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707A -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 Google Patents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707A
KR20180017707A KR1020160101967A KR20160101967A KR20180017707A KR 20180017707 A KR20180017707 A KR 20180017707A KR 1020160101967 A KR1020160101967 A KR 1020160101967A KR 20160101967 A KR20160101967 A KR 20160101967A KR 20180017707 A KR20180017707 A KR 20180017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fragrance
present
melting point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880B1 (ko
Inventor
김후덕
손유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101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880B1/ko
Priority to JP2019507172A priority patent/JP7217067B2/ja
Priority to CN201780048519.9A priority patent/CN109562198B/zh
Priority to PCT/KR2017/005865 priority patent/WO2018030624A1/ko
Publication of KR20180017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707A/ko
Priority to KR1020210085968A priority patent/KR102433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880B1/ko
Priority to JP2022015627A priority patent/JP7301451B2/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n organic compound other than a macromolecular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발향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자동차, 옷장 등과 같이 밀폐되고 온도 상승이 높은 공간에서도 우수한 발향성을 갖는다.

Description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scented solid having high heat resistance}
본 발명은 고온에서 안정한 방향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거 공간, 한정된 실내 공간 등에 다양한 향기를 내고자 하는 요구에 있어서, 기업에서는 다양한 적용 연구를 통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액상형, 겔형, 왁스형, 전기형, 멤브레인형 등 많은 연구에서 효과적인 전달 방식을 제안하고 있으나 각각의 단점들이 존재하여 감성적으로 완성된 발향 체계를 갖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디퓨저는 액상형 방향제의 대표 형태로 내용물이 다공성 리드를 통해 휘산되는 형태이나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향 특성이 달라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사용되는 용제에 따라 향취의 특성이 달라져 향 고유의 감성을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다. 전기형의 경우 플러그 인이나 자동분사 형태가 가장 대표적이다. 플러그인의 경우 습기가 많은 욕실 등 공간 제약이 있고 전기에 의한 향을 포함하는 내용물의 가온으로 사용시간이 지날수록 향취가 변하는 단점이 있다. 자동분사형의 경우 충전된 캔에 향이 담겨 에어로졸 형태로 공간에 분산될 때 소음과 순간적인 강한 향취가 있어 감성의 고급화에 제한적인 요인이 있다. 멤브레인 방향제나 왁스형 방향제의 경우 차량 내부의 누액 및 하절기 차량 내부의 온도 상승에 따른 터짐, 녹아내림 등의 문제의 개선이 필요하다.
방향제에 있어서 안정적인 향취 발현에 가장 큰 제약점은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른 발향, 향취의 변화와 향을 전달하기 위해 고안된 용제 등을 포함한 베이스에 의한 고유 향취의 변화이다.
따라서, 향기 가진 고유의 향취를 훼손하지 않고 고온에서도 변형이나 녹아내림이 없이 안정적인 향기 발산이 가능한 방향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258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온에서도 변형이나 녹아내림이 없으며, 안정적으로 향료에서 향기 발산이 가능한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포함하며, 융점이 90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융점은 90 내지 125℃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3 내지 120℃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15℃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이 고온에서 누액이 발생하거나 녹아내리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으며, 다량의 향기 성분이 포함된 향료를 포함하면서도 고온에서 안정적이고, 발향성이 우수한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포함하며, 조성물의 융점이 90 내지 125℃인 경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고,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왁스, 파라핀 왁스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통해 융점이 90 내지 125℃인 방향제 조성물로서,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천연 왁스, 파라핀 왁스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더욱 현저한 효과가 발휘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는 소정의 결정성과 강한 경도를 가지는 특징이 있고, 원유를 정제하고 남은 잔류 아스팔트(Asphalt)를 다시 정제 및 분리하여 얻어지는 왁스이며, C25 내지 C80, 바람직하게는 C31 내지 C70의 분자량 300 내지 1500,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400 내지 1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450 내지 1000의 이소파라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화수소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는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로서,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품명 멀티왁스(Multi wax) W-445(Sonneborn), 하이왁스(Hi wax) 400P, 410P(Mitsui), KahlWax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는 가지형의 탄화수소(Branched Alkyl Hydrocarbon)가 다량 포함되어 있어서 일반적으로 파라핀 왁스에 비해 높은 온도에서 녹으며, 경도가 높고 점(접)착성을 지니고 있어서 파라핀 왁스와 반대되는 물리적 성질을 지닌다. 