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886A -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886A
KR20180016886A KR1020160100874A KR20160100874A KR20180016886A KR 20180016886 A KR20180016886 A KR 20180016886A KR 1020160100874 A KR1020160100874 A KR 1020160100874A KR 20160100874 A KR20160100874 A KR 20160100874A KR 20180016886 A KR20180016886 A KR 20180016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ble
screw shaft
frame
slid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7135B1 (ko
Inventor
백수호
장세영
Original Assignee
(주) 개풍스틸산업
(주) 에이티디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개풍스틸산업, (주) 에이티디랩 filed Critical (주) 개풍스틸산업
Priority to KR102016010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1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01Braking or traction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B60T8/1708Braking or traction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orries or tractor-trailer combin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2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군용트레일러에 채택된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의 문제로 인해 군용 트레일러가 기동할 때 이를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감지하고 전자식 엑츄에이터를 통해 군용트레일러를 제동시키면서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해 방지할 수 있는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견인차량에 연결되기 위한 후크(11)가 구비된 프레임(10) 하측에는 바퀴(12)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를 제동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케이블(13)과 연결된 주차브레이크(20)가 구비된 군용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주차브레이크(20)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케이블(13)에 연결되는 작동유닛(30)이 프레임(10)에 형성되되, 상기 작동유닛(30)은 수동유닛(300) 및 자동유닛(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동유닛(300)은 핸들(310), 핸들에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320),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너트(33), 너트가 고정결합되는 한편 프레임에 고정결합된 브라켓(340), 나사축 말단에 형성됨으로써 핸들의 회전을 통해 너트에 안내되는 나사축에 의해 브라켓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편(350), 슬라이딩편과 상기 케이블(13)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편(360) 및 브라켓에 형성되어 슬라이딩편의 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센서(370)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유닛(400)은 브라켓이 결합된 프레임 일측에는 형성되는 전자식 엑츄에이터이고, 상기 프레임에는 트레일러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전자식 엑츄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50) 및 제어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울리는 부저(60, Buzzer)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유닛(50)은 프레임의 가속도 및 각속도 정보를 인가하는 자이로 센서(51), 자이로센서로부터 인가된 정보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52), 신호 입력부에 입력된 센서 신호에 기반하여 트레일러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엑츄에이터의 동작 및 부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Military trailer parking brake system}
본 발명은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군용트레일러에 채택된 주차브레이크 시스템의 문제로 인해 군용 트레일러가 기동할 때 이를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감지하고 전자식 엑츄에이터를 통해 군용트레일러를 제동시키면서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해 방지할 수 있는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트레일러란 동력을 갖추지 않고 차량에 의하여 견인되며, 사람 또는 물품을 수송하는 목적을 위하여 설계 및 장비된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으로서, 대량?신속을 위한 타 운송수단과의 복합운송이 가능하고, 운송차량 1대로 복수의 트레일러를 운영할 수 있으므로 화물보관과 운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대형화?경량화, 화물적재의 효율성과 안정성으로 인해 최근에는 물류 수송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개인 차량이나 자전거 등에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트레일러를 장착하여 캠핑박스형(Camping Box type) 미니트레일러(Mini Trailer), 일반 카고형으로 사용되는 등 그 운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사용처에 맞게 개발된 트레일러에는 주행중 견인차량의 주행속도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브레이크로서 관성브레이크와 주차시 제동을 위한 주차브레이크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트레일러용 브레이크로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4036호(트레일러의 케이블식 관성브레이크 장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34973호(트레일러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952790(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시된 주차 브레이크장치는 Hand Brake를 조작하는 인력의 숙련도와 실제로 트레일러의 제동력을 지탱하는 케이블의 장력, 노후 상태에 따른 결함으로 인해 주차 상태를 잃고 타이어가가 슬립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만차시 차량 중량이나 정적 하중 배분(Static Weight Distribution), 차량의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 높이에 따라 타이어와 노면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 이상의 쏠림 현상(Tipping Effect)이 발생하여 비탈길에 정차한 트레일러가 제동력을 벗어나기도 한다.
