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645A -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Google Patents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645A
KR20180017645A KR1020160101797A KR20160101797A KR20180017645A KR 20180017645 A KR20180017645 A KR 20180017645A KR 1020160101797 A KR1020160101797 A KR 1020160101797A KR 20160101797 A KR20160101797 A KR 20160101797A KR 20180017645 A KR20180017645 A KR 2018001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discharge
discharging
discharge por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658B1 (ko
Inventor
최정선
정해원
이지정
백두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01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658B1/ko
Priority to PCT/KR2017/008276 priority patent/WO2018030697A1/ko
Priority to TW106126299A priority patent/TWI724220B/zh
Publication of KR2018001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all, a rolle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구는 화장료를 배출하는 배출면을 가지는 화장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유닛은, 화장료를 담지하고 있으며 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노출공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배출면을 형성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화장료와 접촉하며 상기 배출면은 상기 배출부의 회전에 따라 변화한다.

Description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Cosmetic goods comprising releasing part varying in releasing surface}
본 발명은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특히,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로 진공 용기, 펌프 용기 또는 유리 용기 등에 충진되어 유통 및 보관되었다. 하지만, 이들 용기들은 휴대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외출시에도 간편하게 화장을 하거나 수정할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휴대가 편리한 화장용구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최근, 담지체에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시켜 휴대가 간편하게 만든 화장용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화장용구에서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공성 담지체의 포어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담지된 화장료가 담지체의 배출면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화장료의 이용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 등록 제1,538,110호(2015년 7월 14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화장료 이용효율이 높은 화장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용구에 있어서, 화장료를 배출하는 배출면을 가지는 화장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유닛은, 화장료를 담지하고 있으며 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노출공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배출면을 형성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화장료와 접촉하며 상기 배출면은 상기 배출부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기 배출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표면체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체는 상기 본체보다 화장료 담지능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의 표면은 복수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구형 및 원통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도포구와; 상기 도포구 및 상기 화장유닛이 수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같은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용구에 있어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배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는 화장료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부는 노출된 부분은 외부 힘을 받으면 회전하여 다른 부분이 노출되며, 노출된 부분이 배출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화장료 이용효율이 높은 화장용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를 따른 화장료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의 표면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사용시 배출면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를 따른 화장료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의 표면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화장용구(1)는 화장료 유닛(10), 하부케이스(20), 상부케이스(30), 도포구(40) 및 안착부(50)를 포함한다.
화장료 유닛(10)은 배출부(110)와 수용부(120)를 포함한다.
배출부(110)는 구 형상으로 대부분 수용부(120) 내에 위치하며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배출면을 형성한다. 배출부(110)의 표면은 도 5와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배출부(1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알루미늄, 티타늄, ZAMAK 등의 금속 및 도금, 세라믹, 서스, 플라스틱 또는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배출부(110)의 표면은 화장료의 담지가 용이하게 처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요철형상이 있거나 샌드 블라스트 처리 등을 통해 표면 거칠기가 크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출부(110)는 가운데가 빈 형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빈 공간에는 화장료가 담지될 수도 있다.
수용부(120)는 하부 수용부(121)과 상부 수용부(1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수용부(121, 122)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121a, 122a)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수용부(122)의 중심부에는 노출공(122b)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2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티타늄, ZAMAK, 서스, PP 등의 금속 및 도금, 플라스틱, 세라믹 등 강성을 가지는 소재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부 수용부(121)와 상부 수용부(122)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수용부(120), 특히 상부 수용부(122)에는 천연물 또는 항균제를 함유시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기능성 부여는 특히 노출공(122b) 주변에 집중될 수 있다. 기능성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세라믹 성분을 통한 원적외선 방사일 수 있다. 기능성 부여는 배출부(110)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수용부(120)는 배출부(110)를 수용하며, 내부에는 화장료(화장료 조성물)가 수용되어 있다. 배출부(110)는 노출공(122b)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형 조성물, 구체적으로 수중유중수(W/O/W)형 또는 유중수중유형(O/W/O)형 또는 유중수(W/O)형 또는 수중유(O/W)형 조성물, 분산형 조성물이거나 구체적으로는 유분산 또는 수분산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다중유화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O/W 또는 O/W/O형 조성물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 또는 고상 조성물일 수 있으며, 고상 조성물일 경우, 분말과 같은 분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메이크업 프라이머용 조성물, 메이크업 베이스용 조성물, 파운데이션용 조성물, 컨실러용 조성물, 립용 조성물, 립 라이너용 조성물, 아이브로우용 조성물, 아이섀도우용 조성물, 아이라이너용 조성물, 블러셔(blusher)용 조성물, 자외선 차단제용 조성물, 스킨 케어용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유닛(10)은 하부 케이스(2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도포구(4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우레탄과 같은 발포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납작한 원판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포구(40)는 손잡이띠를 가지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띠는 생략될 수 있다. 도포구(40)는 도포면을 통해 화장료 유닛(10)의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한다.