또한, 파라핀 왁스에 비해 유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커서 향료를 함침하기에 유리하며, 정제 방법 또한 상이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9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5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 왁스"는 동물성 천연 왁스 및 식물성 천연 왁스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동물성 천연 왁스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즈 왁스(밀납), 울 왁스(wool wax), 고래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왁스 및 곤충에서 얻어지는 쉘락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식물성 천연 왁스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이 왁스(soy wax),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및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등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왁스는 자연에서 직접 채집한 천연 왁스 뿐만 아니라,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천연 왁스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비즈 왁스(beeswax)"는 밀납, 밀랍이라고도 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자연적으로는 꿀벌들이 꽃으로부터 수집한 당분을 효소작용에 의해 생화학적 과정을 경유하여 그 체내에서 만들어 일벌의 하복부 분비샘에서 분비하는 노란색 물질이며, 벌집을 구성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된 비즈 왁스는 바람직하게는 비즈 왁스를 여과기로 걸러 불순물을 제거한 후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즈 왁스는 비즈 왁스 총 중량 대비 왁스 에스테르 40 내지 90 중량%, 유리 지방산 1 내지 30 중량%, 유리 알코올 0.1 내지 5 중량%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왁스 에스테르 62 내지 75 중량%, 유리 지방산 5 내지 16 중량%, 유리 알코올 1 내지 2 중량%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들 모두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C20 내지 C40의 탄화수소를 10 내지 20 중량% 또는 글리세라이드(C14, C16 또는 C18)를 2 내지 5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라핀 왁스"는 원유 중에서 비점이 높은 윤활유 성분 등이 포함된 원유 왁스(Crude Wax)에서 윤활유 등 유분 성분을 제외하고 정제한 것으로서 분자 구조상 직쇄형의 탄화수소(Linear Alkyl Hydrocarbon)이며, 일반적으로 CnH2n+2(n≥19)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알케인(알칸) 탄화수소이고 20 내지 40의 탄소 분자로 이루어진 탄화수소 분자의 혼합물이다.
상기 파라핀 왁스는 융점이 40 내지 9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파라핀 왁스는 고융점 파라핀 왁스와 저융점 파라핀 왁스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융점 파라핀 왁스는 융점이 6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5℃인 파라핀 왁스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저융점 파라핀 왁스는 융점이 4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인 파라핀 왁스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이외에 천연 왁스, 파라핀 왁스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 왁스, 파라핀 왁스 또는 이들 모두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이외에 천연 왁스, 파라핀 왁스 또는 이들 모두를 조성물에 더 포함하여 더욱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즉,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뿐만 아니라 천연 왁스, 파라핀 왁스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발향성이 우수하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은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향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인 방향제, 탈취제 등 방향 제품은 물론 샴푸, 바디워시 등 인체 세정 제품, 세제, 유연제 등 세탁용 제품, 향수 등 화장품류에 사용 가능한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향료는 상기 왁스 구조 내에 포접되어 존재하여, 안정한 조성물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안정한 조성은 좋은 향기라는 감성 품질을 제공하며, 이는 밀폐된 공간에서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면서 포접한 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신선한 느낌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향료는 바람직하게 지속력 있는 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향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취를 없애고 표면에 냄새를 더욱 오래 지속시키기 위해 향료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적인 향료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향료 성분은 소수성(Hydrophobicity) 또는 친수성(Hydrophilicity) 향료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향료는 옥탄올/물 분배 계수의 로그 값인 logP로 소수성을 나타낼 수 있고 값이 클수록 소수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소수성이 클수록 잔향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통상적으로 방향제용 향료는 발향성이 우수하게 하기 위해 소수성이 높은 향료보다는 낮은 향료가 선호되었으나 이는 고안된 향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단점을 갖고 있으며 높은 소수성 향료는 발향성이 취약한 단점이 존재한다.
옥탄올/물 분배 계수의 로그 값인 logP는 하기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서 사용된 향료의 소수성의 기준은 logP 3이다. 즉, 본 발명자들은 향료가 약 3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1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2 이상의 logP 값을 가지는 경우 바람직한 잔향 특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향을 더욱 오래 지속시키기 위해서 향료는 적어도 부분적인 소수성과 상대적으로 높은 끓는점을 가져야 한다. 즉, 상기 향료는 옥탄올/물 분배 계수의 로그 값이 3 내지 8, 및 끓는점이 200 내지 5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옥탄올/물 분배 계수의 로그 값이 3.2 내지 8, 및 끓는점이 220 내지 500℃일 수 있다.
