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783A - 다기능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783A
KR20180017783A KR1020160102151A KR20160102151A KR20180017783A KR 20180017783 A KR20180017783 A KR 20180017783A KR 1020160102151 A KR1020160102151 A KR 1020160102151A KR 20160102151 A KR20160102151 A KR 20160102151A KR 20180017783 A KR20180017783 A KR 20180017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mounting frame
vehicle
power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영
Original Assignee
안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영 filed Critical 안진영
Priority to KR102016010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783A/ko
Publication of KR2018001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3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점검 시 조명장치를 손으로 들지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장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조명장치만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동시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장치의 위치를 수시로 조절할 필요 없이 여러 지점의 점검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고정장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빛 조사방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룸 내 비좁은 틈새 등에도 빛 조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간단한 구조만으로 조명장치 전체를 차량에 쉽게 고정장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장착 가능한 범위가 최대화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조명장치{Car maintenance for ligh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차량정비 시 정비할 지점에 빛을 조사하여 해당 지점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기능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조명장치만으로 여러 방향으로 여러 지점의 빛 조사가 가능하도록 하고 별도의 장착위치 변화없이도 광 조사방향을 손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살펴봐야하는 지점이 바뀔때마다 수시로 조명장치의 위치를 바꿔 장착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함과 동시에 비좁은 지점까지도 빛이 쉽고 원활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차량의 어느 곳이든 손쉽게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야간 운행 중 차량 결함으로 인해 긴급하게 엔진룸 등의 점검 및 정비가 필요할 경우, 운전자는 점검부위를 육안으로 잘 확인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준비한 손전등이나 휴대폰의 플레쉬를 사용하여 해당지점을 밝게 비춘 상태로 점검한다.
하지만 이 경우 한 손으로는 손전등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점검부위를 만져야하기 때문에, 점검작업이 쉽지 않다.
이 외에 정비소와 같이 실내에서 차량을 점검 및 정비할 때에는 정비소에 항시 천장 등에 메인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기는 하지만, 엔진룸처럼 점검지점이 비좁고 깊숙히 있는 곳은 메인조명의 빛이 충분히 조사되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 보조 램프헤드를 사용하여 해당 지점을 집중적으로 비춰 사용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보조램프헤드는 차량 중 점검하고자 하는 지점 부근에 걸쳐두는 형태로 장착하여 해당 지점을 비추도록 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점검하고자하는 지점이 바뀔 때마다 장착되어 있던 보조램프헤드를 떼어낸 후 해당 지점 부근으로 다시 옮겨 장착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점검하고자 하는 지점이 여러 곳이 많을 경우 각 점검지점을 확인할 때마다 보조램프헤드를 떼어낸 후 그 주변에 다시 장착해야하므로, 결국 점검 작업이 지연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엔진룸처럼 점검하고자 하는 지점이 깊숙히 위치하여 빛이 충분히 조사되지 못하는 지점일 경우, 장착되어 있는 보조램프헤드의 빛이 해당 지점을 비추지 못하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보조램프헤드를 잡은 상태로 점검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
즉 이렇게 보조램프헤드의 위치를 수시로 변화시킬 때마다 차량 중 해당 점검지점 부근에 걸쳐놔야 하므로, 보조램프헤드를 안정적으로 걸쳐 장착할 수 있는 지점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결국 경우에 따라 보조램프헤드를 필요한 지점에 걸쳐두지 못하고 불가피하게 작업자가 한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다기능 조명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첫째, 차량 점검 시 조명장치를 손으로 들지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장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하나의 조명장치만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동시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장치의 위치를 수시로 조절할 필요 없이 여러 지점의 점검이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고정장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빛 조사방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룸 내 비좁은 틈새 등에도 빛 조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간단한 구조만으로 조명장치 전체를 차량에 쉽게 고정장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장착 가능한 범위가 최대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해결 과제의 해결을 위한 것으로,
