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857B1 -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857B1
KR102052857B1 KR1020190080377A KR20190080377A KR102052857B1 KR 102052857 B1 KR102052857 B1 KR 102052857B1 KR 1020190080377 A KR1020190080377 A KR 1020190080377A KR 20190080377 A KR20190080377 A KR 20190080377A KR 102052857 B1 KR102052857 B1 KR 10205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ntainer
layer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성
Original Assignee
오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성 filed Critical 오태성
Priority to KR1020190080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11B9/0015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C11B9/0019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carboc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2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C11B9/0034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the ring containing six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42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hydrocarbon rings
    • C11B9/004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hydrocarbon rings containing only two condensed rings
    • C11B9/0049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hydrocarbon rings containing only two condensed rings the condensed rings sharing two common C atoms
    • C11B9/0053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condensed hydrocarbon rings containing only two condensed rings the condensed rings sharing two common C atoms both rings being six-memb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1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9Heterocyclic compounds
    • C11B9/007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O or S as hetero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쿨링 비드를 방향제에 혼입함으로써 주변온도에 감응하여 쿨링제를 방출하여 방향제 조성물의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용기의 입구 및 내부 구조를 변형하여 방향제 보관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쿨링비드를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 상기 방향제 조성물을 저장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중앙관이 구비된 역류방지부; 및 상기 역류방지부의 중앙관에 삽입되며 방향제 조성물의 확산을 돕는 다공성 리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AIR FRESHE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이 발명은 쿨링 비드를 방향제에 혼입함으로써 주변온도에 감응하여 쿨링제를 방출하여 방향제 조성물의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용기의 입구 및 내부 구조를 변형하여 방향제 보관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히 심화되는 환경오염으로 인간의 쾌적한 생활환경 부족 및 자연정화율의 저하로 건강이 위협받게 됨에 따라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실내공기를 정화하는데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방향제는 우선 화장실 등의 악취를 강한 향으로 마스킹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왔다. 액상형, 겔형, 왁스형, 멤브레인형 등 많은 제형의 방향제가 연구되었으나 각각의 단점들이 존재하여 감성적으로 완성된 발향 체계를 갖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그 중 액상형 방향제가 가장 대표적인 형태로 내용물이 다공성 리드를 통해 위산되는 형태로 휘발성이 강한 성분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특수한 형태의 밀폐 용기를 설계하더라도 휘발성분이 가장 먼저 기화되어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용물의 조성이 변화되면서 발향 특성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외부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방향제의 변향, 변색 및 층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유의 향취를 훼손하지 않고 고온에서도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한 시점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17707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쿨링 비드를 방향제에 혼입함으로써 주변온도에 감응하여 쿨링제를 방출하여 방향제 조성물의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는,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의 입구 및 내부 구조를 변형하여 방향제 보관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에탄올 40~50 중량부,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10~20 중량부, 쿨링 비드 5~15 중량부, 메틸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dihydrojasmonate) 5~10 중량부, 에틸렌 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5~10 중량부,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buthylphenylmethylpropional) 5~10 중량부, 테트라메틸 아세틸로타하이드로나프탈렌(tetramethyl acetyloctahydronaphthalenes) 0.1~5 중량부, 헥사메틸인다노피란(hexamethylindanopyran) 0.1~5 중량부, 페네틸알코올(phenethyl alcohol) 0.1~5 중량부,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0.1~5 중량부, 2-터트부틸사이클로헥실아세테이트(2-t-butylcyclohexylacetate) 0.1~5 중량부, 리날룰(linalool) 0.1~5 중량부, 리모넨(limonene) 0.1~5 중량부, 헥실 시나말(hexyl cinnamal) 0.1~5 중량부, 제라니올(geraniol) 0.1~5 중량부, 터히네올(terpineol) 0.1~5 중량부, 벤질 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0.1~5 중량부, 알파-아이소메틸이오논(alpha-isomethyl ionone) 0.1~5 중량부, 시트랄(citral) 0.1 중량부, 시트로넬롤(citronellol)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 상기 방향제 조성물을 저장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중앙관이 