상기 향료 성분들의 성질은 이성질체도 다양하고 주변에 존재하는 물질에 대한 영향이 크므로, 물리적 특성인 logP 등의 수치로 명확하게 구분하기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기재된 수치는 향료의 성질을 나타내기 위한 대략적인 값으로서 상기 수치 범위 해석에 있어서 유연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소수성 향료는 향료 총 중량 대비 5 내지 8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향료 중 일부에 대한 분자량, 끓는점 및 logP 값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90℃에서 3시간 경시 후 잔향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향료명 CAS No. 분자량 끓는점
(℃)
logP 잔향 정도
오란티올(Aurantiol) 89-43-0 305 450 4.2 O
아밀 시나메이트(Amyl cinnamate) 3487-99-8 218 312 3.8 O
박다놀(Bacdanol) 28219-61-6 208 287 4.3 O
캐쉬메란(Cashmeran) 33704-61-9 206 285 4.5 O
세르볼라이드(Cervolide) 6707-60-4 256 409 3.7 O
시나밀 시나메이트(Cinnamyl cinnamate) 122-69-0 264 370 5.5 O
시트랄(Citral) 5392-40-5 152 103 3.4 X
디하이드로 미르세놀(Dihydro myrcenol) 18479-58-8 156 196 3.0 X
에틸렌 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105-95-3 270 332 4.6 O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1222-05-5 258 326 5.3 O
헬베톨라이드(Helvetolide) 141773-73-1 284 346 4.7 O
헥사데카놀라이드(Hexadecalonide) 109-29-5 254 358 6.7 O
헥실 살리실레이트(Hexyl Salicylate) 6259-76-3 222 290 5.1 O
이소-E 슈퍼(Iso-E Super) 54464-57-2 234 312. 3.6 O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110-27-0 271 320 7.2 O
리모넨(Limonene) 5989-27-5 136 176 4.6 X
라이랄(Lyral) 31906-04-4 210 319 2.1 X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dihydrojasmonate) 24851-98-7 226 308 2.7 O
페닐 에틸 페닐 아세테이트(Phenyl ethyl phenyl acatete) 102-20-5 240 325 3.8 O
로만돌라이드(Romandolide) 236391-76-7 270 308 4.6 O
토날리드(Tonalid) 1506-02-1 258 393 5.1 O
트리샘버(Trisamber) 338735-71-0 250 263 6.2+ O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향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오란티올, 아밀 시나메이트, 박다놀, 캐쉬메란, 세르볼라이드, 시나밀 시나메이트,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갈락솔라이드, 헬베톨라이드, 헥사데카놀라이드, 헥실 살리실레이트, 이소-E 슈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페닐 에틸 페닐 아세테이트, 로만돌라이드, 토날리드, 트리샘버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머는 추가적인 향기의 잔향성을 증대시켜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머는 비이온성의 폴리머로 흡유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폴리머는 비이온성 흡유성 폴리머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코폴리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용품으로는 PEG 400, 폴록사머(Poloxamer) 또는 플루오닉(Pluronics)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는 왁스와 향료의 혼합을 도와주며 사용 중 향이 발산됨에 따라 왁스 내 향의 분배가 불균일하여 생길 수 있는 갈라짐 등을 방지하고 향기의 잔향성을 증대시켜 우수한 사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제를 제공한다.
상기 방향제는 어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고체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발향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자동차, 옷장 등과 같이 밀폐되고 온도 상승이 높은 공간에서도 우수한 발향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향료를 사용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을 가진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은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향료 및 기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방향제 조성물의 생산 과정에서 고융점 왁스에 향이 안정적으로 분산되고 성형 및 식히는 과정 중에 조성 내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융점 왁스에 향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맨 처음에 왁스의 특성에 맞게 조합, 용융하여야 하며 향의 투입 후 왁스 내로 향이 골고루 분산되게 한 후 휨이나 깨짐이 없이 성형과 굳히는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조성 내에서 기능적으로 작용하는 조성물을 유지할 수 있었다.