특히, 다양한 사용처에 맞게 개발된 트레일러는 사람이 탑승하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군용 트레일러의 경우에는 탄약 적재 이송뿐만 아니라 행군 훈련 및 전쟁시에는 군인을 탑승시켜 운송하고 있으므로 트레일러의 주차시 주자브레이크 장치가 고장을 일으킬 경우 군인에 게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특별한 주차 브레이크 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나, 도 1에 사진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군용 소형 트레일러 역시 수동 핸드브레이크(H)와 돌멩이(S) 등으로 타이어를 지지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선행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4036호 선행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34973호 선행문헌 3: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95279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종래의 핸드브레이크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핸드브레이크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트레일러의 제동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견인차량에 연결되기 위한 후크(11)가 구비된 프레임(10) 하측에는 바퀴(12)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를 제동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케이블(13)과 연결된 주차브레이크(20)가 구비된 군용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주차브레이크(20)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케이블(13)에 연결되는 작동유닛(30)이 프레임(10)에 형성되되, 상기 작동유닛(30)은 수동유닛(300) 및 자동유닛(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동유닛(300)은 핸들(310), 핸들에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320),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너트(33), 너트가 고정결합되는 한편 프레임에 고정결합된 브라켓(340), 나사축 말단에 형성됨으로써 핸들의 회전을 통해 너트에 안내되는 나사축에 의해 브라켓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편(350), 슬라이딩편과 상기 케이블(13)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편(360) 및 브라켓에 형성되어 슬라이딩편의 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센서(370)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유닛(400)은 브라켓이 결합된 프레임 일측에는 형성되는 전자식 엑츄에이터이고, 상기 프레임에는 트레일러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전자식 엑츄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50) 및 제어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울리는 부저(60, Buzzer)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유닛(50)은 프레임의 가속도 및 각속도 정보를 인가하는 자이로 센서(51), 자이로센서로부터 인가된 정보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52), 신호 입력부에 입력된 센서 신호에 기반하여 트레일러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엑츄에이터의 동작 및 부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센서(370)는 슬라이딩편이 슬라이딩하는 구간에 형성된 제1 접촉센서(371) 및 제1 접촉센서와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된 제2 접촉센서(372)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3)는 슬라이딩편이 제1 접촉센서(371)을 통과한 신호를 인가받은 후 설정시간 동안 제2 접촉센서(372)의 신호를 인가받지 못한 경우 작업자가 브레이크를 충분히 채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부저(60)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유닛(400)은 박스형 하우징(410); 하우징 내측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LM 가이드(420);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니어 샤프트(431)와 연결되어 하우징 내측의 LM 가이드에 측면부가 슬라이딩 결착된 구동 어댑터(430); 상기 구동 어뎁터 상면 및 하면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구동 어뎁터와 동시에 구동되는 판형 마그네트(440); 및 상기 양쪽 마그네트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내측 양쪽 측면에 고정된 코일 유닛(45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어 상기 구동 어댑터에서 연장되어 리니어 샤프트가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13)은 링키지(R)에 힌지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고리(131), 연결고리에 각각 연장된 직선의 직선연장부(132), 상기 수동유닛(300) 및 자동유닛(400)이 동일평면에서 나란히 연결되는 작동유닛연결부(133), 및 직선연장부와 작동유닛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연결편(360)은 상부플레이트(361), 하부플레이트(362) 및 상하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한편 슬라이딩편(350)에 연결된 연결플레이트(36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363) 대향측에 상하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풀리(364) 및 연결핀(365)가 차례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풀리(364) 