각형의 바아 형태이고 특정면이 차량의 금속 표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특정지점의 둘레면에는 결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어 있고 각 결합홈 내부에는 회전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봉의 둘레면에는 다단 회전유도돌기가 둘레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장착프레임, 링 형태이고 상기 각 결합홈마다 끼워져 상기 각 회전봉을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회전봉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내부둘레면 다단 회전유도홈이 내부둘레홈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각 다단 회전유도돌기가 상기 각 다단 회전유도홈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전원회로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전원회로마다 전원선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일측에는 전원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전원 회동링, 하단부가 상기 전원 회동링의 둘레면 특정 지점에 연결되어 외측을 향해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중공관 형태이며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져 각도 및 길이변화가 자유롭고 상기 전원선이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배설되어 있는 가변유도연결관, 상기 가변유도연결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는 연결소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소켓에는 발광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장착프레임의 전측면과 후측면, 하부면 및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프레임이 상기 차량의 금속표면에 밀착되었을 때 자력을 발산하는 복수개의 고정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하나의 장착프레임에 복수개의 가변유도연결관이 설치되어 있고 각 가변유도연결관마다 개별적으로 조명부가 설치됨에 따라,
각 가변유도연결관을 통해 각 조명부의 빛 조사방향과 위치를 개별적으로 달리 설정할 수 있고, 차량의 다양한 지점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다양한 지점을 점검할 때 일일이 조명장치를 재 장착 하여 빛 조사 방향을 수시로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그리고 차량의 특정지점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가변유도연결관에 의해 각 조명부의 빛 조사방향이 굉장히 정밀하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어 엔진룸처럼 비좁은 틈새에도 원활하게 빛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점검 및 정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전원 회동링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고, 더구나 다단 회전유도돌기와 다단 회전유도홈에 의해 특정각도씩 단계별로 회동되므로, 조명부의 빛 조사 방향을 더욱 다양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장착프레임의 각 면에 설치된 고정자석을 통해 단순히 차량 표면에 부착 형태로 고정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점에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가능한 범위가 기존에 비해 월등히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2는 전원링의 확대 사시도
도3은 전체 결합사시도
도4는 전체 측단면도
도5는 측면 확대 단면도
도6은 조명부가 전원 회동링과 회동축, 다단 회전유도돌기 및 다단 회전유도홈에 의해 일정 각도씩 회동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7은 사용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조명장치는 도1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프레임(2)과 전원 회동링(7), 가변유도연결관(11) 및 조명부(12)로 구성된다.
장착프레임(2)은 조명장치 전체의 지지체 역할 및 조명장치와 차량 간의 연결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육각 바아(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특정 지점에는 후술하는 전원 회동링(7)의 설치를 위한 결합홈(3)이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3)의 내부에는 후술할 전원 회동링(7)의 회전시 중심축 역할을 하기 위한 회동축(4)이 형성되고 회동축(4)의 둘레면에는 전원 회동링(7)의 회동 시 특정 각도씩 단계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단 회전유도돌기(5)가 회전봉의 둘레면을 따라 간격을 구도 배치된다.
각 다단 회전유도돌기(5)는 외부면이 호(arc) 형태의 곡면을 이루고 있어, 전원 회동링(7)의 회전 시 후술할 다단 회전유도홈(8)이 원활하게 표면을 타고 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각 다단 회전유도돌기(5)의 형성 개수에 따라 후술할 전원 회동링(7)의 회동 시 단계별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프레임(2)이 육각 바아 형태인 이유는, 외측면이 후술하는 고정자석(16)을 통해 차량 프레임 금속 표면에 밀착형태로 위치되는데, 이때 둘레면의 각 개수가 많을수록 차량 프레임 중 다양한 각도의 지점에 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장착프레임(2)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선(17)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공급선과 연결된 회로기판이 형성성되며, 각 결합홈(3)의 양 내측면에는 후술할 전원 회동링(7)과의 전원연결을 위한 제1전극(6)이 링 형태로 노출 형성된다.
전원 회동링(7)은 조명장치의 각도 조절기능을 하는 것으로, 내경이 회동축(4)의 지름보다 약간 큰 형태의 링 형태이고 내주면이 각 회동축(4)의 둘레면을 둘러싸는 형태, 즉 각 회동축(4)이 중앙을 관통한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각 전원 회동링(7)은 각 회동축(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전원 회동링(7)의 내주면에는 장착프레임(2)의 다단 회전유도돌기(5)와 더불어 전원 회동링(7)이 일정각도씩 단계별로 회전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다단 회전유도홈(8)이 내부둘레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각 다단 회전유도돌기(5)는 각 다단 회전유도홈(8)에 삽입되어 있고, 이 상태로 전원 회동링(7)이 회동축(4)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각 다단 회전유도홈(8)이 각 다단 회전유도돌기(5)를 순차적으로 타고넘어가 걸림과 분리가 반복됨에 따라, 결국 전원 회동링(7)은 일정 각도씩 단계별로 회동이 가능하다.