구비된 역류방지부; 및 상기 역류방지부의 중앙관에 삽입되며 방향제 조성물의 확산을 돕는 다공성 리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쿨링 비드는, 70~230 mesh 크기의 지름을 갖는 미세관이 일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구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40~63㎛ 두께의 외벽; 및 상기한 외벽 내부의 구형 이격공간에 충진되는 냉감성 복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냉감성 복합물은 자일리톨을 함유하는 유기물 복합물질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용기는, 자외선흡수제로서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2,2',4,4'-tetrahydroxybenzophenone)나,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2-hydroxy-4-methoxybenzophenone),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2,2'-dihydroxy-4,4'-dimethoxybenzophenone),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2-hydroxy-4-n-octyloxybenzophenone), 2-(5-클로로-2H-벤조트리졸- 2 - y l ) - 6 - ( 1 , 1 - 디 메 틸 에 틸 ) - 4 - 메 틸 - 페 놀[2-(5-chloro-2H-benzotriazole-2-yl)-6-(1,1-dimethylethyl)-4-methyl-phenol]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층이 구비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역류방지부는, 다공성 리드를 수용함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을 나타내는 제1 층; 상기 제1 층 하단에 결합되며 곡면부를 포함하는 제2 층; 상기 제2 층 중앙 하단에 결합되며 다공성 리드를 수용하는 중앙관; 및 상기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은,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10~20 중량부, 쿨링 비드 5~15 중량부, 메틸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dihydrojasmonate) 5~10 중량부, 에틸렌 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5~10 중량부,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buthylphenylmethylpropional) 5~10 중량부, 테트라메틸 아세틸로타하이드로나프탈렌(tetramethyl acetyloctahydronaphthalenes) 0.1~5 중량부, 헥사메틸인다노피란(hexamethylindanopyran) 0.1~5 중량부, 페네틸알코올(phenethyl alcohol) 0.1~5 중량부,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0.1~5 중량부, 2-터트부틸사이클로헥실아세테이트(2-t-butylcyclohexylacetate) 0.1~5 중량부, 리날룰(linalool) 0.1~5 중량부, 리모넨(limonene) 0.1~5 중량부, 헥실 시나말(hexyl cinnamal) 0.1~5 중량부, 제라니올(geraniol) 0.1~5 중량부, 터히네올(terpineol) 0.1~5 중량부, 벤질 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0.1~5 중량부, 알파-아이소메틸이오논(alpha-isomethyl ionone) 0.1~5 중량부, 시트랄(citral) 0.1 중량부, 시트로넬롤(citronellol) 0.1 중량부를 포함하여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용기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용기를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용기에 방향제 조성물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방향제 조성물을 충진된 용기의 개구부를 실링하여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본체를 검수하는 단계; 및 검수 완료된 본체와 역류방지부 및 다공성 리드를 상자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실제 화장품 산업에 적용될 수 있으며, 쿨링 비드를 방향제에 혼입함으로써 주변온도에 감응하여 쿨링제를 방출하여 방향제 조성물의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용기의 입구 및 내부 구조를 변형하여 방향제 보관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방향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쿨링 비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방향제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쿨링 비드의 냉감 기능성 시험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여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기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하여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례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방향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쿨링 비드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방향제의 구성은, 에탄올 40~50 중량부,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10~20 중량부, 쿨링 비드 5~15 중량부, 메틸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dihydrojasmonate) 5~10 중량부, 에틸렌 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5~10 중량부,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buthylphenylmethylpropional) 5~10 중량부, 테트라메틸 아세틸로타하이드로나프탈렌(tetramethyl acetyloctahydronaphthalenes) 0.1~5 중량부, 헥사메틸인다노피란(hexamethylindanopyran) 0.1~5 중량부, 페네틸알코올(phenethyl alcohol) 0.1~5 중량부,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0.1~5 중량부, 2-터트부틸사이클로헥실아세테이트(2-t-butylcyclohexylacetate) 0.1~5 중량부, 리날룰(linalool) 0.1~5 중량부, 리모넨(limonene) 0.1~5 중량부, 헥실 시나말(hexyl cinnamal) 0.1~5 중량부, 제라니올(geraniol) 0.1~5 중량부, 터히네올(terpineol) 0.1~5 중량부, 벤질 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0.1~5 중량부, 알파-아이소메틸이오논(alpha-isomethyl ionone) 0.1~5 중량부, 시트랄(citral) 0.1 중량부, 시트로넬롤(citronellol)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1); 상기 방향제 조성물을 저장하는 용기(2);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중앙관이 구비된 역류방지부(3); 및 상기 역류방지부의 중앙관에 삽입되며 방향제 조성물의 확산을 돕는 다공성 리드(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쿨링 비드(100)는, 70~230 mesh 크기의 지름을 갖는 미세관(101a)이 일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구형의 이격공간(101b)이 형성되어 있는 40~63㎛ 두께의 외벽(101); 및 상기한 외벽 내부의 구형 이격공간에 충진되는 냉감성 복합물(102)을 포함하고, 상기 냉감성 복합물은 자일리톨을 함유하는 유기물 복합물질을 사용한다.