안착부(50)는 케이스(20, 30)가 닫힌 상태에서 도포구(40)를 안착시키며 화장료와 공기의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화장료 유닛(10)을 밀폐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안착부(5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상의 화장용구(1)에서 각 구성요소의 개폐 및 연결을 위한 힌지 등의 구성은 생략하였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케이스(20, 30)를 열고, 도포구(40)를 손에 잡고, 안착부(50)를 열어 화장료 유닛(10)을 노출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도포구(40)를 화장료 유닛(10)의 배출부(110)의 배출면에 접촉시켜 화장료를 도포구(40)에 흡수한 후, 피부에 화장료를 접촉시키면서 화장을 수행한다. 화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다시 도포구(40)를 안착부(50)에 안착시킨 후 케이스(20, 30)를 닫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배출부(110)는 구형상이기 때문에, 도포구(40)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회전에 의해 배출면이 변경되는데, 새롭게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면은 수용부(120) 내부에서 화장료와 접촉된 상태였기 때문에 충분한 화장료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분하면서도 일정한 양의 화장료를 도포구(40)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수용부(120) 내부에 위치하는 화장료는 액상상태에서 배출부(110)와 접촉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잔류하는 화장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액상 화장료의 점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5,000cps 내지 50,000cps일 수 있다. 점도는 예를 들어, LVDV Ⅱ+PRO로, 스핀들 NO. 63, 스핀들 속도 5 RPM, 12RPM의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부(110)의 표면형상이 다양하므로, 배출부(110) 회전에 따라 도 7과 같이 배출면 모양이 달라지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배출면이 변화하였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으며, 다양한 배출면 모양을 통해 시각적인 만족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110)는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도 8의 (a)와 같이 배출부(110)는 본체(111)와 표면체(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11)는 적절한 강도를 위해 플라스틱, 탄성체 내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가 빈 형태일 수도 있다. 표면체(112)는 본체(111)보다 화장료 담지능이 우수하다.
표면체(112)는 다공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의 다공성 재질로는 발포폼일 수 있다. 발포 폼은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포 폼은 건식 발포방식 또는 습식 발포방식으로 발포될 수 있으며, 발포 폼은 파이버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천연의 다공성 재질로는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바이오 셀룰로오스 또는 스코리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체(112)는 합성 또는 천연의 섬유 재질일 수 있다. 천연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항균 셀룰로오스, 천연펄프, 수세미(loofah), 모시, 라미(식물), 아야테(ayate, 용설란 또는 야자나무의 거친 피륙), 조류(algae), 대나무(Bamboo), 사이잘(sisal), 사이잘 테리(sisal terry, 사이잘로 타월처럼 수분 흡수가 잘 되도록 짠 천), 곤약, 텐셀(TM) 파이버 원단(유칼립투스 나무로 만든 천연 항균 기능의 텐셀 섬유, 코튼 펠트, 텐셀 솜, 마닐라 삼(abaca fib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나일론, 아세테이트 섬유, 나일론 부직포, 카시미론 파이버(아크릴로니트릴CH2=CH-CN 섬유를 주요구성 성분으로 하는 합성섬유 즉 아크릴 섬유), 컴포트 파이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PLA(polylactic acid), 폴리유산계 복합 섬유(친환경 생분해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면체(112)는 다공성 재질, WEB구조, 권축 구조 일 수 있다.