물론 다단 회전유도돌기(5)와 다단 회전유도홈(8)의 개수를 늘릴 경우, 전원 회동링(7)의 회동 각도가 보다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원 회동링(7)의 양측면에는 장착프레임(2)의 제1전극(6)과 동일한 형상의 제2전극(9)이 제1전극(6)과 밀착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전원 회동링(7)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전극(6)과 제2전극(9)은 항시 접촉되어 상호 전기 전달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전원 회동링(7)의 내부에는 제2전극(9)과 연결된 연결회로(미도시)가 형성되고 장착프레임(2) 중 각 전원 회동링(7) 주변에는 각 전원 회동링(7)의 연결회로로 공급되는 전원차단 여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버튼(10)이 각각 형성된다.
이로 후술하는 각 조명부(12)가 각 가변유도연결관(11)을 통해 각 전원 회동링(7)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 제어버튼(10)을 통해 각 조명부(12)로의 전원공급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하나의 장착프레임(2)에 복수개의 조명부가 설치되되, 각 조명부(12)는 개별적으로 켜지거나 꺼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점검위치에 따라 적정 위치의 조명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효율도 높은 장점을 갖는다.
가변유도연결관(11)은 장착프레임(2)과 후술할 각 조명부(12) 간의 연결기능과 더불어 연결 상태에서 각 조명부(12)의 위치 및 빛 조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길이 및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플렉시블재료를 사용하여 주름관 구조를 갖는다.
이때 가변유도연결관(11)은 전체적으로 상하단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각 전원 회동링(7)의 둘레면 특정지점에 연결되어 세워진 형태로 각각 설치된다.
이때 가변유도연결관(11)의 내부에는 전원 회동링(7)의 제2전극(9)와 연결된 전선(18)이 배설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전원 회동링(7)에 연결된 각 가변유도연결관(11)은 자체 주름구조와 재질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되고 각 가변유도연결관(11)은 각 전원 회동링(7)의 회동 시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조명부(12)는 실제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조명부는, 반사갓(13) 내부 중심지점에 소켓(14)이 형성되고, 소켓(14)에는 엘이디나 서치라이트 등의 발광램프(15)가 삽입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조명부(12)는 가변유도연결관(11)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각 반사갓(13)의 하단부가 각 가변유도연결관(11)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이 상태에서 각 가변유도연결관(11) 내부에 배설된 전선(18)이 소켓(14)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장착프레임(2)의 각 제1전극(6)로 공급된 전원은 각 전원 회동링(7)의 각 제2전극(9) 및 이와 연결된 각 전선을 통해 각 조명부(12)로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이 외에 장착프레임(2)에는 장착프레임(2)이 차량의 금속표면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자석(16)이 설치된다.
고정자석(16)은 장착프레임(2)과 비슷한 길이의 밴드 형태이고 장착프레임(2)의 각 면 전체 또는 각 면 중 선택적으로 부착 고정된다.
이때 고정자석(16)은 일부가 장착프레임(2) 표면에 매립되거나 단순 부착 형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의해, 도면과 같이 하나의 장착프레임(2)에 복수개의 전원 회동링(7)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 전원 회동링(7)에는 각 가변유도연결관(11)을 통해 각 조명부(12)가 개별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하나의 장착프레임(2)에서 여러 개의 빛이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발산될 수 있고.
차량 점검 또는 정비 시 장착프레임(2)을 차량(1) 특정지점 표면에 밀착 설치시키는데, 이때 장착프레임(2)의 표면이 여러 각의 각형을 이루기 때문에 반드시 평평한 지점 외에 다양한 각도를 갖는 지점에도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장착프레임(2) 각 표면에는 고정자석(1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프레임(2)을 차량(1) 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장착프레임(2)을 차량 표면 상에 올려놓는 방식 외에 측면이나 경사면 상에도 안정적으로 고정 장착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탈부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다양한 부위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경우, 도면과 같이 각 가변유도연결관(11)을 휘어가 꺽어 각 조명부(12)의 빛 조사방향이 각각 각 점검부위를 개별적으로 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원 회동링(7)을 회동시킴에 따라 각 조명부(12)의 빛 조사방향을 더욱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 전원 회동링(7)의 회동 시 다단 회전유도돌기(5)와 다단 회전유도홈(8) 에 의해 특정 각도씩 회동하므로 정밀한 회동 각도를 설정할 수 있고, 원치않게 전원 회동링(7)을 비롯한 가변유도연결관(11)과 조명부(12)가 회동하는 현상도 방지된다.