상기 케이블(13)을 견인하고, 상기 연결핀(365)은 상하부플레이트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승강식 힌지타입 핸드브레이크의 구조를 회전식 핸들타입으로 변경함에 따라 조작이 용이하고 비숙련자에게도 신뢰성이 있는 브레이크 조작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촉센서를 수동유닛에 채택함에 따라 작업자가 핸들을 불완전하게, 즉 브레이크를 불완전하게 적용하고나 해제할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식 엑츄에이터인 자동유닛을 브레이크 케이블에 연결함에 따라 트레일러가 제동력을 잃고 기동할 경우에도 자동으로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레일러가 제동력을 잃고 기동하는지 여부를 트레일러의 가속도와 각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채택함으로서 신뢰성 있는 감지 정확도를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레일러가 제동력을 잃고 기동할 경우 제어부는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서 인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저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유닛을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도 4의 수동유닛을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도 4의 자동유닛을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도 6의 자동유닛을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유닛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유닛의 제어부를 나타낸 제어 알고리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은 견인차량과 연결되기 위한 후크(11)가 프레임(10) 선단부에 구비되며 프레임(10) 하부에는 바퀴(12)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를 제동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케이블(13)과 연결된 주차브레이크(20)가 구비된 군용트레일러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주차브레이크(20)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케이블(13)에 연결되는 작동유닛(30)을 포함하는데, 상기 작동유닛(30)은 프레임(10)에 형성되되 수동유닛(300) 및 자동유닛(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동유닛(300)은 종래의 승강식 힌지타입 핸드브레이크의 구조를 회전식 핸들타입으로 변경함에 따라 조작이 용이하고 비숙련자에게도 신뢰성이 있는 브레이크 조작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동유닛(300)은 핸들(310), 핸들에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320),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너트(33), 너트가 고정결합되는 한편 프레임에 고정결합된 브라켓(340), 나사축 말단에 형성됨으로써 핸들의 회전을 통해 너트에 안내되는 나사축에 의해 브라켓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편(350), 슬라이딩편과 상기 케이블(13)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편(360) 및 브라켓에 형성되어 슬라이딩편의 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센서(37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310)은 작업자가 회전을 통해 주차브레이크(20)를 작동시키기 용이하도록 휠형태로 형성되며, 그 일측에 손잡이(31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나사축(320)은 상기 브라켓(340)에 공정된 너트(33)와 나사결합하여 핸들에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전후진을 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너트(33)는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이 회전을 통해 전후진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나사축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340)은 너트가 나사축을 따라 회전하지 않고 나사축이 너트와 나사결합을 통해 전후진할 수 있도록 너트와 고정결합되는 한편 수동유닛을 차체, 즉 프레임에 프레임에 고정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편(350)은 나사축 말단에 형성됨으로써 핸들의 회전을 통해 너트에 안내되는 나사축에 의해 브라켓 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연결편(360)을 전후진 시킨다.
상기 케이블 연결편(360)은 슬라이딩편과 상기 케이블(13)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통해 핸들의 회전조작력에 의해 슬라이딩편에 연결된 케이블 연결편(360)이 케이블을 당기거나 풀면서 케이블에 연결된 브레이크 패드(도면 미도시)를 드럼(도면 미도시)에 탈부착시킴으로서 파킹(Parking)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블 연결편(360)은 상부플레이트(361), 하부플레이트(362) 및 상하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한편 슬라이딩편(350)에 연결된 연결플레이트(36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363) 대향측에 상하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풀리(364) 및 연결핀(365)가 차례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풀리(364) 상기 케이블(13)을 견인하고, 상기 연결핀(365)은 상하부플레이트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여기서, 케이블에 연결된 브레이크 패드 및 드럼의 기술적 구성은 종래기술에서 밝힌 선행문헌 2(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34973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것으로 갈음한다.