표면체(112)의 표면은 코튼, 코튼/아크릴, 코튼/아크릴/폴리에스테르, 코튼/레이온, 아크릴, 폴리아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나일론/폴리에스테르 또는 실크로 플로킹(flocking)되어 있을 수 있다. "플로킹(flocking)"은 발포체 등에 극히 짧은 섬유(플록)를 고착시키는 가공법을 의미한다.
본체(111)와 표면체(112)의 결합은 폴리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olycarbonated based polyurethane, poly ester based polyurethane, ploy ether based polyurethane 접착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의 (b)와 같이 배출부(110)는 본체(111)와 섬유(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장료는 섬유(113) 및 인접한 섬유(113) 사이에 담지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섬유(113)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나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10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제2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수용부(121)는 가이드(121b)를 가진다. 가이드(121b)는 하부수용부(121)의 사이드면에서 배출부(110)를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배출부(11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배출부(11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도 10에 나타낸 제3실시예에서는 하부수용부(121)의 측면이 배출부(110)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배출부(110)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배출부(110) 회전이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수용부(121)의 내부는 비어있을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출부(110)와 수용부(120) 사이에는 기밀 및 배출부(110)의 탄력적인 상하운동을 위해 탄성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부는 오링과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제4실시예에서는 상부 수용부(122)에 4개의 배출부(110)가 노출되어 있으며 각 배출부(110)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화장료 배출능을 유지하면서도 각 배출부(1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화장료 유닛(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배출부(110)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배출부(110)가 2가지 이상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2에 나타낸 제5실시예에서는 배출부(110)가 회전축(130)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용부(120)는 회전축(1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5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부(110) 표면은 제한되지만, 회전축(130)에 의해 배출부(110)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13에 나타낸 제6실시예에서는 배출부(110)가 원통형상이며, 측면이 배출면을 형성하게 된다. 원통형상의 배출부(110)에는 회전축(130)이 연결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130)이 없는 원통형상의 배출부(11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4에 나타낸 제7실시예에서느 배출부(110)는 럭비공 형상이며, 배출부(110)에는 회전축(130)이 연결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제8실시예에서는 배출부(110)가 닫힌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배출면을 형성하게 된다.
배출부(110)의 내부에는 회전부재(140)가 위치하여 배출부(110)가 용이하게 회전한다. 회전부재(140)의 양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수용부(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제9실시예에서는 배출부(110)가 서로 이격되어 있는 회전축(150)에 말려져 있는 형태이다. 제8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일방향으로 배출부(110)를 회전시키면서 화장을 수행하게 된다. 제9실시예를 따르면, 사용된 배출면은 다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위생성이 향상된다. 또한 별도의 도포구 없이 배출면을 피부에 접촉시켜 화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드러운 담지펠트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제9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는 페이스, 립, 블러셔, 아이라이너, 아이새도우, 헤어제품 또는 바디제품 등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제10실시예에서는 도포구(40)와 안착부(50)가 배제된다. 사용자는 케이스(20, 30)을 오픈한 후 배출부(110)의 배출면에 직접 피부를 접촉하여 화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8에 나타낸 제11실시예에서는 화장료가 액상이 아닌 고상, 예를 들어 프레스트 파우더 제형이다.
화장료는 배출부(110)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역시 배출부(110)의 표면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는 지지부(141)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141)의 배면에는 배출부(110)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51)가 마련되어 있다.
가압부(151)에 의해 화장료는 배출부(110)와 접촉되며, 화장료가 배출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화장료의 이용효율이 높아진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화장용구에 있어서,
    화장료를 배출하는 배출면을 가지는 화장료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유닛은,
    화장료를 담지하고 있으며 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노출공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배출면을 형성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화장료와 접촉하며 상기 배출면은 상기 배출부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화장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표면체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체는 상기 본체보다 화장료 담지능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표면은 복수의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구형 및 원통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구와;
    상기 도포구 및 상기 화장유닛이 수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같은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8. 화장용구에 있어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배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는 화장료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부는 노출된 부분은 외부 힘을 받으면 회전하여 다른 부분이 노출되며,
    노출된 부분이 배출면을 형성하는 화장용구.