No. 향료명 CAS No. 함량(중량%)
1 오란티올(Aurantiol) 89-43-0 10.0
2 박다놀(Bacdanol) 28219-61-6 10.0
3 시트랄(Citral) 5392-40-5 10.0
4 에틸렌 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105-95-3 5.0
5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1222-05-5 5.0
6 헥실 살리실레이트(Hexyl Salicylate) 6259-76-3 5.0
7 이소-E 슈퍼(Iso-E Super) 54464-57-2 5.0
8 라이랄(Lyral) 31906-04-4 30.0
9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dihydrojasmonate) 24851-98-7 10.0
10 페닐 에틸 페닐 아세테이트(Phenyl ethyl phenyl acatete) 102-20-5 5.0
11 트리샘버(Trisamber) 338735-71-0 5.0
합계 100.0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은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향료 및 기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조성물의 생산 과정에서 고융점 왁스에 향이 안정적으로 분산되고 성형 및 식히는 과정 중에 조성 내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융점 왁스에 향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맨 처음에 왁스의 특성에 맞게 조합, 용융하여야 하며 향의 투입 후 왁스 내로 향이 골고루 분산되게 한 후 휨이나 깨짐이 없이 성형과 굳히는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조성 내에서 기능적으로 작용하는 조성물을 유지할 수 있었다.
no. 구분 성분(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1 천연 왁스 소이왁스(Soywax) 20.0 - 10.0 - - - - - - 5.0
2 비즈 왁스(Beeswax) 50.0 - - - - - - - - -
3 파라핀 왁스 저융점 파라핀 왁스 - 35.0 10.0 - - - - - 10.0 -
4 고융점 파라핀 왁스 - 35.0 50.0 - - - - - 5.0
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멀티 왁스(Multi wax) W-445 - - - 70.0 - - 40.0 10.0 15.0 15.0
6 하이 왁스(Hi wax) 410P - - - - 70.0 - 20.0 20.0 25.0 25.0
7 하이 왁스(Hi wax) 400P - - - - - 70.0 10.0 40.0 20.0 20.0
8 공중합 폴리머 EMA 1605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9 계면활성제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10 향료 표 2의 복합 향료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융점(℃) 50 60 60 80 95 105 100 110 105 100
본 발명에서 사용한 왁스는 상업적으로 통상 사용되는 원료를 수배하여 비교예, 실시예에 사용하였으며 이는 동일 수준의 유사한 성질을 갖는 원료로 대체 가능하다. 비교예에 사용된 왁스는 일반적인 양초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천연 왁스로서 소이왁스(Soy wax)와 비즈 왁스(bees wax)를 사용하였다. 또한, 양초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석유계 왁스로서 파라핀 왁스를 사용하였고 일반적인 파라핀 왁스의 융점은 47℃에서 60℃ 사이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융점에 따라 파라핀 왁스를 저융점과 고융점으로 구분하였고, 본 발명에서 저융점 파라핀 왁스의 경우 융점이 50℃ 내외, 고융점 파라핀 왁스는 70℃ 내외인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는 왁스의 융점을 높이고 제형의 성질을 견고하게 하며 향의 함침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멀티 왁스의 경우 소네본느사(Sonneborn)의 왁스 중 융점 82℃인 W-445 왁스를 사용하였다. 또한 미쯔이(Mitsui)사의 융점이 125℃인 410P, 115℃인 400P도 혼용하여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비교예와 실시예의 제형을 완성하기 위해 폴리머와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고온 평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조성물의 고온 평가를 위해, 90℃의 고온 오븐에서 3시간 방치하여 녹거나 휘는지를 판단하였고 향의 잔향 정도는 초기 향의 강도를 5점으로 하고 3시간 후 상온으로 식힌 후 향의 강도를 1점부터 5점까지 평가하여 상대적인 잔향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상온 표준품을 기준으로 하기 표 4와 같은 기준으로 하였다.
