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152B1 -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152B1
KR101824152B1 KR1020160008854A KR20160008854A KR101824152B1 KR 101824152 B1 KR101824152 B1 KR 101824152B1 KR 1020160008854 A KR1020160008854 A KR 1020160008854A KR 20160008854 A KR20160008854 A KR 20160008854A KR 101824152 B1 KR101824152 B1 KR 101824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ixed
fixing
panel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667A (ko
Inventor
유준호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보로
Priority to KR1020160008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1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8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21V29/0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로서, 외면에 체결홀이 형성된 고정축이 하부에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며 체결되는 고정패널와, 상기 고정축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조명부와, 상기 회동부를 지지하며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후크가 형성된 마감소켓으로 이루어져, 조명부가 수직 및 수평으로 회전되어 빛을 조사하게 되므로 조사되는 빛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되며, 회동부를 적층하여 하우징본체에 축회전되게 설치할 수 있어 다수의 조명부가 여러각도로 배치가 가능하여 조사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 The illumination device hav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otation function }
본 발명은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본체에 수평회전되도록 회동부를 체결하고, 회동부에 축회전되도록 조명부를 설치하여, 조명부가 수직 및 수평으로 회전되어 빛을 조사하게 되므로 조사되는 빛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되며, 회동부를 적층하여 하우징본체에 축회전되게 설치할 수 있어 다수의 조명부가 여러각도로 배치가 가능하여 조사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등은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시켜 발광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와 기능을 가진 조명등이 회사 및 가정, 도로 등 사회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고, 광원의 종류에 따라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등, 수은등으로 구분되며, 설치 형태에 따라 천장등 및 천장매립등과 같은 실내조명등, 경관조명등 및 투과등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조명등은 특정 공간으로 빛을 출사하기 위한 목적과, 특정 시설물의 외관을 화려하게 장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조명장치이다. 특히 인테리어 및 미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목적의 조명등이 연구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조명등은 통상적으로 빛을 출사하기 위한 전원부, 광원소자 및 전기소자 등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조명부가 설치되며 개구부를 통해 빛이 출사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확산판과, 방열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조명등은 조명부가 하우징에 설치될 때 조명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회전부가 구성되지 않아 조명부에서 출사되는 빛은 특정 각도로만 출사되는 특성을 갖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빛의 초점위치를 변형하여 다른 조명효과를 거두고자 하는 경우 하우징 자체를 소망의 초점위치에 대응되도록 재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조명부를 회전시켜 다양한 조명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680280호(발명의 명칭 : 건물 천정의 방향조정 조명기구)에 개시된 조명기구는 천정의 상단으로 하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반구형의 베어링커버를 부착하고, 그 중앙의 중공부에는 통공으로 나선부지주가 노출되도록 반구형의 베어링을 끼워서 반구형 베어링이 베어링 커버 내에서 수평상태로 360도 회전되게하며, 나선부지주와 결합되는 회전부재에는 상하로 절곡될수 있도록 조정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조정부재의 일단에는 힌지핀에 의해 상하로 절곡될 수 있도록 조명등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나선부지주가 나사홈에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종래의 조명기구는 베어링커버 및 나선부지주의 조작을 통해 수평상태의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조정부재의 회전을 통해 수직상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빛이 출사되는 조명부를 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명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조명기구는 베어링커버, 나선부지주 및 조정부재들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일일이 볼트 체결을 통해 상호 결합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조립 및 설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떨어지며, 높은 점유면적으로 인해 공간소모가 큰 단점이 있으며, 상하로 수직축회전만되므로 출사되는 빛의 조절이 단순해지는 단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본체에 수평회전되도록 회동부를 체결하고, 회동부에 축회전되도록 조명부를 설치하여, 조명부가 수직 및 수평으로 회전되어 빛을 조사하게 되므로 조사되는 빛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되며, 회동부를 적층하여 하우징본체에 축회전되게 설치할 수 있어 다수의 조명부가 여러각도로 배치가 가능하여 조사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로서, 외면에 체결홀이 형성된 고정축이 하부에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며 체결되는 고정패널와, 상기 고정축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조명부와, 상기 회동부를 지지하며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도록 후크가 형성된 마감소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측저면에는 방열구가 형성되고, 망구조의 방열림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광하협의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주연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마감패널이 고정되되,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고정패널 사이에 방열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마감패널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걸림턱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축에는 회동부들이 순차적으로 층지게 끼움되고, 각각 상기 회동부에는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안내관이 