상기 외벽(101)의 두께가 40㎛ 미만인 경우 쉽게 부서져 제조가 어렵고, 외벽(101)의 두께가 63㎛ 초과인 경우 미세관(101a)의 길이가 길어져 냉감성 복합물(102)의 배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냉감성 복합물은 자일리톨 15 중량부, 옻 숯 파우더 2 중량부, 에폭사이디드 소이빈 오일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기물 복합물질을 사용한다.
상기 냉감성 복합물(12)의 표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흡열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용기(2)는, 자외선흡수제로서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2,2',4,4'-tetrahydroxybenzophenone)나,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2-hydroxy-4-methoxybenzophenone),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2,2'-dihydroxy-4,4'-dimethoxybenzophenone),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2-hydroxy-4-n-octyloxybenzophenone), 2-(5-클로로-2H-벤조트리졸- 2 - y l ) - 6 - ( 1 , 1 - 디 메 틸 에 틸 ) - 4 - 메 틸 - 페 놀[2-(5-chloro-2H-benzotriazole-2-yl)-6-(1,1-dimethylethyl)-4-methyl-phenol]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층이 구비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태양광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자외선 차단층의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투입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자외선 흡수성이 저하되고 20 중량부 초과일 경우 비용이 상승한다.
상기 역류방지부(3)는, 다공성 리드(4)를 수용함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배출구(30a)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을 나타내는 제1 층(30); 상기 제1 층 하단에 결합되며 곡면부(31a)를 포함하는 제2 층(31); 상기 제2 층 중앙 하단에 결합되며 다공성 리드를 수용하는 중앙관(32); 및 상기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층(30)은 고무를 주로 포함하는 재질, 제 2층(31)은 플라스틱을 주로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33)는 방향제가 옆으로 쓰러진 경우, 방향제 조성물(1)이 중앙광(32)를 통하여 이동한 후 잔류하는 공간으로, 방향제 조성물(1)이 배출구(30a)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될 수 없도록 방지한다.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방향제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방향제의 제조방법의 구성은,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10~20 중량부, 쿨링 비드 5~15 중량부, 메틸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dihydrojasmonate) 5~10 중량부, 에틸렌 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5~10 중량부,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buthylphenylmethylpropional) 5~10 중량부, 테트라메틸 아세틸로타하이드로나프탈렌(tetramethyl acetyloctahydronaphthalenes) 0.1~5 중량부, 헥사메틸인다노피란(hexamethylindanopyran) 0.1~5 중량부, 페네틸알코올(phenethyl alcohol) 0.1~5 중량부,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0.1~5 중량부, 2-터트부틸사이클로헥실아세테이트(2-t-butylcyclohexylacetate) 0.1~5 중량부, 리날룰(linalool) 0.1~5 중량부, 리모넨(limonene) 0.1~5 중량부, 헥실 시나말(hexyl cinnamal) 0.1~5 중량부, 제라니올(geraniol) 0.1~5 중량부, 터히네올(terpineol) 0.1~5 중량부, 벤질 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0.1~5 중량부, 알파-아이소메틸이오논(alpha-isomethyl ionone) 0.1~5 중량부, 시트랄(citral) 0.1 중량부, 시트로넬롤(citronellol) 0.1 중량부를 포함하여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용기 선정하는 단계(S20); 상기 선정된 용기를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S30); 상기 건조된 용기에 방향제 조성물을 충진하는 단계(S40); 상기 방향제 조성물을 충진된 용기의 개구부를 실링하여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S50); 상기 본체를 검수하는 단계(S60); 및 검수 완료된 본체와 역류방지부 및 다공성 리드를 상자에 포장하는 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험예 1)
상기 공정에 따라 제조된 쿨링 비드의 냉감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쿨링 비드 유무와 제조방법을 달리한 방향제(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를 준비하여 온도변화 측정시험을 수행하였다.
