으로 연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클리닝단계 완료 후 진행되는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17. 단결정실리콘 구조의 잉곳을 제작하는 잉곳 성장단계;
    상기 잉곳을 가공하여 서브기판을 제작하는 서브기판 제작단계;
    상기 서브기판 상측에 폴리실리콘 구조의 박막층의 증착공정을 진행하는 폴리실리콘 증착단계;
    상기 박막층 상면을 연마하는 웨이퍼 연마단계; 및
    상기 웨이퍼를 세척하는 웨이퍼 클리닝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실리콘 증착단계는,
    상기 서브기판의 상측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산화막층 형성단계; 및
    상기 산화막층 상측에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을 진행하는 박막층 증착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층의 증착공정은 상기 박막층의 증착온도가 다른 적어도 2구간으로 나누어 진행되는 웨이퍼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는 SFQR 평탄도가 0.08μm 이하로 제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는 SFQR 평탄도가 0.05μm 이하로 제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제조방법.
KR1020160102268A 2016-08-11 2016-08-11 웨이퍼 제조방법 KR20180017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268A KR20180017833A (ko) 2016-08-11 2016-08-11 웨이퍼 제조방법
PCT/KR2017/007807 WO2018030666A1 (ko) 2016-08-11 2017-07-20 웨이퍼 및 그 제조방법
TW106127277A TWI655326B (zh) 2016-08-11 2017-08-11 晶圓以及晶圓的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268A KR20180017833A (ko) 2016-08-11 2016-08-11 웨이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833A true KR20180017833A (ko) 2018-02-21

Family

ID=6152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268A KR20180017833A (ko) 2016-08-11 2016-08-11 웨이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78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056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pitaxial wafer
KR102014926B1 (ko) 실리콘 웨이퍼의 산화물층의 두께 예측 방법
JP2000219598A (ja) エピタキシャルシリコンウエーハ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エピタキシャルシリコンウエーハ用基板
CN207362367U (zh) 外延涂覆的硅晶片
JP4510997B2 (ja) シリコン半導体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62174B1 (ko) 웨이퍼 제조방법
JP4092993B2 (ja) 単結晶育成方法
KR20180017833A (ko) 웨이퍼 제조방법
JP6447960B2 (ja) シリコンエピタキシャルウェーハの製造方法
KR20180019853A (ko) 웨이퍼
TWI655326B (zh) 晶圓以及晶圓的製造方法
CN111279461B (zh) 由单晶硅组成的半导体晶片
KR101921979B1 (ko) 에피텍셜 웨이퍼 제조 방법 및 장치
JP5724890B2 (ja) シリコン単結晶ウエーハ、その酸素析出量の面内均一性評価方法、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方法
JP4911042B2 (ja) 単結晶ウエーハ及びエピタキシャルウエーハ
TWI807353B (zh) 由單晶矽製成的半導體晶圓及其製造方法
JP2003188107A (ja) 半導体エピタキシャルウエーハ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エピタキシャルウエーハ
KR102521336B1 (ko) 에피택셜 웨이퍼의 제조 방법
CN109509704A (zh) 外延硅晶片的制备方法及外延硅晶片
TW202325916A (zh) 高電阻矽晶圓的厚度測量方法以及平坦度測量方法
CN117552104A (zh) 外延生长方法及装置
TW202302936A (zh) 碳化矽晶圓、磊晶晶圓以及半導體元件
CN115747962A (zh) 晶圆的外延生长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