내측 상부에 배치되고, 외주연을 따라 곡선의 결합홀이 형성된 외부축관와 상기 외부축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외측고정관으로 이루어진 외부축관부와, 상기 결합홀에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축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내부축관과 상기 내부축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내측고정관으로 이루어진 내부축관부와, 상기 외측고정관과 상기 내측고정관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내주연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된 관구조의 고정소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회동부에 회동되게 체결되도록 일측에 회동소켓이 마련되고 상부에 반사패널이 형성되며,상기 회동소켓에는 상기 회동부에 회동되게 축결합되도록, 슬릿부와 외주연을 따라 안착돌기가 형성된 축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는 하우징본체에 수평회전되도록 회동부를 체결하고, 회동부에 축회전되도록 조명부를 설치하여, 조명부가 수직 및 수평으로 회전되어 빛을 조사하게 되므로 조사되는 빛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되며, 회동부를 적층하여 하우징본체에 축회전되게 설치할 수 있어 다수의 조명부가 여러각도로 배치가 가능하여 조사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있어, 회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있어, 회동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있어, 조명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있어, 회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있어, 회동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에 있어, 조명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조명장치라 명명함)는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로서, 이에 이와같은 조명장치(10)는 하우징본체(20)와 고정패널(30)과 회동부(40)와 조명부(50)와 마감소켓(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본체(2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케이스 구조로 형성되고, 외면에 체결홀(211)이 형성된 고정축(21)이 하부에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0)의 설치공간에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통상의 회로기판구조의 제어부(100)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조명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측저면에는 상기 제어부(10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방열시키도록 방열구(22)가 형성되고, 망구조로 형성되며 돌출되게 방열림부(23)가 더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0)는 상광하협의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상기 설치공간이 넓어지게 형성되므로서, 상기 제어부(10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방열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주연에는 걸림턱(2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4)에는 마감패널(26)이 고정되되, 상기 마감패널(26)과 상기 고정패널(30) 사이에 방열공간(25)이 형성되게, 상기 마감패널(26)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걸림턱(24)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제어부(10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상기 방열공간(25)으로 이동되어 방열된다.
상기 고정패널(30)은 상기 하우징본체(20)의 상부를 폐쇄하며 탈착가능하게 나사 체결된다.
상기 고정패널(30)에는 천장이나 벽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도록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40)는 상기 고정축(21)에 회전되게 끼움되어, 상기 회동부(40)에 체결되는 상기 조명부(50)가 도 4에서와 같이 도면상 수평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회동부(40)는 상기 고정축(21)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안내관(411a)이 내측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안내바에 의해 고정되고, 외주연을 따라 곡선의 결합홀(411b)이 형성된 외부축관(411)와 상기 외부축관(41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외측고정관(412)으로 이루어진 외부축관부(41)와, 상기 결합홀(411b)에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축(21)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내부축관(421)과 상기 내부축관(42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내측고정관(422)으로 이루어진 내부축관(421)부(42)와, 상기 외측고정관(412)과 상기 내측고정관(422)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내주연을 따라 안착홈(431)이 형성된 관구조의 고정소켓(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축관(411)은 상기 고정축(21)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상기 내부축관(421)은 상기 고정축(21)을 기준으로 회전되는데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홀(411b)에 관통되게 끼움된 상태로 회전되어, 상기 결합홀(411a)의 반경만큼 회전된다.
상기 고정소켓(43)은 상기 외측고정관(412)과 상기 내측고정관(422)에 억지끼움 또는 끼움된 후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회동부(40)의 회전에 의해 도 10에서와 같이 천장이나 벽면에 상기 조명부(50)가 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조사되는 빛의 방향이나 각도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명부(50)는 상기 회동부(40)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축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조명부(50)는 상기 회동부(40)에 회동되게 체결되도록 일측에 회동소켓(51)이 마련되며,
상기 회동소켓(51)에는 상기 회동부에 회동되게 축결합되도록, 슬릿부와 외주연을 따라 안착돌기(512)가 형성된 축관(5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명부(50)는 상부에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반사시키도록 곡선의 바 형상으로 형성된 반사패널(52)이 더 마련되어, 상기 회동부(40)에서 조명부(50)가 축회전됨에 따라 조사되는 빛의 방향이나 각도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반사패널(52)은 LED장치가 내장되고 상부에 슬릿이 형성된 투명의 조명관부의 상기 슬릿에 접착 또는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마감소켓(60)은 상기 회동부(40)를 지지하며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기둥형상의 후크(61)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40)가 상기 고정축(2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마감소켓(60)에 상기 회동부(40)가 걸림되어 회전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축(21)에는 회동부(40)들이 순차적으로 층지게 끼움되고, 각각 상기 회동부(40)에는 상기 조명부(50)가 설치된다.