한편, 상기 접촉센서(370)는 전후진하는 슬라이딩편이 일정 구간에 진입하였는지, 즉 브레이크력을 가질 만큼의 회전력으로 케이블이 당겨졌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센서(370)는 슬라이딩편이 슬라이딩하는 구간에 형성된 제1 접촉센서(371) 및 제1 접촉센서 와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된 제2 접촉센서(372)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하기할 제어유닛(50)의 제어부(53)는 작업자의 핸들조작이 있었는지를 파악하고 안전한 브레이크력을 갖을 수 있을 정도의 회전력을 핸들에 부여했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53)는 작업자가 핸들을 조작하여 슬라이딩편이 제1 접촉센서(371)와 접촉하면 브레이크 조작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슬라이딩편이 제2 접촉센서(372)에 위치할 때를 브레이크조작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슬라이딩편(350)이 제1 접촉센서(371)을 통과한 후 일정시간 동안(본 실시예에서는 1초~2초 정도로 설정) 제2 접촉센서(372)에 신호를 인가받지 못한 경우 작업자가 브레이크를 충분히 채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하기할 부저(60, Buzzer)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 접촉센서(371)와 제2 접촉센서(372)와의 거리는 슬라이딩편의 전후진 속도, 즉 작업작의 핸들 회전력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유닛(400)은 박스형 하우징(410); 하우징 내측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LM 가이드(420);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니어 샤프트(431)와 연결되어 하우징 내측의 LM 가이드에 측면부가 슬라이딩 결착된 구동 어댑터(430); 상기 구동 어뎁터 상면 및 하면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구동 어뎁터와 동시에 구동되는 판형 마그네트(440); 및 상기 양쪽 마그네트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내측 양쪽 측면에 고정된 코일 유닛(45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어 상기 구동 어댑터에서 연장되어 리니어 샤프트가 직선운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마그네트를 고정자(fixed part)로 하고, 코일유닛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동자(moving part)로 하여 형성하는 리니어 모터 유닛과 달리, 코일 유닛을 고정자(fixed part)로 하고 마그네트(440)를 이동자(moving part)로 하는 리니어 모터 유닛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고정된 코일 유닛에 연결된 배선 또는 케이블의 진동발생을 유도하지 않고, 도선 연결부품의 진동으로 인한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트가 양쪽으로 고정 장착된 구동어뎁터를 중심에 위치하여 양쪽의 코일 유닛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상기 구동 어뎁터를 직선 구동시키는 간단한 구조로서 구조적 측면에서 디자인 자유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 채택한 전자식 엑츄에이터는 한국 등록특허 10-1563345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언급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리니어 샤프트(431) 말단에는 상기 케이블을 걸기 위한 후크(431-1)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는 케이블에 고정되지 않은 채 단순히 걸이구 기능만 한다.
따라서, 리니어 샤프트(431)는 전원 공급에 따라 하우징(410) 내에서 일정 구간을 리니어하게 이동한다.
한편 상기 후크(431-1)가 케이블과 접촉하는 면에는 탄성재(431-2)를 형성하여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재(431-2)는 상기 수동유닛(300)의 케이블 연결편(360)이 케이블을 당겨 파킹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는 후크(431-1)가 케이블과 분리된 상태, 즉 상기 리니어 샤프트(431)가 돌출된 상태에 놓여 있다가 비상사태, 즉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가 되어 케이블이 브레이크 해제상태로 풀릴 때 상기 제어부(53)의 명령에 의해 자동유닛에는 통전이 되고 이에 리니어 샤프트(431)가 하우징(4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급격히 이동하면서 케이블을 다시 당김의 위치로 이동할 때 순간적으로 케이블에 충격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수동유닛(300) 및 자동유닛(400)이 케이블에 적합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13)은 링키지(R)에 힌지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고리(131), 연결고리에 각각 연장된 직선의 직선연장부(132), 상기 수동유닛(300) 및 자동유닛(400)이 동일평면에서 나란히 연결되는 작동유닛연결부(133), 및 직선연장부와 작동유닛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34)를 구비한다.