KR1020160101797A 2016-08-10 2016-08-10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53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97A KR102530658B1 (ko) 2016-08-10 2016-08-10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PCT/KR2017/008276 WO2018030697A1 (ko) 2016-08-10 2017-08-01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TW106126299A TWI724220B (zh) 2016-08-10 2017-08-04 包括依釋放表面變化的釋放部件之化妝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97A KR102530658B1 (ko) 2016-08-10 2016-08-10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645A true KR20180017645A (ko) 2018-02-21
KR102530658B1 KR102530658B1 (ko) 2023-05-09

Family

ID=6116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797A KR102530658B1 (ko) 2016-08-10 2016-08-10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30658B1 (ko)
TW (1) TWI724220B (ko)
WO (1) WO20180306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013B1 (ko) * 2019-12-30 2021-05-28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 세정용 리무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0554B1 (fr) * 2020-05-21 2023-03-17 Antarctiqua Boîte modulable et rechargeable pour produits en particulier chimiques
TWI731750B (zh) * 2020-07-16 2021-06-21 林忠信 層疊式塗抹用容器(2)
TWI731749B (zh) * 2020-07-16 2021-06-21 林忠信 層疊式塗抹用容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481U (ko) * 2013-04-12 2014-10-23 (주)아모레퍼시픽 혼합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용기
KR101538110B1 (ko) 2015-02-26 2015-07-23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습부재
KR20160017679A (ko) * 2014-07-31 2016-02-17 (주)아모레퍼시픽 롤러를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20160085060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탄성 바닥면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60002566U (ko) * 2015-01-13 2016-07-22 (주)아모레퍼시픽 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018A (ja) * 1995-12-15 1997-06-24 Shiseido Co Ltd 化粧品容器
US6939071B1 (en) * 2000-02-29 2005-09-06 Fragrance Systems International Roll-on applicator
US8356952B2 (en) * 2008-01-15 2013-01-22 Rexam Beauty And Closures, Inc. Compact container for liquid cosmetic
KR101171753B1 (ko) * 2010-05-10 2012-08-07 주식회사 탭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롤러식 이중화장품용기
KR20150096603A (ko) *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481U (ko) * 2013-04-12 2014-10-23 (주)아모레퍼시픽 혼합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용기
KR20160017679A (ko) * 2014-07-31 2016-02-17 (주)아모레퍼시픽 롤러를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20160085060A (ko) * 2015-01-07 2016-07-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탄성 바닥면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60002566U (ko) * 2015-01-13 2016-07-22 (주)아모레퍼시픽 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용기
KR101538110B1 (ko) 2015-02-26 2015-07-23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습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013B1 (ko) * 2019-12-30 2021-05-28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 세정용 리무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697A1 (ko) 2018-02-15
TWI724220B (zh) 2021-04-11
KR102530658B1 (ko) 2023-05-09
TW201804935A (zh) 201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7645A (ko)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JP2018183617A (ja) スクリーンネットを含む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16680B2 (ja) 繊維およびスクリーン網を備えた含浸化粧用品
JP7009212B2 (ja) 気泡性材料を含むスクリーンを備える装置
TWI617261B (zh) 用於包含供於應用的海綿之化妝品組合物的容器
US20180317628A1 (en) Cosmetic sponge
JP2018508307A (ja) 非透過層を含む化粧料組成物塗布具
CN109788834A (zh) 用于化妆品的包装和分配组件
JP2018521702A (ja) 内容物伝達力が改善された塗布具
KR102430854B1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324949B1 (ko)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508240B1 (ko) 배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371201B1 (ko)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508264B1 (ko) 화장용구
CN109640735B (zh) 具有芯部的化妆料组合物载体及包括其的化妆用具
KR20180017643A (ko) 담지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TWI764939B (zh) 具有各種排出特性的化妝品組成物載具以及具有所述載具的化妝品產品
KR102359493B1 (ko) 화장용구
KR101947728B1 (ko) 복수의 손가락 삽입공간을 가지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508259B1 (ko) 화장용구
KR20190048620A (ko)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1859572B1 (ko)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
KR20180037680A (ko) 배출홀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CN111246769A (zh) 化妆料色相体现得到改善的载持体
KR20210015988A (ko)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