온도 34±1℃, 습도 40±4% 의 조건으로 설정된 환경재현 실험실(EBE Walk-in, ESPEC)에서 각각의 방향제의 배출구(30a)에 온도계(LT-8B, Gram)를 삽입하고 2시간 동안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쿨링 비드 유무 ×
제조방법 쿨링 비드를 방향제 조성물에 혼입 - 냉감성 복합물을 방향제 조성물에 혼입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쿨링 비드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주변 온도와 비슷한 온도로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냉감성 복합물이 혼입된 비교예 2의 경우, 5분 경과 후 초기 방향제의 온도보다 약 3℃ 상승하였으며, 이는 고온의 환경에서 냉감성 복합물이 흡열 반응을 일으켜 비교예 1 보다 상승폭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약 10분 경과 후 주변 온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하여 유지효과가 약하다고 판단된다.
냉감 복합물을 쿨링 비드에 충진하여 혼입한 실시예 1의 경우, 5분 경과 후 초기 방향제 온도와 비슷하였으며 그 이유는, 쿨링 비드에 충진된 냉감성 복합물의 배출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10분 경과 후 부터 냉감성 복합물이 노출되면서 흡열반응을 일으켜 15분 까지 급속도로 온도가 하강하였으며, 20분이 경과할때까지 하강한 온도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 방향제 조성물
100: 쿨링 비드
101: 외벽
101a: 미세관
101b: 이격공간
102: 냉감성 복합물
2: 용기
2a: 개구부
3: 역류방지부
30: 제1 층
30a: 배출구
31: 제2 층
31a: 곡면부
32: 중앙관
33: 수용부
4: 다공성 리드

Claims (5)

  1. 에탄올 40~50 중량부,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10~20 중량부, 쿨링 비드 5~15 중량부, 메틸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dihydrojasmonate) 5~10 중량부, 에틸렌 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5~10 중량부,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buthylphenylmethylpropional) 5~10 중량부, 테트라메틸 아세틸로타하이드로나프탈렌(tetramethyl acetyloctahydronaphthalenes) 0.1~5 중량부, 헥사메틸인다노피란(hexamethylindanopyran) 0.1~5 중량부, 페네틸알코올(phenethyl alcohol) 0.1~5 중량부,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0.1~5 중량부, 2-터트부틸사이클로헥실아세테이트(2-t-butylcyclohexylacetate) 0.1~5 중량부, 리날룰(linalool) 0.1~5 중량부, 리모넨(limonene) 0.1~5 중량부, 헥실 시나말(hexyl cinnamal) 0.1~5 중량부, 제라니올(geraniol) 0.1~5 중량부, 터히네올(terpineol) 0.1~5 중량부, 벤질 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0.1~5 중량부, 알파-아이소메틸이오논(alpha-isomethyl ionone) 0.1~5 중량부, 시트랄(citral) 0.1 중량부, 시트로넬롤(citronellol)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방향제 조성물;
    상기 방향제 조성물을 저장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중앙관이 구비된 역류방지부; 및
    상기 역류방지부의 중앙관에 삽입되며 방향제 조성물의 확산을 돕는 다공성 리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비드는,
    70~230 mesh 크기의 지름을 갖는 미세관이 일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구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40~63㎛ 두께의 외벽; 및
    상기한 외벽 내부의 구형 이격공간에 충진되는 냉감성 복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냉감성 복합물은 자일리톨을 함유하는 유기물 복합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자외선흡수제로서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2,2',4,4'-tetrahydroxybenzophenone)나,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2-hydroxy-4-methoxybenzophenone),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2,2'-dihydroxy-4,4'-dimethoxybenzophenone),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2-hydroxy-4-n-octyloxybenzophenone), 2-(5-클로로-2H-벤조트리졸- 2 - y l ) - 6 - ( 1 , 1 - 디 메 틸 에 틸 ) - 4 - 메 틸 - 페 놀[2-(5-chloro-2H-benzotriazole-2-yl)-6-(1,1-dimethylethyl)-4-methyl-phenol]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는,
    다공성 리드를 수용함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을 나타내는 제1 층;
    상기 제1 층 하단에 결합되며 곡면부를 포함하는 제2 층;
    상기 제2 층 중앙 하단에 결합되며 다공성 리드를 수용하는 중앙관; 및
    상기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장치.