이로서, 수동유닛(300) 및 자동유닛(400)이 케이블에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유닛(50)은 프레임의 가속도 및 각속도 정보를 인가하는 자이로 센서(51), 자이로센서로부터 인가된 정보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52), 신호 입력부에 입력된 센서 신호에 기반하여 트레일러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엑츄에이터의 동작 및 부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자이로 센서(51)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327481에 개시된 마이크로 자이로스코프를 채택할 수도 있고, 가속도 및 각속도 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이면 다른 공지된 센서를 채택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신호 입력부(52)는 자이로센서로부터 인가된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때, 신호 입력부는 자이로센서의정보 뿐만 아니라 제1 접촉센서(371) 및 제2 접촉센서(372)의 언보를 인가받아 이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이로서, 제어부는 신호입력부로부터 제1 센서의 정보가 인가된 후 설정시간 동안 제2 접촉센서(372)의 신호를 인가받지 못한 경우 작업자가 브레이크를 충분히 채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부저(60)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핸들을 충분히 파킹 우치까지 회전시키도록 유도한다.
이렇듯 제2 센서의 정보가 마저 인가되면 제어부는 트레일러가 충분히 파킹위치에서 브레이킹력을 갖고 주차중인 것으로 인지하고, 자이로센서를 가동시킨다.
이어서 제어부는 신호입력부로부터 자이로센서 정보가 인가되면 트레일러가 파킹력을 잃고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하고, 부저(60)를 울리면서 자동유닛에 전원을 공급하여 리니어 샤프트(431)가 하우징(410)로 진입하도록 당김으로서 후크(431-1)가 케이블을 당겨 브레킹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신호입력부로부터 자이로센서의 정보가 인가되지 않고, 제2 센서의 정보가 인가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는 브레이크의 해제가 불완전하게, 즉 케이블이 덜 풀린 것으로 인지하고 경고음을 울려 브레이크기 완전해제되도록 유도한다.
한편, 제2 센서의 정보가 인가된 후 제1 센서의 정보가 인가되면 브레이크가 완전 해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는 주행 또는 정차 등의 초기 모드로 복귀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후크
12 : 바퀴 13 : 케이블
20 : 주차브레이크 30 : 작동유닛
300 : 수동유닛 310 : 핸들
320 : 나사축 330 : 너트
340 : 브라켓 350 : 슬라이딩편
360 : 연결편 370 : 접촉센서
400 : 자동유닛 410 : 하우징
420 : LM 가이드 430 : 구동 어댑터
440 : 마그네트 450 : 코일 유닛
50 : 제어 유닛 51 : 자이로 센서
52 : 신호 입력부 53 : 제어부

Claims (5)

  1. 견인차량에 연결되기 위한 후크(11)가 구비된 프레임(10) 하측에는 바퀴(12)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를 제동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케이블(13)과 연결된 주차브레이크(20)가 구비된 군용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주차브레이크(20)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케이블(13)에 연결되는 작동유닛(30)이 프레임(10)에 형성되되,
    상기 작동유닛(30)은 수동유닛(300) 및 자동유닛(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동유닛(300)은 핸들(310), 핸들에 연결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320),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너트(33), 너트가 고정결합되는 한편 프레임에 고정결합된 브라켓(340), 나사축 말단에 형성됨으로써 핸들의 회전을 통해 너트에 안내되는 나사축에 의해 브라켓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편(350), 슬라이딩편과 상기 케이블(13)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편(360) 및 브라켓에 형성되어 슬라이딩편의 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센서(370)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유닛(400)은 브라켓이 결합된 프레임 일측에는 형성되는 전자식 엑츄에이터이고,
    상기 프레임에는 트레일러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전자식 엑츄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50) 및 제어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울리는 부저(60, Buzzer)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유닛(50)은 프레임의 가속도 및 각속도 정보를 인가하는 자이로 센서(51), 자이로센서로부터 인가된 정보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52), 신호 입력부에 입력된 센서 신호에 기반하여 트레일러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엑츄에이터의 동작 및 부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서(370)는 슬라이딩편이 슬라이딩하는 구간에 형성된 제1 접촉센서(371) 및 제1 접촉센서와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된 