점수 평가 내용
1점 향취 없음
2점 표준품보다 향취가 매우 약함
3점 표준품보다 향취가 약함
4점 표준품보다 향취가 조금 약함
5점 표준품과 같이 향취가 같음
비교예 1 내지 3은 일반적으로 발향용 향초에 사용되는 왁스의 조합이다.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 고온에서 평가한 결과 모두 흘러내림이 발생하였고 석유계 고융점 파라핀 왁스의 적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흘러내림이 정도는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소이왁스 등 융점이 낮은 왁스가 다량 함유됨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고융점 파라핀 왁스를 적용한 비교예 2가 비교예 1보다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고융점 파라핀 왁스를 더 사용한 비교예 3보다는 휘거나 녹아내리는 현상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융점이 높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적용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융점이 높을수록 고온 안정성에서 더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융점이 낮은 멀티 왁스를 적용한 실시예 1의 경우 90℃ 경시에서 변형이 일어남이 확인되었다. 또한, 융점이 110℃ 이상의 왁스를 적용한 실시예 2와 실시예 3은 높아질수록 고온 경시 후 표면의 갈라짐과 부서짐 등이 나타나 외관이 양호하지 못했다. 이는 융점이 높은 왁스의 경우 액체인 향의 침투율이 낮아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4와 실시예 5는 여러 종류의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혼합 사용하였을 때 표면의 균열 및 경시 안정성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실시예 5와 같이 융점이 높은 왁스를 많이 사용한 경우는 동일 향료의 함량에서 외관 품질이 양호해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과 실시예 7은 향에 대한 혼용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 왁스외 석유계왁스를 혼용하였을 때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만 사용한 경우보다 갈라짐, 부서짐, 휘어짐 등 외관의 형태 유지에서 더 우수하였고 발향의 특성도 더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향료에 대한 상용성(compatibility)이 우수한 소이왁스를 적용한 경우 표면의 매끄러움 등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발향 특성에서도 향에 대한 상용성이 우수한 왁스를 혼용하였을 때 장기 상온 발향 평가에서도 향이 베어나오는 현상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90℃ 고온에서 3시간 경시 후 잔향 강도를 평가한 경우 외관 품질과 같이 형태를 잘 유지한 경우 잔향성도 동시에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평균 0.8 1.1 1.5 2.7 2.9 2.9 3.5 4.0 4.0 4.1
실험예 2: 공간 내 발향성 평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공간 내 발향성을 평가하기 위해, 4.5m3 공간에서 자연 발향이 되도록 1일 후, 7일 후 실온에 방치한 후 공간에 존재하는 향의 강도를 5점 평가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자들은 총 10명으로 명확한 인지를 위하여 사전 교육을 실시하였다. 평가는 강제 환기 설비가 갖춰진 단독 평가 부스에서 1명씩 진행하였으며 평가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1회에 3개 이상의 평가는 제한하였다.
하기 표 6은 공간 내 발향성 평가 기준이다.
점수 평가 내용
1점 향이 매우 좋지 않음
2점 향이 좋지 않음
3점 향이 보통임
4점 향이 좋음
5점 향이 매우 좋음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고온 경시 후 향기 강도에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7일 경과 후 향취의 경우도 감소 정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1일 후 4.3 4.2 4.3 4.3 4.2 4.2 4.4 4.5 4.5 4.5
7일 후 2.2 2.1 2.2 2.8 3.0 3.0 3.4 3.5 3.7 3.9
즉, 본 발명자들은 90℃, 3시간 고온 경시에서 안정한 외관 품질을 유지하고 갈라짐이나 부서짐이 없이 적을수록 상온 경시에 따른 발향에 차이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를 포함하며, 융점이 90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천연 왁스, 파라핀 왁스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향료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옥탄올/물 분배 계수의 로그 값이 3 내지 8, 및 끓는점이 200 내지 500℃인 향료를 향료 총 중량 대비 5 내지 8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9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핀 왁스는 융점이 4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향제.
KR1020160101967A 2016-08-10 2016-08-10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KR102273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967A KR102273880B1 (ko) 2016-08-10 2016-08-10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JP2019507172A JP7217067B2 (ja) 2016-08-10 2017-06-05 高耐熱性芳香剤組成物
CN201780048519.9A CN109562198B (zh) 2016-08-10 2017-06-05 高耐热性芳香剂组合物
PCT/KR2017/005865 WO2018030624A1 (ko) 2016-08-10 2017-06-05 고내열성 방향제 조성물
KR1020210085968A KR102433106B1 (ko) 2016-08-10 2021-06-30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JP2022015627A JP7301451B2 (ja) 2016-08-10 2022-02-03 高耐熱性芳香剤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967A KR102273880B1 (ko) 2016-08-10 2016-08-10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968A Division KR102433106B1 (ko) 2016-08-10 2021-06-30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07A true KR20180017707A (ko) 2018-02-21
KR102273880B1 KR102273880B1 (ko) 2021-07-05

Family