즉, 상기 회동부(40)들이 적층되게 상기 고정축(21)에 끼움되고, 조명부(50)를 회동부(40)에 체결함으로서, 하나의 조명장치에 한쌍 이상의 조명부(50)를 구비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각각의 회동부(40)를 회전시켜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조명부(50)를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10 : 조명장치 20 : 하우징본체
30 : 고정패널 40 : 회동부
50 : 조명부 60 : 마감소켓
21 : 고정축 211 : 체결홀
22 : 방열구 23 : 방열림부
24 : 걸림턱 25 : 방열공간
26 : 마감패널
41 : 외부축관부 411 : 외부축관
411a : 안내관 411b : 결합홀
412 : 외측고정관
42 : 내부축관부 421 : 내부축관
422 : 내측고정관
43 : 고정소켓 431 : 안착홈
51 : 회동소켓 511 : 축관
512 : 안착돌기 52 : 반사패널
60 : 소켓 61 : 후크
100 : 제어부

Claims (7)

  1.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로서,
    외면에 체결홀이 형성된 고정축이 하부에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부를 폐쇄하며 체결되는 고정패널; 상기 고정축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조명부; 및 상기 회동부를 지지하며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도록 후크가 형성된 마감소켓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부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안내관이 내측 상부에 배치되고, 외주연을 따라 곡선의 결합홀이 형성된 외부축관와 상기 외부축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외측고정관으로 이루어진 외부축관부와,
    상기 결합홀에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축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내부축관과 상기 내부축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내측고정관으로 이루어진 내부축관부와,
    상기 외측고정관과 상기 내측고정관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내주연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된 관구조의 고정소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측저면에는 방열구가 형성되고, 망구조의 방열림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광하협의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주연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마감패널이 고정되되,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고정패널 사이에 방열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마감패널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걸림턱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에는 회동부들이 순차적으로 층지게 끼움되고, 각각 상기 회동부에는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회동부에 회동되게 체결되도록 일측에 회동소켓이 마련되고 상부에 반사패널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소켓에는 상기 회동부에 회동되게 축결합되도록, 슬릿부와 외주연을 따라 안착돌기가 형성된 축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7. 삭제
KR1020160008854A 2016-01-25 2016-01-25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KR101824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54A KR101824152B1 (ko) 2016-01-25 2016-01-25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54A KR101824152B1 (ko) 2016-01-25 2016-01-25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667A KR20170088667A (ko) 2017-08-02
KR101824152B1 true KR101824152B1 (ko) 2018-02-01

Family

ID=5965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854A KR101824152B1 (ko) 2016-01-25 2016-01-25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1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88Y1 (ko) * 2007-06-22 2009-09-25 신영 방향전환이 가능한 조명기구
JP5300858B2 (ja) * 2007-11-15 2013-09-25 フロヴァイン エーツェットハー ゲーエムベーハー 医療機器用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88Y1 (ko) * 2007-06-22 2009-09-25 신영 방향전환이 가능한 조명기구
JP5300858B2 (ja) * 2007-11-15 2013-09-25 フロヴァイン エーツェットハー ゲーエムベーハー 医療機器用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667A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2547C (en) Recessed wall wash light fixture
JP4655952B2 (ja) 照明器具
KR101575218B1 (ko) 트랙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밍 제어 시스템
CN104315424B (zh) 一种可调的筒灯
KR101726369B1 (ko) 용이한 설치 및 고정이 가능한 엘이디 경관 조명장치
JP5851634B2 (ja) 任意配光が可能な灯器具
KR102051489B1 (ko) 지향각 조정이 가능한 led 투광등
US20100103685A1 (en) Directional downlight
KR101553506B1 (ko) 광 조사각 및 조사 방향 조절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장치
KR20130044921A (ko) 개량형 다운 라이트
JP2010272358A (ja) 反射笠
US9541262B2 (en) Shabbat bulb
KR20160037034A (ko) 투광등
US6655813B1 (en) Multi-function luminaire
KR20190067434A (ko) 매립형 led 조명장치
KR101824152B1 (ko) 수평 및 수직회전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JP6135476B2 (ja) ランプ
KR101515911B1 (ko) 전방향 회전이 가능한 조명장치
CN107327767B (zh) 驱动装置以及照明装置
JP5360954B2 (ja) 照明器具
CN210291537U (zh) 一种旋转式景观照明灯
KR101062472B1 (ko) 조명등
KR101597619B1 (ko) 조사각도 조절타입 led 조명장치
KR20180024690A (ko) 천장용 엘이디 조명기구
JP3216147U (ja) 光照射方向の選択が自由な室外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