제2 접촉센서(372)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3)는 슬라이딩편이 제1 접촉센서(371)을 통과한 신호를 인가받은 후 설정시간 동안 제2 접촉센서(372)의 신호를 인가받지 못한 경우 작업자가 브레이크를 충분히 채우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부저(60)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유닛(400)은 박스형 하우징(410); 하우징 내측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LM 가이드(420);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니어 샤프트(431)와 연결되어 하우징 내측의 LM 가이드에 측면부가 슬라이딩 결착된 구동 어댑터(430); 상기 구동 어뎁터 상면 및 하면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구동 어뎁터와 동시에 구동되는 판형 마그네트(440); 및 상기 양쪽 마그네트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내측 양쪽 측면에 고정된 코일 유닛(45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어 상기 구동 어댑터에서 연장되어 리니어 샤프트가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3)은 링키지(R)에 힌지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고리(131), 연결고리에 각각 연장된 직선의 직선연장부(132), 상기 수동유닛(300) 및 자동유닛(400)이 동일평면에서 나란히 연결되는 작동유닛연결부(133), 및 직선연장부와 작동유닛연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편(360)은 상부플레이트(361), 하부플레이트(362) 및 상하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한편 슬라이딩편(350)에 연결된 연결플레이트(36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363) 대향측에 상하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풀리(364) 및 연결핀(365)가 차례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풀리(364) 상기 케이블(13)을 견인하고, 상기 연결핀(365)은 상하부플레이트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60100874A 2016-08-08 2016-08-08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184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874A KR101847135B1 (ko) 2016-08-08 2016-08-08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874A KR101847135B1 (ko) 2016-08-08 2016-08-08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886A true KR20180016886A (ko) 2018-02-20
KR101847135B1 KR101847135B1 (ko) 2018-05-28

Family

ID=6139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874A KR101847135B1 (ko) 2016-08-08 2016-08-08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1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790B1 (ko) 2008-12-04 2010-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레일러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394629B1 (ko) 2013-11-29 2014-05-13 전용희 트레일러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135B1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6760B2 (ja) 電動式軌道台車
KR101952540B1 (ko) 전동 킥보드 장치
KR20140033214A (ko) 차량 원격 조작 시스템 및 차재기
CN105774766B (zh) 一种重型单车防溜车装置及其控制方法
US10604125B2 (en) Supplemental brake monitoring system
KR20190006486A (ko) 수송 차량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 및 수송 차량
JP2009128064A (ja) 模擬障害物装置
KR101847135B1 (ko) 군용 트레일러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US20220043452A1 (en) Agv having dynamic safety zone
JP3940792B2 (ja) ゴルフカートの後退時制御装置
EP1264752B1 (en) Electronic sensor for a quick release railcar hand brake
JP4609395B2 (ja) 移動型x線撮影装置
KR101409223B1 (ko)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작동 장치 및 방법
KR200457930Y1 (ko) 차량사고예방용 유도비상등 시스템
KR101265959B1 (ko) 지중 매설 유도선 추적 무인 견인 차량
JP2008126874A (ja) 電磁誘導式自動走行車の停止制御方式
KR100883013B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를 이용한 비상제동장치
JP6766698B2 (ja) コンテナ用無人搬送車
WO2018135260A1 (ja) 無人搬送車
JP7366610B2 (ja) 駐車装置
JPH06191400A (ja) 走行車
CN207450017U (zh) 防大车侧翻的转向限制装置
JP6435634B2 (ja) 自動搬送システム
JP5996358B2 (ja) 側面接触検出装置を備えた大型搬送車両
JP2024001442A (ja) 輪止め装置および作業用車両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