ID=611631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967A KR102273880B1 (ko) 2016-08-10 2016-08-10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KR1020210085968A KR102433106B1 (ko) 2016-08-10 2021-06-30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968A KR102433106B1 (ko) 2016-08-10 2021-06-30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217067B2 (ko)
KR (2) KR102273880B1 (ko)
CN (1) CN109562198B (ko)
WO (1) WO20180306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57B1 (ko) 2019-07-03 2019-12-05 오태성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104A (ja) * 2001-08-10 2003-02-26 Fumakilla Ltd 揮散性物質担持体
US20050124530A1 (en) * 2002-04-03 2005-06-09 Serge Creutz Fragrance compositions
WO2006076364A2 (en) * 2005-01-10 2006-07-20 Cargill, Incorporated Candle and candle wax containing metathesis and metathesis-like products
JP2008138150A (ja) * 2006-11-29 2008-06-19 Pegasus Candle Kk 薄片状芳香剤
KR20160042586A (ko) 2014-10-10 2016-04-20 박흥순 방향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제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319A (ja) 1999-05-26 2000-12-05 Taiho Ind Co Ltd 車両塗装面用処理剤
US7445648B2 (en) * 2003-10-23 2008-11-0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Wax blends for candles with improved properties
CN201643050U (zh) * 2010-01-12 2010-11-24 黄立伟 微晶蜡壳香味挥发装置
ES2647545T3 (es) * 2010-04-23 2017-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ción aromatizante
CN102532982B (zh) * 2010-12-29 2014-07-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抗酸蚀刻油墨及其制备方法
JP2014094929A (ja) * 2012-10-09 2014-05-22 Pola Chem Ind Inc 毛穴隠しに好適な化粧方法およびその化粧料
EP3020388B1 (en) * 2013-07-09 2018-12-05 Nissan Chemical Corporation Dispersion liquid and method for forming hydrogel
EP3230423A1 (en) 2014-12-08 2017-10-18 S.C. Johnson & Son, Inc. Melt delivery system
KR20160049513A (ko) * 2016-04-14 2016-05-09 주식회사 불스원 훈증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 증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104A (ja) * 2001-08-10 2003-02-26 Fumakilla Ltd 揮散性物質担持体
US20050124530A1 (en) * 2002-04-03 2005-06-09 Serge Creutz Fragrance compositions
WO2006076364A2 (en) * 2005-01-10 2006-07-20 Cargill, Incorporated Candle and candle wax containing metathesis and metathesis-like products
JP2008138150A (ja) * 2006-11-29 2008-06-19 Pegasus Candle Kk 薄片状芳香剤
KR20160042586A (ko) 2014-10-10 2016-04-20 박흥순 방향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제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57B1 (ko) 2019-07-03 2019-12-05 오태성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17067B2 (ja) 2023-02-02
JP2019531110A (ja) 2019-10-31
KR20210084402A (ko) 2021-07-07
JP7301451B2 (ja) 2023-07-03
CN109562198A (zh) 2019-04-02
CN109562198B (zh) 2022-09-02
WO2018030624A1 (ko) 2018-02-15
JP2022051827A (ja) 2022-04-01
KR102433106B1 (ko) 2022-08-18
KR102273880B1 (ko) 202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4114A (ko) 방출 프로파일이 일정한 휘발성 물질 함유 조성물
US20090165360A1 (en) Fragrance fixatives
KR102061394B1 (ko) 향이 오래 지속되는 방향제
KR102433106B1 (ko)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EP2506885B1 (en) Gel air freshener
EP3615644B1 (en) Wax compositions and dissipation factor
CN112368025A (zh) 固体芳香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60042586A (ko) 방향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제 제품
JP4156890B2 (ja) ゲル状芳香・消臭剤組成物
US20050150154A1 (en) Wax and candle compositions
JPH10226749A (ja) 水性ゲル状組成物
JP2012012346A (ja) 浴用剤組成物
US11332695B2 (en) Wax formulations comprising high molecular weight synthetic linear primary alcohols
KR100817235B1 (ko) 유성겔 방향제 조성물
JPS6251628B2 (ko)
RU229856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органосилоксаносодержащего парфюмерного средства
JPH03284618A (ja) 東洋ラン様香料組成物
JP4162127B2 (ja) ロウソク用消臭剤およびこれを配合した低臭気ロウソク
JP2008138150A (ja) 薄片状芳香剤
KR20050056006A (ko) 유성 겔 방향제 조성물
JP2544172B2 (ja) ゲル状芳香剤組成物
CN115607720A (zh) 一种渐变色半流体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KR100507318B1 (ko)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유성 젤타입 방향제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RU2180596C2 (ru) Ароматизирующий состав
JPH07238295A (ja) 第三級アルコール含有香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