  5.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10~20 중량부, 쿨링 비드 5~15 중량부, 메틸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dihydrojasmonate) 5~10 중량부, 에틸렌 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5~10 중량부, 부틸페닐메틸프로피오날(buthylphenylmethylpropional) 5~10 중량부, 테트라메틸 아세틸로타하이드로나프탈렌(tetramethyl acetyloctahydronaphthalenes) 0.1~5 중량부, 헥사메틸인다노피란(hexamethylindanopyran) 0.1~5 중량부, 페네틸알코올(phenethyl alcohol) 0.1~5 중량부,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0.1~5 중량부, 2-터트부틸사이클로헥실아세테이트(2-t-butylcyclohexylacetate) 0.1~5 중량부, 리날룰(linalool) 0.1~5 중량부, 리모넨(limonene) 0.1~5 중량부, 헥실 시나말(hexyl cinnamal) 0.1~5 중량부, 제라니올(geraniol) 0.1~5 중량부, 터히네올(terpineol) 0.1~5 중량부, 벤질 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0.1~5 중량부, 알파-아이소메틸이오논(alpha-isomethyl ionone) 0.1~5 중량부, 시트랄(citral) 0.1 중량부, 시트로넬롤(citronellol) 0.1 중량부를 포함하여 방향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용기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용기를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용기에 방향제 조성물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방향제 조성물을 충진된 용기의 개구부를 실링하여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본체를 검수하는 단계; 및
    검수 완료된 본체와 역류방지부 및 다공성 리드를 상자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의 제조방법.
KR1020190080377A 2019-07-03 2019-07-03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52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377A KR102052857B1 (ko) 2019-07-03 2019-07-03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377A KR102052857B1 (ko) 2019-07-03 2019-07-03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857B1 true KR102052857B1 (ko) 2019-12-05

Family

ID=6900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377A KR102052857B1 (ko) 2019-07-03 2019-07-03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721B1 (ko) * 2019-10-11 2020-05-22 제동욱 냉감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108A (ja) * 1995-01-23 1996-10-08 Torika:Kk 蒸散消臭器
JP2012045268A (ja) * 2010-08-30 2012-03-08 St Corp 揮散装置
KR20170023169A (ko) * 2014-06-30 2017-03-02 시므라이즈 아게 아세토페논 유도체들을 포함하는 향미제 조성물 및 방향제 조성물
KR20180017707A (ko)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KR20190007694A (ko) *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태원산업 장기간 균일한 발산 특성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상 방향제 키트
KR20190054070A (ko) * 2016-09-15 2019-05-21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향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108A (ja) * 1995-01-23 1996-10-08 Torika:Kk 蒸散消臭器
JP2012045268A (ja) * 2010-08-30 2012-03-08 St Corp 揮散装置
KR20170023169A (ko) * 2014-06-30 2017-03-02 시므라이즈 아게 아세토페논 유도체들을 포함하는 향미제 조성물 및 방향제 조성물
KR20180017707A (ko)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내열성 고체형 방향제
KR20190054070A (ko) * 2016-09-15 2019-05-21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향료조성물
KR20190007694A (ko) *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태원산업 장기간 균일한 발산 특성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상 방향제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721B1 (ko) * 2019-10-11 2020-05-22 제동욱 냉감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4129A (en) Multi-laminate fragrance release device
US5749519A (en) Liquid air freshener dispenser device with nonporous wicking means
EP2134377B1 (en) Fragrance dispenser
KR102052857B1 (ko) 방향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10322198B2 (en) Freshening compositions comprising isopropyl myristate
US20100310492A1 (en) Transparent Anhydrous Gel Comprising Perfume
CN100565779C (zh) 能在低温下缓慢释放有机蒸发材料的荧光灯
JP2022188115A (ja) 表面上の悪臭を低減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2498931B1 (ko) 소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젤
US4889285A (en) Device for dispensing volatile fragrances
JPS6236701B2 (ko)
BR112018067322B1 (pt) Composições de perfume
KR102336794B1 (ko) 소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젤
EP3437532A1 (en) Toilet paper
JP2023529874A (ja) 香り送達を改善するための装置及び組成物
WO2022006197A1 (en) Apparatu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scent delivery
US11771793B2 (en) Malodor reduction in air care applications
JP5416641B2 (ja) 水性ゲル消臭芳香剤
US20170360978A1 (en) Aqueous perfume compositions and freshening products comprising the aqueous perfume compositions contained in pressurized plastic containers
JP6919051B1 (ja) 香り見本容器
EP1159204A1 (en) Perfuming device for perfuming the headspace of a container
WO2024033944A1 (en) Fragrance composition and methods thereof
BR112019017336A2 (pt) Composição de fragrância e artigo sanitário ou de incontinência
CA2002126A1 (en) Device for dispensing volatile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