그리고 각 전원 회동링(7)마다 전원 제어버튼(10)이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모든 조명부(12)가 발광하도록 하거나, 필요한 조명부만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각 가변유도연결관을 통해 각 조명부(12)의 빛 조사방향과 위치를 개별적으로 달리 설정할 수 있고, 차량의 다양한 지점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다양한 지점을 점검할 때 일일이 조명장치를 재 장착 하여 빛 조사 방향을 수시로 설정해야 하는 문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차량의 특정지점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가변유도연결관(11)에 의해 각 조명부(12)의 빛 조사방향이 굉장히 정밀하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어 엔진룸처럼 비좁은 틈새에도 원활하게 빛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점검 및 정비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원 회동링(7)이 회동축(4)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고, 더구나 다단 회전유도돌기와 다단 회전유도홈(8)에 의해 특정각도씩 단계별로 회동되므로, 조명부의 빛 조사 방향을 더욱 다양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단순히 장착프레임(2)의 각 면에 설치된 고정자석(16)을 통해 단순히 차량 표면에 부착 형태로 고정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점에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가능한 범위가 기존에 비해 월등히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1;차량 2;장착프레임 3;결합홈
4;회동축 5;다단 회전유도돌기 6;제1전극
7;전원 회동링 8;다단 회전유도홈 9;제2전극
10;제어버튼 11;가변유도연결관 12;조명부
13;반사갓 14;소켓 15;발광램프
16;고정자석 17;전원공급선 18;전선

Claims (2)

  1. 육각 바아 형태이고 특정면이 차량의 금속 표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특정지점의 둘레면에는 결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어 있고 각 결합홈 내부에는 회전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봉의 둘레면에는 다단 회전유도돌기가 둘레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장착프레임,
    링 형태이고 상기 각 결합홈마다 끼워져 상기 각 회전봉을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회전봉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내부둘레면 다단 회전유도홈이 내부둘레홈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각 다단 회전유도돌기가 상기 각 다단 회전유도홈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전원회로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전원회로마다 전원선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일측에는 전원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전원 회동링,
    하단부가 상기 전원 회동링의 둘레면 특정 지점에 연결되어 외측을 향해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중공관 형태이며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져 각도 및 길이변화가 자유롭고 상기 전원선이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배설되어 있는 가변유도연결관,
    상기 가변유도연결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는 연결소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소켓에는 발광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조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장치.
  2. 제1항에서,
    장착프레임의 전측면과 후측면, 하부면 및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착프레임이 상기 차량의 금속표면에 밀착되었을 때 자력을 발산하는 복수개의 고정자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조명장치.
KR1020160102151A 2016-08-11 2016-08-11 다기능 조명장치 KR20180017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151A KR20180017783A (ko) 2016-08-11 2016-08-11 다기능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151A KR20180017783A (ko) 2016-08-11 2016-08-11 다기능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83A true KR20180017783A (ko) 2018-02-21

Family

ID=6152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151A KR20180017783A (ko) 2016-08-11 2016-08-11 다기능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77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99287U (zh) 发光单元
JP5144590B2 (ja) 反射笠
KR101553506B1 (ko) 광 조사각 및 조사 방향 조절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55384B1 (ko) 꽃잎형 개폐방식을 갖는 조명기구
JP2011192548A (ja) 照明装置の調整装置
KR20170000589A (ko) 용이한 설치 및 고정이 가능한 엘이디 경관 조명장치
JP2010272358A5 (ko)
JP6438424B2 (ja) 照明器具
CN103912814A (zh) 一种手术灯
KR20180017783A (ko) 다기능 조명장치
JP6088117B2 (ja) 照明装置
KR20160137015A (ko) 차량 정비용 조명장치
EP1906080B1 (en) Lighting unit
JP5756913B2 (ja) 照明器具
JP5265393B2 (ja) Led照明器具
KR20180058015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등
KR20080096309A (ko)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체결장치
CN103998861A (zh) 具有反射器或者漫射屏的灯具
JP2010262856A (ja) Ledランプ
JP2010009996A (ja) 埋込型照明装置
CN203823542U (zh) 一种手术照明灯
JPH1166916A (ja) 照明装置
KR200316325Y1 (ko) 매입형 조명기구
CN214501027U (zh) 一种可万向拼接的模块式吸顶灯
KR101824152B1 (ko)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